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200B1 -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200B1
KR101952200B1 KR1020170051510A KR20170051510A KR101952200B1 KR 101952200 B1 KR101952200 B1 KR 101952200B1 KR 1020170051510 A KR1020170051510 A KR 1020170051510A KR 20170051510 A KR20170051510 A KR 20170051510A KR 101952200 B1 KR101952200 B1 KR 101952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uide
ball member
guide portion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709A (ko
Inventor
첸펭 라이
리테 쿠오
잉치 초
Original Assignee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뉴 시코 모터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6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using retaining rings or spr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 지지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렌즈 구동 장치(10)는,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 지지체(12)와, 상기 렌즈 지지체(12)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14)와, 상기 틀체(14)에 대해 상기 렌즈 지지체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기구(32)를 갖고, 상기 안내 기구(32)는, 상기 틀체(14)에 형성된 제1 안내부(34)와, 상기 렌즈 지지체(12)에 형성된 제2 안내부(36)와, 상기 제1 안내부(34)와 상기 제2 안내부(36) 사이에 배치된 볼(40)을 갖고, 상기 제1 안내부(34)는 상기 볼(40)을 상기 제2 안내부에 압압하는 탄성체(48)를 갖는다.

Description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는, 소형 카메라가 탑재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소형 카메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오토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특개2012-93558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체와, 이 렌즈 지지체의 주위에 설치된 틀체(frame body)를 갖고, 렌즈 지지체를 틀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볼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렌즈 지지체, 틀체 및 볼의 각각의 간격을 적절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여, 렌즈 지지체의 움직임이 매끄럽지 않거나, 덜거덕거림이 발생하거나, 렌즈 지지체의 움직임이 안정되지 않을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렌즈 지지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는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태양은 렌즈 구동 장치이고,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 지지체와, 상기 렌즈 지지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와, 상기 틀체에 대해 상기 렌즈 지지체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기구를 갖고, 상기 안내 기구는, 상기 틀체에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렌즈 지지체에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 사이에 배치된 볼을 갖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볼을 상기 제2 안내부에 압압(押壓)하는 탄성체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안내부는 압압면과 수압면(受壓面)을 갖고, 상기 압압면은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어 상기 볼을 압압하고, 상기 수압면은 상기 볼이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안내면을 갖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볼을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은 제1 볼 부재와 제2 볼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볼 부재와 상기 제2 볼 부재는 상기 제2 안내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안내부는 압압면과, 제1 수압면과, 제2 수압면과, 제3 수압면을 갖고, 상기 압압면은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볼 부재를 압압하고, 상기 제1 수압면은 상기 제1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압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3 수압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1 볼 부재, 상기 제2 안내부 및 상기 제2 볼 부재를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제1 안내면과 제2 안내면을 갖고, 상기 제1 안내면은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1 볼 부재를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안내면과 상기 제2 안내면은 동일 평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갖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1 볼 부재를 압압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압압 방향과는 반대 측으로 상기 제2 볼 부재를 압압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볼 부재 및 상기 제2 볼 부재의 각각에 대응해 있고, 상기 렌즈 지지체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안내부의 제1 안내면은, 상기 제1 볼 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내부의 제2 안내면은 상기 제2 볼 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는 금속으로 구성된 판 스프링, 또는 상기 틀체와 일체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안내부는, 각각 별체(別體)로서 상기 틀체를 구성하는 제1 틀체 및 제2 틀체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체가 압압하는 방향이 대략 동일한 2개의 상기 안내 기구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렌즈 지지체에 지지된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이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상기 카메라 장치를 탑재한 전자기기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틀체측의 제1 안내부에 탄성체를 설치하고, 이 탄성체에 의해 볼을 렌즈 지지체측의 제2 안내부에 가압하도록 했으므로, 제1 안내부와 제2 안내부와 볼은 항시 접촉해서 일정한 힘으로 서로 가압하고 있어, 렌즈 지지체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커버와 렌즈 배럴을 생략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내고, 커버와 렌즈 배럴을 생략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9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렌즈 구동 장치(10)를 나타낸다. 이 렌즈 구동 장치(10)는 카메라 장치에 도입되어 휴대전화나 스마트폰 등의 전자기기에 탑재된다.
