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1773B1 - 탄성체 롤러 - Google Patents

탄성체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1773B1
KR101831773B1 KR1020167004670A KR20167004670A KR101831773B1 KR 101831773 B1 KR101831773 B1 KR 101831773B1 KR 1020167004670 A KR1020167004670 A KR 1020167004670A KR 20167004670 A KR20167004670 A KR 20167004670A KR 101831773 B1 KR101831773 B1 KR 101831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elastic
platen roller
label
sid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4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018A (ko
Inventor
하루히코 닛타
Original Assignee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5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1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1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04Rolle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8Label feeding
    • B65C9/18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 B65C9/1803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 B65C9/1807Label feeding from strips, e.g. from rolls the labels being cut from a strip and transferred directly from the cutting means to an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02Advancing webs by fri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1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 B65H2404/1312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tapered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 B65H2404/131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 B65H2404/1313Details of longitudinal profile shape conc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75Labelling machines

Landscapes

  • Handling Of Sheet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Rolls And Other Rotary Bodies (AREA)

Abstract

[과제] 비점착성 또는 박리성, 게다가 마찰력(그립력)이 우수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 및 일반적인 박리지가 있는 라벨 등의 밴드형 부재의 폭이 상이한 밴드형 부재라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가 있는 탄성체 롤러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C경도(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를 낮게 규정한 실리콘 수지(피복층(224))에 의해 내층 측 탄성재(223)의 외층을 피복하는 것에 착안하여, 내층 측 탄성재(223)과 내층 측 탄성재(223)의 외주에 설치하여 밴드형 부재에 접촉하는 피복층(224)를 가지고, 피복층(224)은 C경도가 20도 이하의 실리콘 수지로부터 이것을 구성하고,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서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20L)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점감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가진다.

Description

탄성체 롤러{ELASTIC ROLLER}
본 발명은 탄성체 롤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박리지가 없는 라벨 또는 박리지가 있는 일반적인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를 이송하는 플라텐(platen) 롤러나 닙(nip) 롤러, 그 외의 롤러로서, 특히 박리지가 없는 라벨 등을 이송할 때 그 점착제층 내지 점착제(粘着劑)가 붙기 어렵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 말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체 롤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라벨의 점착제층의 이면(裏面) 측에 임시로 붙이는 박리지(剝離紙)(이른바 대지(台紙))를 사용하지 않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 개발되어, 사용 후에는 파기되게 되는 박리지가 없으므로 자원 절약의 재료로서 기대되고 있다. 도 13은 종래부터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롤형으로 감은 상태의 사시도로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은 도 13에서 그 일부를 확대 단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라벨 기재(基材)(2), 이면 측의 점착제층(3), 표면 측의 감열발색제층(感熱發色劑層)(4) 및 그 상층 측의 투명한 박리제층(剝離劑層)(5)을 가진다. 그리고, 라벨 기재(2)의 이면 측에 위치 검출용 마크(6)가 미리 인쇄되어 있다. 또한, 라벨 기재(2)의 표면 측에 필요에 따라 라벨 사용자의 마크나 명칭 그 외의 디자인 등의 고정 정보(미도시)를 미리 인쇄해둘 수도 있다. 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은 절단 예정선(7)에서 소정 피치로 절단함으로써 단엽(單葉)의 라벨편(1A)으로 할 수 있다.
도 14는 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장전하고,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바코드, 그 외의 상품 정보나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관리 정보 등의 가변 정보를 필요에 따라 인자(印字)하기 위한 서멀 프린터(8)의 개략 측면도로서, 서멀 프린터(8)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공급부(9), 안내부(10), 검출부(11), 인자부(12) 및 절단부(13)를 포함한다.
공급부(9)는 롤형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가지고, 안내부(10), 검출부(11), 인자부(12) 및 절단부(13) 방향으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밴드형으로 송출 가능하게 한다.
안내부(10)는 가이드 롤러(14)를 가지고, 송출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검출부(11) 및 인자부(12) 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한다.
검출부(11)는 위치 검출 센서(15)를 가지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면 측의 위치 검출용 마크(6)를 검출하여 인자부(12)에 대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라벨편(1A))의 상대적 위치를 검출 가능하게 한다.
인자부(12)는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17)(탄성체 롤러)를 가지고, 이 사이에 소정 인자 압력으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협지하고, 일정 속도로 플라텐 롤러(17)를 회전 구동시키면서 서멀 헤드(16)에의 인자 데이터의 공급에 의해 감열 발색제층(4)을 발색시켜 박리지가 없는 라벨(1)(라벨편(1A))에 소정의 가변 정보를 인자 가능하다.
절단부(13)는 고정날(18) 및 가동날(19)을 가지고, 이 사이에 이송되어 온 인자 완료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소정 피치에 의한 절단 예정선(7)의 부분에서 절단하여 라벨편(1A)을 발행 배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서멀 프린터(8)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이송 인자 하기 위한 플라텐 롤러(17)에는 고무재 등의 탄성체에 의한 롤러가 사용되고 있지만, 점착제층(3)의 점착제가 부착되기 어렵게 하기 위해 점착제가 쉽게 부착되지 않는 실리콘 고무재에 의해 플라텐 롤러(17)를 구성하거나 또는 실리콘 오일 등을 플라텐 롤러(17)의 외주 표면에 도포하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장기간의 사용에서는 점착제의 부착을 완전히 방지하는 것이 곤란하고, 플라텐 롤러(17)를 통과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이 그대로 플라텐 롤러(17)에 붙어 말려 들어가 버리므로(도 14의 가상선 참조) 라벨 막힘을 일으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정상 이송, 인자 및 라벨편(1A)의 발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17)의 사이에 협지한 상태로 인자 발행을 정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이 플라텐 롤러(17)의 표면으로부터 벗겨지기 어려워져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말려듦이 발생하기 쉬워지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플라텐 롤러(17)의 외주 표면을 청소하는 작업 또는 플라텐 롤러(17)의 교환 작업 등의 유지보수를 반복할 필요가 생기고,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된 이송 및 인자를 가능하게 하는 플라텐 롤러(17)(탄성체 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플라텐 롤러(17) 이외에도 프린터의 구성에 따라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송용으로 회전 구동하는 한쌍의 롤러로 이루어지는 닙 롤러(미도시)나 가이드 롤러(14)와 같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단순하게 안내하기 위한 롤러로서도 비점착성 또는 박리성(剝離性)(이형성(離型性))이 우수한 라벨용 탄성체 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또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일반적인 박리지가 있는 라벨에 대하여도, 이들의 어느 것을 장전해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는 라벨용 탄성체 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점착제층(3))과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점착제층(3)에 의한 달라붙음 현상을 회피하기 위해 플라텐 롤러(17)의 외표면에 홈 등을 형성하는 것도 시도되었지만, 박리지가 있는 일반적인 라벨을 이송 인자하는 경우에는 라벨에서의 박리지의 이면과의 접촉 면적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박리지와의 사이에서 필요한 마찰력(그립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라벨 슬립이 발생하는 등 이송 기능에 지장을 초래하기 쉽고, 안정된 이송 및 인자 작용을 기대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플라텐 롤러(17)에 홈 등을 형성하면, 이것이 마모되기 쉬운 문제도 있다.
전술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과 마찬가지로, 이면 측에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가지는 종이나 필름 베이스의 밴드형 부재를 이송 또는 안내할 때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염려되어, 비점착성 또는 박리성(이형성)이 우수한 탄성체 롤러가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도를 규정한 실리콘 수지에 의해 내층 측 탄성재의 외층을 피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즉, 경도(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 이하 「C경도」)를 낮게 한 실리콘 수지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실리콘 수지가 점착제층에 대해 가지는 비점착성 내지 박리성과 낮은 경도(C경도가 20도 이하)의 겔화한 수지에 의한 밴드형 부재에 대한 필요한 마찰력(그립력) 및 내마모성을 겸비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나 박리지가 있는 일반적인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를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가 있다.
