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4671B1 - 산업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4671B1
KR101834671B1 KR1020160177646A KR20160177646A KR101834671B1 KR 101834671 B1 KR101834671 B1 KR 101834671B1 KR 1020160177646 A KR1020160177646 A KR 1020160177646A KR 20160177646 A KR20160177646 A KR 20160177646A KR 101834671 B1 KR101834671 B1 KR 101834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hydraulic
accumulator
flow path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3620A (ko
Inventor
준이치 모리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170103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3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09Bra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00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Supply reservoir or sump assemblies
    • F15B1/02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 F15B1/024Installations or systems with accumulators used as a supplementary power source, e.g. to store energy in idle periods to balance pump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26Pressure compensat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Abstract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
하역계 회로(41)에는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구비한다. 압력 보상 회로(43)는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를 연결하는 유로(65)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 밸브(66)를 갖는다. 하역 장치의 비작동 시에 있어서, 브레이크계 회로(42)가 구비하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의 유압원으로 되는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압력 보상 밸브(66)에 대하여 유로(65)를 폐쇄시키는 힘을 부여함과 함께, 하역용 모터(30)를 제어하여 유압 펌프(31)를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펌프(31)에서 발생한 유압은 유로(65)를 통하여 오일 탱크(33)에 해방되지 않으며,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키기 위한 유압이 유로(53)에 발생한다.

Description

산업 차량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은 유압식의 제동 장치와 유압식의 하역 장치를 갖는 산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유압식의 작동 장치를 구비한 산업 차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포크리프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의 포크리프트에서는, 유압식의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는 압력을 어큐뮬레이터에 축압하고, 그 압력을 해방시킴으로써 작동 장치를 작동시키고 있다. 그리고 특허문헌 1의 포크리프트 유압 기구에서는, 하역 장치의 작동이 지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유압 펌프와 오일 탱크를 연통시키는 오픈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채용하고 있음으로써, 하역 장치의 작동이 지시되어 있지 않은 때이더라도 유압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어큐뮬레이터에 축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14499호
그런데 최근에 있어서는, 하역 장치를 작동시킬 때 적하가 없는 상태와 최대 적재 하중의 적하가 있는 경우에 속도의 변화량을 작게 하기 위하여, 유압 기구를,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채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생각되고 있다.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는 하역 장치의 작동이 지시되어 있지 않을 때 유압 펌프와 하역 장치를 비연통으로 하는 구성이다. 또한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채용한 유압 기구는 압력 보상 밸브를 갖는다. 압력 보상 밸브는 하역 장치를 작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의 작동압을 보상하고 있음과 함께, 회로 내의 압력이 릴리프압을 초과하면 그 압력을 오일 탱크에 해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채용한 유압 기구에서는, 하역 장치의 작동이 지시되어 있지 않을 때 유압 펌프를 구동시키더라도 압력 보상 밸브를 통하여 회로 내의 압력이 오일 탱크에 해방되는 점에서, 어큐뮬레이터에 축압할 수 없다. 따라서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를 채용한 유압 기구에 있어서는,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키는 구성에 대하여 검토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산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산업 차량은, 유압식의 제동 장치와 유압식의 하역 장치를 구비한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의 유압원으로 되는 어큐뮬레이터와, 당해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출 수단을 갖는 제1 유압 회로와, 상기 제1 유압 회로와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제1 유로와, 하역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하역 장치를 비연통으로 하는 클로즈드 센터식의 컨트롤 밸브를 갖고, 당해 컨트롤 밸브에 의하여 압유의 급배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하역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 유압 회로와, 상기 제2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압 회로를 통하지 않고 상기 유압 펌프와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제3 유로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 밸브와,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을 상기 압력 보상 밸브에 부여하는 부여 기구를 갖는 압력 보상 회로와,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부여 기구를 작동시킴과 함께 전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부여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이 상기 압력 보상 밸브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키기 위한 유압이 상기 제1 유로에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여 기구를 작동시켜,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을 압력 보상 밸브에 부여한다. 이 때문에, 유압 펌프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은 압력 보상 밸브를 통하여 오일 탱크에 해방되지 않는다. 그 결과, 유압 펌프와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는 제1 유압 회로를 연결하는 제1 유로에 유압이 발생하고, 그 유압을 이용하여 어큐뮬레이터를 축압할 수 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보상 밸브는 상기 제3 유로의 유압을 받는 수압부를 갖고, 상기 부여 기구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하여 가동하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압력 보상 밸브의 상기 수압부는,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상기 제3 유로를 개방시키는 동작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부여 기구를 소형화할 수 있다.
