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9332A -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 Google Patents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9332A
KR20060059332A KR1020040098386A KR20040098386A KR20060059332A KR 20060059332 A KR20060059332 A KR 20060059332A KR 1020040098386 A KR1020040098386 A KR 1020040098386A KR 20040098386 A KR20040098386 A KR 20040098386A KR 20060059332 A KR20060059332 A KR 20060059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
lid
peak
opening
open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종인
송철규
Original Assignee
장종인
송철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종인, 송철규 filed Critical 장종인
Priority to KR1020040098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59332A/ko
Publication of KR20060059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3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06Beverage can, i.e. beer, sod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다 쉽게 캔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오픈 기능성에 주안점을 둔 음료용 캔 뚜껑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탭이 처음 위치하게 되는 곳에 탭의 첨두가 들어갈 수 있는 홈과, 첨두의 이동 경로에 맞추어 융기 되어진 라인과 캔 가압 부에 상응하는 탭 가이드라인을 가진 캔상부면과, 캔상부면을 첨두로 가압하기 위한 첨두와 탭 가압 부를 가지고 있는 탭, 탭과 캔상부면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결합 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결합 부를 중심으로 첨두가 있는 탭 부분의 반대편의 탭 가압 부을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를 사용하여 밀거나 탭을 손가락이나 다른 물체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음료용 캔 몸체를 돌림으로써 보다 안전하면서도 적은 힘으로 쉽게 캔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 캔 뚜껑 따개에 관한 것이다.
탭 가이드라인, 캔 상부면 결합 부, 홈 융기라인, 절취선 탭 결합 부, 첨두 탭 가압부, 음료 배출구, 캔 상부면

Description

밀거나 돌려서 따는 캔 뚜껑 {Push or Turn Can li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캔 상부면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캔상부면의 결합 부에 결합하는 탭에 대한 전면도, 측면도, 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사용 전의 평면도
도 4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사용 후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탭 가이드라인 2: 캔 상부면 결합 부
3: 홈 4: 융기라인
본 발명은 음료용 캔의 따개에 관한 것으로서, 캔 따개의 탭을 밀거나 탭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음료용 캔 몸체를 돌림으로써 보다 적은 힘으로도 쉽게 캔 뚜껑을 열 수 있도록 하는 음료용 캔 따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음료 캔의 상부 면에 음료 배출구를 형성하여, 음료 배출구를 압박하여 개봉시킬 수 있는 탭을 설치하여, 탭을 젖혀 음료 배출구의 떼어 내거나, 캔 안으로 밀어 널어 음료 배출구가 개방되도록 하여, 음료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음료 캔은 음료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수단으로 캔의 상부 면에 밀착되어 있는 탭을 손톱으로 들어 올려 손가락으로 젖혀 음료 배출구를 개방시키게 되는 것으로 이때, 손톱이나 손가락에 통증을 느낄 정도로 압박을 받게 되어, 음료 배출구의 개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터치식 캔 따개는 캔 뚜껑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를 개봉하기 위한 캔 따개 손잡이의 하부 틈이 협소하여 캔을 사용하기 위하여 캔 따개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잡으려 하면 손잡이 하부 틈이 협소하여 손가락이 아닌 손톱 끝만 들어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되어 자칫 잘못하면 손톱이 부러지거나 손가락 끝을 다치는 등의 위험성과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캔 따개 손잡이를 세워 당길 때 잘못하면 손잡이가 좌. 우 회동되는 예가 더러 발생하는 등의 불편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료수 캔의 개봉 시 사용하는 캔 뚜껑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 같이 힘이 약한 사람들이 상기 음료수 캔의 개봉을 할 시에 발생하게 되는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으로 종래의 탭을 들어올림으로써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그 작동 원리를 회전 탭 방식으로 전환하여 누구나 손쉽게 안전사고 없이 캔을 딸 수 있는 캔 뚜껑 구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상하 지렛대의 원리를 좌우로 변형 시킨 것으로 가압에 의하여 절취되는 (9)음료 배출구를 구비하는 (10)캔 상부면, 상기 (9)음료 배출구를 가압하기 위한 (7)첨두가 달린 (11)탭, 상기 (11)탭을 (10)캔상부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2)캔상부면결합부와 (6)탭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10)캔상부면의 (9)음료 배출구에는 상기 탭의 (7)첨두가 들어갈 (3)홈을 만들어 두고, 탭에 힘이 가해졌을 때 (11)탭의 (7)첨두가 (10)캔상부면의 (3)홈을 벗어나 융기되어있는 (4)융기라인을 따라 회전하게 되고, 상기 (11)탭에는 (9)음료 배출구의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탭의 (7)첨두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11)탭과 상기 (9)음료배출구가 회동에 의하여, 상기 (7)첨두가 (9)음료 배출구의 (3)홈에서 벗어나 (9)음료 배출구의 (4)융기라인을 따라 접촉 가압함으로써, 상기 (9)음료배출구가 상기 (10)캔상부면으로부터 절취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 예에 따르면, (9)음료 배출구에 (7)첨두의 크기에 맞춰 (3)홈을 구비하고, (11)탭이 이동하는 위치에 맞추어 각도를 준 (4)융기라인과 상기 (11)탭의 (8)탭가압부에 상응되는 부분에 (1)탭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상기 (11)탭의 하단부에 (7)첨두와 탭 가압 부를 구비하여 상기 (11)탭을 상기 (2)캔상부면결합부를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7)첨두가 (9)음료 배출구의 (3)홈에서 벗어나 (4)융기라인을 따라 이동하게 됨으로써 (7)첨두의 높이와 (4)융기라인과 경사를 둔 (1)탭 가이드라인의 높이가 합하여져 절취에 필요한 높이를 갖게 되어 (4)융기 라인이 없을 시나 (1)탭 가이드라인이 없을 시 개봉되어지는 각도 보다 더 큰 각도를 얻을 수 있어 (9)음료 배출구의 오픈이 용이하게 되고 탭을 가압 시 (8)탭가압부를 이용함으로써 손가락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상기한 구성에 따르면 종래의 기술이 손가락의 당기는 힘을 요구했던 것이 비하여 본 발명은 손목의 힘이나 손가락의 미는 힘을 사용함으로써 힘을 가하기 용이하고 압력을 분산시켜 상기 캔을 적은 힘으로 개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손톱과 손가락을 다치는 위험성과 불편한 문제점들이 해소 되어 남녀 노소 누구나 안심하고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대단히 고도한 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2)

