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658A -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658A
KR20200142658A KR1020190069684A KR20190069684A KR20200142658A KR 20200142658 A KR20200142658 A KR 20200142658A KR 1020190069684 A KR1020190069684 A KR 1020190069684A KR 20190069684 A KR20190069684 A KR 20190069684A KR 20200142658 A KR20200142658 A KR 20200142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lens
magnetic force
camera module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욱
장대식
장정인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9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42658A/ko
Priority to CN202310911462.8A priority patent/CN116782038A/zh
Priority to CN202080043020.0A priority patent/CN113940051B/zh
Priority to CN202310914164.4A priority patent/CN116782039A/zh
Priority to PCT/KR2020/007363 priority patent/WO2020251223A1/ko
Priority to US17/596,575 priority patent/US20220264018A1/en
Publication of KR20200142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6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04N5/23258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position, not involving coordinate determin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5/217
    • H04N5/2253
    • H04N5/2254
    • H04N5/2328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 개의 홀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한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삼각함수 식을 이용하여 외부 인자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한 정보를 취득한 후, 이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기술에 관한 발명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소형화가 가능해지자, 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폰이나 PDA 등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 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제작되고 있으며, 화상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초점 조정이 가능하도록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렌즈와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하여 구성이 되며, 액추에이터가 각각의 렌즈를 이동시켜 그 상대적인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광학적인 초점 거리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대상체에 대한 물체를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외부에선 수신한 광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센서로 광을 집광시키는 렌즈와 IR(Infrared) 필터, 이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하우징 및 이미지 센서의 신호를 처리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액추에이터는 VCM(Voice Coil Motor) 액추에이터 또는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s) 액추에이터 등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렌즈의 초점 거리가 조절된다.
한편, 스마트 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는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내장되며,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 거리를 정렬하는 오토 포커스(AF, autofocus)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멀리 있는 대상체를 촬영하기 위해 줌(Zoom)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줌 기능은 크게 카메라 내부의 실제 렌즈가 이동하여 대상체에 대한 배율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광학줌과, 대상체를 촬영한 화상 데이터의 일부 화면을 디지털 처리 방식으로 확대 처리한 후 표시하여 줌 효과를 얻는 디지털 중 방식으로 나뉘어진다.
렌즈의 이동을 이용하여 대상체에 대한 이미지를 얻는 광학 줌의 경우 디지털 처리 방식보다는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가지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존재한다.
또한, 최근 카메라 모듈은 고정 장치가 불안하거나,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기 위해 영상 흔들림 방지(IS, image stabilization)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카메라의 렌즈나 이미지 센서를 물리적으로 움직여 빛의 경로를 변화시킴으로써 움직임을 보정하는 광학적 영상 흔들림 방지(OIS, Optical Image Stabilizer)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OIS 기술은 자이로 센서(Gyro Sensor)나 홀 센서(Hall Sensor)를 통해 카메라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를 기초로 렌즈나 이미지 센서가 움직여야 할 거리를 계산하는 방식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그리고 OIS 보정 방식은 크게 렌즈 이동 방식과 모듈 틸팅(Tilting) 방식으로 나뉘어 지는데, 렌즈 이동 방식은 이미지 센서의 중심과 광축을 재정렬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 내에 있는 렌즈만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반면, 모듈 틸팅 방식은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전체 모듈을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보정을 수행한다.
