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0856B1 -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856B1
KR101780856B1 KR1020147017664A KR20147017664A KR101780856B1 KR 101780856 B1 KR101780856 B1 KR 101780856B1 KR 1020147017664 A KR1020147017664 A KR 1020147017664A KR 20147017664 A KR20147017664 A KR 20147017664A KR 101780856 B1 KR101780856 B1 KR 101780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lens
optical axis
position sensor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211A (ko
Inventor
아라따 가사마쯔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98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5/04Vertical adjustment of lens; Rising fro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Abstract

본 발명은 폐루프 제어를 사용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를 달성하고, 또한 오토 포커스용 자석과 손떨림 보정용 자석을 공용하도록 구성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도록 한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렌즈(1)의 광축(Z축)을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는 위치 검출 장치이다. 또한, 영구 자석(2)은 렌즈(1)에 고정되고, 렌즈(1)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영구 자석(2)은 이동하고, 그 이동량을 위치 센서(4, 6)로 검출한다.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2)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2)은 렌즈(1) 근방에 설치되어 공용되고 있다.

Description

위치 검출 장치{POSITION DETECTION DEVICE}
본 발명은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광축 방향의 위치를 검출하는 오토 포커스(AF)를 위한 위치 센서와,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손떨림 보정(OIS)을 위한 위치 센서와, AF겸 OIS용 자석을 구비하고, AF와 OIS에서 자석을 공용하여 소형화를 도모하도록 한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 전화용 소형 카메라를 사용하여 정지 화상을 촬영하는 기회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 손 떨림(진동)이 있었다고 해도, 결상면 상에서의 상 떨림을 방지하여 선명한 촬영을 할 수 있도록 한 광학식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er/이하, 「손떨림 보정」이라고 함) 장치가, 종래부터 여러가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손떨림 보정 방식으로서는, 센서 시프트 방식이나 렌즈 시프트 방식 등의 광학식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화상 처리로 손떨림 보정 하는 소프트웨어 방식이 알려져 있다.
센서 시프트 방식은, 액추에이터에 의해 규준(規準) 위치를 중심으로 촬상 소자(CCD나 CMOS 센서)가 이동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렌즈 시프트 방식은, 보정 렌즈를 광축과 수직인 평면 내에서 이동 조정하는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방식은, 예를 들어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고, 이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 검출 신호로부터 촬상 장치의 손 떨림에 의한 화상의 떨림 보정에 필요한 특정 정보를 산출함으로써, 촬상 장치가 정지하여 손 떨림이 없는 상태에서 촬상 화상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렌즈와 촬상 소자를 보유하는 렌즈 모듈(또는 카메라 모듈) 그 자체를 요동시킴으로써, 손 떨림을 보정하도록 한 손떨림 보정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은, 휴대 전화용 소형 카메라로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 발생한 손 떨림을 보정하여 상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손떨림 보정 장치이고,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용 카메라 구동 장치에 손떨림 보정 장치를 설치하고, 영구 자석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부품 개수를 삭감하고, 그 결과, 손떨림 보정 장치의 사이즈(주로 높이)를 작게(낮게) 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특허 문헌 1에는, 오토 포커스용 렌즈 구동 장치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 수단인 4개의 홀 소자가, 렌즈 모듈의 각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1-65140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소프트웨어 방식에서는, 광학식과 비교하면 화질이 열화된다는 문제가 있고, 촬상 시간도 소프트웨어의 처리가 포함되기 때문에 오래 걸린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상술한 특허문헌 1의 것은,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에서 영구 자석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에서, 본 발명과 공통되어 있지만, 특허문헌 1에 있어서의 오토 포커스 기구는, 오픈 루프 제어이기 때문에, 렌즈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전류를 코일에 계속해서 통전하지 않으면 안되어, 소비 전력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스프링의 댐핑이 있기 때문에, 렌즈 위치가 결정될 때까지 시간이 걸려, 포커스 서치에 필요로 하는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토 포커스 기구에 폐루프 제어를 사용한 경우의,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에서 자석을 공용하기 위한 구조에 대하여 전혀 기재가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점은,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에 폐루프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여 손떨림 보정을 위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여 오토 포커스를 위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로서, 상기 렌즈가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자석과,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여,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오토 포커스를 위한 제1 위치 센서와,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2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 코일과, 상기 자석의 근방에 설치되고, 상기 렌즈를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센서가 제1 홀 소자이고, 상기 제2 위치 센서가 제2 홀 소자이며, 상기 제1 홀 소자는, 상기 제1 홀 소자의 감자면(感磁面)의 법선 방향이 상기 광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상기 광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오토 포커스 기구와, 상기 광축 방향과는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손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 기구는,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결과를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위치 제어부에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 기구는, 상기 제2 위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결과를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위치 제어부에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광축 방향과는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토 포커스 기구는, 상기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2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떨림 보정 기구는, 상기 오토 포커스를 위한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를 보유하는 구동체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 및/또는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의 단자로 되는 지주와, 상기 구동체와 상기 단자의 복수 지주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센서와, 상기 제2 위치 센서와, 상기 오토 포커스 코일 및 상기 손떨림 보정용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가, S자 형상의 스프링 또는 환상(環狀)의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와, 상기 자석과, 상기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제2 위치 센서를 수납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위치 센서 및/또는 상기 제2 위치 센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센서와는 상이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3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 센서 및/또는 상기 제3 위치 센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센서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위치 센서는,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위치 센서와 상기 제3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을 A축으로 하고, 상기 A축을, 광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축을 X축으로 하고, 상기 제2 방향을 B축으로 하고, 상기 B축을, 광축을 중심으로, 상기 A축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 회전시킨 축을 Y축으로 하고,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가, 상기 X축과 Y축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 각도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렌즈를 보유하고, 또한 샤프트를 감입(嵌入)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구동체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에 감입되어 있는 복수의 샤프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샤프트가, 3군데 이상 설치되어 있어 3점 이상의 지지를 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체가,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과 제2 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구동체가 상기 제2 구동체에 감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체가, 상기 구동체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샤프트가, 상기 돌기부의 각각의 관통 구멍에 감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샤프트가, 3군데 이상 설치되어 있어 3점 이상의 지지를 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체가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과 제2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 구동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석이, 상기 제2 구동체의 절결부(切欠部)에 끼워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토 포커스를 위한 제1 위치 센서와,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2 위치 센서에 공용되는 자석이 렌즈의 광축 방향 및 렌즈의 광축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므로, 오토 포커스와 손떨림 보정에 폐루프 제어가 가능하고, 또한 소형화가 가능한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소형화를 달성하면서, 오픈 루프 제어에 비하여 포커스 서치에 걸리는 시간이 짧고, 또한 소비 전력을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형태 1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상면도.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도 6 및 도 8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 게인 도입 후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11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12의 (a), (b)는 프레임체인 하우징을 제거한 경우의 사시도.
도 13은 도 11의 (a)에 나타낸 하우징 및 하우징에 고정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의 (a) 내지 (c)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과 제2 구동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의 (a), (b)는 영구 자석(Z축 AF용 자석)과 Z축 AF용 코일과 Z축 AF용 센서의 배치도.
도 16의 (a), (b)는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과 X축 OIS용 코일과 X축 OIS용 센서의 배치도.
도 17은 Y축 OIS용 자석과 Y축 OIS용 코일과 Y축 OIS용 센서의 배치도.
도 18의 (a), (b)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과 제2 구동체와 하우징의 조립도.
도 19의 (a), (b)는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 및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의 (a), (b)는 Z축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 및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의 (a),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3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의 상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센서의 검출축의 변환을 행한 도면.
도 25는 축 변환의 계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a)는 상면에서 본 사시도, (b)는 하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27의 (a) 내지 (c)는 도 26의 (a), (b)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의 조립도로서, (a)는 제1 구동체의 사시도, (b)는 제2 구동체의 사시도, (c)는 제1 구동체를 제2 구동체에 편입시킨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1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1은 렌즈, 참조 부호 2는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참조 부호 3은 오토 포커스(AF)용 코일, 참조 부호 4는 AF용 위치 센서(홀 소자), 참조 부호 5는 X축 OIS용 코일, 참조 부호 6은 X축 OIS용 위치 센서(홀 소자), 참조 부호 111은 렌즈의 광축, 참조 부호 113은 오토 포커스(AF)용 코일의 축방향, 참조 부호 115는 X축 OIS용 코일의 축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렌즈(1)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여 손떨림 보정을 위한 위치를 검출하고, 광축 방향의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여 오토 포커스를 위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이다.
