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689B1 -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689B1
KR101593689B1 KR1020090048843A KR20090048843A KR101593689B1 KR 101593689 B1 KR101593689 B1 KR 101593689B1 KR 1020090048843 A KR1020090048843 A KR 1020090048843A KR 20090048843 A KR20090048843 A KR 20090048843A KR 101593689 B1 KR101593689 B1 KR 101593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amera module
module assembly
plate
dri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259A (ko
Inventor
신두식
고길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8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689B1/ko
Priority to EP10164676.8A priority patent/EP2259127B1/en
Priority to US12/793,137 priority patent/US8174583B2/en
Publication of KR20100130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2 구동부에 직선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구성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하우징과, 제 1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제 2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1 구동부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2 구동부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형성되고, 상기 제 1, 2 구동부의 팁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2 구동부를 상기 제 1, 2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팁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제 1, 2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 제품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구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이외에 추가로 설치가능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하고, 이로인해, 복잡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손떨림 보정 장치, 제 1, 2 구동부, 제 1, 2 가이드부, 제 1, 2 구동 플레이트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MODULE ASSEMBLY}
본 발명은 제 1, 2 구동부에 직선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구성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카메라 및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가 많이 보급되면서 점점 고품질의 사진 및 동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소비자들의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디지털 카메라의 촬상 소자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가 아닌 CMOS(Complementary Metal Oxidized Semiconductor)센서를 사용한다. 그 이유를 보면, 상기 CCD센서는 화질면에서 CMOS센서보다 우수한 특성을 내고 있으나, 소모 전력 및 복잡한 구성의 단점 때문에 CMOS 센서가 그 시장 점유율을 높여 가고 있으며 최근에 와서는 CMOS센서도 화질면에서도 개선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CCD 및 CMOS의 이미지 센서들의 발달하면서 디지털 카메라의 사용이 일반화되고, 셀룰러 폰과 같 은 휴대 단말기에도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상기 CMOS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가 현저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외부의 진동이나 사용자의 손떨림으로 인한 사진의 해상력 저하를 막기 위해 손떨림 보정 장치(Optical Image Stablilizer)를 채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일반적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는 이미지 센서를 구동시키는 보정 장치와 렌즈의 구동에 의해 보정하는 장치가 있다.
상기 손떨림 보정 장치는 각각 일축을 움직이는 모터와 이를 제어하는 센서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텝핑 모터 구동 시스템과 보이스 코일 모터(Voice Coil Motor 이하 VCM 이라함)액츄에이터 시스템을 통해 제어하는 방식이 있다.
여기서, 상기 VCM 액츄에이터 시스템은 이미 대한 민국 특허청에 특허 공개 번호 제2006-122237호에 의해 손떨림 보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개시된 상기 손떨림 보정 장치는 광학 렌즈의 외곽에 X축 구동용 영구자석 및 코일과 Y축 구동용 영구자석 및 코일을 배치하고, 상기 이들의 구동을 지지하는 구동 프레임 및 볼 베어링이 구비되며, 피사체상의 흐트러짐 정도에 따라 상기 X,Y 축 구동용 영구자석 및 코일에 전류를 인가하여 전자기력에 의해 손떨림 변위량 만큼 광학 렌즈를 구동시켜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는 직선은동을 지지하기 위해 볼 베어링이 구비되고 있으나, 상기 볼 베어링만으로 X, Y 축 직선운동을 정밀하게 제어하는데 한계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볼 베어링을 구비할 경우 구동부의 구조(두께)가 크고, 복잡하여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 구현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볼 베어링의 구동 기능을 지지하는 추가적인 가이드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제 1, 2 구동부에 직선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구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이외에 추가로 설치가능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고,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하며, 이로인해, 복잡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 플레이트를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고정용 영구자석과 요크를 구성하여 각각의 구동 플레이트를 자력에 의해 붙게 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제 1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제 2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1 구동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2 구동부;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형성되고, 상기 제 1, 2 구동부의 팁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2 구동부를 상기 제 1, 2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팁들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제 1, 2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의하면,
