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59183B1 -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 Google Patents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9183B1
KR100359183B1 KR1019960063761A KR19960063761A KR100359183B1 KR 100359183 B1 KR100359183 B1 KR 100359183B1 KR 1019960063761 A KR1019960063761 A KR 1019960063761A KR 19960063761 A KR19960063761 A KR 19960063761A KR 100359183 B1 KR100359183 B1 KR 100359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ishing rod
prepreg
woven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569A (ko
Inventor
임승규
정훈희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37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91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45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1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32B1/08Tubula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수지를 부여한 부직포 프리프레그가 적층,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적층시킨 낚싯대는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본 발명은 제작이 용이하고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성이 우수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는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 등의 원단을 테이퍼가 형성된 심봉에 소정의 두께로 감아 적층시키고 열수축 필름을 감아 열경화 처리를 하여 심봉으로부터 분리시켜 도장작업을 위한 연마공정과 낚싯대 외관의 장식을 위한 도장공정을 통하여 만들어진다.
종래에는 이러한 낚싯대의 제조를 위한 프리프레그로서 수지가 함침된 유리섬유 또는 카본섬유 등의 원단을 직접 사용하여 낚싯대 길이방향 또는 역방향목으로 자르거나, 이러한 원단상에 유리섬유로 직조된 스크림(scrim) 또는 탄소섬유 배열이 수직으로 된 역목층이 함께 부착되어 2층으로 구성된 프리프레그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프리프레그는 길이방향 또는 역목방향으로 자르는 번거로움이 있고 취급중에 역목층이 기본원단과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롤링 공정에서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역목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탄소섬유방향으로의 강성이 강해 롤링작업애 어려움이 있으며, 롤링후에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선행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취급중에 기본원단과 분리되는 단점이 없고 쉽게 롤링이 되며 프리프레그간 접착성이 우수하고, 경량이면서도 탄성 및 강성이 우수한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실리콘카바이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및 보론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수지를 5∼95%의 함량으로 적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으로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는 본 발명에 따라 낚싯대에 적용되는 부직포 프리프레그의 제조공정의 일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되는 예에서, 부직포 프리프레그(10)는 이형지(11a) 위에 수지층(11b)이 코팅된 수지필름(11)의 수지층면에 이에 대응하는 크기의 부직포(12)를 접합하고, 가열, 가압하여 수지(11b)를 부직포(12)에 전이, 함침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조된다.
부직포(12)는 탄소 섬유, 유리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실리콘카바이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및 보론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는 부직포에 5∼95%의 함량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함량이 5% 미만인 경우에는 프리프레그 간에 접착력 부족으로 작업공정이 불편하며, 부직포 프리프레그의 수지가 충분치 않아 경화후에 기포가 잔류하므로 물성저하의 원인이 된다. 수지함량이 9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화공정에서 수지의 과도한 흐름이 발생하여 일방향 프리프레그의 보강섬유배열이 흐트러짐으로 물성저하의 원인이 된다. 프리프레그의 제조에 사용되는 수지는 당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그 대폭적인 예로는 에폭시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페놀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부직포 프리프레그(10)를 이용한 낚싯대의 제조예가 제 2 도에 도시된다. 제 2 도에 의하면 심봉(S) 둘레로부터 일방향 프리프레그(20), 부직포 프리프레그(10), 일방향 프리프레그(20) 및 부직포 프리프레그(10)가 순차적으로 롤링 적층되며, 낚싯대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적층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층시킨 다음에는 열수축 필름(도시 생략)을 감고 대략 100∼170℃의 온도범위에서 열경화 처리한 후, 심봉(S)을 분리제거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다양한 직경의 낚싯대용 관 부재를 제조하고, 이들을 계획된 순서로 조립하여 낚싯대를 제조한다.
부직포 프리프레그(10)는 일방향 프리프레그(20)에 비해 섬유방향으로의 강성은 떨어지나, 섬유에 수직한 방향으로는 강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부직포 프리프레그(10)가 낚싯대의 스크림층으로 적용될 경우에는 낚싯대의 길이방향으로 그 강성이 증가하므로 낚싯대의 물성이 향상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특징은 하기 표 1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표 1은 기본원단에 탄소섬유 역목층(90°층)을 스크림으로 사용한 경우(A와 B)와, 이에 대응하여 탄소섬유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스크림으로 사용한 경우(AW와 BW)에 대해서, 무게, 두께, 등가탄성률(Modulus), 굽힘쳐짐(단순 외팔보)을 상대평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위의 결과에서 A와 AW를 비교하면,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적용하였을 때, 무게는 가벼워지고 등가탄성률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낚싯대는 보다 가벼워지고 강성이 증가하여 손맛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B와 BW의 비교에서도 BW가 무게는 가벼워지고 강성이 증가하므로 낚싯대의 물성이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한편, 작업공정에 있어서도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독립적으로 사용하여도 관계없으며, 유리섬유 스크림에서와 동일하게 기본 원단에 접착하여 사용하면 기본원단과의 접착성이 뛰어나서 취급중에 기본원단과 분리되는 문제점이 없게 된다. 그리고 롤링공정에서도 탄소섬유 프리프레그를 역목으로 사용하였을 때에는 탄소섬유 방향으로의 강성이 강해 롤링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롤링후에도 일정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풀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부직포 프리프레그는 강성이 일방향 프리프레그 보다 낮으므로 쉽게 롤링이 되고 프리프레그간 접착성이 뛰어나서 일정 시간이 지나도 풀리지 않는 우수한 작업성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적용한 낚싯대는 같은 섬유를 사용한 역목층을 적용한 낚싯대의 물성보다 우수하며, 낚싯대 제작시 롤링공정이 용이하여 우수한 작업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 1 도는 본 발명 낚싯대에 적용되는 부직포 프리프레그의 제작공정을 예시한 도면
제 2 도는 본 발명 낚싯대 적층 구조의 일예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결 사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S : 심봉
10 : 부직포 프리프레그
20 : 일방향 프리프레그

