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917B1 -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917B1
KR101824917B1 KR1020150060190A KR20150060190A KR101824917B1 KR 101824917 B1 KR101824917 B1 KR 101824917B1 KR 1020150060190 A KR1020150060190 A KR 1020150060190A KR 20150060190 A KR20150060190 A KR 20150060190A KR 101824917 B1 KR101824917 B1 KR 101824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heet stacking
stacking tray
tray
cp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6290A (ko
Inventor
준 미야지마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262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62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08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 B65H31/10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the articles being piled one above another and applied at the top of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04Pile receivers with movable end support arranged to recede as pile accumulates
    • B65H31/12Devices relieving the weight of the pile or permitting or effecting movement of the pile end support during 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52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5/00Arrangements for producing a permanent visual presentation of the output data, e.g. computer output printers
    • G06K15/40Details not directly involved in printing, e.g. machine management, management of the arrangement as a whole or of its constitutive parts
    • G06K15/4025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 G06K15/403Managing optional units, e.g. sorters, document feeders handling the outputted documents, e.g. staplers, so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1Forming a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5Large capacity supports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2Superposed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5Means for moving support
    • B65H2405/353Means for moving support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2Defective operating conditions
    • B65H2511/521Presence of foreign object or undesirable material, i.e. material of another nature than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시트 적재 장치는, 시트를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고 있는 동안에 장해물이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배지처를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SHEET STACK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승강 가능한 시트 적재부에 시트를 배지하는 종래의 시트 적재 장치에서는,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고, 화상이 인쇄된 시트를 배지구로부터 시트 적재부에 배지한다. 도 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의 적재량에 따라, 시트 적재부에 적재된 시트의 최상위면이 배지구 근방에 위치하도록 시트 적재부를 하강시킴으로써, 배지구로부터 배지된 시트를 안정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러한 시트 적재부 밑에, 도 12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시트 적재부의 하강을 방해하는 장해물이 두어져 있으면, 시트 적재부를 하강시켜 있는 도중에 시트 적재부가 장해물에 충돌한다. 시트 적재부가 장해물에 충돌한 후도 시트 적재부를 하강시키려고 하면, 시트 적재부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에 부하가 걸려, 시트 적재부와 구동부가 파손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장해물에 의해 시트 적재부의 하강 동작을 방해하는 경우에, 시트의 배지동작 및 시트 적재부의 하강 동작을 정지하고, 경고를 표시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226022호 참조).
한편, 하나의 시트 적재부에 시트를 적재하면, 시트 다발이 지나치게 높아서 시트 다발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2182호에는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2182호에서는, 두개의 시트 적재부를 구비하여, 배지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 다발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게 되지 않도록 하고, 시트 다발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후, 한쪽의 시트 적재부에 과도한 시트가 적재되면, 전체의 적재량을 감소하지 않고 적재성을 유지하도록 다른 쪽의 시트 적재부에 출력을 바꾼다.
시트 적재부 아래의 공간은, 용지등의 소모품이나 기기의 매뉴얼을 격납하는데 편리하다. 또한, 그 공간의 장소는, 격납된 소모품과 매뉴얼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한층 더, 시트 적재부를 하한까지 하강시키는 인쇄 잡은 자주 실행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유저들이 있다. 이 때문에, 유저는 의도적으로 시트 적재부 밑에 물건이 두어져 있는 경우들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22602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장해물에 의해 시트 적재부의 하강을 방해한 것이 검지될 때 유저에게 경고를 표시하는 경우에, 경고에 따라 유저가 장해물을 제거하려고 한다. 그러나, 장해물에 의해 배지 트레이의 하강을 방해하므로, 시트 적재부와 장해물은 접촉한 상태가 되어 있다.
한편,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12-1218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복수의 시트 적재부가 존재할 경우에는, 다른 쪽의 배지 트레이에 출력을 바꾸고, 출력을 계속하는 것을 원하고 있다. 그러나, 시트 적재부와 장해물이 접촉하고 있을 때 시트 적재부를 이동시키면, 장해물을 손상시키거나 혹은 배지 트레이를 손상시켜 기기가 고장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하측에 있고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시트 적재 장치는,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배출부에 의해 시트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배출하고 있는 동안에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부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적재 장치를 적용 가능한 화상형성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2는 리더(reader)부 및 프린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도 3a, 3b, 3c 및 3d는 트레이 풀(full)시의 적재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a, 4b, 4c 및 4d는 트레이 풀시의 적재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 및 5b는 트레이 풀시의 적재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a, 6b, 6c 및 6d는 트레이 풀시의 적재 제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도 9는 트레이 변경 가능성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조작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1은 조작부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a 및 12b는 시트 적재부와 장해물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적재 장치를 적용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다.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복합기(MFP:Multi Functional Peripheral)이며, 제어장치(101), 리더부(105) 및 프린터부(108)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FP를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화상형성장치는 인쇄 기능을 갖는 프린터부(108)를 구비하는 기능이 있으면, 단일기능 주변장치(SFP:Single Functional Peripheral)이어도 된다. 리더부(105), 제어장치(101) 및 프린터부(108)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서로 제어 코맨드나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피니셔(finisher) 유닛(112)은, MFP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어장치(101)는, 중앙처리장치(CPU)(102), 화상 메모리(103), 불휘발성 메모리(113),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114), 판독전용 메모리(ROM)(115) 및 조작부(104)를 구비한다. 제어장치(101)내의 CPU(102)는, ROM(115)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RAM(114)에 판독해서 실행함에 의해 각종 제어를 실행해서 MFP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예를 들면, CPU(102)는, 리더부(105)를 제어하여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03)에 판독하고, 프린터부(108)를 제어하여 화상 메모리(103)내의 화상 데이터를 기록 용지에 출력함으로써, 카피 기능을 제공한다.
