KR100717492B1 - 안전 개봉형 캔 - Google Patents

안전 개봉형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7492B1
KR100717492B1 KR1020050088238A KR20050088238A KR100717492B1 KR 100717492 B1 KR100717492 B1 KR 100717492B1 KR 1020050088238 A KR1020050088238 A KR 1020050088238A KR 20050088238 A KR20050088238 A KR 20050088238A KR 100717492 B1 KR100717492 B1 KR 100717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er
cutting
opening
body portion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8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3745A (ko
Inventor
신문식
Original Assignee
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문식 filed Critical 신문식
Priority to KR1020050088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7492B1/ko
Publication of KR2007003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7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7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6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push-down and pull-out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개봉형 캔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음료용 캔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형상의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절개방향과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기 절개부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절개선을 따라 개봉되도록 하는 제 1 오프너;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공간을 절개하여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방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오프너를 가압 회동시키는 제 2 오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캔의 상부의 일부가 접히도록 구성하고 접힌 부위를 펴면서 캔을 개봉하도록 함으로써 개봉과 동시에 소정 부피의 밀폐공간이 추가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흡수되면서 압축력를 급격히 줄여 내용물이 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전 개봉형 캔{Safty Opening Typed Can}
도 1은 종래의 음료용 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음료용 캔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안전 개봉봉형 캔 120 : 몸체부
140 : 절개부 160 : 제 1 오프너(opener)
170 : 제 2 오프너 180 : 확장부
본 발명은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캔 상부의 일부를 접히도록 구성하고 접힌 부위를 펴면서 캔을 개봉하도록 함으로써 개봉과 동시에 내부의 압축력를 줄여 내용물이 튀지 않게 한 안전 개봉형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용 캔(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가 막혀 있 고, 내부에는 소정 부피의 음료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몸체부(12)와, 상기 몸체부(12)의 상면 소정 위치에서 대략 타원형의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14)와, 상기 절개부(14)의 절개방향과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부(12)의 상면에서 상기 절개부(14)와는 반대방향으로 장착되어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에 회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14)를 가압하여 상기 절개선을 따라 개봉되도록 하는 오프너(Opener)(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오프너의 회전 중심에는 리벳축(16s)이 결합되고, 일측에는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16b)가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음료용 캔(10)의 개봉방식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음료용 캔(10)을 개봉하여 음료를 마시고자 하는 경우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2)의 상면에 일체로 설치된 오프너(16)의 끝을 잡고 상방향으로 젖히면, 그 오프너(16)의 반대쪽 끝부분이 아랫쪽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절개부(14)를 가압하게 되고, 그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절개부(14)가 상기 절개선을 따라 몸체부(12)내측의 음료수납공간쪽으로 접혀지면서 개봉됨에 따라 그 절개부(14)에 해당되는 크기만한 음료토출공(h)이 형성되고, 이러한 음료토출공(h)을 통해 음료을 음용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개봉방식을 소위 스테이온탭(stay on tab) 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음료용 캔을 통해 음료를 마시는 경우에는, 주로 탄산음료가 들어있는 캔에서 많이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여름이나 캔에 흔들림이 가해졌을 때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 캔 개봉시 내용물이 밖으로 튀어 손에 묻거나 심하면 옷에 묻고 주위 사람들에게 피해를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하게 음료수를 개봉하는 경우나 손톱이 짧아 파지가 어려운 경우이거나 손가락 힘이 아직 없는 어린 아이들의 경우에는 상기 오프너를 통해 빠르고 효과적으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없어 캔을 개봉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캔의 상부의 일부를 접히도록 구성하고 접힌 부위를 펴면서 캔을 개봉하도록 함으로써 개봉과 동시에 소정부피의 밀폐공간이 추가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흡수되면서 압축력를 줄여 내용물이 튀지 않게 하는 안전 개봉형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에 캔을 개봉하기 위한 오프너를 변형시켜 손가락을 모두 다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 개봉 시나, 손톱이 짧아서 캔 개봉 시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나, 손가락 힘이 약한 어린아이들 등에게 힘 전달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캔 개봉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줄 수 있는 안전 개봉형 캔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은, 음료용 캔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형상의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의 절개방향과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 부의 상면에서 상기 절개부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절개선을 따라 개봉되도록 하는 제 1 오프너; 및 상기 몸체부의 일측 공간을 절개하여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방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오프너를 가압 회동시키는 제 2 오프너;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안전 개봉형 캔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 2 오프너의 결합부위에 확장 가능하도록 일체로 내설되고, 상기 제 2 오프너의 회동시 상기 몸체부와의 사이에 소정 부피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확장부는 밸로우즈형으로 주름을 이루며 신축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확장부는 알루미늄 호일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오프너는 리벳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오프너와 상기 몸체부의 결합부위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되어 파지부를 이루고, 상기 파지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3a는 그 사시도이고, 도 3b는 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100)은, 몸체부(120)와, 상기 몸체부(120)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부(140)와, 상기 절개부(140)와 반대방향으로 그 상면에 장착된 제 1 오프너(opener)(160)와,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 공간을 절개하여 형성된 제 2 오프너(170)와, 상기 몸체부(120)와 상기 제 2 오프너(170)의 결합부위에 확장 가능하도록 내설된 확장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0)는 원통형으로 알루미늄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 공간의 일부는 절개되어 상기 제 2 오프너(170)가 밀폐 결합하게 된다.
