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483B1 -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8483B1
KR101788483B1 KR1020167000377A KR20167000377A KR101788483B1 KR 101788483 B1 KR101788483 B1 KR 101788483B1 KR 1020167000377 A KR1020167000377 A KR 1020167000377A KR 20167000377 A KR20167000377 A KR 20167000377A KR 101788483 B1 KR101788483 B1 KR 10178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guide
wall portion
val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7082A (ko
Inventor
준야 기모토
신지 무라이
Original Assignee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상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7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7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36Arrangement of valves controlling the admission of fuel vapour to an engine, e.g. valve being disposed between fuel tank or absorption canister and intake manifo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0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 F16K31/508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screw-spindle or internally threaded actuating means the actuating element being rotatable, non-rising, and driving a non-rotatable axially-sl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유량 제어 밸브 (38) 는, 유체 통로 (65) 를 형성하는 밸브 케이싱 (52) 과, 유체 통로 (65) 에 형성된 밸브 시트 (67) 와, 스테핑 모터 (54) 와, 모터 (54) 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 (83) 를 통해 스트로크 제어되는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 시트 (67) 에 착좌 및 이좌하는 밸브체 (58) 와,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 (95) 과, 밸브체 (58) 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60) 을 구비한다. ECU (45) 는, 밸브체 (58) 의 밸브를 닫을 때, 밸브체 (58) 가 밸브 시트 (67) 에 착좌한 상태에서 연결 수단 (95) 에 의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의 연결이 해제되고, 밸브 가이드 (56) 가 밸브 시트 (67) 로부터 떨어진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도록, 모터 (54) 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FLOW CONTROL VALVE AND EVAPORATION FUEL PROCESSING DEVICE PROVIDED WITH 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내연 기관을 탑재한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한 베이퍼를 흡착 및 탈리 (脫離) 가능한 캐니스터와,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를 연통 (連通) 시키는 베이퍼 통로와, 캐니스터와 내연 기관의 흡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퍼지 통로와, 퍼지 통로를 개폐 가능한 퍼지 밸브와, 베이퍼 통로를 개폐 가능한 봉쇄 밸브와, 퍼지 밸브 및 봉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가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73883호 참조).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73883호에 있어서, 봉쇄 밸브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73883호에 있어서의 「바이패스 밸브」가 상당한다) 는 스테핑 모터에 의해 개폐 구동된다. 또한, 스테핑 모터에 의해 개폐 구동되는 일반적인 유량 제어 밸브는,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케이싱과, 밸브 케이싱의 유체 통로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밸브 케이싱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스트로크 제어되며 또한 밸브 시트에 대하여 착좌 (着座) 및 이좌 (離座) 하는 밸브체와, 밸브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유량 제어 밸브에 의하면, 밸브 닫힘 상태에서는,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스테핑 모터의 통전이 정지된다. 이 때문에, 밸브 케이싱의 밸브 시트와 스테핑 모터 및 이송 나사 기구에 의해 밸브체의 축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온도 변화에 의해 밸브 케이싱에 치수 변화, 특히 밸브체의 축방향으로 치수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케이싱이 밸브체의 축방향으로 신장되면, 스테핑 모터와 밸브 시트 사이의 거리가 증대되어,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시일력이 저하된다. 또한, 밸브 케이싱이 밸브체의 축방향으로 단축되면, 스테핑 모터와 밸브 시트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다. 이 때, 밸브체가 경련을 일으키기 때문에, 작동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문제를 해소하는 대책으로서, 이송 나사 기구의 리드각을 크게 취하여 스프링의 스프링력을 증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렇게 하면, 스테핑 모터의 통전이 정지된 상태 이른바 무통전 상태에 있어서,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 밸브체가 밸브 시트로 눌려짐에 따라서 이송 나사 기구의 모터측 부재가 회전됨으로써,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착좌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생긴다. (1) 큰 추력 (推力) 의 스테핑 모터가 필요하여, 대형화나 비용 상승을 초래한다. (2) 급유시나 압력 제거 제어시 등에 있어서, 밸브체를 열린 상태로 정지시킬 때에도 스테핑 모터의 통전이 필요하여, 전력의 소비가 발생한다. (3) 스테핑 모터의 1 스텝당 밸브체의 스트로크량 (스트로크 분해능) 이 커지기 때문에, 유량 제어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싱의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 및 그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1 발명은,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케이싱과, 밸브 케이싱의 유체 통로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밸브 케이싱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스트로크 제어되는 밸브 가이드와, 밸브 시트에 대하여 착좌 및 이좌하는 밸브체와,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밸브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과, 밸브 케이싱에 형성되고, 밸브 가이드의 폐쇄 방향의 이동을 맞닿는 것에 의해 제한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제어 수단은,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한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이 해제되고, 또한, 밸브 가이드가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도록, 전동 모터를 제어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 닫힘 상태에서는, 밸브체가 밸브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연결 수단에 의한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이 해제되고, 또한, 밸브 가이드가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의해, 예를 들어, 밸브 케이싱이 밸브체의 축방향으로 신장될 때에는, 전동 모터와 밸브 시트 사이의 거리가 증대됨에 따라서, 밸브체가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에 의해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폐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와 밸브 시트 사이의 시일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케이싱이 밸브체의 축방향으로 단축될 때에는, 전동 모터와 밸브 시트 사이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서, 밸브체가 탄성 지지 수단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개방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가 경련을 일으키지 않아,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싱의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나사 기구의 리드각을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리드각을 크게 취하는 등의 대책과 달리 큰 추력의 전동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대형화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동 모터의 무통전 상태에서, 밸브체가 준비없이 개폐되지 않고 소정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의 스트로크 분해능을 작게 하여, 유량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전동 모터를 밸브 닫힘 작동시킴으로써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후, 밸브 가이드를 좀더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수단에 의한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나서, 밸브 가이드가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에 맞닿기 전의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여, 전동 모터의 밸브 닫힘 작동을 정지시킨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어 수단은,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전동 모터를 밸브 닫힘 작동시킴으로써 밸브체를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후, 밸브 가이드를 좀더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연결 수단에 의한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을 해제하고, 밸브 가이드를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에 맞닿게 한 다음, 전동 모터를 밸브 열림 작동시킴으로써, 밸브 가이드를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여, 전동 모터의 밸브 열림 작동을 정지시킨다.
