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603B1 -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603B1
KR101786603B1 KR1020150029525A KR20150029525A KR101786603B1 KR 101786603 B1 KR101786603 B1 KR 101786603B1 KR 1020150029525 A KR1020150029525 A KR 1020150029525A KR 20150029525 A KR20150029525 A KR 20150029525A KR 101786603 B1 KR101786603 B1 KR 101786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redialing
external apparatus
sign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9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3639A (ko
Inventor
유타카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3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3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12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digital transmiss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SMS or ISD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095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 H04N1/001Systems or arrangements for the transmission of the picture signal specially adapted for transmission via digital wireline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48Auto-dialling or Auto-c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37Automation of particular transmitter jobs, e.g. multi-address calling, auto-dialing
    • H04N1/32074Redialing, e.g. after failure to make a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04N1/0022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involving facsimile protocols or a combination of facsimile protocols and computer data transmission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고속 디지털 회선망을 거쳐서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 가능한 화상통신장치는,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화상통신장치는 미리 설정된 횟수로 송신처의 기기에 대하여 리다이얼을 행한다.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라고 판정할 수 없고 송신이 정상종료하지 않은 경우에, 화상통신장치는 리다이얼 횟수를 제한해서 송신처의 기기에 대하여 리다이얼을 행한다.

Description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IMAGE COMMUNIC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본 발명은,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PSTN(공중회선망)을 사용한 팩시밀리(이하, FAX라고 함) 이외에, 네트워크(IP망)를 사용한 FAX전송이 있다. 이 IP망을 사용한 FAX전송은, ITU-T권고의 T.38에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FAX 전송에서는, 종래의 T.30 프로토콜에 따라 전송된 디지털 신호는 온전하게 전송됨으로써, T.30과 비교해서 고속 전송을 행한다. 이 FAX전송의 호 제어 프로토콜로서 SIP(세션 개시 프로토콜)를 사용하여, IP망상에서의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통신을 실현한다. 또한, 이 T.38 수순과 T.30 수순 사이에서 변환 기능을 가지는 VoIP GW(Voice over IP GateWay)를 거쳐서, IP망과 PSTN의 사이에서 G3 FAX 전송에 의해 FAX전송을 행하는 기술도 알려져 있다.
IP망과 PSTN을 통한 통신시스템의 일반적인 구성에서는, 송신측의 통신장치는 IP망에 접속되고, T.38 수순에 따라 FAX전송을 행한다. 이때, 통신장치는, IP망을 거쳐서 VoIP GW에 대하여 SIP 발호신호를 발행한다. 상기 VoIP GW는, 이 신호를 수신하면, 접속 상대를 특정하고, PSTN을 거쳐서 송신 상대인 통신장치를 호출해서 접속하고, "송신원의 통신장치-IP망-VoIP GW-PSTN-송신처의 통신장치"의 경로에 따른 FAX전송을 행한다. 이 경우에, 송신원의 통신장치와 VoIP GW와의 사이에서는 T.38의 디지털 전송 수순에 따른 FAX전송이 행해진다. 또, VoIP GW는, T.38 수순을 아날로그의 T.30 수순으로 변환하고, VoIP GW와 PSTN, 송신처의 통신장치의 사이는, G3 FAX수순인 T.30이 실행된다.
도 8은, "송신원의 통신장치-IP망-VoIP GW-PSTN-송신처의 통신장치"의 경로에 따른 수순을 설명하는 시퀀스도다. 일부의 VoIP GW메이커에서는, 이러한 전송을 행하기 전의 호접속 수순으로서, 음성전송의 호로 접속하고, 그 후에 화상전송의 호로 재접속한다. 도 8은 이 수순을 나타낸다.