X축 OIS용 겸 AF용 자석인 영구 자석(2)은, 렌즈(1)가 광축 방향과 광축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제1 위치 센서(4)는, 영구 자석(2)의 광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고, 광축 방향의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오토 포커스를 위한 AF용 위치 센서(자기 센서)이다. 또한, 제2 위치 센서(6)는, 영구 자석(2)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고,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X축 OIS용 위치 센서(자기 센서)이다.
즉, 본 실시 형태 1의 위치 검출 장치는, 렌즈(1)의 광축(Z축)을 따라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렌즈를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는 위치 검출 장치이고, 영구 자석(2)은 렌즈(1)에 고정되고, 렌즈(1)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영구 자석(2)은 이동하고, 그 이동량을 위치 센서(4, 6)로 검출하는 것이다.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2)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2)은, 렌즈(1) 근방에 설치되어 공용되고 있다. 즉,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이 따로따로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공용되고 있으므로, 예를 들어 8.5㎜×8.5㎜의 치수 내에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에 이바지하는 구동 코일과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을 수납할 수 있으므로, 매우 소형화된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영구 자석(2)에 2개의 N극과 2개의 S극을 갖는 자석이며,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고, 또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는 자석을 사용하고 있지만, 영구 자석(2)은 1개의 N극과 1개의 S극을 갖는 자석이어도 되고, 2 이상의 N극과 2 이상의 S극을 갖는 자석이어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2)에 1개의 N극과 1개의 S극을 갖는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어도 되고,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2)에 2 이상의 N극과 2 이상의 S극을 갖는 자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어도 되고,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되어 있어도 되고,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하여 있고, 또한,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N극과 S극이 분포해도 된다.
또한, AF용 코일(3)은 영구 자석(2)의 근방이고, 또한,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에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AF용 위치 센서(제1 위치 센서)(4)는, AF용 코일(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AF용 위치 센서(4)는, 홀 소자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제1 위치 센서와 제2 위치 센서는 모두 홀 소자이며, 제1 위치 센서(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이며, 제2 위치 센서(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광축과 평행한 방향(Z축 방향)이다. 즉,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또한, 제2 위치 센서(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제1 위치 센서(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 이외의 방향이면 되고, 예를 들어 Y축 방향이어도 된다.
또한, 제1 홀 소자가, 그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제2 홀 소자가, 이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 방향과 평행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고,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서로 상이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오토 포커스 코일(3)의 축방향과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고, 또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5)의 축방향과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서로 동일한 방향이어도 된다.
도 1에 있어서는,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를 렌즈(1)와 영구 자석(2)의 중간 위치에 동일평면 내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배치에 구애될 필요는 없고, 영구 자석(2)의 렌즈(1)에 대한 배후이어도 되고, 또한, 동일평면 내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AF용 코일(3)에 통전함으로써, 영구 자석(2)의 자계와 AF용 코일(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손떨림 보정 기구는, 휴대 전화용 소형 카메라로 정지 화상의 촬영시에 발생한 손 떨림을 보정하여 상 떨림이 없는 화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 기구이고, 렌즈를, 광축과 서로 직교하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손 떨림 보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X축 OIS용 코일(5)은, 영구 자석(2)의 근방이고, 또한,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X축 OIS용 위치 센서(제2 홀 소자)(6)는, X축 OIS용 코일(5)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X축 OIS용 위치 센서(6)는 홀 소자가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는, X축 OIS용 코일(5)과 X축 OIS용 홀 소자(6)를, 광축에 수직이고, 또한 영구 자석(2)의 면과 평행해지도록 끼워지도록 배치하고 있지만, 렌즈(1)가 고정되어 있는 영구 자석의 X축 방향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OIS용 코일(5) 및 OIS용 위치 센서(6)는, X축용만을 나타내고 있지만, Y축 OIS용 코일 및 Y축 OIS용 위치 센서도 Y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즉, 손떨림 보정 기구가, 렌즈(1)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X축용 영구 자석(2)과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를 구비하고 있음과 함께, 렌즈(1)의 광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Y축용 영구 자석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과 OIS용 홀 소자를 구비하고 있다.
X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6)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2)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X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1 위치를 검출한다. Y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Y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2 위치를 검출한다.
OIS용 코일(5)은, 영구 자석(2)과 협동하여, 렌즈를 X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OIS용 코일(5)과 영구 자석(2)의 조합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손떨림 보정 기구는, 카메라가 부착된 핸드폰의 하우징 흔들림을 상쇄하도록, 렌즈를 이동(요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손떨림 보정할 수 있다.
영구 자석(2)은, 각형으로서 양면 다극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 이외에도, 양면 단극이어도 된다. 또한, 원기둥형으로서 양면 4극이나 양면 단극, 외주 다극이어도 된다. 또한, 링형으로서 편면 다극이나 내주 다극, 외주 다극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영구 자석(2)은 다양한 자석이 적용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영구 자석(2)은, 광축과 수직 방향으로 착자(着磁)되어 있지만, 광축과 평행 방향으로 착자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영구 자석(2)으로부터의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7)를, 렌즈(1)와 영구 자석(2)의 중간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이 요크(7)의 배치 위치는, 영구 자석의 렌즈(1)에 대한 배후이어도 된다. 또한, 이 요크(7)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 요크(7)는, 렌즈(1) 및 영구 자석(2)에 고정되어 있다.
렌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의 손떨림 보정 기구로서는,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와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가 고정되어 있고,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가 함께 이동한다. 또한, 오토 포커스 기구로서는,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가 고정되어 있고,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 이외에,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가 함께 이동한다. 즉, 렌즈 모듈로서는,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로 구성되어 있지만, 오토 포커스 시에는,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오토 포커스 기구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구에 폐루프 제어를 사용하고, 손떨림 보정 기구의 OIS용 홀 소자(6)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 기구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오토 포커스 기구의 AF용 홀 소자(4)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손떨림 보정 기구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즉, 렌즈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의 오토 포커스 기구로서는,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와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가 고정되어 있고,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가 함께 이동한다.
또한, 손떨림 보정 기구로서는, OIS용 코일(5)과 OIS용 홀 소자(6)가 고정되어 있고,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 이외에,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가 함께 이동한다. 즉, 렌즈 모듈로서는, 렌즈(1)와 영구 자석(2)과 요크(7)로 구성되어 있지만, OIS 시에는, AF용 코일(3)과 AF용 홀 소자(4)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설치되고,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을 공용하여, 폐루프 제어를 사용한 오토 포커스(AF) 기구와 손떨림 보정(OIS) 기구를 달성했으므로 소형화의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상면도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11a는 렌즈, 참조 부호 11b는 구동체(렌즈 배럴), 참조 부호 12는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참조 부호 12Y는 Y축 OIS용 자석, 참조 부호 13은 오토 포커스(AF)용 코일, 참조 부호 14는 AF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5X는 X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 참조 부호 15Y는 Y축 OIS용 코일, 참조 부호 16X는 X축 OIS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6Y는 Y축 OIS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7은 요크, 참조 부호 18은 AF 구동용 샤프트, 참조 부호 19X는 X축 OIS용 구동 샤프트, 참조 부호 19Y는 Y축 OIS용 구동 샤프트, 참조 부호 21은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 1의 위치 검출 장치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이 손떨림 보정 기구가, 렌즈(1)의 근방에 설치된 X축용 영구 자석(12)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15)과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16X)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렌즈(1)의 근방에 설치된 Y축용 영구 자석(12Y)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과 렌즈(1)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센서(16Y)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12)으로부터의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1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를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를 구비하고, 이 오토 포커스 기구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구에 폐루프 제어를 사용하고, 손떨림 보정 기구의 제2 위치 센서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오토 포커스 기구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 기구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구에 폐루프 제어를 사용하고, 오토 포커스 기구의 제1 위치 센서로부터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손떨림 보정 기구를 피드백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위치 검출 장치는, 구동체(렌즈 배럴)(11b)에 보유된 렌즈(11a)의 광축(Z축)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는 위치 검출 장치이다. 또한, 영구 자석(12)은 렌즈(11a)에 고정되고, 렌즈(11a)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영구 자석(12)은 이동하고, 그 이동량을 AF용 홀 소자(14)와, X축 OIS용 홀 소자(16X) 및 Y축 OIS용 홀 소자(16Y)에서 검출한다.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은, 렌즈(11a)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으로서 설치되어 공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영구 자석(12)의 근방에 설치된 오토 포커스(AF)용 코일(13)과, 이 AF용 코일(1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센서(14)와, 영구 자석(12)의 근방에 설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 및 15Y)과, 이 손떨림 보정용 코일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센서(16)를 갖고 있다. 본 실시 형태 1에서는, AF용 코일(13)의 축방향을,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X축 방향)으로 하고,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와 15Y)의 축방향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있다.