따라서, 렌즈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보정을 하는 경우, 렌즈의 위치와 이동을 감지하기 위해 홀 센서(Hall Sensor)가 카메라 모듈 내부에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렌즈 모듈 또는 렌즈 어셈블리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센싱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검출한 후, 이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센싱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외부 영향을 많이 받는다. 예를 들어, 온도나 외부 충격, 신호 간섭 및 외란 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홀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력의 세기는 이러한 외부 영향으로 인한 노이즈가 포함된 결과를 측정하게 되므로,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카메라 모듈에는 자기력을 측정하기 위한 센서는 센싱 마그네트 당 하나씩 배치되고, 센서가 측정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은 외부 영향을 받은 결과를 측정하기 때문에 실제 렌즈의 위치와 검출된 렌즈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영향이 제거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삼각함수 식을 이용하여 외부 영향을 포함하고 있는 노이즈를 제거한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로 상쇄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근사화하는 방법으로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를 포함하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상기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1거리만큼 동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제1거리는, 0.5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미리 설정된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제2거리는, 1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 및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배럴 및 제2배럴, 상기 제1배럴 및 제2배럴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테트,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복수 개의 자기력을 각각 측정하는 복수 개의 홀 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는, 상기 제1마크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제2 센서 및 상기 제2마크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3센서와 제4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 및 제2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는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정보를 기초로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로 상쇄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삼각함수 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1거리만큼 동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카메라 모듈 내부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데 있어서, 외부 환경으로 인해 미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OIS 보정을 정확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고가의 장치를 추가적으로 부착할 필요 없이 센서만 추가적으로 부착함으로써,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바 보다 경제적으로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이 생략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이 생략된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감지하는 센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센서를 통해 감지된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위치에 따라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7은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외부 영향으로 인해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복수 개의 센서 및 이를 이용하여 감지한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에 따른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면에서 설명하는 카메라 모듈(100)은 "카메라 장치"일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구동장치"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AF 액츄에이터(600, AF Actuator)"와 "OIS 액츄에이터(OIS 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렌즈구동장치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100)은 이미지 센서(image sen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표면 실장 기술(SMT, Surface Mounting Technology)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 센서의 유효화상 영역에 조사되는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모듈(lens 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lens)와 배럴(barrel)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배럴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렌즈가 결합된 배럴이 홀더의 내주면에 결합된 후 하우징(300)에 실장될 수 있다. 렌즈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와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일부 구성이 생략된 카메라 모듈(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20)와, 베이스(20) 외측에 배치되는 회로기판(40)과 제4 구동부(142) 및 제3 렌즈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1 가이드부(210), 제2 가이드부(220),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구동부(141), 제4구동부(1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구동부(141)와 상기 제4 구동부(142)는 코일 또는 마그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lens assembly)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렌즈 모듈(lens module)과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모듈은 렌즈(lens)와 배럴(barr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례로, 복수의 렌즈가 적층되어 배럴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렌즈가 결합된 배럴이 홀더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홀더는 '보빈(bobbin)'일 수 있으며, 홀더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제3 구동부(141)와 상기 제4 구동부(142)가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3 구동부(141)는 제1 코일부(141b)와 제1 요크(141a)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부(142)는 제2 코일부(142b)와 제2 요크(14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상기 제3 구동부(141)와 상기 제4 구동부(142)가 마그네트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x-y-z 축 방향에서, z축은 광축(optic axis) 방향 또는 이와 평행 방향을 의미하며, xz평면은 지면을 나타내며, x축은 지면(xz평면)에서 z축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하고, y축은 지면과 수직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20), 제1 가이드부(210), 제2 가이드부(220),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렌즈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제2 렌즈 어셈블리(120), 제3 렌즈 어셈블리(13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각의 렌즈 어셈블리는 렌즈(lens)와 배럴(barrel)을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가 결합된 배럴은 각각의 홀더의 내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부(210)와, 상기 베이스(2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부(220)와, 상기 제1 가이드부(210)와 대응되는 제1 렌즈 어셈블리(110)와, 상기 제2 가이드부(220)와 대응되는 제2 렌즈 어셈블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광축 방향으로 상기 제1 렌즈 어셈블리(110) 앞에 배치되는 제3 렌즈 어셈블리(130)를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제3렌즈 어셈블리(130)를 제외한 제1렌즈 어셈블리(110)와 제2렌즈 어셈블리(120)만을 구성 요소로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하우징(300, housing)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커버(미도시) 안에 배치되고 홀더(미도시) 밖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에는 렌즈가 결합되어 있는 홀더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제어부(600)의 작동에 따라 위 아래로 이동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홈(110)을 포함할 수 있다. 