제 4 발명은, 제 1 ∼ 3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연결 수단은, 밸브 가이드 및 밸브체 중 어느 일방의 부재에 형성된 연결 볼록부와, 타방의 부재에 형성되고 또한 연결 볼록부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연결 오목부로 이루어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수단의 연결 볼록부와 연결 오목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연결 오목부는,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밸브체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연결 볼록부를 출입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연결 오목부의 개구부와 연결 볼록부는, 개폐 동작에 있어서 정합하는 일이 없는 위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밸브체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연결 오목부에 대하여 연결 볼록부를 개구부를 통해 걸고 풀고 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 볼록부와 연결 오목부를 탄성 변형을 이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걸고 풀고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오목부의 개구부와 연결 볼록부는, 개폐 동작에 있어서 정합하는 일이 없는 위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개폐 동작에 관해서 연결 볼록부가 연결 오목부로부터 준비없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에는, 밸브체를 누르고 돌리는 조작하기 위한 공구를 걸기 및 풀기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공구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 가이드에 밸브체를 조립함에 있어서, 밸브체의 공구 걸어맞춤부에 공구를 걸어맞추고, 공구에 의해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밸브체를 누르고 돌리는 조작을 함으로써, 밸브 가이드에 밸브체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 가이드에 밸브체를 작업자의 손에 의해 직접 조립하는 경우와 달리, 밸브체에 이물질을 부착시키거나, 밸브체에 흠집이 생기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4 발명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는 통형상의 통벽부를 갖고, 밸브체는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통벽부를 갖고, 연결 수단은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와 밸브체의 통벽부 사이에 형성되고, 연결 볼록부는 밸브체의 통벽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고, 연결 오목부는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의 내주측에 반경 방향 내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오목부에 연결 볼록부를 축둘레 방향으로 걸고 푸는 경우와 달리, 그 걸기 및 풀기에 필요한 축방향의 스페이스가 생략된다. 이 때문에, 연결 오목부의 형상을 간소화하여, 밸브 가이드를 축방향으로 콤팩트화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제 7 발명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는 연결 오목부를 축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이분할되고, 분할된 두 부재는 연결 오목부 내에 연결 볼록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 오목부 내에 연결 볼록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두 부재를 접합함으로써 밸브 가이드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 수단의 연결 오목부와 연결 볼록부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1 ∼ 8 중 어느 하나의 발명에 있어서, 탄성 지지 수단은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 사이에 끼여 장착된 탄성 부재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의 자중 (自重), 자석의 반발력 등을 탄성 지지 수단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탄성 지지 수단인 탄성 부재에 의해 밸브체를 폐쇄 방향으로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9 발명에 있어서, 탄성 부재는 밸브 가이드 및 밸브체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설계 공차나 조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밸브체의 기울어짐을 코일 스프링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 닫힘시의 시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10 발명에 있어서, 밸브체는 코일 스프링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통벽부를 갖고, 밸브 가이드는 밸브체의 통벽부의 외주측에 끼워맞춰지는 벽부를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밸브체의 통벽부와 밸브 가이드의 벽부가 끼워맞춰짐으로써, 밸브체 및 밸브 가이드를 반경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한 상태에서 축방향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 12 발명은, 내연 기관을 탑재하는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한 베이퍼를 흡착 및 탈리 가능한 캐니스터와, 연료 탱크와 캐니스터를 연통시키는 베이퍼 통로와, 캐니스터와 내연 기관의 흡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퍼지 통로와, 퍼지 통로를 개폐 가능한 퍼지 밸브와, 베이퍼 통로를 개폐 가능한 봉쇄 밸브와, 퍼지 밸브 및 봉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로서, 봉쇄 밸브로서 제 1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의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봉쇄 밸브로서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싱의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증발 연료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 는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 은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4 는 유량 제어 밸브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5 는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은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은 밸브 가이드를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은 밸브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 는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X-X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1 은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공정 1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는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공정 2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4 는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공정 3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 는 밸브 가이드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는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7 은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19 는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은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21 은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 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유량 제어 밸브는, 내연 기관 (엔진) 을 탑재하는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에 봉쇄 밸브로서 구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증발 연료 처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 후, 봉쇄 밸브로서의 유량 제어 밸브에 대해서 설명한다.
증발 연료 처리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은 증발 연료 처리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는, 자동차 등의 차량의 엔진 시스템 (10) 에 구비되어 있다. 엔진 시스템 (10) 은, 엔진 (14) 과, 엔진 (14) 에 공급되는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 (15) 를 구비하고 있다. 연료 탱크 (15) 에는 인렛 파이프 (16) 가 형성되어 있다. 인렛 파이프 (16) 는 그 상단부의 급유구로부터 연료를 연료 탱크 (15) 내에 도입하는 파이프로서, 급유구에는 탱크 캡 (17) 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인렛 파이프 (16) 의 상단부 내와 연료 탱크 (15) 내의 기층부 (氣層部) 는, 브리더 파이프 (18) 에 의해 연통되어 있다.
상기 연료 탱크 (15) 내에는 연료 공급 장치 (19) 가 형성되어 있다. 연료 공급 장치 (19) 는, 연료 탱크 (15) 내의 연료를 흡입하거나 또한 가압하여 토출하는 연료 펌프 (20), 연료의 액면을 검출하는 센더 게이지 (21), 대기압에 대한 상대압으로서의 탱크 내압을 검출하는 탱크 내압 센서 (22) 등을 구비하고 있다. 연료 펌프 (20) 에 의해 연료 탱크 (15) 내에서 퍼 올린 연료는, 연료 공급 통로 (24) 를 통해 엔진 (14), 자세하게는 각 연소실에 대응하는 인젝터 (연료 분사 밸브) (25) 를 구비한 딜리버리 파이프 (26) 에 공급된 후, 각 인젝터 (25) 로부터 흡기 통로 (27) 내에 분사된다. 흡기 통로 (27) 에는, 에어 클리너 (28), 에어 플로 미터 (29), 스로틀 밸브 (30) 등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는, 베이퍼 통로 (31) 와 퍼지 통로 (32) 와 캐니스터 (34) 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퍼 통로 (31) 의 일단부 (상류측 단부) 는, 상기 연료 탱크 (15) 내의 기층부와 연통되어 있다. 베이퍼 통로 (31) 의 타단부 (하류측 단부) 는, 캐니스터 (34) 안과 연통되어 있다. 또한, 퍼지 통로 (32) 의 일단부 (상류측 단부) 는 캐니스터 (34) 안과 연통되어 있다. 퍼지 통로 (32) 의 타단부 (하류측 단부) 는, 상기 흡기 통로 (27) 에 있어서의 스로틀 밸브 (30) 보다 하류측 통로부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캐니스터 (34) 내에는, 흡착재로서의 활성탄 (도시 생략) 이 장전되어 있다. 연료 탱크 (15) 내의 증발 연료는, 베이퍼 통로 (31) 를 통해 캐니스터 (34) 내의 흡착재 (활성탄) 에 흡착된다.
상기 연료 탱크 (15) 내의 기층부에 있어서, 상기 베이퍼 통로 (31) 의 상류측 단부에는 ORVR 밸브 (On Board Refueling Vapor Recovery valve) (35) 및 연료 컷오프 밸브 (Cut Off Valve) (36) 가 형성되어 있다. ORVR 밸브 (35) 는 연료의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로 구성된 만(滿)탱크 규제 밸브로, 연료 탱크 (15) 의 연료 액면이 만탱크 액면 이하에서는 밸브 열림 상태이고, 급유에 의해서 연료 액면이 만탱크 액면까지 상승하면 플로트 밸브가 닫힘으로써 베이퍼 통로 (31) 가 차단된다. ORVR 밸브 (35) 에 의해 베이퍼 통로 (31) 가 차단되면, 연료가 인렛 파이프 (16) 까지 채워지고, 급유 건의 오토스톱 기구가 동작하여 급유가 정지된다. 또한, 컷오프 밸브 (36) 는 연료의 부력에 의해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로 구성되며, 통상은 밸브 열림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차량이 옆으로 구를 때 밸브를 닫음으로써 연료 탱크 (15) 내의 연료가 베이퍼 통로 (31) 로 유출되는 것을 저지한다.
상기 베이퍼 통로 (31) 의 도중에는 봉쇄 밸브 (38) 가 사이에 끼여 장착되어 있다. 즉, 베이퍼 통로 (31) 는, 그 도중에서 연료 탱크 (15) 측 통로부 (31a) 와 캐니스터 (34) 측 통로부 (31b) 로 분단되고, 그 연료 탱크 (15) 측 통로부 (31a) 의 하류측 단부와 캐니스터 (34) 측 통로부 (31b) 의 상류측 단부 사이에 봉쇄 밸브 (38) 가 끼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봉쇄 밸브 (38) 에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고 또한 밸브체의 스트로크를 제어함으로써 밸브 열림량을 조정 가능한 전동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 봉쇄 밸브 (38) 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상기 퍼지 통로 (32) 의 도중에는 퍼지 밸브 (40) 가 사이에 끼여 장착되어 있다. 퍼지 밸브 (40) 는, 엔진 제어 장치 (이하, 「ECU」라고 한다) (45) 에 의해 산출된 퍼지 유량에 따른 밸브 열림량으로 개폐 제어 이른바 퍼지 제어된다. 또한, 퍼지 밸브 (40) 에는, 예를 들어, 스테핑 모터를 구비하고 또한 밸브체의 스트로크를 제어함으로써 밸브 열림량을 조정 가능한 전동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또, 퍼지 밸브 (40) 에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비통전 상태에서는 밸브가 닫히고, 통전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전자 밸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캐니스터 (34) 에는 전환 밸브 (41) 를 통해서 대기 통로 (42) 가 연통되어 있다. 대기 통로 (42) 의 타단부는 대기에 개방되어 있다. 또한, 대기 통로 (42) 의 도중에는 에어 필터 (43) 가 사이에 끼여 장착되어 있다. 전환 밸브 (41) 는, 상기 ECU (45) 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또한, 전환 밸브 (41) 에는, 전자 솔레노이드를 구비하여, 비통전 상태에서는 밸브가 닫히고, 통전에 의해 밸브가 열리는 전자 밸브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 ECU (45) 에는, 상기한 탱크 내압 센서 (22), 봉쇄 밸브 (38), 퍼지 밸브 (40) 및 전환 밸브 (41) 외에, 리드 스위치 (46), 리드 오프너 (47), 표시 장치 (49) 등이 접속되어 있다. 리드 오프너 (47) 에는, 급유구를 덮는 리드 (48) 를 수동으로 개폐하는 리드 수동 개폐 장치 (도시 생략) 가 연결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 (46) 는, ECU (45) 에 대하여 리드 (48) 의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리드 오프너 (47) 는 리드 (48) 의 로크 기구로, ECU (45) 로부터 로크를 해제하기 위한 신호가 공급된 경우 또는 리드 수동 개폐 장치에 열림 동작이 실시된 경우에, 리드 (48) 의 로크를 해제한다. 또, 탱크 내압 센서 (22)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탱크 내압 검출 수단」에 상당한다. 또한, ECU (45)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제어 수단」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상기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차량의 주차 중
차량의 주차 중에는 봉쇄 밸브 (38) 가 밸브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연료 탱크 (15) 의 증발 연료가 캐니스터 (34) 내에 유입되는 일이 없다. 또한, 캐니스터 (34) 내의 공기가 연료 탱크 (15) 내에 유입되는 일도 없다. 이 때, 퍼지 밸브 (40) 및 전환 밸브 (41) 도 밸브 닫힘 상태로 유지된다.
