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813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813B1
KR101856813B1 KR1020140185844A KR20140185844A KR101856813B1 KR 101856813 B1 KR101856813 B1 KR 101856813B1 KR 1020140185844 A KR1020140185844 A KR 1020140185844A KR 20140185844 A KR20140185844 A KR 20140185844A KR 101856813 B1 KR101856813 B1 KR 101856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fishing rod
coating layer
fibers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7326A (ko
Inventor
다카히토 노다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7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2Connecting devices for parts of the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0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 B29L2031/7002Agricultural usage or equipment for fish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표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팁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단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굽힘 강도가 향상된 팁을 갖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는 축길이 방향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연속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중실 형상의 팁(12)을 갖고, 당해 팁(12)의 표면에 선단으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서 세경화되는 테이퍼(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팁의 표면에, 단섬유를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한 섬유 강화 수지제의 피복층(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싯대{FISHING ROD}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팁에 특징을 갖는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강화 섬유를 특정 방향으로 꼬이지 않게 정렬시키고, 이것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소위 프리프레그를 권회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낚싯대는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 관상체로서 구성되지만, 팁에 대해서는, 휘기 쉽고, 또한 물고기가 잡혔을 때에 크게 휘어도 파손되지 않도록, 중실 형상으로 구성된 것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통상, 중실 형상으로 구성되는 팁은,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단부로부터 선단까지 연속되는 강화 섬유(카본 섬유, 유리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소위 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주로, 인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팁 로드는 휨새를 내기 위해 표면을 깎고 테이퍼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4-80372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248103호
상기한 공지의 팁은 기단부로부터 선단에 이르기까지 강화 섬유가 배향된 상태(연속 섬유 솔리드체)로 되어 있고, 그 표면에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해 절삭 가공을 실시하면, 표면 영역의 강화 섬유가 절단되어, 그 섬유 단부면이 노출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강화 섬유의 절단 단부면이 노출된 상태로 되면, 그 부분으로부터 박리가 발생하여 꺾임 등의 파손의 원인이 된다. 또한, 표면이 거스러미 형상으로 되는 경우가 있고, 이 부분에 낚싯줄이 접촉하면, 낚싯줄을 손상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팁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단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굽힘 강도가 향상된 팁을 갖는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길이 방향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연속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중실 형상의 팁을 갖고, 당해 팁의 표면에 선단으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서 세경화(細徑化)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팁의 표면에, 단섬유를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한 섬유 강화 수지제의 피복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싯대는 축길이 방향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연속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중실 형상의 팁을 갖고 있고, 그 표면은 선단으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서 세경화되어 있으므로, 굽힘 강도가 높고, 또한 선단측은 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표면에, 단섬유를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한 피복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상기 테이퍼 형성 시에, 연속되어 있는 강화 섬유의 단부면이 노출되어도, 그 노출 상태가 피복되어, 박리 등에 의한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피복층은 단섬유를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한 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므로, 팁의 굽힘 강도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팁 표면의 박리를 억제하는 힘도 강해진다. 