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024B1 -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0024B1
KR101800024B1 KR1020110117038A KR20110117038A KR101800024B1 KR 101800024 B1 KR101800024 B1 KR 101800024B1 KR 1020110117038 A KR1020110117038 A KR 1020110117038A KR 20110117038 A KR20110117038 A KR 20110117038A KR 101800024 B1 KR101800024 B1 KR 1018000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ishing
control case
reel
op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0144A (ko
Inventor
히데끼 죠오
하루노부 구스모또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6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00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00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모터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조작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15)는, 조작 부재(210)를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오목 함몰부(210)와, 조작 부재(25)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22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CONTROL CASE OF ELECTROMOTIVE 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전동 릴은, 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의 낚시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장치의 방출부터 권취에 이르기까지, 낚싯대를 뱃전에 장착된 거치대에 둔 채로의 상태에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많지만, 최근에는, 손에 든 상태에서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보다 콤팩트화된 구성도 제품화되어 있다.
한편, 낚시용 전동 릴은, 스풀을 권취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의 후방에, 모터 출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회전 레버식으로 구성한 조작 부재, 혹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한 조작 부재를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제어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원판 형상의 회전 손잡이(조작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켜, 상방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을 압박하면서 회전 조작함으로써, 모터 출력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69700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92959호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루어 피싱에 사용되는 낚시용(베이트 캐스팅) 릴과 마찬가지로, 손에 든 상태에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도 요망되고 있지만, 종래의 소형화된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조작성의 면에서 더욱 개량해야 할 여지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질을 감지하면서의 서밍 조작이나 샤크리 조작, 후킹, 낚싯줄 권취 조작 등의 일련의 조작을,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측의 손에서 위화감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타입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이들 일련의 조작을 손에 든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어렵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스풀의 권취 조작을 행하는 조작 부재를,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손만으로 조작하는 것은, 조작 부재의 위치나 파지 상태, 릴의 무게 중심 밸런스의 관계로부터 곤란하다. 즉, 회전 레버식의 조작 부재의 경우에는, 릴 본체의 후방에 조작 부재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릴 본체를 파지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게 되어, 조작에 수반되는 회전 모멘트가 커져 조작에 피로를 초래하는 결과로 된다. 또한, 슬라이드 타입의 조작 부재의 경우에는, 제어 케이스의 후방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것을 상방으로부터 파지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이 슬라이드 타입의 것은, 특허 문헌 2에도 마찬가지의 것이 개시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조작 중에 조작 부재를 파지하는 엄지 손가락의 위치가 크게 이동하기 때문에, 파지 위치가 무게 중심 밸런스가 나쁜 위치로 되거나, 혹은, 그 변화가 지나치게 커지는 경우가 있어, 파지성이 나쁘다.
한편,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회전 손잡이형의 조작 부재)에서는, 릴의 높이 치수가 커져 버려, 낚싯대를 든 한손으로 릴도 파지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즉, 일반적으로 낚싯대를 든 한손으로 릴도 파지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을 고려하면, 조작 부재의 위치가 낮고, 조작 부재의 위치의 변화가 작은 축 지지식의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특허 문헌 2의 회전 손잡이형의 조작 부재는, 축 지지식이면서도, 그 밖의 각 구성 요소의 배치 관계에 관련하여, 조작 부재를 낮은 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 않다.
어쨌든, 조작 부재의 설치 위치는, 조작성이나 서밍성을 결정짓는 요인이며, 특히 조작 부재의 설치 가능 스페이스에서 큰 면적을 차지하는 제어 케이스와의 관련에서 충분히 검토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모터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조작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릴 본체의 좌우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를 갖는 낚시용 전동 릴의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상방의 전방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이며,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풀측에 위치하는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측 부위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오목 함몰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 함몰부는,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상기 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측 부위의 상면에 조작 부재를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오목 함몰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 함몰부가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상기 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동시에, 조작 부재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모터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조작 부재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를, 서밍 조작의 방해로 되지 않게 릴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릴이 장착되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때문에,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위화감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를 스풀의 상방에서 또한 제어 케이스의 후방측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릴 본체를 파지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또한, 조작에 수반되는 회전 모멘트가 커져 조작에 피로를 초래하는 바와 같은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즉, 무게 중심 밸런스, 조작성, 및, 파지성이 우수한 조작 부재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구성에 있어서, 오목 함몰부는, 스풀측(후방측)을 향하여 개구가 넓어지는 「ハ」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스풀 상에서의 서밍 조작으로부터 조작 부재의 조작으로의 이행을 장해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케이스가 배치되는 릴 본체의 측이 전방, 스풀이 배치되는 릴 본체의 측이 후방, 좌우측판이 배치되는 릴 본체의 측이 좌우(측방, 측부), 낚싯대에 설치되는 릴 본체의 측이 하방, 그 반대측이 상방으로서 방향이 규정된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 함몰부는, 제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개방되도록 제어 케이스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오목 함몰부가 제어 케이스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크기에 관계없이 제어 케이스를 박육으로 형성할 수 있고, 릴을 콤팩트하게 형성하여 릴의 양호한 파지 보유 지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어 케이스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면, 조작 부재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부재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릴 본체의 소형화, 릴의 파지성 및 조작 부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조작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회전 동작하는 조작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본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가 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기 때문에, 조작 부재의 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고(그 때문에, 회전 모멘트가 바뀌지 않고), 따라서, 파지 위치가 무게 중심 밸런스가 나쁜 위치로 되거나, 혹은, 그 변화가 지나치게 커진다고 하는 등의 일이 없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오목 함몰부의 측부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오목 함몰부의 좌우 측부의 공간을 유효 활용하여, 각도 센서의 내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각도 센서, 조작 부재, 제어 케이스의 유닛화도 가능해져,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각도 센서를 조작 부재의 회전축의 축선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져, 제어 케이스를 두껍게 하지 않고 각도 센서를 제어 케이스와 일체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됨으로써, 오목 함몰부 내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의 관계에서 제어 케이스의 다른 구성 요소의 배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조작 부재의 지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케이스 구조도 실현할 수 있어, 유익하다.