(2) 차량의 주행 중
차량의 주행 중에 있어서, ECU (45) 는, 소정의 퍼지 조건이 성립하는 경우에, 캐니스터 (34) 에 흡착되어 있는 증발 연료를 퍼지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이 제어에서는, 전환 밸브 (41) 를 밸브 열림 상태로 하여 캐니스터 (34) 를 대기 통로 (42) 를 통해 대기에 연통시킨 채로, 퍼지 밸브 (40) 가 개폐 제어된다. 퍼지 밸브 (40) 가 열리면, 엔진 (14) 의 흡기 부압 (負壓) 이 퍼지 통로 (32) 를 통해 캐니스터 (34) 내에 작용한다. 그 결과, 캐니스터 (34) 내의 증발 연료가, 대기 통로 (42) 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와 함께 흡기 통로 (27) 에 퍼지됨으로써 엔진 (14) 에서 연소된다. 또한, ECU (45) 는, 증발 연료의 퍼지 중에 한하여 봉쇄 밸브 (38) 를 밸브 열림 상태로 한다. 이로써, 연료 탱크 (15) 의 탱크 내압이 대기압 근방값으로 유지된다.
(3) 급유 중
차량의 정차 중에 있어서, 리드 스위치 (46) 가 조작되면, ECU (45) 가 봉쇄 밸브 (38) 를 밸브 열림 상태로 한다. 이 때, 연료 탱크 (15) 의 탱크 내압이 대기압보다 고압이면, 봉쇄 밸브 (38) 가 열림과 동시에, 연료 탱크 (15) 내의 증발 연료가 베이퍼 통로 (31) 를 통과하여 캐니스터 (34) 내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이로써, 증발 연료가 대기에 방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수반하여, 연료 탱크 (15) 의 탱크 내압은 대기압 근방값으로 저하된다. 또한, 연료 탱크 (15) 의 탱크 내압이 대기압 근방값까지 저하되면, ECU (45) 는, 리드 (48) 의 로크를 해제하는 신호를 리드 오프너 (47) 에 출력한다. 그 신호를 받은 리드 오프너 (47) 가 리드 (48) 의 로크를 해제함으로써, 리드 (48) 의 개방 동작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리드 (48) 가 열리고, 탱크 캡 (17) 이 열린 상태로, 연료 탱크 (15) 로의 급유가 시작된다. 또한, ECU (45) 는, 급유의 종료 (구체적으로는 리드 (48) 가 닫힐 때) 까지 봉쇄 밸브 (38) 를 밸브 열림 상태로 유지한다. 이 때문에, 급유시에 연료 탱크 (15) 내의 증발 연료가 베이퍼 통로 (31) 를 통과하여 캐니스터 (34) 내의 흡착재에 흡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봉쇄 밸브 (38) 로서 사용되는 유량 제어 밸브 (38) (봉쇄 밸브와 동일 부호를 붙인다)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는 유량 제어 밸브의 밸브 닫힘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3 은 동 밸브의 밸브 열림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4 는 동 밸브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5 는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 은 밸브 가이드와 밸브체의 연결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7 은 밸브 가이드를 일부 파단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8 은 밸브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2 를 기준으로 하여 유량 제어 밸브 (38) 의 전후 좌우 상하의 각 방향을 정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제어 밸브 (38) 는, 밸브 케이싱 (52) 과 스테핑 모터 (54) 와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와 밸브 스프링 (60) 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순서대로 설명한다. 밸브 케이싱 (52) 에는, 중공 (中空) 원통상의 밸브실 (62) 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실 (62) 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중공 원통상의 유입로 (63) 가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 (62) 의 둘레벽면의 하부에는, 중공 원통상의 유출로 (64)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 (62), 유입로 (63) 및 유출로 (64) 에 의해 일련의 형상을 이루는 역 L 자 모양의 유체 통로 (65) 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 (62) 의 하면 즉 유입로 (63) 의 상단 개구부의 개구 가장자리부에는, 밸브 시트 (67) 가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 시트 (67) 의 상면은, 밸브실 (62) 의 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는 원환상의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실 (62) 의 하면의 외주부에는 원환상의 스프링 수용홈 (69)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스테핑 모터 (54) 는,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 (54) 는, 모터 본체 (71) 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또한 정역 회전 가능한 출력축 (72) 을 갖고 있다. 출력축 (72) 은,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실 (62) 내에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출력축 (72) 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 (7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스테핑 모터 (54)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전동 모터」에 상당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가이드 (56) 는, 원통상의 통벽부 (75) 와 통벽부 (75) 의 상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상벽부 (76) 를 가진, 천장을 구비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벽부 (75) 의 상단부에는, 외경을 크게 하는 연출 (延出) 벽부 (77) 가, 단 (段) 을 구비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벽부 (76) 의 중앙부에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상의 통축부 (79) 가 동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통축부 (79) 의 내주면에는 암나사부 (80) 가 형성되어 있다. 또, 통벽부 (75)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벽부」에 상당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가이드 (56) 는,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실 (62) 내에 대하여 회전 규제 수단 (도시 생략) 에 의해 축둘레 방향으로 회전이 금지된 상태로 상하 방향 즉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연출 벽부 (77) 의 외주면은, 밸브실 (62) 의 둘레벽면에 대하여 미소한 간극을 두고 근접한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통축부 (79) 는, 상기 스테핑 모터 (54) 의 출력축 (72) 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즉, 통축부 (79) 의 암나사부 (80) 와 출력축 (72) 의 수나사부 (73) 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 (54) 의 출력축 (72) 의 정역 회전에 근거하여, 밸브 가이드 (56) 가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직선 왕복 운동 즉 승강 이동된다. 또, 출력축 (72) 의 수나사부 (73) 와 밸브체 (58) 의 암나사부 (80) 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 (83) 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연출 벽부 (77) 와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스프링 수용홈 (69)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보조 스프링 (85) 이 끼여 장착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 (85) 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외주측에 동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보조 스프링 (85) 은, 밸브 가이드 (56) 를 항상 상방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상기 이송 나사 기구 (83) 의 백래시를 방지한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하단면은,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의 상면에 대하여 맞닿을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 (58) 는, 원통상의 통벽부 (87) 와 통벽부 (87) 의 하단 개구부를 폐쇄하는 하벽부 (88) 를 갖는, 바닥을 구비한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벽부 (88) 는, 통벽부 (87) 의 외주면으로 튀어나온 원환상의 플랜지부 (89) 를 갖고 있다 (도 8 참조). 하벽부 (88) 의 하면에는, 원판상의 고무상 탄성재로 이루어지는 시일 부재 (90) 가 장착되어 있다. 시일 부재 (90) 의 하면의 외주부에는, 원환상의 시일부 (91) (도 2 참조) 가 돌출되어 있다. 또한, 시일 부재 (90) 의 상면으로 돌출된 복수 개 (예를 들어 4 개) 의 원주상의 끼워맞춤 돌기 (92) 는, 하벽부 (88) 에 형성된 장착구멍 (93) 에 각각 끼워맞춰져 있다 (도 8 참조).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체 (58) 는, 상기 밸브 가이드 (56) 내에 동심상으로 또한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밸브체 (58) 의 하벽부 (88) 의 플랜지부 (89) 의 외주면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내벽면에 대하여 미소한 간극을 두고 근접한다. 