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373A -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 Google Patents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373A
KR20170122373A KR1020160051210A KR20160051210A KR20170122373A KR 20170122373 A KR20170122373 A KR 20170122373A KR 1020160051210 A KR1020160051210 A KR 1020160051210A KR 20160051210 A KR20160051210 A KR 20160051210A KR 20170122373 A KR20170122373 A KR 201701223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dust cover
dust
holder unit
magnetic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엘텍
조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엘텍, 조준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엘텍
Priority to KR1020160051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373A/ko
Publication of KR20170122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3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66Means or methods for maintaining or repairing manip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설치홈을 가지며, 상부에 별도의 더스트 커버가 적층는 베이스유닛, 상기 설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서 삽입 고정되어 상면이 상기 더스트 커버와 접촉하는 홀더유닛 및 상기 공간부상에서 상기 홀더유닛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홀더유닛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를 자력으로 간접 고정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더스트 커버가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유닛 내부를 차단하며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Magnetic Holder Module of Dust Cover for Low Dust Robot}
본 발명은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선 운동을 통해 부품을 이송시키는 저분진 로봇의 더스트 커버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먼지 및 오염물질이 발생사는 것을 방지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작 기계, 로봇, 컨베이어 등에 적용되는 장치에서 직선 왕복 운동이 실시되는 부품에 연결 설치되어 직선 왕복 운동을 하는 장치로써, 리니어 모션 가이드(Linear motion guide)와 같은 저분진 로봇이 그 예가될 수 있다.
저분진 로봇은 연결된 부품을 직선 구동시 가볍고, 부드럽게 구동되도록 하며, 주행력 및 위치결정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 고정도의 유지가 가능하고, 고속성이 우수하여 고정도의 정밀한 구동이 가능함에 따라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여기서 저분진 로봇은 직선 운동으로 구동되는 방향과 거리에 따라 작동되는 구동부와, 직선 운동을 위한 부품과 전술한 구동부의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부품을 직선 운동시키는 무빙부를 포함한다.
구동부는 베이스부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그 내부에 설치되며, 무빙부는 베이스부의 상부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개방된 상부를 통해 베이스부 내부의 먼지 및 각종 오염물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부의 상부에 더스트 커버가 설치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홀더 구조를 살펴보면, 더스트 커버(40)를 고정하기 위해 자력을 이용하였으며, 베이스부(10)의 개방된 상부에는 설치홈(12)이 구비되고, 그러한 설치홈(12)에는 철판재질의 더스트 커버(40)가 자력에 의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자석이 끼워져 설치된다.
여기서, 설치홈(12) 내부에 `ㄷ` 형태의 홀더(20)가 구비되며, 홀더(20) 내부에는 자성체(30)가 구비되어, 홀더(20)가 설치홈(12)에 억지끼움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저분진 로봇의 구동 시 의도하지 않게 홀더(20)가 베이스부(10)와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하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자성체(30)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설치홈(12)과 홀더(20) 내부에 있던 먼지 및 오염물질이 외부로 노출된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체(30)가 복수 개로 이격되어 구성되는 경우 이를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 본딩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접착제 본딩에 의한 파티클이 발생하게 된다.
즉, 홀더(20)가 설치홈(12)에서 이탈 시 홀더(20) 내부에서 발생된 파티클이 외부로 노출되어 오염된다.
따라서, 홀더(20)가 설치홈(12)에서 분리되는 경우 홀더(20) 내부에 있던 먼지와 오염물질뿐만 아니라 수지 파티클도 함께 노출되어 주변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594027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저분진 로봇의 베이스유닛과 더스트 커버 사이에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저분진 로봇의 유지 및 관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은,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설치홈을 가지며, 상부에 별도의 더스트 커버가 적층는 베이스유닛, 상기 설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서 삽입 고정되어 상면이 상기 더스트 커버와 접촉하는 홀더유닛 및 상기 공간부상에서 상기 홀더유닛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홀더유닛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를 자력으로 간접 고정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더스트 커버가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유닛 내부를 차단하며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외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복수 개가 상기 홀더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성체는 초음파 융착을 통해 상기 홀더유닛 내부의 상기 공간부에서 고정되어 상호 이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일체로 구성되며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치홈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상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이스유닛에 형성된 설치홈에 삽입되는 홀더유닛이 내부에 자성체를 수용한 상태로 이를 감싸도록 구성됨으로써, 홀더유닛이 설치홈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더라도 자성체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홀더유닛 내부에서 발생한 파티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에 개발된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 는 도 2의 홀더모듈에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
도 4은 도 2에서 홀더유닛이 설치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및
도 5 도 2의 홀더유닛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은 외부로부터의 오염물질을 차단하기 위한 클린룸 내부에서 정밀 작업 시 이송 등에 이용되는 저분진 로봇에 적용되는 구성이다.