또한,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설치 구조부와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케이스에 걸리는 부하(조작 부재의 주위에는 큰 응력 부하가 걸림)와 각 구성 부품의 내구성(특히, 제어부의 IC 등은 구조적으로 약함)에 따른 각 구성 요소의 보호 및 방수 대책을 적절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 구조부와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서로 릴 본체의 전후에 배치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으면, 설치 구조부와 제어 본체부를 전후에 독립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메인터넌스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조립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공간 절약화를 위해서, 제어부와 표시부를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복수의 제어 기판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출력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조작 부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전방측으로부터 본 배면도.
도 5는 내부 기구가 부분적으로 도시되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평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내부 구동 기구를 측방으로부터 본 개략도.
도 7은 도 1의 A-A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8은 조작 부재, 각도 센서,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기구의 배치 형태를 상세하게 도시하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평면도.
도 9는 릴 본체의 제어 케이스 및 측판의 분해도.
도 10은 도 8의 B-B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1은 조작부 기구와 제어 케이스의 제어부 등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제어 케이스 부근을 이측(하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12는 도 1의 C-C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도 14의 (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도 15의 (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도 16의 (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도 17의 (a)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의 평면도, (b)는 그 단면도, (c)는 조작 부재의 이동 방향을 도시하기 위한 평면도.
도 18은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릴의 측방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9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한손으로 파지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릴의 상방으로부터 본 평면도.
도 20은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1은 제어 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낚시용 전동 릴(1)은, 좌우의 프레임(3a, 3b)에 좌우 커버(4a, 4b)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좌우측판(5A, 5B)을 구비한 릴 본체(5)를 갖고 있다. 릴 본체(5)를 구성하는 한쪽의 측판[우측판(5B)]측에는, 권취 조작되는 수동 핸들(6)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측판(5A, 5B) 사이에는,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7)이 스풀축(7a)(도 7 참조)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의 전방측에 있어서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 구동 모터(8)를 보유 지지하고 있고, 스풀(7)은,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10)(도 5 참조)를 통하여 낚싯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 모터(8)에 대해서는, 스풀(7)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풀(7)의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스풀(7)의 실패량을 확보하면서, 릴 본체(5)를 가급적 콤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력 전달 기구(10)에 대해서는,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스풀(7)측에 전달하는 기능[감속 기구(102) 및 전달 벨트(100)(도 5 참조) 등에 의해 달성됨], 구동 모터(8)가 회전 구동해도 수동 핸들(6)을 동반 회전시키지 않는 기능이나 수동 핸들(6)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래칫(104)을 포함함] 등을 구비한 공지의 것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와 같은 동력 전달 기구(10)에 대해서는, 좌측판(5A)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우측판(5B)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좌우측판 각각에 배분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면 중(특히 도 5), 참조 부호 116은 핸들(6)에 결합된 핸들축, 118은, 핸들축(1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드라이브 기어, 120은 드라이브 기어(118)에 맞물리는 피니언이며, 이들은 전술한 동력 전달 기구(10)를 구성한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125는 낚시시에 스풀(7)로부터 낚싯줄이 조출되었을 때에 스풀(7)의 회전에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공지의 드래그 기구이다. 또한, 릴 본체(5)와 핸들(6) 사이에는, 드래그 기구(125)에 의한 드래그력의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별형의 드래그 조정 노브(스타 드래그)(13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7)의 전방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는, 스풀(7)에 대하여 균등하게 낚싯줄을 권회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지의 레벨 와인드 기구(142)(도 6 및 도 7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5)를 구성하는 좌우측판(5A, 5B) 사이의 스풀(7)의 상방에는, 구동 모터(8)를 제어하는 제어부(100)(도 7, 도 11, 도 21 참조)를 구비하는 제어 케이스(15)가 배치되어 있다[제어부(10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 제어 케이스(1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어 부품을 수납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99)(도 11 참조)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제어 케이스(15)는, 도 11 및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 측벽의 외면의 일부에 홈부(430)를 갖고 있고, 이 홈부(430)에 좌우측판(5A, 5B)의 둘레 단부 테두리(432)가 결합 분리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제어 케이스(15)가 릴 본체(5)에 설치되고, 또한, 이 설치 상태에서,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은 좌우측판(5A, 5B)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 형상으로 된다. 