특히, 피복층을 구성하는 단섬유는 분산된 상태에 있으므로, 이방성이 있고, 굽힘 강도 외에,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선단으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서 세경화되는 테이퍼에는, 일부에 스트레이트 부분이 존재하는 것, 일부에 대경부가 존재하는 것, 테이퍼율이 다르게 세경화되는 것, 계단 형상으로 세경화되는 것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에 테이퍼가 형성된 팁에 있어서, 강화 섬유의 단부면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파손을 방지함과 함께, 굽힘 강도가 향상된 팁을 갖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싯대의 전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의 팁 로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도 2의 P의 영역(팁 로드의 선단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팁 로드의 주요부의 확대 종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팁 로드를 피복하는 피복층에 함유되는 강화 섬유(단섬유)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팁 로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금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팁 로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일례를 도시한 전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1)는 외부 가이드가 부착된 조립식 낚싯대이고, 벗(butt) 로드(10)와, 복수의 미들 로드(2개의 미들 로드)(11a, 11b)와, 팁 로드(12)가 진출식으로 결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벗 로드(10) 및 미들 로드(11a, 11b)는, 공지와 같이, 에폭시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합성 수지를, 탄소 섬유 등의 강화 섬유로 강화한 섬유 강화 수지제의 관상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하는 낚싯대(1)는 벗 로드(10)에 릴 시트(50)를 설치함과 함께, 릴 시트(50)에 장착한 릴(51)로부터 방출되는 낚시줄을 가이드하는 외부 가이드(55) 및 톱 가이드(56)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지만(가이드의 일부는 유동식이어도 됨), 낚싯대는 이와 같은 외부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진출식 낚싯대를 도시하고 있지만, 꼽기식이나 역꼽기식이어도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싯대 중, 팁 로드(12)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팁 로드(12)는 전체가 단면 원형의 중실 형상으로 구성되고, 미들 로드(11a)에 끼워 넣어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고, 팁 로드(12)가 팁을 구성하고 있다(이하, 팁 로드를 팁이라고도 칭함). 이 팁 로드(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기단부로부터 선단까지 연속되는 강화 섬유(카본 섬유, 유리 섬유 등)에 합성 수지를 함침한, 소위 섬유 강화 수지 재료로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주로, 인발 성형법에 의해 제조되어 있다(도 2에서는, 기단부로부터 선단에 이르기까지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하는 강화 섬유를 부호 13으로 나타내고 있음).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되는 팁 로드는 휨새를 내기 위해 표면에 테이퍼(12A)가 절삭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팁 로드를 구성하는 강화 섬유(13)는 기단부로부터 선단에 이르기까지 연속된 것이면 되고, 축길이 방향으로 스트레이트 형상으로 연장된 것이 다수개 묶인 것, 몇 개의 강화 섬유가 축길이 방향을 따라서 꼬아져 있고, 이것이 복수개 묶여 있는 것, 이들이 조합된 것 등, 강화 섬유의 배치 방법에 대해서는 한정되는 일은 없다. 즉, 이와 같은 축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강화 섬유는 표면에 테이퍼를 형성하기 위해 절삭 가공했을 때에 절단되어 버려, 단부면이 표면 노출된다.
상기 팁 로드(12)의 선단에는 톱 가이드(56)가 장착된다. 이 톱 가이드(56)는 원통 형상의 끼워 넣기부(56a)를 구비하고 있고, 끼워 넣기부(56a)를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팁 로드(12)의 선단에 축길이 방향을 따라서 삽입함으로써 톱 가이드(56)는 팁 로드(12)에 장착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팁 로드(12)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단면 원형이고 중실 형상(솔리드체)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낚싯대의 팁 로드로서는, 기단부측이 관상체로 되어 있고, 선단측이 중실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선단측이 중실 형상의 팁으로 되고, 기단부측이 중공 형상의 팁 연결관으로 되어 양자를 일체적으로 접속함으로써 팁 로드가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낚싯대로서, 팁 로드의 선단의 짧은 영역을 감도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팁 로드의 중실 부분에 대해서는, 일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지도록, 판 형상의 코어재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평판 형상으로 함으로써, 빙어 로드의 팁, 베이트 릴을 장착하는 낚싯대의 팁으로서 적합한 구성으로 된다. 혹은, 팁 로드는 중실체(솔리드체)가 아니라, 중공의 관상체여도 된다. 이와 같은 관상체는 테이퍼를 갖는 맨드릴에, 축길이 방향으로 강화 섬유를 꼬이지 않게 정렬시킨 프리프레그를 권회함으로써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와 같은 관상체의 표면에 피복층을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팁 로드를 경량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팁 로드(12)의 표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복층(20)이 형성된다. 이 피복층(20)은 표면에 테이퍼(12A)가 형성된 후,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법예에 의해 피착되는 것이고, 전체면에 걸쳐서 대략 균일하게 피착된다.