송신원의 통신장치(800)는, VoIP GW(801)에 대하여 IP망을 거쳐서 호 접속 신호로서 SIP INVITE신호를 송신한다. 이 INVITE신호에는, 매체(medium)라고 불리는 전송하는 데이터 종류를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포함되어 있다. 본 예시에서는, m=audio로 세트되고, 다시 말해, 음성전송을 위한 호접속을 요구한다. 그 신호를 받은 VoIP GW(801)는, PSTN(802)에 대하여 다이얼을 송출하고, 송신처의 통신장치(803)에 호출신호를 송출한다. 이것에 응답하여, 통신장치(803)는, IP망을 거쳐서 통신장치(800)에 응답 신호인 SIP 200 0K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를 수신한 통신장치800은, 통신장치803에 대해 호를 접속시킨다. 이 수순은, 일시적으로 음성전송을 위한 접속을 종료한다.
VoIP GW(801)는, 통신장치(800)에 대하여, 데이터 통신용 호로 전환하기 위해 데이터(m=image)를 가리키는 매체 정보를 갖는 SIP INVITE신호를 송신한다. 이 신호를 수신하면, 통신장치(800)는, SIP 200 0K신호를 되돌려주고, 데이터 통신용 호을 접속시킨다. 이것으로, FAX데이터 통신의 호접속이 완료한다. 그 후에, 통신장치800과 VoIP GW(801)간의 통신은 T.38 수순에 따라 행해지고, VoIP GW(801)와 통신장치803간의 FAX통신은 T.30 수순에 따라 행해진다. 이와 같이 세션중에 세션의 특성을 변경하기 위해서 INVITE신호를 발행하는 것을, reINVITE라고 부른다.
통신장치(800)가 자동 리다이얼 기능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자동 리다이얼 기능은, 송신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했을 경우나, 송신처의 통신장치가 사용중(비지(busy))인 경우에, 유저가 설정한 간격, 횟수분, 자동으로 리다이얼해 송신하는 기능이다. 또한, 통신장치(800)는, 송신처의 기기의 종별에 따라서 유저 설정 값에 관계없이, 리다이얼 횟수를 1회로 제한하는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이라고 불리는 기능도 포함한다.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단말이외의 기기라고 판정했을 경우, 리다이얼에 의한 재송신의 의미가 없다. 그 기능은 이러한 불필요한 리다이얼을 막고, 주로 북미나 한국에서 규격화되어 있다.
도 9는, IP망, VoIP GW 및 PSTN을 거쳐 통신에서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일 경우의 처리 시퀀스를 설명하는 시퀀스도다.
본 예시에서는, IP FAX전송 페이즈(phase)동안에 통신 비정상적으로 종료한 경우에는, 이미 송신처의 기기와 FAX전송 수순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송신처의 기기는 통신 단말이라고 판정될 수 있다. 이 때문에, 통신장치는,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 대신에,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 수순에 따라 리다이얼을 행한다. 이 경우에, FAX전송 수순으로 처리가 이행되므로, 송신처의 기기를 통신 단말이라고 판정할 수 있지만, 호 제어 단계에서 호가 절단될 수도 있다. 대표 예는,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인 경우다.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일 경우, FAX전송 수순으로 처리가 이행되지 않기 때문에,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 단말인가 아닌가를 확실하게 판정할 수 없다. 그러나,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 단말일 가능성이 있으므로, 통신장치는, 송신처의 기기를 통신 단말로서 간주하여서 상기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 대신에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 수순에 따라 리다이얼을 행한다. 또한, 송신처의 기기와 호접속을 확립하지만 FAX 수순이 진행되지 않으면,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 단말은 아니라고 판정할 수 있기 때문에, 리다이얼시에 상기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이 행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최초에 송신원의 통신장치(800)는 매체:audio(m=audio)의 SIP INVITE신호를 송출한다. VoIP GW(801)는 이 신호를 받아, PSTN(802)에 다이얼한다. 그렇지만,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이면, PSTN(802)은 비지 신호(400Hz의 단속 소리)를 송출한다. 이 신호를 받은 VoIP GW(801)는, 통신장치(800)에 SIP 486 비지 신호를 송출한다. 이 신호를 받은 통신장치(800)는,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이고 통신 단말일 가능성이 있다고 판정하여서,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 대신에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 수순에 따라 리다이얼을 행한다.
