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06656A -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 Google Patents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06656A
KR20050006656A KR1020030046547A KR20030046547A KR20050006656A KR 20050006656 A KR20050006656 A KR 20050006656A KR 1020030046547 A KR1020030046547 A KR 1020030046547A KR 20030046547 A KR20030046547 A KR 20030046547A KR 20050006656 A KR20050006656 A KR 20050006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lid
cut
integrally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충록
Original Assignee
오충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충록 filed Critical 오충록
Priority to KR102003004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06656A/ko
Publication of KR20050006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665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4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ivot tab and push-down tear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소재로 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캔 뚜껑 상면에 설치되던 탭(따개)을 대신하는 돌출부를 캔 뚜껑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탭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용이하게 취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형상의 캔 본체의 개방부에 압착 결합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열린 곡선 형태의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소정 높이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절개편을 쉽게 제거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취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Beverage can lid having projection part}
본 발명은 알루미늄 또는 스틸소재로 된 음료용 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캔 뚜껑 상면에 설치되던 탭(따개)을 대신하는 돌출부를 캔 뚜껑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탭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으며 수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용이하게 취출구를 개방시킬 수 있는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료 또는 주류용 캔은, 상부가 개방되고 음료 등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상의 캔 몸체와, 상기 캔 몸체의 개방부에 압착 결합되어 캔 본체를 밀봉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음료를 마실 수 있도록 원터치 방식으로 취출구가 개방되는 캔 뚜껑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 따른 캔 뚜껑은 상면에 대략 타원형의 절취선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절취선을 따라 절개되는 절개편의 일측에는 리벳을 매개로 상향으로 들어 올림으로써 절개편을 절개시키는 탭(따개)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탭의 일단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잡아당길 수 있도록 하는 엔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단에는 상기 절개편을 누를 수 있도록 위치하는 노즈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캔 뚜껑은 사용자가 음료를 마시기 위해서 먼저 손가락의 단부 즉 손톱 부위를 탭의 엔드부에 집어넣어 상방향으로 잡아당겨야 하는데, 종래의 탭은 엔드부와 캔 뚜껑 상면과의 사이가 매우 협소하여 사용자의 손가락(또는 손톱)이 삽입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탭을 잡아당기다가 손톱이 깨지거나 하는 등의 손상을 받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특히 노약자나 여성과 같이 파지력이 약한 사람들은 탭을 들어올리는 것이 더욱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캔 뚜껑의 상면과 탭의 엔드부 사이의 간격을 넓혀 사용자의 손가락이 보다 용이하게 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캔 뚜껑의 상면에 오목부를 형성하여 탭의 엔드부와 캔 뚜껑의 상면 사이의 간격을 넓히는 방법, 탭의 엔드부를 미리 상부로 절곡시켜 놓는 방법, 캔 뚜껑의 상면에 볼록하게 튀어나온 탄발 돌출부를 형성하는 방법, 탭의 엔드부를 열팽창 계수가 서로 다른 둘 이상의 금속편으로 만드는 방법, 탭의 엔드부에 미리 절취선을 형성하여 놓는 방법 등 여러 가지 것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들은 단순히 캔 뚜껑의 상면과 탭의 엔드부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 제공된 것에 불과한 것이므로 캔 뚜껑의 상면에 엔드부와 노즈부가 일체로 형성된 탭을 수평으로 설치하는 점에 대해서는 전혀 변화된 것이 없었다. 따라서 캔 본체 및 캔 뚜껑의 제조공정과 별도로 엔드부와 노즈부가 일체로 형성된 탭을 제조하는 제조공정 그리고 이렇게 제조된 탭을 캔 뚜껑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핀에 고정시키는 리벳팅공정이 반드시 요구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제까지 캔 뚜껑의 상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던 탭(따개)를 제거하여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며 탭의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기술을 발명하여 이하에서 개시하는 바와 같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캔 뚜껑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종래의 캔 뚜껑 상면에 수평하게 부착되던 탭을 제거함으로써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탭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탭을 대신할 수 있는 돌출부를 캔 뚜껑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탭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절취선에 의해 절개되는 절개편의 일측에 소정 높이의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이 돌출부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절취선을 따라 절개편을 용이하게 절개할 수 있도록 하여 노약자나 여성도 캔을 쉽게 딸 수 있도록 한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이 설치된 캔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캔 뚜껑을 후방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캔의 부분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의 절개편이 절개되어 취출구가 개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5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의 부분 확대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확대도,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절취선을 보여주기 위한 부분 평면도,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의 작용을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10은 도9에 도시된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를 옆으로 돌려서 취출구를 충분히 개방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캔 본체 10 : 캔 뚜껑
