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420A -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72420A KR20110072420A KR1020090129331A KR20090129331A KR20110072420A KR 20110072420 A KR20110072420 A KR 20110072420A KR 1020090129331 A KR1020090129331 A KR 1020090129331A KR 20090129331 A KR20090129331 A KR 20090129331A KR 20110072420 A KR20110072420 A KR 2011007242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ching
- pedal
- forklift
- proportional control
- func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3—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개시한다. 상기 인칭페달 구조는 작업기의 포크 캐지리를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인칭기능과, 차량의 제동기능과, 차량의 주행속도를 높이거나 인칭기능을 보조하는 가속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지게차의 제동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칭페달 영역부(10a)와 브레이크페달 영역부(10b)를 동일체로 포함하는 통합페달(10); 및 상기 통합페달(10)의 일부분에 상기 통합페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신호를 제어부(14)로 발생시키는 인칭스위치(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인칭페달이 인칭기능 후 제동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차량의 제동거리가 길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지게차, 인칭페달, 전자제어식, 구조
Description
본 발명은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인칭페달의 제동기능과 브레이크페달의 제동기능을 하나의 통합페달을 통해 제어하고, 상기 통합페달과 독립적으로 상기 인칭페달의 인칭기능을 전자 비례제어식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중량체의 하물을 들어올리거나 또는 내릴 수 있게 하는 산업용 차량의 일종으로서, 고중량의 하물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또는 해당 하물을 각종 운반차량에 적재 또는 그로부터 하차시키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지게차는 차량의 조향을 보조하는 조향 보조장치 및 주행을 수행하는 주행 구동장치와, 마스트조립체를 구동하는 리프트실린더 및 틸트실린더 등을 포함하는 작업기를 갖추고 있으며, 상기 조향 보조장치, 상기 주행 구동장치 및 작업기는 엔진 또는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펌프에서 발생되는 압유에 의해 작동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인칭페달, 브레이크페달 및 액셀페달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지게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으로 브레이크페달(1)과 액셀페달(2) 외에 인칭페달(3)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인칭페달(3)은 경사지 뿐만 아니라 평지에서 작업기(미도시)에 동력이 부족할 때 이를 보상하기 위해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주행 구동장치로 가는 압유의 흐름을 작업기 쪽으로 유도할 수 있게 한다.
인칭페달(3)을 밟게 되면, 상기 인칭페달과 링크들로 연결된 인칭밸브(미도시)의 인칭스풀이 작동하여, 상기 주행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압유를 차단하여 상기 작업기 쪽으로 유로를 변경시키며, 그와 동시에 차량에 대해 제동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인칭페달(3)을 밟은 상태에서 액셀페달(2)을 밟게 되면 유압펌프의 출력이 집중적으로 작업기로 공급되어 마스트조립체에 구비된 포크 캐리지를 신속히 승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인칭페달(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구간인 인칭 작동구간(θi)과 나중구간인 브레이크 작동구간(θb)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그 때문에, 상기 인칭페달(3)을 이용해 차량을 제동시킬 시 제동기능이 상기 인칭 작동구간(θi) 이후 수행되기 때문에 차량의 제동거리가 길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는 상기 인칭페달(3)이 인칭 작동구간(θi)을 넘어설 때 상기 브레이크페달(1)의 작동 시, 상기 인칭페달(3)과 상기 브레이크페 달(1)의 동시작동으로 인해 제동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페달에 가해지는 답입력이 필요이상으로 세게 가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인칭페달이 인칭기능 후 제동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차량의 제동거리가 길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의 인칭페달이 인칭 작동구간을 지나 브레이크 작동구간으로 진입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었을 때, 결과적으로 제동을 위한 페달에 가해지는 답입력이 필요이상으로 세게 가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기의 포크 캐지리를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인칭기능과, 차량의 제동기능과, 차량의 주행속도를 높이거나 인칭기능을 보조하는 가속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지게차의 제동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칭페달 영역부와 브레이크페달 영역부를 동일체로 포함하는 통합페달; 및
상기 통합페달의 일부분에 상기 통합페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신호를 제어부로 발생시키는 인칭 스위치;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다음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동부분이 비례적으로 전진되거나 복귀되는 액추에이터와,
유압펌프와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며, 인칭기능을 수행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를 비례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는 인칭스풀을 갖는 인칭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칭스위치는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추에이터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proportional control soleno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제동기능만을 수행하는 통합페달과, 상기 통합페달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비례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칭스위치 등을 제공하여, 기존의 인칭페달이 인칭기능 후 제동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차량의 제동거리가 길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동기능만을 수행하는 통합페달과, 상기 통합페달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비례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칭스위치 등을 제공하여, 기존의 인칭페달이 브레이크 작동구간으로 진입하고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페달이 작동되었을 때, 결과적으로 제동을 위한 페달에 가해지는 답입력이 필요이상으로 세게 가해지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인칭페달 구조의 실시예 및 그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이다.