RAM(114)은, CPU(102)의 워크 영역으로서 사용되고,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ROM(115)에는, CPU(102)의 각종 제어프로그램 등이 격납되어 있고, 그 제어프로그램들은 CPU(102)에 의해 판독되어서 실행된다. 화상 메모리(103)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다. 예를 들면, 화상 메모리(103)는, 리더부(105)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나, 외부의 퍼스널 컴퓨터(PC)등으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화상 메모리(103)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CPU(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프린터부(108)에 보내진다.
불휘발성 메모리(113)는, 전원을 공급하지 않을 때에도 데이터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기억부로서 기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13)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화상 데이터 등을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13)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블루 레이 디스크 등,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해서 충분한 용량을 갖는 것이면 된다.
조작부(104)는, 터치패널을 구비한 표시부와 하드 키를 가진다. 조작부(104)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 조작을 접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조작부(104)의 표시부에는, CPU(102)의 제어에 따라, MFP의 조작에 있어서의 기능들이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또한, 조작부(104)의 터치패널 또는 하드 키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CPU(102)에 송신된다. 또한, 조작부(104)는, MFP의 상태나 MFP를 조작하기 위한 가이던스 등을 유저에게 통지할 수 있다.
또한, MFP는, 예를 들면, 제어장치(101)내에,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MFP는,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PC등의 외부장치와 통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외부장치로서 PC를 일례로서 설명하지만, 외부장치는, 다른 MFP, 휴대 단말 또는 팩시밀리 장치이어도 된다. 또한, MFP와 외부장치는, 유선의 네트워크나 범용 직렬 버스(USB) 케이블을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도 되거나, 무선 충실도(WiFi)를 사용하여 서로 무선통신하여도 된다.
리더부(105)(화상입력장치)는, 원고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유닛이다. 리더부(105)는, 스캐너 유닛(106)과 원고 급지 유닛(DF유닛)(107)을 구비한다. 스캐너 유닛(106)은 원고의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DF유닛(107)은, 스캐너 유닛(106)에 의해 판독되는 원고를 반송한다.
프린터부(화상출력장치)(108)는, 시트(기록지)에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유닛이다. 급지 유닛(109)은, (후술하는) 급지 카세트 등에 수납된 시트를 1매씩 급지하여, 마킹 유닛(110)에 반송한다. 급지 유닛(109)에는, 카세트와 수동 급지 트레이가 포함된다. 마킹 유닛(110)은, 화상 메모리(103)로부터 보내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급지된 시트에 화상을 인쇄한다. 마킹 유닛(110)은,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전자사진방식과 잉크젯 방식 등의 인쇄 방법을 사용하여도 된다. 그리고, 배지 유닛(111)은, 마킹 유닛(110)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 시트를, 피니셔 유닛(112)에 반송한다.
피니셔 유닛(112)은, 복수의 배지 트레이(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배지 트레이 250, 260등)를 구비하고, 반송된 시트를 배지 트레이에 적재한다. 그 배지 트레이들은, 시트 적재부의 일례이며, 시트 적재 트레이라고도 부른다. 본 실시예에서는, CPU(102)가 직접, 피니셔 유닛(112)내의 모터 구동 제어부등에 지시를 내려서 그 배지 트레이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피니셔 유닛(112)이 독자적으로 CPU를 구비하여, CPU(102)와 데이터와 코맨드를 주고받아서 피니셔 유닛(112)을 제어하여도 된다. 피니셔 유닛(112)에서는, 스테이플 처리나 소트(sort)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에서 설명한 리더부(105) 및 프린터부(108)의 구성의 상세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리더부(105) 및 프린터부(108)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다.
리더부(105)의 원고 급지 유닛(feeder)(107)은, 원고를 선두 페이지로부터 1매씩 급지하여, 플래튼(platen) 유리(201) 위에 반송한다. 반송된 원고는, 그 원고를 판독하는 동작이 완료된 후, 원고 배지 트레이(209)에 배출된다.
그 원고가 플래튼 유리(201) 위에 반송되면, 리더부(105)는, 램프(202)를 점등하고, 광학 유닛(203)에 의해 그 원고에 빛을 비춘다. 이때,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미러(204, 205, 206) 및 렌즈(207)에 의해 전하결합소자(CCD) 이미지센서(208)(이하, "CCD 208"이라고 한다)에 인도된다. 그리고, 그 원고의 화상은 CCD(208)에 의해 판독된다. CCD(20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 후, 제어장치(101)에 전송된다.
또한, 리더부(105)는, 원고 급지 유닛(107)과 플래튼 유리(201)의 사이에 놓인 원고의 화상을 판독한다. 이 경우, 리더부(105)는, 램프(202)를 점등하고, 광학 유닛(203)을 이동시킨다. 이 때의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은, 미러(204, 205, 206) 및 렌즈(207)에 의해 CCD(208)에 인도된다. 그리고, 원고의 화상은 CCD(208)에 의해 판독된다. CCD(208)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는, 소정의 처리가 실행된 후, 제어장치(101)에 전송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CCD(208)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콘택트 이미지 센서(CIS: Contact Image Sensor)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여도 좋다. 상기 CIS에서 원고의 화상을 판독할 경우, 미러(204, 205, 206) 및 렌즈(207)는 불필요하고, 광학 유닛(203)의 위치에 그 CIS가 설치되어 있다.
