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887B1 -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 Google Patents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887B1
KR101856887B1 KR1020167008725A KR20167008725A KR101856887B1 KR 101856887 B1 KR101856887 B1 KR 101856887B1 KR 1020167008725 A KR1020167008725 A KR 1020167008725A KR 20167008725 A KR20167008725 A KR 20167008725A KR 101856887 B1 KR101856887 B1 KR 101856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electrode substrate
porous electrode
resin
carb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072A (ko
Inventor
뤼디거-베른트 슈바이쓰
Original Assignee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filed Critical 에스지엘 카본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60050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20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05Preparation or purification of carbon not covered by groups C01B32/15, C01B32/20, C01B32/25, C01B32/30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42Electrode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 C25B11/043Carbon, e.g. diamond or graphen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3/00Pulp or paper, comprising synthetic cellulose or non-cellulose fibres or web-forming material
    • D21H13/36Inorganic fibres or flakes
    • D21H13/46Non-siliceous fibres, e.g. from metal oxides
    • D21H13/50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8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a fuel-cell type and a half-cell of the secondary-cell type
    • H01M12/085Zinc-halogen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3Selection of materials containing carbon or carbonaceous materials as conductive part, e.g. graphite, carbon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70Carriers or collector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H01M4/80Porous plates, e.g. sintered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03Supports for the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07Gas diffusi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8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8825Methods for deposition of the catalytic active composition
    • H01M4/8846Impreg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96Carbon-bas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6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impregnation with a solution, dispersion, paste or dry pow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01M4/623Binders being polymers fluorinated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5Composites
    • H01M4/667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s, e.g.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4Carriers or collectors
    • H01M4/66Selection of materials
    • H01M4/668Composites of electroconductive material and synthet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86Inert electrodes with catalytic activity, e.g. for fuel cells
    • H01M4/8663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catalytic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8668Bin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4Carbonaceous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41Composites
    • H01M8/0243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tallurgy (AREA)
  • Inert Electrod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Cell Electrode Carriers And Coll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 섬유들과 탄소 매트릭스로 이루어진 구조물을 포함하되, 비표면적, 다공도, 및 다공 분포가 상기 탄소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되는 웨브 형태의 다공 전극 기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ELECTRODE SUBSTRATE MADE OF CARBON FIBERS}
본 발명은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특히 레독스 흐름 전지(redox flow battery), 재생 연료 전지(regenerative fuel cell),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금속-공기 전지(metal-air battery), 리튬-황 전지, 또는 아연-브롬 전지용 전극 기판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흐름 전지들 및 재생(또는 가역) 연료 전지들은 전하 저장을 위한 활물질(active material)들로서 예컨대 철, 세륨, 크롬, 아연, 티타늄, 바나듐과 같은 금속 이온들 및 전이 금속 이온들 또는 각각의 해당 착물(complex)들의 수용액들 또는 유기 용액들을 포함하거나 할로겐화물(예컨대, 브롬화물 및/또는 염화물) 또는 폴리설파이드들의 용액들을 기반으로 하는 산화환원계(redox system)를 포함하기도 하는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 소자이다. 그러한 활물질들은 외부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전지의 동작 시에 이온 전도 막 또는 미세다공 분리 막에 의해 분리된 2개의 하프 셀(half-cell)들로 이루어진 전기 화학 반응기를 통해 펌핑된다.
하프 셀들에는, 활물질들의 용액들이 통과하여 흐르는 다공 관통 유동 전극(through-flow electrode)들이 각각 배치된다.
충전 또는 방전 과정 중에, 하프 셀들의 해당 산화환원 쌍들이 다공 관통 유동 전극들[탄소 펠트(carbon felt) 또는 탄소 발포체(carbon foam), 금속 발포체(metal foam)]에서 산화되거나 환원된다. 활물질들을 외부에 저장하고 반응기(셀)에서 에너지 변환을 함으로써, 전지 시스템의 에너지 및 출력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료 전지들은 레독스 흐름 전지와 유사하게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또는 저가 알코올/에테르 및 산화제, 통상적으로 산소 또는 공기 등의 연료를 전기화학 반응들에 의해 전기, 반응 생성물들 및 잉여 열로 변환한다.
연료 전지들 및 레독스 흐름 전지들에서는, 낮은 셀 전위로 인해 전압 및 출력 성능을 높이기 위해 복수의 개별 셀들을 셀 스택(cell stack)으로 합친다. 또한, 예컨대 음극이 다공 통과 유동 전극 중의 바나듐 염 용액으로 이루어지고 캐소드(cathode)가 전통적인 연료 전지 캐소드와 유사하게 기체 확산 전극(gas diffusion electrode)으로 구성되는 바나듐-공기-연료 전지와 같은 혼합 형태도 존재한다.