즉, 상기 X축용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은, 이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의 축방향이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고, Y축용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이, 이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의 축방향이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AF용 코일의 축방향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을 직교시킴으로써 보다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지만, 반드시 AF용 코일의 축방향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을 직교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AF용 홀 소자(14)는, AF용 코일(1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에 있어서는, AF용 코일(13)과 AF용 홀 소자(14)를, 렌즈(11a)와 영구 자석(12)의 중간 위치에 동일평면 내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배치에 구애될 필요는 없고, 영구 자석(12)의 렌즈(11a)에 대한 배후이어도 되고, 또한, 동일평면 내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AF용 코일(13)에 통전함으로써, 영구 자석(12)의 자계와 AF용 코일(1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AF 구동용 샤프트(18)를 따라 렌즈(11a)를 광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X축 OIS용 코일(15X)은, 영구 자석(12)의 근방이고, 또한,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X축 OIS용 홀 소자(16X)는, X축 OIS용 코일(15X)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있어서는, X축 OIS용 코일(15X)과 X축 OIS용 홀 소자(16X)를, 광축에 수직이고, 또한 영구 자석(12)의 면과 평행해지도록 끼워지도록 배치하고 있지만, 렌즈(11a)가 고정되어 있는 영구 자석의 X축 방향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Y축 OIS용 코일(15Y) 및 Y축 OIS용 홀 소자(16Y)도 Y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X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16X)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12)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X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1 위치를 검출한다. Y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16Y)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12Y)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Y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2 위치를 검출한다.
X축 OIS용 코일(15X) 및 Y축 OIS용 코일(15Y)은, 영구 자석(12 및 12Y)과 협동하여, 렌즈(11a)를 X축 OIS용 구동 샤프트(19X)를 따라 X축 방향 및 Y축 OIS용 구동 샤프트(19Y)를 따라 Y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OIS용 코일(15X, 15Y)과 영구 자석(12 및 12Y)의 조합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서 기능한다.
도 4는, 도 2에 있어서의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 4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렌즈 근방의 X축 상에 설치된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과, 요크(17)의 중간 위치에 AF용 홀 소자(14)가 설치되고,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 근방의 Z축 상에 X축 OIS용 홀 소자(16X)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OIS 시에는, 요크(17)와 자석(12)이 이동(X축±0.1㎜)하고, AF 시에는, 요크(17)와 자석(12)과 X축 OIS용 홀 소자(16X)가 이동(Z축±0.15㎜)한다.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의 Z 치수는 2㎜, Y 치수는 1㎜, X 치수가 0.8㎜이고, 요크(17)의 Z 치수는 2㎜, Y 치수는 1.6㎜, X 치수가 0.5㎜이다. 또한,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과 AF용 홀 소자(14)의 갭은 0.23㎜, AF용 홀 소자(14)와 요크(17)의 갭은 0.25㎜, 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과 X축 OIS용 홀 소자(16X)의 갭은 0.2㎜이다. 또한, 자석의 재질은, Nd-Fe-B이고, 요크 재질은, SPCC(JISG3141이며, 철판이고, 냉간 압연에서 제조되는 강판 또는 강대)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으로 행한 경우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우측 상부부터 순서대로, 실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 점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파선이 X축 손떨림 보정이 없을 때, 이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일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즉,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는, 렌즈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는 우측 상승으로 증가하고,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부터 +0.1㎜ 이동시로 변화함에 따라서, 우측 상승의 경사가 느슨해진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우측 상부부터 순서대로, 실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 점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파선이 X축 손떨림 보정이 없을 때, 이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일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즉,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는, 렌즈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은 단조 증가(또는 단조 감소)하고,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부터 +0.1㎜ 이동시로 변화함에 따라서, 단조 증가(또는 단조 감소)의 경사가 느슨해진다.
또한, 홀 소자의 감도는 0.2mV/mT로 나타내고 있지만, 서로 다른 감도의 홀 소자를 사용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X축 OIS시의 렌즈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가 우측 상승으로 증가하고 있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한 홀 소자와 영구 자석의 배치 관계를 갖는 시뮬레이션 조건에서 행한 경우의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X축 OIS시의 렌즈 위치가 이동함에 따라서 X축 OIS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이 단조 증가(또는 단조 감소)하고 있다.
도 6 및 도 8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는 보정 방법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1) (AF가 단부점에 있을 때의 X축 OIS 렌즈가 0㎜일 때의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AF가 단부점에 있을 때의 X축 OIS 렌즈가 -100㎜일 때의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약 0.67
2) (AF가 단부점에 있을 때의 X축 OIS 렌즈가 0㎜일 때의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AF가 단부점에 있을 때의 X축 OIS 렌즈가 +100㎜일 때의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약 1.40
3) (2)-1))/OIS 이동 거리(200㎛) … OIS1㎛당의 보정량의 산출⇒ 약 0.00365
4) 3)×「OIS 렌즈 위치」+「(2)+1))/2)」 ⇒표 1
Figure 112014060062654-pct00001
이것이, 보정 게인이 된다.
도 9는, 도 6 및 도 8의 시뮬레이션 결과에 기초하여 보정 게인 도입 후의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 중, 우측 상부부터 순서대로, 실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 점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파선이 X축 손떨림 보정이 없을 때, 이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05㎜ 이동시, 일점쇄선이 X축 손떨림 보정으로 렌즈가 +0.1㎜ 이동시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6에 있어서의 변동의 특성이, 보정 게인 도입 후에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은 제2 위치 센서(OIS용 센서)의 출력을 오토 포커스 기구에 피드백하는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위치 센서(AF용 센서)의 출력을 손떨림 보정 기구에 피드백해도 된다.
<실시 형태 2>
도 10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10의 (a)는 상면도, 도 10의 (b)는 하면도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31은 탄성 부재(스프링), 참조 부호 32는 지주(급전 단자)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10의 (a),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렌즈(11a)를 보유하는 구동체(11b)와, 하우징(21) 내의 4개의 코너에 설치되고,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 단자로서의 4개의 지주(32)와, 구동체(11b)와 급전 단자로서의 4개의 지주(32)의 각각에 접속된 2개의 탄성 부재(스프링)(31)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구동체(11b)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과 제2 구동체(11b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참조 부호 13Z는 Z축 AF용 코일, 참조 부호 14Z는 Z축 AF용 센서(홀 소자)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우징」은, 모듈의 최외벽 부분으로 정의한다.
즉, 렌즈(11a)를 보유하는 구동체(11b)와, 하우징(21) 내에 설치되고, 구동 전류의 공급용 또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급전 단자의 4개의 지주(32)와, 구동체(11b)와 급전 단자의 4개의 지주(32)에 각각 접속된 8개의 탄성 부재(스프링)(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8개의 탄성 부재(스프링)(31)는, 영구 자석(12)의 근방에 설치된 Z축 오토 포커스용 센서(14Z)와, 이 Z축 오토 포커스용 센서(14Z)의 양측에 설치된 Z축 오토 포커스용 코일(13Z)에 각각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Z축 오토 포커스용 센서(14Z) 및 Z축 오토 포커스용 코일(13Z)의 신호의 입출력을, 이 8개의 탄성 부재(스프링)(31)를 개재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주는, 모두 도전체이어도 되고, 탄성 부재(스프링)와 접속되는 개소만 도전체이어도 된다. 또한, 이 지주는, 하우징에 고정된 외부 신호 접속 단자와, 스프링을 도통할 수 있다. 통상은, 지주와 외부 접속 단자 사이에는, 기판(플렉시블 기판 포함함)이 들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오토 포커스(AF) 기구와 손떨림 보정(OIS) 기구에 대하여 탄성 부재(스프링)(31)가, 렌즈 가동부와 지주에 연결하여 X축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렌즈 가동부가 주변의 벽에 부딪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1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a)는 도 10의 (a)를 상면에서 본 사시도, 도 11의 (b)는 도 10의 (a)를 하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의 (a), (b)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은,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그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의 양측이고, 또한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외측에 X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의 배후에는, X축 OIS용 홀 소자(16X)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Y축 OIS용 홀 소자(16Y)가, X축 OIS용 홀 소자(16X)와 직교하는 방향의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외측이고, 또한 Y축 OIS용 자석(12Y)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Y축 OIS용 코일(15Y)이, Y축 OIS용 자석(12Y)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Z축 AF용 센서(14Z)가,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의 하측에 배치되고, Z축 AF용 코일(13Z)이, Z축 AF용 센서(14Z)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12의 (a), (b)는, 프레임체인 하우징을 제거한 경우의 사시도이고, 도 12의 (a)는 도 11의 (a)에 대응하는 도면, 도 12의 (b)는 도 11의 (b)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2의 (a), (b)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탄성 부재(스프링)(31)는, 구동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 단자(지주)(32)와, 제2 구동체(11b2)를 개재하여, Z축 AF용 센서(14Z) 및 Z축용 AF 코일(13Z)에 접속되어 있다.