프린터부(108)에 있어서, 레이저 드라이버(214)는, 레이저 발광부(215)를 구동하여, 제어장치(101)의 화상 메모리(103)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한 레이저 광을 레이저 발광부(215)에 발광시킨다. 이 레이저 광은 감광 드럼(216)에 조사되어, 감광 드럼에는 레이저 광에 대응한 잠상이 형성된다. 이 감광 드럼(216)의 잠상의 부분에는 현상기(217)에 의해 현상제가 부착되어진다.
또한, 프린터부(108)는, 급지 유닛(109)으로서, 각각 서랍의 형상을 한 카세트(210, 211, 212, 213)를 구비한다. 유저는, 각각 급지 카세트를 인출하고, 그 급지 카세트에 용지를 보급하고 나서, 그 급지 카세트를 닫아서 용지를 보급할 수 있다. 프린터부(108)는, 급지 유닛(109)으로서, 한층 더, 수동 급지 트레이를 구비하여도 된다.
프린터부(108)는, 카세트 210, 211, 212, 213과, 수동 급지 트레이 중 하나로부터 기록지 (시트)를 급지하여, 전사부(218)에 반송로(222)를 통해서 반송한다. 전사부(218)는, 감광 드럼(216)에 부착되어진 현상제를 기록지에 전사한다. 현상제가 전사된 기록지는 반송 벨트(219)에 의해 정착부(220)에 반송되어, 정착부(220)의 열과 압력에 의해 현상제는 기록지에 정착된다. 그 후에, 정착부(220)를 통과한 기록지는, 반송로 226과 반송로 225를 지나 반송되어 배출된다. 또한, 기록지의 인쇄면을 반전하고 나서 기록지를 배출할 경우에는, 정착부(220)를 통과한 기록지는, 반송로 227, 239까지 인도된다. 반송로 227, 239로부터의 기록지는,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반송로 228, 225를 통해 반송되어 배출된다.
양면인쇄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기록지는, 정착부(220)을 통과한 뒤, 반송로 227을 통해 반송되어, 플래퍼(flapper)(221)에 의해 반송로 224에 인도된다. 그 후에, 기록지는, 역방향으로 반송되어, 플래퍼(221)에 의해, 반송로(239)에 인도된 후, 재급지 반송로(223)에 인도된다. 재급지 반송로(223)에 인도된 기록지는, 전술한 타이밍에서 반송로(222)를 통과하여, 전사부(218)까지 반송된다. 전사부(218)에 의해 이미 화상이 전사된 제1면과는 다른 제2면에, 현상제가 전사부(218)에 의해 전사된다. 그리고, 기록지는, 정착부(220)를 통해서 반송로(225)에 인도된다.
한면 기록과 양면 기록에 관계없이, 반송로(225)를 통해서 반송된 기록지는, 피니셔 유닛(112)에 반송된다.
피니셔 유닛(112)에 반송된 기록지는, 우선 버퍼 유닛(229)에 보내진다. 버퍼 유닛(229)에서는, 상기 반송된 기록지를, 경우에 따라 버퍼 롤러에 감아서 버퍼링 한다. 예를 들면, 이 하류에서 행해지는 스테이플 등의 처리에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이 버퍼 유닛(229)을 이용하여 본체로부터 반송된 기록지의 반송 간격을 조정한다. 그 후, 기록지는, 상류 배출 롤러쌍(230)과 하류 배출 롤러쌍(231)에서 반송로(234)를 통해 반송되어, 배지 트레이250 또는 배지 트레이260에 배출된다.
쉬프트 소트나 스테이플이 설정되어 있을 경우, 상류 배출 롤러쌍(230)에 의해 반송된 기록지가, 상류 배출 롤러쌍(230)을 빠진 직후, 하류 배출 롤러쌍(231)에 기록지의 하류단부가 협지된 상태에서 하류 배출 롤러쌍(231)이 역회전됨으로써, 스택 트레이(232)에 적재된다. 스택 트레이(232)는, 스택 트레이(232)상의 용지를 검지하는 스택 트레이 용지 유무 검지 센서(243)를 구비한다.
쉬프트 소트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택 트레이(232)에 1부수의 시트 다발이 적재되면, 스택 트레이(232)에 적재된 시트의 다발은, 시트 다발의 직전에 배지된 시트의 다발로부터 소정량만큼 좌우로 어긋나고 나서,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배출된다. 이렇게 하여, 유저는 각 부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시트의 다발이 어긋난 폭(상기 소정량)은, 예를 들면, 1cm로 하지만, 1cm이외의 폭이어도 된다.