14 : 캔 뚜껑 테두리 30 : 절취선
31 : 절취선의 시작점 33 : 확대부
35 : 협소부 39 : 절취선의 끝점
40 : 절곡부 50 : 절개편
60 : 취출구 70 : 돌출부
71 : 중공부 75 : 보강돌부
78 : 요홈 80 : 요홈부
83 : 경사면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형상의 캔 본체의 개방부에 압착 결합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열린 곡선 형태의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소정 높이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절개편을 쉽게 제거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취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타원형 또는 원뿔형이며,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거나 밀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고, 상부에는 손가락 끝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캔 뚜껑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그 하단부는 취출편으로부터 일체로 신장되어 개방되며 그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고 그 상단부는 완전히 밀폐되어 있으며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열린 곡선 형태의 절취선은 원형, 타원형 또는 조롱박(또는 볼링핀) 모양이며 이 절취선의 시작점과 끝점은 상기 돌출부 근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는 절취선이 형성되지 않은 절곡부이고 이 절곡부는 상기 돌출부 하단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롱박 모양의 절취선은 협소부와 확대부로 구성되며 상기 협소부는 상기 돌출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절개편에는 소정 형상의 보강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절취선의 외측으로는 소정 깊이의 요홈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1 및 도2는 본 발명의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10)을 갖는 캔의 상단부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캔 뚜껑(10)은 원통형 캔 본체(1)의 상부 개방부에 압착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캔 뚜껑(10)의 상면에는 조롱박 모양의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30)에 의해 구획되는 절개편(50)의 일측 상면에는 원추 혹은 원뿔 형태의 돌출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30)의 외측으로는 경사면을 통해 소정 깊이의요홈부(8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절개편(50)의 상면에는 말굽 모양의 보강돌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절취선(30)은 캔 뚜껑(10)의 테두리(14) 근처에서부터 캔 뚜껑(10)의 중심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조롱박의 확대부(33)는 캔 뚜껑의 테두리(14) 근처에, 조롱박의 협소부(35)는 캔 뚜껑(1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취선(30)은 공지된 바와 같이, 캔의 내부압력에 의해 스스로 절취되지 않을 정도의 깊이로 캔 뚜껑(10)의 표면에 파여진 홈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원추형 돌출부(70)는 절취선에 의해 구획되는 조롱박 모양의 절개편(50) 일측 즉, 협소부(33)쪽에 수직하게 소정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70)는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거나 밀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제조공정에서 상하의 캔 뚜껑(10)을 겹쳐 쌓기 할 수 있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커진다. 또한 상기 돌출부(70)의 상부 후면에는 손가락 끝이 걸릴 수 있도록 소정 크기의 요홈(78)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 본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10)을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절취선(30)은 열린 곡선이며, 그 시작점(31)과 끝점(39)이 상기 돌출부(70) 하단의 일측 즉, 돌출부(70) 후방의 캔 뚜껑 표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선(30)의 시작점(31)과 끝점(39) 사이 즉, 절취선(30)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절곡부(40)가 형성되게 된다. 이 절곡부(40)는 상기 돌출부(70)를 손가락으로 잡아당겨 하방향으로 회동시킬 때 절개편(50)이 절취선을 따라 절개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70) 후방의 캔 뚜껑 상면이 하방으로 절곡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40)는 비교적 적은 힘으로도 절곡될 수 있도록 좁아야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70) 하단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부(40)는 상기 돌출부(70) 정 후방의 캔 뚜껑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정 후방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소정 각도 치우치게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소정의 힘으로 상기 돌출부(70)를 앞으로 잡아당겨 회동시키면, 상기 돌출부(70) 후방의 절곡부(40)가 절곡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70) 근처 즉, 절곡부(40)와 맞닿은 절취선(30)의 시작점(31) 혹은 끝점(39) 부근이 절취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계속하여 상기 돌출부(70)를 하방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절취선(30)을 따라 절개편(50)이 분리되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를 마실 수 있는 조롱박 모양의 취출구(60)가 개방되게 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70)는 취출구(60)의 표면에 대해 거의 수평되게 위치되고, 상기 절개편(50)은 캔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캔 뚜껑(10)의 상면에 형성된 절취선(30)의 외측으로는 소정 길이의 경사면을 갖는 소정 깊이의 요홈부(8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홈부(80)는 캔 뚜껑의 강도를 보강하여 절취선(30)의 절취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절개편(50)이 캔 뚜껑의 상면보다 낮아지도록 함으로써 돌출부(70)의 높이를 높힐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돌출부(70)의 최대 높이는 캔 뚜껑의 테두리(14)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절개편(50)의 위치를 최대한 낮춰서 돌출부(70)의 높이를 충분히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30)의 내측, 다시 말해 절개편(50)의 상면에는 절개편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말굽 모양의 보강돌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돌부(75)는 상술한 돌출부(70)를 가공할 때 함께 형성되는 것으로서, 절개편(50)의 저면을 상방향으로 절곡하여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 보강돌부(75)는 상기 절개편(50)의 강도를 높임으로써 돌출부(70)에 가해지는 힘이 절개편(50)의 앞쪽이나 측면쪽으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한다.