그리고, 서멀 프린터(8)는 인자 발행하는 밴드형 부재의 폭에 따라 2인치용, 4인치용 및 6인치용 등의 기종이 라인업 되어 있지만, 1대의 서멀 프린터(8)를 사용하여 폭이 상이한 복수의 밴드형 부재(예를 들면 박리지가 없는 라벨(1))를 대체하여 인자 발행하는 경우가 있다. 서멀 프린터(8)에는 설계상 가장 폭이 넓은 밴드형 부재에 맞추어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17))를 조립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폭 6인치용 서멀 프린터(8)에 폭 1인치의 협폭(狹幅)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장전하는 경우, 폭 6인치로부터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폭인 1인치를 뺀 약 5인치에서 플라텐 롤러(17)와 서멀 헤드(16)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플라텐 롤러(17)는 밴드형 부재의 이송을 목적으로 하여 충분한 그립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라텐 롤러(17)와 서멀 헤드(16)의 접촉 폭이 넓어지면 마찰에 의한 부하가 커지고, 밴드형 부재의 정확한 이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서멀 프린터(8)에서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안내 방식으로서, 서멀 프린터(8)의 플라텐 롤러(17)의 한쪽 방향에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기울게 하도록 안내하여(이른바 한쪽으로 치우친 구조로서) 이송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한쪽으로 치우친 구조의 서멀 프린터(8)에서도, 폭이 상이한 복수의 밴드형 부재(예를 들면 박리지가 없는 라벨(1))를 대체하여 인자 발행하는 경우가 있고, 전술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해서 플라텐 롤러(17)가 노출되어 있는 부분에서 플라텐 롤러(17)와 서멀 헤드(16)가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마찰에 의한 부하가 커지고 밴드형 부재의 정확한 이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선행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11-31426호 공보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한 것으로, 비점착성 또는 박리성(이형성)이 우수한 플라텐 롤러 및 그 외의 탄성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의 점착제층이 그 표면에 붙지 않게 한 탄성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 이외의 일반적인 박리지가 있는 라벨이나 밴드형 부재에 대하여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는 탄성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 및 일반적인 박리지가 있는 라벨 등의 밴드형 부재에 대하여, 박리성 및 마찰력(그립력)을 발휘하여 이들의 어느 것도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는 탄성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 및 일반적인 박리지가 있는 라벨 등의 밴드형 부재에 대하여, 그 폭이 상이한 밴드형 부재라도 특히 폭이 좁은 밴드형 부재를 한쪽으로 치우친 구조에 장전하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 있는 탄성체 롤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플라텐 롤러 등의 탄성체 롤러에 대하여 경도를 규정한 실리콘 수지에 의해 내층 측 탄성재의 외층을 피복하는 것, 즉 경도(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 이하 「C경도」)를 낮게 한 실리콘 수지에 의한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 또한 상기 탄성체 롤러에 경사 주위면(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설치하여 그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시킨 이른바 「치우침 드럼 형태」로 하는 것에 착안하는 것이며, 롤러 샤프트, 및 상기 롤러 샤프트의 주위에 장착한 탄성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재에 밴드형 부재를 접촉시켜 이송하기 위한 탄성체 롤러로서, 상기 탄성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한 내층 측 탄성재, 및 상기 내층 측 탄성재의 외주에 설치하여 상기 밴드형 부재에 접촉하는 피복층을 포함하고, 상기 피복층은, 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가 20도 이하인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漸減)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포함하는, 탄성체 롤러이다.
상기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탄성재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탄성체 롤러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은, 그 경사 주위면 개시부를 상기 탄성재의 상기 축 방향에서의 임의의 부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시키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탄성재의 중앙부, 및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에서 그 최대 직경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반대 측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에 걸쳐 상기 최대 직경과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점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반대 측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점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반대 측 단부에서 최소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은 그 두께를 10~100㎛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상기 면 내의 피복층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은, 상기 최대 직경부에서 그 최대 두께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최대 직경과 상기 반대 측 단부에서의 최소 직경과의 차를 10~180㎛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탄성재에는, 상기 최대 직경부를 명시 가능한 최대 직경 위치 마크를 설치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최대 직경부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열경화성인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열가소성 탄성 재료 또는 열경화성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JIS K6253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durometer) 타입 A에 의한 고무 경도를 30~80도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측 탄성재에는,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내층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에는,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피복층 홈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상기 내층 홈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내층 사다리(台)형 정상부(頂部)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복층은, 상기 피복층 홈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피복층 사다리(台)형 정상부(頂部)로서 형성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홈은 그 피치를 500~1500㎛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홈은 그 폭을 25~1300㎛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홈은 그 깊이를 25~500㎛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내층 홈은 단면 V자 형상으로 그 홈 각도를 50~120도로 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 롤러에서는, 탄성재로서 롤러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한 내층 측 탄성재 및 이 내층 측 탄성재의 외주에 설치하여 밴드형 부재에 접촉하는 피복층을 가지고 C경도가 20도 이하인 실리콘 수지로부터 이 피복층을 구성하였으므로, 실리콘 수지가 점착제층에 대해서 가지는 비점착성 내지 박리성과 낮은 경도(C경도가 20도 이하)의 겔화한 수지에 의한 밴드형 부재에 대한 필요한 마찰력(그립력) 및 내마모성을 겸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탄성체 롤러의 롤러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가지고 있도록 했으므로, 상기 탄성체 롤러보다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를 폭 방향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측에 한쪽으로 치우친 구조로서 장전한 경우라도,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 이외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측의 주위면의 영역에 의한 밴드형 부재의 이송을 보증하고 밴드형 부재가 존재하지 않는 축 방향에서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의 영역에서 이 탄성체 롤러가 대향하는 서멀 헤드 등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또는, 접촉하여도 그 영향을 무시 가능한 정도로 함), 폭이 상이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나 박리지가 있는 일반적인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를 장전하고라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2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플라텐 롤러(220)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서멀 프린터(8)(도 14) 등에서의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도 2)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송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0))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3))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6))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9))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42))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45))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50))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53))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60))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동 플라텐 롤러(260)의 축 방향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종래부터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롤형으로 감은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동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장전하고, 상품에 대한 가격이나 바코드, 그 외의 상품 정보나 물품 또는 서비스에 관한 관리 정보 등의 가변 정보를 필요에 따라 인자하기 위한 서멀 프린터(8)의 개략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내층 측 탄성재의 외주에 설치하여 밴드형 부재에 접촉하는 피복층을 C경도가 20도 이하의 실리콘 수지로부터 구성하고, 점착제층에 대한 비점착성 내지 박리성과 밴드형 부재에 대한 필요한 마찰력(그립력) 및 내마모성을 겸비하고, 롤러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漸減)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가지도록 구성하였으므로, 비교적 폭이 좁은 밴드형 부재 등이라도 박리지가 없는 라벨이나 박리지가 있는 일반적인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를 한쪽으로 치우치게 한 식으로 안정적으로 이송 안내할 수가 있는 탄성체 롤러를 실현하였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를, 상기 플라텐 롤러(17)(도 14)와 마찬가지로 서멀 프린터(8)에서의 플라텐 롤러(220)(라벨용 탄성체 롤러)로서 구성한 경우를 예로 들어 도 1 및 도 2에 의거해 설명한다. 단, 도 13 및 도 14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플라텐 롤러(220)의 사시도, 도 2는 플라텐 롤러(220)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서멀 프린터(8)(도 14) 등에서의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도 2)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송 방향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플라텐 롤러(220)는 롤러 샤프트(221) 및 이 롤러 샤프트(221)의 주위에 장착하고 일체로 회전 가능한 탄성재(222)를 가지고, 이 탄성재(222)에 라벨(예를 들면 전술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도 13)을 접촉시켜 이송하는 것이다.
탄성재(222)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치우침 드럼 형상」(도 2 참조)의 내층 측 탄성재(223) 및 이 내층 측 탄성재(223)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내층 측 탄성재(223)는 이것을 열가소성 탄성 재료나 열경화성 탄성 재료로부터 구성할 수 있다. 내층 측 탄성재(223)를 구성하는 합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메틸펜텐, 폴리부텐, 결정성 폴리부타디엔, 폴리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 수지, 폴리염화비닐, 폴리아세트산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에틸렌 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에틸렌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 공중합체, 폴리아세탈(폴리옥시메틸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이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페닐렌설파이드, 폴리옥시벤조일,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1,2-폴리부타디엔, 페놀 수지, 우레아 수지, 멜라민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디알릴프탈레이트 수지, 알키드 수지, 에폭시 수지, 규소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열경화성의 실리콘 고무, 일액형(一液型) RTV(Room Temperature Vulcanizing) 고무, 이액형 RTV 고무, LTV(Low Temperature Vulcanizable) 실리콘 고무, 내유성(耐油性) 열경화성 고무 등의 열경화성 탄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내층 측 탄성재(223)는 그 경도(JIS K6253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durometer-타입 A에 의한 고무 경도, 이하 「A경도」)를 30~80도로 하고 있다. A경도가 30도 미만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등의 밴드형 부재를 이송 안내하는 플라텐 롤러(220)로서는 너무 부드러워서, 즉 접촉 마찰력이 과잉이 되어 플라텐 롤러(220)로서의 이송 기능에 지장이 생긴다. 또한, 서멀 프린터(8)(도 14)에서의 인자 품질이 저하된다. A경도가 80을 넘으면, 플라텐 롤러(220)로서 너무 딱딱해 져 이송력 및 이송 정밀도가 저하된다.