SIP 신호를 사용한 리다이얼에 관한 문헌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12182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12182호에서는,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 것을 나타내는 SIP 486 비지 신호의 파라미터 Retry-After를 이용해서 발호측에 리다이얼의 간격을 통지하고 있다. 이 통지를 받은 발호측은, 그 리다이얼의 간격에 따라, 다음번의 발호까지의 간격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4-112182호에서는, 에러 리다이얼 기능도, 상대기기가 486 비지 신호이외의 비지인 것을 검출하는 방법도 개시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바와 같이, m=audio로 음성 호를 접속하고 나서 데이터 통신 호(m=image)를 재접속하는 VoIP GW에서는,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 SIP의 486 비지 신호이외의 방법으로 통지한다. 예를 들면, 음성호를 접속(SIP 200 0K 신호의 송출)한 후에,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 음성 패킷을 사용한 비지음(busy tone)등으로 통지된다. 이 경우에는,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가 아닌가를 판정하여, FAX수순을 시작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 기능 대신에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이 원치 않게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리다이얼 횟수가 1회로 제한됨으로써, 재송신에 의해 통신을 확립할 기회를 놓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 SIP 비지 신호이외의 방법으로 통지하는 경우에도,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리다이얼을 행하는 화상통신장치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국면에서의 본 발명은, 팩시밀리에 의해 IP-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통신장치로서, SIP 프로토콜에 의해 팩시밀리 송신 시작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제1의 리다이얼 처리 또는 제2의 리다이얼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리다이얼 유닛;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1의 판정 유닛;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음성 패킷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2의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 것을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가 아닌 것을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는 미리 결정된 최대 횟수를 유저에게 리다이얼하고,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는 상기 최대 횟수에 관계없이 1회 리다이얼하는, 화상통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 SIP 비지 신호이외의 방법으로 통지하는 경우에도,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인가 아닌가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리다이얼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IP망과 PSTN을 통한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화상통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화상통신장치가 VoIP GW를 거쳐서, PSTN에 접속된 화상통신장치에 FAX전송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화상통신장치에 있어서의 리다이얼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5는, 화상통신장치에 있어서 음성 패킷을 사용하여 비지 검출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6은, 도 3의 단계S302에서 송출된 INVITE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의 단계S303에서 VoIP GW로부터 수신된 INVITE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송신원의 통신장치-IP망-VoIP GW-PSTN-송신처의 통신장치"의 경로에 따른 수순을 나타낸 시퀀스도,
도 9는, IP망, VoIP GW 및 PSTN을 통한 통신에서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일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도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항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 이하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 국면들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에 따른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에 대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알 것이다.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착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IP망과 PSTN을 통한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도다.
도 1을 참조하면, 화상통신장치(100)는, 고속 디지털 회선망인 IP망(106)에 접속되어, T.38 수순에 따라 전송이 가능한 통신장치다. 이 화상통신장치(100)는, 호제어 프로토콜로서 SIP의 신호를 사용해서 게이트웨이인 VoIP GW(101)에 대하여 발호신호를 발행한다. VoIP GW(101)는, IP망(106)을 거쳐서 이 신호를 수신하면, 상대 기기를 특정하고, PSTN(공중회선망)(105)을 거쳐서 송신처의 기기인 화상통신장치(103)를 호출해서 접속한다. 이 접속 후, "화상통신장치(100)-IP망(106)-VoIP GW(101)-PSTN(1O5)-화상통신장치(103)"의 경로에 따른 통신이 행해진다. 화상통신장치(100)와 VoIP GW(101)와의 사이에서는, T.38수순에 따라 디지털 전송이 행해진다. VoIP GW(101)는, T.38수순을 아날로그의 T.30수순으로 변환해, VoIP GW(101)와, PSTN(1O5)와, 화상통신장치(103)의 사이에서는 T.30수순에 따라 G3 FAX전송이 실행된다.