렌즈 구동 장치(10)는 이동 부재인 렌즈 지지체(12)와, 고정 부재인 틀체(14)를 갖는다. 틀체(14)는 수지제이고, 상방에서 볼 때 사각 형상이고, 바닥부(16)와, 이 바닥부(16)의 네변으로부터 상방을 향해 일어서는 측벽부(18a~18d)를 갖는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틀체(14)의 상방 및 측방에는 커버(20)가 끼워 맞춰져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 있어서는, 편의상, 렌즈 구동 장치(10)의 광축 방향의 한쪽을 상방, 다른 쪽을 하방이라 한다.
렌즈 지지체(12)는 수지제이고,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고, 이 렌즈 지지체(12)의 주위가 틀체(14)로 둘러싸여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렌즈 지지체(12)의 내측에는, 단수 또는 복수의 렌즈가 수용된 렌즈 배럴(22)이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구동 유닛(24)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코일(26)과 자석(28)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일(26)은 2개의 직선부의 양측을 반원부로 접속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코일(26)은 틀체(14)의 측벽부(18a)에 고정되어 있다. 자석(28)은 상방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코일(26)에 대향하도록, 렌즈 지지체(12)의 양측에 고정되어 있다.
안내 기구(32)는 구동 유닛(24)의 반대측에 있고, 2개의 모서리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 기구(32)는 틀체(14)에 대해 렌즈 지지체(12)를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한다. 이 안내 기구(32)는, 틀체(14)에 형성된 제1 안내부(34)와, 렌즈 지지체(12)에 형성된 제2 안내부(36)와, 제1 안내부(34)와 제2 안내부(36) 사이에 배치된 볼(40)을 갖는다.
볼(40)은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로 구성되어 있다.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는, 위에서 볼 때 좌우로(후술하는 압압 방향으로) 이간되어 나열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는 각각 3개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는, 틀체(14)의 모서리부 방향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46)를 사이에 끼우도록 배치되고, 당해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를 통해 렌즈 지지체(12)가 틀체(14)에 대해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탄성체(48)는, 예를 들면 구리, 철,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판 스프링이고, 틀체(14)의 측벽부(18c) 내측 중앙 부근에 예를 들면 2개의 볼트(50)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틀체(14)에 접착 고정해도 되고, 인서트 성형 등으로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중앙 부근의 부분은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판 스프링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치수가 크다. 또한, 이 탄성체(48)의 좌우 양측은 자유단(自由端)으로 되어 있고, 제1 볼 부재(42)를 코일(26)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이 양측 부분은 상하로 나열되는 제1 볼 부재(42)를 압압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치수가 크다. 또한, 이 중앙 부근의 부분과 양측 부분 사이의 부분은 적절한 압압력으로 하기 위해 상하 방향의 치수를 서로 달리하고(작게 하고) 있다. 또한, 적절한 압압력으로 하기 위해, 이 부분의 판 두께를 서로 달리해도 된다.
또한, 틀체(14)의 측벽부(18d)의 내측에는, 렌즈 지지체(12)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지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틀체(14)의 바닥부(16)에는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필터(도시 생략)를 통해 수광 센서(도시 생략)가 설치된다. 위치 검지부에 의해 렌즈 지지체(12)의 위치를 검지하고, 검지된 렌즈 지지체(12)의 위치에 의거하여 코일(26)에의 통전을 제어하고, 렌즈 지지체(12)를 움직여서 수광 센서에 초점을 맞추도록 되어 있다.
도 4에는, 측벽부(18d)와 측벽부(18c)의 모서리부에 설치한 안내 기구(32)의 상세가 나타나 있다.
탄성체(48)는,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압압면(52)을 갖는다. 이 압압면(52)은 제1 볼 부재(42)에 맞닿아 탄성 변형해서 제1 볼 부재(42)를 압압면(5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압압하고 있다.
