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728B1 -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9728B1
KR101779728B1 KR1020167000520A KR20167000520A KR101779728B1 KR 101779728 B1 KR101779728 B1 KR 101779728B1 KR 1020167000520 A KR1020167000520 A KR 1020167000520A KR 20167000520 A KR20167000520 A KR 20167000520A KR 101779728 B1 KR101779728 B1 KR 101779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dvice
server
refrigerato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758A (ko
Inventor
유키 다카하시
히토미 사에키
히로카즈 이자와
유우키 마루타니
가즈히로 후루타
고타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프스타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18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9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9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06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 G06F11/0709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the processing taking place on a specific hardware platform or in a specific software environment in a distributed system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tandalone computer nodes, e.g. clusters, client-server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9Root cause analysis, i.e. error or fault diagno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전기기와 서버와 통신단말을 구비한 것으로, 가전기기는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제어부의 현재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부와 정보의 설정결과를 외부에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통신단말은 서버의 복수의 데이터 중 가전기기로부터의 정보의 송신결과에 대응하는 것에 따라서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HOME ELECTRICAL APPLIANCE AND NETWORK SYSTEM}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시스템에는 통신단말 및 서버를 구비한 것이 있다. 이 서버는 사용자가 가전기기를 사용하는 경우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가 기록된 것이고, 사용자가 통신단말을 조작한 경우에는 서버의 복수의 데이터 중 사용자의 조작내용에 대응하는 것에 따라서 통신단말에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2-16195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6621호
종래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전기기의 취급설명서에 기재된 것과 동등한 어드바이스를 통신단말에 표시하기만 하는 것이고, 편리성이 부족하다.
실시형태의 가전기기는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어드바이스 중 상기 제어부의 현재의 상태에 대응하는 것을 통신단말에 표시하기 위한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부와, 상기 정보설정부의 정보의 설정결과를 외부에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한다.
실시형태의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 회선에 접속된 가전기기와,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것으로, 상기 가전기기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가 기록된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것으로, 표시부를 갖는 통신단말을 구비한다. 상기 가전기기는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현재 상태에 따른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 설정부와, 상기 정보 설정부의 설정 결과를 외부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갖는다. 상기 통신단말의 상기 표시부에,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가전기기로부터의 정보의 송신 결과에 대응하는 것에 따른 특정의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냉장고의 전기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탑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2 선택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통신제어회로의 제1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통신제어회로의 제2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어드바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제2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11 상당도이다.
도 17은 설정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3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8 상당도이다.
도 19는 제4 실시형태에 따른 도 1 상당도이다.
도 20은 에러정보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서버의 제어 내용을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2는 경도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4는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5는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6은 중증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도시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7은 경도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은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0은 수리요청을 접수한 경우의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1은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는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중증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정상용의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그 밖의 실시형태를 도시한 도 28 상당도이다.
도 36은 그 밖의 실시형태에 따른 리스크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8은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는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은 교체구입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는 소모품 교환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은 중증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는 중증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는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은 소모품의 수리 및 교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은 소모품의 소모 정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은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는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0은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1은 매출 및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2는 매출 및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복수의 실시형태에 의한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형태에서 실질적으로 공통되는 부위에는 공통되는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 액세스 포인트(2), 라우터(3), 통신회선(4), 서버(5), 고기능 휴대전화(6) 및 냉장고(7)는 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다. 이 경우 냉장고(7)는 가전기기의 한 예이다. 그러나, 가전기기는 냉장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세탁기, 에어컨 등의 냉난방 기구, 청소기, 전자렌지나 오븐 또는 쿠킹 히터 등의 가열조리기 및 텔레비전 등 각종 가전기기이어도 좋다. 또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가전기기는 1대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 네트워크 상에 복수의 가전기기가 존재하고 있어도 좋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퍼스널 컴퓨터(1)는 주택의 실내에 배치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키보드(1a) 및 액정표시기(1b)를 갖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액세스포인트(2) 및 라우터(3)를 통하여 인터넷망으로 이루어진 통신회선(4)에 접속되어 있다. 서버(5)는 통신회선(4)에 접속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와 서버(5)는 통신회선(4)를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단말의 일례이고, 액정표시기(1b)는 표시부의 일례이다. 서버(5)는 가전기기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서버(5)는 기억수단의 한 예이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회선(4)에 접속되어 있다. 고기능 휴대전화(6)와 서버(5)는 통신회선(4)를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소위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형 퍼스널컴퓨터와 노트 퍼스널컴퓨터 등이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6a)를 갖고 있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6a)의 전방에 투명한 터치 패널을 장착하고 있다.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손가락으로 조작함으로써 고기능 휴대전화(6)에 정보가 입력된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통신단말의 일례이며, 액정표시기(6a)의 일례이다. 또한 통신단말은 퍼스널 컴퓨터(1)나 고기능 휴대전화(6)처럼 예를 들면 냉장고(7) 등의 가전기기와 별체이고, 그 가전기기의 외부에 있을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은 가전기기에 내장되어 착탈이 불가능한 것이어도 좋다.