피복층(20)은, 도 4 및 도 5에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 수지(21)에 강화재가 되는 단섬유(22)를 다수 분산시킨 섬유 강화 수지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매트릭스 수지(21)는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에테르이미드)나, 열경화성 수지(예를 들어, 에폭시, 페놀)로 구성된다. 혹은,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여, 그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등)를 함유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매트릭스 수지(21)에는 그 이외의 보강재(강화재 이외의 재료)를 함유시켜도 된다. 예를 들어, 색을 나타내는 안료 등의 착색제를 혼입함으로써, 팁 로드에 색채를 발현시키거나, 매트릭스 수지를 발포시켜 마이크로 버블을 혼재시킴으로써 경량화를 도모하도록 해도 된다. 혹은, 유동 개질제, 대전 방지제, 이형제, 산화 방지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사출 성형 시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매트릭스 수지(21)에 다수, 분산되는 강화 섬유[단섬유(22)]는, 예를 들어 PAN계 또는 피치계의 탄소 섬유나 유리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단섬유의 크기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평균 섬유 직경이 3㎛ 내지 15㎛, 평균 섬유 길이가 0.5㎜ 내지 1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혼입되는 단섬유의 크기의 섬유 직경이 3㎛보다 작고, 길이가 0.5㎜보다 짧아지면, 원하는 강도를 얻기 위해서는, 다량의 섬유를 혼입해 둘 필요가 있고, 이에 의해 성형 시의 유동성이 나빠져, 축길이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단섬유를 분산할 수 없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섬유 직경이 15㎛보다 크고, 길이가 10㎜보다 길어지면, 가령 원하는 탄성이 얻어지는 섬유 비율로 해도 성형 시의 유동성이 나빠져, 축길이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단섬유를 분산할 수 없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매트릭스 수지 내에 분산되는 단섬유에 대해서는, 모든 단섬유가 상기한 범위 내에 있을 필요는 없고, 일부, 이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크기의 것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즉, 다수 존재하는 단섬유의 평균값이 상기한 범위 내에 있으면 되고, 일부에 상기한 범위보다도 큰 단섬유나 작은 단섬유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한 크기의 단섬유 매트릭스 수지에 대한 함유량은 3wt% 내지 50wt%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한 크기의 단섬유이면, 3wt% 미만으로 하면,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지 않기 때문이고, 반대로 50wt%보다 많이 함유시키면, 상기한 크기의 단섬유라도, 성형 시의 유동성이 나빠져, 축길이 방향으로 구석구석까지 단섬유를 분산할 수 없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팁으로서 요구되는 사항(유연하게 휨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강도가 유지됨)을 고려해도, 단섬유의 함유량이 50wt% 이하이면, 그와 같은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20)의 두께 T에 대해서는, 지나치게 두껍게 하면, 중량이 증가 해 버림과 함께, 팁 로드로서 감도 및 휨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지나치게 얇게 하면, 충분한 보강 효과를 얻지 못함과 함께, 상기의 절단된 강화 섬유의 단부면이 노출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0.1㎜ 내지 2㎜의 범위 내에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복층(20)의 단섬유의 함유량에 대해서는, 축길이 방향에 걸쳐서 균일하게 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축길이 방향의 기단부측으로 이행함에 따라서, 연속적 혹은 단계적으로 단섬유의 함유량이 많아지도록 구성하면, 굽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선단측이 휘기 쉬운 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피복층(20)에 분산되는 단섬유(22)는, 직경 방향 내주측에서는 이방 상태가 많고, 직경 방향 외주측에서는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한 상태가 많아지도록 상기 매트릭스 수지재(21)에 분산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도 5의 단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섬유가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하면, 그 단면은 대략 원 형상으로 되지만[직경 방향 외측의 단섬유(22) 참조], 단섬유가 이방 상태로 되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 단섬유가 비스듬히 커트되므로, 타원 형상 혹은 장타원 형상으로 되는 경향이 강해진다[직경 방향의 중심 영역에 존재하는 단섬유(22') 참조]. 즉, 피복층(20)은 외주 영역의 단섬유가 축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상태로 되어 있으면, 효율적으로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소정의 탄성력으로 휘기 쉬운 구성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내측 영역에 존재하는 단섬유가 이방성을 가짐으로써, 팁의 비틀림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비틀림 응력이 작용했을 때의 파손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직경 방향 외주측에서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한 상태가 많아진다」라는 것은, 단섬유의 단면이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비율을 대비함으로써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팁(12)이 있는 위치에 있어서의 피복층(20)의 두께를 T로 한 경우, 표면으로부터 (1/2)T보다도 외주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단섬유의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비율이, 그것보다도 내측 영역에 포함되어 있는 단섬유의 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비율보다도 많게 되어 있으면, 피복층(20)으로서, 표면측에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한 단섬유가 다수 배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고 평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원하는 굽힘 강성이 얻어짐과 함께, 비틀림에 대한 강도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섬유의 배향 상태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은 팁의 표면에 피복층(20)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팁(12)은, 통상법에 따라서 제조되고, 표면에 절삭 가공 등을 실시하여 테이퍼(12A)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12A)의 표면 전체를 덮는 피복층(20)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가로로 개방되는 형틀(31, 32)을 갖는 금형(30)에 의해 피복층(20)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각 형틀(31, 32)의 접합면(31a, 32a)에는 팁(12)의 외형보다도 약간 큰 공동부(35)가 형성됨과 함께, 각 형틀(31, 32)에는 소정의 위치에 섬유 강화 수지를 주입하기 위한 게이트(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게이트(36)는 상기 공동부(35)에 연통됨과 함께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고, 그 개구(36a)에 성형기 노즐(40)이 삽입되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섬유 강화 수지재가 주입된다.
