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3182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3182B1
KR101983182B1 KR1020150072066A KR20150072066A KR101983182B1 KR 101983182 B1 KR101983182 B1 KR 101983182B1 KR 1020150072066 A KR1020150072066 A KR 1020150072066A KR 20150072066 A KR20150072066 A KR 20150072066A KR 101983182 B1 KR101983182 B1 KR 101983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using
lens unit
optical axis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8034A (ko
Inventor
임수철
김철진
권오병
박성령
이재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4/724,143 priority Critical patent/US9921458B2/en
Priority to CN201510292471.9A priority patent/CN105319803B/zh
Publication of KR20150138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8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H04N5/23287

Abstract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유닛과 하우징 유닛에 대해 광축 및 광축의 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렌즈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초점기능을 구비한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은 손떨림에 따른 해상도 저하현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손떨림 보정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을 구비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은 렌즈 유닛이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에 대해 광축 방향 또는 광축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KR 2014-0142189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장착이 용이하고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의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A 부분의 확대도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덮개 부재와 제3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3b은 도 3a에 도시된 덮개 부재와 제3프레임의 B-B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프레임의 확대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C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C 부분의 다른 형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도
도 8b 및 도 8c는 다른 형태에 따른 하우징의 평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결합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D-D 단면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제2프레임의 확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다.
카메라 모듈(10)은 하우징 유닛(100), 액추에이터 유닛(200), 렌즈 유닛(300)을 포함한다. 아울러, 카메라 모듈(10)은 완충 부재(50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 유닛(100)은 하우징(110)과 쉴드 캔(12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성형이 용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하우징(110)에는 하나 이상의 액추에이터 유닛(200)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제1측면에는 제1액추에이터(210)의 일부가 장착되고, 하우징(11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는 제2액추에이터(220)의 일부가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렌즈 유닛(3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렌즈 유닛(300)이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수납공간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6면이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0)의 저면은 이미지 센서를 위한 직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상면은 전술된 렌즈 유닛(300)의 장착을 위한 정사각형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110)의 제1측면에는 제1액추에이터(210)의 제1코일(212)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는 제2액추에이터(220)의 제2코일(222)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쉴드 캔(120)은 하우징(110)의 일 부분을 덮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쉴드 캔(120)은 하우징(110)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쉴드 캔(120)의 형태가 전술된 부분을 모두 덮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쉴드 캔(120)은 하우징(110)의 4개 측면만을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쉴드 캔(120)은 하우징(110)의 상면 및 4개 측면을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쉴드 캔(120)은 모서리(122)가 평탄하게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쉴드 캔(120)의 상부에 위치한 4개의 모서리(12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탄하게 눌려질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카메라 모듈(10)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상부 모서리(112)는 쉴드 캔(120)과 결합이 용이하도록 쉴드 캔(120)의 모서리(122)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평탄하게 가공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 유닛(200)은 렌즈 유닛(300)을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 유닛(200)은 렌즈 유닛(300)을 광축 방향(Z축 방향 - 청구범위의 제1방향에 대응됨) 및 광축의 수직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 - 청구범위의 제2방향 및 제3방향에 대응됨)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액추에이터 