또한, 제어 케이스(15)는,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5) 내에는, 피니언(120)을 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7)을 낚싯줄 권취 상태/프리 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17)(도 5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17)는, 동력 전달 기구(10)에 개재되어 수동 핸들(6) 및 구동 모터(8)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계탈(繼脫; ON/OFF)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17)를 구성하는 클러치 플레이트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 전달을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와, 동력 전달을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N 전환 부재(19)가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는, 스풀(7)을 서밍하면서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스풀(7)의 후방측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 다리를 놓는 것처럼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7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누름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17)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는, 도 6에 도시된 배분 보유 지지 스프링(400)에 의해, 도 7에 도시한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도시 생략) 사이에서 배분 보유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고, 배분 보유 지지 스프링(400)(도 6 참조)에 의해,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배분 보유 지지되어 있다.
릴 본체(5)에는, 구동 모터(8)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부(20)는, 좌측판(5A)의 전방측의 하면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이 급전부(20)에 대해서는, 착탈 가능한 휴대 배터리(22)(도 18 참조)를 장착하거나, 혹은, 발밑에 둔 배터리나 낚싯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부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급전 코드가 장착된다.
제어 케이스(15)는, 스풀(7)의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케이스(15)는,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의 상방에서, 그 회전축 O2[이 회전축으로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7)의 외측에 구동 모터(8)가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축(7a)의 축심(중심축)이 해당하지만, 스풀(7)의 내부에 구동 모터(8)가 배치되는 다른 형태에서는 스풀축(7a)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모터(8)의 회전축이 해당함] 근방으로부터 레벨 와인드 기구(142) 및 구동 모터(8)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고, 그 후방 부분에,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25)는, 스풀(7)의 상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낚싯대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스풀(7)의 상방이란, 스풀에 낚싯줄이 권회된 상태에 있어서,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이 가능해지도록, 조작 영역(엄지 손가락이 접촉하는 조작 영역)이, 스풀(7)의 회전축(O2)보다도 전방측에 다소 오프셋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는,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조작성이 양호해지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외표면(회전 표면)이, 좌우측판 사이에서 스풀(7)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 면하여, 회전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후방측으로부터 보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조작 부재(25)는, 릴 본체(5)를, 릴 다리 설치부(5a)를 통하여 낚싯대(R)에 장착하였을 때에,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R)와 함께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의 손의 엄지 손가락(T)이 닿는 위치이며, 제어 케이스(15)의 표시부(액정 패널)(16)의 후방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 부재로서 구성되는 조작 부재(25)는, 조작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25)는, 그 회전축(25a)의 양단부가 제어 케이스(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 지지)되어 있어(양축 지지되어 있음), 실얽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도 10). 또한, 조작 부재(25)가 좌우측판(5A, 5B)의 중앙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릴 본체(5)의 무게 중심에 대한 파지 위치의 밸런스가 좋아져, 조작성이 좋고, 피로감이 적은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또한, 오른손, 왼손 중 어느 쪽의 손으로 파지해도 공통의 감각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에 대해서는, 제어 케이스(15)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측판(5A, 5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케이스(15)의 후방 부위[제어 케이스(15)가 릴 본체(5)에 설치된 상태에서 스풀(7)측에 위치하는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측 부위]의 상면에는, 후방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으로 서밍한 채로 손끝으로 조작 부재(25)에 접촉하도록 오목 함몰부(개방부)(210)가 설치되고, 이 오목 함몰부(210) 내에 조작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오목 함몰부(210)는,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오목 함몰부(210)는, 스풀(7)측(후방측)을 향하여 개방 폭이 넓어지는 「ハ」자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제어 케이스(15)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개방되도록 제어 케이스(15)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목 함몰부(210)의 형상에 따르면, 스풀(7) 상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서밍 조작으로부터 조작 부재(25)의 조작으로의 이행을 장해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익하다.