먼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이 적용된 저분진 로봇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는 도 2의 홀더모듈에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은 도 2에서 홀더유닛이 설치홈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도 2의 홀더유닛 내부에 자성체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400)의 자성체(300) 홀더모듈은 크게 베이스유닛(100), 홀더유닛(200) 및 자성체(3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길게 형성되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10) 및 상기 베이스부(110)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는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 형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향된 양측면 선단부의 표면인 설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하방으로 함몰된 소정 깊이의 설치홈(1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설치홈(112)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상면을 따라 연속하여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복수 개로 분할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설치홈(112)은 상기 베이스부(110)의 폭 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각각 한 쌍으로 구비되며, 각각이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구동부(120)는 상기 베이스부(110) 내부에서 상기 베이스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빙 하도록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 형태로 별도의 무빙부(500)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개방된 부위에 밀착 고정되는 더스트 커버(400)가 상부에서 적층 형태로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부(110)의 내 외부를 차단하며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여기서, 상기 더스트 커버(400)는 상기 무빙부(500)에 관통 설치되면서 후술하는 상기 홀더유닛(200)에 의해 상기 베이스부(110)와 밀착 고정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베이스유닛(100)은 상기 베이스부(110) 및 상기 구동부(120)를 포함하며, 상면에 상기 설치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홀더유닛(200)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홀더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자성체(300)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설치홈(112)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베이스부(110)와 상기 더스트 커버(400)가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더유닛(200)은 상기 설치홈(112)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210)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112)의 상부에서 삽입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유닛(200)은 한 쌍으로 길게 형성되어 각각 상기 베이스부(110)의 양측에 형성된 상기 설치홈(112)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홀더유닛(200)은 내부에 중공 형태의 공간부(210)가 형성된 파이프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자성체(300)가 상기 공간부(2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유닛(200)은 내부에 상기 자성체(300)를 수용하며, 상기 자성체(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완전히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홀더유닛(200)은 사각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마주보는 외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20)는 상기 홀더유닛(200)이 상기 설치홈(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홀더유닛(200)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20)는 양측이 대칭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달리 서로 다른 형태 및 개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베이스유닛(100)에서 상기 설치홈(112)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220)에 대응하여 걸림턱(11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12a)은 상기 걸림돌기(220)의 형상에 대응하여 횡 방향으로 함몰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설치홈(112)에 상기 홀더유닛(200)이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돌기(220)가 상기 걸림턱(112a)에 삽입됨에 따라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유닛(200)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상기 자성체(300)가 상기 공간부(21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완전히 감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설치홈(112)에 삽입 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걸림돌기(220)가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홀더유닛(200)은 압출 성형 등을 통해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더유닛(200)에 의해 분진이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더유닛(200)은 일반적인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상기 더스트 커버(400)와 접촉에 의해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시키기 위해 테프론 소재로 이루어져 윤활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성체(300)는 상기 홀더유닛(200)의 내부에 수용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400)를 자력으로 고정시켜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성체(300)는 상기 공간부(210) 내부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며 상기 홀더유닛(200)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배치된다.