상기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회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축압된 압력을 유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가지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소정 압력이 축압된 경우, 상기 부여 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전동기를 정지시키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에 소정 압력이 축압된 경우에 전동기를 정지시킴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전력을 소비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하역 장치는 복수의 유압 작동 장치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하역 장치의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동 장치의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부여 기구에 의하여 부여되는,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유압 작동 장치에 따른 상기 압력 보상 밸브의 릴리프압을 설정하면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압 작동 장치에 따른 릴리프압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리치형 포크리프트의 전륜 브레이크 장치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포크리프트의 개략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유압 기구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3은 압력 보상 회로 및 브레이크계 회로를 설명하는 유압 회로도.
도 4의 (a), (b)는 압력 보상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 5는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의 변천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하, 산업 차량을 구체화한 일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산업 차량으로서의 포크리프트(10)는 전 2륜 종동·후 1륜 구동의 3륜차 타입이며, 차체(11)의 전방부에 수용된 배터리(12)를 구동원(전원)으로 하여 주행하는 리치형 포크리프트이다. 차체(11)로부터는 좌우 1쌍의 리치 레그(13)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좌우의 전륜(14)은 좌우의 리치 레그(13)를 구성하는 각 리치 레일의 선단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후 1륜인 후륜(15)은 조타륜을 겸한 구동륜이며, 차폭 방향 좌측에 오프셋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우측 옆에는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보조륜(캐스터)이 설치되어 있다.
차체(11)의 후방부는 입석 타입의 운전실(16)로 되어 있으며, 운전실(16)의 전방측에 있는 인스트루먼트 패널(17)에는, 하역 조작을 위한 하역 조작 수단으로서의 하역 조작 레버(18)나, 전후진 조작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조작 레버(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운전실(16)에는 스티어링 휠(20)이 설치되어 있다.
차체(11)의 전방측에는 유압식의 하역 장치(마스트 장치)(21)가 장비되어 있다. 하역 장치(21)는 2단식의 마스트(22) 및 포크(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차체(11)에는, 하역 장치(21)에 소정의 동작을 행하게 하는 복수의 유압 실린더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실린더는, 마스트(22)를 상하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리프트 실린더(24)와, 마스트(22)를 소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전후 방향으로 동작시키는 리치 실린더(25)와, 마스트(22)를 전후 방향으로 틸팅시키는 틸트 실린더(26)(도 2에 도시함)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11)에는, 하역 동작의 구동원으로 되는 전동기로서의 하역용 모터(30)와, 하역용 모터(30)에 의하여 구동되는 유압 펌프(31)와, 유압 펌프(31)로부터 토출된 작동유가 공급되는 유압 기구(32)가 설치되어 있다. 유압 기구(32)는 각 실린더(24, 25, 26)에의 작동유의 급배를 제어한다. 또한 유압 펌프(31)에는, 오일 탱크(33)로부터 퍼 올린 작동유를 유압 기구(32)에 공급하는 유로(34)가 접속되어 있다. 유로(34)는 유압 펌프(31)의 토출구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압 기구(32)에는, 오일 탱크(33)에 배출되는 작동유가 통하는 유로(3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차체(11)에는 제어 장치로서의 컨트롤러(36)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36)는 하역용 모터(30)를 시동 및 정지시키는 제어에 의하여 유압 펌프(31)의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36)에는, 하역 조작 레버(18)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당해 센서는, 리프트 조작 레버(18a)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리프트 센서(37)와, 리치 조작 레버(18b)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리치 센서(38)와, 틸트 조작 레버(18c)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틸트 센서(39)를 포함한다. 리프트 조작 레버(18a)는 리프트 동작{마스트(22)의 상하 동작}을 지시한다. 또한 리치 조작 레버(18b)는 리치 동작{마스트(22)의 전후 동작}을 지시한다. 틸트 조작 레버(18c)는 틸트 동작{마스트(22)의 틸팅 동작}을 지시한다. 또한 컨트롤러(36)에는, 액셀러레이터 조작 레버(19)의 조작량(액셀러레이터 개방도)을 검출하는 액셀러레이터 센서(4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하, 유압 기구(32)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유압 기구(32)는, 제2 유압 회로로서의 하역계 회로(41)와, 제1 유압 회로로서의 브레이크계 회로(42)와, 압력 보상 회로(43)를 갖는다.