또한,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는 내외 이중 통형상을 이루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또한, 상기 시일 부재 (90) 의 시일부 (91) 는,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의 상면에 대하여 맞닿을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사이에는, 양 부재 (56, 58) 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 (95) 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 수단 (95) 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 스프링 (60) 은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스프링 (60) 은, 상기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와 상기 밸브체 (58) 의 하벽부 (88) 사이에 동심상으로 끼여 장착되어 있다. 밸브 스프링 (60) 은,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밸브체 (58) 를 항상 하방 즉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다. 또한, 밸브 스프링 (60) 은,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내에 미소한 간극을 두고 끼워맞춰져 있다. 또, 밸브 스프링 (60)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탄성 지지 수단」,「탄성 부재」에 상당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연결하는 연결 수단 (95)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 (95) 은,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96) 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 (98) 으로 이루어진다. 뒤에 나오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 수단 (95) 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세트 (예를 들어 4 세트) 배치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 돌기 (96) 는, 상기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의 상단부의 외주면으로 돌출되는 각기둥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 (96) 는,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 개 배치되어 있다 (도 8 참조). 또, 걸어맞춤 돌기 (96)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결 볼록부」에 상당한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걸어맞춤 홈 (98) 은, 상기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상부의 내주면으로 돌출된 대략 U 자 모양의 홈형성 벽 (100)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홈형성 벽 (100) 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4 개 배치되어 있다 (도 7 참조). 또, 도 7 중의 부호 106 은,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에 형성된 관통구멍이다. 관통구멍 (106) 은, 홈형성 벽 (100) 에 부분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홈형성 벽 (100) 은, 한 쌍의 측벽부 (101, 102) 와, 양 측벽부 (101, 102) 의 하단부를 접속하는 저벽부 (103) 를 갖는 U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형성 벽 (100) 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반경 방향 내방으로 개구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홈 형상의 걸어맞춤 홈 (98)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반경 방향 외방에서 보아, 홈형성 벽 (100) 의 좌측의 측벽부 (101) 를 좌측벽부 (101) 라고 하고, 마찬가지로 우측의 측벽부 (102) 를 우측벽부 (102) 라고 하며, 좌측벽부 (101) 는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우측벽부 (102) 와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사이에는 개구부 (10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 홈 (98)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결 오목부」에 상당한다.
계속해서,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한 밸브체 (58) 의 조립 순서 (연결하는 순서)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 는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전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은 도 9 의 X-X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1 은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공정 1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2 는 마찬가지로 조립 공정 2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13 은 도 12 의 XIII-XIII 선 화살표 방향에서 본 단면도, 도 14 는 밸브 가이드에 대한 밸브체의 조립 공정 3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립 공정 1]
조립 전의 상태 (도 9 참조) 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 (56) 의 통축부 (79) 를, 밸브 케이싱 (52) 에 설치하기 전의 스테핑 모터 (54) (도 2 참조) 의 출력축 (72) 에 나사 결합한다. 또한, 밸브체 (58) 내에 밸브 스프링 (60) 을 끼워맞춘다. 계속해서, 평면에서 볼 때 (도 10 참조) 에 있어서,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에 대하여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의 개구부 (104) 측, 즉 홈형성 벽 (100) 의 우측벽부 (102) 가 인접하도록,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의 둘레 방향의 위치 관계를 대응시킨다. 이 상태에서, 밸브 가이드 (56) 내에 밸브체 (58) 를 끼워맞춘다. 그리고, 밸브체 (58) 를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상방 (개방 방향) 으로 밀어 올려,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를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에 맞닿게 한다 (도 11 참조). 이로써, 걸어맞춤 홈 (98) 의 개구부 (104) 와 걸어맞춤 돌기 (96) 가, 밸브 가이드 (56) 및 밸브체 (58) 의 둘레 방향으로 대향한다.
[조립 공정 2]
다음으로, 평면에서 볼 때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상대적으로 회동 (回動) 시킨다.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볼 때 (도 10 참조) 에 있어서, 밸브체 (58) 에 대하여 밸브 가이드 (56) 를 좌회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에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를 개구부 (104) 를 통과시켜 걸어맞춘다 (도 12 및 도 13 참조). 또한, 걸어맞춤 돌기 (96) 가 홈형성 벽 (100) 의 좌측벽부 (101) 에 맞닿음으로써, 밸브체 (58) 의 그 이상의 회동이 규제된다.
[조립 공정 3]
다음으로, 상기 밸브체 (58) 에 대한 밀어올리는 힘을 해방시킨다. 그러면,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밸브체 (58) 가 밀어눌려진다 (도 14 참조). 이에 수반하여, 걸어맞춤 돌기 (96) 가 걸어맞춤 홈 (98) 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최종적으로 걸어맞춤 홈 (98) 의 저벽부 (103) 에 맞닿게 됨으로써, 밸브체 (58) 의 그 이상의 하방 (폐쇄 방향) 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이로써, 걸어맞춤 홈 (98) 내에 걸어맞춤 돌기 (96) 가 홈형성 벽 (100) 의 양 측벽부 (101, 102) 에 의해 좌우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서는, 밸브체 (58) 의 시일 부재 (90) 의 시일부 (91) 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하단면보다 하방으로 돌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밸브 가이드 (56) 에 밸브체 (58) 가 축둘레 방향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와 밸브 스프링 (60) 의 조립품을「밸브 조립품」이라고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밸브 조립품 (도 14 참조) 을 상기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실 (62) 내에 배치함과 함께, 스테핑 모터 (54) 를 밸브 케이싱 (52) 에 설치함으로써, 유량 제어 밸브 (38) 가 완성된다 (도 3 참조). 또한, 유량 제어 밸브 (38) 는, 상기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도 1 참조) 에 있어서의 베이퍼 통로 (31) 에 봉쇄 밸브 (38) 로서 사이에 끼여 장착된다. 예를 들어, 밸브 케이싱 (52) 의 유입로 (63) 에 상기 베이퍼 통로 (31) 의 연료 탱크 (15) 측의 통로부 (31a) 가 접속됨과 함께, 유출로 (64) 에 베이퍼 통로 (31) 의 캐니스터 (34) 측의 통로부 (31b) 가 접속된다. 또한, 밸브 케이싱 (52) 은, 도시하지 않은 차체측의 고정측 부재에 볼트 등에 의해 장착된다.