홈(110)은 하우징(100)의 내측면에 광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홈(110)에는 지지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어, 배치된 지지부재는 홈(110)을 따라 위 또는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기판 수용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수용홈(120)은 회로기판(미도시)을 수용할 수 있다. 기판 수용홈(120)은 회로기판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이를 통해, 회로기판은 기판 수용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센서 홀(1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 홀(130)에는 센서(35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 홀(130)에는 렌즈 어셈블리(110, 120, 130) 또는 렌즈 배럴에 부착되어 있는 마그네트(40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 및 방향을 감지할 수 있는 홀 센서(Hall Sensor)가 한 개 또는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일 예로서, 센서 홀(130)에 두 개가 있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센서 홀(13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한 개, 3개, 4개 등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치되는 센서 홀(130)의 수 만큼 홀 센서(350)가 각각 배치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센서 홀(130)은 하우징(100)을 광축과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하우징(1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센서(350)가 하우징(100) 안에 배치되는 마그네트(400)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350)와 마그네트(400) 사이의 거리는 제조 목적에 따라 다양한 거리로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기력의 세기와 크기를 감지하는 센서와 마그네트의 거리가 너무 멀리 배치되면,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정확하게 감지하기가 어렵고, 반대로 너무 가까이 배치되는 경우 변하는 전자기력의 방향과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어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마그테트와 센서의 간격은 렌즈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8을 통해서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4에세는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도 3에서 설명하셨다시피 고배울 줌 카메라 모듈의 경우 카메라에 장착되는 렌즈의 종류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100) 장책되는 렌즈의 개수가 2개 또는 그 이상의 수로 마련되고, 각각의 렌즈의 위치를 측정해야 하는 경우, 하나의 렌즈당 1개 또는 2개의 센서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렌즈당 센서의 개수가 1개 또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카메라 모듈의 제조 목적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더 많은 센서들이 배치될 수 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 및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의 일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외부의 영향으로 인해 변화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마그네트(30)와 센서(40)와의 관계만을 설명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의 여러 구성 요소 중 마그네트와 센서만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네트(30)는 렌즈 배럴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렌즈 배럴 또는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에 따라 마그네트(30)는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센서(40)는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센서(40)가 마그네트(3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크기는 도 6의 (a)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에 따라 변화하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다만, 도 6의 (a) 그래프는 여러 개의 그래프가 병합된 모습을 도시하였는데, 이는 센서(40)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된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즉, 센서(40)에 의해 검출되는 자기장의 크기는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측정되므로,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가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여러 모양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가 동일하다면, 마그네트에서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의 경우 검출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강할 것이고, 마그네트에서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센서의 경우 검출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약할 것이다.
따라서, 도 6의 (a)에 도시된 여러 그래프 중 가장 아래에 있는 그래프는 마그네트에서 센서가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측정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도 6의 (a)에 도시된 여러 그래프 중 가장 위에 있는 그래프는 마그네트에서 센서가 가장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 측정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리고 도 6의 (b)는 센서의 위치에 따라 측정된 결과에 따른 여러 그래프 중 삼각함수와 가장 비슷한 그래프를 별도로 도시화한 그래프로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싸인 함수(sin) 또는 코싸인 함수(cos)와 가장 비슷한 파형으로 측정되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는 한 축을 기준으로 상하로만 움직이기 때문에 센서의 의해 측정되는 마그네트의 크기와 방향은 싸인 함수 또는 코싸인 함수의 형태로 측정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삼각함수 식을 도출해 낼 수 있다.
도 6에서는 측정된 결과를 싸인 함수로 근사화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근사화를 하지 않고 측정된 결과를 그대로 이용할 수 도 있다.
도 7은 외부 영향으로 인해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자기력의 크기가 변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센서 하나를 이용하여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크기를 측정하는 경우 외부 영향을 받은 노이즈를 포함한 결과를 측정하는 단점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거나, 카메라 모듈의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거나 낮아지는 경우, 마그네트 주변에 위치하는 다른 장치들로 인해 신호 갑섭이 발생하는 경우 등 외부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 마그네트에서 발생되는 자기력의 크기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결과로 측정될 수 있다.
즉, 외부 영향이 존재하지 않아 노이즈가 포함되지 않는다면 측정되어야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은 도 7의 ① 그래프로 측정이 되어야 하지만, 외부 영향이 존재해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은 ② 그래프의 형태로 측정이 된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경우,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가 있는 결과를 포함한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하게 되므로, 이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정확도 면에서 떨어지는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영향이 제거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삼각함수 식을 이용하여 외부 영향을 포함하고 있는 노이즈를 제거한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100)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하 도면을 통해 구체적으로 알아보도록 한다.