이어,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7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부(70)는 절개편(50)의 일측 상면으로부터 일체로 신장되어 있다. 따라서 그 하단부는 절개편(50)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그 내부에 원뿔형상의 중공부(7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70)의 상단부는 완전히 밀폐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돌출부(70)는 소정 두께의 알루미늄 또는 금속판을 당해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포밍가공방법을 통해 일체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포밍가공기술은 당해 분야에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돌출부(70)는 하부로 갈수록 그 중공부(71)의 내부 직경이 넓기 때문에 캔 뚜껑 제조공정에서 다수의 캔 뚜껑(10)을 상하로 겹쳐 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7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으로서, 대략 원통 형상이고 후면 상부에는 사용자의 손가락 끝이 들어갈 수 있는 요홈(78)이 형성되어 있으며, 서로 겹쳐 쌓기 가능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지름이 커진다. 또한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부(70)의 후측면은 수직평면(77)이 형성되어 절곡부(40)가 보다 용이하게 절곡되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돌출부는 캔의 크기나 용도에 따라 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돌출부는 위 실시예에서 언급된 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의 기술자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근거로 변형하거나 적용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형태와 크기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그리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취선(3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취선(30)은 확대부(33)와 협소부(35)로 이루어진 조롱박 모양이다. 그리고 상기 절취선(30)의 시작점(31)과 끝점(39) 사이에 절곡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70) 둘레에 협소부(35)를 두는 것은 돌출부(70)를 잡아당겨 절개편(50)을 절개시킬 때, 그 힘이 협소부(35)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70) 전방의 절개편(50)에는 말굽 모양의 보강돌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돌부(75)는 캔 뚜껑(10)의 저면을 소정 깊이로 절곡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돌출부(70)을 앞으로 잡아당길 때 가해지는 힘을 절개편(50)의 앞쪽과 측면쪽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강돌부(75)은 돌출부(7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강돌부(75)는 돌출부(7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절개편(50)을 보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형태나 가능하다.
그러므로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7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돌출부(70)의 전면부에는 아랫방향으로 향하는 회전력이 가해지고 후면부에는 윗방향으로 향하는 회전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돌출부(70) 전면쪽의 절개편(50)은 아랫방향으로 회동하려 하고 돌출부(70) 후면쪽의 캔 뚜껑(10)의 상면은 윗방향으로 회동하려는 힘이 생긴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70) 후방에 형성된 절곡부(40)의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절취선의 시작점(31)이나 끝점(39) 부분, 즉, 협소부(35)에 힘이 집중되어 절취선(30)이 절개되기 시작하고 이와 동시에 절곡부(40)가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협소부(35)의 절취선이 절개되고 나면 나머지 확대부(33)의 절취선은 보강돌부(75)을 통해 전달되는 돌출부의 힘에 의해 비교적 쉽게 절개된다. 따라서 돌출부(70)가 일체로 형성된 절개편(50)은 캔 내부로 삽입되고 음료를 취출할 수 있는 취출부(60)가 개구되게 된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70)를 옆으로 돌려서 취출구(60)를 충분히 개방시킬 수도 있다.
