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730B1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730B1
KR101785730B1 KR1020110058792A KR20110058792A KR101785730B1 KR 101785730 B1 KR101785730 B1 KR 101785730B1 KR 1020110058792 A KR1020110058792 A KR 1020110058792A KR 20110058792 A KR20110058792 A KR 20110058792A KR 101785730 B1 KR101785730 B1 KR 101785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ember
fishing
spool
reel
thum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610A (ko
Inventor
히데끼 조오
도모유끼 아마노
사까에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109784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54339B2/ja
Application filed by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0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Abstract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쪽 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면서, 서밍 조작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5)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 설치되며, 낚시줄이 권회되는 스풀(7)과, 릴 본체(5)에 설치되며, 스풀(7)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8)와,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25)를 갖는다. 그리고, 조작 부재(25)는, 낚싯대와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스풀(7)을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릴 본체(5)에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JOG POWER LEVER}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전동 릴은, 주로 수심이 깊은 곳에서의 낚시에 적용시키기 위해서, 장치의 방출부터 권취에 이르기까지, 낚싯대를 뱃전에 장착된 거치대에 놓은 상태 그대로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많지만, 최근에는, 손에 든 상태로 조작을 행할 수 있도록, 보다 컴팩트화된 구성도 제품화되어 있다.
한편, 낚시용 전동 릴은, 스풀을 권취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를, 다양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 본체의 측판에, 모터 출력을 연속적으로 가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 타입으로 구성한 것, 혹은, 슬라이드 타입으로 구성한 것 등을 배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제어 케이스의 상면으로부터 원판 형상의 회전 손잡이(조작 부재)의 일부를 노출시켜, 상방으로부터 엄지 손가락을 압박하면서 회전 조작함으로써, 모터 출력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1-169700호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92959호
상기한 바와 같이, 최근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루어 피싱에 사용되는 낚시용(베이트 캐스팅) 릴과 마찬가지로, 손에 든 상태로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타입도 요망되고 있지만, 종래의 소형화된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조작성의 면에서 더욱 개량해야 할 여지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질을 감지하면서의 서밍 조작이나 샤크리 조작, 후킹, 낚시줄 권취 조작 등의 일련의 조작을,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측의 손에서 위화감 없이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종래의 타입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이들 일련의 조작을 손에 든 상태에서 행하는 것은 어렵다. 즉,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스풀의 권취 조작을 행하는 조작 부재를,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손과는 반대의 손으로 조작할 필요가 있고,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는 구성에서는, 엄지 손가락을 제어 케이스의 상방측으로부터 꽉 누르도록 하여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릴 본체를 파지하고 있는 측의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서밍 조작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매끄러움이 부족하다(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쪽 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면서, 서밍 조작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은, 릴 본체의 좌우측판 사이에 설치되며, 낚시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를 갖고 있고,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낚싯대와 상기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스풀을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고, 또한, 조작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상기 릴 본체에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가, 낚싯대와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스풀을 서밍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밍 조작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위화감 없이 매끄럽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는, 그 조작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으로 되도록 릴 본체에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스풀을 서밍하면서, 혹은,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서밍 조작하지 않고 엄지 손가락의 복부를 굴곡시켜서, 그대로 엄지 손가락의 복부를 전후 방향으로 조작함으로써, 안정성이 높고 용이하게 구동 모터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에 든 상태에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한쪽 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면서, 서밍 조작부터 스풀의 권취 조작에 이르는 일련의 조작을 매끄럽게 행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이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반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7은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제어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9는 클러치 기구를 OFF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장치의 방출부터 착저(着底)하는 것에 이르기까지의 백래쉬 방지의 서밍 조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 후, 클러치 기구를 ON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구동 모터를 권취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서밍 조작을 하면서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구동 모터를 권취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서밍 조작과 관계없이 조작 부재를 조작하여 구동 모터를 권취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a) 내지 (d)를 포함하고, 장치를 방출한 후의 일반적인 조작을 순서대로 설명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하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18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9는 도 16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반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0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1은 도 1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23은 도 16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4는 도 23에 도시하는 낚시용 전동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5는 조작 부재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도 26은 조작 부재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도 27은 조작 부재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도 28은 조작 부재의 제4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29는 조작 부재의 제5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30은 조작 부재의 제6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31은 조작 부재의 제7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32는 조작 부재의 제8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33은 조작 부재의 제9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34는 제어부에서 구동 모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듀티비와, 조작 부재의 조작 각도와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고, 도 1은 평면도, 도 2는 낚시용 전동 릴을 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3은 낚시용 전동 릴을 반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4는 낚시용 전동 릴을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그리고, 도 5는 도 1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전후 방향, 좌우 방향,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도 1 및 도 2에 기재된 방향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1)은, 좌우의 프레임(3a, 3b)에 좌우 커버(4a, 4b)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좌우측판(5A, 5B)을 구비한 릴 본체(5)를 갖고 있다. 상기 릴 본체(5)를 구성하는 한쪽의 측판[우측판(5B)]측에는, 권취 조작되는 수동 핸들(6)이 설치되어 있고, 좌우측판(5A, 5B) 사이에는, 낚시줄이 권회되는 스풀(7)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풀(7)의 전방측에서의 좌우측판 사이에 구동 모터(8)를 보유 지지하고 있고, 상기 스풀(7)은, 상기 수동 핸들(6)의 권취 조작 및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에 의해, 동력 전달 기구(10)를 통하여 낚시줄 권취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또한, 구동 모터(8)에 대해서는, 스풀(7)의 내부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되지만,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스풀(7)의 전방에 설치함으로써, 스풀에 줄이 감기는 양을 확보하면서, 릴 본체(5)를 가급적 컴팩트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기구(10)에 대해서는, 구동 모터(8)의 회전 구동력을 감속하여 스풀측에 전달하는 기능, 구동 모터(8)가 회전 구동해도 수동 핸들(6)을 같이 돌게 하지 않는 기능, 수동 핸들(6)의 역회전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구비한 공지의 것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그와 같은 동력 전달 기구(10)에 대해서는, 좌측판(5A)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우측판(5B)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좌우측판 각각에 배분하여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스풀(7)의 전방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는, 스풀(7)에 대하여 균등하게 낚시줄을 권회하는 기능을 구비한 공지의 레벨 와인드 기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릴 본체를 구성하는 상기 좌우측판(5A, 5B) 사이의 스풀(7)의 상방에는, 상기 구동 모터(8)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제어 케이스(15)가 배치되어 있다(제어부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함). 이 제어 케이스(15)는, 그 표면이 좌우측판(5A, 5B)의 표면과 동일한 높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 본체(5) 내에는, 스풀(7)을 낚시줄 권취 상태/프리 회전 상태로 전환하는 공지의 클러치 기구(17)가 배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17)는, 상기한 동력 전달 기구(10)에 개재되어 수동 핸들(6) 및 구동 모터(8)로부터의 동력 전달을 계탈(繼脫)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클러치 기구(17)를 구성하는 클러치 플레이트에는, 동력 전달을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와, 동력 전달을 OFF 상태로부터 ON 상태로 전환하는 클러치 ON 전환 부재(19)가 결합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의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는, 스풀(7)을 서밍하면서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스풀(7)의 후방측의 좌우측판(5A, 5B) 사이에 다리를 놓는 것처럼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도 5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누름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17)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분 보유 지지 스프링에 의해, 도 5에 도시한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도 9, 도 10 참조) 사이에서 배분 보유 지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의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는, 우측판(5B)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시되어 있지 않은 배분 보유 지지 스프링에 의해, 클러치 ON 위치와 클러치 OFF 위치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되도록 배분 보유 지지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는, 클러치 ON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표면(조작부)이 우측판(5B)의 표면과 대략 동일한 높이 형상으로 되고, 클러치 OFF 상태에서는,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압박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도록,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9, 도 10 참조).