다음으로, 상기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1)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열림 상태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밸브 가이드 (56) 및 밸브체 (58) (시일 부재 (90) 를 포함한다) 가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의 상방으로 이동되어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어,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의 저벽부 (103) 에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가 맞닿아 있다. 이 때문에,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가 연결 수단 (95) 을 통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ECU (45) 에 의한 스테핑 모터 (54) 의 구동 제어에 근거하여, 스테핑 모터 (54) 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 (83) 를 통해 밸브 가이드 (56) 가 축방향으로 스트로크 제어된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 (56) 와 함께 밸브체 (58) 가 승강됨으로써, 밸브체 (58) 의 밸브 열림량 (리프트량) 이 조정된다. 또한, 밸브 열림 상태에 있어서, 스테핑 모터 (54) 의 통전을 오프 (OFF) 로 해도, 스테핑 모터 (54) 의 디텐트 토크, 이송 나사 기구 (83) 의 리드각 등에 의해 밸브 열림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2)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닫힘 작동시
상기 밸브 열림 상태 (도 3 참조) 에 있어서, ECU (45) 에 의해 스테핑 모터 (54) 가 밸브 닫힘 작동되면, 출력축 (72) 이 밸브 닫힘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송 나사 기구 (83) 를 통해 밸브 가이드 (56) 및 밸브체 (58) 가 하방 (폐쇄 방향) 으로 이동 즉 하강되어 간다. 그러면, 밸브체 (58) (자세하게는 시일 부재 (90)) 가 밸브 시트 (67) 에 착좌됨으로써, 밸브체 (58) 의 하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계속해서, 밸브 가이드 (56) 가 좀더 하강되어 간다. 이에 수반하여,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의 저벽부 (103) 가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로부터 하방으로 멀어져 간다. 즉, 걸어맞춤 돌기 (96) 가 걸어맞춤 홈 (98) 을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해 간다. 이 때문에,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의 연결 수단 (95) 에 의한 연결이 해제된다. 이에 수반하여, 밸브 스프링 (60) 이 압축되어 간다.
그리고,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하단면이 밸브 시트 (67) 에 맞닿기 전에, ECU (45) 에 의해 스테핑 모터 (54) 의 밸브 닫힘 작동이 정지된다 (도 2 참조). 이로써, 밸브 시트 (67) 에 대하여 밸브 가이드 (56) 가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된다. 이 상태가 밸브 닫힘 상태이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하단면이 밸브 시트 (67) 에 맞닿기 전에, ECU (45) 에 의해 스테핑 모터 (54) 의 밸브 닫힘 작동을 정지시키지 않고서,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하단면을 밸브 시트 (67) 에 맞닿게 한 다음, 스테핑 모터 (54) 를 밸브 열림 작동시킴으로써, 밸브 가이드 (56) 를 밸브 시트 (67) 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여, 스테핑 모터 (54) 의 밸브 열림 작동을 정지시켜도 된다.
(3)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닫힘 상태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닫힘 상태 (도 2 참조) 에서는,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력에 의해서 밸브 시트 (67) 에 착좌한 상태로 탄성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밸브체 (58) 와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사이는 시일 부재 (90) 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시일된다. 또한,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 스테핑 모터 (54) 의 통전을 오프 (OFF) 로 해도, 스테핑 모터 (54) 의 디텐트 토크, 이송 나사 기구 (83) 의 리드각 등에 의해 밸브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닫힘 상태 (도 2 참조) 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의해 밸브 케이싱 (52) 에 치수 변화, 특히 밸브체 (58) 의 축방향 즉 상하 방향으로 치수 변화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밸브 케이싱 (52) 이 밸브체 (58) 의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신장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거리 (간격) 가 증대됨에 따라서,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하방 (폐쇄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 (58)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시일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와 밸브 가이드 (56) 사이의 간극이 증대되지만,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밸브 케이싱 (52) 이 밸브체 (58) 의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단축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거리 (간격) 가 감소함에 따라서,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상방 (개방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 (58) 가 경련을 일으키지 않아,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이 때,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와 밸브 가이드 (56) 사이의 간극이 감소하지만, 특별히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4) 유량 제어 밸브 (38) 의 밸브 열림 작동시
상기 밸브 닫힘 상태 (도 2 참조) 에 있어서, ECU (45) 에 의해 스테핑 모터 (54) 가 밸브 열림 작동되면, 출력축 (72) 이 밸브 열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이송 나사 기구 (83) 를 통해 밸브 가이드 (56) 가 상방 (개방 방향) 으로 이동 즉 상승되어 간다. 이에 수반하여,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이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해 간다. 이 때, 밸브 스프링 (60) 은 그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신장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홈 (98) 의 저벽부 (103) 가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에 맞닿는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의 상대 이동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가 연결 수단 (95) 을 통해 연결된다. 계속해서, 밸브 가이드 (56) 및 밸브체 (58) 가 좀더 상승되어 간다. 이로써, 밸브체 (58) 의 시일 부재 (90) 가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로부터 이좌함으로써, 상기 밸브 열림 상태가 된다 (도 3 참조).
(5) 유량 제어 밸브 (38) 의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의 초기화
ECU (45) 는,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의 초기화 (이니셜라이즈) 를 실시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를 밸브 닫힘 작동시켜 밸브 가이드 (56) 를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에 맞닿게 한다 (도 4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가이드 (56) 를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에 맞닿게 함으로써, 밸브 가이드 (56) 의 그 이상의 폐쇄 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며 또한 스테핑 모터 (54) 가 탈조 (脫調) 된 시점을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로 한다. 또한, ECU (45) 는 원점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그 후의 스테핑 모터 (54) 의 구동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의 초기화는, 예를 들어, 엔진 (14) 의 시동 후 유량 제어 밸브 (38) 의 최초의 밸브 열림 작동 전에 실시하면 된다.
상기 ECU (45) 는,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의 초기화를 실시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를 밸브 닫힘 작동시켜 밸브 가이드 (56) 를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에 맞닿게 한다. 이로써, 스테핑 모터 (54) 의 원점 위치의 초기화에 있어서, 밸브체 (58) 를 밸브 시트 (67) 에 맞닿게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밸브체 (58) (자세하게는 시일 부재 (90)) 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자세하게는 외주부)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맞닿음부」에 상당한다. 또한, 맞닿음부는 밸브 시트 (67) 에 한정되지 않고, 밸브 가이드 (56) 의 폐쇄 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부재이면 된다.
상기한 유량 제어 밸브 (38) 에 의하면, 앞서 서술한 바와 같이, 밸브 닫힘 상태에서는, 밸브체 (58) 가 밸브 시트 (67) 에 착좌한 상태로 연결 수단 (95) 에 의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의 연결이 해제되고, 또한, 밸브 가이드 (56) 가 밸브 케이싱 (52) 의 밸브 시트 (67) 로부터 떨어진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이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 온도 변화에 의해 밸브 케이싱 (52) 이 밸브체 (58) 의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신장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거리 (간격) 가 증대됨과 함께,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하방 (폐쇄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 (58)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시일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케이싱 (52) 이 밸브체 (58) 의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단축될 때에는, 스테핑 모터 (54)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거리 (간격) 가 감소하는 것에 따라서, 밸브체 (58) 가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상방 (개방 방향) 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밸브체 (58) 가 경련을 일으키지 않아, 작동 불량을 초래하는 일도 없다. 