금속-공기 전지들은 양전기 금속(electropositive metal)(리튬, 아연)으로 이루어진 애노드(anode)를 산화환원 짝(redox partner)인 산소와 조합시킨 것으로, 산소는 탄소계 또는 금속계 기체 확산 전극의 형태의 캐소드에서 전기화학적으로 반응하여 물 또는 수산화물 이온(hydroxide ion)들을 생성한다. 기체 확산 전극들은 통상적으로 불소 폴리머(fluoropolymer)로 함침시킴으로써 소수화(hydrophobize)되고, 전기화학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3상 경계(three-phase boundary)(고체 전자 도체/액체 상/기체 상)를 제공한다.
금속-황 전지들은, 리튬 또는 나트륨을 음극으로 하고 산화환원계인 황/폴리설파이드를 양극으로 하여 조합시킨 것이다. 활물질인 황은 전기 전도성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기 때문에, 다공 분말형 탄소 매트릭스(리튬-황 전지) 또는 탄소 펠트(나트륨-황 전지)에 도입된다.
높은 생산 용량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전극 재료에 있어서, 전극 기판이 연속 롤(continuous roll) 재료로서 가공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은 경우에 따라 필요한 촉매 층들을 기판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예컨대 집전체(collector) 상에 적층하는 단계와 같은 후속 단계들에 저렴한 방법을 산업적 규모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연속 롤 전극 기판은 회분식 모드(batch mode)로 제조되는 전극 기판에 비해 제품의 높은 균일성 및 일관성을 제공한다.
이미 논의된 요건들 이외에도, 전극 재료는 전해질 재료, 연료, 산화제, 및 반응 생성물 또는 부산물에 대해 불활성 및 부식 안정성(corrosion stability)이 있어야 한다. 또한, 코일로부터 코일로 롤 재료로서 가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극 재료의 연성(flexibility)이 충분하여야 한다.
레독스 흐름 전지용의 통상의 전극 재료들의 단점은 그 두께가 2 내지 5 mm라는 것으로, 따라서 상대적으로 높은 전기 저항을 갖고, 그를 통한 유동 시에 상당한 유체 역학적 저항까지도 갖게 된다. 또한, 그러한 재료는 통상적으로 전해액에 대한 습윤성이 충분하지 않아 사용 전에 부분적으로 열처리에 의해 산화되어야 한다.
레독스 흐름 전지에 있어서의 새로운 접근은 유동 채널들을 갖는 흑연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집전체를 얇은 탄소계 전극과 조합시킨 전지를 구성하는 데 있다(D. S. Aaron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Band 206, 2012, 450-453). 그러한 개념은 옴 저항(ohmic resistance)의 감소로 인해 전통적인 구성보다 현저히 높은 전력 밀도(power density)를 가능하게 한다.
금속-공기 전지에서는, 지금까지 대부분의 기체 확산 전극들이 담지체 구조물(support structure)(예컨대, PTFE 직물 또는 금속 직물)을 탄소 입자들로 코팅함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리튬-황 축전지들의 양극들은 통상적으로 탄소와 황 입자들의 슬러리(slurry)가 금속계 도체 포일 상에 코팅된 페이스트 전극(paste electrode)들로서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구성 형태에 따라 레독스 흐름 전지들, 재생 연료 전지들, 금속-공기 전지들, 금속-황 전지들, 또는 연료 전지들에 사용될 수 있는, 얇은 섬유 기반의 연속적인 전극 구조를 위한 저렴하고 적응적인 제조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다.
그러한 방법은 제조 과정에서 촉매 활성 물질들(레독스 흐름 전지, 금속-공기 전지), 억제제들(레독스 흐름 전지), 또는 기능성 탄소계 충전제들(레독스 흐름 전지, 리튬-황 전지)을 갖게 함으로써 전극 재료를 각각의 용도에 맞추어 최적화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추가로, 재료들은 예컨대 플레이트 또는 포일 형태의 집전체와의 적층에 의해 적응적으로 후속 처리될 수 있어야 한다.
촉매 활성 물질들(예컨대, Co, Ir, Pt, Bi, Mn, Te, In, Pd)은 전극들에서의 전기화학 반응들(예컨대, 전이 금속 이온들, 금속 이온들의 산화환원 반응들 및 금속-공기 전지의 산소 환원)을 가속화하여 전지의 출력을 향상시킨다.
충전제 매트릭스에 의해 발생하는 높은 전극의 비표면적 및 탄소 구조물의 헤테로 원자 도핑(heteroatom doping)(산소, 질소)도 유사하게 전기화학 반응 속도론(electrochemical kinetics)에 유리한 영향을 미친다.
억제제들(Pb, Bi, Sn, Cd, Tl, In, Sb, Au의 입자, 염, 또는 산화물)은 레독스 흐름 전지의 충전 효율을 증진시키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전해질 중에서 수소 형성과 같은 기생 반응들을 억제하기 때문이다(유럽 공개특허공보 제0312875 A1호).
리튬-황 전지의 최적의 효율을 위해서는, 특정한 다공 구조 및 규정된 다공 공간이 필요하다(Hagen et al., Journal of Power Sources, Band 224, 2013, 260-268). 그것은 본 방법에서 충전제 매트릭스의 선택(타입, 양)을 통해 맞춰질 수 있다.