또한,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는, 기계식 이외에도, 전기식(예를 들어,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것)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와 일체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릴 본체(5)에는, 구동 모터(8)에 대하여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급전부(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급전부(20)는, 좌측판(5A)의 전방측의 하면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이 급전부(20)에 대해서는, 착탈 가능한 휴대 배터리(22)(도 7 참조)를 장착하거나, 혹은, 발밑에 둔 배터리나 낚싯배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부로부터 전력 공급되는 급전 코드가 장착된다.
상기 제어 케이스(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풀(7)의 상방에서, 그 회전축[스풀축(7a)] 부근으로부터 전방측의 레벨 와인드 기구(12) 및 구동 모터(8)를 덮는 크기를 구비하고 있고, 그 후단부 부분에,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25)가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25)는, 스풀(7)의 상방에 위치하여, 전후 방향(낚싯대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스풀(7)의 상방이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조작 영역(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접촉하는 조작 영역)이 상방에 위치한 것이면 되고, 특히, 스풀에 낚시줄이 권회된 상태에서, 서밍 조작하면서, 그대로 조작 부재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도록, 상기 조작 영역이, 스풀축(7a)보다도 전방측으로 다소 오프셋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조작 부재는,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세하게는, 조작성이 양호해지도록,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외표면(회전 표면)이, 좌우측판 사이에서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 면하여, 회전하는 방향이 전후 방향(후방측으로부터 보면 상하 방향)으로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 형태의 조작 부재(25)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조작 부재(25)는, 릴 본체(5)를, 릴 다리 설치부(5a)를 개재하여 낚싯대 R에 장착하였을 때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R과 함께 상기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의 손의 엄지 손가락 T가 닿는 위치(상세하게는, 그 엄지 손가락의 손가락 끝이 닿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풀(7)에 낚시줄 S가 권회된 상태에서, 그 표면을 서밍 조작해도, 서밍 조작하면서 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접촉 가능하게 되는 위치(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폈을 때에 최초로 접촉하는 조작 부재의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는 위치 P로부터 낚시줄 S가 권회된 표면까지의 수직 거리가, 낚시줄의 방출을 고려하여, 5 내지 40㎜ 정도로 되어 있으면 됨)에 배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25)는, 그 회전 표면(조작 표면)이, 좌우측판 사이에서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 면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기[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의 조작 표면이, 제어 케이스(15)의 표면(15P)보다도 하방에 위치하고, 또한,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면)(15a)로부터 후방으로 되는 개구 영역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 때문에, 스풀(7)에 권회된 낚시줄을 서밍한 채로, 그 엄지 손가락의 손가락 끝을 조작 부재(25)의 조작 표면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지지된 조작 부재(25)는, 그 조작 방향이 대략 전후 방향(도 6 및 도 7의 화살표 D1 방향)으로 되도록 지지되어 있어, 서밍 조작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이격하여 조작 부재(25)를 조작해도, 파지 보유 지지성이 좋은 구성, 구체적으로는,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제어 케이스 표면측으로부터 조작 부재(25)를 엄지 손가락으로 위로부터 압박하여 파지하면서의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그와 같이 지지되는 조작 부재(25)의 조작 방향에 대해서는, 대략 전후 방향에 추가하여,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도 4 및 도 6의 화살표 D2)으로 되는 성분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15a)의 중앙 영역에, 전방측을 향하여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부(15b)를 형성해 두고, 이 오목부(15b)에,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2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그 조작 방향은, 도 6 및 도 7의 화살표 D1로 나타내는 대략 전후 방향에 추가하여, 상기 좌우측판 사이에 있어서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서는, 도 4 및 도 6의 화살표 D2로 나타내는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한 구성으로 된다.