또한, 금형(30)은 테이퍼 형상으로 차례로 직경 축소화되는 팁(12)의 로드 끝측을 아래로 향하게 한 수직 상태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형틀(31, 32) 중 어느 하나, 혹은 양쪽에는 팁(12)을 공동부(35) 내에서 선단을 하향을 향하게 하여 유지하는 유지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유지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또 다른 분할 금형으로 유지해 두고, 공동부 내에 위치 부여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그리고, 팁(12)을 유지부로 유지한 상태에서 공동부(35) 내에 설치하면, 팁(12)의 주위와 공동부(35)의 내벽 사이에는 피복되는 피복층(20)의 두께에 대응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팁(12)이 공동부(35) 내에 설치되면, 개구(36a)에 노즐이 삽입되어 게이트(36)에 섬유 강화 수지재가 주입된다.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강화재로서, 평균 섬유 직경이 3㎛ 내지 15㎛, 평균 섬유 길이가 0.5㎜ 내지 10㎜인 단섬유를 3wt% 내지 50wt% 포함한 열가소성 수지이고, 소정의 온도(대략 200℃의 가소 온도)에서 주입된다. 이 경우, 금형(30)의 온도는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보다도 저온으로 설정되어 있고,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는 금형(30)의 내면과 접촉하는 표층측으로부터 냉각되어 경화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는 팁(12)의 표면을 따라서 축길이 방향으로 흐르는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함유되어 있는 단섬유는 그 흐름을 따라서 축길이 방향을 향하고 있고, 이 플로우 상태에서 표면측으로부터 경화되므로, 표면측(직경 방향 외주측)의 단섬유는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하는 경향이 된다. 그러나, 내측 영역(직경 방향 내측)에서는, 경화될 때까지 시간이 있으므로, 흐름이 정지한 상태(섬유 강화 수지재가 대략 충전된 상태)에서는, 다소, 자유롭게 변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개개의 단섬유 방향은 이방성을 발생하게 된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온도와 금형의 온도의 차 및 주입 방향(본 실시 형태와 같이 수직 방향)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표면측의 단섬유를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시키고, 또한 내측 영역의 단섬유를 이방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섬유의 배열 상태에 대해서는,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사출 압력, 금형과의 온도 차, 게이트의 위치나 게이트의 개수 등에 따라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팁(12)과 피복층(20) 사이의 계면에 대해서는, 양자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팁(12)의 매트릭스 수지와 주입되는 섬유 강화 수지재의 매트릭스 수지를 모두 열가소성 수지로 함으로써 계면 부분이 용융되고, 이에 의해 양자가 일체화되어 박리를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혹은, 양자의 계면 부분에, 유리 섬유를 포함한 직물 프리프레그(수지 함침량이 30wt% 내지 80wt%인 것이 바람직함)를 배치하여 계면 부분을 수지 리치 상태로 하여 박리하기 어렵게 해도 된다. 혹은, 계면 부분의 밀착 면적이 증가하도록, 팁(12)의 표면의 밀착 면적을 증가시키는 가공 처리를 실시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샌드블라스트 등에 의해 조면화 처리하거나, 나선 형상으로 흠집(오목부)을 부여하거나, 센터리스 가공 등으로 표면에 오목부(지석의 선택에 의해 변경이 가능)를 형성하거나, 요철 단차를 형성하거나, 선단을 향해 세경화되는 단차 형상의 테이퍼를 형성하는 것 등을 해도 된다. 혹은, 단섬유 수지에 사용되어 있는 매트릭스 수지보다, 가열 용융 시에 점도가 낮아지는 열가소성 수지층을 양자 사이에 개재함으로써 접착제로서의 효과를 발휘시켜, 양자의 밀착성을 향상시켜도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인서트 성형을 실시함으로써, 테이퍼(12A)를 갖는 팁(12)의 표면에는 균일한 피복층(20)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피복층(20)은 팁(12)의 선단면(12B)(도 2, 도 3 참조)의 표면에도 형성되게 되고, 팁(12)의 선단에는 톱 가이드(56)의 끼워 넣기부(56a)가 삽입되어 고정되므로, 피복층(20)의 부분에서는 고정 강도가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팁(12)의 표면에 균일하게 피복층(20)을 형성한 후에는, 도 3의 커트 라인 C로 나타낸 바와 같이, 피복층(20)의 선단측을 커트하여 팁(12)을 구성하는 연속된 강화 섬유(13)를 노출시키고, 이 노출 단부면에 톱 가이드(56)를 끼워 넣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단면(12B)에 강화 섬유(13)를 노출시킨 상태로 해 둠으로써, 톱 가이드(56)의 장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커트 라인 C로 커트를 하지 않은 경우, 축길이 방향 섬유를 갖는 부분과 단섬유를 포함하고 있는 부분 사이에서 이음부가 발생하고, 이 이음부에서는, 축길이 방향 섬유가 없어지므로 굽힘 강성이 변화되어 버린다. 