하역계 회로(41)는 하역 장치(21)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 회로이다. 하역계 회로(41)는, 리프트 실린더(24)의 유실에 유로(4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리프트 동작용의 컨트롤 밸브(45)와, 리치 실린더(25)의 유실에 유로(46)를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리치 동작용의 컨트롤 밸브(47)와, 틸트 실린더(26)의 유실에 유로(48)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는 틸트 동작용의 컨트롤 밸브(49)를 갖는다. 각 컨트롤 밸브(45, 47, 49)는, 유압 펌프(31)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34)와, 오일 탱크(33)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35)의 각각에 접속되어 있다. 유로(34)는 유압 펌프(31)와 하역계 회로(41)를 연결하는 제2 유로로서 기능한다.
컨트롤 밸브(45)에는 리프트 조작 레버(18a)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프트 조작 레버(18a)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밸브(45)의 개폐 상태가 전환된다. 컨트롤 밸브(47)에는 리치 조작 레버(18b)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치 조작 레버(18b)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밸브(47)의 개폐 상태가 전환된다. 컨트롤 밸브(49)에는 틸트 조작 레버(18c)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틸트 조작 레버(18c)의 조작에 의하여 컨트롤 밸브(49)의 개폐 상태가 전환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 컨트롤 밸브(45, 47, 49)는, 모든 하역 조작 레버(18)가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는 유압 펌프(31)와 하역 장치(21)를 비연통으로 하는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전환 밸브이다. 그리고 하역계 회로(41)에서는, 하역 조작 레버(18)가 조작된 때는, 각 컨트롤 밸브(45, 47, 49)에 의하여 유압 펌프(31)로부터의 압유의 급배가 전환됨으로써 하역 장치(21)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리치 조작 레버(18b)가 조작된 때는, 유압 펌프(31)로부터의 압유가 컨트롤 밸브(47)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46)를 통하여 리치 실린더(25)의 유실에 공급된다.
브레이크계 회로(42)는, 좌우의 전륜(14)에 설치되어 있는 유압식의 제동 장치로서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도 3에 도시함)를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을 제어하는 유압 회로이다. 또한 포크리프트(10)에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와는 별도로, 도시되지 않은 주 브레이크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주 브레이크 장치는 후륜(15)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후륜 브레이크 장치이고,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는 전륜(14)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전륜 브레이크 장치이다. 포크리프트(10)에서는, 후륜(15)에 대하여 주 브레이크 장치에 의한 제동력이 걸린 때,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에 의한 제동력이 필요한지를 판단하여, 필요할 때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가 작동한다. 또한 압력 보상 회로(43)는 유압 기구(32) 내의 유압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이하, 도 3에 따라 브레이크계 회로(42)와 압력 보상 회로(43)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브레이크계 회로(42)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레이크계 회로(42)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53)를 갖는다. 유로(53)는 유압 펌프(31)에 접속되어 있으며, 유압 펌프(31)와 브레이크계 회로(42)를 연결하는 제1 유로로서 기능한다. 유로(53)에는, 유압 펌프(31)에 가까운 측부터 순서대로 감압 밸브(54)와, 필터(55)와, 체크 밸브(56)와, 필터(57)와, 전환 밸브(58)와, 감압 밸브(59)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체크 밸브(56)의 하류측의 유로(53)에는 어큐뮬레이터(60)가 접속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60)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의 유압원이며,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작동시키는 유압을 축적한다. 또한 유로(53)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60)의 접속 부분보다도 하류측의 위치에는 릴리프 밸브(61)가 접속되어 있다. 감압 밸브(54, 59)와 릴리프 밸브(61)는, 각각 오일 탱크(33)에 연결되는 유로(62)에 접속되어 있으며, 감압 밸브(54, 59) 및 릴리프 밸브(61)를 통한 압력은 오일 탱크(33)에 해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계 회로(42)는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출 수단으로서의 스위치(63)를 갖는다. 스위치(63)는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에 따라 제1 상태와 제2 상태를 취할 수 있는 압력 검출용의 스위치이며, 스위치(63)의 상태는 컨트롤러(36)에 입력되어 있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스위치(63)는, 어큐뮬레이터(60)에 소정 압력이 축압되어 있는 경우에 제1 상태(예를 들어 OFF 상태)로 되고, 어큐뮬레이터(60)에 소정 압력이 축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2 상태(예를 들어 ON 상태)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소정 압력은 유압식의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이다.