이에 의해, 전후나 상하의 미세한 움직임이 필요한 조작 부재(25)의 조작에는 엄지 손가락의 끝측을, 주로 상하의 움직임이 중심인 서밍 조작에는 엄지 손가락의 몸통측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매끄러운 일련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표준적인 줄이 감기는 양(S2로 나타냄)으로 낚시줄이 조출되면, 권회되어 있는 낚시줄의 외경은 점차 변화되지만, 여기서는, 조작 부재(25)는 낚시줄 권회량의 절반(50%; S1로 나타냄)이라도, 충분히 스풀을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할 수 있는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25)는, 그 회전축(25a)의 양단부가 제어 케이스(1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양축 지지되어 있음), 실얽힘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25)가 좌우측판(5A, 5B)의 중앙 영역에 위치함으로써, 릴 본체(5)의 무게 중심에 대한 파지 위치의 밸런스가 좋아져, 조작성이 좋고, 피로감을 덜 느끼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오른손, 왼손 중 어느 쪽의 손으로 파지해도 공통의 감각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에 대해서는, 제어 케이스(15) 이외의 부분[예를 들어, 릴 본체(5)의 좌우의 프레임(3a, 3b)에 직접]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것이어도 되고, 또한, 조작 부재(25)와 일체 성형품이어도, 통 형상의 축이어도 된다. 또한,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편측만 회전 가능하게 지지(외팔보 지지)된 것이어도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5a) 상에 각도 센서(130)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조작 부재에 있어서의 대략 원통 형상이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꽉 차 있어도 되고,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공동부가 있는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또한, 그 밖에 형상에 대해서는, 본 실시 형태와 같이, 정확한 원통 형상은 물론, 주위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거나, 손가락으로 집거나, 대는 것이 가능한 돌기부가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혹은, 축 방향의 중간 부분이 팽출되어 있거나,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등, 축 방향으로 엄지 손가락의 복부를 접촉할 수 있어서 회전 조작을 할 수 있는 외형 형상을 구비한 것이면 된다(이들의 구체적인 구성예에 대해서는 후술함). 또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된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의 표면(15P)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되고, 후술하는 실시 형태(변형예)와 같이, 적어도 일단부측의 회전 표면이, 제어 케이스(릴 본체)와의 사이에서 대략 동일한 높이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조작 부재(25)를, 낚싯대 R과 함께 릴 본체(5)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한 것에 의해, 낚싯대 R과 릴 본체를 보유 지지한 자세에서 한쪽 손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엄지 손가락으로 서밍하면서, 엄지 손가락의 손가락 끝으로 조작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밍에 의한 입질을 감지하면서, 바로 모터 구동에 의한 권취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 T의 복부를 꽉 눌렀을 때, 안정성이 높아져, 확실한 조작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단순히 가는 폭의 원판 형상의 부재와 비교해도 접촉 면적이 크기 때문에, 파지 보유 지지성도 강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25)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서밍하거나 이격하거나 하는(접촉시키거나 이격하는) 손가락의 움직임과 동일 방향으로 되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25)를 회전 부재로 한 것에 의해, 보다 넓은 방향으로부터의 조작(예를 들어 후방으로부터의 조작이나 상방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해져, 공간 절약에 의해 조작 범위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방향에 대해서는, 전후 방향에 추가하여,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으로 되는 성분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서밍 조작의 ON으로부터 OFF와, 조작 부재의 권취 정지로부터 증속의 손가락의 움직임이 심플해져, 매끄러운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25)를, 릴 본체(5)(제어 케이스) 및 스풀(7)과의 사이에서, 그 회전축(25a)이, 스풀(7)의 회전축(7a)과 대략 평행해지도록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25)의 회전축(25a)을, 스풀(7)의 회전축(7a)과 거의 평행(평행을 포함함)하게 함으로써,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25)를 자유롭게 회전해도, 손가락(엄지 손가락 T)의 위치가 가로 방향으로 어긋나기 어려워져,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의 밸런스가 나빠지는 일이 없어진다. 즉, 도 7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는 전후 방향으로밖에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 T의 위치가 크게 가로로 어긋나는 일은 없고, 릴 본체의 무게 중심이나 급전부(20)에 걸리는 힘[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부(20)는 측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급전 코드에 인장되는 힘이나 휴대 배터리의 중량 부하 등에 의해, 낚싯대 R의 길이축을 중심으로 회전 부하에 의한 힘이 걸리기 쉬움]에 의한 비틀림 부하에 대하여, 조작성이 저하되거나 피곤해지기 쉬워지는 일이 없어진다. 이 경우, 조작 부재(25)를 회전시켰을 때의 손가락(엄지 손가락 T)의 위치의 가로 방향의 어긋남을 고려하면, 대략 평행의 범위는, 스풀의 회전축에 대하여 ±30°의 범위로 정의해도 된다. 따라서, 조작 부재(25)의 변위 방향인 「대략 전후 방향」에는, 전후 방향(낚싯대의 축 방향)은 물론, 축 방향에 대하여 ±30°의 범위 내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풀(7)의 회전축(7a)을 기준 위치(H0으로 나타냄)로 한 경우에 있어서, 스풀(7)에 대하여 저부(7b)로부터 낚시줄 S가 50% 권회되었을 때의 낚시줄 표면까지의 높이를 H1,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의 표면부에서의 높이 방향의 폭의 중간점까지의 높이를 H2, 조작 부재(25)가 권취 속도 0일 때에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어 있는 위치 P까지의 높이를 H3으로 한 경우,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와 조작 부재(25)를, H1<H2<H3으로 되도록 하는 관계로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H2의 높이를,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의 표면부에서의 높이 방향의 폭의 중간점으로 한 것은, 클러치 ON 조작할 때에, 통상, 가장 조작되는 영역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며, H3의 높이를, 조작 부재(25)가 권취 속도 0일 때에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어 있는 위치 P로 한 것은, 구동 모터(8)가 OFF 위치로 된 상태에서,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폈을 때에 가장 접촉하기 쉬운 위치를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즉,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에서의 배치 위치와, 조작 부재(25)의 배치 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은 관계로 설정한 것에 의해, 클러치 OFF하고 나서 낚시줄 권취 조작[조작 부재(25)의 조작]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조작을 할 때에, 엄지 손가락을 준민하게 움직여서 불필요한 움직임을 적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에 대해서는, 그 형상에 따라서 조작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조작 영역 부분이 상기 H1보다 높고, 또한 상기 H3보다 낮은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의 후방측 하단 부분에, 조작 부재(25)와 스풀(7) 사이에서 후방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오동작 방지부(15c)를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 케이스(15)에 상기한 바와 같은 오동작 방지부(15c)를 형성해 둠으로써, 낚시줄을 권취 조작할 때, 낚시줄에 부착된 쓰레기나 해수가 조작 부재(25)에 닿는 것을 방지하여, 오동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오동작 방지부(15c)는, 제어 케이스(15)와 일체 부품이어도 되고, 금속의 박판재를 제어 케이스(15)에 접합해도 된다.