틀체(14)의 측벽부(18d)에는, 제1 볼 부재(42)가 맞닿는 제1 수압면(54)이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체(14)의 측벽부(18d)에는, 제2 볼 부재(44)가 맞닿는 제2 수압면(56)이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수압면(54)과 제2 수압면(56)은 동일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고, 압압면(52)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체(14)의 측벽부(18d)에는, 제1 볼 부재(42), 렌즈 지지체(12)의 돌출부(46) 및 제2 볼 부재(44)를 통해, 탄성체(14)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 제3 수압면(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수압면(58)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제1 수압면(54) 및 제2 수압면(56)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체(12)의 돌출부(46)에는, 제1 볼 부재(42)를 통해 탄성체(14)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 제1 안내면(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안내면(60)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압압면(52) 및 제1 수압면(54)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지지체(12)의 돌출부(46)에는, 제2 볼 부재(44)가 맞닿는 제2 안내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안내면(62)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제1 안내면(60)과는 직교하고, 또한 제2 수압면(56) 및 제3 수압면(58)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볼 부재(42)는 압압면(52), 제1 수압면(54) 및 제1 안내면(60)의 삼면에 밀접하고, 제2 볼 부재(44)는 제2 수압면(56), 제3 수압 면(58) 및 제2 안내면(62)의 삼면에 밀접해 있다. 또한, 탄성체(48)가 압압하는 방향이 대략 동일한 안내 기구(36)가 측벽부(18b)와 측벽부(18c)의 모서리부에도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볼 부재(42) 및 제2 볼 부재(44)는 탄성체(48)의 압압면(52)으로부터 압압력을 받으므로, 위에서 볼 때 안정된 위치에서 회전한다. 렌즈 지지체(12)는 이와 같이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에 끼워져 있으므로,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안정되게 움직일 수 있다. 즉, 제1 안내부(34)와 제2 안내부(36)와 볼(40)은 항시 접촉해서 일정한 힘으로 서로 가압하고 있어, 렌즈 지지체(12)의 움직임을 안정시킬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체(48)가 금속의 판 스프링으로 구성되어 있었던 것에 반해,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체(48)는 틀체(14)와 일체로 형성된 판상의 수지로 구성되어, 제1 볼 부재(42)를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다. 당해 탄성체(48)의 근본 부분에는, 두께를 얇게 한 노치부(64)가 부여되어, 탄성 변형하기 쉽게 하고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탄성체(48)는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압압면(52)을 갖는다. 이 압압면(52)은 제1 볼 부재(42)에 맞닿아 탄성 변형해서 제1 볼 부재(42)를 압압하고 있다.
또한, 틀체(14)에는, 제1 볼 부재(42)가 맞닿는 제1 수압면(54)이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체(14)에는, 제2 볼 부재(44)가 맞닿는 제2 수압면(56)이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1 수압면(54)과 제2 수압면(56)은 동일한 평면으로서 형성되고, 압압면(52)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체(14)에는, 제1 볼 부재(42), 렌즈 지지체(12) 및 제2 볼 부재(44)를 통해, 탄성체(48)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 제3 수압면(58)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3 수압면(58)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제1 수압면(54) 및 제2 수압면(56)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렌즈 지지체(12)의 돌출부(46)에는, 제1 볼 부재(42)를 통해 탄성체(14)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 제1 안내면(60)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안내면(60)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압압면(52) 및 제1 수압면(54)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렌즈 지지체(12)에는, 제2 볼 부재(44)가 맞닿는 제2 안내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안내면(62)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제2 수압면(56) 및 제3 안내면(58)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제3 실시형태는, 제2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탄성체(48)가 제1 탄성부(48a)와 제2 탄성부(48b)로 구성되어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즉, 제1 탄성부(48a)는 제1 볼 부재(42)를 압압하고, 제2 탄성부(48b)는 제1 탄성부(48a)의 압압 방향과는 반대측으로 제2 볼 부재(44)를 압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탄성부(48a 및 48b)의 상기 탄성체는 틀체(14)와 일체로 형성되고, 각각의 근본 부분에는, 두께를 얇게 한 노치부(64)가 부여되어 있다.
제1 탄성부(48a)에는, 제1 볼 부재(42)를 압압하는 제1 압압면(5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탄성부(48b)에는, 제2 볼 부재(44)를 압압하는 제2 압압면(52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안내부(36)는, 제1 압압면(52a)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제1 볼 부재(42)를 통해 받는 제1 안내면(60)과, 제2 압압면(52b)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제2 볼 부재(44)를 통해 받는 제2 안내면(62)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압압면(52a) 및 제2 압압면(52b)은 각각 상대측으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는 제3 수압면(58)을 겸하고 있다.