이어, 도9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10)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와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캔 뚜껑의 상면에 상술한 돌출부(70) 및 절개편(50)이 포함되도록 소정 깊이의 요홈부(80)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요홈부(80)는 절취선(30)의 외측에 형성된 소정의 경사면(83)을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요홈부(80)의 깊이는 필요한 돌출부(70)의 높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때 상기 요홈부(80)를 캔 뚜껑의 테두리(14) 근처까지 최대한 근접되게 형성함으로써 상기 요홈부(80) 내에 형성되는 절단선(30)을 테두리 근처까지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캔 뚜껑의 테두리(14)와 취출구(60) 사이에 형성된 단턱부의 폭을 가능한 한 작게 함으로써 음료의 취출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이 설치된 캔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한다. 도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 뚜껑(10)이 설치된 캔의 상면에는 손가락으로 잡아 당기거나 밀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돌출부(70)가 수직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는 캔 본체를 단단히 잡고 다른 손의 손가락 끝은 상기 돌출부의 후면에 대고 앞으로 잡아당기면 돌출부(70)가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돌출부 근처의 절취선(30)이 절개되기 시작한다. 이때 일부 절개된 절취선(30)을 통해 내부의 탄산가스가 방출된다. 이어서 상기 돌출부(70)를 계속하여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절개편(50)이 서서히 절개되기 시작하다. 그리고 절개편(50)이 완전히 캔 내부로 들어가 취출구(60)가 완전히 개방되면 이 취취구를 통해 음료를 마시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은 종래의 캔 뚜껑 상면에 반드시 부착되던 탭을 제거함으로써 탭 제조공정과 리벳팅공정을 생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탭 제조에 소요되는 재료비와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은 절개편을 개방시킬 수 있는 돌출부가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탭의 엔드부와 캔 뚜껑 상면 사이로 손가락(또는 손톱)을 삽입할 필요가 없으므로 손톱이 손상되지 않고 노약자나 여성과 같이 파지력이 약한 사람들도 쉽게 캔 뚜껑을 개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용기형상의 캔 본체의 개방부에 압착 결합되는 캔 뚜껑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의 일측에 형성된 열린 곡선 형태의 절취선과;
    상기 절취선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절개되는 절개편과;
    상기 절개편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된 소정 높이의 돌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돌출부를 잡아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돌출부와 일체로 형성된 절개편을 용이하게 제거하여 음료를 배출시키는 취출구를 개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원통형, 타원형 또는 원뿔형상이고 손가락으로 잡아당기거나 밀기에 적합한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후면 상부에는 손가락 끝부분이 걸릴 수 있도록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캔 뚜껑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단부는 상기 절개편으로부터 일체로 신장되어 하부로 개방되고 그 중심부에는 중공부가 형성되며 그 상단부는 완전히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부 직경이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후면은 수직 평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캔 뚜껑의 상면에 형성된 열린 곡선 형태의 절취선의 시작점과 끝점은 상기 돌출부 근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의 시작점과 끝점 사이는 절취선이 형성되지 않은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돌출부 하단부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부는 상기 돌출부 후방의 캔 뚜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은 협소부와 확대부로 이루어진 조롱박 형상이고 상기 협소부는 상기 돌출부 둘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편에는 소정 형상의 보강돌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돌부는 돌출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취선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경사면을 통해 소정 깊이의 요홈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부의 일측은 캔 뚜껑의 테두리 근처에 접근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KR1020030046547A 2003-07-09 2003-07-09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KR20050006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547A KR20050006656A (ko) 2003-07-09 2003-07-09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6547A KR20050006656A (ko) 2003-07-09 2003-07-09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6656A true KR20050006656A (ko) 2005-01-17

Family

ID=3722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6547A KR20050006656A (ko) 2003-07-09 2003-07-09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0665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9188Y1 (ko) 오픈 기능성이 개선된 캔뚜껑
KR100942867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AU2005328082B2 (en) Can lid and can container equipped with the same
KR10108100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MX2009000841A (es) Lengüeta para cierre y proceso de elaboracion de la misma.
CA2169258A1 (en) Easy lift container opening
US4701090A (en) Method of manufacture of a can end with a push in vent tab and main tab
JPH07132937A (ja) 開口容易な蓋
KR20050006656A (ko) 돌출부가 형성된 캔 뚜껑
JPH09226762A (ja)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JP2000128167A (ja) ステイオンタブらくらく蓋開けの構造
KR101059533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5475556B2 (ja) 缶蓋及びそのタブの製造方法
JP5588259B2 (ja) 缶蓋
JP5658940B2 (ja) 缶蓋
JP3218885U (ja) 飲料缶
KR101141745B1 (ko) 캔 뚜껑 및 이를 채용한 캔 용기
JP3117389U (ja) 缶蓋
JP2015042562A (ja) 飲料缶及び飲料缶の開封方法
JP3683020B2 (ja)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WO2009051409A2 (en) Can covers and cans having the same
JP2004210318A (ja) プルトップ式缶
JPH06156488A (ja) イージーオープン缶蓋
WO2003010054A1 (en) Easy open can end
KR200332932Y1 (ko) 배출구의 개방이 용이한 음료용 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