또한, 오동작 방지부(15c)에 대해서는, 그 선단 위치(15d)(도 6의 라인 L1로 나타내는 위치)가, 조작 부재(25)의 중심 위치(도 6의 라인 L2로 나타내는 위치)보다도 전방측에 있으면, 낚시줄에 부착된 쓰레기나 해수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또한, 그 선단 위치(15d)가, 상기 조작 부재(25)의 후단부 위치 P보다도 후방측으로 되게 되면, 서밍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25)로 엄지 손가락을 이동시킬 때, 특히, 줄이 감기는 양이 적으면, 방해가 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오동작 방지부(15c)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선단 위치(15d)가, 상기 후단부 위치 P보다도 전방측에 있고, 또한 조작 부재(25)의 중심 위치[회전축(25a)의 위치]보다도 후방측에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오동작 방지부의 선단 위치(15d)는, 조작 부재(25)를 덮으면서, 그 후단부 위치 P가, 측면에서 보아 노출되는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스풀(7)의 상방에 배치하고, 또한, 그 중심 위치[회전축(25a)]를 스풀(7)의 회전축(7a)보다 구동 모터(8)측에 배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풀(7)의 전방에 구동 모터(8)를 배치한 것에 의해, 스풀(7)의 외경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작 부재(25)를 낮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때, 구동 모터(8)를 전방으로 하였기 때문에, 무게 중심이 전방으로 시프트하게 되지만, 조작 부재(25)를 스풀의 회전축(7a)보다도 구동 모터측으로 함으로써, 릴 본체(5)의 무게 중심과 파지부와의 관계가 좋아져,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피로감을 덜 느끼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조작 부재(25)를 낮은 위치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25)를 스풀의 회전축(7a)보다도 전방측에 설치해도, 엄지 손가락은 용이하게 닿게 된다. 특히, 조작 부재(25)의 중심 위치는, 스풀(7)의 회전축(7a)보다 구동 모터(8)측에, 1 내지 15㎜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해, 파지성 및 조작성의 밸런스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한 제어 케이스(15)에는, 구동 모터(8)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제어 기판)가 수용되어 있어, 조작 부재(25)의 회전 조작량에 따라서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조작 부재(25)를 전방을 향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낚시줄의 권취를 할 때, 물고기로부터의 어신을 서밍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전방으로 펴서, 조작 부재(25)를 밀어 올리도록 하는 조작을 함으로써 낚시줄의 권취 조작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회전 조작량과 구동 모터(8)의 출력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임의이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의 기준 위치를 모터의 출력치 0으로 하여, 120° 전방으로 회전 조작하였을 때, 모터 출력이 Max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전방 방향을 향하여 조작하였을 때에 증속으로 함으로써, 낚싯대와 릴 본체를 든 손에 부하가 걸리는 고속 권취 시에, 보다 전방을 파지할 수 있으므로, 파지 보유 지지성이 높아져, 조작성이 좋고,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물론,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후방을 향하여 회전 조작하였을 때에, 구동 모터(8)의 출력이 상승하도록 설정해도 된다. 이와 같은 조작 부재의 구성에 의하면, 스풀을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의 제1 관절을 절곡하는 동작을 하는 것만으로, 서밍 조작을 ON으로부터 OFF로 함과 동시에, 조작 부재를 전방측으로 회전 조작(구동 모터의 증속 회전)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은 구성으로 된다.
상기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에는, 조출된 낚시줄의 길이(줄 길이 정보) 등을 표시하는 표시부(액정 표시부)(16)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주위에는, 각종 정보가 설정 가능한 조작 버튼(16a, 16b)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케이스(15)에 수용되는 제어부의 구성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케이스(15)에 수용되는 제어부(100)는, 낚시용 전동 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0), 줄 길이를 계측하거나, 구동 모터의 출력을 가변 제어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설정 정보 등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111), 일시 기억 영역으로서의 RAM(Random Access Memory)(112)을 실장한 제어 기판(마이크로 컴퓨터)(120)을 구비하고 있고, 이 제어 기판(120)에는, I/O 포트(115)를 통하여, 각 작동 요소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져, 동작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제어 기판(120)과의 사이에서는, 상기 조작 부재(25)의 조작량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 구체적으로는,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에 따라서 조작 위치 신호를 출력하는 각도 센서(130), 스풀(7)에 권회되어 있는 낚시줄의 조출량을 검지하는 것이 가능한 줄 길이 계측 장치(140), 제어 케이스(15) 상에 설치된 액정 표시부(16)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회로(160), 제어 케이스(15) 상에 설치된 조작 버튼(16a, 16b) 및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정지 상태부터 고출력치까지 연속적으로 증감 조정하는 모터 구동 회로(170)와의 사이에서 신호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CPU(110)는, ROM(111)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것에 따라서 생성되는 제어 신호를, I/O 포트(115)를 통하여 상기한 각 작동 요소에 공급함으로써 각 작동 요소를 제어하고, 낚시용 전동 릴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ROM(111)은, CPU(110)에 의해 실행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제어 처리에 필요로 되는 데이터[예를 들어, 줄 길이 계측 장치(140)로부터 입력되는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줄 길이를 계측하는 연산 프로그램,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와 그것에 대응하여 구동 모터(8)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듀티비를 특정하는 가변 제어 테이블, 액정 표시부(16)에서 문자나 숫자 등의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화상 표시 데이터 등]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RAM(112)은, 작업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로그램이 작동하고 있을 때에, 처리 수순이나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 버튼(16a, 16b)은, 예를 들어, 투입한 장치를 원하는 깊이에서 정지시키는 깊이 정보, 구동 모터(8)의 출력의 가변 범위를 변경하는 출력 범위 설정 정보 등, 낚시꾼으로부터 각종 정보를 접수한다.