도 13은, 도 11의 (a)에 나타낸 하우징 및 하우징에 고정된 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1의 (a)로 부터 구동체 등을 제거한 도면이다. X축 OIS(손떨림 보정)용 홀 소자용 코일(15X)과 X축 OIS용 홀 소자(16X)와 지주(32)와 탄성 부재(스프링)(31)의 위치 관계를 잘 알고, X축 OIS용 홀 소자용 코일(15X)과 X축 OIS용 홀 소자(16X)와 지주(32)와 탄성 부재(31)가 지주의 전방면에 배치되고, X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이, 하우징(21)의 벽면을 따라서 X축 OIS용 홀 소자(16X)의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부재는, 가동부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고, 최외주의 벽면 등에 고정되어 있다.
도 14의 (a) 내지 (c)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과 제2 구동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의 (a)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 도 14의 (b)는 제2 구동체, 도 14의 (c)는 도 14의 (b)에 나타낸 제2 구동체를 밑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의 (a) 내지 (c)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이,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에 부착되어 있고, Y축 OIS용 자석(12Y)이, 제2 구동체(11b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Z축 AF용 센서(14Z)가, 제2 구동체(11b2)의 내측에 배치되고, Z축 AF용 코일(13Z)이, Z축 AF용 센서(14Z)의 양측이고, 또한 제2 구동체(11b2)의 내측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14의 (a)에 있어서 동그라미 표시로 나타낸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돌기부 내의 구멍 중에 도 14의 (b)에 나타낸 Z축 방향 구동용 레일(20Z)이 들어가고,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과 함께 이동하는 것은,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뿐이다. 또한, 제2 구동체(11b2)와 함께 이동하는 것은, Z축 AF용 코일(13Z)과 Z축 AF용 센서(14Z)와 Y축 OIS용 자석(12Y)이다.
도 15의 (a), (b)는 영구 자석(Z축 AF용 자석)과 Z축 AF용 코일과 Z축 AF용 센서의 배치도이고, 도 15의 (a)는 각 부재의 치수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5의 (b)는 각 부재의 간격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Z축 AF용 코일(13Z)에 통전함으로써 화살표 방향(Z축 방향)으로 자석이 이동한다. 타축 이동 시에는, X축 및 Y축은 코일과 자석과 센서가 모두 이동하므로, 타축 이동의 영향은 없다.
도 15의 (a)에 있어서, 영구 자석(Z축 AF용 자석)(12)의 하측에 Z축 AF용 센서(14Z)가 배치되고, 그 Z축 AF용 센서(14Z)의 양측에 Z축 AF용 코일(13Z)이 배치되어 있다. 영구 자석(Z축 AF용 자석)(12)의 Z 치수가 2.1㎜, Y 치수가 2㎜, X 치수가 1.2㎜이다. Z축 AF용 코일(13Z)의 두께는 0.3㎜, 높이가 0.9㎜, 폭이 1.8㎜이다. 영구 자석(12)으로부터 Z축 AF용 센서(14Z)의 중심까지의 Z 치수는 1.02㎜이고, X 및 Y 치수에 있어서의 영구 자석(12)의 중심과 Z축 AF용 센서(14Z)의 중심은 동일하다. 또한, Z축 AF용 센서(14Z)의 중심과 Z축 AF용 코일(13Z)의 중심에 있어서의 Z 치수는 동일하다.
도 15의 (b)에 있어서, Z축 AF용 코일(13Z)의 최단 거리가 2.51㎜, 최장 거리가 5.70㎜, 하단부 거리가 5.06㎜, 상단부 거리가 3.15㎜이다. 또한, Z축 AF용 코일(13Z)의 하단부와 영구 자석(12)의 상단부의 거리가 2.33㎜, Z축 AF용 코일(13Z)의 상단부와 영구 자석(12)의 상단부의 거리가 0.74㎜이다.
도 16의 (a), (b)는,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과 X축 OIS용 코일과 X축 OIS용 센서의 배치도이고, 도 16의 (a)는 각 부재의 치수 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6의 (b)는 각 부재의 간격 치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X축 OIS 코일(15X)에 통전함으로써 화살표 방향(X축 방향)으로 자석이 이동한다. 타축 이동 시에는, Y축 및 Z축의 영향은 받지만, 비교적 큰 자석의 중앙 자속을 받기 때문에, Y축 및 Z축으로 이동해도, 신호의 변화량은 적다.
도 16의 (a)에 있어서,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12)의 배후에 X축 OIS용 홀 소자(16X)가 배치되고, 그 X축 OIS용 홀 소자(16X)의 양측에 X축 OIS용 코일(15X)이 배치되어 있다.
도 16의 (a)에 있어서,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12)의 Z 치수가 2.1㎜, Y 치수가 2㎜, X 치수가 1.2㎜이다. X축 OIS용 코일(15X)의 두께는 0.3㎜, 높이가 2.3㎜, 폭이 2.7㎜이다. X축 OIS용 홀 소자(16X)의 중심과 X축 OIS용 코일(15X)의 중심과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12)의 중심에 있어서의 Z 치수는 동일하다.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12)으로부터 X축 OIS용 홀 소자(16X)의 중심까지의 X 치수는 0.25㎜이다.
도 16의 (b)에 있어서, X축 OIS용 코일(15X)의 최단 거리가 2.4㎜, 최장 거리가 6.65㎜, 하단부 거리가 2.83㎜, 상단부 거리가 6.22㎜이다. 또한, X축 OIS용 코일(15X)의 하단부와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12)의 상단부의 거리가 0.87㎜이다.
도 17은, Y축 OIS용 자석과 Y축 OIS용 코일과 Y축 OIS용 센서의 배치도이다. Y축 OIS용 자석(12Y)의 상측에 Y축 OIS용 코일(15Y)이 배치되고, Y축 OIS용 자석(12Y)의 하측에 Y축 OIS용 홀 소자(16Y)가 배치되어 있다. Y축 OIS용 코일(15Y)에 통전함으로써 화살표 방향(Y축 방향)으로 Y축 OIS용 자석(12Y)이 이동한다. 타축 이동의 경우에는, Z축은 이동하지 않고, X축은 이동하지만, 신호는 거의 변함없다.
도 18의 (a), (b)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과 제2 구동체와 하우징의 조립도이고, 도 18의 (a)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측에서 본 도면, 도 18의 (b)는 하우징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8의 (a)에 있어서는,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이 보이고 있고, 도 18의 (b)에 있어서는, 제2 구동체(11b2)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Z축 AF용 센서(14Z)와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는 Z축 AF용 코일(13Z)이 보이고 있다.
도 19의 (a), (b)는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 및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의 (b)는 X축 OIS시의 렌즈 위치와 X축 OIS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선이 타축 이동이 없는 경우, 파선이 Y축 100㎛ 이동, 또한 Z축 250㎛ 이동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20의 (a), (b)는 Z축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 및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0의 (a)는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에 인가되는 자속 밀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의 (b)는 AF시의 렌즈 위치와 AF용 홀 소자의 출력 전압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의 (a), (b)는 도 10의 (a)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탄성 부재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고, 도 21의 (a)는 하우징을 제거한 상면도, 도 21의 (b)는 하우징을 제거한 사시도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131은 S자 형상의 스프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탄성 부재(131)는 상술한 특허문헌 5에 나타나 있는 환상의 판 스프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이, 실시 형태 2의 위치 검출 장치는, 오토 포커스 기구 및/또는 손떨림 보정 기구에 폐루프 제어를 사용하고, 렌즈(11a)를 보유하는 구동체(11b)와, 하우징(21) 내에 설치된 지주(32)와, 구동체(11b)를 개재하여, Z축 AF용 센서(14Z) 및 Z축용AF 코일(13Z)과 지주(32)에 접속된 탄성 부재(31)를 구비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지주(급전 단자)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전류나 신호를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코일이나 센서에 공급하고 있고, 또한,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탄성 부재를 개재하여 지주(급전 단자)에 공급하고 있으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 부재가, 렌즈 가동부와 지주에 연결하여 X축 및 Y축 방향의 위치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렌즈 가동부가 주변의 벽에 부딪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는, 탄성 부재(31)가 Z축 AF용 센서(14Z)와 Z축용 AF 코일(13Z)에 접속되는 예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탄성 부재(31)는 X축 OIS용 홀 소자(16X), Y축 OIS용 홀 소자(16Y), X축 OIS용 코일(15X), Y축 OIS용 코일(15Y)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 2에 있어서는, 손떨림 보정 기구 및 오토 포커스 기구를 피드백 제어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실시 형태 3>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3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의 상면도이며, 렌즈의 광축 a 방향에서 위치 검출 장치를 본 도면이다. 도면 중 참조 부호 12A는 영구 자석(A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참조 부호 12B는 B축 OIS용 자석, 참조 부호 13은 오토 포커스(AF)용 코일, 참조 부호 14는 AF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5A는 A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 참조 부호 15B는 B축 OIS용 코일, 참조 부호 16A는 A축 OIS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6B는 B축 OIS용 홀 소자, 참조 부호 17은 요크, 참조 부호 18은 AF 구동용 샤프트, 참조 부호 19A는 A축 OIS용 구동 샤프트, 참조 부호 19B는 B축 OIS용 구동 샤프트, 참조 부호 21은 카메라 모듈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렌즈 배럴」은, 렌즈를 보유하는 부재라고 정의한다.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카메라 모듈(21) 내에 수납된 렌즈(11a)의 광축과 직교하는 제1 방향과, 이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위치 센서(16A, 16B)를 구비하고, 위치 센서(16A, 16B)가, 카메라 모듈(21)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방향은,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고, 바람직하게는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이다. 또한, 제2 방향은,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고, 바람직하게는 제2 방향은,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이다.