유닛(200)은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액추에이터 유닛(300)은 렌즈 유닛(300)을 Z축 방향(도 1 기준 방향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액추에이터(210), 및 렌즈 유닛(300)을 X축 방향과 Y축 방향(도 1 기준 방향임)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하우징(110) 및 렌즈 유닛(300)의 제1프레임(31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액추에이터(210)의 일부는 하우징(110)의 제1측면에 장착되고, 제1액추에이터(210)의 나머지 부분은 제1프레임(310)의 제1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210)는 렌즈 유닛(30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1액추에이터(210)는 제1코일(212), 제1영구자석(214), 제1기판(216), 제1센서(2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코일(212) 및 제1센서(218)는 제1기판(216)에 형성된다. 제1기판(216)은 하우징(110)의 제1측면에 장착되고, 제1영구자석(214)은 제1기판(216)과 마주하는 제1프레임(310)의 제1측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액추에이터(210)는 제1코일(212)과 제1영구자석(214)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하우징(110)에 대한 제1프레임(310) 및 렌즈 배럴(34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이 구성된 제1액추에이터(210)는 제1센서(218)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를 통해 제1프레임(3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220)는 하우징(110) 및 렌즈 유닛(300)의 제3프레임(33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액추에이터(220)의 일 부분은 하우징(11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 장착되고, 제2액추에이터(220)의 나머지 부분은 제3프레임(33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2액추에이터(210)는 렌즈 유닛(300))을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제2액추에이터(220)는 복수의 제2코일(222), 복수의 제2영구자석(224), 제2기판(226), 하나 이상의 제2센서(22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2코일(222) 및 하나 이상의 제2센서(228)는 제2기판(226)에 형성된다. 제2기판(226)은 대체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제2 내지 제4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장착된다. 복수의 제2영구자석(224)은 제2기판(226)과 마주하도록 제3프레임(33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 각각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액추에이터(220)는 복수의 제2코일(222)과 복수의 제2영구자석(224) 사이에서 생성되는 자기력의 크기 및 방향을 변화시켜 제1프레임(310)에 대한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의 상대적인 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참고로, 렌즈 배럴(340)은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의 이동에 의해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과 동일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2액추에이터(220)는 제2센서(228)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력선속의 변화를 통해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렌즈 유닛(300)은 하우징 유닛(10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렌즈 유닛(300)은 하우징(110)과 쉴드 캔(120)에 형성하는 수납 공간에 적어도 3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된다.
렌즈 유닛(300)은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유닛(300)은 제1프레임(310), 제2프레임(320), 제3프레임(330)을 포함한다.
제1프레임(310)은 하우징(110)에 대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1프레임(310)은 전술된 제1액추에이터(210)에 의해 하우징(110)의 높이 방향(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프레임(310)에는 복수의 안내 홈(312, 314)이 형성된다. 일 예로, 제1프레임(310)의 제1측면에는 광축 방향(도 1 기준으로 Z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1안내 홈(312)이 형성되고, 제1프레임(310)의 안쪽 바닥면의 4개 모서리에는 광축의 제1수직 방향(도 1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제2안내 홈(314)이 각각 형성된다. 제1프레임(310)은 적어도 3개의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제1프레임(310)의 제2 내지 제4측면은 제3프레임(330)의 제2영구자석(224)과 하우징(110)의 제2코일(222)이 마주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다.
제1프레임(310)에는 자성체(370)가 장착되는 장착부(317)가 형성된다. 일 예로, 제1프레임(31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자성체(37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는 장착부(317)가 형성된다. 장착부(317)에는 자성체(370)의 고정을 위한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다. 장착부(317)의 표면은 소정의 조도를 갖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착부(317)는 거칠게 연마되거나 부식처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공되거나 화학처리된 장착부(317)는 접착제의 도포면적을 증대시켜 접착제에 의한 자성체(370)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320)은 제1프레임(31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320)은 제1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될 수 있다. 제2프레임(320)은 제1프레임(310)에 대해 광축의 제1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320)은 제1프레임(310)의 제2안내 홈(314)을 따라 광축의 제1수직 방향(도 1 기준으로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2프레임(320)에는 복수의 안내 홈(322)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320)의 모서리에는 광축의 제2수직 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4개의 제3안내 홈(322)이 형성된다.
잠시, 도 11을 참조하여 제2프레임(320)의 측면 형태를 설명한다.