도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감지한 결과를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에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마그네트(40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기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350)를 복수 개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센서, 제1센서(351)와 제2센서(352)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 목적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더 많은 센서가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그네트(400)에서 방출되는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2개 존재한다면,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센서(351, 352)에 의해 측정된 그래프 또한 서로 다른 형태로 2개가 측정될 수 있다.
도8 의 (b)에 도시된 2개의 그래프는, 편의상 제1센서(351)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산출한 그래프를 f(x) 함수로 표현하고, 제2센서(352)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산출한 그래프를 g(x) 함수로 표현한 것이다. 각각의 함수에 표현된 미지수들은 실제 측정 결과를 통해 도출해 낼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함수 f(x)와 g(x)의 경우, 외부영향을 받은 노이즈를 포함한 자기력의 크기를 감지한 결과에 따른 함수식으로서, f(x)와 g(x)의 A를 외란이라고 하면, f(x)와 g(x)는 아래 식 ①과 ②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x는 위치 또는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식 ①과 ②와 같은 함수식이 산출되었으면, f(x)는 싸인 함수로 표현되어 있고 g(x)는 코싸인 함수로 표현되어 있으므로, 식 ③과 같이 f(x)를 분자로 두고 g(x)를 분모로 두면, 아래 식 ③과 같이 탄제트(tan) 함수식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02
그 후 식 ③의 탄젠트 함수를 역함수로 변환하여 아래 식 ④와 같이 아크탄젠트(arctan) 함수 식을 얻을 수 있으므로 이에 따라 위치 x에 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따라서, 식 ④에 따라 얻은 최종 결과치는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A)를 제거한 측정치를 기초로 산출한 결과이므로 하나의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측정하는 경우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도9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센서가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9에서는 두 개의 센서(351, 352)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센서(350)는 사용 목적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는 마그네트(4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거나 마그네트(400)와 평행하는 축(l) 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400)는 렌즈 어셈블리의 이동으로 인해 같이 이동하지만, 이동하기 전 마그네트(40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센서(351, 352)들이 서로 대칭 위치에 배치되거나, 마그네트(400)와 평행하는 축(l) 선상에 센서(350)들이 배치되는 경우 보다 정확하게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350)의 위치가 마그네트(400)를 기준으로 너무 멀거나 가까우면 정확하게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므로,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는 마그네트(400)와 미리 설정된 제1거리(a)만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는 렌즈의 위치를 효율적으로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거리만큼 마그네트(400)와 떨어져 배치되어야 하는데, 바람직하게 제1거리는 0.5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거리가 0.5mm이하가 되면 측정되는 자기력의 크기가 매우 강하고, 2mm 이상 거리가 되면 측정되는 자기력의 크기가 약해 정확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하는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는 마그네트(400)와의 거리가 0.5mm 이상 2mm이하가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서(351)와 제2 센서(352)는 서로 미리 설정된 제2거리만큼 이격 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미리 설정된 제2거리는 1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거리가 1mm이하가 되면 두 센서의 위치가 근접해 측정된 결과가 서로 비슷한 결과가 나오거나, 2mm 이상 거리가 되면 두 센서의 위치가 너무 멀어 측정된 결과가 많이 상이한 결과가 나올 수 있으므로 함수식을 이용하여 정확한 값을 도출해 내기가 어렵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두 센서(351, 352)간의 간격은 정확한 측정을 위해 1mm 내지 2mm이하로 배치될 수 있다.