여기서,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대략 원통 형상이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꽉 차 있어도 되고,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공동부가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그 밖의 형상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정확한 원통 형상은 물론, 주위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손가락으로 집거나, 대는 것이 가능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혹은, 축 방향의 중간 부분이 팽출되어 있거나,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등, 축 방향으로 엄지 손가락의 복부를 접촉할 수 있어 회전 조작을 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외형 형상을 구비한 것이면 된다. 또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적어도 일단부측의 회전 표면이, 제어 케이스(릴 본체)와의 사이에서 대략 동일한 높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부재(25)를, 낚싯대(R)와 함께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낚싯대(R)와 릴 본체(5)를 보유 지지한 자세에서 한손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엄지 손가락으로 서밍하면서, 엄지 손가락의 손끝으로 조작 부재(25)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밍에 의한 입질을 감지하면서, 바로 모터 구동에 의한 권취가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25)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서밍하거나 이격하거나 하는(접촉시키거나 이격하는) 손가락의 움직임과 동일 방향으로 되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25)를 회전 부재로 함으로써, 보다 넓은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예를 들어 후방으로부터의 조작이나 상방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해져, 공간 절약에 의해 조작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은, 릴 본체(5)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제어 케이스(15)의 표시부(16) 또는 제어부(100)를 피하도록, 스풀(7)의 회전축(7a)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을, 스풀(7)의 회전축(7a)과 대략 평행(평행을 포함함)하게 함으로써,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25)를 자유롭게 회전해도, 손가락[엄지 손가락(T)]의 위치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져,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의 밸런스가 나빠지는 일이 없어진다. 즉, 도 19 및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밖에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T)의 위치가 크게 가로로 어긋나는 일은 없고, 릴 본체의 무게 중심이나 급전부(20)에 걸리는 힘(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부(20)는 측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코드에 인장되는 힘이나 휴대 배터리의 중량 부하 등에 의해, 낚싯대(R)의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 부하에 의한 힘이 걸리기 쉬움)에 의한 비틀림 부하에 대하여, 조작성이 저하되거나 피곤해지기 쉬워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 경우, 조작 부재(25)를 회전시켰을 때의 손가락[엄지 손가락(T)]의 위치의 가로 방향의 어긋남을 고려하면, 대략 평행의 범위는, 스풀의 회전축에 대하여 ±30°의 범위로 정의해도 된다. 따라서, 조작 부재(25)의 변위 방향인 「대략 전후 방향」에는, 전후 방향(낚싯대의 축 방향)은 물론, 축 방향에 대하여 ±30°의 범위 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의 후방측에 있어서 전술한 제어 본체부(99)와는 독립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의 후방측 하단부 부분에, 조작 부재(25)와 스풀(7) 사이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오동작 방지부로서의 보호 커버(15c)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보호 커버(15c)를 형성해 둠으로써, 낚싯줄을 권취 조작할 때, 낚싯줄에 부착된 쓰레기나 이물질이 조작 부재(25)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25)를, 제어 케이스(15)에 있어서 제어 본체부(99)와는 독립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분해 청소 등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제어 케이스(15)에 대해서는, 파지되는 부분으로 되기 때문에, 강성이나 강도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어서의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즉, 조작 부재(25)를, 제어 본체부(99)와는 별개로 하여 제어 케이스(15) 내에 내장하는 구성으로 하지 않음(제어 케이스(15)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각 부품의 메인터넌스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중량 증가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것에 관련하여,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 후술하는 각도 센서(130),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기구와, 제어 케이스(15)의 제어부(100)가, 서로 릴 본체(5)의 전후에 배치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방수 처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내지 도 11(특히 도 10, 도 11 참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의 한쪽측을 축 지지하는 회전축(25a)은, 제어 케이스(15)에 지지되는 제1 지지 부재(220)에 일체 형성되어 있고, 회전축(25a)은, 통 형상의 조작 부재(25)의 내측 구멍에 O링(225)[조작 부재(25)의 회전에 절도감을 부여함]을 개재하여 시일 상태에서 삽입 관통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타방측은, 조작 부재(25)의 내측 구멍으로 돌출되는 각도 센서(130)의 내단부(130a)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내단부(130a)와 조작 부재(25)의 타단부 사이에는 칼라(229)가 개재 삽입되어 있다. 즉, 본 구성에서는, 각도 센서(130)와 조작 부재(25)가 축 길이 방향으로 겹쳐져 있고, 그것에 의해, 축 길이 방향에서 공간 절약화가 도모되고 있다. 또한, 각도 센서(130)는, 제2 지지 부재(230)에 의해 제어 케이스(15)에 대하여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 케이스(15)의 우측부에는,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15b)가 돌출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지 구조에 있어서, 도 1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 각도 센서(130), 및,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220, 230)로 이루어지는 조작부 기구와, 제어 케이스(15)의 제어부(100)[즉, 상자형의 제어부 본체(99)]가, 서로 릴 본체(5)의 전후에 배치됨과 동시에, 제어부(100)는 제어 케이스(15)[명확하게는, 제어 본체부(99)]의 배면에서 방수 덮개(300)에 의해 완전 시일 처리됨과 동시에, 상기 조작부 기구도 도시하지 않은 시일 수단에 의해 제어부(100)와는 독립적으로 방수 처리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도 센서(130) 자체가 완전하게 시일 처리되어 있다. 또한, 독립시키지 않고 제어 케이스(15) 내에 각도 센서(130)를 매립하여 방수 처리해도 되지만, 메인터넌스성에는 바람직하지 않다.