또한, 스테이플이 지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택 트레이(232)에 1부수의 시트 다발이 적재되면, 스택 트레이(232)에 적재된 시트 다발에 대하여 스테이플 유닛이 스테이플 처리를 행한다. 스테이플링된 시트 다발은, 하류 배출 롤러쌍(231)에 의해 배지 트레이 250 또는 260에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피니셔 유닛(112)은, 2개의 배지 트레이, 즉 배지 트레이 250과 260을 구비한다. 상측의 배지 트레이를 배지 트레이 250이라고 하고, 하측의 배지 트레이를 배지 트레이 260이라고 한다. 이와는 달리, 피니셔 유닛(112)은, 3개 이상의 배지 트레이를 구비하여도 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MFP는, 시트 적재부를 복수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하나의 배지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면, 시트 다발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져서, 시트 다발이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복수의 배지 트레이에 시트를 적재하여, 배지 트레이 위에 적재된 시트 다발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아질 가능성이 없어 시트 다발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피니셔 유닛(112)에서는, 배지 트레이(250, 260)에 적재된 시트의 양에 따라, 모터부에 의해 배지 트레이(250, 260)를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다. 승강용 모터(251)는, 배지 트레이(250)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승강용 모터(261)는, 배지 트레이(260)를 상승 및 하강시키도록 구성된다. 승강용 모터(251, 261)는, CPU(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동작한다. 예를 들면, 승강용 모터(251)가 CPU(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정회전하여 배지 트레이(250)가 상승하고, 승강용 모터(251)가 역회전하여 배지 트레이(250)가 하강한다. 또한, 승강용 모터(261)가, CPU(102)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정회전하여 배지 트레이(260)가 상승하고, 승강용 모터(261)가 역회전하여 배지 트레이(260)가 하강한다.
피니셔 유닛(112)에서는, 위치 검출부(252)에 의해, 상승, 하강후의 배지 트레이(25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검출부(262)에 의해, 상승, 하강후의 배지 트레이(260)의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배지 트레이(250) 상단 센서"(270)는, 배지 트레이(250)가 상승 동작에 의해 가동 범위의 상한에 도달한 것을 판단하기 위한 센서다. "배지 트레이(250) 상단 센서"(270)는, 배지 트레이260 위에 시트를 적재하고 있는 동안에 배지 트레이250의 대피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이 대피 위치에 배지 트레이250이 도달한 것을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상에 적재된 시트 양에 따라,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가 하강하는 경우의 적재의 상한을 판정하기 위한 센서다.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한위치에 위치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과 260 함께 시트 적재중에 서서히 하강시킨다. 그리고, 시트가 적재된 배지 트레이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의 위치에 도달하면, CPU(102)는, 그 배지 트레이가 풀(full)인 것을 검지하고, 그 배지 트레이에 그 이상의 시트 적재를 행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CPU(102)는,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의 위치에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이 도달할 때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지 않은 다른 배지 트레이(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가 있을 경우에는, 배지 트레이 변경 제어를 행한다.
또한, 배지 트레이(250, 260)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시트 유무 검지 센서를 구비한다. 이 시트 유무 검지 센서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적재된 시트의 유무를 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 시트 유무 검지 센서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 위에 돌출하는 스위치가 시트의 무게로 밀려 내려가는 것을 검지함으로써,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위에 시트가 적재되어 있는 것을 검지한다. 이 스위치는, 시트1매의 무게에 의해서도 밀려 내려갈 수 있다. 시트 유무 검지 센서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가 존재할 경우에, 시트가 존재하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CPU(102)에 송신한다. 한편,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시트 유무 검지 센서는, 시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CPU(102)에 송신한다. CPU(102)는, 시트 유무 검지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MFP는, 복수종류의 잡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FP는, 리더부(105)에 의해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고,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해당 화상 데이터와 조작부(104)를 통해서 수신한 설정에 의거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시킴으로써, 카피 잡을 실행한다. 또한, MFP는, PC로부터 수신한 인쇄 데이터를 해석하고, PC로부터 수신한 인쇄 설정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시킴으로써, 프린트 잡을 실행한다. 한층 더, MFP는, 전화 회선을 거쳐서 외부의 팩시밀리 장치로부터 코드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코드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시트에 화상을 인쇄하여서, 팩스/프린트 잡을 실행한다.
MFP에서는, 상술한 복수의 잡을 수신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13)에 순차적으로 기억하고, CPU(102)가 그 잡이 불휘발성 메모리(113)에 기억된 순서로 잡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MFP가 복수종류의 잡을 실행하는 것을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MFP는, 상기 복수종류의 잡 중 일부의 잡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도 3a 내지 3d, 도 4a 내지 4d, 도 5a, 5b 및 도 6a 내지 6d는, 배지 트레이 풀시의 적재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다.
도 3a 내지 3d는,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를 적재한 뒤에,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를 적재했을 경우의 모식도다.
도 3a는, 먼저,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를 적재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3b와 같이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5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그리고, 하강한 배지 트레이(25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면,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어 있다(배지 트레이 풀)고 판단하고,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이후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 (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를 서서히 하강시킴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지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에 의해, 배지구가 막혀버려, 시트를 배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시트의 최상면이 배지구 부근에 위치하도록 배지 트레이를 승강시켜 배지구로부터 배지된 시트를 안정하게 적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매의 시트를 배지할 때마다 배지 트레이를 하강시키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2매이상의 소정의 매수의 시트를 다발로 배지할 때마다 배지 트레이를 하강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10매의 시트를 배지할 때마다 배지 트레이를 하강시켜도 좋다. 다시 말해, CPU(102)가,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적재된 시트 양에 따라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을 하강시키도록 구성되면 된다.