이로 인해, 이음부의 영역에서는 큰 강성 변화가 발생하지 않도록(매끄러운 굽힘 상태가 얻어지도록), 부분적으로 태경화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면 형상으로서, 테이퍼 형상으로 세경화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중에 스트레이트 형상 부분이 발생하도록 태경화해 두어도 된다.
상기 팁(12)의 표면에 피복층(20)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는, 상기한 인서트 성형 이외에도, 예를 들어 2색 성형, 러빙 도장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의 팁(12)에 따르면, 테이퍼(12A)가 형성되어 있고, 강화 섬유가 기단부로부터 선단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휨새를 향상시켜 원하는 굽힘 강도가 얻어짐과 함께, 그 표면에, 상기한 피복층(20)을 형성하였으므로, 팁이 구부러졌을 때의 박리(꺾임의 계기가 됨)가 억제되어, 굽힘 강도(변위량)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단순한 합성 수지 단체가 아니라, 불연속의 강화 섬유(단섬유)가 분산되어 있으므로, 탄성률의 향상이 도모됨과 함께, 휨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중량을 증가시키지 않고 박리를 억제하는 힘도 강해진다. 또한, 팁 표면에 거스러미가 생기는 것 등이 발생하는 일도 없으므로, 낚싯줄을 손상시키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팁 로드의 다른 실시 형태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이 실시 형태의 로드(12)는 중간 부분의 표면에 급 테이퍼(12A2)를 형성하고, 그 선단측에 대략 스트레이트부(12A1)를, 그 기단부측에 완 테이퍼(12A3)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서는 팁(12)이 휘었을 때, 급 테이퍼(12A2)의 영역은 최대 굴곡 영역으로 된다. 즉, 테이퍼의 형성 방법에 따라서는, 팁(12)은 균등하게 휘는 경우는 없고, 어떤 특정한 영역에서 휨량이 커지는 경우가 있고, 이와 같은 영역에서는, 그 전후에서 노출되어 있는 축길이 방향의 강화 섬유가 말리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팁의 일부에 최대 굴곡부가 발생하는 구성에서는, 그 부분에만 피복층(20')을 형성해 두어도 되고, 이에 의해, 효율적으로 파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구성에서는 길이 방향 표면에 2종류 이상의 재질이 다른 부분(축길이 방향으로 강화 섬유가 지향한 부분과 단섬유가 분산되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굴곡성이 다른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표면에 도장을 실시하는 경우, 도장 사이에서 밀착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로 인해, 적어도 한쪽(바람직하게는, 만곡이 큰 쪽)에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예를 들어,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아크릴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경도가 낮은(유연한) 것이 바람직함]를 도포하여 도장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형태 이외에도, 적절히 변형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의 낚싯대는 다수개의 로드를 조립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상기한 특징의 팁을 갖는 1개의 로드로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팁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는, 단면 원형으로 하였지만, 타원 형상으로 하는 등, 단면이 비원형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피복층(20, 20')에 대해서는, 합성 수지를 함침한 시트 형상 부재에 단섬유를 분산시키고, 이 시트 형상 부재를 팁에 권회함으로써 구성해도 된다.