그러한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다공 전극 기판,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 및 청구항 19에 따른 용도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예컨대 웨브(web)를 바람직하게는 탄소 입자들, 접합제 물질들, 및 도핑제들(예컨대, 금속 입자 또는 금속 산화물 입자, 다공 형성제)의 수성(water-based) 분산액 또는 알코올 분산액으로 함침시키고, 이어서 경화 또는 탄화시킴으로써 생성되는,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과 탄소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웨브 형태(롤 제품)의 다공 전극 기판이다.
이때, 비표면적, 다공도, 및 다공 분포는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충전제 타입, 충전제 함량 및/또는 열처리 시의 온도를 비롯하여 탄소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된다.
탄소 입자들에 대한 접합제 물질들의 질량 비는 바람직하게는 1:10 내지 10:1이다.
다공 형성제들은 바람직하게는 탄산수소암모늄(ammonium hydrogen carbonate), 탄산암모늄, 탄산리튬, 옥살산암모늄, 아세트산암모늄, 옥살산, 아조디카르복실산 디아미드(azodicarboxylic acid diamide), 아조이소부틸 니트릴(azoisobutyl nitrile), 벤조일 퍼옥사이드, 셀룰로오스 분말, 미세결정성 셀룰로오스, 수크로스 및 전분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탄소 섬유들 또는 탄소 전구체 섬유들의 구조물과 탄소 매트릭스에서는, 개재 공간들의 적어도 일부가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 및 탄화 가능한 또는 흑연화 가능한 접합제의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BET 측정은 특히 다공 고체의 표면적의 크기를 기체 흡착에 의해 결정하는 분석 방법에 대한 용어이다. 그것은 실험 데이터로부터 질량에 대한 비표면적을 산출하는 표면 화학(surface chemistry)의 방법이다.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와 탄소 입자들 및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 사이의 질량 비는 1:10 내지 10:1이고,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는 탄소 입자들 및 높은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과 함께 전극에서 25 내지 75 %의 질량 분율(mass fraction)을 이루며, 기판의 BET는 5 내지 250 m2/g, 특히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0 m2/g이고, 다공 전극 기판의 두께는 0.1 내지 0.4 mm이며, z 방향으로의 전기 저항은 < 25 mOhm cm2, 바람직하게는 < 10 mOhm 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들로 이루어진 구조물은 집적 웹(laid web), 종이, 직물, 및 부직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직물 또는 부직포당 두께는 0.1 내지 0.6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 입자들은 아세틸렌 블랙(acetylene black), 오일 블랙(oil black), 가스 블랙(gas black), 흑연화 카본 블랙(graphitized carbon black), 분말화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CNT), 탄소 나노섬유, 탄소 에어로겔(carbon aerogel), 메조포러스 탄소(mesoporous carbon), 미립 흑연(fine-grain graphite), 유리 탄소 분말, 팽창 흑연, 분말화 팽창 흑연, 산화흑연, 편상 흑연(flake graphite), 활성탄, 그래핀(graphene), 그래핀 옥사이드, N 도핑된 CNT(N-doped CNT), 붕소 도핑된 CNT(boron-doped CNT), 풀러렌(fullerene), 석유 코크스(petroleum cokes), 아세틸렌 코크스, 무연탄 코크스(anthracite cokes), 탄화된 메조페이스 피치(carbonized mesophase pitch) 및/또는 도핑된 다이아몬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탄화 가능한 또는 흑연화 가능한 접합제는 석탄 타르 피치(coal tar pitch), 페놀 수지, 벤즈옥사진(benzoxazine) 수지, 에폭시 수지, 푸란 수지, 푸르푸릴 알코올, 비닐 에스테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 네트워크(carbon network) 중에 헤테로 원자들을 포함하고 탄화 과정 중에 헤테로 원자 도핑된 탄소를 생성할 수 있는, 멜라닌-포름알데히드(MF)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UF) 수지,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RF) 수지,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시아네이트 에스테르(cyanate ester)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또는 폴리아크릴니트릴과 같은 재료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탄소 섬유들,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 및 탄소 입자들과 활성탄의 형태의 탄소 분율은 적어도 95 중량%이고, 헤테로 원자 분율은 적어도 1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도(porosity)는 개방 체적, 탄소 섬유들의 체적, 및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 및 탄소 입자들과 활성탄을 비롯한 모든 고체들에 의해 형성되는 체적의 합에 대한 개방 체적의 비로 표현하여 15 내지 97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탄소는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다공 전극 기판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함침제(impregnating agent)로 함침되고 그리고/또는 하나 이상의 도핑제로 도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극 기판은 추가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플루오르화된(fluorinated) 폴리머와 전도성 입자들로 이루어진 층으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제는 웨브 형태(롤 제품)의 다공 전극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전구체 구조물을 탄화시키고, 그에 의해 생성된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을 탄소 입자들을 포함하는 분산액, 탄화된 접합제 및 활성탄으로 함침하여 건조 및/또는 경화하며,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질소 또는 아르곤과 같은 불활성 기체를 포함하는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연속 로(continuous furnace)에서 800 내지 3000 °C, 바람직하게는 900 내지 2000 °C로 탄화시키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이다.