또한, VoIP GW(1O2)을 추가해서 복수대의 VoIP GW를 준비하고, 접속처의 화상통신장치103과 화상통신장치104의 설치 장소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통신장치103이 토쿄(Tokyo) 지점에 설치되고, 화상통신장치104가 오사카(Osaka) 지점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VoIP GW101이 토쿄에 설치되고, VoIP GW1O2가 오사카에 설치된다. 지점간의 통신에는, 통신요금이 무료(혹은 염가)인 IP망(106)을 사용하고, 통신요금이 드는 PSTN(1O5)을 통한 통신이 시내통화에 사용되어서, 전체 통신 요금을 내릴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다. 이때, 화상통신장치103, 104 각각의 구성은 같다.
CPU(201)는, ROM(208)에 격납된 부트 프로그램에 의해 HDD(Hard Disk Drive)(210)로부터 RAM(209)에 로드된 OS와 프로그램에 따라, 이 화상통신장치(100)의 (후술하는) 각 부를 제어한다. 조작부(203)는 표시부와 키 조작부를 구비한다. 그 표시부의 표시 화면에는, 예를 들면 윈도우, 아이콘, 메시지, 메뉴, 및 기타의 유저 인터페이스 정보가 표시된다. 조작부(203)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유저가 카피, FAX, 프린터 조작을 행하는데 사용된 각종 키나, 표시 화면상에서 아이콘, 메뉴등을 지시하는데 사용된 터치패널 기능을 갖추고 있다. 스캐너부(204)는, 원고를 판독하고, 그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인쇄부(205)는, HDD(210)에 보존되어 있는 인쇄 데이터를 인쇄한다. ROM(208)은, CPU(201)에 의해 실행되는 부트 프로그램과 각종 데이터를 유지한다. RAM(209)은, CPU(201)의 워크 영역, 오류 처리시의 데이터를 보존하는 영역, 제어프로그램의 로드(load) 영역등을 제공한다. HDD(210)는, 각종 제어 프로그램과 인쇄 데이터를 보존한다. T.38 프로토콜 작성/해석부(214)는, ITU-T 권고 T.38프로토콜에 의한 팩시밀리 전송 정보를 작성하고, 또 수신한 프로토콜로부터 팩시밀리 전송 정보를 판독한다. IP 패킷 작성/해석부(206)는, ITU-T 권고 T.38프로토콜을 IP패킷에 매핑하고, 또 수신한 IP패킷으로부터 ITU-T 권고 T.38프로토콜을 판독한다. 화상변환 제어부(207)는, FAX송/수신을 하는 화상의 압축/신장, 변배, 선형 밀도 변환을 행한다. 네트워크I/F부(215)는, IP망(106)과 접속되고, IP망(106)에/으로부터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한다. 음성신호처리부(213)는, IP망(106)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패킷을 해석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100)의 동작을 도 3의 흐름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100)가 VoIP GW(101)를 거쳐서, PSTN(1O5)에 접속된 화상통신장치(103)에 FAX전송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다. 한편,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HDD(210)에 기억되고, 실행시에 RAM(209)에 로드되고, CPU(201)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단계S301에서, CPU(201)는, VoIP GW(101)에의 송신이 지시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CPU(201)는, 스캐너부(204)에 송신 원고를 두고, 조작부(203)에서 송신처를 지정하고, 조작부(203)에서 송신 시작 버튼등을 조작함으로써 송신 시작 지시가 내려졌는가를 판정한다. 단계S301에서 송신 시작 지시가 내려졌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2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01)는, SIP INVITE신호를 IP망(106)에 송출한다. 기본적으로 화상통신장치(100)로부터 IP망(106)에의 신호 송출 처리에서는, CPU(201)의 지시에 따라, IP패킷 작성/해석부(206)에서 작성된 신호를 네트워크I/F부(215)를 통해서 IP망(106)에 송출한다. 이 송출 동작은 상술한 것과 같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단계S302에서 송출하는 INVITE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의 신호 예에서는, "To:"이하에서 보낼곳을, "FROM:"이하에서 송신원을 나타내고, "m=audio"이하에서 매체 속성을 나타낸다. 도 6의 예에서는, m=audio, 통신 프로토콜로서 RTP(실시간 프로토콜)을 보이고 있다. 최종행의 "a="이하에서는, 음성신호의 인코딩에 관련된 기술을 제공한다. 본 예에서는, "8 PCMU/8000"은, PCM(펄스 코드 변조) 인코딩의 부호 비트수가 8비트이고, 부호 샘플링 주파수가 8000인 것을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우선은 음성 매체에서의 발호를 행하고, CPU(201)는 단계S303에서 VoIP GW(101)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기다린다. 단계S303에서 CPU(201)가, SIP 200 0K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하면, 음성호가 접속되기 때문에, 단계S308의 처리로 진행시킨다. 기본적으로, IP망(106)으로부터의 신호는, IP망(106)으로부터 네트워크I/F부(215)를 통해서 수신된 신호를 IP패킷 작성/해석부(206)에서 해석하고, 그 해석결과를 CPU(201)가 판정할 때 수신된다. 