제2프레임(320)의 측면에는 후퇴부(328)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프레임(320)은 측면(326)보다 안쪽으로 후퇴된 후퇴부(3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프레임(320)의 형상은 제2프레임(320)의 외측면과 제1프레임(310)의 내측면이 윤활제에 의해 접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제3프레임(330)은 제2프레임(32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330)은 제2프레임(320)의 상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제3프레임(330)은 제2프레임(320)에 대해 광축의 제2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330)은 제2프레임(320)의 제3안내 홈(322)을 따라 광축의 제2수직 방향(도 1 기준으로 X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프레임(330)에는 복수의 제2영구자석(224)이 장착된다. 예를 들어, 제3프레임(330)의 제2 내지 제4측면에는 3개의 제3영구자석(224)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제3프레임(330)에는 제2영구자석(224)을 위한 장착부(332)가 형성된다. 일 예로, 제3프레임(330)의 3개 이상의 측면에는 장착부(332)가 각각 형성된다. 장착부(332)는 부식 또는 기타 방식으로 소정의 조도를 갖도록 거칠게 가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장착부(332)는 장착부(332)와 제2영구자석(22) 사이에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는 면적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 제3프레임(330)은 완충 부재(50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3프레임(330)에는 완충 부재(500)가 수요되는 수용 홈(334)이 형성된다. 수용 홈(334)은 완충 부재(500)와 마주하는 부분에 형성된다. 일 예로, 수용 홈(334)은 제3프레임(330)의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렌즈 유닛(300)은 렌즈 배럴(34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렌즈 유닛(300)은 하나 이상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34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배럴(340)은 제3프레임(33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40)은 제3프레임(330)에 끼워져 제3프레임(330)과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렌즈 배럴(340)은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렌즈 배럴(340)은 제1액추에이터(210)에 의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2액추에이터(220)에 의해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유닛(300)은 덮개 부재(350), 자성체(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덮개 부재(350)는 제1프레임(310)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덮개 부재(350)는 제1프레임(310)과 결합하여,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이 제1프레임(310)의 상방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덮개 부재(350)는 복수의 걸쇠(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덮개 부재(350)는 일 방향(도 1 기준으로 하방)으로 연장되는 4개의 걸쇠(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걸쇠(352)는 제1프레임(310)의 돌기(319)와 맞물려, 덮개 부재(350)와 제1프레임(310) 간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자성체(370)는 제1프레임(310)에 장착된다. 예를 들어, 자성체(370)는 제1프레임(310)의 제2 내지 제4측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면에 장착되어, 제2액추에이터(220)의 제2코일(222) 및 제2영구자석(224)과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성체(370)는 액추에이터 유닛(200)의 비활성 상태에서 제1프레임(310)에 대한 제2프레임(320) 및 제3프레임(3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렌즈 유닛(300)은 자성체(370)와 제2코일(222) 간의 인력에 의해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일정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볼 부재(400)는 렌즈 유닛(300)의 이동을 원활케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볼 부재(400)는 렌즈 유닛(300)이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볼 부재(400)는 배치위치에 따라 제1볼 부재(410), 제2볼 부재(420), 제3볼 부재(430)로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볼 부재(410)는 제1프레임(310)의 제1안내 홈(312)에 배치되어, 제1프레임(310)이 광축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볼 부재(420)는 제1프레임(310)의 제2안내 홈(314)에 배치되어, 제2프레임(320)이 광축의 제1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볼 부재(430)는 제2프레임(320)의 제3안내 홈(322)에 배치되어, 제3프레임(330)이 광축의 제2수직 방향으로 원활하게 움직이게 할 수 있다. 참고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볼 부재(400)가 배치되는 모든 부위에는 마찰 및 소음저감을 위한 윤활물질이 충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안내 홈(312, 314, 322)에는 점성 유체가 주입될 수 있다. 점성 유체로는 점성 및 윤활 특성이 우수한 그리스(grease)가 사용될 수 있다.
완충 부재(500)는 렌즈 유닛(300)의 이동에 따른 소음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500)는 외부 충격에 의해 렌즈 유닛(300)이 광축 방향 및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야기되는 충돌음을 경감시키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완충 부재(500)는 덮개 부재(350)에 형성되어, 렌즈 유닛(300)과 하우징 유닛(100) 간의 충돌음을 경감시킬 수 있다.