그 후, 도 3c는 배지 트레이250으로부터 배지 트레이260에 배지 트레이 변경을 한 직후의 상태다. CPU(102)는, 과도한 시트가 적재된 배지 트레이250을 "배지 트레이(250) 상단 센서"(270)의 지점까지 상승시키고, 또한, 배지 트레이260을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이동시킨다. 끝으로, 도 3d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6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6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면,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어 있다(배지 트레이 풀)고 판단한다. 배지 트레이250, 260 모두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면, CPU(102)는, 출력을 정지한다.
도 4a 내지 4d는,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를 적재한 뒤에,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를 적재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먼저, 도 4a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를 적재하고 있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4b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6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6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면,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어 있다고 판단하고,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이후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다. 또한, 과도한 시트의 적재는, 배지 트레이 풀이라고도 한다.
그 후, 도 4c는 배지 트레이260으로부터 배지 트레이250으로 배지 트레이 변경을 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50)를 하강시킨다. 동시에,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 위에 적재한 시트가 배지 트레이250에 충돌하지 않도록 배지 트레이(260)도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4d와 같이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5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동시에, 또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 위에 적재한 시트가 배지 트레이(250)에 충돌하지 않도록 배지 트레이(260)도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5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면,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었다고 판단한다. 배지 트레이250과 배지 트레이260 양쪽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가 되면, CPU(102)는, 출력을 정지한다.
도 5a 및 5b는,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500)이 있는 상태에서,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를 적재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도 5a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시트가 적재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5b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상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6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60)가 이물질(500)에 충돌할 때, 배지 트레이(260)는 의사적으로 과도한 적재가 된다.
예를 들면, 도 5a 및 5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 밑에,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을 방해하는 장해물(이물질500)이 두어져 있으면, 배지 트레이(260)는, 이물질(500)에 충돌하여, 그 이상 하강할 수 없다. 그 후도, 배지 트레이(260)을 하강시키려고 하면, 배지 트레이(260)와 승강용 모터(261)에 부하가 걸려, 배지 트레이(260)가 파손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CPU(102)는, 승강용 모터(261)를 구동함에도 불구하고 배지 트레이(260)의 위치가 변하지 않는 것을 위치 검출부(262)로 검지했을 경우,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했다고 판정하여,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이것에 의해, 장해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지 트레이(260)를 하강시킴으로써, 배지 트레이(260)와 승강용 모터(261)가 파손되는 것을 막는다. 상술한 것처럼,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했을 경우,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 밑에 장해물 등이 있다고 판단하고, 또 의사적으로 과도한 적재가 된다고 판단한다.
또한,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 등이 없는 통상의 시트의 과도한 적재일 경우에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되어 있지 않다. 이에 따라, CPU(102)는, 도 4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다. 그러나,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 등이 있는 상기 의사적인 과도한 적재일 경우에는, 배지 트레이(260)를 그 이상 하강할 수 없다. 따라서, 또 하나의 배지 트레이인 배지 트레이250을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하강하는 데는, 배지 트레이260을 더욱 하강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배지 트레이를 변경할 수 없다. 이에 따라서,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함으로써,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를 적재중에 이물질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를 변경하지 않는다(변경을 금지한다). 이 경우, CPU(102)는, MFP를 인쇄 정지시킨다.
도 6a 내지 6d는,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500)이 있을 때,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를 적재한 뒤에,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를 적재했을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다.
먼저, 도 6a는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 양쪽에 시트를 적재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다. 다음에, 도 6b와 같이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5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또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이 배지 트레이250에 충돌하지 않도록, 배지 트레이250의 하강에 따라, 배지 트레이260도 서서히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60)이 이물질(500)에 충돌하면, 배지 트레이(260)는 의사적인 과도한 적재가 된다. 이 경우, CPU(102)는, 의사적인 과도한 적재가 배지 트레이250과는 다른 배지 트레이260에 이후의 시트를 적재하도록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다. 도 6a 내지 6d에 나타낸 경우는, 배지 트레이250으로부터 배지 트레이260으로 배지 트레이를 변경할 때에도 도 5a 및 5b에 나타낸 경우와는 다르다는 점에서, 배지 트레이260이 배지 트레이260 밑의 이물질(500)과 충돌하지 않을 것이다. 그 때문에, 이 경우에는, 배지 트레이가 변경될 수 있다. 다시 말해,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으로부터 배지 트레이260으로의 변경을 허가한다.
그 후, 도 6c는 배지 트레이250으로부터 배지 트레이260으로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CPU(102)는,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된 배지 트레이250을 "배지 트레이250 상단 센서"(270)의 지점까지 상승시키고, 배지 트레이260을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한다. 끝으로, 도 6d와 같이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적재될 때마다 시트의 지면높이가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배지 트레이(260)를 서서히 하강시킨다. 하강한 배지 트레이260이 이물질(500)에 충돌하면, 배지 트레이250은 의사적인 과도한 적재가 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과 260 모두에 과도하게 시트가 적재되기 때문에, 출력을 정지시킨다.