1 : 낚싯대
12 : 팁 로드(팁)
12A : 테이퍼
20, 20' : 피복층
21 : 매트릭스 수지
22 : 단섬유
30 : 금형

Claims (10)

  1. 축길이 방향에 걸쳐서 강화 섬유가 연속되어 있는 섬유 강화 수지제의 중실 형상의 팁을 갖고, 당해 팁의 표면에 선단으로 이행하는 것에 따라서 세경화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팁의 표면에, 단섬유를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한 섬유 강화 수지제의 피복층을 형성하고,
    상기 단섬유는, 직경 방향 내측에서는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한 상태보다 이방 상태가 많고, 직경 방향 외주측에서는 이방 상태보다 축길이 방향으로 지향한 상태가 많아지도록 상기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트릭스 수지재에 분산되는 단섬유는 평균 섬유 직경이 3㎛ 내지 15㎛, 평균 섬유 길이가 0.5㎜ 내지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두께가 0.1㎜ 내지 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팁의 최대 휨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과 피복층의 계면에, 양자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섬유는 축길이 방향 기단부측의 함유량이 선단측의 함유량보다도 많아지도록, 상기 매트릭스 수지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의 선단측을 커트하여 상기 연속된 강화 섬유를 노출시키고, 이 노출 단부면에 낚싯줄을 안내하는 톱 가이드를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실 형상의 팁은 일방향으로 구부러지기 쉬워지도록, 판 형상의 코어재로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20140185844A 2013-12-27 2014-12-22 낚싯대 KR101856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2426A JP6148172B2 (ja) 2013-12-27 2013-12-27 釣竿
JPJP-P-2013-272426 201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326A KR20150077326A (ko) 2015-07-07
KR101856813B1 true KR101856813B1 (ko) 2018-05-10

Family

ID=52282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5844A KR101856813B1 (ko) 2013-12-27 2014-12-22 낚싯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2562B2 (ko)
EP (1) EP2888936B1 (ko)
JP (1) JP6148172B2 (ko)
KR (1) KR101856813B1 (ko)
CN (1) CN10473799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9388B2 (ja) * 2013-11-29 2017-05-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148173B2 (ja) 2013-12-27 2017-06-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US10085433B2 (en) 2014-12-26 2018-10-02 Globeride, Inc.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US11497202B2 (en) * 2015-03-31 2022-11-15 Globeride, Inc. Reel leg fixing apparatus
JP6738756B2 (ja) * 2017-03-24 2020-08-12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の竿体
EP4023062A1 (en) * 2018-06-28 2022-07-06 Globeride, Inc. Fishing rod including rod body having fitting mounted there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185A (ja) * 2000-01-07 2001-07-17 Ryobi Ltd 釣竿の穂先
JP3884253B2 (ja) * 2001-10-01 2007-02-21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Family Cites Families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49643A (en) 1952-12-31 1956-06-12 Columbia Products Co Hollow shaft for fishing rods
US3461593A (en) * 1967-09-22 1969-08-19 Leon P Martuch Fishing rod
GB1393102A (en) 1972-01-25 1975-05-07 Bruce Walker Ltd Bruce J Fishing rods and their manufacture
US3953637A (en) 1974-10-31 1976-04-2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lender rod for fishing rod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070127A (en) * 1975-08-11 1978-01-24 Lamiglas Corporation Ferrule joint for sectional fishing rod
US4083140A (en) * 1975-08-13 1978-04-11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Fishing rod ferrule
US4015360A (en) * 1975-09-11 1977-04-05 Herter's, Inc. Fiberglass fishing rod with carbon filament insert
US4157181A (en) 1976-05-07 1979-06-05 Fansteel Inc. Graphite fiber tapered shafts