하기 본 발명에 대한 설명에서 종래 기술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기의 포크 캐지리를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인칭기능과, 차량의 제동기능과, 차량의 주행속도를 높이거나 인칭기능을 보조하는 가속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 통합페달(10) 및 인칭스위치(11)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합페달(10)은 지게차의 제동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칭페달 영역부(10a)와 브레이크페달 영역부(10b)를 동일체로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칭스위치(11)는 상기 통합페달(10)의 일부분에 상기 통합페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신호를 제어부(14)로 발생시킨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는 제동기능만을 수행하는 통합페달(10)과, 상기 통합페달의 일부분에 구비되어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비례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인칭스위치(11)를 포함하여, 기존의 인칭페달이 인칭기능 후 제동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차량의 제동거리가 길어졌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12)와 인칭밸브(13)를 더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12)는 상기 제어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동부분이 비례적으로 전진되거나 복귀된다.
상기 인칭밸브(13)는 유압펌프와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된다. 상기 인칭밸브(13)는 인칭기능을 수행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1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를 비례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는 인칭스풀을 갖는다.
한편, 상기 인칭스위치(11)는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단가, 구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비례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로 이루 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추에이터(12)는 상기 인칭밸브(13)의 인칭스풀을 비례적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구성요소이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단가, 구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비례제어 솔레노이드(proportional control solenoid)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의 작동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운전자가 상기 통합페달(10) 상의 인칭스위치(11)를 밟을 시, 상기 인칭스위치로부터 상기 제어부(14)로 비례출력신호가 송출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액추에이터(12)가 인칭밸브(13)의 인칭스풀을 작동시켜 유압펌프로부터 주행 구동장치로 공급되는 압유의 흐름이 차단되어 상기 주행 구동장치로 가는 압유가 작업기 쪽으로 가는 압유와 합류되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기는 상기 인칭스위치(11)의 답입량에 비례하여 빠르게 승강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액셀페달(2)을 밟으면 작업기는 더욱 신속하게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운전자가 상기 인칭스위치(11)를 밟음과 동시에 상기 통합페달(10)을 밟거나, 상기 통합페달(10)만을 밟을 경우, 곧바로 상기 통합페달(10)이 눌려 신속하게 지게차의 제동장치에 제동력이 가해지게 되며, 따라서 차량의 제동거리가 짧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그와 동시에 상기 통합페달(10)의 인칭페달 영역부(10a) 와 브레이크페달 영역부(10b)가 상기 통합페달(10)을 통해 동시에 눌려져 지게차의 제동장치에 적절한 세기의 답입력이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인칭페달, 브레이크페달 및 액셀페달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지게차의 인칭페달의 개략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합페달 10a: 인칭페달 영역부
10b: 브레이크페달 영역부 11: 인칭스위치
12: 액추에이터 13: 인칭밸브
14: 제어부
Claims (4)