이 수신 동작에 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고, 그에 대한 반복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308에서, CPU(201)는, VoIP GW(101)로부터의 INVITE신호의 수신을 기다린다. 수신한 신호가, 매체 속성이 "image"의 INVITE신호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9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01)는, SIP 200 0K신호를 IP망(106)에 송출한다. 이에 따라 화상통신장치(100)와 VoIP GW(101)간의 IP FAX통신이 가능해진다. 단계S310에서, CPU(201)는 IP FAX통신을 실행한다. 단계S311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통신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했는지, 정상 종료했는지를 판정한다. 통신이 정상종료했을 경우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 판정 처리에서는, IP망(106)으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네트워크I/F부(215)를 통해서 IP패킷 작성/해석부(206)에 보내고, 패킷 신호로부터 T.38신호가 추출된다. 이 추출된 신호가 T.38프로토콜 작성/해석부(214)에 보내져서 해석됨으로써, 통신이 정상종료인가 아닌가가 판정된다. 한편, 단계S311에서 CPU(201)는, 통신이 비정상적으로 종료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7의 처리로 진행되어 자동 리다이얼을 세트함으로써,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단계S307에서 세트된 리다이얼은, 호 절단후, 유저 지시에 따른 횟수와 간격(예를 들면, 리다이얼 횟수: 2회 및 리다이얼 간격: 2분)을 설정하여서 실행된다.
도 7은, 도 3의 단계S303에서 VoIP GW(101)로부터 수신된 INVITE신호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INVITE신호에서, "To:"와 "FROM:"의 내용은 상술한 INVITE신호와 같지만, "m=image"는 통신하는 매체가 데이터인 것을 나타낸다. 이 "m="이하의 신호는, 이 INVITE신호에서 매체가 변경된 것을 나타낸다.
한편, 단계S303에서 VoIP GW(101)로부터 SIP 200 0K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SIP 486 비지 신호를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486 비지 신호를 수신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CPU(201)는,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이라고 판정하고, 단계S307의 처리로 진행되어 자동 리다이얼을 세트함으로써,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동작은, 도 9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IP 486비지 신호를 검출하여서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단계S304에서 CPU(201)는 486비지 신호가 검출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5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응답 신호의 대기 시간이 경과했는지(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했는지)를 판정한다. CPU(201)는 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 단말이 아닐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단계S306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01)는 횟수 제한 리다이얼을 세트하여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CPU(201)는 단계S305에서 송신 타임아웃을 검출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303의 처리로 되돌아가, 응답 신호의 검출을 계속한다.
단계S308에서 CPU(201)가 VoIP GW(101)로부터 SIP INVITE 신호를 수신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12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음성 패킷을 수신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음성 패킷은, RTP(Real Time Protocol)로 수신되므로, 이 판정은, 수신한 패킷의 프로토콜을 조사하여서 행해진다. CPU(201)가 음성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1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01)가 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단계S308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한편, 단계S314에서 CPU(201)가 송신 타임아웃을 검출한 경우에는, 단계S306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횟수 제한 리다이얼을 세트한다. 한편, 단계S306의 처리로 진행된 경우에, 이것은 송신처의 기기로부터 유효한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송신처의 기기가 통신 단말이 아니라고 판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횟수 제한 리다이얼을 세트하고, 리다이얼의 횟수를 유저 설정 값을 무시하고 1회로 제한한다.