피복층(224)은 C경도(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가 20도 이하의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 그 외의 실리콘 수지로부터 이것을 구성하고 있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겔이라는 실리콘 수지나, RTV(Room Temperature Vulcanizing) 액상 실리콘 고무, LTV(Low Temperature Vulcanizable) 액상 실리콘 고무, 자외선 경화형의 액상 실리콘 고무, 열경화성의 액상 실리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수지는 본래 비점착성 내지 박리성을 가지고 있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등을 압압(押壓)하여 이송하여도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서의 점착제층(3)이 붙어 버리는 것을 회피 가능하다. 열경화성의 실리콘 수지는 열경화 조건의 조정 및 가공 처리가 비교적 용이하며, C경도의 설정도 용이하다.
C경도가 20도 이하이면, 실리콘 수지는 겔 상태로 적당히 부드럽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은 물론 박리지가 있는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에 대해서 필요한 마찰력(그립력)을 가지는 동시에 내마모성도 우수하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20)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이나 박리지가 있는 라벨, 그 외의 밴드형 부재의 어디에 대해서도 필요한 박리성 및 그립력을 가지고, 안정된 이송 안내 기능을 발휘 가능하다. C경도가 20도를 넘으면, 피복층(224)의 탄성이 고무재의 그것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그 표면의 점착성이 급격하게 올라가므로 마모되기 쉬워진다.
특히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라텐 롤러(220)(탄성체 롤러)는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서 그 최대 직경부(220M)로부터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도 2의 우측)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20L)(도 2의 좌측)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점감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가지고, 그 최대 직경부(220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를 향해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점감시키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가지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플라텐 롤러(220)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22)의 중앙부(220C)와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20M)에서 그 최대 직경(DX)을 가지고 있다. 또한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반대 측 단부(220L)에서 그 최소 직경(DN)을 가지고면서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에서 최대 직경(DX)과 최소 직경(DN)의 사이의 임의의 중간 직경(DD)을 가진다.
따라서,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 및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22)의 중앙부(220C)에 대해서 플라텐 롤러(220)를 좌우 비대칭의 형상으로 하고 있다. 단,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은 그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를 탄성재의 축 방향에서의 임의의 부위로 할 수 있으며, 도시한 예에서는 최대 직경부(220M)가 경사 주위면 개시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체 롤러 직경(D1)에 대하여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최대 직경부(220M)에서의 최대 직경(DX)과 반대 측 단부(220L)에서의 최소 직경(DN)의 차 ΔD=DX-DN를 10~180㎛로 하고 있다. 차 ΔD가 10㎛ 미만이면, 플라텐 롤러(220)로서는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의 플라텐 롤러와 거의 차이가 없어져, 플라텐 롤러(220)가 대향하는 서멀 헤드(16)(도 14) 등과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는(또는 접촉하여도 그 영향을 무시 가능한 정도로 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차 ΔD가 180㎛를 넘으면, 서멀 헤드(16) 등과의 사이에 치우쳐 협지하여 이송 가능한 라벨이 폭이 좁은 것에 한정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상기 서멀 프린터(8)(도 14)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송 방향을 향해 어느 한쪽의 측 에지부(폭 방향 부분)에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한쪽으로 치우친 방향으로 규제하면서 안내하기 위한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를 설치하고 있다. 플라텐 롤러(220)의 최대 직경부(220M)에는,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에 규제되어 한쪽으로 치우친 식으로 장전 이송되는 복수 종류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 중 최소폭을 가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폭 방향 중앙이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바꾸어 말하면, 플라텐 롤러(220)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 내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와 최대 직경부(220M)의 사이 간격은 최소폭 F를 가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폭의 절반의 길이(F/2)를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텐 롤러(220)에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 및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형성하고 있어, 그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22)의 중앙부(220C)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고,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중앙부(220C)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의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20L)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20)는 이른바 「치우친 드럼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롤러 샤프트(221)는 일반적인 원기둥형 샤프트로서 그 축 방향에 따른 직경은 일정하다. 또한, 피복층(224)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라 균일한 피복층 두께 T를 가지고 있다. 즉, 플라텐 롤러(220)에서는 내층 측 탄성재(223)는 롤러 샤프트(221)의 내층 측 탄성재 직경 D2를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을 따라 플라텐 롤러(220)의 외형상과 동일하게 그 최대 직경부(223M)로부터 좌우 양 단부(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3R) 및 그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23L))를 향해 점감시키고 있다.
피복층(224)은 그 피복층 두께 T(도 2)를 10~100㎛ 로 하고 있다. 피복층 두께 T가 10㎛ 미만에서는, 피복층(224)에 두께의 불균일이 생겨 안정된 박리성 및 그립 힘을 얻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피복층 두께 T가 100㎛를 넘으면, 플라텐 롤러(220)에서의 내층 측 탄성재(223)의 피막으로서 저항력이 약해져 찢어지기 쉬워진다.
그리고, 탄성재(222) 즉 플라텐 롤러(220)의 최대 직경부(220M) 또는 내층 측 탄성재(223)의 최대 직경부(223M)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최대 직경부(223M)를 명시 가능한 최대 직경 위치 마크(228)를 미리 설치하여 둠으로써, 이 플라텐 롤러(220)를 사용하여 이송하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중 최소폭 F를 가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폭의 절반의 길이(F/2)를 표시하여 둘 수 있다. 최대 직경 위치 마크(228)로서는, 임의의 착색을 행하여 탄성재(222)의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이것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탄성체 롤러의 비점착성(박리성)을 평가하는 시험으로서, 롤링 각도 시험(롤링 각도의 측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평탄하고 수평인 베이스판 상에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그 점착제층(3)을 위쪽을 향해 고정시킨다. 점착제층(3)에 시험체로서 플라텐 롤러(220)를 탑재하고, 또한 그 위로부터 중량 2Kg의 추를 탑재한 상태로 15초간 중량을 더하여 플라텐 롤러(220)를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착한다. 15초 경과 후에 추를 제외하고, 플라텐 롤러(220)의 축선에 평행한 베이스판의 일단부를 고정한 상태로 타단부를 서서히 올려 베이스판을 경사지게 해 간다. 플라텐 롤러(220)가 아래쪽을 향해 전동(轉動)하기 시작한 시점에서 베이스판의 경사를 정지하고, 이 시점에서의 베이스판의 경사 각도(즉, 롤링 각도)를 판독한다. 경사 각도(롤링 각도)가 작고 롤링이 쉬운 플라텐 롤러(220) 쪽이 비점착성이 높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이송에 적절하게 된다. 본 발명자에 의한 실험에서는, 탄성체 롤러에 의해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20Km 이송한 상태로, 이 롤링 각도가 15도 이내이면 이 탄성체 롤러는 예를 들면 서멀 프린터(8)(도 14)에서의 플라텐 롤러(17)나 닙 롤러로서 실제의 운용에 문제가 없는 것이 판명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20)을 사용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이송하는 실험을 행한다. 최대 직경(DX)이 10.15mm, 최소 직경(DN)이 10.05mm, 중간 직경(DD)이 10.10mm이고, 내층 측 탄성재(223)로서 열경화성 실리콘 고무를 사용하고, 그 외주에 피복층 두께 T가 50㎛로 일정하고 C경도가 15도인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실리콘 겔)에 의한 피복층(224)을 형성하여 플라텐 롤러(220)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텐 롤러(220)와 피복층(224)을 형성하지 않은 통상의 원기둥형 플라텐 롤러(비교품)를 준비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에 한쪽으로 치우친 방식으로 안내하여 이송했다. 단,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폭 방향 한쪽의 에지부를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에 맞닿아 이송 가능하게 하고, 최소폭 F를 가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경우에는 그 폭의 절반의 길이(F/2)만큼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로부터 이격된 부위에 최대 직경부(220M)가 위치하고 있게 된다. 물론, 최소폭 F보다 넓은 폭을 가지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경우라도, 그 폭 방향 한쪽의 에지부를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에 맞닿아 안내 가능한 상태로 이송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텐 롤러(220)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거리 20Km 이송한 상태에서 이 롤링 각도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해서는 15도 미만이며, 박리지가 있는 라벨로는 9도 미만이며, 어느 라벨에 대해서도 탄성체 롤러로서의 박리성에 문제가 없는 것을 알았다. 또한, 정상적으로 이송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해, 라벨에 대한 그립력이 적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서멀 프린터(8) 등의 프린터에서는 탄성체 롤러에 의해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거리 20Km 이송한 상태에서 탄성체 롤러의 직경의 마모가 1% 이내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실험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20Km 이송했을 때의 플라텐 롤러(220)의 마모율은 0.05% 이하였다. 또한,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거리 50Km 주행시킨 때의 플라텐 롤러(220)의 마모율은 0.5% 이하였다.