또한, 도 23의 상면도에 있어서, 제1 방향이 카메라 모듈(21)의 변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 센서(16A)가 배치되어 있고, 제2 방향이 카메라 모듈(21)의 변 방향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위치 센서(16B)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방향으로 배치된 위치 센서(16A)는, A축 손떨림 보정용 홀 소자이고, 제2 방향으로 배치된 위치 센서(16B)는, B축 손떨림 보정용 홀 소자이다.
또한, 제1 방향을 A축으로 하고, 제2 방향을 B축으로 하고, A축 및 B축의 위치를 검출하고, 45도 기울여서 축 변환한 각각의 축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검지한다. 여기서, 도 23에 있어서, 자석(12A) 및 A축 OIS용 홀 소자(16A) 및 A축 OIS용 코일(15A)을 카메라 모듈(21)의 변과 동일한 방향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도 23의 상태에서 45도 회전하여 배치한 경우, 오토 포커스용 코일(13) 및 AF용 홀 소자(14)도 마찬가지로 45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AF용 홀 소자(14)가, 모듈 밖으로 밀려 나와버린다. 즉, 카메라 모듈 자체를 크게 해야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A축 및 B축의 위치를 검출하고, 45도 회전하여 축 변환한 각각의 축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검지하게 배치함으로써,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3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카메라 모듈(21) 내에 수납된 렌즈(11a)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고 있다.
또한, 영구 자석(12A)는,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자석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자석과 공용한 것이다. 또한, 오토 포커스 코일(13)은 영구 자석(12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위치 센서(14)는, 오토 포커스 코일(1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15A)은, 영구 자석(1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위치 센서(16A)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15A)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제1 위치 센서(14) 및 제2 위치 센서(16A)는, 카메라 모듈(21)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용 자석(12B)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15B)은, 손떨림 보정용 자석(12B)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 위치 센서(16B)는, 손떨림 보정용 코일(15B)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이 제3 위치 센서(16B)는, 카메라 모듈(21)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 센서(14)가 오토 포커스용 홀 소자로, 제2 위치 센서(16A)가 A축 손떨림 보정용 홀 소자이고, 제3 위치 센서(16B)가 B축 손떨림 보정용 홀 소자이다. 또한, 제1 방향을 A축으로 하고, 제2 방향을 B축으로 하고, A축 및 B축을 45도 기울여서 축 변환한 각각의 축에 있어서의 렌즈의 위치를 검지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A축 및 B축에서 45도 회전한 축의 위치를 검지하게 배치함으로써, 모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는, 구동체(렌즈 배럴)(11b)에 보유된 렌즈(11a)의 광축(Z축)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는 위치 검출 장치이다. 또한, 영구 자석(12A)는 렌즈(11a)에 고정되고, 렌즈(11a)의 움직임에 추종하여 영구 자석(12A)은 이동하고, 그 이동량을 AF용 홀 소자(14)와, A축 OIS용 홀 소자(16A)에서 검출한다.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되는 오토 포커스용 영구 자석과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는 손떨림 보정용 영구 자석은, 렌즈(11a)의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A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12A)으로서 설치되어 공용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위치 검출 장치는, 영구 자석(12A)의 근방에 설치된 오토 포커스(AF)용 코일(13)과, 이 AF용 코일(1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1 위치 센서(14)와, 영구 자석(12A)의 근방에 설치된 손떨림 보정용 코일(15A)과, 이 손떨림 보정용 코일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2 위치 센서(16A)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AF용 코일(13)의 축방향을,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A축 방향)으로 하고, 손떨림 보정용 코일(15A와 15B)의 축방향을,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하고 있다. AF용 코일의 축방향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을 직교시킴으로써 보다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지만, 반드시(부분 부정) AF용 코일의 축방향과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을 직교시킬 필요는 없다.
또한, AF용 홀 소자(14)는 AF용 코일(1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2에 있어서는, AF용 코일(13)과 AF용 홀 소자(14)를 렌즈(11a)와 영구 자석(12A)의 중간 위치에 동일평면 내에 배치하고 있지만, 이 배치에 구애될 필요는 없고, 영구 자석(12A)의 렌즈(11a)에 대한 배후이어도 되고, 또한, 동일평면 내가 아니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AF용 코일(13)에 통전함으로써 영구 자석(12A)의 자계와 AF용 코일(13)에 흐르는 전류에 의한 자계의 상호 작용에 의해, AF 구동용 샤프트(18)를 따라 렌즈(11a)를 광축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 A축 OIS용 코일(15A)은, 영구 자석(12A)의 근방이고, 또한,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평행한 방향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A축 OIS용 홀 소자(16A)는, A축 OIS용 코일(15A)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도 22 및 도 23에 있어서는, A축 OIS용 코일(15A)과 A축 OIS용 홀 소자(16A)를, 광축에 수직이고, 또한 영구 자석(12A)의 면과 평행해지도록 끼워지도록 배치하고 있지만, 렌즈(11a)가 고정되어 있는 영구 자석의 A축 방향의 이동을 검출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B축 OIS용 코일(15B) 및 B축 OIS용 홀 소자(16B)도 B축 상에 배치되어 있다.
A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16A)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12A)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A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1 위치를 검출한다. B축 방향에서 대향하여 배치된 홀 소자(16B)는, 그들과 대향하는 영구 자석(12B)의 자력을 검출함으로써, B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는 제2 위치를 검출한다.
A축 OIS용 코일(15A) 및 B축 OIS용 코일(15B)은, 영구 자석(12A, 12B)과 협동하여, 렌즈(11a)를 A축 OIS용 구동 샤프트(19A)를 따라 A축 방향 및 B축 OIS용 구동 샤프트(19B)를 따라 B축 방향으로 구동한다. 또한, OIS용 코일(15A, 15B)과 영구 자석(12A, 12B)의 조합은, 보이스 코일 모터(VCM)로서 기능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의 위치 센서의 검출축의 변환을 행한 도면이다. 도 23에 나타낸 A축 및 B축을 축 변환하여 X축과 Y축의 위치를 검지하게 된다. 그렇다면, 자이로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X축과 Y축이므로, A축과 B축을 X축과 Y축으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A축과 B축은, 각각 45도 기운 축이므로, 축 변환을 행하면 된다. AB축 좌표계를 XY축 좌표계로 변환함으로써, XY축 좌표계에서 검출된 렌즈 위치에 대응하고 있던 종래의 후단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5는, 축 변환의 계산에 대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X축과 Y축과 45도의 기울기의 A축과 B축을 갖고,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a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b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c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d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e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f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g 영역
+측 X축과 -측 Y축과 +측 A축과 +측 B축을 만족하는 영역을 h 영역
으로 하고 있다.
또한, A축의 값을 A, B축의 값을 B로 한다.
각 영역a 내지 h에 있어서의 X축 위치 및 Y축 위치의 계산은 표 2와 같이 된다.
1) 먼저, A축과 B축의 값으로부터, 이하를 판단한다.
A축이 플러스, B축이 플러스(a, h에리어)
A축이 플러스, B축이 마이너스(b, c에리어)
A축이 마이너스, B축이 마이너스(d, e에리어)
A축이 마이너스, B축이 플러스(f, g에리어)
2) 이어서, A의 절댓값과 B의 절댓값으로부터 각각의 에리어를 결정한다.
a, h에리어에 있어서,
|A|>|B|이면 a, |A|<|B|이면 h, |A|=|B|이면 X축상
b, c에리어에 있어서,
|A|>|B|이면 b, |A|<|B|이면 c, |A|=|B|이면 Y축상
d, e에리어에 있어서,
|A|>|B|이면 e, |A|<|B|이면 d, |A|=|B|이면 X축상
f, g에리어에 있어서,
|A|>|B|이면 f, |A|<|B|이면 g, |A|=|B|이면 Y축상
3) 에리어가 판명되면, 이하의 표 2의 계산을 행한다.