전구체 구조물은 탄소 섬유들, 폴리아크릴니트릴, 산화 폴리아크릴니트릴(PANOX), 노볼로이드(novoloid)(페놀 수지 섬유),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리그닌, 폴리아라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옥사디아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군의 섬유들, 또는 피치 섬유(pitch fiber)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되는 탄소 섬유들은 숏컷 섬유(short-cut fiber)들, 스테이플 섬유(staple fiber)들, 또는 연속 필라멘트(continuous filament)들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조물 중의 탄소 섬유 분율은 10 내지 9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내지 80 %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수성 분산액 또는 알코올 분산액으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침제는 소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전극 기판에서의 분율이 2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탄화된 기판을 불소 폴리머 분산액들(예컨대, PTFE, PVDF, ETFE 및/또는 PFA) 또는 폴리실록산 분산액으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Au, Bi, Pb, Sn, Sb, In(III) 산화물, In(III) 염, Bi(III) 산화물, Bi(III) 염, Bi(OH)3, In(OH)3, 안티몬(III) 산화물, 안티몬(III) 염, 납과 납의 염, 아세트산 납, 황산 납, 아연(II) 산화물, 및 Mo(II) 염의 나노입자를 비롯한 H2 억제제들로 함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Au, Sn, Pb, Bi 및/또는 Sb의 증착이나 플라즈마 증착(PVD)에 의해 또는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함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망간(III) 염, 망가노센(manganocene), 코발토센(cobaltocene), 망간(III, IV) 산화물, 나노스케일 산화비스무스(Bi2O3), 루테늄 염/루테늄(II) 산화물, RuO2, 인듐(III) 염, 산화이리듐, 특히 바람직하게는 Au, Sn, Pb, Bi, Ru, Ag, Rh, In, Sb, Ir 및/또는 Pd의 금속 입자 및 금속 나노입자, 폴리옥소메탈레이트(polyoxometalate; POM), Co-포르피린 (Co-porphyrin), 산화인듐, 라니 니켈, 삼산화붕소, 붕산, 붕사(borax), 붕산 에스테르, 이붕화티탄(titanium diboride), Mn, Bi, Co, Ti, 및 B로 구성된 군의 알콕사이드 기반의 졸-겔 분산액들, 이황화몰리브덴, 및 Mo(II) 염을 비롯한 금속들 및/또는 금속 산화물들로 도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Co, Ir, 산화망간 및/또는 Au, Bi, Sn, Pb, In, Sb와 같은 금속들 및/또는 금속 산화물의 증착이나 플라즈마 증착(PVD)에 의해 또는 전해 또는 무전해 도금에 의해 도핑을 수행할 수 있다.
함침 분산액은 바람직하게는 리그닌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 폴리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산제를 포함하고,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미노벤젠술폰산, 폴리벤질 비올로겐(polybenzyl viologen), 또는 폴리디알릴디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특히 바람직한 N 함유 분산제를 포함한다.
헥사메틸렌테트라아민, 에틸렌디아민, 글루타르디알데히드, 파라포름알데히드 또는 테레프탈알데히드를 경화제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 기판의 복수의 함침된 층들을 서로 상하로 적치하여 > 120 °C의 온도에서 경화한다. 이어서, 900 내지 1800 °C로 탄화를 수행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선택적으로, 공기 분위기 중에서 및/또는 공기를 공급하면서 예컨대 450 °C로 최대 15분 동안 표면 산화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는, 예컨대 질산, 과염소산, 과요오드산염(periodate), 과망간산염(permanganate), 황산세륨(IV), 또는 과산화수소에 의해 화학적으로 표면 산화를 수행한다.
탄화 단계 후에, 예컨대 공기 및/또는 산소에 의해 예컨대 > 250 °C의 온도로 기판을 열적으로 산화시키거나 기판을 습식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공 전극 기판은 레독스 흐름 전지들 및/또는 리튬-황 전지들 및/또는 나트륨-황 전지들 및/또는 아연-브롬 전지들 및/또는 아연-공기 전지들 및/또는 바나듐-공기 전지들 및/또는 바나듐-공기 연료 전지들 및/또는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들 및/또는 미생물 연료 전지(microbial fuel cell)들 및/또는 H2/Cl2 연료 전지들 및/또는 H2/Br2 연료 전지들 및/또는 PEM 전해조(electrolyzer)들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독스 흐름 전지들에서는, 집전체[예컨대, 흑연 판 또는 흑연 복합 소재 분리판(graphite compound bipolar plate)] 또는 도체 포일(예컨대, Ti, Ni, 또는 흑연 포일)과의 적층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다층 구성을 위해 탄화 전에 1겹 내지 여러 겹의 재료 층들 또는 압력 하의 그라우팅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튬-황 전지들 및 나트륨-황 전지들에서는, 황, 티오설페이트, 크산토게네이트(xanthogenate) 및/또는 폴리설파이드로 침윤(infiltration)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연-공기 전지들, 바나듐-공기 전지들, 및 연료 전지들에서는, 불소 폴리머들 또는 실록산 폴리머들로 소수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표면적, 다공도, 및 다공 분포가 탄소 매트릭스(충전 매트릭스) 또는 열처리 시의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놀랍게도 다양한 적용 분야들에 맞추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레독스 흐름 전지들에서는 C 격자 중의 헤테로 원자들에 의한 그리고 무기 산화물들 및/또는 금속 입자들로 도핑하는 것에 의한 높은 BET, 높은 촉매 활성이 요구되고, 리튬-황 전지들에서는 중간 정도의 BET가 요구된다.