제 1, 2 구동부에 직선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구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이외에 추가로 설치가능하여 정밀제어가 가능하고,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하며, 이로인해, 복잡한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를 구현할 수 있고, 또한, 구동플레이트를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고정용 영구자석과 요크를 구성하여 각각의 구동 플레이트를 자력에 의해 붙게 함으로써,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1)의 손떨림 보정 장치(100)는 하우징(20)과,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와, 볼 베어링(50)과, 제 1, 2 구동부와, 제 1, 2가이드부(400)(500)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20)은 후술하는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와, 볼 베어링(50)과,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와, 제 1, 2 가이드부(400)(500)를 순차적으로 구비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는 후술하는 이미지 센서(60)와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를 함께 제 1 방향(A1)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하우징(20)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는 상기 이미지 센서(60)를 구비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60)를 제 2 방향(A2)으로 구동하도록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 트(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볼 베어링(50)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구동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0)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구동부(200)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를 상기 제 1 방향(A1)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구동부(300)는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를 상기 제 2 방향(A2)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사이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에는 후술하는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와 접촉됨과 아울러 구동시 직선운동하도록 팁(201)(301)(Tip)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는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의 팁(201)(3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를 상기 제 1, 2 방향(A1)(A2)으로 구동시 상기 팁(201)(301)의 직선운동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에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는 피에죠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는 상기 피에죠 액츄에이터 이외에 구동가능한 다른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201)(301)은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와 접촉시 마찰을 방지하도록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는 마찰을 방지하도록 V 홈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방향(A1)은 Y축 방향으로 이 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동부(200)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를 상기 Y축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방향(A2)은 X축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구동부(300)는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를 X축 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는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이미지 센서(60)의 열을 냉각시킬 수 있도록 히트 싱크(Heat Sink)로 이루어져 있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를 서로 끌어 당겨 붙게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크(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를 서로 끌어 당겨 붙게하도록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크(21)는 상기 영구자석(31)들과 서로 끌어 당길 수 있도록 스틸 자성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1)의 손떨림 보정 장치(100)는 하우징(20)과, 제 1 방향(A1)으로 구동하는 제 1 구동 플레이트(30)와,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A2)으로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60)를 구비한 제 2 구동 플레이트(40)와, 상기 하우징(20)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50)과, 제 1, 2 구동부(200)(300)와, 제 1, 2 가이드부(400)(500)로 구성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는 피에조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의 사이에 제 1 구동부(200)을 구비하고, 이때, 상기 제 1 구동부(200)에 형성된 팁(201)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에 형성된 제 1 가이드부(400)는 서로 접촉됨과 아울러 제 1 방향(A1)(Y축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201)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400)는 V 홈으로 이루어진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크(21)를 구비하고, 상기 요크(21)들은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의 사이에는 볼 베어링(50)이 구비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의 하부에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사이에 상기 제 2 구동부(300)를 구비하며, 이때, 상기 제 2 구동부(300)에 형성된 팁(301)과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에 형성된 제 2 가이드부(500)는 서로 접촉됨과 아울러 제 2 방향(A2)(X축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팁(301)은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가이드부(500)는 V 홈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내에는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 및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는 상기 요크(21)들 및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31)들의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당겨 붙게된다. 또한,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31)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를 서로 끌어 당겨 붙게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4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용 영구자석(3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20)에는 상기 센서용 영구자석(31)들에 대면하는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센서용 영구자석(31)으로부터 발생되는 자기력의 변화에 따라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의 구동을 검출하는 위치검출용 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검출용 센서(70)는 홀센서로 이루어진다.
이 상태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손떨림 보정장치(100)를 상기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1)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손떨림 보정 장치(100)를 구비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1)는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미도시 됨) 및 휴대 단말기(미도시 됨)에 설치된다.