단계S312에서 CPU(201)가 음성 패킷을 검출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13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음성 패킷의 음성신호를 해석하고, 그 음성신호가 비지음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01)가 그 음성신호가 비지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7의 처리로 진행되고, CPU(201)는 자동 리다이얼을 세트한다. 한편, 단계S313에서 CPU(201)가 비지음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단계S314의 처리로 진행되어, 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까지 단계S308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에, 단계S313에 있어서의 비지음의 판정 처리를 설명한다.
IP망(106)으로부터 수신한 RTP의 음성신호는, 네트워크I/F부(215)를 거쳐서 음성신호처리부(213)에 보내진다. 음성신호처리부(213)는, RTP의 음성 패킷으로부터 음성신호(예를 들면, 상기의 PCM신호)를 추출하고, 이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필터를 구비한다. 이 필터는, 본 실시예에서는 고속 푸리에(Fourier) 변환을 채용한 디지털 필터이며, 전용의 하드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CPU(201)에 의한 연산 처리에서 실행되어도 좋다. CPU(201)는, 이 음성신호처리부(213)에서 검출한 음성 데이터의 주파수를 판독하고, 또 그 음성신호의 케이던스(cadence)를 검출한다. 이 케이던스는 그 신호의 온/오프 간격을 가리키고, CPU(201)는 타이머등을 사용하여 음성신호처리부(213)로부터의 출력을 감시하는 것에 의해 그 케이던스를 검출한다. CPU(201)에 의해 검출된 음성신호의 주파수와 케이던스가 비지음(일본에서는, 400Hz정현파의 0.5초 온/0.5초 오프의 케이던스)을 가리키면, CPU(201)는 그 음성신호가 비지음이라고 판정한다. 단계S313에서 CPU(201)가 비지음이 음성 패킷으로 수신한 것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307의 처리로 진행되어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을 세트하여서,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동작은,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IP 486 비지 신호 대신에 VoIP GW(101)로부터의 음성 패킷에 의거하여, 음성호을 확립한 후에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 행해진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에 있어서의 음성 패킷을 사용하여 비지 검출처리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다.
도 9와 비교하면 분명하게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SIP 486 비지 신호 대신에, PSTN(1O5)으로부터의 비지 신호에 응답하여 VoIP GW(101)로부터 200 0K신호를 수신하고, 그 후에 VoIP GW(101)로부터의 음성 패킷에 의거해 상기 송신처의 기기가 비지라고 판정한다.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에 의한 리다이얼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통신장치에 있어서의 리다이얼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다. 한편,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HDD(210)에 기억되어 있고, 실행시에 RAM(209)에 로드되어 CPU(201)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이 처리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RTC등으로부터 소정시간(예를 들면, 100ms)마다 출력된 타이머 인터럽트 신호에 의해 기동된다. 단계S401에서, CPU(201)는, 리다이얼 잡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01)가 잡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이 처리를 종료하고; 잡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402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402에서, CPU(201)는, 유저에 의해 설정된 리다이얼 시간간격이 경과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처리는, CPU(201)에서 현재의 시간과 리다이얼 잡이 세트된 시간을 비교하여 행해지거나, 또는 전회 리다이얼을 행한 후의 인터럽트 횟수등에 근거해서 행해진다. 이 경우에, CPU(201)는, 이 타이머 인터럽트마다 RAM(209)에 그 인터럽트 횟수를 기억해둔다. 예를 들면, 리다이얼 시간간격이 2분이면, 이 카운트 값이 "1200"에 도달할 때, CPU(201)는 리다이얼 시간간격이 경과했다고 판정한다.