다음의 실시예들로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숏컷 탄소 섬유들(3 mm 내지 12 mm)에 의한 습식 부직포 기법을 사용하여 제조된 탄소 섬유 미가공 종이 웨브(raw paper web)(단위 면적당 중량 20 g/m2)를 풀라드(foulard)를 사용하여 50 kg의 물, 0.75 kg의 폴리비닐 피롤리돈, 6.75 kg의 아세틸렌 블랙, 0.75 kg의 활성탄(BET > 1000 m2/g), 0.75 kg의 2-아미노프로판올, 0.1 kg의 탄산수소암모늄 및 18.75 kg의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 수지 분산물로 이루어진 수성 분산액으로 함침시키고, 연속 로에서 건조하거나 경화한다. 이어서, 연속 로에서 1400 °C로 불활성 기체 분위기 중에서 탄화를 수행한다.
실시예 2
폴리아크릴니트릴 스테이플 섬유들 또는 산화된 폴리아크릴니트릴 스테이플 섬유들(20 내지 80 mm)을 기반으로 하는 스펀레이싱된(spunlaced) 부직포의 탄화에 의해 제조된 탄소 섬유 부직포 롤(40 g/m2)을 풀라드 상에서 56 kg의 물, 0.95 kg의 폴리비닐 알코올, 7.5 kg의 아세틸렌 블랙(BET 표면적 60 m2/g) 및 20.65 kg의 멜라닌 포름알데히드 수지(40%)로 이루어진 수성 분산액으로 함침시키고, 연속 로에서 건조하거나 경화한다. 이어서, 연속 로에서 1400 °C로 불활성 기체 분위기 중에서 탄화를 수행한다.
다음의 표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대한 재료 특성치들을 비교용 참조 샘플과 함께 나타내고 있다. 저항의 측정을 위해, 100 N/cm2의 하중에서 2점 측정(2-point measurement)을 수행하였다.
두께(μm) 다공도(%) 저항
(mOhm cm2)
원소 분석
C N O
BET
(m2/g)
참조
GDL 10AA
370 87.8 4.2 98.5 0.3 0.1 0.8
실시예 1 210 91.2 6.2 97.8 0.9 0.6 70
실시예 2 380 88.7 9.8 97.5 1.4 0.1 34
전기화학적 활성의 평가를 위해, 0.1 M 염화칼륨 용액 중의 1 mM Fe(CN)6 3 -/4-에서 미처리 전극 재료들의 순환 전압전류법(cyclic voltammetry) 측정들을 수행하였다.
이상적인 가역 산화환원 짝은 산화 피크(Ep ox)와 환원 피크(Ep red) 간의 60 mV의 분리를 보인다(A. J. Bard, L. M. Faulkner, Hrsg. Electrochemical Method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Wiley, 2001). 참조 샘플에 비해 상당히 더 작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재료들에서의 피크 분리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재료들의 전기화학 반응 속도론이 현저히 개선된 것을 입증하고 있다.