완충 부재(500)는 포아송비가 대체로 큰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500)는 0.4 이상의 포아송비를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일 예로, 완충 부재(500)는 고무 재질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완충 부재(500)는 상온에서 젤화가 가능한 액상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완충 부재(500)는 젤 상태의 물질, 겔 상태의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쉴드 캔(120)의 모서리 형상을 설명한다.
쉴드 캔(120)의 모서리(1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대체로 평탄하게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120)의 모서리(122)는 육안으로 볼 때 역삼각형의 평면이 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캔(120)은 딥드로잉 공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위와 같은 형상의 쉴드 캔(120)은 하우징과의 조립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쉴드 캔(120)을 갖는 카메라 모듈(10)은 모서리가 평탄한 형태이므로, 전자기기 본체에 장착이 용이하고 전자기 본체에서의 배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카메라 모듈(10)은 쉴드 캔(120)과 하우징(110)의 조립성이 용이하므로, AF/OIS 구동거리의 확보가 용이한 설계가 가능하다.
도 3a를 참조하여 제3프레임(330)과 덮개 부재(350)의 결합 형태를 설명한다. 덮개 부재(350)는 제3프레임(3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일 예로, 덮개 부재(350)는 제3프레임(330)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덮개 부재(35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덮개 부재(350)는 완충 부재(500)를 포함한다. 완충 부재(500)는 덮개 부재(350)의 양면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일 예로, 완충 부재(500)의 제1부분(510)은 덮개 부재(350)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제2부분(520)은 덮개 부재(350)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완충 부재(500)의 제1부분(510)과 제2부분(520)은 덮개 부재(350)의 구멍(354)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완충 부재(500)는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덮개 부재(35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형성되는 완충 부재(500)는 상하 돌출 크기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본딩 결합방식에 비해 견고한 결합력을 가질 수 있다.
제3프레임(330)은 완충 부재(5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제3프레임(330)에는 완충 부재(500)의 제2부분(520)을 수용하는 수용 홈(334)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3프레임(330)과 덮개 부재(350)가 결합하더라도 완충 부재(500)에 의해 제3프레임(330)과 덮개 부재(35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음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제1프레임(310)을 설명한다.
제1프레임(310)은 제2안내 홈(314)에 주입되는 윤활제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제2안내 홈(314)의 일 측에는 돌출기둥(3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돌출기둥(318)은 볼 부재와 제1프레임(310)의 내측 벽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윤활제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은 제1프레임(310)과 제2프레임(320)이 윤활제를 매개로 접착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돌출기둥(318)은 별도의 독립된 부재로 이루어져 제1프레임(310)의 바닥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1프레임(310)의 성형 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프레임(310)에는 제1영구자석(214)을 위한 장착부(316)가 형성된다. 장착부(316)는 접착제의 도포가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식처리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부(316)에는 접착제의 고른 분포를 위한 홈(3162)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장착부(316)의 가장자리는 접착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경사면(316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제1프레임(310)의 장착부(316)를 설명한다.
장착부(316)의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면(3164)이 형성된다. 아울러, 제1영구자석(214)의 모서리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경사면(2142)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들은 접착제(600)가 충전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제1프레임(310)과 제1영구자석(214) 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장착부(316)의 경사면(316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의 구성은 제1프레임(310)과 제1영구자석(214) 간의 견고한 결속을 가능하고 제1영구자석(214)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기구구성을 생략시킬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7 및 도 8a를 참조하여 하우징(110)을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제1볼 부재(4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의 내면에는 다수의 제1볼 부재(410)를 수용할 수 있는 안내 홈(111)이 형성된다. 안내 홈(111)은 제1프레임(310)의 제1안내 홈(312)과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안내 홈(111)은 광축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일 예로, 안내 홈(111)은 하우징(110)의 높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안내 홈(111)에는 제1볼 부재(410)를 소정의 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돌기(1112)가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윤활제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일 예로, 제1볼 부재(410)와 접촉하는 돌기(1112)의 둘레에는 윤활제가 하우징(110)의 바닥(1102)으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홈(114)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은 제1프레임(310)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키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의 바닥(1102)에는 제1프레임(310)을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116)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116)의 구성은 제1프레임(310)의 바닥과 하우징(110)의 바닥(1102)이 상호 밀착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116)는 하우징(110)의 바닥에 존재하는 윤활제에 의해 하우징(110)과 제1프레임(310)이 접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116)는 제1프레임(310)의 이동변위를 한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돌기(116)는 제1프레임(310)과 이미지 센서 간의 최소거리를 한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돌기(116)를 통해 백 포커스 거리(back focus length)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구성을 포함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의 바닥에는 하우징 유닛(100)과 렌즈 유닛(200) 사이로 침투되는 먼지 등이 수용되는 이물수용 홈(117)이 형성된다. 이물수용 홈(117)은 직사각 형태의 창(119)의 둘레에 형성된다.