도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을 일부 구성 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500)와 감지부(500)에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거나, 액추에이터(6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600) 및 카메라 모듈(100)에 관한 각종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부(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00)는 앞서 도면에서 설명한 마그네트(400)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센서(350)는 홀 센서(Hall Senso)나,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500)는 센서에 의해 측정된 결과를 제어부(600)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600) 감지부(500)를 통해 수신된 결과를 기초로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600)는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00)는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기초로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함수식을 이용하여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통해서 자세히 설명하는바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액추에이터(600)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6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0)는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00)는 카메라 모듈의 AF 구동, OIS 구동, AF 피드백 제어 및/또는 OIS 피드백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800)은 렌즈 및 액추에이터(700)를 포함한 카메라 모듈(100)에 마련되어 있는 각종 장치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어부(600)는 저장부(8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과 감지부(500)에서 감지된 결과들을 기초로 카메라 모듈(100)의 각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800)는 캐쉬, ROM(Read 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및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소자 또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 Hard Disk Drive),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저장부(800)는 전술한 제어부(600)와 관련하여 별개의 칩으로 구현된 메모리일 수 있고, 제어부(600)와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1을 참고하면, 카메라 모듈(100)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렌즈 혹은 렌즈 어셈블리에 부착되어 있는 마그네트로(400)부터 방출되는 자기력의 방향과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S10)
그 후, 복수 개의 센서(350)로부터 감지한 결과를 기초로 위치에 대한 자기력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함수식을 생성한 후, 외란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삼각함수 식을 변환시킬 수 있다.(S20, S30)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센서(500)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고, 생성된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외란의 영향이 제가된 측정 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 후, 산출된 값과 측정된 값을 기초로 렌즈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S40)
지금까지 도면을 통해 카메라 모듈(100)의 다양한 실시예 및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 또는 렌즈 어셈블리에 부착된 마그네트에 방출되는 자기력의 크기와 방향을 검출하기 위해 마그네트 당 하나씩 구비하였으므로, 센서가 측정하는 자기력의 세기와 방향은 외부 영향을 받은 노이즈를 포함한 결과를 측정하였다. 따라서, 이를 기초로 검출한 렌즈의 위치는 실제 렌즈의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 및 카메라 모듈(100)의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외부 영향이 제거된 자기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된 결과를 기초로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의 삼각함수 식을 이용하여 외부 영향이 제거된 결과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정확히 렌즈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따라서, OIS 보정을 종래 기술보다 정확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고가의 장치를 부착할 필요 없이 센서만 추가적으로 부착하는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바, 보다 경제적으로 렌즈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생산할 수 있다.
지금까지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카메라 모듈
110: 제1렌즈 어셈블리
120: 제2렌즈 어셈블리
200: 제3렌즈 어셈블리
300: 하우징
350: 센서
351: 제1 센서
352: 제2 센서
400: 마그네트
500: 감지부
600: 제어부

Claims (22)

  1.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일면에 배치되는 마그네트;
    상기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 및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로 상쇄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근사화하는 방법으로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으로 생성하고,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를 포함하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상기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1거리만큼 동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1거리는,
    0.5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 센서는,
    미리 설정된 제2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제2거리는,
    1mm 이상 2mm이하인 거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렌즈 및 제2렌즈;
    상기 제1렌즈와 제2렌즈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배럴 및 제2배럴;
    상기 제1배럴 및 제2배럴의 일면에 각각 결합되는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테트;
    상기 제1마그네트 및 제2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복수 개의 자기력을 각각 측정하는 복수 개의 홀 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제1렌즈 및 제2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홀 센서는,
    상기 제1마크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1센서와 제2 센서 및 상기 제2마크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을 측정하는 제3센서와 제4 센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