Ep ox - Ep red
참조 GDL 10AA 322 mV
실시예 1 70 mV
실시예 2 100 mV

Claims (20)

  1.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과 탄소 매트릭스를 포함하는 웨브(web) 형태의 다공 전극 기판에 있어서,
    상기 탄소 매트릭스는 1000 m2/g 초과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을 포함한 탄소 입자들과, 탄화 가능한 또는 흑연화 가능한 접합제의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를 갖고, 상기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과 상기 탄소 매트릭스에서는 개재 공간들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활성탄 및 탄화 가능한 또는 흑연화 가능한 접합제의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로 충전되고,
    비표면적, 다공도, 및 다공 분포가 상기 탄소 매트릭스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000 m2/g 초과의 비표면적을 갖는 활성탄을 포함한 탄소 입자들과 상기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 사이의 질량 비는 1:10 내지 10:1이고, 상기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는 상기 탄소 입자들과 함께 전극에서 25 내지 75 %의 질량 분율을 이루며, 상기 기판의 BET는 5 내지 250 m2/g이고, 상기 다공 전극 기판의 두께는 0.1 내지 0.4 mm이며, z 방향으로의 전기 저항은 25 mOhm cm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은 집적 웹, 종이, 직물 및 부직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입자들은 아세틸렌 블랙, 오일 블랙, 가스 블랙, 흑연화 카본 블랙, 분말화 탄소 섬유, 탄소 나노튜브(CNT), 탄소 나노섬유, 탄소 에어로겔, 메조포러스 탄소, 미립 흑연, 유리 탄소 분말, 팽창 흑연, 분말화 팽창 흑연, 산화흑연, 편상 흑연, 활성탄, 그래핀, 그래핀 옥사이드, N 도핑된 CNT, 붕소 도핑된 CNT, 풀러렌, 석유 코크스, 아세틸렌 코크스, 무연탄 코크스, 탄화된 메조페이스 피치 및 도핑된 다이아몬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 가능한 또는 흑연화 가능한 접합제는 석탄 타르 피치, 페놀 수지, 벤즈옥사진 수지, 에폭시 수지, 푸란 수지, 푸르푸릴 알코올, 비닐 에스테르 수지, 멜라닌-포름알데히드(MF)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히드(UF) 수지, 레조르시놀-포름알데히드(RF) 수지, 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시아네이트 에스테르 수지, 비스말레이미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및 폴리아크릴니트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들, 상기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 및 활성탄을 포함한 상기 탄소 입자들의 형태의 탄소 분율은 적어도 95 중량%이고, 헤테로 원자 분율은 적어도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도는 개방 체적, 상기 탄소 섬유들의 체적, 및 상기 탄화된 또는 흑연화된 잔재 및 상기 활성탄을 포함한 탄소 입자들을 비롯한 모든 고체들에 의해 형성된 체적의 합에 대한 상기 개방 체적의 비로 표현하여 15 내지 97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9. 제1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함침제로 함침되어 있는 것과, 하나 이상의 도핑제로 도핑되어 있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1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웨브 형태의 다공 전극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구체 섬유 구조물을 탄화시키고, 그에 의해 생성된 탄소 섬유들의 구조물을 활성탄을 포함한 탄소 입자들과 탄화된 접합제를 갖는 분산액으로 함침하고, 건조와 경화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하고, 불활성 기체 분위기 하에 연속 로에서 800 내지 3000 °C로 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구체 섬유 구조물은 폴리아크릴니트릴, 산화된 폴리아크릴니트릴(PANOX), 노볼로이드(페놀 수지 섬유),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리그닌, 폴리아라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옥사디아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아미드로 구성된 군의 섬유들 또는 피치 섬유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 섬유들은 숏컷 섬유들, 스테이플 섬유들, 또는 연속 필라멘트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중의 상기 탄소 섬유 분율은 10 내지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함침 분산액은 리그닌 술포네이트, 나프탈렌 술포네이트 축합물, 폴리알킬페닐 에테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아미노벤젠술폰산, 폴리벤질 비올로겐 또는 폴리디알릴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분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탄화된 기판은 추가로 하나 이상의 함침제로 함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탄소 섬유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도핑제로 도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함침제는 소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전극 기판에서의 함침제의 분율이 2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함침 분산액은 추가로 H2 억제제, 금속, 금속 염 및 금속 산화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 도핑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 단계 후에 상기 기판을 열적으로 또는 습식 화학적으로 산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의 제조 방법.
  20.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 전극 기판은 레독스 흐름 전지들, 리튬-황 전지들, 나트륨-황 전지들, 아연-브롬 전지들, 아연-공기 전지들, 바나듐-공기 전지들, 연료 전지들, 미생물 연료 전지들, H2/Cl2 연료 전지들, H2/Br2 연료 전지들, 또는 PEM 전해조들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공 전극 기판.