상기 자성체(300)는 상기 공간부(210)에 설치되어 이탈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이 될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간부(210)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 에서와 같이 상기 공간부(210)가 직사각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자성체(300) 또한 직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자성체(300)는 상기 홀더유닛(20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며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다수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성체(300)가 상기 공간부(210)에서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공간부(210) 내부에서 상기 자성체(300)의 설치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접착제 본딩 또는 방지턱(미도시)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자성체(300)는 상기 홀더유닛(200) 내부에서 자유이동을 방지하도록 초음파 융착을 통해 상기 홀더유닛(200)의 내부면 일부를 녹여 상기 자성체(300)와 상기 홀더유닛(200)을 접합시킨다. 물론 이와 달리 접착제 본딩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자성체(300)는 자성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하며, 강자성체, 반강자성체, 반자성체, 페리 자성체, 상자성체, 불규칙한 자성체, 스핀 글라스, 나노 자성체 등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자성체(300)가 직사각형의 네오디뮴(neodymium)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홀더유닛(200)과 자력으로 고정되는 상기 더스트 커버(400)는 자력이 전달될 수 있는 얇은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홀더유닛(200)과 더 큰 자력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고무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홀더모듈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300)를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상기 홀더유닛(200)이 구성됨으로써, 의도하지 않게 상기 홀더유닛(200)이 상기 베이스부(110)에서 이탈되더라도, 분진이나 파티클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국내등록특허 10-1594027호의 기술과 같이 홀더유닛(200)이 자성체(300)의 일부만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홀더유닛(200)이 상기 설치홈(112)에서 이탈했을 때, 자성체(300) 주변으로 분진이나 파티클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홀더유닛(200)과 자성체(300)의 고정을 위해 접착제 본딩을 사용한 경우 접착제가 경화되면서 자성체(300) 주변에 파티클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홀더유닛(200)이 설치홈(112)에서 이탈되는 경우 자성체(300)가 외부로 노출되어 파티클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상기 홀더유닛(200)이 상기 자성체(300) 전체를 감싸기 때문에 상기 홀더유닛(200)이 상기 설치홈(112)에서 의도하지 않게 이탈되더라도 상기 자성체(3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홀더유닛(200) 내부에서 발생한 파티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베이스유닛
110: 베이스부
120: 구동부
200: 홀더유닛
210: 공간부
220: 걸림돌기
300: 자성체
400: 더스트 커버
500: 무빙부

Claims (7)

  1. 길게 형성되어 내부에 별도의 구동부가 구비되고,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된 설치홈을 가지며, 상부에 별도의 더스트 커버가 적층는 베이스유닛;
    상기 설치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상부에서 삽입 고정되어 상면이 상기 더스트 커버와 접촉하는 홀더유닛; 및
    상기 공간부상에서 상기 홀더유닛의 내측면과 접하며 상기 홀더유닛에 의해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어 상기 더스트 커버를 자력으로 간접 고정하는 자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자성체에 의해 상기 더스트 커버가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유닛 내부를 차단하며 먼지 및 오염물질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자성체가 구비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외측면에서 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홈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걸림턱이 형성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기 공간부 내부에서 복수 개가 상기 홀더유닛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홀더유닛 내부면 일부를 녹여 융착을 통해 상기 홀더유닛 내부의 상기 공간부에서 고정되어 상호 이격상태를 유지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유닛은,
    일체로 구성되며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홈은,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유닛의 상면상에서 상호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KR1020160051210A 2016-04-27 2016-04-27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KR201701223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10A KR20170122373A (ko) 2016-04-27 2016-04-27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210A KR20170122373A (ko) 2016-04-27 2016-04-27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373A true KR20170122373A (ko) 2017-11-06

Family

ID=6038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210A KR20170122373A (ko) 2016-04-27 2016-04-27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37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108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저분진형 클린로봇의 마그넷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6108A (ko) * 2018-01-12 2019-07-22 주식회사 알파로보틱스 저분진형 클린로봇의 마그넷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182B1 (ko) 카메라 모듈
KR101952200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US9863478B2 (en) Motion guide device
US8077398B2 (en) Lens driving device comprising magnetic circuit with high magnetic efficiency
US1069335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agnet plate for a linear motor
US9502953B2 (en) Sliding device
TWI667421B (zh) 直動式引導裝置
US20180275640A1 (en) Passive compliance mechanism
US20150184730A1 (en) Single axis robot
KR20170122373A (ko) 저분진 로봇용 더스트 커버의 자성체 홀더모듈
KR2023017420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40034733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기기
JP6916685B2 (ja) 基板収納容器及びその取扱い方法
TWI611118B (zh) 定位滑台
KR101427544B1 (ko) 시일 장치 및 리니어 가이드 장치
TWI611119B (zh) 定位滑台
US9248479B2 (en)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optical lenses in tray
KR20170034639A (ko) 직교로봇
KR101594027B1 (ko) 저분진 로봇의 더스트 커버용 자성체 홀더
JP6672570B2 (ja) 基板収納容器及び基板収納容器の製造方法
KR102539124B1 (ko) 카메라 모듈
US20230275530A1 (en) Optical element driving mechanism
KR102345989B1 (ko) 카메라 모듈
WO2016131356A1 (zh) 运动引导装置
KR102460022B1 (ko) 카메라 모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