상기 줄 길이 계측 장치(140)는, 스풀(7)이 낚시줄의 조출/권취로 회전 구동되었을 때, 예를 들어, 회전 부분에 장착된 마그네트와, 이것을 검지하는 자기 센서에 의해 실제의 회전량이나 회전 방향을 검지하고, 그 검지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모터 구동 회로(170)는, 스풀(7)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8)를 구동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구동 회로(170)는, 예를 들어, 상기 CPU(110)로부터의 제어 신호(PWM 신호; 펄스폭 변조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에 대한 구동 전류 통전 시간율(듀티비)을 가변 제어하여, 구동 모터(8)를 정지 상태(OFF 상태)부터 고속 회전 상태(Max 상태)까지 연속적으로 증감 조절한다. 또한, 상기 CPU(110)로부터는, 조작 부재(25)의 초기 위치(OFF 위치)로부터 실제의 조작량을 검지하는 각도 센서에 의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각도마다 설정되어 있는 듀티비에 관한 제어 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표시 제어 회로(160)는, 상기 CPU(110)의 제어에 기초하여 구동되며, 액정 표시부(16)에 대하여, 예를 들어, 현재의 낚시줄의 조출량, 장치를 투입하고나서의 시간, 구동 모터(8)의 구동 속도(인디케이터에 의한 표시이어도 됨), 혹은, 조작 방법이나 메시지 등, 낚시꾼에 대하여 각종 정보를 표시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각도 센서(130)는, 조작 부재(25)의 조작 각도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조작 부재의 조작량에 따른 저항치의 변화를 출력하는 포텐시오미터를 구비한 것, 혹은, 조작량에 따른 펄스를 생성하는 인코더를 구비한 것 등, 다양한 구조의 것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을 사용하여, 실제로 배낚시를 할 때의 동작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일련의 낚시질 조작은,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한 손에 든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처음에,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5)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스풀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를 눌러 조작함으로써, 클러치 기구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한다(도 9 참조). 클러치 기구를 ON 상태로부터 OFF 상태로 전환하면, 스풀(7)은 프리 회전 상태로 되고, 장치는 낙하한다. 이때,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는 요동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판(5B)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압박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된다. 장치가 낙하하여 착저할 때까지는, 백래쉬가 발생하기 쉽지만, 릴 본체(5)를 파지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로부터 낚시줄 표면으로 시프트시켜 서밍함으로써, 백래쉬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장치가 착저하거나, 소정의 유영층까지 낙하하였을 때(통상, 줄이 감기는 양은, 거의 절반 정도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음),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측방으로 어긋나게 하여, 돌출된 상태에 있는 클러치 ON 전환 부재(19)를 압박함으로써, 용이하게 클러치 ON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1 참조).
도 12는, 상기한 일련의 조작이 종료된 후에, 낚시줄의 권취 조작으로 이행하는 상태[조작 부재(25)의 회전 조작]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풀(7)에 대하여 낚시줄이 50% 권회되었을 때의 낚시줄 표면까지의 높이를 H1,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의 표면부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의 폭의 중간점까지의 높이를 H2, 조작 부재(25)가 권취 속도 0일 때에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어 있는 위치 P까지의 높이를 H3으로 한 경우, 클러치 ON 전환 부재(19)와 조작 부재(25)를, H1<H2<H3으로 되도록 하는 관계로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클러치 OFF, 장치의 낙하에 수반되는 서밍 조작, 클러치 ON, 그리고, 조작 부재(25)에 의한 권취 조작의 일련의 동작을, 불필요한 움직임이 없이, 한쪽 손의 엄지 손가락 T로 준민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3은, 클러치 ON 상태에서 서밍 조작과 동시에 조작 부재(25)에, 엄지 손가락 T의 복부를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조작 부재(25)를 서밍 조작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후술하는 샤크리 조작 시 등, 낚시줄 권취 조작과 함께 엄지 손가락 T를 낚시줄에 접촉한 상태로 할 수 있어, 물고기의 어신을 감지하기 쉬워진다[클러치 ON 상태이어도, 스풀과 역회전 방지 기구 사이에는 기어가 복수 맞물려 있기 때문에, 스풀은 회전 방향으로 유도(遊度)가 있다. 그 유도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어신을 감지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한, 낚싯대와 릴 본체를 파지할 때, 스풀마다 파지할 수도 있고, 노출된 상태에 있는 조작 부재(25)의 상기 접점 위치 P에만 접촉한 상태에서도, 릴 본체(5)를 확실히 파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러치 OFF 전환 부재(18)에 대해서도, 스풀(7)을 서밍하면서 조작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샤크리 조작 시에 있어서, 다시 장치를 소정의 양만큼 낙하시키고자 하는 경우, 서밍 조작하면서 엄지 손가락을 후방으로 어긋나게 함으로써 클러치 OFF로 하여, 장치를 원하는 양만큼 낙하시키는 것을 한쪽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서밍 조작하지 않고, 릴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25)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서밍 조작을 하지 않고, 릴 본체(5)를 파지한 상태에서는, 조작 부재(25)는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도 2 및 도 3 참조), 조작 부재(25)를 통한 파지가 가능해진다. 즉,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의 후단부 위치 P에 접촉한 상태[구동 모터(8)는 권취 구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도 확실히 릴 본체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상태에서, 그대로 조작 부재(25)를 전방으로 굴리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구동 모터를 증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물론, 구동 모터의 정지 상태에 있어서도, 그대로 조작 부재(25)를 전방으로 굴리도록 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구동 모터를 권취 조작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2나 도 13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도 14에 도시한 상태로 이행하는 데 있어서도, 엄지 손가락의 제1 관절을 구부리는 것만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성이 좋다.
또한, 클러치 ON 상태에서 서밍하는 경우, 스풀의 회전은 억제되므로, 릴 본체의 파지 보유 지지성은 양호해지지만, 서밍을 푼 단계에서는, 갑자기 조작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파지 보유 지지성이 필요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25)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으로 상방으로부터 압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 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에서의 파지 보유 지지성이 양호해진다.