냉장고(7)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택의 실내에 설치되어 있다. 냉장고(7)는 저장실로서 냉장실, 야채실, 제빙실, 상단 냉동실 및 하단 냉동실을 갖고 있다. 냉장실은 전방의 R문(8) 및 R문(9)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된다. 야채실은 전방의 V문(10)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된다. 제빙실은 전방의 I문(11)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된다. 상단 냉동실은 전방의 F문(12)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된다. 하단 냉동실은 전방의 F문(13)이 조작됨에 따라서 개폐된다. 냉장고(7)는 가전기기의 일례이다. 또한, 냉장고(7)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저장실의 수나 배치, 각 문의 개폐방식 등,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냉장고(7)는 냉동 사이클을 갖고 있다. 냉동 사이클은 냉장실, 제빙실, 상단 냉동실 및 하단 냉동실에 냉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야채실에는 냉장실을 통하여 냉기가 공급된다. 냉동 사이클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프레서(14), R에바포레이터, F에바포레이터, 컨덴서, R팬 장치(15) 및 F팬 장치(16)를 갖고 있다. 컴프레서(14)는 컴프레션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것이다. R에바포레이터, F에바포레이터 및 컨덴서에는 컴프레서(14)로부터 냉매가 공급된다.
R에바포레이터는 냉장실용의 냉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R팬 장치(15)는 R에바포레이터에서 생성된 냉기를 냉장실에 공급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R온도센서(17)는 냉장실 내에 고정되어 있다. R온도센서(17)는 냉장실 온도에 따른 크기의 온도신호를 출력한다. F에바포레이터는 제빙실용, 상단 냉동실용 및 하단 냉동실용의 냉기를 생성하는 것이다. F팬 장치(16)는 F에바포레이터에서 생성된 냉기를 제빙실, 상단 냉동실, 및 하단 냉동실에 공급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F온도센서(18)는 하단 냉동실 내에 고정되어 있다. F온도센서(18)는 하단 냉동실의 온도에 대응한 크기의 온도신호를 출력한다.
조작패널(19)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7)의 R문(8)에 고정되어 있다. 조작패널(19)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기(20) 및 복수의 스위치(21)를 갖고 있다. 이들 복수의 스위치(21)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표시기(20)는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냉장고(7)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제어회로(22)를 갖고 있다. 운전제어회로(22)는 CPU(221), ROM(222) 및 RAM(223)을 갖고 있다. 운전제어회로(22)의 ROM(222)은 운전 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운전제어회로(22)는 실시간 클럭을 갖고, 실시간 클럭의 계측 결과에 따라서 시각을 인식하는 계시 기능을 갖고 있다. 운전제어회로(22)는 제어부의 일례이다.
운전제어회로(22)는 복수의 스위치(21)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냉장 강도와 냉동 강도와 절전 모드를 설정하는 것이다. 운전제어회로(22)는 냉장 강도의 설정 결과와 냉동 강도의 설정 결과와 절전 모드의 설정 결과를 표시기(20)에 표시한다. 냉장 강도는 냉장실의 냉각 강도이다. 냉동 강도는 하단 냉동실의 냉각 강도이다. 냉장 강도 및 냉동 강도는 「강」 「중」「약」을 포함하는 복수의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절전 모드는 미리 정해진 표준량에 비해서 적은 전력량으로 운전을 실시하는 모드이며, 「절전」「외출」「절전 외출」「절전 피크시프트」 중 어느 것으로 설정된다.