압력 보상 회로(43)에 대하여 설명한다.
압력 보상 회로(43)는 오일 탱크(33)에 접속되어 있는 유로(65)를 갖는다. 유로(65)는 유압 펌프(31)에 접속되어 있으며, 하역계 회로(41)를 통하지 않고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를 연결하는 제3 유로로서 기능한다. 유로(65)에는 압력 보상 밸브(66)가 위치하고 있다. 압력 보상 밸브(66)는 유압 펌프(31)로부터 하역계 회로(41)에 입력되는 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하역계 회로(41) 내의 압력이 하역 장치(21)의 작동에 필요한 작동압으로 되도록 보상하는 밸브이다. 또한 압력 보상 밸브(66)는 회로 내의 압력이 미리 정한 릴리프압을 초과한 경우,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를 연통시키고 압력을 오일 탱크(33)에 해방시킨다.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는 압력 보상 밸브(66)가 유로(65)를 개방시키도록 동작함으로써 연통한다.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 보상 밸브(66)는 유로(65)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밸브체(66a)를 갖고 있다. 압력 보상 밸브(66)는 밸브체(66a)를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으로 보유 지지하고 있으며, 릴리프압을 초과하고 있지 않은 경우, 스프링력과, 유로(67)를 통하여 입력되는 유압 실린더로부터의 압력에 의하여, 하역계 회로(41)에 입력되는 압력보다도 높은 압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밸브체(66a)는, 도면 중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를 비연통으로 하는 위치, 즉, 유로(65)를 폐쇄하는 위치에 있다. 한편, 압력 보상 밸브(66)는, 릴리프압을 초과하는 압력이 유로(65)를 통하여 가해지면, 릴리프 밸브(74)가 개방되어 유로(67)의 릴리프 밸브(74)로부터 오리피스(75)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유로(65)의 압력이 스프링력을 뛰어넘어, 밸브체(66a)가, 도면 중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유압 펌프(31)와 오일 탱크(33)를 연통시키는 위치, 즉, 유로(65)를 개방시키는 위치로 움직인다(도면에 있어서 상방으로 움직임). 이것에 의하여, 유로(65)를 통하여 압력 보상 밸브(66)에 가해진 압력은, 실선 화살표 Y와 같이 오일 탱크(33)에 오일이 흐름으로써 해방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밸브체(66a)는 유로(65)의 유압을 받는 수압부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이 실시 형태의 압력 보상 회로(43)는, 도 4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65)를 폐쇄시키는 힘을 압력 보상 밸브(66)에 부여하는 부여 기구(68)를 갖는다. 부여 기구(68)는, 솔레노이드(68a)와, 솔레노이드(68a)의 자력에 의하여 가동하는 가동부(68b)를 갖는다. 가동부(68b)는, 압력 보상 밸브(66)의 밸브체(66a)에 대하여 접촉 분리 이동 가능하게 직선 운동을 행하는 플런저이다. 압력 보상 밸브(66)의 밸브체(66a)는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동부(68b)와 접촉함으로써, 유로(65)를 개방시키는 동작이 규제된다. 즉, 밸브체(66a)는 가동부(68b)로부터의 힘을 받아 동작이 규제된다. 또한 부여 기구(68)의 솔레노이드(68a)는 컨트롤러(36)에 의하여 여자 및 소자가 제어된다.