KR1020167008725A 2013-09-06 2014-08-27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KR101856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7882.4 2013-09-06
DE102013217882.4A DE102013217882A1 (de) 2013-09-06 2013-09-06 Elektrodensubstrat aus Kohlenstofffasern
PCT/EP2014/068148 WO2015032667A1 (de) 2013-09-06 2014-08-27 Elektrodensubstrat aus kohlenstofffaser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072A KR20160050072A (ko) 2016-05-10
KR101856887B1 true KR101856887B1 (ko) 2018-05-10

Family

ID=51454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725A KR101856887B1 (ko) 2013-09-06 2014-08-27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38181B2 (ko)
EP (1) EP3041989B1 (ko)
JP (1) JP6266785B2 (ko)
KR (1) KR101856887B1 (ko)
DE (1) DE102013217882A1 (ko)
ES (1) ES2753410T3 (ko)
WO (1) WO20150326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12234A1 (de) * 2015-06-30 2017-01-26 Sgl Carbon S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ohlenstofffilzelektroden für Redox Flow Batterien
DE102015212417B4 (de) 2015-07-02 2020-02-20 Sgl Carbon Se Verwendung von dünnen Carbonfaservliesen hergestellt durch einen Horizontalspaltprozess
JP6786776B2 (ja) * 2015-07-28 2020-11-18 東洋紡株式会社 レドックス電池用電極材の製造方法
JP2017027920A (ja) * 2015-07-28 2017-02-02 東洋紡株式会社 レドックス電池用電極材
WO2017068944A1 (ja) * 2015-10-22 2017-04-27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電極、及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DE102015222434A1 (de) * 2015-11-13 2017-05-18 Sgl Carbon Se Neu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granularen Graphitkörpern
DE102015222439A1 (de) * 2015-11-13 2017-05-18 Sgl Carbon Se Neues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raphitkörpern
ES2817083T3 (es) 2015-11-13 2021-04-06 Invinity Energy Systems Canada Corp Electrodo mejorado para batería de flujo redox
US10381656B2 (en) * 2015-11-19 2019-08-13 University Of Tennessee Research Foundation Nanocomposite electrode material for proton conducting fuel cell
DE102016201429A1 (de) 2016-01-29 2017-08-03 Sgl Carbon Se Neuartiger Koks mit Additiven
TWI552424B (zh) * 2016-02-01 2016-10-01 台灣奈米碳素股份有限公司 含氮碳電極的製作方法及其液流電池
KR20170136971A (ko) 2016-06-02 2017-12-12 주식회사 엘지화학 탄소계 섬유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황 전지
KR101915776B1 (ko) * 2016-08-10 2018-11-06 주식회사 제이앤티지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US20190296368A1 (en) * 2016-09-30 2019-09-26 Panasonic Corporation Carbon-based material, electrode provided with same, and microbial fuel cell
JP6855843B2 (ja) * 2017-03-01 2021-04-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電極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US11367870B2 (en) 2017-05-31 2022-06-21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Ultrastable rechargeable manganese battery with solid-liquid-gas reactions
CN107134582B (zh) * 2017-06-05 2021-04-06 上海骐杰碳素材料有限公司 一种高活性电极材料及其改性方法
FR3071361B1 (fr) * 2017-09-15 2019-09-13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Procede de fabrication d'une electrode pour accumulateur lithium-soufre utilisant du li2s comme materiau actif
KR101972952B1 (ko) * 2017-09-29 2019-04-2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나트륨 금속 전지 음극용 촉매형 탄소 나노 주형 및 그 제조 방법
KR101987211B1 (ko) * 2017-12-26 2019-06-10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3d 프린터를 이용한 스마트 복합섬유가 혼합된 복합재 직조 섬유 제조방법
CN108054473B (zh) * 2017-12-26 2024-04-09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金属空气电池及其制备方法
JP6859963B2 (ja) * 2018-01-17 2021-04-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型燃料電池
KR102082286B1 (ko) * 2018-03-20 2020-02-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금속도금된 탄소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7149106B2 (ja) * 2018-05-30 2022-10-06 旭化成株式会社 炭素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0042941A (ja) * 2018-09-07 2020-03-19 SAIKO Innovation株式会社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電池用電極
CN109659605B (zh) * 2018-12-14 2020-11-24 深圳先进技术研究院 自修复聚合物电解质基体及其制备方法、自修复聚合物电解质、锂离子电池及其应用
EP3920292A4 (en) * 2019-01-29 2022-06-08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BATTERY CELL, CELL STACK AND REDOX FLOW BATTERY
CN109921036B (zh) * 2019-02-26 2021-11-23 天津大学 一种tempo/mv液流电池用复合电极的前处理方法
JPWO2020184451A1 (ko) * 2019-03-13 2020-09-17
US11374213B2 (en) * 2019-03-22 2022-06-28 Aspen Aerogels, Inc. Carbon aerogel-based cathode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US11424435B2 (en) 2019-05-09 2022-08-23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High oxidation state periodate battery
WO2020230166A1 (en) * 2019-05-16 2020-11-19 Log 9 Materials Scientific Private Limited Carbon felt based electrodes assembly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O2020235638A1 (ja) * 2019-05-23 2020-11-26 国立研究開発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多孔炭素構造体、その製造方法、それを用いた正極材及びそれを用いた電池
CN113036128B (zh) * 2019-12-09 2022-06-1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柔性碳材料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637328B2 (en) 2019-12-18 2023-04-25 New Jersey Institute Of Technology Methods and devices for high-capacity flexible, printable, and conformal periodate and iodate batteries