즉,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케이스(15)에는, 조작 부재(25)를 동작 가능하게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하여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로서, 제1 지지 부재(220)가 설치되고, 또한, 이 설치부와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는 수납부(15b)를 포함하는 제어 케이스(15)의 설치 구조부와, 제어부(100)와 표시부(16)를 포함하는 제어 케이스(15)의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99)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어 케이스(15)의 제어 본체부(99)에는, 도 7 및 도 2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모터(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제어 기판(120A, 120B)]가 수용되어 있어, 조작 부재(25)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서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조작 부재(25)를 전방을 향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낚싯줄의 권취를 행할 때,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전방으로 펴서, 조작 부재(25)를 밀어 올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낚싯줄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회전 조작량과 구동 모터(8)의 출력의 관계에 대해서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의 기준 위치를 모터의 출력값 0으로 하여, 120° 전방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모터 출력이 Max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전방 방향을 향하여 조작하였을 때에 증속으로 함으로써, 낚싯대와 릴 본체를 든 손에 부하가 걸리는 고속 권취 시에, 보다 전방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 보유 지지성이 높아져, 조작성이 좋고, 피로감이 적어진다.
물론,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후방을 향하여 회전 조작하였을 때에,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작 부재의 구성에 따르면, 스풀을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의 제1 관절을 절곡하는 동작을 하는 것만으로, 서밍 조작을 ON으로부터 OFF로 함과 동시에, 조작 부재를 전방측으로 회전 조작(구동 모터의 증속 회전)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구성으로 된다.
상기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에는, 조출된 낚싯줄의 길이(줄 길이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액정 표시부)(1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주위에는, 각종 정보가 설정 가능한 복수의 조작 버튼(216)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조작 버튼(216)은, 도 1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의 상면에 있어서, 표시부(16)와 조작 부재(25) 사이에서 또한 낚싯대(R)와 함께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이 닿는 위치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케이스(15)의 제어 본체부(99)에 수용되는 제어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1은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본체부(99)에 수용되는 제어부(100)는, 낚시용 전동 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 줄 길이를 계측하거나, 구동 모터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111),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112)을 실장한 제어 기판(마이크로컴퓨터)(120A, 120B)을 구비하고 있고, 이들 제어 기판(120A, 120B)에는, I/O 포트(115)를 통하여, 각 작동 요소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져, 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구성에서는, 공간 절약화를 위해서, 제어부(100)와 표시부(16)를 상하 방향으로 겹치도록 배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제어부(100)는, 복수의 제어 기판(120A, 120B)을 상하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 기판(120A, 120B) 사이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25)의 조작량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구체적으로는,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에 따라서 조작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각도 센서(130), 스풀(7)에 권회되어 있는 낚싯줄의 조출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줄 길이 계측 장치(140), 제어 케이스(15) 상에 설치된 액정 표시부(16)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회로(160), 제어 케이스(15) 상에 설치된 조작 버튼(16a, 16b) 및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정지 상태로부터 고출력치까지 연속적으로 증감 조정하는 모터 구동 회로(170)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110)는, ROM(11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것에 따라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I/O 포트(115)를 통하여 상기한 각 작동 요소에 공급함으로써 각 작동 요소를 제어하고, 낚시용 전동 릴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ROM(111)은, CPU(110)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제어 처리에 필요로 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줄 길이 계측 장치(140)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줄 길이를 계측하는 연산 프로그램,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와 그것에 대응하여 구동 모터(8)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듀티비를 특정하는 가변 제어 테이블, 액정 표시부(16)에서 문자나 숫자 등의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데이터 등]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RAM(112)은, 작업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처리 수순이나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 버튼(216)은, 예를 들어, 투입한 장치를 원하는 깊이에서 정지시키는 깊이 정보, 구동 모터(8)의 출력의 가변 범위를 변경하는 출력 범위 설정 정보 등, 낚시꾼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접수한다.