이 상태에서,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소형 디지털 카메라 및 휴대 단말기의 일단에 설치된 제 1 방향(A1)(Y축) 또는 제 2 방향(A2)(X축)의 자이로 센서(미도시 됨)로 촬영자의 손떨림량을 측정함과 아울러 신호화하고, 이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 증폭기(미도시 됨)로 인가하여 상기 아날로그 신호 증폭기를 통해 기준 신호를 증폭하여 마이크로콘트롤러(미도시 됨)에 증폭된 손떨림량을 입력함과 동시에 제 1 방향(A1)(Y축) 또는 제 2 방향(A2)(X축)의 홀센서에서 감지된 이미지 센서(60)의 위치를 입력받는다. 입력된 손떨림량과 비교하여 실제로 이미지 센서(60)가 움직여야할 이동량을 구동 회로(미도시 됨)에 명령하고, 상기 구동회로는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를 각각 구동시켜 이미지 센서(60)의 변위량을 일으킨다.
이때,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는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를 상기 제 1 방향(A1)(Y축) 또는 제 2 방향(A2)(X축)으로 구동시킨다.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의 팁(201)(301)은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가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구동부(200)(300)의 팁(201)(301)은 상기 제 1, 2 가이드부(400)(500)에 의해 가이드됨과 아울러 직선운동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30)는 상기 요크(21)들 및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31)들의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 당겨 붙착되고,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는 상기 고정용 영구자석(31)들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를 서로 끌어 당겨 붙착된 상태에서 구동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60)의 변위량은 상기 센서용 영구자석(31)의 변위량으로 이어지며, 상기 센서용 영구자석(31)의 변위량은 상기 센서용 영구자석(31)의 자기력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 변화는 홀센서(70)를 통하여 감지됨과 아울러 신호화 하고, 감지된 전기적 신호가 다시 마이크로콘트롤러(미도시 됨)에 입력되어 제 1 방향(A1)(Y축) 또는 제 2 방향(A2)(X축)의 자이로 센서(미도시 됨)의 기준 신호와 같은지 확인하여 같지 않을 경우 차이나는 변위량 만큼의 전기적 센서를 제 1, 2 구동부(200)(300)에 주어 이미지 센서(60)의 변위량을 조절하여 기준신호와 검출신호가 같도록 크로서 루프(Close Loop)제어를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30)(40)에 제 1, 2 가이드부(400)(500)를 구비하여 제 1, 2 구동부(200)(300)의 직선운동을 용이하게 하고, 기존의 구동을 지지하는 볼 베어링(50)이외에 추가로 설치가능하여 제품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를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에 장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 선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과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의 A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구성 중 제 1, 2 구동 플레이트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의 B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의 구성 중 제 1, 2 구동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

Claims (8)

  1. 하우징과, 제 1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 1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제 2 방향으로 구동하는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 제 2 구동 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 베어링으로 구성된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1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1 구동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를 상기 제 2 방향으로 구동가능하게 하는 팁이 형성된 제 2 구동부;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구동부의 팁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2 구동부를 상기 제 1, 2 방향으로 구동시 상기 팁들의 상기 제 1, 2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가이드 함과 아울러 마찰을 방지하는 제 1, 2 가이드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구동부는 피에조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팁은 반구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가이드부는 마찰을 방지하는 V홈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방향은 Y축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구동부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Y축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은 X축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구동부는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를 X축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는 스틸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틸 플레이트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열을 냉각시켜는 히트 싱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과 제 1 구동 플레이트를 서로 끌어 당겨 붙게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구동 플레이트에는 상기 제 1 구동 플레이트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용 영구자석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상기 제 1, 2 구동 플레이트를 서로 끌어 당겨 붙게하는 자성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들은 스틸 자성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20090048843A 2009-06-03 2009-06-03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159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43A KR101593689B1 (ko) 2009-06-03 2009-06-03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EP10164676.8A EP2259127B1 (en) 2009-06-03 2010-06-02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Module Assembly