상기 절개부(140)는 상기 몸체부(120)의 상면에 일정한 각도범위에 걸쳐 형성되는 소정 형상의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절개선은 소정 외압에 의해 절개/개봉이 가능하도록 프레싱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오프너(160)는 상기 절개부(140)의 절개방향과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부(120)의 상면에서 상기 절개부(140)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140)를 가압하여 절개선을 따라 개봉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 1 오프너(160)는 회전 중심에 리벳축(160a)이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회동시 지렛대와 같은 원리로 힘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제 2 오프너(170)는 상기 몸체부(120)의 일측 공간을 경사지게 절개하여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방, 즉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오프너(160)를 가압하여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제 2 오프너(170)와 상기 몸체부(120) 상면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회전시 접힘이 가능하도록 접힘부위에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프너(170)와 상기 몸체부(120) 측면의 결합부위는 그 가장자리가 상기 몸체부(120)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되어 손가락 파지부(170a)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된 파지부(170a)는 손가락의 걸림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고리에 끼우는 종래의 파지방식을 다수의 손가락에 의해 가압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전환한 것이다.
더욱이, 상기 파지부(170a)는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파지시 손가락과의 마찰력이 최대한으로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180)는 밸로우즈형으로 주름을 이루며 형성되고, 상기 제 2 오프너(170)와 몸체부(120) 측면의 결합부위에 내설되어 상기 제 2 오프너(170)의 회동에 의해 신축된다.
이때, 상기 확장부(180)는 알루미늄 재질의 호일(foil)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일차적로 알루미늄 재질인 몸체부(120)와 일체성을 이루어 재활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동시에 최소 부피와 질량으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단, 디자인적,구조적, 비용적 필요에 의해 알루미늄 호일 대신에 비닐이나 종이에 의해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확장부(180)와 상기 몸체부(120) 등을 일체형으로 밀폐 결합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캔(100)은 몸체부(120)의 일부를 접은 형태를 취하게 되며 그 접힌 부위가 외력(손가락 힘)에 의해 용이하게 펴지도록 구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의 개봉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의 개봉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그 외부 사시도이고, 도 4b는 그 내부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음료를 마시기 위해 사용자는 상기 제 2 오프너(170)의 돌출된 파지부(170a)에 다수개의 손가락(미도시)을 걸어 상방(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에 의해 상기 제 2 오프너(170)의 상면은 상기 제 1 오프너(160)를 가압하여 동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 1 오프너(160)는 리벳축(160a)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절개부(140)를 가압하게 되고, 그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절개부(140)가 절개선을 따라 몸체부(120) 내측의 음료수납공간쪽으로 접혀지면서 개봉됨에 따라 그 절개부(140)에 해당되는 크기만한 음료토출공(h)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 2 오프너(170)가 회동할 때 상기 몸체부(120)와의 사이에 내설된 확장부(180)가 전개되면서 상기 몸체부(120)와 제 2 오프너(170) 사이에 소정 크기의 밀폐공간을 형성시키게 되며, 음료수납공간에 음료와 함께 압축된 공기는 해당 공간으로 흡수되면서 압축력을 급격히 저하시키게 되어 내용물이 외부로 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인바,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 개봉형 캔에 의하면, 캔의 상부의 일부가 접히도록 구성하고 접힌 부위를 펴면서 캔을 개봉하도록 함으로써 개봉과 동시에 소정 부피의 밀폐공간이 추가로 형성되어 내부의 압축된 공기가 상기 공간으로 흡수되면서 압축력를 급격히 줄여 내용물이 튀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에 캔을 개봉하기 위한 오프너를 변형시켜 손가락을 모두 다 쓸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급 개봉 시나, 손톱이 짧아서 캔 개봉 시 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나, 손가락 힘이 약한 어린아이들 등에게 힘 전달을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작은 힘에 의해서도 캔 개봉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부를 몸체부 등과 동일한 재질의 알루미늄 호일로 형성함으로써 결합부위의 부피를 줄이고, 밀폐효율을 높이며,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음료용 캔에 있어서,