도 7 및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101)의 제어 방법을 예시하는 흐름도다. 이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는, 흐름도에 근거하는 제어프로그램을 CPU(102)가 ROM(115)으로부터 판독하여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유저에 의해 조작부(104)의 스타트 키가 눌리면, 단계S701에 있어서, CPU(102)는, 리더부(105)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고, 판독된 원고의 화상을 프린터부(108)에 의해 인쇄하는 카피 잡의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피 잡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인쇄를 실행해야 할 잡이면, 전술한 프린트 잡이나 팩스/프린트 잡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단계S701의 인쇄 처리가 완료하면, 단계S701에서, CPU(102)는, 이 시점에서 출력처(적재처)인 배지 트레이(이하, 그 배지 트레이를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라고 함)의 이동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702에서 실행된 처리에서는,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시트를 출력 가능한 상태,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풀인 상태, 또는,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이 검지된 상태 중 어느 상태인가도 판단한다. 그 처리를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단계S703에서는, CPU(102)는, 상기 단계S702의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3에서 NO), CPU(102)는, 단계S70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4에서는, CPU(102)는, 상기 단계S702의 처리 결과에 의거하여,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트레이 풀(과도하게 시트가 적재)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도 8에 상세히 나타낸 것처럼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704에 있어서,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풀은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4에서 NO), 단계S705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5에서는,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에 시트를 배지하고, 단계S7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6에서는, CPU(102)는, 상기 잡의 모든 인쇄를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인쇄가 완료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6에서 NO), 단계S701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인쇄를 계속한다. 한편, 상기 단계S706에 있어서, CPU(102)는, 인쇄 완료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6에서 YES), 본 흐름도에 나타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S704에 있어서,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풀이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4에서 YES), 단계S70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7에서는, CPU(102)는, 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풀이 아닌 또 다른 배지 트레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7에서 YES), 단계S7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8에서는,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처를 변경한다. 그 후, 단계S702에 처리를 진행시키고,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를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707에 있어서, CPU(102)는, 풀이 아닌 다른 배지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7에서 NO), 단계S709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09에서는, CPU(102)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조작부(104)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조작부(104)를 제어하고, 시트의 적재 및 인쇄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0은, 도 7의 단계S709에 있어서 조작부(104)의 표시부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하는 도다.
도 10에 나타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상에 적재된 용지를 제거하기를 유저에게 재촉하는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모든 배지 트레이에 과도한 시트가 적재된 후에도, 어느 하나의 배지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가 제거된 것을 검지했을 경우, CPU(102)는, 상기 시트가 제거된 배지 트레이를 반송로(234)의 높이에 맞도록 이동시킨다. 그리고, CPU(102)는, 상기 시트가 제거된 배지 트레이에 시트를 배지하고, 단계S701에 처리를 되돌아가서 인쇄를 재개시킨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S703에 있어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 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03에서 YES), 단계S710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10에서는, CPU(102)는, 풀이 아닌 다른 배지 트레이가 존재하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10에서 NO), 단계S711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11에서는, CPU(102)는, 도 1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조작부(104)의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조작부(104)를 제어하고, 시트의 적재 및 인쇄 동작을 정지시킨다.
도 11은, 도 7의 단계S711에 있어서 조작부(104)의 표시부에 표시된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을 예시하는 도다.
도 11에 나타낸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은, 배지 트레이상의 용지를 제거하기를, 혹은 배지 트레이 밑에 두어진 이물질을 제거하기를 유저에게 재촉하는 것이다. 버튼(11001)은, 유저가 이물질(장해물)을 제거할 때 유저가 누르기 위한 버튼이다.
예를 들면, 배지 트레이(260) 밑의 이물질이 장해가 되어서 배지 트레이(260)가 의사적으로 과도한 적재가 되었을 경우, 배지 트레이(260)에 적재된 시트가 제거된 것을 검지하면,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를 반송로(234)의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배지 트레이(250)가 의사적으로 과도한 적재가 되었을 경우, 배지 트레이250 또는 260에 적재된 시트가 제거된 것을 검지하면, CPU(102)는, 시트가 제거된 배지 트레이를 반송로(234)의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또한,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검지하면,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를 하강시켜, 출력처(적재처)의 배지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 다발의 높이를 반송로(234)의 높이까지 이동시킨다.
그리고, CPU(102)는, 배지 트레이에 시트를 배지하고, 단계S701에 처리를 되돌아가서 인쇄를 재개시킨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생산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버튼(11001)이 눌렸을 경우에, CPU(102)는, 이물질(장해물)이 제거된 것을 검지하고,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의 이상이 해결된 것이라고 판단한다. 배지 트레이(260) 밑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고, 상기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것을 검지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하, 도 7의 흐름도의 설명으로 되돌아간다.
상기 단계S710에 있어서, CPU(102)는, 풀이 아닌 또 다른 배지 트레이가 존재한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10에서 YES), 단계S71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12에서는, CPU(102)는, 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에 트레이 변경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그 트레이 변경이 가능한가 아닌가의 여부는, ROM(115)내에 격납된 트레이 변경 가능성 테이블(도 9)에 근거해서 판단된다.
도 9는, 도 7의 단계S712에서 CPU(102)가 참조하는 ROM(115)내의 트레이 변경 가능성 테이블을 예시하는 모식도다.
트레이 변경 가능성 테이블에는, "현재의 출력처", "트레이 변경후의 출력처", 및 "트레이 변경의 가능성"의 항목이 있다. 도 9에 나타낸 트레이 변경 가능성 테이블에서, 현재의 출력처가 배지 트레이250이고, 트레이 변경후의 배지 트레이가 배지 트레이260일 경우에는, 트레이 변경(트레이 전환)이 가능하다고 CPU(102)는 판단한다. 또한, 현재의 출력처가 배지 트레이260이고 트레이 변경후의 배지 트레이가 배지 트레이250일 경우에는, 트레이 변경(트레이 전환)이 불가능하다고 CPU(102)는 판단한다.