한편, 비교품(피복층(224)이 없는 통상의 원기둥형 플라텐 롤러)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0.5Km 이송시킨 시점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이 감겼다.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하여 롤링 각도를 측정한 바, 롤링 각도가 70도를 넘어 사용할만 하지 않았다.
따라서, 내층 측 탄성재(223)에 피복층(224)을 피복한 플라텐 롤러(220)에 의해 박리성 및 그립력을 함께 구비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서멀 프린터(8)(도 14) 등에서의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의 사이에 협지하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하여, 예를 들면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B)(예를 들면 폭 50mm)을 폭 101.6mm(4인치) 용의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의 사이에 협지하여 이송 인자하는 경우에도, 플라텐 롤러(220)의 폭보다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B)을 플라텐 롤러(220)의 최대 직경부(220M)에서 최대 압압력(押壓力)을 가지고 이송하고 있는 한, 플라텐 롤러(220)가 이른바 「치우침 드럼 형상」이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B)이 존재하지 않는 플라텐 롤러(220)의 반대 측 단부(220L)에서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20)가 서로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가볍게 접하는 상태이며, 동일하게 인자 및 이송에 지장은 없다. 또한, 폭이 좁은 박리지가 있는 라벨(예를 들면 폭 53 mm, 미도시)을 상기 4인치용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20)의 사이에 협지하여 이송 인자하는 경우에도, 필요한 그립력이 있어, 동일하게 인자 및 이송에 지장은 없었다.
폭이 보다 넓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C, 1D) 등을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의 사이에 협지하여 이송 인자하는 경우에도, 최대 직경부(220M)에서의 최대 압압력을 보증 가능하고, 플라텐 롤러(220)의 반대 측 단부(220L)의 근방에서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에 의해 탄성체 롤러 직경(D1)이 점감하고 있으므로, 서멀 헤드(16) 및 플라텐 롤러(220)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인자 및 이송에 지장은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20))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점감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구성, 또한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22)의 중앙부(220C)와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20M)에서 최대 직경(DX)을 가지고, 양 단부(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 반대 측 단부(220L))를 향해 점감시키는 구성 등에 대하여는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 이외의 실시예가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20))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점감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구성에 대하여는, 최대 직경부(220M) 부분이 최대 직경(DX)을 가지는 것이면 임의의 구성 내지 형태를 채용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0))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30)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와 탄성재(231)를 가진다. 탄성재(231)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치우침 드럼 형태」의 내층 측 탄성재(232)와 이 내층 측 탄성재(232)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30)는 플라텐 롤러(220)(도 2)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31)의 중앙부(230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최대 직경부(230M)에서 그 최대 직경(DX)을 가지고 있다. 또한, 최대 직경부(230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를 향해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가지고, 최대 직경부(230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의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30L)를 향해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가지고,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 및 반대 측 단부(230L)에서 각각 같은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다. 즉,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최대 직경부(230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를 향해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고, 최대 직경부(230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0L)를 향해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에 따라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다. 또한, 피복층(224)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을 따라 균일한 피복층 두께 T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30)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30)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 및 반대 측 단부(230L)가 같은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으므로, 플라텐 롤러(220)와 비교하여 그 제조 공정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3))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33)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34)를 가진다. 탄성재(234)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의 내층 측 탄성재(235)와, 이 내층 측 탄성재(235)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33)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34)의 중앙부(233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33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에 걸쳐 그 최대 직경(DX)을 가진다. 즉, 최대 직경부(233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에서는, 롤러 샤프트(221)와 동축형(同軸形)으로 피복층(224)이 피복되어 있게 된다. 또한, 반대 측 단부(233L)에서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고, 최대 직경부(233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3L)를 향해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형성에 의해 탄성체 롤러 직경(D1)이 점감하고 있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33)는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 즉 최대 직경부(233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를 향해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최대 직경부(233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3L)를 향해서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형성에 의한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최대 직경부(233M)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 사이에서의 외주 영역 전체면 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33)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33)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 내지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로부터 최대 직경부(233M)에 이를 때까지 그 탄성체 롤러 직경(D1)이 최대 직경(DX)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확실하게 이송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6))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36)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37)를 가진다. 탄성재(237)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의 내층 측 탄성재(238)와, 이 내층 측 탄성재(238)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36)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37)의 중앙부(236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36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에 걸쳐 그 최대 직경(DX)을 가진다. 즉, 최대 직경부(236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에서는 롤러 샤프트(221)와 동축형으로 피복층(224)이 피복되어 있게 된다. 단, 최대 직경부(236M)(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36L)를 향해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형성하고 있고, 그 경사 주위면 종료부(225B)에서 반대 측 단부(236L)와 같은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36)는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 즉 최대 직경부(236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를 향해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최대 직경부(236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6L)를 향해서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에 의한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또한 경사 주위면 종료부(225B)로부터 반대 측 단부(236L)를 향해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최대 직경부(236M)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 사이에서의 외주 영역 전체면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이 가능하고, 경사 주위면 종료부(225B)와 반대 측 단부(236L) 사이에서의 외주 영역 전체면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과의 접촉을 회피 내지는 경감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36)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36)는 경사 주위면 종료부(225B)로부터 반대 측 단부(236L)에 걸쳐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영역에서의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36)가 서로 강하게 압력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불량이나 플라텐 롤러(236)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39))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39)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40)를 가진다. 탄성재(240)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의 내층 측 탄성재(241)와 이 내층 측 탄성재(241)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39)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로부터 중앙부(239C)를 거쳐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39L)를 향해 형성한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에 의해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고,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가 최대 직경부(239M)로 되어 있어,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에서 그 최대 직경(DX)을 가지고, 반대 측 단부(239L)에서 최소 직경(DN)을 가진다. 즉, 내층 측 탄성재(241)는 플라텐 롤러(239)와 마찬가지의 원뿔 사다리꼴로서, 최대 직경부(239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9L)에 걸쳐서는 같은 피복층 두께의 피복층(224)가 피복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39)는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 즉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최대 직경부(239M))로부터 반대 측 단부(239L)를 향해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을 이루고 있고, 최대 직경부(239M)(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 에서의 외주 영역 면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이 가능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크기(폭)에 따라 반대 측 단부(239L) 사이에서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외주 영역 전체면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과의 접촉을 회피 내지는 경감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39)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39)는 최대 직경부(239M)(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가 서멀 헤드(16) 사이에서의 인자압(압압력)에 따라 약간 그 축 중심 방향으로 휘기 때문에, 매우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이송 가능하며, 반대 측 단부(239L)에서 최소 직경(DN)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 영역에서의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39)가 서로 강하게 압력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불량이나 플라텐 롤러(239)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42))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42)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43)를 가진다. 탄성재(243)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단부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의 내층 측 탄성재(244)와 이 내층 측 탄성재(244)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42)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로부터 중앙부(242C)를 거쳐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42L)를 향하는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는 직경이 일정한 영역이다. 단,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42L)를 향해서는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고,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로부터 중앙부(242C)를 넘어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가 최대 직경부(242M)로 되어 있어,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에서 그 최대 직경(DX)을 가지고 반대 측 단부(242L)에서 최소 직경(DN)을 가진다. 즉, 내층 측 탄성재(244)는 플라텐 롤러(242)와 마찬가지의 단부가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로서, 최대 직경부(242M)(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로부터 반대 측 단부(242L)에서는 동일한 피복층 두께의 피복층(224)이 피복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42)는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 즉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최대 직경부(242M))로부터 반대 측 단부(242L)를 향해 중앙부(242C)를 넘어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는 일반적인 원기둥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외주 영역 면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이 가능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크기(폭)에 따라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와 반대 측 단부(242L) 사이에서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외주 영역 면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과의 접촉을 회피 내지는 경감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42)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42)는 최대 직경부(242M)(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로부터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이송 가능하며,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42L)까지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외주 영역 면에서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42)가 서로 강하게 압력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불량이나 플라텐 롤러(242)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45))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45)는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46)를 가진다. 탄성재(246)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양 단부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의 내층 측 탄성재(247)와 이 내층 측 탄성재(247)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45)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45L)를 향하는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45L)을 향해서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으로서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고,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를 향하는 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를 향해서도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으로서 연속적으로 점감하고 있다. 단,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와의 사이는,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46)의 중앙부(245C)를 포함하는 영역은 그 직경(최대 직경(DX))이 일정한 최대 직경부(245M)로 되어 있다.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에서 그 중간 직경(DD)을 가지고, 반대 측 단부(245L)에서 최소 직경(DN)을 가진다. 즉, 내층 측 탄성재(247)는 플라텐 롤러(245)의 양 단부를 경사 주위면(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으로 한 양 단부가 가늘고 긴 원뿔 기둥 형상으로서,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로부터 최대 직경부(245M)를 거쳐 반대 측 단부(245L)에서는 같은 피복층 두께의 피복층(224)이 피복되어 있다.