도 15의 (a) 내지 (d)는, 장치를 방출한 후의 일련의 낚시질 조작의 상황의 일례를 연속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일련의 조작은,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한 한쪽 손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우선,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를 방출하여 착저한 후, 고패질을 행한다(물고기가 있는 수심까지 권취 조작한다). 또한, 고패질한 후, 필요에 따라서 밑밥 뿌리기를 행한다(밑밥 낚시의 경우). 이들 일련의 조작(착저한 후의 감아 올리기 조작)은,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할 수 있고, 밑밥 뿌리기일 때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확실히 릴 본체(5)를 파지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물고기의 어신을 기다리는 것이라면,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밍하면서 조작 부재(25)에 엄지 손가락을 접촉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어신을 감지하기 쉬움과 동시에, 어신이 있었던 경우, 즉시 권취 조작으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샤크리 조작을 하는 경우,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천천히 낚싯대를 끌어올려서 스톱한다. 이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함으로써, 어신이 감지되기 쉽고, 또한 어신이 있었던 경우, 즉시 권취 조작으로 이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낚싯대를 높이 들어올렸을 때에 어신이 있었던 경우에는, 이 권취 조작만으로 후킹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끌어올린 낚싯대를 내리면서 권취 조작을 행한다(장치는 상하 이동시키지 않는다). 이때,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 혹은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함으로써, 낚싯대를 내리면서의 권취 조작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종래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낚싯대를 내리면서의 권취 조작은, 이미 한쪽의 손을 사용하여 수동 핸들의 권취 조작을 실시하거나, 혹은, 레버 형상으로 된 조작 부재를 회전 조작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양손을 사용하지 않고 한쪽 손으로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로 물고기의 어신이 있었던 경우, 접촉하고 있는 조작 부재(25)를 그대로 조작함으로써 물고기를 후킹할 수 있고, 또한, 그대로 낚시줄을 권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낚싯대에 의한 챔질을 할 수 없는, 높게 낚싯대를 올렸을 때의 물고기의 어신에 효과적이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한 손에 든 상태(한쪽 손에 든 상태)에서, 일련의 낚시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한쪽 손에 든 상태에서 일련의 낚시질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그와 같은 조작에 적합한 릴 본체의 크기 및 조작 부재의(25)의 구체적인 배치 개소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 부재(25)에 대해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후단부 위치 P까지의 높이[릴 다리 설치부(5a)의 폭 방향 중심 위치로부터의 높이] H가, 30㎜ 내지 90㎜의 범위로 되도록 설정된다. 이것은, 30㎜ 미만에서는, 스풀 직경이 너무 작아지게 되고, 90㎜를 초과하면, 낚싯대와 함께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의 조작성이 저하되게 된다. 즉, 조작 부재(25)를 위로부터 압박하는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면, 90㎜ 미만으로 하는 것이 좋고, 30㎜ 내지 75㎜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 부재(25)의 전후 방향에서의 배치 위치에 관해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준적인 줄이 감기는 양 S2일 때의 후단부 위치 P3보다 전방, 또한 릴 본체(5)의 후단부 위치 P2보다 전방에서 수평 방향의 거리 Lp가 60㎜ 이내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낚시줄이 50% 정도의 권회량 S1일 때의 후단부 위치 P4보다 전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게다가, 스풀의 저부(7b)(도 6 참조)보다 전방에 설치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도 16 내지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전동 릴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16은 평면도, 도 17은 조작 부재의 단면도, 도 18은 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19는 반핸들측으로부터 본 측면도, 도 20은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도 21은 도 16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22는 도 21의 주요부를 확대한 도면, 도 23은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하여 조작 부재를 조작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그리고, 도 24는 릴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45)를,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축(45a)을 양축 지지함과 동시에, 그 외주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오목 홈(45b)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케이스(15)의 표면의 일부에, 조작 부재(45)의 양단부의 표면 형상과 대략 동일한 높이(서로의 표면 형상을 근사시킴)로 되도록, 반원 기둥 형상의 융기부(15e)를 형성하고 있다. 이 경우, 그 범위에 대해서, 조작 시에 손가락이 강하게 접촉하는 범위(조작 가능한 영역)이면 되고, 적어도, 도 22에서 나타내는 P점으로부터 상방을 따라서 P1점[조작 부재(45)의 가장 상방으로 되는 위치]의 범위까지,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으면 된다.
이와 같이, 조작 부재(45)의 단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제어 케이스의 표면 형상을, 조작 부재의 단부 형상에 근사시킴으로써,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 T의 일부를 이 부분에 대고, 또한, 엄지 손가락의 다른 부분을 조작 부재(45)에 대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엄지 손가락이 아프게 되지 않고 파지 보유 지지를 안정시키면서 조작을 확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상기 효과로부터, 손가락에의 압력의 차나 기울기 정도를 고려하면, 대략 동일한 높이의 범위는 ±3㎜의 범위로 되어 있으면 된다. 그리고, 특히,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엄지 손가락 T를 반급전부측으로 시프트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급전부(20)에 걸리는 힘 F에 의한 비틀림 부하에 대한 파지 보유 지지 밸런스가 향상되어,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융기부에 대해서는, 조작 부재(45)의 축 방향의 적어도 일단부측에 형성해 두면 된다(바람직하게는, 반급전부측만이어도 된다). 또한, 조작 부재(45)의 지지 형태에 따라서는, 릴 본체(5)를 구성하는 좌우측판에, 그와 같은 동일한 높이의 형상으로 되는 융기부를 형성해 두어도 된다. 혹은, 그와 같은 융기부를 형성하지 않고, 제어 케이스(15) 그 자체를 두껍게 하여, 조작 부재(45)의 표면 형상과 근사하는 표면 형상으로 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케이스(15)에 형성되는 오동작 방지부(15c)를, 상술한 제1 실시 형태보다도 길게 하고 있다(도 6 참조). 즉, 오동작 방지부(15c)의 선단 위치(15d)를, 조작 부재(45)의 가장 후단측으로 되어 있는 위치 P까지 연장한 것에 의해, 보다 오동작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5 내지 도 27은 각각 대략 원통 형상의 조작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각 도면에서의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각 도면에서의 (b)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 그리고, 각 도면에서의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를 상술한 실시 형태와 같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이면, 그 대략 원통 형상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조작 가능하고, 그 조작 표면부가, 좌우측판과 제어 케이스 사이에서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에 면하여,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펴서 접촉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예를 들어, 도 25에 도시한 조작 부재(55)는, 회전축(55a)이 양축 지지되어 있고, 그 중간 부분이 만곡면에 의해 수축한 장구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오목 홈(55b)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피트하기 쉬움과 동시에, 미끄러짐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혹은, 도 26에 도시한 조작 부재(65)는, 회전축(65a)이 양축 지지되어 있고, 그 중간 부분이 만곡면에 의해 팽출한 통 형상으로 함과 동시에, 그 주위에, 둘레 방향을 따라서 연속하여 돌기(65b)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걸치기 쉬워져, 미끄러지기 어려워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혹은, 도 27에 도시한 조작 부재(75)는, 회전축(75a)이 양축 지지되어 있고, 원통 형상의 표면의 일부에 레버부(75b)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초기 값(구동 모터의 출력이 0)으로 되는 위치를 명확화할 수 있고, 또한, 낚싯대를 고정하여 낚시를 할 때에 있어서의 흔들리는 선상에서도, 레버부(75b)를 잡고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도 28 내지 도 34는, 각각 조작 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고, 각 도면에 있어서의 (a)는 제어 케이스 부분을 도시하는 평면도, 각 도면에 있어서의 (b)는 조작 부재를 후방측으로부터 본 도면, 각 도면에 있어서의 (c)는 조작 부재의 측면도, 그리고, 각 도면에 있어서의 (d)는 조작 부재의 단면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조작 부재가 권취 속도 0일 때에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는 위치에 부호 P가 붙여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스풀(7)의 상방에 위치하여, 스풀을 서밍하는 손의 손가락(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후 방향(대략 전후 방향을 포함함)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면 되고, 그 배치 상태, 지지 방법, 조작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조작 부재의 조작 영역을, 제어 케이스(15)의 후방에서, 또한, 좌우측판 사이에 있어서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 면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전방으로 펴서, 조작 영역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도 28에 도시한 조작 부재(85)는,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그 기단부에 회전축(85a)을 장착하고, 이 회전축(85a)을 제어 케이스(15)에 형성된 오목부(15b) 부분에 양축 지지한 것이다. 이 경우, 조작 부재(85)를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밀어올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구동 모터를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회전축(8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하기 때문에, 모터 속도의 미세 조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조작 부재(95)는,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된 회전축(95a)을 제어 케이스(15)에 형성된 한 쌍의 지지 오목부(15f)에 대하여 양축 지지하고 있고, 회전축(95a)의 중심 영역에, 엄지 손가락이 피트하기 쉬운 기둥 형상 조작부(95b)를 장착한 것이다. 이 경우, 조작부(95b)를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측으로 밀어 올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도 28에 도시한 구성과 마찬가지로, 구동 모터를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도, 회전축(9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조작하기 때문에, 모터 속도의 미세 조정을 행하기 쉬워진다.