상기 줄 길이 계측 장치(140)는, 스풀(7)이 낚싯줄의 조출/권취로 회전 구동되었을 때, 예를 들어, 회전 부분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이것을 검지하는 자기 센서에 의해 실제의 회전량이나 회전 방향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 회로(170)는, 스풀(7)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8)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구동 회로(170)는, 예를 들어, 상기 CPU(110)로부터의 제어 신호(PWM 신호; 펄스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에 대한 구동 전류 통전 시간율(듀티비)을 가변 제어하여, 구동 모터(8)를 정지 상태(OFF 상태)부터 고속 회전 상태(Max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증감 조절한다. 또한, 상기 CPU(110)로부터는, 조작 부재(25)의 초기 위치(OFF 위치)로부터 실제의 조작량을 검지하는 각도 센서에 의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각도마다 설정되어 있는 듀티비에 관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표시 제어 회로(160)는, 상기 CPU(110)의 제어에 기초하여 구동되고, 액정 표시부(16)에 대하여, 예를 들어, 현재의 낚싯줄의 조출량, 장치를 투입하고나서의 시간, 구동 모터(8)의 구동 속도(인디케이터에 의한 표시이어도 됨), 혹은, 조작 방법이나 메시지 등, 낚시꾼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조작 부재(25)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130)는,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를 출력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한 것, 혹은, 조작량에 따른 펄스를 생성하는 인코더를 구비한 것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각도 센서(130)는, 예를 들어 도 1 및 도 9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6)측에 배치됨과 동시에,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의 축선(L) 상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도 센서(130)는, 릴 본체(5)의 한쪽의 측판[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판(5B)]과 제어 케이스(15)에 걸쳐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도 9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센서(130)는 그 우측 단부가 제어 케이스(15)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돌출 단부가 우측판(5B)측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9 중, 참조 부호 15A는, 제어 케이스(15)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이다. 또한, 각도 센서(130)가 측판(5B)과 제어 케이스(15)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에 수반하여, 제어 케이스(15)의 우측부에는, 도 3, 도 8, 도 9, 도 10[도 10은 도 8의 B-B선을 따르는 단면이며, 도면 하측이 상방, 도면 상측이 하방을 도시하고 있음]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기 위한 전술한 수납부(15b)가 돌출 설치되고, 한편, 측판(5B)에도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5Ba)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수납부(15b)는, 제어 케이스(15)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상방 돌출부(15ba)를 갖는다. 또한, 측판(5B)측의 수납부(5Ba)도 릴 본체(5)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부재(25)의 외경 치수와 각도 센서(130)의 외경 치수 간의 관계는, 이들 부재의 효율적이며 또한 공간 절약적인 배치 및 조작 부재(25)의 조작성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에 대응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의 외경 D1이 각도 센서(130)의 최대 외경(D2)의 0.8 내지 1.5배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의 외경(D3)은 4.0㎜ 이상 10.0㎜ 이하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7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릴 본체(5)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조작 부재(25)의 적어도 일부가 스풀(7)의 회전축(O2)과 전후 방향에서 겹쳐져 있고, 스풀(7)의 회전축(O2)을 통과하여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면(P)에 대한 스풀(7)의 상단부 부위의 수직 높이 치수(H1)와 수평면(P)에 대한 조작 부재(25)의 상단부 부위의 수직 높이 치수(H2) 간의 치수차는, 각도 센서(130)의 외경 치수(D2)의 1.2 내지 2.4배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이에 더하여, 각도 센서(130)는, 릴 본체(5)를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그 중심축(O1)[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의 축선(L)과 동일]이 스풀(7)의 회전축(O2)[스풀축(7a)의 중심축]보다도 예를 들어 치수 X만큼 전방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그 전단부 부위가 제어부(100)보다도 후방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측 부위의 상면에 조작 부재(25)를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오목 함몰부(210)가 설치되고, 이 오목 함몰부(210)가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상기 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동시에, 조작 부재(25)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지지 부재(220) 등]를 더 구비하기 때문에, 조작 부재(25)를 낮은 위치에서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R)와 릴 본체(5)를 한손으로 파지하면서,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원활하게 행하도록 조작 부재(25)를 설치할 수 있다. 즉, 조작 부재(25)를, 서밍 조작의 방해로 되지 않게 릴 본체(5)의 전방측에 배치하기 쉬워짐과 동시에, 릴이 장착되는 낚싯대(R)와 함께 릴 본체(5)를 한손으로 파지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T)이 닿는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서밍 조작으로부터 스풀(7)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위화감없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와 같은 일련의 조작의 흐름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7)의 표면 상에 엄지 손가락(T)을 접촉시킨 서밍 상태로부터, 엄지 손가락(T)을 전방 위로 비스듬하게 밀어 올림으로써 도 2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T)을 조작 부재(25)에 원활하게 접촉시킬 수 있고, 그대로, 도 20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T)으로 조작 부재(25)를 파지 보유 지지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25)를 스풀(7)의 상방에서 또한 제어 케이스(15)의 후방측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무게 중심에 가까운 위치에서 릴 본체(5)를 파지하면서 조작 부재(25)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해지고, 또한, 조작에 수반되는 회전 모멘트가 커져 조작에 피로를 초래하는 바와 같은 사태도 회피할 수 있다. 