따라서,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싱 (52) 의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송 나사 기구 (83) 의 리드각을 작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리드각을 크게 취하는 등의 대책과 달리 큰 추력의 스테핑 모터 (54) 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대형화나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스테핑 모터 (54) 의 무통전 상태에서, 밸브체 (58) 가 준비없이 개폐되지 않고 소정 위치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력의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58) 의 스트로크 분해능, 즉 스테핑 모터 (54) 의 1 스텝 당 밸브체 (58) 의 스트로크량을 작게 하여, 유량 제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 수단 (95) 은, 밸브체 (58) 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96) 와, 밸브 가이드 (56) 에 형성되고, 걸어맞춤 돌기 (96) 를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홈 (98) 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연결 수단 (95) 의 걸어맞춤 돌기 (96) 와 걸어맞춤 홈 (98) 의 걸어맞춤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홈 (98) 은,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밸브체 (58) 를 상방 (개방 방향) 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걸어맞춤 돌기 (96) 를 출입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 (104) 를 구비하고, 걸어맞춤 홈 (98) 의 개구부 (104) 는, 개폐 동작과 함께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상대 이동하는 걸어맞춤 돌기 (96) 와 정합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밸브체 (58) 를 상방 (개방 방향) 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걸어맞춤 홈 (98) 에 대하여 걸어맞춤 돌기 (96) 를 개구부 (104) 를 통해 걸고 풀고 할 수 있다. 이로써, 걸어맞춤 돌기 (96) 와 걸어맞춤 홈 (98) 을 탄성 변형을 이용하지 않고서 용이하게 걸고 풀고 할 수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의 개구부 (104) 와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는, 유량 제어 밸브 (38) 의 개폐 동작에 있어서 정합하지 않는 위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유량 제어 밸브 (38) 의 개폐 동작에 관해서 걸어맞춤 돌기 (96) 가 걸어맞춤 홈 (98) 으로부터 준비없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58) 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 (탄성 부재) 로서,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사이에 끼여 장착된 밸브 스프링 (60) 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밸브체 (58) 의 자중, 자석의 반발력 등을 탄성 지지 수단으로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밸브 스프링 (60) 에 의해 밸브체 (58) 를 하방 (폐쇄 방향) 으로 안정적으로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밸브 스프링 (60) 은, 밸브 가이드 (56) 및 밸브체 (58) 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이다. 따라서, 설계 공차나 조립 등에 의해 발생하는 밸브체 (58) 의 기울어짐을 코일 스프링에 의해 흡수할 수 있다. 이로써, 밸브 닫힘시의 시일성 (자세하게는, 밸브체 (58) 와 밸브 시트 (67) 사이의 시일성) 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밸브체 (58) 는 밸브 스프링 (60) 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원통상의 통벽부 (87) 를 갖고, 밸브 가이드 (56) 는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의 외주측에 끼워맞춰지는 통벽부 (75) 를 갖는다. 따라서,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끼워맞춤에 의해, 밸브체 (58) 및 밸브 가이드 (56) 를 반경 방향의 흔들림을 억제한 상태로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변경예로서 다음의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도 15 는 밸브 가이드의 변경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도 6 참조) 는,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밸브 가이드 (56) 의 원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복수 장 (예를 들어 4 장) 의 벽부 (110) 로 대체할 수 있다. 각 벽부 (110) 의 내측면에는 각각 걸어맞춤 홈 (98)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복수 장의 벽부 (110) 는 원통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도 6 참조) 의 외주측에 끼워맞춰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밸브체 (58) 의 원통상의 통벽부 (87) (도 6 참조) 는 원통상에 한정되지 않고, 각통상이어도 되고,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된 복수 장의 벽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도 1 참조) 는, 봉쇄 밸브 (38) 로서 유량 제어 밸브 (38) 를 구비한다. 따라서, 봉쇄 밸브 (38) 로서 밸브 닫힘 상태에 있어서의 밸브 케이싱 (52) 의 치수 변화에 따른 문제를 회피할 수 있는 유량 제어 밸브 (38) 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 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에 변경을 가한 것이므로, 그 변경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 은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7 은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밸브체 (58) 의 하벽부 (88) 의 하면 중앙부에, 역 (逆) 원추사다리꼴 형상의 융기부 (112) 를 형성한 것이다. 융기부 (112) 의 하면에는, 하방을 개구하는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은, 예를 들어 육각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은, 육각 렌치, 육각 막대 등의 공구 (114) (자세하게는 걸어맞춤측 선단부) 를 걸기 및 풀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공구 걸어맞춤부」에 상당한다. 또한, 시일 부재 (90) 의 중앙부에는, 융기부 (112) 의 하단면을 노출시키는 원형상의 개구구멍 (117) (도 17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 (56) 에 밸브체 (58) 를 조립함에 있어서, 밸브체 (58) 의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에 공구 (114) (자세하게는, 걸어맞춤측 선단부) 를 걸어맞춘다. 그리고, 공구 (114) 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하여 밸브체 (58) 를 누르고 돌리는 조작한다. 즉, 밸브 가이드 (56) 내에 밸브체 (58) 를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축방향으로 밀어넣기 조작한 후, 밸브체 (58) 를 회동 조작한다. 그 결과,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98) (도 17 참조) 에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96) 가 걸어맞춰진다. 이로써, 밸브 가이드 (56) 에 밸브체 (58) 를 조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밸브 가이드 (56) 에 밸브체 (58) 를 작업자의 손에 의해 직접 조립하는 경우와 달리, 밸브체 (58) 에 이물질을 부착시키거나, 밸브체 (58) 에 흠집을 내기도 하는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형태 1 에 있어서, 밸브 가이드 (56) 에 밸브체 (58) 를 작업자의 손에 의해 직접 조립하면, 밸브체 (58) 의 시일 부재 (90) 의 시일부 (91) 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닿음으로써, 시일부 (91) 에 이물질이 부착되거나, 시일부 (91) 에 흠집이 생기거나 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공구 (114) 를 사용함으로써 그와 같은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한 밸브체 (58) 의 조립 후, 밸브체 (58) 의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으로부터 공구 (114) 를 빼내면 된다. 또한, 조립시와는 반대의 순서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와 밸브체 (58) 를 분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구 (114) 로는 일반적인 공구를 사용해도 되고, 전용 공구를 사용해도 된다.
[실시형태 3]
실시형태 3 을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 에 변경을 가한 것이므로, 그 변경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 은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9 는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 에 있어서의 걸어맞춤 돌기 (96) 와 걸어맞춤 홈 (98) 으로 이루어지는 연결 수단 (95) (도 6 참조) 을 연결 수단 (120) 으로 변경한 것이다. 또, 밸브체 (58) 에는, 실시형태 2 와 동일하게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이 형성되어 있다.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은 생략해도 된다. 또, 실시형태 1 (도 6 참조) 에 있어서의 밸브 가이드 (56) 의 연출 벽부 (77) 및 밸브체 (58) 의 플랜지부 (89) 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연결 수단 (120) 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와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연결 수단 (120) 은,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에 형성된 걸어맞춤 돌기 (122) 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에 형성된 걸어맞춤 홈 (124) 으로 이루어진다. 걸어맞춤 돌기 (122) 는, 밸브체 (58) 의 통벽부 (87) 의 상단부의 외주측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된 환상의 리브로 이루어진다. 또, 걸어맞춤 돌기 (122) 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결 볼록부」에 상당한다.
걸어맞춤 홈 (124) 은,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상단부에 형성된 환상의 홈형성 벽 (125)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홈형성 벽 (125) 은, 반경 방향 내방으로 개구되는 단면 コ 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형성 벽 (125) 은, 상측의 홈 측벽부 (125a) 와 하측의 홈 측벽부 (125b) 와 홈 저벽부 (125c) 를 갖고 있다. 상측의 홈 측벽부 (125a) 는,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의 외주부에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형성 벽 (125) 에 의해, 밸브 가이드 (56) 의 통벽부 (75) 의 내주측에 반경 방향 내방으로 개구되는 환상의 걸어맞춤 홈 (124) 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홈 (124) 은, 단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측의 홈 벽면 (124a) 과 하측의 홈 벽면 (124b) 과 홈 저면 (124c) 을 가지고 있다. 양 홈 벽면 (124a, 124b) 은, 밸브 가이드 (56) 의 축선 (중심선) 에 직교 또는 거의 직교하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의 홈 벽면 (124a) 은,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의 하면과 동일면을 이루고 있다. 또, 걸어맞춤 홈 (124) 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연결 오목부」에 상당한다.