그리고, 플라텐 롤러(245)로서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 및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의 각각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 및 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의 개시 위치를 바꾸거나 각각의 경사 각도 또는 길이 등을 서로 상이하게 하여 둠으로써, 그 중앙부(245C)에 대해서 좌우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플라텐 롤러(245)는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 즉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로부터 최대 직경부(245M)까지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가지고, 최대 직경부(245M)의 소정 길이 영역을 거쳐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45L)까지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를 가지고 있고, 중앙부(245C)를 포함하는 최대 직경부(245M)에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이 가능하다. 또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크기(폭)에 따라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와 반대 측 단부(245L) 사이에서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외주 영역 면에서는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45)가 서로 강하게 압력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불량이나 플라텐 롤러(245)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고, 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 사이에서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과의 접촉을 회피 내지는 경감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45)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45)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로부터 최대 직경부(245M)(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까지의 영역(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과의 접촉이 회피 내지 경감되는 것으로 되지만, 정상 라벨 이송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전하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로서는 그 폭 F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로부터 경사 주위면 개시부(226A)까지의 길이의 배 이상인 것이 필요하다. 한편,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45L)까지의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외주 영역 면에서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45)와의 접촉을 회피 내지는 경감 가능하며,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45)가 서로 강하게 압력 접촉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송 불량이나 플라텐 롤러(245)의 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복층(224)의 도공(塗工) 내지 적층 구조는 임의이다. 예를 들면, 피복층(224)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 내의 피복층 두께를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탄성재의 중앙부와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의 사이에서 그 최대 두께를 가지고 있는 것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50))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50)는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20)(도 1)를 기초로 한 것으로,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51)를 가진다. 탄성재(251)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원기둥형의 내층 측 탄성재(252)와 이 내층 측 탄성재(252)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을 가진다. 플라텐 롤러(250)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51)의 중앙부(250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50M)에서 최대 직경(DX)을 가진다. 단 내층 측 탄성재(252)는 롤러 샤프트(221)와 동축형인 원기둥 부재이다.
한편, 피복층(224)은 그 단면 형상으로서 내층 측 탄성재(252)에서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50L)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에 걸쳐 반대 측 단부(250L)의 부분이 최소 두께(TN) 이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의 부분이 중간 두께(TD) 이며, 최대 직경부(250M)가 최대 두께(TX)로 되도록, 그리고 최대 직경부(250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 및 반대 측 단부(250L)를 향해 각각 그 피복 두께가 점감 하도록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최대 직경부(250M)와 반대 측 단부(250L)와의 사이에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형성하고, 최대 직경부(250M)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와의 사이에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50)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50)에서는 내층 측 탄성재(252)가 단순한 원기둥형이므로 생산성이 높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53))의 축 방향 단면도로서, 플라텐 롤러(253)는 롤러 샤프트(221) 및 탄성재(254)를 가진다. 탄성재(254)는 롤러 샤프트(221)의 외주에 설치한 내층 측 탄성재(255)와 이 내층 측 탄성재(255)의 외주에 일체로 설치하여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접촉하는 피복층(224)(외층 측 탄성재)를 가진다. 플라텐 롤러(253)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54)의 중앙부(253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53M)에서 최대 직경(DX)을 가진다. 단, 내층 측 탄성재(255)는 그 외형선이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53L)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에 걸쳐 점증(漸增)하는 직경을 가지는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이다.
한편, 피복층(224)은 그 단면 형상으로서 최대 직경부(253M)가 최대 두께(TX)이며, 최대 직경부(253M)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 및 반대 측 단부(253L)를 향해 각각 그 피복 두께가 점감하도록, 그리고 내층 측 탄성재(255)에서의 반대 측 단부(253L)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에 걸쳐 반대 측 단부(253L)의 부분이 최소 두께(TN)이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도 동일하게 최소 두께(TN)가 되도록 피복되어 있다.
따라서, 최대 직경부(253M)와 반대 측 단부(253L)와의 사이에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을 형성하고, 최대 직경부(253M)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와의 사이에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53)에서도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또는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함께 지장없이 이송할 수 있다. 특히, 플라텐 롤러(253)는 내층 측 탄성재(255)가 가늘고 긴 원뿔 사다리꼴이므로 그 구성을 비교적 단순화 가능하다.
그리고, 기 서술한 각각의 플라텐 롤러(230)(제2 실시예, 도 3), 플라텐 롤러(233)(제3 실시예, 도 4), 플라텐 롤러(236)(제4 실시예, 도 5), 플라텐 롤러(239)(제5 실시예, 도 6), 플라텐 롤러(242)(제6 실시예, 도 7) 및 플라텐 롤러(245)(제7 실시예, 도 8)에 대하여도, 각각 피복층(224)의 도공 내지 적층 구조를 임의로 설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의한 탄성체 롤러(플라텐 롤러(260))에 대하여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해 설명한다. 도 11은 플라텐 롤러(260)의 사시도, 도 12는, 플라텐 롤러(260)의 축 방향 주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플라텐 롤러(260)는 전술한 플라텐 롤러(220)(제1 실시예, 도 1)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 내의 탄성체 롤러 직경(D1)을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탄성재(222)의 중앙부(260C)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260M)에서 최대 직경(DX)을 가진다. 또한, 최대 직경부(260M)로부터 양 단부(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60L))를 향해 각각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 및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으로서 단계적으로 점감시키고 있고, 플라텐 롤러(260)는 이른바 「홈이 있는 치우침 드럼 형태」를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12에서는 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좌측 방향을 향해 탄성체 롤러 직경(D1)가 단계적으로 점감하는 구성의 주요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플라텐 롤러(260)(탄성체 롤러)에 대해서는 전술한 플라텐 롤러(220)와 마찬가지로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 따르는 최대 직경부(260M)에서의 탄성체 롤러 최대 직경(DX)과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260L)에서의 최소 직경(DN)와의 차 ΔD=DX-DN를 10~180㎛로 하고 있다.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는 최대 직경(DX)과 최소 직경(DN)와의 사이의 직경인 중간 직경(DD)을 가진다.
또한, 플라텐 롤러(260)는 플라텐 롤러(220)(제1 실시예, 도 1)에서 상기 내층 측 탄성재(223)에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단면(보다 정확하게는 플라텐 롤러(220)의 축선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절단한 단면) V자 형상의 내층 홈(261)을 형성하고 있다. 내층 측 탄성재(223)는 내층 홈(261)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내층 사다리(台)형 정상부(頂部)(262)로서 형성하고 있다.
피복층(224)은 내층 홈(261)을 모방해 내층 홈(261)의 상층 측에 위치를 맞추도록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대략 단면 V자 형상의 피복층 홈(263)을 형성하고 있다. 피복층(224)은 피복층 홈(263)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피복층 사다리(台)형 정상부(264)로서 형성하고 있다. 피복층(224)은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서 대략 균일의 피복층 두께(T)를 가지고, 피복층 두께 T를 10~100㎛로 하고 있다. 그리고, 내층 홈(261) 및 피복층 홈(263)의 단면 형상으로서는 V자 형상 이외에도 U자 형상 내지 원추 형상, 직사각형 그 외의 다각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내층 홈(261)은 그 피치 P를 500~1500㎛로 하고 있다. 내층 홈(261)의 피치 P가 500㎛ 미만에서는 서로 인접하는 내층 홈(261)의 사이에 형성하는 내층 사다리형 정상부(262)를 가공할 수 있는 범위가 거의 없어진다. 내층 홈(261)의 피치 P가 1500㎛를 넘으면 플라텐 롤러(260) 전체에서의 내층 홈(261) 또는 피복층 홈(263)의 비율이 저하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 그 외의 밴드형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는 경향이 되어 플라텐 롤러(260)로서는 그 박리성이 저하되는 것을 부정할 수 없다.