도 3의 설명으로 되돌아가, 유압 실린더에 연결되는 유로(67)에는, 필터(72)와, 오리피스(73)와, 릴리프 밸브(74)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유로(67)에 있어서, 압력 보상 밸브(66)의 접속 부분보다도 하역계 회로(41) 근방에는 오리피스(75)가 위치하고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에 따라, 이 실시 형태의 포크리프트(10)에 탑재된 유압 기구(32)의 작용, 특히 브레이크계 회로(42)와 압력 보상 회로(43)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역 장치(21)를 작동시키는 경우, 컨트롤러(36)는 하역 조작 레버(18)의 조작량에 따른 속도로 하역 장치(21)를 작동시키도록 하역용 모터(30)를 제어하여 유압 펌프(31)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펌프(31)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이 하역계 회로(41)에 가해져, 각 컨트롤 밸브(45, 47, 49)에 의하여 압유의 급배가 전환됨으로써, 하역 장치(21)가 원하는 하역 동작을 행한다. 또한 유압 펌프(31)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은 유로(53)를 통하여 브레이크계 회로(42)에도 가해져,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된다. 어큐뮬레이터(60)에 축적된 압력은 체크 밸브(56)의 작용에 의하여, 유로(53)를 통하여 유압 펌프(31)에 역류하지 않도록 유지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압력 보상 회로(43)의 부여 기구(68)는 작동하고 있지 않아 압력 보상 밸브(66)의 밸브체(66a)의 동작을 규제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포크리프트(10)에 제동력을 부가하는 경우, 주로 후륜 브레이크 장치에 의하여 제동력을 부여하지만, 후륜(15)의 슬립 등이 검출된 때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도 작동하여 제동력이 부여된다. 이때, 컨트롤러(36)는 전환 밸브(58)를 제어하여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되어 있는 압력을 해방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어큐뮬레이터(60)로부터의 압력이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에 가해져,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에 의한 제동력이 발생한다.
그런데, 예를 들어 하역 장치(21)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연속 작동시키면,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량이 부족하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36)는, 다음에 설명하는 제어를 행하여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킨다.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량이 소정 압력으로 저하되면, 스위치(63)가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천이함으로써 신호가 컨트롤러(36)에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컨트롤러(36)는, 스위치(63)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는 것을 판정한다. 이 판정에 의하여 컨트롤러(36)는 유로(65)를 폐쇄시키는 힘을 압력 보상 밸브(66)에 가하기 때문에,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여 기구(68)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컨트롤러(36)는 하역 조작 레버(18)가 조작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하역용 모터(30)를 제어하여 유압 펌프(31)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펌프(31)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은 유로(65)를 통하여 압력 보상 밸브(66)의 밸브체(66a)에 가해진다.
도 4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여 기구(68)가 작동한 경우, 가동부(68b)를 통하여 압력 보상 밸브(66)의 밸브체(66a)에는 유로(65)를 폐쇄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이 때문에, 유압 펌프(31)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은, 유로(65)가 폐쇄됨으로써 오일 탱크(33)에 해방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하여 유압 기구(32)에 있어서는, 유압 펌프(31)의 구동에 의하여 발생한 유압이 오일 탱크(33)에 해방되지 않아 유로(34) 내의 유압이 높아진다. 그 결과, 유압 기구(32)에 있어서는, 압력 보상 회로(43)의 작용에 의하여, 브레이크계 회로(42)에 연결되는 유로(53)에 유압이 발생한다. 그리고 이 유압은,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키기 위한 유압으로 되며, 하역 장치(21)가 작동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된다. 즉,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이 어큐뮬레이터(60)에 축적된다.
도 5는,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의 변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압력이 축압되어 있는 상태에서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작동시키면, 어큐뮬레이터(60)의 압력은 해방된다(시간 t1). 그 결과,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되어 있는 압력이 저하된다. 그리고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되어 있는 압력이 저하되어 소정 압력(도면 중의 「X」)을 하회하면, 그 축압 상태가 스위치(63)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컨트롤러(36)는 도면 중의 시간 t2에 있어서 부여 기구(68)를 작동시키고(도면 중의 솔레노이드 ON), 그 후에 도면 중의 시간 t3에 있어서 하역용 모터(30)를 작동시킨다(도면 중의 모터 ON). 그러면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계 회로(42)에 연결되는 유로(53)에 압력이 발생하여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된다. 그 후,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되어 있는 압력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그 축압 상태가 스위치(63)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것에 의하여, 컨트롤러(36)는 하역용 모터(30)를 정지시킴과 함께(도면 중의 모터 OFF), 부여 기구(68)를 비작동으로 한다(도면 중의 솔레노이드 OFF).
따라서 이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나타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부여 기구(68)를 작동시켜 유로(65)를 폐쇄시키는 힘을 압력 보상 밸브(66)에 부여한다. 이 때문에, 유압 펌프(31)의 구동으로 발생한 유압은, 압력 보상 밸브(66)를 통하여 오일 탱크(33)에 해방되지 않는다. 그 결과, 유압 펌프(31)와 어큐뮬레이터(6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계 회로(42)를 연결하는 유로(53)에 유압이 발생하고, 그 유압을 이용하여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할 수 있다. 따라서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2) 즉, 클로즈드 센터 방식의 컨트롤 밸브(45, 47, 49)와 압력 보상 밸브(66)를 구비하는 유압 기구(32)이더라도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양호하게 작동할 수 있다.