다음에서는 도 8b를 참조하여 하우징(11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하우징(110)은 윤활제를 수용하는 홈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형태와 구별될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110)의 바닥에는 홈(114), 유로(1142), 윤활제 저장공간(1144)이 형성된다.
홈(114)은 돌기(1112)의 둘레 형성된다. 이와 형성된 홈(114)은 돌기(1112)를 타고 흘러내리는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다.
유로(1142)는 홈(114)과 윤활제 저장공간(1144)을 연결한다. 일 예로, 유로(1142)는 하우징(110)의 안쪽 가장자리를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하우징(110)의 일 측에 형성된 홈(114)과 타 측에 형성된 윤활제 저장공간(1144)을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로(1142)는 홈(114)에 충전된 윤활제가 윤활제 저장공간(1144)으로 이동되게 할 수 있다.
윤활제 저장공간(1144)은 홈(114)을 통해 유입되는 윤활제의 일부 또는 상당량을 수용할 수 있다. 일 예로, 홈(114)으로 유입되는 윤활제는 유로(1142)를 따라 윤활제 저장공간(1144)으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하우징(110)은 많은 양의 윤활제를 수용할 수 있으므로, 윤활제에 의해 하우징(110)의 바닥이 오염되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8c를 참조하여 하우징(110)의 다른 형태를 설명한다.
본 형태에 따른 하우징(110)은 돌기(116)의 형태에 있어서 전술된 형태와 구별된다. 일 예로, 돌기(116)는 복수로 갈라진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돌기(116)는 렌즈 유닛(120)과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렌즈 유닛(120)과의 접촉 시 발생하는 충돌소음을 줄일 수 있다.
다음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쉴드 캔(120)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쉴드 캔(120)은 제1볼 부재(41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124)를 포함한다. 일 예로, 쉴드 캔(120)의 일 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124)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124)는 제1프레임(310)의 제1안내 홈(312) 측으로 연장되어, 제1볼 부재(410)가 제1프레임(31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쉴드 캔(120)의 돌기(124)는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 카메라 모듈
100 하우징 유닛
110 하우징
120 쉴드 캔
200 액추에이터 유닛
210 제1액추에이터
212 제1코일
214 제1영구자석
216 제1기판
218 제1센서
220 제2액추에이터
222 제2코일
224 제2영구자석
226 제2기판
228 제2센서
300 렌즈 유닛
310 제1프레임
312 제1안내 홈
314 제2안내 홈
320 제2프레임
322 제3안내 홈
330 제3프레임
340 렌즈 배럴
350 덮개 부재
360 볼 스토퍼
370 자성체 또는 요크
410 제1볼 부재
420 제2볼 부재
430 제3볼 부재
500 완충 부재

Claims (15)

  1.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액추에이터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하우징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을 수용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쉴드 캔;
    을 포함하고,
    상기 렌즈 유닛은,
    상기 하우징 유닛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1프레임;
    상기 제1프레임에 대해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2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에 대해 광축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제3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쉴드 캔의 모서리는 상기 렌즈 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는 평면 형태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의 평면은 역 삼각형상인 카메라 모듈.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모서리는 상기 렌즈 유닛의 광축에 대해 경사를 갖는 평면 형태인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사이 및 상기 제2프레임과 상기 제3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볼 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72066A 2014-05-30 2015-05-22 카메라 모듈 KR101983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724,143 US9921458B2 (en) 2014-05-30 2015-05-28 Camera module
CN201510292471.9A CN105319803B (zh) 2014-05-30 2015-06-01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66563 2014-05-30
KR1020140066563 2014-05-30
KR20140102588 2014-08-08
KR1020140102588 2014-08-08
KR1020140150614 2014-10-31
KR20140150614 2014-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034A KR20150138034A (ko) 2015-12-09