IT202000005482A1 (it) * 2020-03-13 2021-09-13 Fondazione St Italiano Tecnologia Elettrodo per batteria a flusso e metodo di produzione
FR3108364B1 (fr) 2020-03-18 2022-03-11 Safran Aircraft Engines Aube de turbine comportant des nervures entre des sorties de refroidissement avec des orifices de refroidissement
KR102407319B1 (ko) * 2020-06-12 2022-06-10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미생물연료전지용 산화전극소재, 그 제조방법 및 상기 산화전극소재를 포함하는 미생물연료전지
CN112201793B (zh) * 2020-10-14 2021-09-28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系锌离子电池负极的三维集流体的制备方法
CN112552075A (zh) * 2020-12-24 2021-03-26 中节能(唐山)环保装备有限公司 一种碳基云母板电发热元件及其制备方法
WO2023080236A1 (ja) * 2021-11-08 2023-05-11 東洋紡株式会社 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用電極材及びそれを備えたレドックスフロー電池
TWI801032B (zh) * 2021-12-13 2023-05-01 國立臺灣科技大學 氧化還原液流電池的負極及其製造方法
CN114188549B (zh) * 2021-12-13 2022-10-28 山东省科学院新材料研究所 氮硫掺杂纤维素作为柔性锌空电池电极的制备及应用
CN114497575B (zh) * 2022-01-18 2023-12-22 山东仁丰特种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蜂窝状电极及其制备方法
CN116043531B (zh) * 2023-03-06 2023-07-18 杭州德海艾科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钒电池高电密用改性石墨毡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7923936B (zh) * 2024-03-22 2024-05-28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化学气相渗透工艺改性碳纤维制备碳气凝胶复合材料及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36A (ja) * 1998-12-10 2000-06-30 Kureha Elastomer Kk カーボン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JP2004031326A (ja) * 2002-04-12 2004-01-29 Sgl Carbon Ag 電気化学的電池用の炭素繊維電極基板
JP2004214072A (ja) * 2003-01-07 2004-07-29 Toho Tenax Co Ltd 炭素繊維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29707T3 (es) 1987-10-23 1992-09-01 Siemens Aktiengesellschaft Bateria redox
JP4051714B2 (ja) * 1995-12-06 2008-02-27 東レ株式会社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電極基材とその製造方法
JP2001057217A (ja) * 1999-06-07 2001-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4559767B2 (ja) * 2004-04-13 2010-10-13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炭素電極基材の製造方法
US20080038589A1 (en) 2004-06-21 2008-02-14 Mitsubishi Rayon Co., Ltd. Porous Electrode Base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US20070087120A1 (en) * 2005-10-18 2007-04-19 Connors Donald F Jr Fluid diffusion layers
WO2008015168A1 (de) 2006-08-03 2008-02-07 Basf Se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r metallschicht auf einem substrat
US20110020701A1 (en) * 2009-07-16 2011-01-27 Carbon Micro Battery Corporation Carbon electrode structures for batteries
US9640334B2 (en) * 2010-01-25 2017-05-02 Nanotek Instruments, Inc. Flexible asymmetric electrochemical cells using nano graphene platelet as an electrode material
US11283104B2 (en) * 2012-06-01 2022-03-22 Global Graphene Group, Inc. Rechargeable dual electroplating cel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2436A (ja) * 1998-12-10 2000-06-30 Kureha Elastomer Kk カーボンシートおよびその製法
JP2004031326A (ja) * 2002-04-12 2004-01-29 Sgl Carbon Ag 電気化学的電池用の炭素繊維電極基板
JP2004214072A (ja) * 2003-01-07 2004-07-29 Toho Tenax Co Ltd 炭素繊維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66785B2 (ja) 2018-01-24
US10629893B2 (en) 2020-04-21
DE102013217882A1 (de) 2015-03-12
KR20160050072A (ko) 2016-05-10
JP2016532274A (ja) 2016-10-13
US20160190547A1 (en) 2016-06-30
EP3041989A1 (de) 2016-07-13
US20180301692A1 (en) 2018-10-18
US10038181B2 (en) 2018-07-31
WO2015032667A1 (de) 2015-03-12
ES2753410T3 (es) 2020-04-08
EP3041989B1 (de)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887B1 (ko) 탄소 섬유로 제조된 전극 기판
US9755248B2 (en) Use of mesoporous graphite particles for electrochemical applications
Xu et al. Recent progress in electrocatalysts with mesoporous structures for application in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JP5557564B2 (ja) 含窒素カーボンアロイ及びそれを用いた炭素触媒
US20110143253A1 (en) Catalys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embrane electrod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uel cell mem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fuel cell, and electricity storage device
Li et al. N, F and S doped carbon nanofibers generated from electrospun polymerized ionic liquids for metal-free bifunctional oxygen electrocatalysis
KR102081006B1 (ko) 산화환원 유동 배터리용 탄소 펠트 전극의 제조 방법
Park et al. Electrospun-cellulose derived free-standing carbon nanofibers as lightweight, ultrathin, and stackable interlayers for lithium-sulfur batteries
KR20180017679A (ko)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한 바나듐 레독스 흐름전지
JPWO2006003950A1 (ja) 複合体、触媒構造体、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
Wu et al. Designing high efficiency graphite felt electrode via HNO3 vapor activation towards stable vanadium redox flow battery
KR101969140B1 (ko) 기능성이 향상된 바나듐 흐름 전지용 전극 및 이를 채용한 바나듐 흐름 전지
CN107785587B (zh) 提高功能性的钒液流电池用电极及采用它的钒液流电池
CN103999276B (zh) 气体扩散基片
Nakazato et al. SnO2-supported electrocatalysts on various conductive fillers for PEFCs
Wachtler et al. Carbon and Graphite for Electrochemical Power Sources
KR102613534B1 (ko)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얻어진 전극을포함하는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
Rajalakshmi et al. Porous Carbon Materials for Fuel Cell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