(3) 특히, 하역 장치(21)의 비작동 시에 있어서도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를 양호하게 작동할 수 있다.
(4) 부여 기구(68)를, 솔레노이드(68a)로 가동부(68b)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부여 기구(68)를 소형화할 수 있다.
(5) 스위치(63)에 의하여 어큐뮬레이터(60)의 압력을 직접적으로 검출하므로, 적정한 타이밍에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할 수 있다.
(6) 브레이크계 회로(42)는 어큐뮬레이터(60)의 접속 부분의 상류측에 체크 밸브(56)를 가지므로,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7) 어큐뮬레이터(60)에 소정 압력이 축압된 경우에 하역용 모터(30)를 정지시킴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전력을 소비시키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에너지 절약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된다.
○ 실시 형태와 같이 복수의 유압 작동 장치{리프트 실린더(24), 리치 실린더(25), 틸트 실린더(26)}를 갖는 산업 차량에 있어서, 동작을 행하는 유압 작동 장치의 종류에 따라 압력 보상 밸브(66)의 릴리프압을 상이하게 하는 제어를 추가해도 된다. 컨트롤러(36)는, 동작을 행하는 유압 작동 장치의 종류에 따라 솔레노이드(68a)의 제어 명령값(전류 명령) 대신 발생시키는 자력을 변화시킴으로써 가동부(68b)의 동작량을 조정하여, 압력 보상 밸브(66)의 릴리프압을 상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36)는 틸트 실린더(26)가 동작을 행하는 경우, 리프트 실린더(24)가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비하여 릴리프압이 낮아지도록 조정한다. 또한 이 경우, 컨트롤러(36)는 유압 작동 장치의 동작을 지시하는 부재{실시 형태에서는 리프트 조작 레버(18a), 리치 조작 레버(18b), 틸트 조작 레버(18c)}의 조작 상태를 센서 등을 사용하여 검출함으로써, 복수의 유압 작동 장치 중 어느 유압 작동 장치가 동작하는지를 인식한다. 예를 들어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리프트 센서(37)에 의하여 리프트 조작 레버(18a)의 조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고, 리치 센서(38)에 의하여 리치 조작 레버(18b)의 조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으며, 틸트 센서(39)에 의하여 틸트 조작 레버(18c)의 조작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34)에 압력 센서(76)를 배치하여 유압 펌프(31)의 토출압을 검출함으로써, 유압 작동 장치의 동작을 검출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제어를 행하는 데 있어서 하역 조작 레버의 조작 상태를 직접 검출할 필요는 없다. 또한 복수의 유압 작동 장치가 동시에 동작을 행하는 경우, 컨트롤러(36)는, 동작하는 유압 작동 장치 중 가장 낮은 릴리프압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 유압 작동 장치에 맞춰 부여 기구(68)를 조정한다. 이 다른 예에 의하면, 유압 작동 장치에 따른 릴리프압을 설정할 수 있다.
○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출 수단은,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가 작동했는지를 검출하는 수단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가 작동했는지를 검출하면,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량이 부족한 것을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컨트롤러(36)는, 보조 브레이크 장치(50, 51)가 작동한 경우에는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행하여, 어큐뮬레이터(60)에 축압시켜도 된다.
○ 어큐뮬레이터(60)의 축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출 수단은 스위치(63) 대신 압력 센서로 해도 된다. 압력 센서의 검출 결과는 컨트롤러(36)에 입력되며, 컨트롤러(36)는 어큐뮬레이터(60)에 소정 압력이 축압되어 있는지를 검출하고, 그 결과에 기초하여 하역용 모터(30)와 부여 기구(68)를 제어한다.
○ 어큐뮬레이터(60)에 소정 압력이 축압된 경우, 부여 기구(68)를 비작동으로 하게 하지만, 하역용 모터(30)의 동작은 계속시켜도 된다. 또한 부여 기구(68)를 비작동으로 한 후에 하역용 모터(30)의 동작을 정지시켜도 된다.
○ 컨트롤러(36)의 제어로서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키는 경우에, 하역용 모터(30)를 동작시키는 것과 부여 기구(68)를 작동시키는 것을 동시, 또는 거의 동시에 행하게 해도 된다.