US4178713A (en) * 1977-10-17 1979-12-18 Kenichi Higuchi Fishing rod made of fiber reinforced synthetic resin
JPS5480372A (en) 1977-12-12 1979-06-27 Toray Ind Inc Production of fishing rod made of carbon fiber-reinforced resin
GB2064420B (en) 1979-12-04 1983-05-11 Bruce & Walker Ltd Fibre reinforced tubes for fishing rods and their manufacture
US4468270A (en) * 1981-07-24 1984-08-28 Woodstream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abricating fishing rods
JPS58211442A (ja) * 1982-06-04 1983-12-08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等の管状体
JPS60212335A (ja) 1984-04-09 1985-10-24 Daiwa Seiko Inc 釣竿等の管状体
JPS60212334A (ja) 1984-04-09 1985-10-24 Daiwa Seiko Inc 釣竿等の管状体の製造法
US4653216A (en) 1984-04-13 1987-03-31 Daiwa Seiko Inc. Tube for fishing rod
US4685241A (en) * 1985-01-07 1987-08-11 Berkley And Company, Inc. Graphite fiber fishing rod
JPS629940A (ja) 1985-07-05 1987-01-17 Shimizu Constr Co Ltd 繊維強化樹脂製棒状体
IT1187392B (it) * 1985-12-03 1987-12-23 Reglass Spa Struttura mulistrato per la realizzazione di elementi tubolari estremamente leggeri e resistenti,in particolare per la costruzione di canne da pesca
US4885865A (en) 1986-07-31 1989-12-12 Berkley, Inc. Graphite fiber reinforced rod construction
US4860481A (en) * 1988-04-15 1989-08-29 Berkley, Inc. Solid graphite rod tip
JPH02124049A (ja) 1988-11-02 1990-05-11 Daiwa Seiko Inc 釣竿及びその製造方法
JP2529959Y2 (ja) 1990-10-09 1997-03-26 株式会社シマノ 並継竿
JPH04234929A (ja) 1991-01-09 1992-08-24 Daiwa Seiko Inc 釣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054623B2 (ja) 1991-06-05 2000-06-19 株式会社シマノ 竿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19769U (zh) * 1991-08-31 1992-10-28 初培振 自动钓鱼竿
US5665441A (en) 1991-10-29 1997-09-09 Daiwa Seiko, Inc. Hollow cylindricall member
JPH05168375A (ja) 1991-12-18 1993-07-02 Shimano Inc 釣り竿用素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2128036Y (zh) * 1992-06-30 1993-03-17 黄宝维 自锁式自动海竿
JPH06197669A (ja) 1992-12-28 1994-07-19 Nippon Petrochem Co Ltd 釣竿用ソリッド穂先
DE4430980B4 (de) 1993-09-03 2007-04-12 Shimano Inc., Sakai Rohrförmiges Teil
US5529839A (en) * 1994-07-13 1996-06-25 Caine Corporation Elongate composite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making
EP0943237B1 (en) 1994-12-06 2003-11-12 Daiwa Seiko Inc. Tubular sub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H0956301A (ja) * 1995-08-25 1997-03-04 Gamakatsu Co Ltd 釣 竿
JPH09248103A (ja) 1996-03-15 1997-09-22 Mamiya Op Co Ltd 釣り竿の穂先
JP3235964B2 (ja) 1996-06-14 2001-12-04 ダイワ精工株式会社 管状体
EP0816123B1 (en) 1996-06-27 2009-02-18 Daiwa Seiko Inc. Member for fishing or sport tool
JP3511559B2 (ja) 1997-01-17 2004-03-29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通し釣竿
EP0826481A3 (en) 1996-08-27 1999-06-02 Daiwa Seiko Inc. Pipe-shaped body
US6148558A (en) * 1996-11-30 2000-11-21 Daiwa Seiko, Inc. Fishing rod
KR100359183B1 (ko) 1996-12-10 2003-01-29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US5964056A (en) * 1997-04-24 1999-10-12 Berkley Inc. Graphite fiber fishing rod blank incorporating a non-woven non-unidirectional material
EP1011321A4 (en) 1997-04-25 2000-06-28 Berkley Inc MOLDED FISHING ROD
DE69931851D1 (de) * 1998-07-24 2006-07-27 Daiwa Seiko Inc Festkörpersportstäbe
JP3582778B2 (ja) 1998-07-24 2004-10-27 ダイワ精工株式会社 中実杆を使用した竿杆
JP3716136B2 (ja) * 1999-07-28 2005-11-16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釣竿