KR101983182B1 true KR101983182B1 (ko) 2019-05-29

Family

ID=54873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066A KR101983182B1 (ko) 2014-05-30 2015-05-22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3182B1 (ko)
CN (1) CN1053198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460B1 (ko) * 2018-07-23 2023-06-20 주식회사 정진넥스텍 휴대 단말기 카메라모듈용 렌즈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
KR102207152B1 (ko) 2019-05-17 2021-01-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반사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254906B1 (ko) * 2020-01-23 2021-05-25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보정 기능을 구비한 광학 유닛
KR102279920B1 (ko) 2020-02-10 2021-07-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681157B2 (en) * 2020-04-03 2023-06-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520165B1 (ko) * 2020-09-29 2023-04-10 자화전자(주) 카메라용 액추에이터
KR102494329B1 (ko) * 2020-11-18 2023-02-06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803099B2 (en) 2020-11-18 2023-10-3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641340B1 (ko) * 2021-07-14 2024-02-2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7886A (ja) * 2012-10-10 2014-05-01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4730B1 (ko) * 2005-05-26 2007-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2008304850A (ja) * 2007-06-11 2008-12-18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KR101428045B1 (ko) * 2007-11-12 2014-08-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649486B1 (ko) * 2009-03-23 2016-08-1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용 모터
KR101593689B1 (ko) * 2009-06-03 2016-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KR101026179B1 (ko) * 2009-07-28 2011-04-0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모듈
KR101659563B1 (ko) * 2009-09-21 2016-09-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10106148A (ko) * 2010-03-22 2011-09-28 (주)차바이오앤디오스텍 발광 램프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용 렌즈 액츄에이터
KR101085645B1 (ko) * 2010-10-04 2011-11-22 삼성전기주식회사 손떨림 보정 기능이 구비된 영상촬상 장치
KR101838272B1 (ko) * 2011-02-14 2018-03-1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20140036448A (ko) * 2012-09-14 2014-03-26 쓰리에이치비젼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모듈
KR101484586B1 (ko) 2014-10-27 2015-01-28 자화전자(주)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7886A (ja) * 2012-10-10 2014-05-01 Nidec Copal Corp レンズ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8034A (ko) 2015-12-09
CN105319803A (zh) 2016-02-10
CN105319803B (zh) 2018-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182B1 (ko) 카메라 모듈
US9848126B2 (en) Camera module
KR101962807B1 (ko) 카메라 모듈
KR101300341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093304A (ko) 렌즈 구동장치
KR102183393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 기기
US9921458B2 (en) Camera module
CN112492136B (zh) 透镜驱动装置、相机模块和光学装置
CN114080797B (zh) 阻尼器和包括该阻尼器的相机用致动器
JP2017146440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47378B1 (ko) 카메라 모듈
US20160142595A1 (en) Camera module
KR102614747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38914B1 (ko) 카메라 모듈
CN110462479B (zh) 透镜驱动装置
KR20200073096A (ko) 자동초점 조절장치
KR20170109767A (ko) 렌즈 구동 장치
TWI582513B (zh) 鏡頭驅動裝置
CN217385933U (zh) 相机模块
KR101751133B1 (ko) 카메라 모듈
KR102326536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39124B1 (ko) 카메라 모듈
KR20170067329A (ko) 카메라 모듈
JP6736182B2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70122373A (ko)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