US12/793,137 US8174583B2 (en) 2009-06-03 2010-06-03 Optical image stabilizer for camera module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843A KR101593689B1 (ko) 2009-06-03 2009-06-03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259A KR20100130259A (ko) 2010-12-13
KR101593689B1 true KR101593689B1 (ko) 2016-02-15

Family

ID=42263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843A KR101593689B1 (ko) 2009-06-03 2009-06-03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174583B2 (ko)
EP (1) EP2259127B1 (ko)
KR (1) KR1015936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648B1 (ko) * 2009-02-16 2011-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의 렌즈 조립체 정렬 장치
KR20130127841A (ko) * 2012-05-15 2013-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장치 및 촬상장치의 제조 방법
US9167161B1 (en) 2013-08-30 2015-10-20 Amazon Technologies, Inc. Camera module package with a folded substrate and laterally positioned components
KR101983182B1 (ko) * 2014-05-30 2019-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730010B1 (ko) * 2015-02-23 2017-04-25 자화전자(주) 손 떨림 보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US10925160B1 (en) 2016-06-28 2021-02-16 Amazon Technologies,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assembly and silicon circuit board substrate
KR102657464B1 (ko) * 2016-07-07 2024-04-12 코어포토닉스 리미티드 폴디드 옵틱용 선형 볼 가이드 보이스 코일 모터
JP2020067632A (ja) * 2018-10-26 2020-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CN110703538A (zh) * 2019-10-15 2020-01-17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镜头模组
CN110703405A (zh) * 2019-10-15 2020-01-17 瑞声通讯科技(常州)有限公司 一种镜头模组
KR20220056722A (ko) * 2020-10-28 2022-05-06 자화전자(주) 카메라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I793978B (zh) * 2021-12-02 2023-02-21 大陽科技股份有限公司 攝影模組與電子裝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027A (ja) 2004-07-21 2006-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画像安定化のためのマグネット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89875A (ja) * 1989-08-31 1991-04-15 Brother Ind Ltd リニア超音波モータ
KR100556059B1 (ko) 2003-07-02 2006-03-03 정완영 유체흐름 감지 디바이스
JP4495564B2 (ja) * 2004-10-04 2010-07-07 Hoya株式会社 ステージ装置及びこのステージ装置を利用したカメラの手振れ補正装置
KR100594121B1 (ko) * 2004-12-1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754730B1 (ko) * 2005-05-2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713520B1 (ko) * 2005-05-31 2007-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4700555B2 (ja) * 2006-05-02 2011-06-15 三星電子株式会社 像ぶれ補正装置
JP2008020716A (ja) * 2006-07-13 2008-01-31 Pentax Corp 像ぶれ補正装置
JP5175492B2 (ja) * 2007-06-26 2013-04-03 三星電子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378332B1 (ko) 2007-10-15 2014-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장치용 손떨림 보정 모듈
KR100935312B1 (ko) * 2008-06-09 2010-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초소형 카메라 모듈용 손떨림 보정장치
KR101529729B1 (ko) * 2008-11-19 2015-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31027A (ja) 2004-07-21 2006-02-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画像安定化のためのマグネット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9127B1 (en) 2014-08-27
US20100309322A1 (en) 2010-12-09
KR20100130259A (ko) 2010-12-13
EP2259127A1 (en) 2010-12-08
US8174583B2 (en)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689B1 (ko)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1851912B1 (ko) 위치 검출 장치
KR10075473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US7619838B2 (en) Image stabilizer, lens device and imaging apparatus
TWI494592B (zh) A lens driving device and a camera using the lens driving device
US8254769B2 (en) Anti-shake structure for auto-focus modular
KR100713520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1404843B1 (ko) 위치 결정 장치, 떨림 보정 장치 및 전자 기기
US8208032B2 (en)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and camera having image shake correction apparatus
US7881598B1 (en) Anti-shake auto-focus modular structure
KR101573073B1 (ko) 카메라 렌즈 모듈의 손떨림 보정 장치
US8184167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magnet member
US8488018B2 (en) Image blur correction unit, lens barrel device, and camera apparatus
JP4802605B2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カメラ付き携帯電話
KR20070120307A (ko) 카메라용 손떨림 보정 모듈
WO2013046816A1 (ja) 像振れ補正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8040188A (ja) 支持装置、支持駆動装置、レンズ駆動モジュール、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2014178452A (ja) 位置検出装置
KR100724945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646560B1 (ko) 이미지센서를 이용한 시프트 방식의 손 떨림 보정장치
JP6173416B2 (ja) 位置検出装置
KR101035791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0663276B1 (ko)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5239856B2 (ja) ブレ補正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6173415B2 (ja) 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