밸브 가이드 (56) 의 걸어맞춤 홈 (124) 내에는,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122) 가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소정의 이동 스트로크를 갖고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춰져 있다. 또한, 밸브 가이드 (56) 는, 걸어맞춤 홈 (124) 을 축방향 (상하 방향) 으로 개구하도록 이분할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밸브 가이드 (56) 는, 홈형성 벽 (125) 의 상측의 홈 벽면 (124a) 을 포함한 평면을 파팅 라인 (126) 으로 하여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이분할되어 있다 (도 19 참조). 통벽부 (75) 측 부재를 통형상 부재 (128) 라고 하고, 상벽부 (76) 측 부재를 단벽 (端壁) 부재 (130) 라고 한다. 또한, 통형상 부재 (128) 및 단벽 부재 (130) 는, 각각 수지 성형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밸브 가이드 (56) 의 상벽부 (76) 에는 실시형태 1 (도 7 참조) 에 있어서의 관통구멍 (106) 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계속해서, 밸브 가이드 (56) 에 대한 밸브체 (58) 의 조립 순서 (연결 순서) 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9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통형상 부재 (128) 내에 그 상방으로부터 밸브체 (58) 가 끼워맞춰짐과 함께, 상방 개구상의 걸어맞춤 홈 (124) 내에 밸브체 (58) 의 걸어맞춤 돌기 (122) 가 끼워맞춰진다. 또, 밸브체 (58) 내에 밸브 스프링 (60) 이 끼워맞춰진다. 계속해서 밸브 스프링 (60) 의 탄성 지지에 저항하여, 단벽 부재 (130) 의 상벽부 (76) 의 상측의 홈 측벽부 (125a) 가 통형상 부재 (128) 의 홈 저벽부 (125c) 상에 맞닿는다. 이로써, 걸어맞춤 홈 (124) 의 상방 개구면이 상측의 홈 측벽부 (125a) 에 의해 폐쇄되고, 걸어맞춤 홈 (124) 내에 걸어맞춤 돌기 (122) 가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 즉 걸어맞춰진다 (도 18 참조). 이 상태에서, 통형상 부재 (128) 와 단벽 부재 (130) 가 홈형성 벽 (125) 의 파팅 라인 (126) 에 있어서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 용착은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접합 수단」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걸어맞춤 홈 (124) 에 걸어맞춤 돌기를 축둘레 방향으로 걸고 풀고 하는 경우 (실시형태 1 참조) 와 달리, 그 걸고 풀기에 필요한 축방향 (상하 방향) 의 스페이스 (개구부 (104) (도 6 참조) 에 필요한 축방향의 스페이스) 가 생략된다. 이 때문에, 걸어맞춤 홈 (124) 의 형상을 간소화하여, 밸브 가이드 (56) 를 축방향 (상하 방향) 으로 콤팩트화할 수 있다.
또한, 걸어맞춤 홈 (124) 내에 걸어맞춤 돌기 (122) 를 수용한 상태에서 통형상 부재 (128) 와 단벽 부재 (130) 를 접합함으로써, 밸브 가이드 (56) 가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연결 수단 (120) 의 걸어맞춤 홈 (124) 과 걸어맞춤 돌기 (122) 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실시형태 4 를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3 에 변경을 가한 것이므로, 그 변경 부분에 대해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 은 밸브 조립품을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21 은 밸브 가이드, 밸브체 및 밸브 스프링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3 에 있어서의 밸브 가이드 (56) 의 파팅 라인 (126) (도 18 참조) 을 파팅 라인 (부호 132 를 붙인다) 으로 변경한 것이다. 즉, 밸브 가이드 (56) 는, 홈형성 벽 (125) 의 하측의 홈 벽면 (124b) 을 포함한 평면을 파팅 라인 (132) 으로 하여 상하 방향 (축방향) 으로 이분할되어 있다 (도 21 참조). 이 때문에, 홈 저벽부 (125c) 가 단벽 부재 (130) 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해서도 실시형태 3 과 같은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유량 제어 밸브 (38) 의 전동 모터에는 스테핑 모터 (54) 외에, 회전 방향, 회전 속도 및 회전량이 제어 가능한 DC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DC 모터의 경우, 밸브 가이드 (56) 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트로크 센서를 사용하여 원점 위치의 초기화를 실시하면 된다. 또한, 전동 모터는, 이송 나사 기구 (83) 를 내장함으로써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출력축 (72) 을 구비하는 것이어도 된다. 이 경우, 출력축 (72) 에 밸브 가이드 (56) 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밸브 (38) 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 (12) 의 봉쇄 밸브 (38) 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밸브체 (58) 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밸브 스프링 (60) 으로는, 밸브체 (58) 의 자중, 자석의 반발력을 이용해도 된다. 또, 연결 수단 (95) 의 세트 수는 적절히 증감시켜도 된다. 또, 연결 수단 (95) 의 걸어맞춤 돌기 (96) 와 걸어맞춤 홈 (98) 은 역 배치 즉 걸어맞춤 돌기 (96) 를 밸브 가이드 (56) 에 형성하고, 걸어맞춤 홈 (98) 을 밸브체 (58) 에 형성해도 된다. 또, 연결 수단 (95) 으로는 스냅핏을 사용해도 된다.
또한, 공구 걸어맞춤 홈 (113) 은 육각구멍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구멍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또, 공구 걸어맞춤부로는 공구 걸어맞춤 홈 (113) 대신에, 육각기둥형, 사각기둥형 등의 공구 걸어맞춤 돌기여도 된다. 이 경우, 공구 걸어맞춤 돌기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을 갖는 공구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밸브체 (58) 의 하벽부 (88) 에 공구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융기부 (112) 는 생략해도 된다. 또, 걸어맞춤 돌기 (122) 는,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걸어맞춤 홈 (124) 을 걸어맞춤 돌기에 대응하도록 둘레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또, 통형상 부재 (128) 와 단벽 부재 (130) 를 접합하는 접합 수단은 용착 외에, 접착, 체결, 클립 고정, 열 코킹 등의 접합 수단이어도 된다. 또한, 접합 수단에 따라서는, 통형상 부재 (128) 및/또는 단벽 부재 (130) 는 수지제를 대신하여 금속제로 해도 된다.

Claims (12)

  1. 유체 통로를 형성하는 밸브 케이싱과,
    상기 밸브 케이싱의 유체 통로에 형성된 밸브 시트와,
    상기 밸브 케이싱에 설치되고,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전동 모터와,
    상기 전동 모터에 의해 이송 나사 기구를 통해 축방향으로 스트로크 제어되는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 시트에 대하여 착좌 및 이좌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체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 수단과,
    상기 밸브체를 폐쇄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 지지 수단과,
    상기 밸브 케이싱에 형성되고, 상기 밸브 가이드의 폐쇄 방향의 이동을 맞닿는 것에 의해 제한하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상기 밸브체가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상기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이 해제되고, 또한, 상기 밸브 가이드가 상기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로부터 떨어진 비맞닿음 위치에 위치하는 상태를 밸브 닫힘 상태로 하도록, 전동 모터를 제어하는, 유량 제어 밸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밸브 닫힘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후, 상기 밸브 가이드를 좀더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상기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나서, 상기 밸브 가이드가 상기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에 맞닿기 전의 상태를 상기 밸브 닫힘 상태로 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밸브 닫힘 작동을 정지시키는, 유량 제어 밸브.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밸브체의 밸브를 닫을 때, 상기 전동 모터를 밸브 닫힘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 시트에 착좌시킨 후, 상기 밸브 가이드를 좀더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수단에 의한 상기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체의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밸브 가이드를 상기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에 맞닿게 한 다음, 상기 전동 모터를 밸브 열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밸브 가이드를 상기 밸브 케이싱의 맞닿음부로부터 떨어뜨린 상태를 상기 밸브 닫힘 상태로 하여, 상기 전동 모터의 밸브 열림 작동을 정지시키는, 유량 제어 밸브.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밸브 가이드 및 상기 밸브체 중 어느 일방의 부재에 형성된 연결 볼록부와, 타방의 부재에 형성되고 또한 상기 연결 볼록부를 축방향으로 소정 범위에서 이동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연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유량 제어 밸브.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오목부는, 상기 밸브 가이드에 대하여 상기 밸브체를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축둘레 방향으로 상대 변위시킴으로써 상기 연결 볼록부를 출입 가능하게 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 오목부의 개구부와 상기 연결 볼록부는, 개폐 동작에 있어서 정합하는 일이 없는 위치 관계를 갖고 배치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에는, 그 밸브체를 누르고 돌리는 조작하기 위한 공구를 걸기 및 풀기 가능하게 걸어맞추는 공구 걸어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가이드는 통형상의 통벽부를 갖고,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 내에 끼워맞춰지는 통벽부를 갖고,
    상기 연결 수단은, 상기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와 상기 밸브체의 통벽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볼록부는, 상기 밸브체의 통벽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연결 오목부는, 상기 밸브 가이드의 통벽부의 내주측에 반경 방향 내방으로 개구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가이드는, 상기 연결 오목부를 축방향으로 개구하도록 이분할되고,
    상기 분할된 두 부재는, 상기 연결 오목부 내에 상기 연결 볼록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접합되어 있는, 유량 제어 밸브.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 수단은, 상기 밸브 가이드와 상기 밸브체 사이에 끼여 장착된 탄성 부재인, 유량 제어 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밸브 가이드 및 상기 밸브체에 대하여 동심상으로 배치된 코일 스프링인, 유량 제어 밸브.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외주측에 배치되는 통형상의 통벽부를 갖고,
    상기 밸브 가이드는, 상기 밸브체의 통벽부의 외주측에 끼워맞춰지는 벽부를 갖는, 유량 제어 밸브.