내층 홈(261)은 그 폭 W를 25~1300㎛, 바람직하게는 50~500㎛로 하고 있다. 내층 홈(261)의 폭 W가 25㎛ 미만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그 외의 밴드형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 플라텐 롤러(260)로서는 그 박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내층 홈(261)의 폭 W가 1300㎛를 넘으면 플라텐 롤러(260)이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등을 점착제층(3) 측으로부터 적절하게 누르는 부분의 압압력이 저하되고, 서멀 프린터(8)의 인자부(12)에서의 라벨편(1A)에의 인자 누락이 발생하는 등 인자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내층 홈(261)은 그 깊이 H를 25~500㎛, 바람직하게는 50~400㎛로 하고 있다. 내층 홈(261)의 깊이 H가 25㎛ 미만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그 외의 밴드형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 플라텐 롤러(260)로서는 그 박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내층 홈(261)의 깊이 H가 500㎛를 넘으면 플라텐 롤러(260)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등을 점착제층(3) 측으로부터 가압 지지하는 부분의 압압력이 저하되고, 서멀 프린터(8)의 인자부(12)에서의 라벨편(1A)에의 인자 누락이 발생하는 등 인자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내층 홈(261)은 그 홈 각도 G를 50~120도, 바람직하게는 60~100도로 하고 있다. 내층 홈(261)의 홈 각도 G가 50도 미만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그 외의 밴드형 부재와의 접촉 면적이 증가하는 결과, 플라텐 롤러(260)로서는 그 박리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내층 홈(261)의 홈 각도 G가 120도를 넘으면 플라텐 롤러(260)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등을 점착제층(3) 측으로부터 가압 지지하는 부분의 압압력이 저하되고, 서멀 프린터(8)의 인자부(12)에서의 라벨편(1A)에의 인자 누락이 발생하는 등 인자 정밀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구성의 플라텐 롤러(260)를 사용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이송하는 실험을 행한다. 내층 측 탄성재(223)의 외주에 피복층 두께 T가 50㎛이고 C경도가 15도인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실리콘 겔)에 의한 피복층(224)을 형성하고, 내층 홈(261)의 피치 P를 750㎛, 폭 W를 410㎛, 깊이 H를 350㎛, 홈 각도 G를 60도로서 형성한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치수에 따르는 내층 홈(261)을 형성한 것만으로, 피복층(224)을 형성하지 않은 플라텐 롤러(비교품)를 준비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도 2)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송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텐 롤러(260)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을 거리 20Km 이송시킨 상태로, 롤링 각도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해서는 14도 미만이며, 박리지가 있는 라벨로는 9도 미만이며, 모두 탄성체 롤러 로서 박리성 및 그립력에 문제가 없는 것을 알았다.
한편, 피복층(224)이 없는 내층 홈(261)만의 플라텐 롤러에서는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1.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롤링 각도가 박리지가 없는 라벨(1)에 대해서는 70도를 넘어도 첩부한 채로 되어, 사용할 만하지 않다. 또한, 박리지가 있는 라벨로는 연속적으로 슬립(slip) 에러가 발생하고, 규정 길이를 이송할 수 없어서 플라텐 롤러로서 기능하지 못했다.
따라서, 내층 측 탄성재(223)에 내층 홈(261)을 형성하고, 피복층(224)에 피복층 홈(263)을 형성한 플라텐 롤러(260)에 의해 박리성 및 그립력을 함께 구비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도 4에 나타낸 제3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33)에 도 11에 나타낸 플라텐 롤러(260)와 마찬가지의 내층 홈(261), 내층 사다리형 정상부(262), 피복층 홈(263) 및 피복층 사다리형 정상부(264)(도 12)를 형성한 플라텐 롤러(미도시)를 사용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20)(도 1, 도 2)와 마찬가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이송하는 다른 실험을 행한다. 내층 측 탄성재(235) 및 피복층(224)을 가지는 탄성재(234)로서, 그 폭(길이)이 120mm, 최대 직경(DX)이 16.4mm, 최소 직경(DN)이 16.3mm로서,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로부터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의 길이가 16mm(즉,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로부터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까지는 직경이 16.4mm인 원기둥 형상)이며, 경사 주위면 개시부(225A)로부터 반대 측 단부(233L)를 향해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형성에 의해 탄성체 롤러 직경(D1)가 점감하고 있는 플라텐 롤러를 준비한다. 내층 측 탄성재(235)의 외주에 피복층 두께 T가 50㎛이고 C경도가 15도인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실리콘 겔)에 의한 피복층(224)을 형성하고, 내층 홈(261)의 피치 P를 750㎛, 폭 W를 87㎛, 깊이 H를 75㎛, 홈 각도 G를 60도로서 형성한다. 또한, 탄성재로서 폭(길이)이 120mm, 직경이 16.4mm의 원기둥 형상으로서 전술한 바와 동일 치수의 내층 홈(261) 등을 형성하고, 동일 피복층 두께 T 및 C경도의 피복층(224)을 형성한 플라텐 롤러(비교품)를 준비하고,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227)(도 2)에 한쪽으로 치우친 상태로 이송했다.
본 발명에 의한 플라텐 롤러에서는, 폭이 10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롤링 각도가 13도이며, 탄성체 롤러로서 박리성 및 그립력에 문제가 없는 것을 알았다. 또한, 폭이 5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롤링 각도가 13도이며 탄성체 롤러로서 박리성 및 그립력에 문제가 없는 것을 알았다.
한편, 비교품인 원기둥 형상의 플라텐 롤러에서는 폭이 10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롤링 각도가 13도였다가, 폭이 50mm인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롤링 각도가 29도이며 박리 성능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알았다.
또한, 마모율은 본 발명에 의한 플라텐 롤러에서는 폭이 10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0.77%, 폭이 50mm인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0.94%였다. 한편, 비교품인 원기둥 형상의 플라텐 롤러에서는 폭이 10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0.77%, 폭이 50mm의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을 거리 30Km 이송시킨 상태에서 2.03%였다.
따라서, 내층 측 탄성재(234)에 내층 홈(261) 등을 형성하고, 피복층(224)에 피복층 홈(263) 등을 형성한 플라텐 롤러(233)에 의해서도 박리성 및 그립력을 함께 구비한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2에 의거해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서멀 프린터(8)(도 14)에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B) 및 폭이 넓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C, 1D) 중 어느 하나를 장전 가능하게 하여 인자 이송하는 경우라도, 플라텐 롤러(260)의 반대 측 단부(260L)는 그 최대 직경부(260M)와 비교하여 직경을 ΔD=DX-DN만큼 작게 하고 있으므로, 박리지가 없는 라벨(1B, 1C)의 단부에서 서멀 헤드(16)와 플라텐 롤러(260)가 서로 접촉하지 않거나 또는 가볍게 접하는 상태이며, 그 인자 이송에 지장이 생길 우려는 없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플라텐 롤러(220)(제1 실시예, 도 1), 플라텐 롤러(230)(제2 실시예, 도 3), 플라텐 롤러(233)(제3 실시예, 도 4), 플라텐 롤러(236)(제4 실시예, 도 5), 플라텐 롤러(239)(제5 실시예, 도 6), 플라텐 롤러(242)(제6 실시예, 도 7), 플라텐 롤러(245)(제7 실시예, 도 8), 플라텐 롤러(250)(제8 실시예, 도 9), 플라텐 롤러(253)(제9 실시예, 도 10), 및 플라텐 롤러(260)(제10 실시예, 도 11)의 어느 경우도 롤러 샤프트(221)의 축 방향에서의 최대 직경부(220M, 230M, 233M, 236M, 239M, 242M, 245M, 250M, 253M, 260M)의 영역을 임의의 면적에 걸쳐서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형성하는 구성(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낸 제6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42), 도 8에 나타낸 제7 실시예에 의한 플라텐 롤러(245) 등을 참조)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박리지가 없는 라벨(1)(도 13),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B) 및 폭이 넓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1C, 1D)(도 2)은 물론, 박리지가 있는 라벨에 대하여도 이것을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플라텐 롤러(230)(제2 실시예, 도 3), 플라텐 롤러(233)(제3 실시예, 도 4), 플라텐 롤러(236)(제4 실시예, 도 5), 플라텐 롤러(239)(제5 실시예, 도 6), 플라텐 롤러(242)(제6 실시예, 도 7), 플라텐 롤러(245)(제7 실시예, 도 8), 플라텐 롤러(250)(제8 실시예, 도 9), 및 플라텐 롤러(253)(제9 실시예, 도 10)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플라텐 롤러(260)(제10 실시예, 도 11)와 마찬가지로 내층 홈(261), 내층 사다리형 정상부(262), 피복층 홈(263), 및 피복층 사다리형 정상부(264) 등에 상당하는 홈 및 사다리형 정상부 등을 형성함으로써, 이른바 「홈 부착 변형 치우침 드럼 형태」의 구성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각각의 장점을 살리면서, 박리지가 없는 라벨(1) 및 박리지가 있는 라벨의 확실하고 또한 안정된 이송 기능 및 안내 기능을 가지는 탄성체 롤러로 할 수 있다.