Claims (2)

  1. 탄소 섬유, 유리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실리콘카바이드 섬유, 알루미나 섬유 및 보론 섬유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보강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에 수지를 5∼95%의 함량으로 적용하여 제조된 부직포 프리프레그가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프리프레그가 스크림층으로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19960063761A 1996-12-10 1996-12-10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KR100359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761A KR100359183B1 (ko) 1996-12-10 1996-12-10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761A KR100359183B1 (ko) 1996-12-10 1996-12-10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69A KR19980045569A (ko) 1998-09-15
KR100359183B1 true KR100359183B1 (ko) 2003-01-29

Family

ID=3749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761A KR100359183B1 (ko) 1996-12-10 1996-12-10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918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88936A1 (en) * 2013-12-27 2015-07-01 Globeride, Inc. Fishing rod
US9949466B2 (en) 2013-12-27 2018-04-24 Globeride, Inc. Fishing rod
US10034465B2 (en) 2013-11-29 2018-07-31 Globeride, Inc. Fishing rod
US10085433B2 (en) 2014-12-26 2018-10-02 Globeride, Inc.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714A (ko) * 1999-11-23 2001-06-15 조민호 직물 프리프레그를 이용한 봉상 구조물의 제조방법
JP4730802B2 (ja) * 2001-09-13 2011-07-20 株式会社シマノ 穂先竿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34465B2 (en) 2013-11-29 2018-07-31 Globeride, Inc. Fishing rod
EP2888936A1 (en) * 2013-12-27 2015-07-01 Globeride, Inc. Fishing rod
CN104737993A (zh) * 2013-12-27 2015-07-01 古洛布莱株式会社 钓竿用竿梢和具有该竿梢的钓竿
CN104737993B (zh) * 2013-12-27 2018-01-26 古洛布莱株式会社 钓竿用竿梢和具有该竿梢的钓竿
US9949466B2 (en) 2013-12-27 2018-04-24 Globeride, Inc. Fishing rod
US10182562B2 (en) 2013-12-27 2019-01-22 Globeride, Inc. Fishing rod
US11252947B2 (en) 2013-12-27 2022-02-22 Globeride, Inc. Fishing rod
US10085433B2 (en) 2014-12-26 2018-10-02 Globeride, Inc. Tip rod and fishing rod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569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0575B1 (ko) 경량복합재료
US4043074A (en) Graphite fiber fishing rod
KR100359183B1 (ko) 부직포 프리프레그를 사용한 낚싯대
EP0535214A4 (en) Unidirectional carbon/phenolic prepreg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JP2010233529A (ja) 釣り糸ガイド及び釣り竿
JPH0757490B2 (ja) 単繊維強化一方向引揃えプリプレグ
JPH0575575B2 (ko)
JPS6143579B2 (ko)
US4685241A (en) Graphite fiber fishing rod
JPS6384932A (ja) 積層パネル
EP1048446A2 (en) Thermoformable honeycomb structures and dip resins
JP4402477B2 (ja) 不織布を備える管状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623967B2 (ja) 管楽器用木質材料及び管楽器
US20120121848A1 (en) Composite materials for sports 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composite materials
KR100402973B1 (ko) 섬유강화 복합재료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JP3154805B2 (ja) 管状体
EP0598591A2 (en) Fibre-reinforced sheet for reinforcement
JP2568265B2 (ja) 釣竿の成形方法
JPS6234540B2 (ko)
EP1765066A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ishing reels
JPH04276435A (ja) サンドイッチパネル
JP6735319B2 (ja) シャフト
JP2617210B2 (ja) 釣竿の成形方法
WO2021215200A1 (ja) 繊維強化部材及び接合構造体
JP6719510B2 (ja) シャフ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