  16. 적어도 하나의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센서 및 제2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일면에 배치되어 있는 마그네트에서 방출되는 자기력의 세기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정보를 기초로 외부 환경으로 인한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를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로 상쇄한 값에 기초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에 의해 측정된 자기력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삼각함수 식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복수 개의 삼각함수 식을 기초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함수 식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센서에 의해 측정된 정보를 기초로 위치에 따른 자기력의 세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싸인(Sin) 함수식 또는 코싸인(Cos) 함수식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싸인 함수식과 코싸인 함수식을 이용하여 탄제트(tan) 함수식 또는 아크탄제트(arctan) 함수식을 생성한 후, 생성된 함수식을 이용하여 상기 렌즈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 및 상기 제2센서는,
    상기 마그네트를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제1거리만큼 동일하게 이격되어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와 제2센서는,
    동일한 축선상에 배치되거나, 상기 마그네트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위치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KR1020190069684A 2019-06-13 2019-06-13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KR20200142658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84A KR20200142658A (ko) 2019-06-13 2019-06-13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CN202310911462.8A CN116782038A (zh) 2019-06-13 2020-06-05 相机模块及相机模块控制方法
CN202080043020.0A CN113940051B (zh) 2019-06-13 2020-06-05 相机模块及相机模块控制方法
CN202310914164.4A CN116782039A (zh) 2019-06-13 2020-06-05 相机模块及相机模块控制方法
PCT/KR2020/007363 WO2020251223A1 (ko) 2019-06-13 2020-06-05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US17/596,575 US20220264018A1 (en) 2019-06-13 2020-06-05 Camera module and control method of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684A KR20200142658A (ko) 2019-06-13 2019-06-13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658A true KR20200142658A (ko) 2020-12-23

Family

ID=7378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684A KR20200142658A (ko) 2019-06-13 2019-06-13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64018A1 (ko)
KR (1) KR20200142658A (ko)
CN (3) CN116782039A (ko)
WO (1) WO2020251223A1 (ko)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531B2 (ja) * 1992-09-18 2001-06-04 ソニー株式会社 位置検出方法
CN101772730B (zh) * 2008-07-24 2014-12-03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照相机驱动装置
JP5789895B2 (ja) * 2011-08-05 2015-10-07 株式会社タムロン 位置検出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及びレンズユニットの製造方法、位置検出方法
JP5821120B2 (ja) * 2011-10-07 2015-11-24 株式会社タムロン 防振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備えたレンズユニット、カメラ
WO2013121788A1 (ja) * 2012-02-14 2013-08-2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レンズ駆動装置およびカメラ
JP5427264B2 (ja) * 2012-03-28 2014-02-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可動部材制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KR101780856B1 (ko) * 2012-06-07 2017-10-10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위치 검출 장치
JP5736518B2 (ja) * 2012-08-30 2015-06-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撮像レンズ鏡筒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KR102125558B1 (ko) * 2013-08-19 2020-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이에 사용되는 위치 검출 장치 및 위치 검출 방법
US10969214B2 (en) * 2013-12-31 2021-04-06 Joral Llc Position sensor with Wiegand wire, position magnet(s) and reset magnet
US10123004B2 (en) * 2016-01-28 2018-11-06 Olympus Corporation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using image stabilization apparatus
JP6874767B2 (ja) * 2016-06-30 2021-05-19 日本精機株式会社 ストロークセンサ
US10302456B1 (en) * 2016-09-20 2019-05-28 Apple Inc. Position sensor configuration with bias field offset compensation
WO2018084584A1 (ko) * 2016-11-01 2018-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듀얼 카메라 모듈, 광학기기 및 듀얼 카메라 모듈의 제조방법
CN108024068B (zh) * 2016-11-03 2020-07-07 华为技术有限公司 双摄像头设备和终端设备
KR102194710B1 (ko) * 2016-11-28 2020-12-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782039A (zh) 2023-09-19
CN113940051B (zh) 2023-08-15
WO2020251223A1 (ko) 2020-12-17
CN116782038A (zh) 2023-09-19
CN113940051A (zh) 2022-01-14
US20220264018A1 (en) 2022-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2274B2 (en) Camera module including handshaking correcting device
KR101300353B1 (ko) 손떨림 보정장치
US10123003B2 (en) Method for calibrating an image capture device
US9804477B2 (en) Actuator driving apparatus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1892811B1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101859377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9307164B2 (en) Imaging lens barr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same
US11256066B2 (en) Optical mechanism
US20220224839A1 (en) Crosstalk correction method and actuator driver
KR20180060212A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200143971A (ko) 카메라 모듈
KR20180012839A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10802271B2 (en) Lens device
CN113940051B (zh) 相机模块及相机模块控制方法
KR102423689B1 (ko) 메모리 유닛이 구비된 광학계 구동장치
US20150301305A1 (en) Lens drive apparatus and camera module
JP2016184132A (ja) 光学駆動装置および光学機器
KR102327732B1 (ko)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77852B1 (ko) 카메라 모듈
KR20160052880A (ko) 카메라 모듈
JP6207191B2 (ja) レンズ鏡筒および光学装置
JP2013037214A (ja) 撮像装置及びステレオカメラ
US20230161229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module including same
KR20230022650A (ko) 카메라 모듈
CN113132590A (zh) 位置检测装置、光圈模块及相机模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