○ 하역 장치(21)의 작동 시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킬 필요가 발생한 경우에도, 부여 기구(68)를 작동시켜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켜도 된다.
○ 컨트롤러(36)는,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킬 필요가 발생한 때 하역 장치(21)가 비작동인 것을 조건으로 하여, 하역용 모터(30)와 부여 기구(68)를 제어하여 어큐뮬레이터(60)를 축압시켜도 된다.
○ 하역 장치에는 어태치먼트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 하역계 회로(41)에 포함되는 컨트롤 밸브(45, 47, 49)로서 전자식의 밸브를 채용해도 된다.
○ 하역 조작을 지시하는 지시 부재는 하역 조작 레버(18)와 같이 레버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구조여도 된다. 예를 들어 버튼식이어도 된다.
○ 유압식의 제동 장치를 구비하는 포크리프트이면 리치형의 포크리프트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형태의 제어를 채용해도 된다.
10: 포크리프트(산업 차량)
21: 하역 장치
30: 하역용 모터(전동기)
31: 유압 펌프
34: 유로(제2 유로)
36: 컨트롤러(제어 장치)
41: 하역계 회로(제2 유압 회로)
42: 브레이크계 회로(제1 유압 회로)
43: 압력 보상 회로
45, 47, 49: 컨트롤 밸브
50, 51: 보조 브레이크 장치(제동 장치, 전륜 브레이크 장치)
53: 유로(제1 유로)
56: 체크 밸브
60: 어큐뮬레이터
63: 스위치(검출 수단)
65: 유로(제3 유로)
66: 압력 보상 밸브
66a: 밸브체(수압부)
68: 부여 기구
68a: 솔레노이드
68b: 가동부

Claims (6)

  1. 유압식의 제동 장치와 유압식의 하역 장치를 구비한 산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의 유압원으로 되는 어큐뮬레이터와, 당해 어큐뮬레이터의 축압 상태를 검출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검출 수단을 갖는 제1 유압 회로와,
    상기 제1 유압 회로와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제1 유로와,
    하역 조작 수단이 조작되고 있지 않을 때는 상기 유압 펌프와 상기 하역 장치를 비연통으로 하는 클로즈드 센터식의 컨트롤 밸브를 갖고, 당해 컨트롤 밸브에 의하여 압유의 급배를 전환함으로써 상기 하역 장치를 구동시키는 제2 유압 회로와,
    상기 제2 유압 회로와 상기 유압 펌프를 연결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압 회로를 통하지 않고 상기 유압 펌프와 오일 탱크를 연결하는 제3 유로에 위치하는 압력 보상 밸브와,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을 상기 압력 보상 밸브에 부여하는 부여 기구를 갖는 압력 보상 회로와,
    제어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부여 기구를 작동시킴과 함께 전동기를 제어하여 상기 유압 펌프를 구동시키고,
    상기 부여 기구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이 상기 압력 보상 밸브에 가해짐으로써, 상기 어큐뮬레이터를 축압시키기 위한 유압이 상기 제1 유로에 발생하는, 산업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보상 밸브는 상기 제3 유로의 유압을 받는 수압부를 갖고,
    상기 부여 기구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자력에 의하여 가동하는 가동부를 갖고,
    상기 압력 보상 밸브의 상기 수압부는, 상기 가동부로부터의 힘을 받아 상기 제3 유로를 개방시키는 동작이 규제되는, 산업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압 회로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축압된 압력을 유지하는 체크 밸브를 더 갖는, 산업 차량.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어큐뮬레이터에 소정 압력이 축압된 경우, 상기 부여 기구의 작동을 정지시킴과 함께 상기 전동기를 정지시키는, 산업 차량.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역 장치는 복수의 유압 작동 장치를 갖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하역 장치의 작동 시에 있어서 상기 유압 작동 장치의 동작을 검출하여, 상기 부여 기구에 의하여 부여되는, 상기 제3 유로를 폐쇄시키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유압 작동 장치에 따른 상기 압력 보상 밸브의 릴리프압을 설정하는, 산업 차량.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장치는 리치형 포크리프트의 전륜 브레이크 장치인, 산업 차량.