단계S402에서, CPU(201)가 리다이얼 시간간격이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이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402에서 CPU(201)가 리다이얼 시간간격이 경과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403의 처리로 진행된다. 단계S403에서, CPU(201)는, 세트된 리다이얼 잡이, 횟수 제한 리다이얼인가 자동 리다이얼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이 판정처리는, 도 3의 단계S306 또는 S307에서 CPU(201)에 의해 상기 세트된 리다이얼의 종류를 RAM(209)에 유지해두고, 단계S403에서 그 유지된 정보를 판독함으로써 행해진다.
단계S403에서 CPU(201)가, 횟수 제한 리다이얼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404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나머지 리다이얼 횟수를 강제적으로 0회로 세트하고 나서 단계S406으로 진행된다. 한편, 단계S403에서 CPU(201)가 횟수 제한 리다이얼이 설정되지 않았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단계S405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나머지 리다이얼 횟수를 1씩 감소시키고 나서, 단계S406으로 진행된다. 단계S406에서, CPU(201)는, 리다이얼을 행한다. 다음에, 단계S407의 처리로 진행되어 CPU(201)는, 나머지 리다이얼의 횟수가 "0"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01)는 나머지 리다이얼의 횟수가 "0"이라고 판정하면, 리다이얼 잡을 클리어해서,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CPU(201)는 나머지 리다이얼의 횟수가 "0"이 아니라고 판정하면, 다시 리다이얼할 가능성도 있어서, 리다이얼 잡을 클리어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406에서 리다이얼 잡은, 리다이얼에 의한 재송신이 성공했을 경우에도 클리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음성호에서의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의 판정을, SIP 비지 신호 대신에 음성신호로서 수신한 비지음에 의해 검출할 수 있다. 송신처의 기기가 사용중(비지)이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횟수 제한 리다이얼 기능 대신에 통상의 자동 리다이얼 기능을 실행할 수 있어서, 리다이얼에 의해 송신처의 기기와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는, 기억매체(보다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라고도 함)에 레코딩된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들(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회로(예를 들면, 주문형 반도체(ASIC))를 구비하는 것인, 시스템 또는 장치를 갖는 컴퓨터에 의해 실현되고, 또 예를 들면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고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 및/또는 상술한 실시예(들)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시스템 또는 상기 장치를 갖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CPU), 마이크로처리장치(MPU))를 구비하여도 되고,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판독하여 실행하기 위해 별개의 컴퓨터나 별개의 프로세서의 네트워크를 구비하여도 된다. 상기 컴퓨터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예를 들면 네트워크나 상기 기억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하여도 된다. 상기 기억매체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분산형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등), 플래시 메모리 소자, 메모리 카드 등 중 하나 이상을 구비하여도 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8)

  1. 팩시밀리에 의해 IP-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통신장치로서,
    SIP 프로토콜에 의해 팩시밀리 송신 시작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유닛;
    제1의 리다이얼 처리 또는 제2의 리다이얼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리다이얼 유닛;
    상기 송신 유닛에 의해 송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1의 판정 유닛;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음성 패킷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2의 판정 유닛; 및
    상기 제1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 것을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유닛을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가 아닌 것을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유닛이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는 미리 결정된 최대 횟수를 유저에게 리다이얼하고,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는 상기 최대 횟수에 관계없이 1회 리다이얼하는, 화상통신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송신 타임아웃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유닛을 제어하는, 화상통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통신장치와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IP-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공중회선망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화상통신장치.
  7. 팩시밀리에 의해 IP-네트워크를 통해서 외부장치와 통신 가능한 화상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SIP 프로토콜에 의해 팩시밀리 송신 시작의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단계;
    제1의 리다이얼 처리 또는 제2의 리다이얼 처리 중 어느 하나를 행하는 리다이얼 단계;
    상기 송신 단계에서 송신된 상기 신호에 대한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1의 판정 단계;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음성 패킷인가 아닌가를 판정하는 제2의 판정 단계; 및
    상기 제1의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인 것으로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단계를 제어하고, 상기 제1의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SIP 비지(busy) 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거나 상기 제2의 판정 단계에서 상기 응답이 상기 외부장치가 사용중임을 나타내는 상기 음성 패킷이 아닌 것으로 판정하는 경우에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를 행하도록 상기 리다이얼 단계를 제어하는 제어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의 리다이얼 처리는 미리 결정된 최대 횟수를 유저에게 리다이얼하고, 상기 제2의 리다이얼 처리는 상기 최대 횟수에 관계없이 1회 리다이얼하는, 화상통신장치의 제어 방법.