이하, 도 7의 흐름도의 설명에 돌아간다.
상기 단계S712에 있어서, CPU(102)는, 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로 트레이 변경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12에서 NO), CPU(102)는, 배지 트레이의 변경을 금지하고, 전술한 단계S711을 실행한다. 단계S711의 상세 내용의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단계S712에 있어서, CPU(102)는, 풀이 아닌 배지 트레이로 트레이 변경이 가능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712에서 YES), CPU(102)는, 배지 트레이의 변경을 허가하고, 단계S71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713에서는,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를 변경한다. 그 후, 단계S702에 처리를 진행시키고,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를 이동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도 8을 참조하여, 도 7의 단계S702의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의 이동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단계S801에 있어서,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배지 트레이250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배지 트레이250이 아니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1에서 NO), 단계S80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2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를 "배지 트레이250 상단 센서"(270)의높이까지 상승시키고, 단계S8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3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상의 용지다발의 지면을 반송로(234)의 높이까지 이동하고, 단계S80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4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4에서 YES), 단계S806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6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가 트레이 풀 상태라고 판단하고,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804에 있어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4에서 NO), 단계S805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5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5에서 NO), 단계S807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7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에 시트가 출력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805에 있어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5에서 YES), 단계S811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1에서는, CPU(102)는, 이물질이 검지되었다고 판단하고(이물질 검출 상태),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5로부터 단계S811의 처리로 진행하는 경우에,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가 의사적으로 트레이 풀 상태에 있다고도 판단한다.
상기 단계S801에 있어서, CPU(102)는, 출력처의 배지 트레이가 배지 트레이(250)라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01에서 YES), CPU(102)는, 단계S808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8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상에 적재된 용지다발의 지면을 반송로(234)의 높이까지 이동시키고, 단계S809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09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상에 적재된 용지다발의 지면이 배지 트레이250과 충돌하지 않도록, 배지 트레이260을 하강시키고, 단계S810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구체적으로,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을 하강할 경우, 배지 트레이250과 그 배지 트레이250 하측에 설치된 배지 트레이260간의 거리에 따라, 배지 트레이260을 하강시킨다. 배지 트레이250과 배지 트레이260간의 거리는, 배지 트레이260 위에 용지다발이 적재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용지다발과 배지 트레이250간의 거리가 된다.
단계S810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했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10에서 YES), 상기 단계S811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1에서는, CPU(102)는, 이물질이 검지되었다고 판단하고(이물질 검출 상태),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0로부터 단계S811의 처리로 진행하는 경우,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의사적으로 트레이 풀 상태에 있다고도 판단한다.
한편, 상기 단계S810에 있어서, CPU(102)는, 배지 트레이(260)의 하강시에 이상을 검지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10에서 NO), 단계S812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2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단한다.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지 않았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12에서 NO), 단계S81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3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에 시트가 출력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한편, 상기 단계S812에 있어서,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과도한 시트 적재 검출 센서"(271)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S812에서 YES), 단계S814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단계S814에서는, CPU(102)는, 배지 트레이(250)가 트레이 풀 상태라고 판단하고, 도 7의 단계S703에 처리를 진행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가 하강하는 것을 장해물이 방해하는 경우에도,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가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50이면,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로 변경할 수 있어, 배지 및 인쇄를 계속할 수도 있음으로써, 보다 많은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가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260이면, 배지 및 인쇄를 정지하여 배지 트레이260을 강제로 이동시켜서 본 장치가 손상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배지 트레이가 2개일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배지 트레이가 3개이상 있어도 좋다.
이 경우, 가장 하측(가장 아래)의 배지 트레이 밑에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경우, CPU(102)는, 현재의 배지 트레이보다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 공간이 사용 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로 배지 트레이를 변경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한편, 현재의 배지 트레이보다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 공간이 사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의 배지 트레이보다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 공간이 있는 경우에도, CPU(102)는, 상기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로 배지 트레이를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다. 다시 말해, CPU(102)는, 상기 이물질이 검지되었을 경우, 현재의 배지 트레이보다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의 변경은 허가하고, 시트의 적재와 인쇄 처리를 계속한다. 그러나, CPU(102)는, 현재의 배지 트레이보다 상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로의 변경은 제한(금지)하고, 시트의 적재와 인쇄 처리를 중지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해,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의 하강이 장해물에 의해 방해되는 경우에도, 상기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의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 공간이 사용 가능하면, 이 배지 트레이를 변경하고 배지 및 인쇄를 계속함으로써, 보다 많은 시트를 적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가 가장 하측의 배지 트레이이거나, 상기 배지처의 배지 트레이의 하측에 있는 배지 트레이에 공간이 사용 가능하지 않으면, 배지 및 인쇄를 중지하고, 배지 트레이를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본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배지 트레이의 하강이 장해물에 의해 방해되어 경우에도, 시트 적재 장치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하고, 가능할 경우에는, 보다 많은 시트를 적재 가능하게 하여 인쇄 처리를 계속되게 할 수 있다.
각종 데이터의 구성 및 내용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데이터는 용도나 목적에 따라 구성과 내용이 여러 가지이어도 된다.