  1. 그 내부에 내용물이 내장된 캔의 상부 면에 형성된 캔 뚜껑을 개봉하기 위한 개봉 수단
    상기 개봉 수단을 상기 원형 부재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 수단
    상기 개봉 수단의 타측부에 형성되되, 탭의 가압 부를 수용하고 손가락을 잘 걸게 하는 탭 가이드라인
    상기 개봉 수단의 타측부에 형성되되, 탭의 첨두를 수용하는 홈
    상기 개봉 수단이 상기 연결 수단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개봉 수단을 밀거나 캔 몸체를 돌렸을 때 탭이 이동할 수 있는 융기라인
    상기 개봉 수단이 손가락을 잘 걸 수 있게 하는 탭가압부를 가지고 있는 탭의 모양
    상기 개봉 수단에 의해 절취되는 캔 상부 면의 절취선 방향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부를 가압하는 경우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기 개봉 수단이 상기 캔의 상부 면의 융기되어 있는 라인에 따라 이동을 함으로써 상기 캔을 개봉할 수 있는 높이가 형성되어 적은 힘으로도 개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탭과 캔 상단 부
KR1020040098386A 2004-11-27 2004-11-27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KR200600593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86A KR20060059332A (ko) 2004-11-27 2004-11-27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86A KR20060059332A (ko) 2004-11-27 2004-11-27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332A true KR20060059332A (ko) 2006-06-01

Family

ID=37156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86A KR20060059332A (ko) 2004-11-27 2004-11-27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5933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7B1 (ko) * 2007-10-16 2010-02-17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318770B1 (ko) * 2011-09-06 2013-10-16 전대부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CN105416765A (zh) * 2015-11-27 2016-03-23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易拉罐罐盖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867B1 (ko) * 2007-10-16 2010-02-17 나종갑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KR101318770B1 (ko) * 2011-09-06 2013-10-16 전대부 개봉이 용이하면서도 안전성이 강화된 통조림통 뚜껑 및 이를 부착한 통조림통
CN105416765A (zh) * 2015-11-27 2016-03-23 苏州市职业大学 一种易拉罐罐盖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2464A (en) Combination can opening tool
US5190149A (en) Side-pivoting frangible opening for container end wall
KR20060059332A (ko) 밀거나돌려서따는캔뚜껑
KR200419638Y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US7363837B1 (en) Pop, pry and peel can opener
KR100648733B1 (ko) 음료용기 뚜껑에 구비된 마개 개방구조
KR102146643B1 (ko) 개방이 용이한 캔용기
KR200174376Y1 (ko) 고리를 구비한 캔
KR20090007821A (ko) 오프너를 부설한 원터치 통조림 오픈 보조케이스
KR101713485B1 (ko) 원터치캔
KR20150000711A (ko) 음료수 캔따개
JP3116847U (ja) 栓抜き
KR200195221Y1 (ko) 캔 열림장치
CN211544257U (zh) 一种易开罐头盖
CN210261035U (zh) 一种便携式开瓶器
KR200323145Y1 (ko) 음료용 캔의 캔따개
KR200174384Y1 (ko) 고리가 부착된 캔 개봉구조
KR200177615Y1 (ko) 캔따개의 용이한 구조
JP3034688U (ja) タブをおこしやすくした缶
KR200174367Y1 (ko) 음료수 용기의 개방손잡이
KR200398961Y1 (ko) 끌어서 눌러따는 캔따개
KR200239869Y1 (ko) 뚜껑따개
JP3013877U (ja) 缶開け器
KR200280781Y1 (ko) 안전하고 용이하게 탭을 젖힐 수 있는 팁이 구비된 캔오프너
KR200430060Y1 (ko) 캔 오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