KR1020160177646A 2016-03-04 2016-12-23 산업 차량 KR101834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42131 2016-03-04
JP2016042131A JP6536438B2 (ja) 2016-03-04 2016-03-04 産業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3620A KR20170103620A (ko) 2017-09-13
KR101834671B1 true KR101834671B1 (ko) 2018-03-05

Family

ID=59791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646A KR101834671B1 (ko) 2016-03-04 2016-12-23 산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36438B2 (ko)
KR (1) KR101834671B1 (ko)
CN (1) CN107150988B (ko)
TW (1) TWI6340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96633B2 (ja) * 2015-08-04 2019-04-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JP2022175623A (ja) * 2021-05-14 2022-11-2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リーチ型フォークリフ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99A (ja) 2000-10-04 2002-04-16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010111344A (ja) 2008-11-10 2010-05-20 Nissan Motor Co Ltd 産業車両の油圧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8600A (ja) * 1983-01-21 1984-08-0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バツテリ式フオ−クリフトの油圧回路
JPH0640238Y2 (ja) * 1989-09-06 1994-10-19 東洋運搬機株式会社 荷役車両の上昇速度制御装置
JP2519098Y2 (ja) * 1990-04-24 1996-12-04 カヤバ工業株式会社 制振装置の油圧駆動回路
TW445224B (en) * 1997-03-25 2001-07-11 Toyoda Automatic Loom Works Axle controller for industrial vehicles
DE19721739A1 (de) * 1997-05-24 1998-11-26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 Steueranordnung, insbesondere für einen Gabelstapler
JPH112212A (ja) * 1997-06-13 1999-01-06 Tokimec Inc 重量物の昇降駆動装置
KR19990056884A (ko) * 1997-12-29 1999-07-15 김형벽 건설 장비용 어큐물레이터의 축압 밸브 블럭
US7344000B2 (en) * 2004-09-23 2008-03-18 Crown Equipment Corporation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for a materials handling vehicle
JP4559824B2 (ja) * 2004-11-08 2010-10-1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油圧回路
US7484814B2 (en) * 2006-03-03 2009-02-03 Husco International, Inc. Hydraulic system with engine anti-stall control
DE102006046858A1 (de) * 2006-10-02 2008-04-03 Jungheinrich Ag Flurförderzeug mit verstellbarer Achse
CN101337650B (zh) * 2008-06-27 2010-06-30 浙江佳力科技股份有限公司 全液压电动叉车能量控制阀
JP5763317B2 (ja) * 2010-09-14 2015-08-12 ニチユ三菱フォークリフト株式会社 産業車両
JP5779110B2 (ja) * 2012-01-17 2015-09-16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車両の油圧制御装置
CN203237238U (zh) * 2012-11-08 2013-10-16 秦皇岛天业通联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矿用自卸车的制动控制系统及一种矿用自卸车
CN103803457B (zh) * 2014-03-05 2017-02-08 合肥工业大学 用于四轮平衡重式叉车平衡控制系统的电控系统
JP6496633B2 (ja) * 2015-08-04 2019-04-0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JP6458703B2 (ja) * 2015-10-13 2019-01-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産業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14499A (ja) 2000-10-04 2002-04-16 Toyota Industries Corp 産業車両の油圧制御装置
JP2010111344A (ja) 2008-11-10 2010-05-20 Nissan Motor Co Ltd 産業車両の油圧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31757A (zh) 2017-09-16
TWI634067B (zh) 2018-09-01
CN107150988A (zh) 2017-09-12
CN107150988B (zh) 2019-06-28
JP2017155906A (ja) 2017-09-07
KR20170103620A (ko) 2017-09-13
JP6536438B2 (ja) 2019-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8703B2 (ja) 産業車両
US9708167B2 (en) Industrial vehicle
US10023451B2 (en) Forklift
EP2923995B1 (en) Industrial vehicle
KR101834671B1 (ko) 산업 차량
CA2945829C (en) Industrial vehicle
CA2885811C (en) Industrial vehicle
JP7047793B2 (ja) 産業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KR20110072420A (ko)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JP6897546B2 (ja) 荷役制御装置
JP7231014B2 (ja) 電気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回路
JP2020093863A (ja) フォークリフトの油圧駆動装置
JP3945401B2 (ja) シリンダ制御装置
JP2011084368A (ja) 荷役装置
KR970006523B1 (ko) 지게차의 자동 틸팅장치
JPH07315793A (ja) 荷役車両における流体圧回路
WO2018092509A1 (ja) 荷役車両の油圧駆動装置
JP2005219911A (ja) リフトトラック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