1 박리지가 없는 라벨(도 13) 1A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라벨편 1B 폭이 좁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도 2) 1C, 1D 폭이 더 넓은 박리지가 없는 라벨(도 2) 2 라벨 기재 3 점착제층 4 감열(感熱) 발색제층 5 박리제층 6 위치 검출용 마크 7 절단 예정선 8 서멀 프린터(도 14) 9 공급부 10 안내부 11 검출부 12 인자부 13 절단부 14 가이드 롤러 15 위치 검출 센서 16 서멀 헤드 17 플라텐 롤러 18 고정날 19 가동날 220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1 실시예, 도 1) 220C 플라텐 롤러(220)에서의 탄성재(222)의 중앙부 220R 플라텐 롤러(220)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20L 플라텐 롤러(220)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20M 플라텐 롤러(220)의 최대 직경부 221 롤러 샤프트 222 탄성재 223 내층 측 탄성재 223M 내층 측 탄성재(223)의 최대 직경부 223R 내층 측 탄성재(223)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23L 내층 측 탄성재(223)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23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24 피복층 225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 225A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최대 직경부(223M), 도 2) 225B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5)의 경사 주위면 종료부(도 5) 226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 226A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226)의 경사 주위면 개시부 227 라벨 한쪽으로 치우침 가이드 부재(도 2) 228 최대 직경 위치 마크(도 1, 도 2) 230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2 실시예, 도 3) 230C 플라텐 롤러(230)에서의 탄성재(231)의 중앙부 230R 플라텐 롤러(230)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30L 플라텐 롤러(230)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30M 플라텐 롤러(230)의 최대 직경부 231 탄성재 232 내층 측 탄성재 233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3 실시예, 도 4) 233C 플라텐 롤러(233)에서의 탄성재(234)의 중앙부 233R 플라텐 롤러(233)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33L 플라텐 롤러(233)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3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33M 플라텐 롤러(233)의 최대 직경부 234 탄성재 235 내층 측 탄성재 236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4 실시예, 도 5) 236C 플라텐 롤러(236)에서의 탄성재(237)의 중앙부 236R 플라텐 롤러(236)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36L 플라텐 롤러(236)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6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36M 플라텐 롤러(236)의 최대 직경부 237 탄성재 238 내층 측 탄성재 239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5 실시예, 도 6) 239C 플라텐 롤러(239)에서의 탄성재(240)의 중앙부 239R 플라텐 롤러(239)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39L 플라텐 롤러(239)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39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39M 플라텐 롤러(239)의 최대 직경부 240 탄성재 241 내층 측 탄성재 242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6 실시예, 도 7) 242C 플라텐 롤러(242)에서의 탄성재(243)의 중앙부 242R 플라텐 롤러(242)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42L 플라텐 롤러(242)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2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42M 플라텐 롤러(242)의 최대 직경부 243 탄성재 244 내층 측 탄성재 245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7 실시예, 도 8) 245C 플라텐 롤러(245)에서의 탄성재(246)의 중앙부 245R 플라텐 롤러(245)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45L 플라텐 롤러(245)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45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45M 플라텐 롤러(245)의 최대 직경부 246 탄성재 247 내층 측 탄성재 250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8 실시예, 도 9) 250C 플라텐 롤러(250)에서의 탄성재(251)의 중앙부 250R 플라텐 롤러(250)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50L 플라텐 롤러(250)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50M 플라텐 롤러(250)의 최대 직경부 251 탄성재 252 내층 측 탄성재 253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9 실시예, 도 10) 253C 플라텐 롤러(253)에서의 탄성재(254)의 중앙부 253R 플라텐 롤러(253)가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53L 플라텐 롤러(253)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53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53M 플라텐 롤러(253)의 최대 직경부 254 탄성재 255 내층 측 탄성재 260 플라텐 롤러(탄성체 롤러, 제10 실시예, 도 11) 260C 플라텐 롤(260)에서의 탄성재(222)의 중앙부 260R 플라텐 롤러(260)에서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260L 플라텐 롤러(260)의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260R)와는 반대 측의 반대 측 단부 261 내층 홈 262 내층 사다리형 정상부 263 피복층 홈 264 피복층 사다리형 정상부 F 박리지가 없는 라벨(1)의 최소폭(도 2) T 피복층(224)의 피복층 두께(도 2, 도 12) TX 피복층(224)의 최대 두께(도 9, 도 10) TD 피복층(224)의 중간 두께(도 9) TN 피복층(224)의 최소 두께(도 9, 도 10) DX 탄성체 롤러 직경(D1)의 최대 직경(도 2~도 12) DD 탄성체 롤러 직경(D1)의 중간 직경(도 8, 도 9, 도 10) DN 탄성체 롤러 직경(D1)의 최소 직경(도 2~도 12) D1 플라텐 롤러(220, 230, 233, 236, 239, 242, 245, 250, 253, 260)의 탄성체 롤러 직경(도 2~도 12) D2 내층 측 탄성재(223)의 내층 측 탄성재 직경(도 2) ΔD 탄성체 롤러 직경(D1)에 대하여 최대 직경(DX)와 최소 직경(DN)와의 차(ΔD=DX-DN, 도 2, 도 12) P 내층 홈(261)의 피치(도 12) W 내층 홈(261)의 폭(도 12) H 내층 홈(261)의 깊이(도 12) G 내층 홈(261)의 홈 각도(도 12)

Claims (32)

  1. 롤러 샤프트, 및 상기 롤러 샤프트의 주위에 장착한 탄성재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재에 밴드형 부재를 접촉시켜 이송하기 위한 탄성체 롤러로서,
    상기 탄성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외주에 설치한 내층 측 탄성재, 및 상기 내층 측 탄성재의 외주에 설치하여 상기 밴드형 부재에 접촉하는 피복층을 포함하고,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JIS K6253 규격에 규정하는 듀로미터(durometer) 타입 A에 의한 고무 경도를 30~80도로 하고,
    상기 피복층은, SRIS 0101 규격에 규정하는 스프링식 아스카 C형에 의한 경도가 20도 이하인 실리콘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피복층은, 그 두께를 10~100㎛로 하고,
    상기 내층 측 탄성재에는,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내층 홈을 형성하고 있고,
    상기 내층 홈은, 그 폭을 25~1300㎛로 하고, 그 깊이를 25~500㎛로 하고, 단면 V자 형상으로 그 홈 각도를 50~120도로 하고,
    상기 탄성체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축 방향에서, 그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는 반대 측에 위치한 반대 측 단부를 향해 그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漸減)시키는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탄성재의 중앙부에 대해 상기 탄성체 롤러를 좌우 비대칭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반대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은, 그 경사 주위면 개시부를 상기 탄성재의 상기 축 방향에서의 임의의 부위로 하고,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탄성재의 중앙부, 및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와의 사이에서의 최대 직경부에서 그 최대 직경을 가지는, 탄성체 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는,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서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을 점감시키는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 방향 경사 주위면을 포함하는, 탄성체 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탄성체 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반대 측 단부를 향해 연속적으로 점감하는, 탄성체 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에 걸쳐 상기 최대 직경과 동일한, 탄성체 롤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한쪽으로 치우친 측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탄성체 롤러.
  7. 제1항 내지 제3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최대 직경부로부터 상기 반대 측 단부를 향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탄성체 롤러.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에 따르는 상기 반대 측 단부에서 최소인, 탄성체 롤러.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롤러 샤프트의 상기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상기 경사 주위면 내의 피복층 두께를 균일하게 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최대 직경부에서 그 최대 두께를 가지는, 탄성체 롤러.
  11.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롤러의 상기 탄성체 롤러 직경은, 상기 최대 직경과 상기 반대 측 단부에서의 최소 직경과의 차를 10~180㎛로 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재에는, 상기 최대 직경부를 명시 가능한 최대 직경 위치 마크를 설치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직경부의 영역을 부분적으로 평탄하게 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열경화성인, 탄성체 롤러.
  15.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열가소성 탄성 재료 또는 열경화성 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탄성체 롤러.