이상,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시스템, 장치, 방법, 프로그램, 기억매체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거나, 하나의 기기로 이루어진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억매체(예를 들면,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본 발명의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여서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진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 또는 기타 회로소자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되고,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컴퓨터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와,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8)

  1.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및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하측에 있고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장치로서,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수단; 및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상에 적재된 시트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및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수단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시트 적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수단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시트 적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장해물을 제거하도록 유저에게 재촉하는 통지를 제공하는 통지수단을 더 구비한, 시트 적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수단에 의한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의 시트의 배출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시트 적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출수단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시트의 양이 소정량에 도달했기 때문에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수단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시트 적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을 시트에 인쇄하는 인쇄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배출수단은, 상기 인쇄수단에 의해 화상이 인쇄된 시트를 배출하는, 시트 적재 장치.
  7.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하측에 있고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단계와;
    상기 배출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상에 적재된 시트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및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단계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8.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와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하측에 있고 승강되도록 구성된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도록 구성된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또는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배출단계와;
    상기 배출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상에 적재된 시트의 양에 따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 및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및
    상기 배출단계에 의해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에 시트를 배출하는 동안, 장해물이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를 하강하지 못하게 하는 경우에, 상기 배출단계에 의한 시트의 배출처를 상기 제1 시트 적재 트레이로부터 상기 제2 시트 적재 트레이로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기억매체.
KR1020150060190A 2014-05-01 2015-04-29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8249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94483A JP6153494B2 (ja) 2014-05-01 2014-05-01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積載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JP-P-2014-094483 2014-05-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6290A KR20150126290A (ko) 2015-11-11
KR101824917B1 true KR101824917B1 (ko) 2018-02-02

Family

ID=53488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190A KR101824917B1 (ko) 2014-05-01 2015-04-29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81540B2 (ko)
JP (1) JP6153494B2 (ko)
KR (1) KR101824917B1 (ko)
CN (1) CN105034616B (ko)
DE (1) DE102015005291A1 (ko)
GB (1) GB252765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658A1 (ja) * 2014-10-24 2016-04-28 グローリー株式会社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及び紙葉類処理方法
EP3386770B1 (en) 2015-12-09 2022-08-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presenting media sheet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to printed media sheets within an output tray
JP7039246B2 (ja) * 2017-10-18 2022-03-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147175B2 (ja) * 2018-02-26 2022-10-0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システム、印刷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678487B2 (en) * 2018-06-20 2020-06-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utput bins with adjustable offset positions
JP2020062807A (ja) * 2018-10-17 2020-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7331471B2 (ja) * 2019-06-05 2023-08-23 株式会社リコー 積載装置、後処理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
JP7427433B2 (ja) * 2019-11-27 2024-02-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1143040A (ja) * 2020-03-11 2021-09-24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3032794A (ja) * 2021-08-27 2023-03-0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媒体排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23076845A (ja) * 2021-11-24 2023-06-0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シート後処理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425A (ja) 2004-10-15 2006-04-27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91352A (ja) * 2005-09-26 2007-04-12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5784B2 (ja) * 1997-03-06 2006-06-14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1097627A (ja) 1999-10-01 2001-04-10 Ricoh Co Ltd 用紙積載装置
JP3802305B2 (ja) * 2000-02-10 2006-07-2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積載装置
JP2001226022A (ja) 2000-02-15 2001-08-21 Nec Data Terminal Ltd 排紙装置
JP3890855B2 (ja) 2000-06-09 2007-03-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フィニッシャーの障害物検知装置
JP2006240839A (ja) 2005-03-04 2006-09-14 Pfu Ltd スタッカ装置
JP2006315812A (ja) * 2005-05-13 2006-11-24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4320A (ja) * 2006-05-26 2007-12-06 Murata Mach Ltd 用紙後処理装置
JP4556987B2 (ja) * 2007-11-14 2010-10-0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7891661B2 (en) * 2007-11-15 2011-02-2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157259B2 (en) * 2009-08-04 2012-04-17 Kabushiki Kaisha Toshiba Movable tray drive control device and movable tray drive control method
JP4920753B2 (ja) 2010-01-15 2012-04-1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777298B2 (ja) 2010-07-01 2015-09-0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6366338B2 (ja) * 2014-04-25 2018-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11425A (ja) 2004-10-15 2006-04-27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7091352A (ja) * 2005-09-26 2007-04-12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153494B2 (ja) 2017-06-28
US20150314978A1 (en) 2015-11-05
CN105034616B (zh) 2018-09-11
US9481540B2 (en) 2016-11-01
JP2015212180A (ja) 2015-11-26
CN105034616A (zh) 2015-11-11
DE102015005291A1 (de) 2015-11-05
KR20150126290A (ko) 2015-11-11
GB2527656A (en) 2015-12-30
GB201507481D0 (en) 201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917B1 (ko) 시트 적재 장치, 시트 적재 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9242829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101760361B1 (ko) 시트 적재장치, 시트 적재장치의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N109205350B (zh) 堆垛装置
US20160101955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4871320B2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9014581A (ja) シート搬送装置
US7891661B2 (en)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150151945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928574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hich receives an instruction to take out sheets stored in a storage portion
JP6600200B2 (ja) 画像形成装置
US20150151941A1 (en) Sheet stack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7334451B2 (ja)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9174819B2 (en) Sheet stack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sheet stack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4532681B2 (ja) 画像形成装置
US9764570B2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11336786B2 (en) Sheet discharging apparatus,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JP659860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2156022A (ja) シート搬送装置、画像処理装置、シート搬送方法及び搬送制御プログラム
JP2021084757A (ja) シート排出装置、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145579A (ja)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853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