또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제4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제2 안내부(36)의 제1 안내면(60)을 2개의 면으로 구성하고, 제1 볼 부재(42)가 맞닿는 제1 수압면(54)을 설치하고 있지 않는 점이 서로 다르다. 즉, 제1 안내면(60)의 2개의 면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고, 또한 탄성체(48)의 압압면(52)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볼 부재(42)는, 이 2개의 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압압면(52)으로부터의 압압력은 제1 안내면(60)의 2개의 면에서 받아지므로, 제1 볼 부재(42)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제5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4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이하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다. 즉, 제1 안내부(34)의 제1 수압면(54)은 제1 볼 부재(42)에 맞닿아, 제1 볼 부재(42)를 통해 압압면(52)으로부터의 압압력을 받도록, 압압면(52)과는 예를 들면 45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안내부(36)의 제2 안내면(62)을 2개의 면으로 구성하고, 제2 볼 부재(44)가 맞닿는 제2 수압면(56)을 설치하고 있지 않다. 즉, 제1 볼 부재(42)는 압압면(52), 제1 수압면(54) 및 제1 안내면(60)의 삼면으로 둘러싸여 있다. 또한, 제2 안내면(62)의 2개의 면은,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고, 서로 직교하고, 또한 탄성체(48)의 압압면(52)과는, 예를 들면 45도의 각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볼 부재(44)는, 제2 안내면(56)의 2개의 면에 끼워지는 형태가 된다. 제2 볼 부재(44)는 제2 안내면(62)의 2개의 면 및 제3 수압면(58)의 삼면으로 둘러싸여, 제2 볼 부재(44)의 위치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6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제6 실시형태는, 전술한 제5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제1 안내부(34)의 제1 수압면(54)이 압압면(52)과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 서로 다르다.
또한, 제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7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제1 실시형태 내지 제6 실시형태에서는, 안내 기구(32)가 구동 유닛(24)의 반대측의 2개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안내 기구(32)가 렌즈 구동 장치(10)의 4개의 모서리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6 실시형태와 비교하면, 이하의 구성을 변경하고 있다. 즉, 안내 기구(32)는, 제1 볼 부재(42)와 제2 볼 부재(44)가 각각 인접하는 모서리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2 안내부(36)는 제1 볼 부재(42) 및 제2 볼 부재(44)의 각각에 대응하고 있고, 렌즈 지지체(12)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46)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렌즈 지지체(12)에 직접 제1 안내면(60) 및 제2 안내면(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수압면(54)이 압압면(52)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제1 안내면(60)이 90도 반전되어 있다. 이 제7 실시형태에서는,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볼 부재(42)는 탄성체(48)의 압압면(52)으로 압압되고, 이 압압면(52)으로부터의 압압력이 제2 안내부(36)의 제1 안내면(60)에서 받아진다. 제2 볼 부재(44)는, 제1 안내부(34)의 제3 안내면(58), 제2 안내부(36)의 제2 안내면(62)의 2개의 면에 맞닿아, 렌즈 지지체(12)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렌즈 지지체(12) 전체를 4개의 모서리부에서 지지하고 있으므로 렌즈 지지체(12)를 더 안정되게 지지하기 쉽다.