도 30에 도시한 조작 부재(105)는, 그 중심부에 회전축(105a)을 장착하고, 이 회전축(105a)을 제어 케이스(15)에 형성된 오목부(15b) 부분에 양축 지지한 것이다. 조작 부재(105)는, 회전축(105a)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4개소, 조작 돌기(105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조작 부재(105)의 조작 돌기(105b)에 손가락의 복부를 바짝 대어, 전방을 향하여 회전 조작함으로써, 구동 모터를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엄지 손가락의 복부가 걸치기 쉽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도 31에 도시한 조작 부재(115)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측에, 후방을 향하여 하강하는 경사면(15A)을 형성해 놓고, 그 경사면에 미끄럼 이동 홈(15B)을 형성하고, 이 미끄럼 이동 홈(15B)을 따르도록 하여, 슬라이드 가능한 조작 부재(115)를 배치하고 있다. 이 경우, 조작 부재(115)에 손가락의 복부를 바짝 대어, 전방을 향하여 슬라이드함으로써, 구동 모터를 증속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조작 방향이 직선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도 32에 도시한 조작 부재(125)는, 도 4에 도시한 릴 다리 설치부(5a)의 폭 방향의 중심선(중심선을 X로 나타냄)에 대하여 급전부(20)와는 반대측(반급전부측)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조작 부재(35)는, 중심선 X에 대하여 시프트한 위치에 형성된 오목부(15b)에 배치되고, 그 회전축(125a)이 제어 케이스(15)에 대하여 양축 지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 부재(125)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지만, 회전축 방향에서의 폭을 좁게 하여, 소위 원판 형상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그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서 다수의 오목 홈(125b)이 형성되어 있어, 회전 조작하였을 때, 미끄러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스풀을 서밍하는 엄지 손가락의 위치를, 약간, 반급전부측으로 어긋나게 한 상태에서 릴 본체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급전부에 걸리는 릴 본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는 모멘트[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급전부에 휴대 배터리(22)를 장착한 경우에 발생하는 힘 F나 급전 코드에 의한 인장력]에 의한 비틀림 부하에 대한 파지 보유 지지 밸런스가 향상되어, 조작성의 향상이 도모됨과 동시에, 피로감을 덜 느끼게 된다. 특히,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샤크리 조작을 행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비틀림 부하가 걸리기 쉽기 때문에, 조작 부재(125)의 위치를 반급전부측으로 어긋나게 해 둠으로써, 조작성의 저하나 피로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3에 도시한 조작 부재(135)는,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한, 릴 본체를 오른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였을 때, 그 조작성이 좋아지도록, 중심선 X에 대하여, 화살표 D로 나타내는 조작 방향이 +θ(중심선 X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 방향을 +, 시계 방향 방향을 -로서 정의함) 만큼, 기울도록 설정한 것이다. 이 때문에, 제어 케이스(15)의 후단부의 대략 중앙부에는, 기운 상태의 조작 부재(135)가 배치되도록, 오목부(15b)가 형성되어 있고, 그 부분에 회전축(135a)이 양축 지지되어 있다[따라서, 회전축(135a)은, 상기 스풀의 회전축에 대하여, 각도 θ만큼, 기울어져 설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낚시꾼은, 낚싯대의 조작(번쩍 들어올렸다가 내리거나 샤크리의 조작)을 잘 쓰는 손으로 조작하는 경향이 있고, 다수의 오른손잡이의 낚시꾼에게 있어서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오른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면, 그 엄지 손가락은, 필연적으로 화살표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된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를, 그와 같은 방향을 따라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오른손으로 조작하는 낚시꾼에게 있어서는, 릴 본체를 낚싯대와 함께 단단히 파지 보유 지지하면서의 조작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심선 X로부터 기우는 각도 θ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전후 방향의 범위에 포함되는 30° 이내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왼손으로 파지 보유 지지하는 구성이면, 조작 부재는, 역방향으로 되는 -θ분(-30° 이내) 기울도록 설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 부재(135)의 구성에서는, 조작 부재(135)의 중심 위치 C를, 중심선 X로부터 + 방향(기우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오프셋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위치로 설정함으로써, 오른손으로 낚싯대와 함께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하여, 서밍하고 있는 엄지 손가락을 그대로 폈을 때, 조작 부재(135)의 중심 위치 C에 대하여 용이하게 복부를 접촉하는 것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오른손으로 우측판측을 파지 보유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한 급전부에 걸리는 릴 본체를 회전시키고자 하는 모멘트에 의한 비틀림 부하에 대해서도, 파지 보유 지지 밸런스의 향상이 도모되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서의 각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스풀(7)을 서밍 조작하면서, 대략 전후 방향으로 조작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모두 그 조작 방향이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낚시줄이 권회되는 스풀 표면과, 그 상방에 배치되는 조작 부재의 위치 관계를 고려하면, 엄지 손가락은, 필연적으로 상방향을 향하는 조작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상술한 각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그 조작 방향이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조작 부재의 가장 후단부측으로 되어 있는 위치 P는, 조작 부재가 조작됨으로써, 상방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각 실시 형태에서의 조작 부재에 대해서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서밍 조작하는 엄지 손가락의 복부로, 구동 모터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측판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 타입의 조작 부재와 비교하면 회전 반경(조작 직경)이 작아, 약간의 조작량(손가락의 이동량)으로 구동 모터(8)의 구동 속도가 급격하게 상승하게 되어, 미세한 모터 제어가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어부(100)에 있어서, 상기한 조작 부재(25, 35, 45…)의 조작 범위 내에서, 구동 모터(8)의 출력을 0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가변시킴과 동시에, 조작 부재(25, 35, 45…)의 동일한 조작 범위에서 상기 구동 모터(8)의 가변 범위를 변경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해도 된다. 