JP2001190186A (ja) * 2000-01-07 2001-07-17 Ryobi Ltd 釣竿の穂先
JP2001275520A (ja) 2000-03-31 2001-10-09 Daiwa Seiko Inc 穂先竿の構造とそれを有する釣竿
US7888275B2 (en) 2005-01-21 2011-02-15 Filtrona Porous Technologies Corp. Porous composite materials comprising a plurality of bonded fiber component structures
JP2002233274A (ja) * 2001-02-08 2002-08-20 Shimano Inc 釣 竿
JP4730802B2 (ja) * 2001-09-13 2011-07-20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TWI266607B (en) * 2002-05-01 2006-11-21 Shimano Kk Fishing rod
US20040200123A1 (en) * 2003-02-27 2004-10-14 Kenneth Whiting Two piece bonded fishing rod blank and fishing rod
US7305792B2 (en) 2004-01-30 2007-12-11 Daiwa Seiko, Inc. Tip rod
US7584571B2 (en) 2004-03-05 2009-09-08 Eric Thomas Ryan One piece polygonal carbon fiber rod with integral spine
ITBO20040474A1 (it) 2004-07-27 2004-10-27 Luca Pirazzini Elemento tubolare in materiale composito a base di fibra di carbonio
JP4900638B2 (ja) 2004-10-06 2012-03-21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用竿体
JP2007020406A (ja) * 2005-07-12 2007-02-01 Shimano Inc 穂先竿
US20070039229A1 (en) * 2005-08-19 2007-02-22 Hudson Wang Fishing rod
FR2892892B1 (fr) 2005-11-10 2008-02-08 Promiles Sa Canne a peche a visibilite nocturne.
JP4836182B2 (ja) 2006-02-13 2011-12-14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CN201064142Y (zh) * 2007-02-15 2008-05-28 西安赛特金属材料开发有限公司 钛质钓鱼竿
JP2009207357A (ja) * 2008-02-29 2009-09-17 Daiwa Seiko Inc 釣竿
US8001716B1 (en) * 2008-08-12 2011-08-23 The Orvis Company, Inc. Lightweight fishing rod and a method for making a lightweight fishing rod
JP5155083B2 (ja) * 2008-09-30 2013-02-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4959666B2 (ja) 2008-10-31 2012-06-27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用穂先の製造方法
US8114507B2 (en) 2009-01-27 2012-02-14 Milliken & Company Multi-layered fiber
KR20100126611A (ko) * 2009-05-23 2010-12-02 전성환 낚시대용 초릿대
JP5300699B2 (ja) * 2009-11-27 2013-09-2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5887250B2 (ja) * 2012-10-30 2016-03-1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211765B2 (ja) 2012-12-27 2017-10-1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管状体
CN203167852U (zh) * 2013-05-03 2013-09-04 王可慧 钓线连接器
JP6139388B2 (ja) * 2013-11-29 2017-05-3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JP6148173B2 (ja) * 2013-12-27 2017-06-14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竿
US10085433B2 (en) * 2014-12-26 2018-10-02 Globeride, Inc.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0185A (ja) * 2000-01-07 2001-07-17 Ryobi Ltd 釣竿の穂先
JP3884253B2 (ja) * 2001-10-01 2007-02-21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37993B (zh) 2018-01-26
JP2015123073A (ja) 2015-07-06
EP2888936A1 (en) 2015-07-01
US10182562B2 (en) 2019-01-22
US20150181849A1 (en) 2015-07-02
CN104737993A (zh) 2015-07-01
JP6148172B2 (ja) 2017-06-14
KR20150077326A (ko) 2015-07-07
EP2888936B1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813B1 (ko) 낚싯대
KR101856814B1 (ko) 낚싯대
JP5300699B2 (ja)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10085433B2 (en)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KR101857321B1 (ko) 낚싯대
JP6422106B2 (ja) 釣竿及び当該釣竿を穂先竿として先端に使用した継竿
JP6030048B2 (ja) 釣竿
JP6212022B2 (ja) 釣竿
JP6030049B2 (ja) 釣竿
JP2013176993A (ja) 魚釣用リールの構成部材
JP3801555B2 (ja) 中通し釣竿
JPH05276855A (ja) 穂先竿
JP2017079662A (ja) 遊動式の釣糸ガイド及び釣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