    원통형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소정 형상의 절개선을 따라 형성되는 절개부;
    상기 절개부의 절개방향과 동일선상에 해당되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서 상기 절개부와 반대방향으로 장착되고, 회동에 의해 상기 절개부를 가압하여 상기 절개선을 따라 개봉되도록 하는 제 1 오프너;
    상기 몸체부의 일측 공간을 절개하여 장착되고, 외력에 의해 상방 회동됨으로써 상기 제 1 오프너를 가압 회동시키는 제 2 오프너; 및
    상기 몸체부와 상기 제 2 오프너의 결합부위에 확장 가능하도록 일체로 내설되고, 상기 제 2 오프너의 회동시 상기 몸체부와의 사이에 소정 부피의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봉형 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밸로우즈형으로 주름을 이루며 신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봉형 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알루미늄 호일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봉형 캔.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프너는 리벳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봉형 캔.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오프너와 상기 몸체부의 결합부위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일정 정도 돌출되어 파지부를 이루고, 상기 파지부는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개봉형 캔.
KR1020050088238A 2005-09-22 2005-09-22 안전 개봉형 캔 KR100717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238A KR100717492B1 (ko) 2005-09-22 2005-09-22 안전 개봉형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8238A KR100717492B1 (ko) 2005-09-22 2005-09-22 안전 개봉형 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45A KR20070033745A (ko) 2007-03-27
KR100717492B1 true KR100717492B1 (ko) 2007-06-12

Family

ID=44479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238A KR100717492B1 (ko) 2005-09-22 2005-09-22 안전 개봉형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74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15Y1 (ko) 1999-03-23 2000-06-01 한지만 집게고리가 구비된 캔
JP2003112735A (ja) 2001-10-02 2003-04-18 Shonan Tsuri Esa Center:Kk 缶容器
KR100426538B1 (ko) 2001-10-30 2004-04-14 김경환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3915Y1 (ko) 1999-03-23 2000-06-01 한지만 집게고리가 구비된 캔
JP2003112735A (ja) 2001-10-02 2003-04-18 Shonan Tsuri Esa Center:Kk 缶容器
KR100426538B1 (ko) 2001-10-30 2004-04-14 김경환 스프링력을 이용한 원터치식 자동 따개장치를 갖는 캔용기
KR20190000930U (ko) * 2017-10-12 2019-04-22 두리기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차덖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745A (ko) 200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4777A (en) Non-detachable easy open flap and tab assembly
JP6144345B2 (ja) 取り外し自在飲料容器およびそれを製造する方法
CN203047736U (zh) 易拉瓶盖
EP2129592B1 (en) Folding eating utensil integrated or attachable to food cover
WO2007073055A1 (en) Pressurization type cap assembly having storage chamber for secondary material
US20140325943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mouth opening and vent
US20100219187A1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US6065300A (en) Self-cooling container with internal beverage vessel having a vessel wall with reversible wall bulges
KR100717492B1 (ko) 안전 개봉형 캔
US5147057A (en) Inverted closures for beverage containers
US5916337A (en) Easy pull ring for pop-top and pull-top cans
CN209777203U (zh) 一种可单手开启的瓶盖
US20210130039A1 (en) Adjustable container for instant food and package including the same
JP4575139B2 (ja) 分配包装体
JPH0348060Y2 (ko)
CN217375592U (zh) 一种带锁安全盒
WO2017183971A1 (en) Beverage can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beverage can
KR102237905B1 (ko) 개방이 용이한 음료 캔
JP4239194B2 (ja) 食品包装用容器
KR100537942B1 (ko) 캔용기의 오프너용 탭어셈블리
KR200292087Y1 (ko) 맥주캔
JP3101449U (ja) 王冠
WO2010045760A1 (zh) 杠杆式易拉瓶盖
KR200381445Y1 (ko) 음료유도부재가 내장된 음료용 캔
RU22936U1 (ru) Кронен-пробк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