  16.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에는, 그 원주 방향에 따라 복수개의 피복층 홈을 형성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측 탄성재는, 상기 내층 홈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내층 대(台)형 정상부(頂部)로서 형성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층은, 상기 피복층 홈 각각의 사이를 평탄한 피복층 대(台)형 정상부(頂部)로서 형성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1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 홈은 그 피치를 500~1500㎛로 하고 있는, 탄성체 롤러.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KR1020167004670A 2013-10-09 2014-05-30 탄성체 롤러 KR101831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11535A JP5558618B1 (ja) 2013-10-09 2013-10-09 弾性体ローラー
JPJP-P-2013-211535 2013-10-09
PCT/JP2014/064521 WO2015052954A1 (ja) 2013-10-09 2014-05-30 弾性体ローラ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018A KR20160035018A (ko) 2016-03-30
KR101831773B1 true KR101831773B1 (ko) 2018-02-23

Family

ID=51416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4670A KR101831773B1 (ko) 2013-10-09 2014-05-30 탄성체 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46574B2 (ko)
EP (1) EP3056349B1 (ko)
JP (1) JP5558618B1 (ko)
KR (1) KR101831773B1 (ko)
CN (1) CN105517808B (ko)
MY (1) MY171676A (ko)
WO (1) WO20150529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9128B1 (ko) 2012-10-19 2016-10-25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탄성체 롤러
JP6380977B2 (ja) * 2014-08-29 2018-08-29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弾性体ローラー
JP6884521B2 (ja) * 2016-07-05 2021-06-09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プリンタ
JP6966908B2 (ja) * 2017-09-22 2021-11-17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US11202451B2 (en) * 2018-05-26 2021-12-21 Oganes MELKONYAN Culinary device
JP2020033122A (ja) * 2018-08-28 2020-03-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DE102019208488A1 (de) * 2019-06-12 2020-12-17 Thyssenkrupp Ag Tragrollen für Fördergurtanlagen
JP7356643B2 (ja) * 2019-06-28 2023-10-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
AT522815B1 (de) * 2019-07-25 2021-02-15 Blum Gmbh Julius Laufwagen für eine Schubladenausziehführung
FR3100120B1 (fr) * 2019-08-30 2021-10-29 Maurice Granger Boite distributrice de matériau d’essuyage prédécoupé déroulable en bande, et utilisation d’une telle boite distributrice
EP3868693A1 (en) * 2020-02-21 2021-08-25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Residual film winder for a packaging machine
KR102372588B1 (ko) * 2021-09-09 2022-03-10 김학도 자동차번호판 라미네이트 필름 부착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012A (ja) * 1996-02-20 2000-04-25 プリ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エル エル シー ラベルをプリント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自己剥離型プリントローラ
JP2003195463A (ja) * 2001-12-27 2003-07-09 Konica Corp ゴムローラ及び該ゴムローラを装着した自動現像機
JP2013049146A (ja) * 2011-08-30 2013-03-14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ローラ、搬送装置、および印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67517C (de) 1949-03-01 1953-02-19 Rudolf Milik Eckfuehrung von Foerderbaendern
GB926085A (en) * 1962-02-26 1963-05-15 Hubert Krantz Apparatus for correcting an arcuate lie of the weft threads or courses in woven or knitted fabrics
JPS5312614Y2 (ko) * 1972-02-03 1978-04-05
US3999038A (en) * 1974-11-25 1976-12-21 Xerox Corporation Flared fuser roll
US4107830A (en) * 1977-05-02 1978-08-22 Thomson George V Rolling pin construction
US4378737A (en) * 1981-06-01 1983-04-05 Robud Company Roller apparatus with replacement blanket
US4583637A (en) * 1982-09-30 1986-04-22 Roe Incorporated Conveying apparatus
JPS60130648A (ja) * 1983-12-15 1985-07-12 Shin Etsu Polymer Co Ltd ゴムロ−ル
JPH01237780A (ja) * 1988-03-18 1989-09-22 Hitachi Ltd 媒体ガイド機構
JPH0223976A (ja) * 1988-07-13 1990-01-26 Eishin Giken:Kk ボーリングレーンメンテナンス装置におけるクリーニング・ローラ
US4887708A (en) * 1989-01-23 1989-12-19 Portec, Inc. Drive apparatus for belt power turns
JPH061510A (ja) * 1992-04-23 1994-01-11 Fuji Photo Film Co Ltd ウェブ搬送ローラ及びその組立方法
US5319430A (en) * 1993-01-04 1994-06-07 Xerox Corporation Fuser mechanism having crowned rolls
US5728252A (en) * 1995-09-19 1998-03-17 Polaroid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laminating image-bearing media
DE19620714A1 (de) * 1996-05-23 1997-11-27 Bielomatik Leuze & Co Vorrichtung zur Führung von Lagenbahnen aus Papier o. dgl.
EP1070863A3 (de) 1999-07-22 2002-08-14 Felix Böttcher GmbH & Co. Walze bestehend aus einem Metallkern und einer weichen elastomeren Beschichtung sowie Verfahren zum Aufbringen dieser Schicht auf eine Walze
JP2002116608A (ja) * 2000-10-06 2002-04-19 Canon Chemicals Inc 帯電ローラ、該帯電ローラを有する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装置
US20040154146A1 (en) * 2001-05-17 2004-08-12 Pruitt Paul R. Web spreader roll and methods for spreading webs of material
JP2003345161A (ja) * 2002-05-29 2003-12-0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画像形成装置
JP2004145012A (ja) * 2002-10-24 2004-05-20 Tokai Rubber Ind Ltd クラウン形状導電性ロールの製法およびそれにより得られる導電性ロール
US7052450B2 (en) * 2004-02-05 2006-05-30 Fiesta Products Llc Silicone rolling pin
US7299909B1 (en) * 2005-07-13 2007-11-27 Automotion, Inc. Taper sleeve for conveyor roller
US7870949B2 (en) 2005-07-13 2011-01-18 Van Der Graaf Inc. Method for bonding a coating on a roller
JP4593445B2 (ja) * 2005-11-15 2010-12-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紙送りローラ
CN201102361Y (zh) 2007-09-30 2008-08-20 厦门精芯科技有限公司 打印机芯胶辊的改进结构
JP4984088B2 (ja) * 2008-05-30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従動ローラの成形用型及び画像記録装置
CN201456388U (zh) 2009-07-17 2010-05-12 湖北慧狮塑业股份有限公司 用于薄膜热压成型的橡胶辊筒
JP5351648B2 (ja) 2009-07-30 2013-11-27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サーマルプリンターにおける台紙なしラベルの巻込み防止装置
JP2011164178A (ja) * 2010-02-05 2011-08-25 Canon Chemicals Inc 導電性ゴムローラ
CN201873737U (zh) 2010-11-12 2011-06-22 德清县武康镇创智热喷涂厂 一种具有热喷涂防粘耐磨涂层的金属基材和传动辊
CN202174798U (zh) 2011-08-04 2012-03-28 唐亚军 一种涂布装置
JP5480854B2 (ja) 2011-08-24 2014-04-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202837820U (zh) 2012-08-12 2013-03-27 佛山市埃申特科技有限公司 显影辊的改良结构
CN202862775U (zh) 2012-09-12 2013-04-10 运城制版有限公司 腰鼓形烫金版辊
KR101669128B1 (ko) * 2012-10-19 2016-10-25 사토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탄성체 롤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5012A (ja) * 1996-02-20 2000-04-25 プリマーク エフイージー エル エル シー ラベルをプリント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ための自己剥離型プリントローラ
JP2003195463A (ja) * 2001-12-27 2003-07-09 Konica Corp ゴムローラ及び該ゴムローラを装着した自動現像機
JP2013049146A (ja) * 2011-08-30 2013-03-14 Sato Knowledge & Intellectual Property Institute ローラ、搬送装置、および印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56349A4 (en) 2018-01-10
JP2015074158A (ja) 2015-04-20
WO2015052954A1 (ja) 2015-04-16
CN105517808B (zh) 2017-10-24
KR20160035018A (ko) 2016-03-30
EP3056349A1 (en) 2016-08-17
CN105517808A (zh) 2016-04-20
EP3056349B1 (en) 2022-12-14
US20160200473A1 (en) 2016-07-14
MY171676A (en) 2019-10-23
JP5558618B1 (ja) 2014-07-23
US10046574B2 (en) 2018-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1773B1 (ko) 탄성체 롤러
KR101669128B1 (ko) 탄성체 롤러
KR101739917B1 (ko) 탄성체 롤러
JP5507749B1 (ja) 弾性体ローラー
KR101772514B1 (ko) 탄성체 롤러
JP5507750B1 (ja) 弾性体ローラー
KR101739874B1 (ko) 탄성체 롤러
JP2016050073A (ja) 弾性体ローラー
JP2017030903A (ja) 弾性体無端ベルトおよび弾性体無端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