또한, 제6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8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제8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틀체(14)는 제1 틀체(14a)와 제2 틀체(1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틀체(14b)에 자석(28)이 설치되고, 렌즈 지지체(12)에 코일(2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틀체(14a)는, 조립시에는 제2 틀체(14b)에 대해 적어도 압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재치(載置)되어 있다. 이 제1 틀체(14a)의 내측에는, 탄성체(48)가 고정되어 있다. 조립시에 있어서는, 제1 틀체(14a)의 압압 방향의 위치를 조절하고, 탄성체(48)에 의한 제1 볼 부재(42)에의 압압력을 조정하고, 제1 틀체(14a)를 제2 틀체(14b)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9 실시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 제9 실시형태는, 제8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틀체(14)가 제1 틀체(14a)와 제2 틀체(14b)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인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 렌즈 구동 장치(10)는 포커스 조정 기능을 갖는 것이지만, 또한 줌 기능이나 손떨림 보정 기능을 갖는 것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는, 카메라 장치에 이용되는 렌즈 구동 장치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다른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10 렌즈 구동 장치
12 렌즈 지지체
14 틀체
24 구동 유닛
26 코일
28 자석
32 안내 기구
34 제1 안내부
36 제2 안내부
40 볼
42 제1 볼 부재
44 제2 볼 부재
48 탄성체
48a 제1 탄성부
48b 제2 탄성부
52 압압면
54 제1 수압면
56 제2 수압면
58 제3 수압면
60 제1 안내면
62 제2 안내면

Claims (15)

  1. 렌즈를 지지하기 위한 렌즈 지지체와,
    상기 렌즈 지지체의 주위를 둘러싸는 틀체(frame body)와,
    상기 틀체에 대해 상기 렌즈 지지체를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 기구를 갖고,
    상기 안내 기구는, 상기 틀체에 형성된 제1 안내부와, 상기 렌즈 지지체에 형성된 제2 안내부와, 상기 제1 안내부와 상기 제2 안내부 사이에 배치된 볼을 갖고,
    상기 제1 안내부는, 상기 볼을 상기 제2 안내부에 압압(押壓)하는 탄성체를 갖는 렌즈 구동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압압면과 수압면(受壓面)을 갖고, 상기 압압면은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어 상기 볼을 압압하고, 상기 수압면은 상기 볼이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안내면을 갖고, 상기 안내면은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볼을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제1 볼 부재와 제2 볼 부재를 갖고, 상기 제1 볼 부재와 상기 제2 볼 부재는 상기 제2 안내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압압면과, 제1 수압면과, 제2 수압면과, 제3 수압면을 갖고, 상기 압압면은 상기 탄성체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볼 부재를 압압하고, 상기 제1 수압면은 상기 제1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압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제3 수압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1 볼 부재, 상기 제2 안내부 및 상기 제2 볼 부재를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부는 제1 안내면과 제2 안내면을 갖고, 상기 제1 안내면은 상기 압압면으로부터의 압압력을 상기 제1 볼 부재를 통해 받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안내면은 상기 제2 볼 부재가 맞닿고 상기 렌즈의 광축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압면과 상기 제2 수압면은 동일 평면으로서 구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제1 탄성부와 제2 탄성부를 갖고,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제1 볼 부재를 압압하고, 상기 제2 탄성부는 상기 제1 탄성부의 압압 방향과는 반대 측으로 상기 제2 볼 부재를 압압하는 렌즈 구동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는 상기 제1 볼 부재 및 상기 제2 볼 부재의 각각에 대응해 있고, 상기 렌즈 지지체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8.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의 제1 안내면은, 상기 제1 볼 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안내부의 제2 안내면은, 상기 제2 볼 부재를 사이에 끼우는 2개의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10.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금속으로 구성된 판 스프링인 렌즈 구동 장치.
  11.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상기 틀체와 일체로 형성된 판상(板狀)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12.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는, 각각 별체(別體)로서 상기 틀체를 구성하는 제1 틀체 및 제2 틀체를 이용해서 형성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1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가 압압하는 방향이 대략 동일한 2개의 상기 안내 기구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는 렌즈 구동 장치.
  14. 제1 항 또는 제2 항에 기재된 렌즈 구동 장치와, 상기 렌즈 지지체에 지지된 렌즈와, 상기 렌즈로부터의 광을 받는 수광 센서를 구비한 카메라 장치.