즉, 무게 중심 밸런스, 조작성, 및, 파지성이 우수한 조작 부재(25)의 배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오목 함몰부(210)가 제어 케이스(15)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25)의 크기에 관계없이 제어 케이스(15)를 박육으로 형성할 수 있고, 릴을 콤팩트하게 형성하여 릴의 양호한 파지 보유 지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제어 케이스(15)를 얇게 형성할 수 있으면, 조작 부재(25)의 설치 위치를 낮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 부재(25)의 소형화도 도모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릴 본체의 소형화, 릴의 파지성 및 조작 부재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함몰부(210)의 측부에, 조작 부재(25)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는 수납부(15b)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 함몰부(210)의 좌우측부의 공간을 유효 활용하여, 각도 센서(130)의 내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각도 센서(130), 조작 부재(25), 제어 케이스(15)의 유닛화도 가능해져, 생산성을 높일 수도 있다). 또한, 각도 센서(130)를 조작 부재(25)의 회전축의 축선 상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각도 센서(130)와 제어부(100)가 상면에서 보아 겹치는 일이 없어져, 제어 케이스(15)를 두껍게 하지 않고 각도 센서(130)를 제어 케이스(15)와 일체로 보유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케이스(15)는, 그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길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 함몰부(210) 내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25)와의 관계에 있어서 제어 케이스(15)의 다른 구성 요소의 배치 스페이스를 효율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조작 부재(25)의 지지 강도를 충분히 확보하는 케이스 구조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케이스(15)의 설치 구조부와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99)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 케이스(15)에 걸리는 부하[조작 부재(25)의 주위에는 큰 응력 부하가 걸림]와 각 구성 부품의 내구성[특히, 제어부(100)의 IC 등은 구조적으로 약함]에 따른 각 구성 요소의 보호 및 방수 대책을 적절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 구조부와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99)가 서로 릴 본체(5)의 전후에 배치된 상태에서 독립적으로 방수 처리할 수 있으면, 설치 구조부와 제어 본체부(99)를 전후로 독립적으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짐과 동시에, 메인터넌스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어, 조립성 및 메인터넌스성이 향상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의 폭 치수를 좁게 함으로써, 제어 케이스(15)의 센서용 수납부(15b)를 측방으로 돌출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다[각도 센서(130) 전체가 완전하게 제어 케이스(15) 내에 배치되어 있음].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릴 본체의 폭 치수를 감소시켜 콤팩트한 릴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함몰부(210) 내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25)가 제어 케이스(15)의 측부의 편측에서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외팔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사이즈의 오목 함몰부(210)에 있어서, 조작 부재(25)의 지지측과 반대측의 오목 함몰부(210) 내에 큰 스페이스(S)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스페이스(S)를 통하여 스풀(7)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백래쉬 발생시의 트러블 대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의 외면이 전방을 향하여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상승되는 테이퍼면(510)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25)는, 측방으로 회전 조작하도록, 그 회전축(25a)이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그것에 수반하여, 각도 센서(130)가 조작 부재(25)의 전방에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것에 관련하여, 제어 기판(120A, 120B)에는, 각도 센서(130)를 수납하기 위한 오목부(52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조작 부재(25)의 외면이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후방[도 15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을 오목 함몰부(210) 내에 진입시켜, 조작 부재(25)를 빠르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목 함몰부(210)가 제어 케이스(15)의 하면을 관통하지 않고 저면(550)을 갖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25)는 전방을 향하여 상승하는 경사면(552)을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오목 함몰부(2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552)은, 슬라이드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드식 배리어블 레지스터(가변 저항기)(560)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오목 함몰부(210)의 후단부측이 전단부측에 비해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도 16의 (a)의 화살표 방향]으로부터 손가락(예를 들어, 서밍 조작하고 있던 손가락)을 오목 함몰부(210) 내에 진입시켜, 조작 부재(25)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가, 오목 함몰부(210)의 원호 형상의 전방벽(570)을 따라서 좌우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도 17의 (c) 참조] 오목 함몰부(21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원호 형상의 슬라이드는, 곡면형 배리어블 레지스터(가변 저항기)(590)에 의해 가능해진다. 또한, 그 이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서밍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25)의 조작으로의 이행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부재(25)를 상방으로부터 누르는 것이 가능한 형상이기 때문에, 릴을 파지 보유 지지한 채로의 조작도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어 케이스(15)는 설치 구조부와 제어 본체부(99)를 적어도 포함하는 일체품으로서 형성되어 있지만, 제어 케이스(15)가 서로 별체의 복수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에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제어 케이스(15)의 적어도 상면 부분을 일체품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어 케이스(15)의 상면부와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99)를 각각의 부재로 조합하여 제어 케이스(15)로 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본체부(99)가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상자형을 이루고 있지만, 제어 본체부(99)의 상자형 형상은, 직육면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단면이 다각형인 임의의 상자형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1 : 낚시용 전동 릴
5 : 릴 본체
5A, 5B : 좌우측판
6 : 수동 핸들
7 : 스풀
8 : 구동 모터
15 : 제어 케이스
15b : 수납부
16 : 표시부
25 : 조작 부재
25a : 회전축
100 : 제어부
130 : 각도 센서
210 : 오목 함몰부
220 : 지지 부재(설치부)

Claims (17)