Figure 112014060062654-pct00002
이와 같이, 축 변환하여 위치 검출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렌즈 모듈 내에 배치되는 위치 센서를 렌즈 모듈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하도록 하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AB축 좌표계에서 얻어진 출력을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을 X축 방향, Y축 방향으로 하는 XY축 좌표계로 변환하고 있으므로, XY축 좌표계에서 검출된 렌즈 위치에 대응하고 있던 종래의 후단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4>
도 26의 (a), (b)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실시 형태 4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6의 (a)는 상면에서 본 사시도, 도 26의 (b)는 하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7의 (a) 내지 (c)는, 도 26의 (a), (b)에 나타낸 위치 검출 장치의 조립도이고, 도 27의 (a)는 제1 구동체의 사시도, 도 27의 (b)는 제2 구동체의 사시도, 도 27의 (c)는 제1 구동체를 제2 구동체에 편입시킨 도면이다. 또한, 도면 중 참조 부호 18a, 18b, 18c는 샤프트, 참조 부호 22a, 22b, 22c는 돌기부, 참조 부호 23은 절결부를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도 14의 (a) 내지 (c)의 상위점은, 도 14의 (a), (b)에 있어서는,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11b1)과, 제2 구동체(11b2)로 구성되어 있는 구동체(11b)의 제1 구동체(11b1)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기부(22)에 감합되는 Z축 방향 구동용 레일(샤프트)(20Z)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돌기부(22a, 22b, 22c)에 감합되는 3개의 샤프트(18a, 18b, 18c)를 구비하고 있는 점이다. 즉, 3점 지지되어 있는 점이 크게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 4의 위치 검출 장치는, 렌즈(11a)의 광축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오토 포커스 기구와,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손떨림 보정 기구를 갖는 위치 검출 장치이다.
구동체(11b)는, 렌즈(11a)를 보유하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오토 포커스용 자석(2)은 구동체(11b)의 근방에 배치되고, 오토 포커스 기구에 사용된다. 또한, 오토 포커스 코일(3)은 오토 포커스용 자석(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오토 포커스 코일(3)은, 제2 구동체(11b2)의 내주를 따르게 배치되고, 그 축방향은 렌즈(11a)의 광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로 함으로써, 소형의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X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X) 및 Y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Y)은, 구동체(11b)의 근방에 배치되고, 손떨림 보정 기구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은, X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X)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은, Y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Y)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 센서(4)는, 오토 포커스 코일(3)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2 위치 센서(16X)는,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2X)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제3 위치 센서(16Y)는,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에 의해 구동되는 렌즈(11a)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토 포커스용 자석(2)과 X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X)를 겸용하는 공용 자석(1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구동체(11b)는,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11b1)과, 제2 구동체(11b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부재(31)는, S자 형상의 스프링 또는 환상의 판 스프링이다. 또한, 제1 위치 센서, 제2 위치 센서 및 제3 위치 센서는, 자기 센서이다.
또한, 오토 포커스 코일(3)은, 이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 15Y)은, 이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위치 센서는 제1 홀 소자이며, 제2 위치 센서는 제2 홀 소자이며, 제3 위치 센서는 제3 홀 소자이며,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동일하고,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제3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상이하다.
또한, 제1 위치 센서는 제1 홀 소자이며, 제2 위치 센서는 제2 홀 소자이며, 제3 위치 센서는 제3 홀 소자이며, 제1 홀 소자, 제2 홀 소자 및 제3 홀 소자는, 그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제1 및 제2 홀 소자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제3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상이하다.
또한, 제1 위치 센서는 제1 홀 소자이며, 제2 위치 센서는 제2 홀 소자이며, 제3 위치 센서는 제3 홀 소자이며, 오토 포커스 코일의 축방향은 광축과 평행한 방향이며,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은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즉, 제1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과 상이한 방향이다.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과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며, 모두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의 축방향과 제3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동일한 방향이며, 모두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은, 이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은, 이 코일의 축방향이 광축과 직교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의 축방향과,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의 축방향은 모두 상이한 방향이며, 그 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제1 내지 제3 홀 소자의 감자면,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의 축방향과,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의 축방향을 상기 배치로 함으로써, 렌즈 모듈의 코너부에 각 홀 소자, 각 손떨림 보정용 코일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소형의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용 자석(2)의 착자 방향은, 오토 포커스 코일(3)에 통전했을 때 광축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착자 방향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X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X)의 착자 방향은, X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X)에 통전했을 때 X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착자 방향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또한, Y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Y)의 착자 방향은, Y축 손떨림 보정용 코일(15Y)에 통전했을 때 Y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착자 방향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다.
도 27의 (a) 내지 (c)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영구 자석(AF용 자석)(12)이,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에 부착되어 있고, Y축 OIS용 자석(12Y)이, 제2 구동체(11b2)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다. 또한, Z축 AF용 센서(14Z)가, 제2 구동체(11b2)의 외측에 배치되고, Z축 AF용 코일(13Z)이, 제2 구동체(11b2)의 내측을 따라서, 또한 렌즈의 외주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27의 (a)에 있어서,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복수의 돌기부(22a, 22b, 22c)의 관통 구멍 각각에, 도 27의 (b)에 나타낸 복수의 샤프트(18a, 18b, 18c)가 감입되고,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이 Z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렌즈 배럴(제1 구동체)(11b1)과 함께 이동하는 것은, 영구 자석(AF용 자석)(12)뿐이다. 또한, 제2 구동체(11b2)와 함께 이동하는 것은, Z축 AF용 코일(13Z)과 Z축 AF용 센서(14Z)와 Y축 OIS용 자석(12Y)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동체(11b)는, 샤프트(18a, 18b, 18c)를 개재하여 렌즈(11a)의 광축을 따라 이동한다. 또한, 복수의 돌기부(22a, 22b, 22c) 및 복수의 샤프트(18a, 18b, 18c)는, 3군데에 설치되어 있어 3점 지지를 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토 포커스용 자석(2)과 X축 손떨림 보정용 자석(12X)을 겸용하는 공용 자석(12)은 제2 구동체(11b2)의 절결부(23)에 끼워 맞추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오토 포커스 기구와 손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고, AF용 자석과 OIS용 자석을 공용하도록 구성하고, 렌즈 모듈 내에 있어서의 렌즈를 보유하는 구동체의 지지 부재에 의한 안정성을 도모하도록 한 소형의 위치 검출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특히, 3점 지지 구조로 함으로써, 카메라의 렌즈부가 기울어지지 않는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실시 형태 1 내지 4에 기재된 위치 검출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일례이며, AF용 홀 소자의 감자면의 방향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에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마찬가지로 OIS용 홀 소자의 감자면의 방향에 특별히 한정은 없고,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에 수직으로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광축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자석의 착자 방향이나 AF용 코일, OIS용 코일의 배치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은 없다.