  8. 컴퓨터에, 청구항 7에 기재된 화상통신장치의 제어 방법의 각 단계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50029525A 2014-03-03 2015-03-03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KR101786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041051A JP6373018B2 (ja) 2014-03-03 2014-03-03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JP-P-2014-041051 2014-03-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3639A KR20150103639A (ko) 2015-09-11
KR101786603B1 true KR101786603B1 (ko) 2017-10-18

Family

ID=54007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9525A KR101786603B1 (ko) 2014-03-03 2015-03-03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456092B2 (ko)
JP (1) JP6373018B2 (ko)
KR (1) KR101786603B1 (ko)
CN (1) CN1049021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8263B2 (ja) * 2014-09-08 2019-0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182A (ja) * 1999-03-15 2000-09-29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12134883A (ja) * 2010-12-22 2012-07-12 Brother Ind Ltd 通信装置、通信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5746A (en) 1987-10-14 1992-12-29 Canon Kabushiki Kaisha Receiving apparatus and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US5420884A (en) 1991-04-11 1995-05-30 Canon Kabushiki Kaisha Automatic equalizer
JP2692640B2 (ja) * 1995-03-17 1997-12-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における子機間再接続方式
CN2246873Y (zh) * 1995-07-13 1997-02-05 陈彦平 一种电话机多功能自动控制装置
US6078652A (en) * 1995-07-21 2000-06-20 Call Manage, Ltd. Least cost routing system
CA2245752C (en) * 1997-08-27 2001-12-25 Sharp Kabushiki Kaisha Facsimile machine
JP2001358826A (ja) 2000-06-12 2001-12-26 Canon Inc 通信装置
JP2002111707A (ja) * 2000-09-26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メール着信通知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配信装置
KR100442662B1 (ko) * 2001-09-20 2004-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교환시스템에서 발신 호 예약 서비스방법
JP2004112182A (ja) 2002-09-17 2004-04-08 Fuji Xerox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28378A (ja) * 2008-07-17 2010-02-04 Canon Inc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CN103188365A (zh) * 2011-12-28 2013-07-0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重拨系统及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0182A (ja) * 1999-03-15 2000-09-29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JP2012134883A (ja) * 2010-12-22 2012-07-12 Brother Ind Ltd 通信装置、通信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通信装置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902136B (zh) 2018-10-02
JP2015167301A (ja) 2015-09-24
JP6373018B2 (ja) 2018-08-15
CN104902136A (zh) 2015-09-09
US9456092B2 (en) 2016-09-27
KR20150103639A (ko) 2015-09-11
US20150249758A1 (en) 2015-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7028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9338315B2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image communication and voice communication
KR101786603B1 (ko) 화상통신장치, 그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매체
US8462649B2 (en) Communication device
US9716808B2 (en) Image communica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N108012042B (zh) 传真通信装置、线路断路判定方法以及储存有程序的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JP4301249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4733724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通信端末装置の受信制御方法
JP6075847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155302B2 (ja) 通信端末装置
US9185243B2 (en) Controlling re-execution of facsimile tranmission
US20140126026A1 (en) Facsimile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83856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reliably switching session,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JP200607448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その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
JP6180229B2 (ja) 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7060034A (ja) ネットワークファクシミリ装置
JP5854969B2 (ja) 通信装置、通信プログラム、通信方法
US960269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supports multiple sessions including deemed voice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US9467594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that specifies network,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2007311997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6139996B2 (ja) 画像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4764764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JP2019036871A (ja) 通信障害解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259086A (ja) ファクシミリ装置及び着信動作設定方法
JP2005341620A (ja) ネットワー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