즉, 도 34의 그래프에서 모식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통상 모드에서는,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가 초기 위치에 있는 상태(조작 각도 0°)부터, 최대 조작 각도(본 실시 형태에서는 120°로 되어 있음)까지 조작하였을 때, 구동 모터(8)의 회전 속도를 가변시키는 듀티비의 범위를 0%부터 100%까지 연속적(단계적인 변화이어도 됨)으로 가변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낚시꾼의 기호에 의해, 예를 들어, 제어 케이스(15)에 설치된 조작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듀티비의 범위가 가변하도록 제어를 행한다. 즉, (나), (다), (라)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듀티비의 범위를 임의로 변경함으로써, 동일한 조작 각도이어도, 구동 모터(8)의 출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물고기가 걸린 경우에, 급격하게 구동 모터(8)의 회전 속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입 찢어짐 등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34에서는, 조작 부재의 회전 각도와 듀티비와의 관계를, 설명상 알아 쉽게 하기 위해서 직선의 선형 그래프로서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조작 각도의 범위 내에서, 소정 각도씩 복수 단계(예를 들어 0부터 30단계)로 구동 속도가 가변되도록 제어되기 때문에, 양자의 관계에 대해서는 비선형으로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구동 모터(8)의 출력을 제어하는 조작 부재의 구성에 특징이 있고, 그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은 없다. 또한, 조작 부재를 회전하는 부재로서 구성하는 경우, 그 형상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낚시용 전동 릴
5 : 릴 본체
5A, 5B : 좌우측판
6 : 수동 핸들
7 : 스풀
8 : 구동 모터
12 : 클러치 기구
15 : 제어 케이스
18 : 클러치 OFF 전환 부재
19 : 클러치 ON 전환 부재
25, 45, 55, 65, 75, 85, 95, 105, 115, 125, 135 : 조작 부재

Claims (4)

  1. 릴 본체의 좌우측판 사이에 설치되며, 낚시줄이 권회되는 스풀과,
    상기 릴 본체에 설치되며,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을 조정하는 조작 부재를 갖는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낚싯대와 상기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상기 스풀을 서밍 조작하면서 상기 엄지 손가락의 손가락 끝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스풀의 상방에서 상기 좌우측판 사이에 있어서 상기 스풀을 노출시키는 개구 영역에 면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상기 릴 본체를 파지 보유 지지하면서 위로부터 압박하여 회전 조작 가능함과 함께, 원통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좌우측판 사이에 배치된 제어 케이스의 후단부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회전 가능하게 양축 지지되어 있고, 그 조작 방향이 전후 방향 및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전동 릴.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58792A 2010-06-28 2011-06-17 낚시용 전동 릴 KR1017857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45837 2010-06-28
JPJP-P-2010-145837 2010-06-28
JP2011097843A JP4954339B2 (ja) 2010-06-28 2011-04-26 魚釣用電動リール
JPJP-P-2011-097843 2011-04-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10A KR20120001610A (ko) 2012-01-04
KR101785730B1 true KR101785730B1 (ko) 2017-10-16

Family

ID=4542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792A KR101785730B1 (ko) 2010-06-28 2011-06-17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85730B1 (ko)
CN (1) CN1023087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6591B2 (ja) * 2013-06-14 2017-07-19 株式会社シマノ 電動リールのモータ制御装置
CN104253573B (zh) * 2013-06-28 2019-04-12 株式会社岛野 电动渔线轮的电机控制装置
JP5998114B2 (ja) * 2013-08-29 2016-09-2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CN106062105B (zh) 2014-03-04 2019-03-01 道康宁东丽株式会社 用于润滑涂层膜的涂料组合物
KR101592532B1 (ko) 2014-06-16 2016-02-05 주식회사 은성사 낚시용 전동 릴
JP6396697B2 (ja) * 2014-06-27 2018-09-26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7436354B2 (ja) * 2020-12-21 2024-02-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両軸受けリー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910A (ja) * 2003-11-27 2005-06-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252256A (ja) * 2006-03-22 2007-10-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619Y2 (ja) * 1991-12-13 1996-03-13 ダイワ精工株式会社 魚釣用電動リール
JPH10337138A (ja) * 1997-06-04 1998-12-22 Ryobi Ltd 釣用電動リール
JP2000270736A (ja) * 1999-03-25 2000-10-03 Ryobi Ltd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53184A (ja) * 2000-11-17 2002-05-28 Shimano Inc 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1910A (ja) * 2003-11-27 2005-06-16 Daiwa Seiko Inc 魚釣用リール
JP2007252256A (ja) * 2006-03-22 2007-10-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610A (ko) 2012-01-04
CN102308778B (zh) 2014-07-09
CN102308778A (zh) 201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730B1 (ko) 낚시용 전동 릴
JP56416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88531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495433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939749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57250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1250705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KR101800024B1 (ko) 낚시용 전동 릴의 제어 케이스
JP2005176702A (ja) 魚釣用リール
JP599811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2125540A (ja) 魚釣用リール
JP5797040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998116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41623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7436354B2 (ja) 両軸受けリール
JP632967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99811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296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636833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41624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564162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16152812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115316352A (zh) 钓鱼用渔线轮的显示控制装置、方法、程序及渔线轮
JP3393674B2 (ja) 釣り用リール
JP2012161300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