1 : 렌즈
2 :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3 : AF용 코일
4 : AF용 위치 센서(홀 소자)
5 : X축 OIS용 코일
6 : X축 OIS용 위치 센서(홀 소자)
7, 17 : 요크
11a : 렌즈
11b : 구동체
11b1 : 제1 구동체(렌즈 배럴)
11b2 : 제2 구동체
12 : 영구 자석(X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12A : 영구 자석(A축 OIS용 자석겸 AF용 자석)
12X : X축 OIS용 자석
12Y : Y축 OIS용 자석
12B : B축 OIS용 자석
13 : 오토 포커스(AF)용 코일
13Z : Z축 AF용 코일
14 : AF용 홀 소자
14Z : Z축 AF용 센서
15X : X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
15A : A축 OIS(손떨림 보정)용 코일
15Y : Y축 OIS용 코일
15B : B축 OIS용 코일
16X : X축 OIS용 홀 소자
16A : A축 OIS용 홀 소자
16Y : Y축 OIS용 홀 소자
16B : B축 OIS용 홀 소자
18 : AF 구동용 샤프트
18a, 18b, 18c : 샤프트
19X : X축 OIS용 구동 샤프트
19A : A축 OIS용 구동 샤프트
19Y : Y축 OIS용 구동 샤프트
19B : B축 OIS용 구동 샤프트
20Z : Z축 방향 구동용 레일
21 : 카메라 모듈(하우징)
22 : 돌기부
22a, 22b, 22c : 돌기부
23 : 절결부
31, 131 : 탄성 부재
32 : 지주(급전 단자)
111 : 광축
113 : AF용 코일의 축방향
115 : X축 OIS용 코일의 축방향

Claims (29)

  1. 렌즈의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여 손떨림 보정을 위한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여 오토 포커스를 위한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로서,
    자석과,
    오토 포커스를 위한 제1 위치 센서와,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2 위치 센서
    를 구비하며,
    상기 자석은 상기 렌즈가 상기 광축 방향과 상기 광축과 수직인 면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이동하고,
    상기 제1 위치 센서는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 방향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여,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며,
    상기 제2 위치 센서는 상기 자석의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서의 이동에 수반하여 변화하는 자장을 검지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광축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오토 포커스 기구와, 상기 광축 방향과는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손떨림 보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오토 포커스 기구는,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결과를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위치 제어부에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렌즈의 상기 광축 방향의 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 기구는, 상기 제2 위치 센서의 출력으로부터 상기 광축 방향과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한 결과를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렌즈 위치 제어부에 피드백함으로써, 상기 광축 방향과는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며,
    상기 오토 포커스 기구가 또한 상기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2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 및 상기 손떨림 보정 기구가 또한 상기 오토 포커스를 위한 상기 제1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제어하는 것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센서가 제1 홀 소자이고, 상기 제2 위치 센서가 제2 홀 소자이며,
    상기 제1 홀 소자는, 상기 제1 홀 소자의 감자면(感磁面)의 법선 방향이 상기 광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제2 홀 소자의 감자면의 법선 방향이 상기 광축에 수직 또는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으로부터의 자속의 자로를 형성하기 위한 요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보유하는 구동체와,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단자 및/또는 신호의 입력 또는 출력의 단자로 되는 지주와, 상기 구동체와 상기 단자의 복수 지주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탄성 부재가, 상기 제1 위치 센서와, 상기 제2 위치 센서와, 오토 포커스 코일 및 손떨림 보정용 코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도전성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S자 형상의 스프링 또는 환상(環狀)의 판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1. 제1항,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와, 상기 자석과, 상기 제1 위치 센서 및 상기 제2 위치 센서를 수납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 센서 및/또는 상기 제2 위치 센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센서와는 상이한, 상기 광축 방향에 수직인 면 내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손떨림 보정을 위한 제3 위치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위치 센서 및/또는 상기 제3 위치 센서가, 상기 카메라 모듈 내의 4개의 코너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센서는, 상기 광축과 직교하는 제1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3 위치 센서는, 상기 광축 및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상이한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이, 상기 카메라 모듈의 변 방향과 45도의 각도를 이루는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 센서와 상기 제3 위치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방향을 A축으로 하고, 상기 A축을, 광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축을 X축으로 하고,
    상기 제2 방향을 B축으로 하고, 상기 B축을, 광축을 중심으로, 상기 A축과 동일 방향으로 상기 소정 각도 회전시킨 축을 Y축으로 하고,
    상기 렌즈 위치 검출부가, 상기 X축과 Y축에 있어서의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각도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를 보유하고, 또한 샤프트를 감입(嵌入)하기 위한 관통 구멍을 복수 갖는 구동체와, 상기 복수의 관통 구멍 각각에 감입되어 있는 복수의 샤프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구멍 및 상기 샤프트가, 3군데 이상 설치되어 있어 3점 이상의 지지를 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3.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가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과 제2 구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체가 상기 제2 구동체에 감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5. 제21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가, 이 구동체의 외주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관통 구멍을 갖는 복수의 돌기부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샤프트가, 상기 돌기부의 각각의 관통 구멍에 감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 및 상기 샤프트가, 3군데 이상 설치되어 있어 3점 이상의 지지를 행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가,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과 제2 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가, 상기 제1 구동체인 렌즈 배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1 구동체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이, 상기 제2 구동체의 절결부(切欠部)에 끼워 맞춰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검출 장치.
KR1020147017664A 2012-06-07 2013-05-31 위치 검출 장치 KR10178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0057 2012-06-07
JP2012130057 2012-06-07
JPJP-P-2012-199525 2012-09-11
JP2012199525 2012-09-11
PCT/JP2013/003466 WO2013183270A1 (ja) 2012-06-07 2013-05-31 位置検出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88A Division KR101851912B1 (ko) 2012-06-07 2013-05-31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211A KR20140098211A (ko) 2014-08-07
KR101780856B1 true KR101780856B1 (ko) 2017-10-10

Family

ID=497116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88A KR101851912B1 (ko) 2012-06-07 2013-05-31 위치 검출 장치
KR1020147017664A KR101780856B1 (ko) 2012-06-07 2013-05-31 위치 검출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4288A KR101851912B1 (ko) 2012-06-07 2013-05-31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407799B2 (ko)
EP (1) EP2860581B1 (ko)
JP (2) JP5895054B2 (ko)
KR (2) KR101851912B1 (ko)
CN (2) CN107343139B (ko)
TW (1) TWI477888B (ko)
WO (1) WO2013183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09261A1 (en) 1997-05-30 2011-04-13 Stryker Corporation Methods for evaluating tissue morphogenesis and morphogenic activity
WO2005115438A1 (en) 2004-05-25 2005-12-08 Stryker Corporation Use of morphogenic proteins for treating cartilage defects
CA2752157A1 (en) 2009-02-12 2010-08-19 Stryker Corporation Peripheral administration of proteins including tgf-.beta. superfamily members for systemic treatment of disorders and disease
JP2013514811A (ja) 2009-12-22 2013-05-02 ストライカー コーポレイション 免疫原性が抑制されたbmp−7変異体
KR101300353B1 (ko) 2011-12-22 2013-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장치
TWI655490B (zh) * 2013-05-06 2019-04-0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
CN110488449B (zh) 2014-01-02 2021-12-24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摄像头模块
US9591221B2 (en) * 2014-01-08 2017-03-07 Apple Inc. Magnetic camera component mounting in cameras
EP3260898B1 (en) * 2014-01-28 2021-09-15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unit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EP3848742B1 (en) * 2014-03-05 2024-04-10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JP6444607B2 (ja) * 2014-03-28 2018-12-26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JP6513903B2 (ja) * 2014-03-31 2019-05-1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光学要素の位置制御方法並びに携帯機器
JP6297925B2 (ja) * 2014-05-29 2018-03-20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1399247B (zh) 2014-07-03 2022-06-03 Lg伊诺特有限公司 透镜驱动装置
JP6414400B2 (ja) * 2014-07-04 2018-10-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ホルダ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
US9684184B2 (en) 2014-09-08 2017-06-20 Apple Inc. Upright mounted camera actuator component with trapezoidal magnet for optical image stabilization
JP6392882B2 (ja) * 2014-09-22 2018-09-19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ホールセンサ及びレンズモジュール
US9910289B2 (en) * 2014-10-07 2018-03-06 Sunming Technologies (Hk) Limited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KR20160045385A (ko) * 2014-10-17 2016-04-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766426B2 (en) 2014-10-20 2017-09-19 Summing Technologies (HK) Limited Miniature lens driving apparatus
JP6513928B2 (ja) * 2014-10-21 2019-05-15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
KR101592286B1 (ko) * 2014-10-29 2016-02-11 (주)옵티스 카메라 모듈
EP3035109B1 (en) 2014-12-17 2018-08-29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EP3040753B1 (en) 2014-12-30 2024-02-21 LG Innotek Co., Ltd. Lens moving apparatus
KR102351098B1 (ko) * 2015-01-16 2022-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렌즈 모듈
KR102504846B1 (ko) 2015-01-22 2023-03-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KR20160136710A (ko) * 2015-05-20 2016-11-30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59545B1 (ko) * 2015-08-06 2023-07-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KR102458711B1 (ko) * 2015-08-26 2022-10-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51132B1 (ko) * 2015-11-03 2017-06-2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6652734B2 (ja) * 2015-11-20 2020-02-26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TWI578094B (zh) * 2015-12-09 2017-04-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光學影像防震機構