- 작업기의 포크 캐지리를 신속하게 승강시킬 수 있게 하는 인칭기능과, 차량의 제동기능과, 차량의 주행속도를 높이거나 인칭기능을 보조하는 가속기능을 갖는 지게차에 있어서,지게차의 제동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칭페달 영역부(10a)와 브레이크페달 영역부(10b)를 동일체로 포함하는 통합페달(10); 및상기 통합페달(10)의 일부분에 상기 통합페달의 상부 외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신호를 제어부(14)로 발생시키는 인칭스위치(11);를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동부분이 비례적으로 전진되거나 복귀되는 액추에이터(12)와,유압펌프와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 상에 구비되며, 인칭기능을 수행하거나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어부(14)에 의해 제어되는 액추에이터(12)의 동작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와 상기 주행 구동장치를 연결하는 유로를 비례적으로 폐쇄하거나 개방시키는 인칭스풀을 갖는 인칭밸브(13)를 더 포함하는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인칭스위치(11)는 운전자의 답입량에 따라 전기적으로 비례출력전압을 발생시키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인 것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액추에이터(12)는 비례제어 솔레노이드(proportional control solenoid)인 것인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31A KR20110072420A (ko) | 2009-12-22 | 2009-12-22 |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331A KR20110072420A (ko) | 2009-12-22 | 2009-12-22 |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420A true KR20110072420A (ko) | 2011-06-29 |
Family
ID=4440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331A KR20110072420A (ko) | 2009-12-22 | 2009-12-22 |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10072420A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6491A (ko) | 2012-11-23 | 2014-06-02 | 주식회사 두산 | 지게차의 페달장치 |
CN104495700A (zh) * | 2014-12-19 | 2015-04-08 | 苏州先锋物流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动复位功能的折叠踏板 |
KR20230140655A (ko) | 2022-03-29 | 2023-10-10 |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 지게차 |
CN117602544A (zh) * | 2024-01-22 | 2024-02-27 |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多模式叉车门架下降装置及其控制方法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331A patent/KR2011007242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40066491A (ko) | 2012-11-23 | 2014-06-02 | 주식회사 두산 | 지게차의 페달장치 |
CN104495700A (zh) * | 2014-12-19 | 2015-04-08 | 苏州先锋物流装备科技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动复位功能的折叠踏板 |
KR20230140655A (ko) | 2022-03-29 | 2023-10-10 | 두산산업차량 주식회사 | 지게차 |
CN117602544A (zh) * | 2024-01-22 | 2024-02-27 |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多模式叉车门架下降装置及其控制方法 |
CN117602544B (zh) * | 2024-01-22 | 2024-03-22 | 杭叉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多模式叉车门架下降装置及其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309546B2 (ja) | 産業車両の制御装置 | |
US8997477B2 (en) | Apparatus for controlling raise speed of working machine for heavy equipment | |
KR100655329B1 (ko) | 엔진식 지게차의 주행속도 제한장치 | |
JP6458703B2 (ja) | 産業車両 | |
WO2009116188A1 (ja) | 車両の制御装置及び該装置を搭載した車両 | |
KR102401099B1 (ko) | 지게차의 전후방충돌사고 방지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AU2016208338B2 (en) | Industrial vehicle | |
KR20110072420A (ko) | 지게차의 전자 비례제어식 인칭페달 구조 | |
US20110197699A1 (en) | Steering system for forklift | |
JP2007533927A (ja) | 自動車における圧力媒体ポンプの制御方法 | |
EP2862834B1 (en) | Industrial vehicle | |
KR101834671B1 (ko) | 산업 차량 | |
JP7231014B2 (ja) | 電気式産業車両における油圧回路 | |
JP2017159797A5 (ko) | ||
JPH0826695A (ja) | オーダーピッカーの安全装置 | |
KR20130002463A (ko) | 전동지게차의 유압펌프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 |
KR101984741B1 (ko) | 지게차의 페달장치 | |
KR101982889B1 (ko) | 기계식 엑셀 페달을 사용하는 지게차의 작동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
KR20230137055A (ko) | 통합형 브레이크-인칭 구조를 구비한 지게차 | |
KR101417046B1 (ko) | 지게차의 모노페달 시스템 | |
JPH10310395A (ja) |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装置 | |
JP2005219911A (ja) | リフトトラックの制御装置 | |
JPH03227773A (ja) | 車両用油圧回路 | |
CN107976985A (zh) | 升降车用电控系统 | |
JPH02300099A (ja) | フオークリフトの油圧制御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