  1. 릴 본체의 좌우측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를 갖는 낚시용 전동 릴의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상방의 전방측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표시부를 구비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이며,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풀측에 위치하는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측 부위의 상면에는, 상기 조작 부재를 내측에 배치하기 위한 오목 함몰부가 설치되고, 이 오목 함몰부는,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 테두리에서 개방되어 상기 후단부 테두리로부터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조작 부재를 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설치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함몰부는, 제어 케이스의 상면 및 하면에서 개방되도록 제어 케이스를 상하로 관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상기 조작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함몰부의 측부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 함몰부의 측부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7. 제3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8. 제4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9. 제5항에 있어서, 전후 방향의 길이 치수가 좌우 방향의 길이 치수보다도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3.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와 상기 조작 부재의 조작 회전각을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를 수납하는 수납부를 포함하는 설치 구조부와, 상기 제어부와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자형의 제어 본체부가 전후로 분리되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KR1020110117038A 2010-12-01 2011-11-10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KR1018000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68318A JP5374483B2 (ja) 2010-12-01 2010-12-01 魚釣用電動リールの制御ケース
JPJP-P-2010-268318 2010-12-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44A KR20120060144A (ko) 2012-06-11
KR101800024B1 true KR101800024B1 (ko) 2017-11-21

Family

ID=46398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7038A KR101800024B1 (ko) 2010-12-01 2011-11-10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74483B2 (ko)
KR (1) KR101800024B1 (ko)
CN (1) CN1025505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5056B2 (ja) * 2011-08-25 2016-03-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JP5998114B2 (ja) * 2013-08-29 2016-09-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22185844A (ja) * 2021-06-03 2022-12-15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37A (ja) 1999-05-10 2000-11-21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0333571A (ja) 1999-05-28 2000-12-05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86391A (ja) 2000-12-18 2002-07-02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143359A (ja) 2003-11-13 2005-06-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878U (ja) * 1995-02-17 1995-08-22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リ−ル
JP2000166434A (ja) * 1998-12-02 2000-06-20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電源装置
JP2000270734A (ja) * 1999-03-24 2000-10-03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水深表示装置
JP2001346485A (ja) * 2000-04-05 2001-12-18 Shimano Inc 釣り用リールの表示装置
JP2002084935A (ja) * 2000-09-13 2002-03-26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操作部
JP2002125546A (ja) * 2000-10-27 2002-05-08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TW504367B (en) * 2000-12-18 2002-10-01 Shimano Kk A switch component and a motor control device of an electric reeling device
JP2003092959A (ja) * 2001-09-20 2003-04-02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ル
JP2003250400A (ja) * 2002-02-25 2003-09-09 Daiwa Seiko Inc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4236566A (ja) * 2003-02-05 2004-08-26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4357529A (ja) * 2003-06-02 2004-12-24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5134990B2 (ja) * 2008-01-31 2013-01-30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5134991B2 (ja) * 2008-01-31 2013-01-30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10263837A (ja) * 2009-05-15 2010-11-25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カウンタケース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16437A (ja) 1999-05-10 2000-11-21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0333571A (ja) 1999-05-28 2000-12-05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86391A (ja) 2000-12-18 2002-07-02 Shimano Inc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JP2005143359A (ja) 2003-11-13 2005-06-09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0144A (ko) 2012-06-11
CN102550510B (zh) 2014-02-12
CN102550510A (zh) 2012-07-11
JP2012115211A (ja) 2012-06-21
JP5374483B2 (ja)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44854B2 (en) Electric fishing reel
KR101800024B1 (ko)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KR101785730B1 (ko) 낚시용 전동 릴
JP2020078253A (ja) 魚釣用リールシステム及び魚釣用通信ユニット
JP593974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3005737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57250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0847552B1 (ko) 낚시용 릴의 표시장치
CN110710501B (zh) 电动渔线轮
JP2004081152A (ja) 電動リール
JP5128448B2 (ja) 魚釣用リール
JP2005176702A (ja) 魚釣用リール
JP59981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813004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99281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79704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252273A (ja) 釣り装置
JP5641623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6833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2967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296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2378793B1 (ko) 낚시용 전동 릴
JP2013005738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4162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4162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