CN106856553B (zh) * 2015-12-09 2019-12-17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影像防震机构
JP2017116663A (ja) * 2015-12-22 2017-06-2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ブレ補正装置
JP2017191140A (ja) * 2016-04-11 2017-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110426825B (zh) * 2016-05-10 2022-11-25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CN116661090A (zh) 2016-05-10 2023-08-29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镜头系统
JP6853487B2 (ja) * 2016-05-31 2021-03-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TWI650587B (zh) * 2016-08-04 2019-02-11 台灣東電化股份有限公司 鏡頭驅動裝置
US10303041B2 (en) * 2016-08-10 2019-05-28 Apple Inc. Closed loop position control for camera actuator
CN106443949A (zh) 2016-09-12 2017-02-22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透镜驱动装置
CN108508678B (zh) * 2017-02-27 2021-11-09 纳木加有限公司 Ois摄像头模块及包括该ois摄像头模块的双摄像头系统
US11036058B2 (en) 2017-04-13 2021-06-15 Asahi Kasei Microdevices Corporation Driving control apparatus, device, optical module and driving control method
JP6607234B2 (ja) * 2017-06-28 2019-11-20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KR102435025B1 (ko) 2017-09-25 2022-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다른 자기장의 방향을 갖는 복수의 구동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686993B2 (en) * 2017-10-12 2020-06-16 Tdk Taiwan Corp. Correcting method for optical mechanism
CN109660703B (zh) * 2017-10-12 2021-10-2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学机构的补正方法
CN108195927A (zh) * 2017-12-22 2018-06-22 北京工业大学 基于磁化率测量原理的非铁磁性材料杂质无损检测传感器
JP6771113B2 (ja) 2017-12-28 2020-10-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撮像装置、位置検出方法、位置検出プログラム
CN110068907B (zh) * 2018-01-23 2021-06-15 睿恩光电有限责任公司 透镜驱动装置
CN108681029A (zh) * 2018-08-03 2018-10-19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透镜驱动马达、相机及移动终端装置
EP3879327A4 (en) * 2018-11-06 2022-08-17 LG Innotek Co., Ltd. LENS DRIVER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COMPRISING THEM
CN111182175B (zh) * 2018-11-13 2022-02-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7196552B2 (ja) * 2018-11-15 2022-1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路シフトデバイス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89378B2 (ja) * 2018-11-29 2021-06-18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カメラ搭載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KR20200142658A (ko) * 2019-06-13 2020-1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KR20210045252A (ko) 2019-10-16 2021-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00441B1 (en) 2020-04-23 2023-07-11 Apple Inc. Position sensor architecture for cameras
US11573393B2 (en) 2020-05-04 2023-02-07 Apple Inc. Camera with base cutout for position sensing arrangement
CN216160896U (zh) * 2020-06-23 2022-04-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镜头模组
EP3964800A1 (en) * 2020-09-02 2022-03-09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Triaxial position sensing for camera systems using hall sensors
JP2023543867A (ja) * 2020-10-05 2023-10-18 エルジー イノ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カメラ装置及び光学機器
CN117099041A (zh) * 2021-04-13 2023-11-21 株式会社村田制作所 相机模块
TWI818568B (zh) * 2022-06-02 2023-10-11 大陸商信泰光學(深圳)有限公司 鏡頭模組(六)
CN117055232B (zh) * 2023-10-13 2024-01-02 北京极溯光学科技有限公司 眼镜调节装置以及vr眼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777A (ja) * 2000-01-14 2001-07-27 Minolta Co Ltd ぶれ補正装置及び該ぶれ補正装置を含む光学機器
JP2011065140A (ja) * 2009-08-21 2011-03-31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2011069892A (ja) * 2009-09-24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JP2011085666A (ja) * 2009-10-13 2011-04-28 Tdk Taiwan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97626A (ja) * 2010-03-23 2011-10-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2003052A (ja) * 2010-06-17 2012-01-05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4145A1 (en) 2003-06-27 2005-01-13 Nokia Corporation Camera lens-positioning device using shape memory alloy and camera using the device
TWI360017B (en) * 2004-03-08 2012-03-11 Hoya Corp Anti-shake apparatus
JP4751639B2 (ja) * 2004-05-28 2011-08-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鏡筒、鏡筒を備える撮像装置
US7414801B2 (en) * 2004-05-28 2008-08-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device including lens barrel
US7652712B2 (en) 2004-10-25 2010-01-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Lens shifting structure for image capturing apparatus
JP2006171286A (ja) * 2004-12-15 2006-06-29 Pentax Corp カメラの駆動機構
JP2006317191A (ja) 2005-05-10 2006-11-24 Konica Minolta Opto Inc 位置検出装置、電子機器
JP4886234B2 (ja) * 2005-07-26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7843190B2 (en) * 2005-12-16 2010-11-30 Asahi Kasei Emd Corporation Position detection apparatus
JP4442639B2 (ja) * 2007-05-31 2010-03-31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0880672B1 (ko) * 2007-07-18 2009-02-02 자화전자 주식회사 자동초점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028494A1 (ja) * 2007-08-28 2009-03-05 Nikon Corporation 位置検出装置、位置検出方法、露光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5082934B2 (ja) * 2008-03-05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8041201B2 (en) * 2008-04-03 2011-10-18 Nokia Corporation Camera module having movable lens
KR100951293B1 (ko) * 2008-06-10 2010-04-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2010050946A (ja) * 2008-08-20 2010-03-04 Camton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0085494A (ja) 2008-09-29 2010-04-15 Sony Corp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撮像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端末装置
JP5295836B2 (ja) 2009-03-27 2013-09-18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像振れ補正装置、撮像レンズユニット、及びカメラユニット
JP5079049B2 (ja) * 2009-11-17 2012-11-21 台湾東電化股▲ふん▼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
JP5417136B2 (ja) * 2009-11-30 2014-02-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9042042B2 (en) * 2009-11-18 2015-05-26 Nidec Sankyo Corporation Lens drive device
JP5417127B2 (ja) 2009-11-18 2014-02-12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US8254769B2 (en) * 2010-03-04 2012-08-28 Tdk Taiwan Corp.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JP2012083582A (ja) 2010-10-13 2012-04-26 Panasonic Corp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US8982464B2 (en) * 2010-10-22 2015-03-17 Tdk Taiwan Corporation Tilt-type anti-shake compensation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e
JP5627991B2 (ja) * 2010-10-27 2014-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US8371152B2 (en) 2010-10-27 2013-02-12 Thermo Finnigan Llc Helium conservation device for a gas chromatograph
JP5423989B2 (ja) * 2010-11-25 2014-02-19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777A (ja) * 2000-01-14 2001-07-27 Minolta Co Ltd ぶれ補正装置及び該ぶれ補正装置を含む光学機器
JP2011065140A (ja) * 2009-08-21 2011-03-31 Mitsumi Electric Co Ltd 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JP2011069892A (ja) * 2009-09-24 2011-04-07 Sanyo Electric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の製造方法、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携帯電話
JP2011085666A (ja) * 2009-10-13 2011-04-28 Tdk Taiwan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1197626A (ja) * 2010-03-23 2011-10-0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2003052A (ja) * 2010-06-17 2012-01-05 Shicoh Engineering Co Ltd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及びカメラ付きモバイル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85399B2 (ja) 2018-02-28
JP5895054B2 (ja) 2016-03-30
KR20170063970A (ko) 2017-06-08
CN107343139A (zh) 2017-11-10
KR20140098211A (ko) 2014-08-07
KR101851912B1 (ko) 2018-04-24
JPWO2013183270A1 (ja) 2016-01-28
US9407799B2 (en) 2016-08-02
TW201351024A (zh) 2013-12-16
US20150015729A1 (en) 2015-01-15
US20150229842A1 (en) 2015-08-13
JP2016001342A (ja) 2016-01-07
EP2860581A4 (en) 2016-01-20
CN104081272B (zh) 2017-10-17
US9467603B2 (en) 2016-10-11
EP2860581B1 (en) 2018-01-31
WO2013183270A1 (ja) 2013-12-12
CN104081272A (zh) 2014-10-01
CN107343139B (zh) 2020-05-12
EP2860581A1 (en) 2015-04-15
TWI477888B (zh) 2015-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0856B1 (ko) 위치 검출 장치
KR102166329B1 (ko) 카메라 모듈
WO2017038792A1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JP5961083B2 (ja) 位置検出装置
KR101593689B1 (ko)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1730010B1 (ko) 손 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US8184167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magnet member
KR20100115573A (ko) 디지털 카메라의 흔들림 보상용 구동조립체
WO2013046816A1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6173416B2 (ja) 位置検出装置
JP2014178452A (ja) 位置検出装置
JP2011145526A (ja)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JP5909877B2 (ja) 撮像装置
JP6672656B2 (ja) 位置検出装置及び光学装置
JP5446321B2 (ja) 振れ補正装置および光学機器
JP2008076646A (ja) ブレ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機器
JP2013073201A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14191073A (ja) 位置検出装置
JP6173415B2 (ja) 位置検出装置
KR20090086755A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장치
JP2016057386A (ja) 像ぶ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有する光学機器
US20230262305A1 (en) Camera module
JP2017003934A (ja) 駆動装置
JP2024053815A (ja) 光学素子駆動装置、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搭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