  15. 제14 항에 기재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20170051510A 2016-04-25 2017-04-2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KR101952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6893 2016-04-25
JP2016086893A JP6765212B2 (ja) 2016-04-25 2016-04-25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709A KR20170121709A (ko) 2017-11-02
KR101952200B1 true KR101952200B1 (ko) 2019-02-27

Family

ID=6005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510A KR101952200B1 (ko) 2016-04-25 2017-04-21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65212B2 (ko)
KR (1) KR101952200B1 (ko)
CN (2) CN206573761U (ko)
TW (1) TWI6525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5212B2 (ja) * 2016-04-25 2020-10-07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9059705A2 (ko) 2017-09-21 2019-03-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6630331B2 (ja) * 2017-10-23 2020-01-15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WO2019150551A1 (ja) * 2018-02-02 2019-08-08 富士通フロンテ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497828B1 (ko) 2018-02-23 2023-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172553B2 (ja) * 2018-12-18 2022-11-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レンズモジュール及び車両用撮像装置
JP7237685B2 (ja) 2019-03-28 2023-03-13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振れ補正機能付き光学ユニット
WO2020243862A1 (zh) * 2019-06-01 2020-12-10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镜头组件
CN110398813A (zh) * 2019-07-01 2019-11-01 重庆睿恩光电子有限责任公司 透镜驱动装置及相机装置
CN110794547B (zh) * 2019-08-31 2022-06-24 东莞睿恩科技有限公司 滚珠式音圈马达的透镜驱动装置、相机装置及电子设备
CN111664326B (zh) * 2020-04-29 2022-05-10 高瞻创新科技有限公司 磁吸式微型防抖云台
CN216160896U (zh) * 2020-06-23 2022-04-01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镜头模组
CN112650002A (zh) * 2020-12-31 2021-04-13 上海比路电子股份有限公司 防抖结构、防抖系统及摄像装置
WO2024085345A1 (ko) * 2022-10-21 2024-04-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173A (ja) 2006-04-13 2007-11-01 Nikon Corp 対物レンズ
JP2013195703A (ja) * 2012-03-19 2013-09-30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5081991A (ja) 2013-10-22 2015-04-27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87034A (ja) * 2007-05-17 2008-11-27 Sharp Corp 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撮像機器、ならびに携帯電子機器
JP5627991B2 (ja) 2010-10-27 2014-11-19 シャープ株式会社 カメラモジュール
JP5966383B2 (ja) * 2012-01-26 2016-08-10 Tdk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
TWI460521B (zh) * 2012-04-03 2014-11-11 Tdk Taiwan Corp 具抗傾斜結構之電磁驅動鏡頭裝置
KR101404032B1 (ko) * 2012-09-18 2014-06-10 주식회사 씨플러스 연기 탐지 장치 및 방법
TWI500990B (zh) * 2012-11-23 2015-09-21 Tdk Taiwan Corp 具抗傾斜結構之電磁驅動鏡頭裝置
TWI464479B (zh) * 2013-02-08 2014-12-11 Wah Hong Ind Corp 鏡頭致動裝置
TWM455878U (zh) * 2013-02-08 2013-06-21 Wah Hong Ind Corp 鏡頭致動裝置
JP6765212B2 (ja) * 2016-04-25 2020-10-07 新思考電機有限公司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6173A (ja) 2006-04-13 2007-11-01 Nikon Corp 対物レンズ
JP2013195703A (ja) * 2012-03-19 2013-09-30 Tdk Corp レンズ駆動装置
JP2015081991A (ja) 2013-10-22 2015-04-27 新シコー科技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35631A (zh) 2018-10-01
JP2017198727A (ja) 2017-11-02
CN206573761U (zh) 2017-10-20
CN107305272A (zh) 2017-10-31
KR20170121709A (ko) 2017-11-02
JP6765212B2 (ja) 2020-10-07
TWI652505B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200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기기
TWI611232B (zh) 透鏡驅動裝置、照相機裝置及電子機器
KR10225529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22840B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02289049B (zh) 透镜驱动装置
TWI675230B (zh) 透鏡保持器驅動裝置以及具有照相機的行動終端
TWI542936B (zh) 抗傾斜電磁式馬達及鏡頭裝置
KR101073443B1 (ko) 렌즈 구동장치
KR101221316B1 (ko) 자동초점 기능을 갖는 카메라 모듈
KR101751132B1 (ko) 카메라 모듈
EP3040753A1 (en) Lens moving apparatus
KR20160045382A (ko) 렌즈 구동장치
KR20160121298A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7155801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1044665B1 (ko) 렌즈 구동장치
JP2012083582A (ja)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2017146440A (ja) レンズ駆動装置、カメラ装置及び電子機器
KR102069631B1 (ko) 카메라 모듈
US8599273B2 (en) Handshake correction apparatus of photographing apparatus
KR20230130593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60057721A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388119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US8274748B1 (en) Lens actuator
KR20210020728A (ko) 카메라 모듈
US20160246159A1 (en) Camera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