  12. 내연 기관을 탑재하는 차량의 연료 탱크 내에서 발생한 베이퍼를 흡착 및 탈리 가능한 캐니스터와,
    상기 연료 탱크와 상기 캐니스터를 연통시키는 베이퍼 통로와,
    상기 캐니스터와 상기 내연 기관의 흡기 통로를 연통시키는 퍼지 통로와,
    상기 퍼지 통로를 개폐 가능한 퍼지 밸브와,
    상기 베이퍼 통로를 개폐 가능한 봉쇄 밸브와,
    상기 퍼지 밸브 및 상기 봉쇄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로서,
    상기 봉쇄 밸브로서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하는 증발 연료 처리 장치.
KR1020167000377A 2013-07-02 2014-06-26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KR101788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38942 2013-07-02
JPJP-P-2013-138942 2013-07-02
JP2013266331 2013-12-25
JPJP-P-2013-266331 2013-12-25
PCT/JP2014/067012 WO2015002063A1 (ja) 2013-07-02 2014-06-26 流量制御弁及び流量制御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7082A KR20160017082A (ko) 2016-02-15
KR101788483B1 true KR101788483B1 (ko) 2017-10-19

Family

ID=52143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377A KR101788483B1 (ko) 2013-07-02 2014-06-26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03593B2 (ko)
JP (1) JP5996799B2 (ko)
KR (1) KR101788483B1 (ko)
CN (1) CN105358886B (ko)
DE (1) DE112014003092B4 (ko)
WO (1) WO20150020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69914B1 (en) * 2015-03-17 2022-10-12 Plastic Omnium Advanced Innovation and Research Vapour recovery system and vapour control method
DE102015217613A1 (de) * 2015-09-15 2017-03-16 Kautex Textron Gmbh & Co. Kg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ystem für Kraftfahrzeuge mit verbessertem Fehlbetankungsschutz
JP6209231B2 (ja) * 2016-02-18 2017-10-04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US9958083B1 (en) * 2016-10-27 2018-05-01 National Enviornmental Products, Ltd. Force limited valve actuator and method therefor
JP6619324B2 (ja) * 2016-12-21 2019-12-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6753790B2 (ja) 2017-01-25 2020-09-0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DE102017202151A1 (de) * 2017-02-10 2018-08-16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befüllvorganges eines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 und betriebsflüssigkeitsbehältersystems
JP6795430B2 (ja) 2017-03-14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2018159305A (ja) * 2017-03-22 2018-10-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7037370B2 (ja) * 2018-01-12 2022-03-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スプール弁
JP7021979B2 (ja) * 2018-03-06 2022-02-17 浜名湖電装株式会社 流量制御弁
JP2019190612A (ja) * 2018-04-27 2019-10-31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JP2019199901A (ja) 2018-05-15 2019-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JP2020034040A (ja) * 2018-08-28 2020-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弁装置
JP7171465B2 (ja) * 2018-10-15 2022-11-15 愛三工業株式会社 伸縮連結構造
US11035489B2 (en) * 2018-12-03 2021-06-15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ctuator assembly with spacers
JP7148381B2 (ja) * 2018-12-10 2022-10-05 浜名湖電装株式会社 流量制御弁およ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7275635B2 (ja) 2019-02-22 2023-05-18 株式会社デンソー 偏心揺動型減速装置
JP2021011841A (ja) * 2019-07-04 2021-02-04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装置の密閉弁
JP7259637B2 (ja) * 2019-08-19 2023-04-18 株式会社デンソーダイシン 絞り弁装置
JP7379216B2 (ja) 2020-03-04 2023-11-14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
WO2022085569A1 (ja) * 2020-10-19 2022-04-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燃料タンク用の流路面積制御弁
JP2023008122A (ja) * 2021-07-05 2023-01-19 愛三工業株式会社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4848A (ja) 2010-01-13 2011-07-28 Aisan Industry Co Ltd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JP5583552B2 (ja) 2010-11-05 2014-09-03 愛三工業株式会社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02930A (en) * 1976-02-24 1977-08-29 Toyota Motor Corp Exhaust-gas-circulation control valve system for automobile
DK79787A (da) * 1986-02-18 1987-08-19 Eidsmore Paul G Flowstyrings- og lukkeventil
JP3204043B2 (ja) 1995-06-22 2001-09-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流量制御バルブ
JPH1089520A (ja) 1996-09-12 1998-04-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アクチュエータ
JP4045665B2 (ja) 1998-09-02 2008-02-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処理装置
JP2000179731A (ja) * 1998-12-15 2000-06-27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
US6321776B1 (en) * 2000-04-24 2001-11-27 Wayne L. Pratt Double diaphragm precision throttling valve
JP2006258272A (ja) * 2005-03-18 2006-09-28 Inax Corp 水栓
JP4895532B2 (ja) * 2005-05-27 2012-03-14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08121711A (ja) * 2006-11-08 2008-05-29 Fuji Koki Corp 流量制御弁
JP5357721B2 (ja) * 2009-11-30 2013-12-04 株式会社フジキン カム式制御弁
JP5410370B2 (ja) 2010-06-04 2014-02-05 愛三工業株式会社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CN201779338U (zh) * 2010-07-22 2011-03-30 浙江春晖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一种流量控制阀
KR101250654B1 (ko) * 2010-08-20 2013-04-03 시케이디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제어 장치
JP5875777B2 (ja) * 2011-03-31 2016-03-0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13040626A (ja) * 2011-08-11 2013-02-28 Saginomiya Seisakusho Inc 流体制御弁の弁体の送り機構およびそれを用いた流体制御弁
JP2013113197A (ja) * 2011-11-28 2013-06-10 Toyota Motor Corp タンク内圧検出装置及び封鎖弁開閉制御装置
DE102012102646A1 (de) * 2012-03-27 2013-10-02 Ebm-Papst Landshut Gmbh Gasregelventil
DE102012011051B3 (de) 2012-06-04 2013-03-28 A. Kayser Automotive Systems Gmbh Ventil mit Vorsteuerung insbesondere für Kraftstoffdampfrückhaltesystem
JP5936985B2 (ja) 2012-10-12 2016-06-22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6177675B2 (ja) * 2013-12-06 2017-08-09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6133201B2 (ja) * 2013-12-06 2017-05-24 愛三工業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4848A (ja) 2010-01-13 2011-07-28 Aisan Industry Co Ltd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JP5583552B2 (ja) 2010-11-05 2014-09-03 愛三工業株式会社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996799B2 (ja) 2016-09-21
JPWO2015002063A1 (ja) 2017-02-23
KR20160017082A (ko) 2016-02-15
US9803593B2 (en) 2017-10-31
US20160146159A1 (en) 2016-05-26
DE112014003092T5 (de) 2016-03-17
CN105358886B (zh) 2017-08-01
CN105358886A (zh) 2016-02-24
WO2015002063A1 (ja) 2015-01-08
DE112014003092B4 (de) 2023-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483B1 (ko) 유량 제어 밸브 및 유량 제어 밸브를 구비한 증발 연료 처리 장치
US10934976B2 (en) Evaporated fuel treatment device
JP6275634B2 (ja)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5410370B2 (ja)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JP6275633B2 (ja) 流量制御弁及び蒸発燃料処理装置
JP2011144848A (ja)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US10605206B2 (en)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JP5583552B2 (ja) 電磁弁及びその電磁弁を備えた蒸発燃料処理装置
CN110566377B (zh) 流体控制阀
JP2019211018A (ja) 流体制御弁
JP6320910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US11458834B2 (en) Fluid control valve and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JP7046726B2 (ja) 流体制御弁
US11635047B2 (en) Flow control valve and evaporated fuel processing device
JP6542423B2 (ja) 流体制御弁
US11499649B2 (en) Flow control valve
JP2023114094A (ja) 流体制御弁
JP7009313B2 (ja) 流体制御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