운전제어회로(22)는 R온도센서(17)로부터의 온도신호 및 F온도센서(18)로부터의 온도신호에 따라서 컴프레서(14)의 컴프레션 모터와 R팬 장치(15)의 R팬 모터와 F팬 장치(16)의 F팬 모터를 회전 제어하는 것이다. 이들 컴프레션 모터~F팬 모터의 회전 제어는 운전제어회로(22)의 운전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시된다. 절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제어회로(22)는 컴프레션 모터~F팬 모터가 회전 제어되는 것에 대응하여, 냉장실 온도 및 하단 냉동실의 온도를 절전모드의 설정결과로 컨트롤한다. 절전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운전제어회로(22)는 컴프레션 모터~F팬 모터가 회전 제어됨에 따라서 냉장실 온도를 냉장 강도의 설정 결과로 컨트롤하고 또한 하단 냉동실의 온도를 냉동 강도의 설정 결과로 컨트롤한다.
냉장고(7)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신제어회로(23)를 갖고 있다. 통신제어회로(23)는 CPU(221), ROM(222) 및 RAM(223)을 가지고 있다. 통신제어회로(23)의 ROM(222)은 통신제어 프로그램을 기억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운전제어회로(22)에 접속되어 있다. 운전제어회로(22)와 통신제어회로(23) 사이에서 정보가 송수신된다. 통신제어회로(23)는 액세스 포인트(2) 및 라우터(3)를 통해서 통신회선(4)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제어회로(23)와 서버(5)는 통신회선(4)을 통해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냉장고(7)에 내장된 것으로 정보 설정부 및 송신부의 일례이다.
또한, 통신제어회로(23)는 냉장고(7)에 원래 탑재된 내장형이어도 좋고, 냉장고(7)와는 별도로 구입한 것을 뒤에서 냉장고(7)에 부착하는 외장형이어도 좋다. 통신제어회로(23)의 전력은 냉장고(7)를 통해서 공급되어도 좋고, 냉장고(7)로부터 독립되어 공급되어도 좋다. 통신제어회로(23)는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냉장고(7)로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 경우이어도, 통신제어회로(23)는 서버(5)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제어회로(23)와 액세스포인트(2)는 유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무선으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통신제어회로(23)와 액세스포인트(2)의 접속은 LAN통신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전력선을 통신 회선으로서 이용하는 전력선 반송 통신이어도 좋다.
통신제어회로(23)는 전원 정보, 시간 정보, 약운전 정보, 절전 정보 및 강운전 정보를 설정하는 것이다. 전원 정보는 냉장고(7)에 전원이 공급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전원 정보는 냉장고(7)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경우에 「전원없음」으로 설정된다. 시간 정보는 냉장고(7)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개시된 것을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대기시간이 경과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도시한 것이다. 시간 정보는 냉장고(7)에 대한 전원의 공급이 개시된 것을 기준으로 미리 결정된 대기 시간이 경과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도시하는 것이다. 시간 정보는 대기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시간이 경과하지 않음」으로 설정된다. 약운전 정보는 냉장고(7)의 냉장 강도 및 냉동 강도가 「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약운전 정보는 냉장 강도 및 냉동 강도가 「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각각 「약」으로 설정된다. 절전 정보는 절전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절전 정보는 「절전」「외출」「절전 외출」「절전 피크시프트」 중 어느 것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절전」으로 설정된다. 강운전 정보는 냉장고(7)의 냉장 강도가 「강」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강운전 정보는 냉장 강도가 「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강」으로 설정된다. 이들 전원 정보~강운전 정보는 각각 통신제어회로(23)가 ROM(222)의 통신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운전제어회로(22)와의 사이에서 일정 시간마다 통신을 함으로써 설정하는 것이고, 일정 시간마다 갱신된다.
도 3의 톱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의 키보드(1a)가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안에 표시되는 것이다. 이 톱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가 서버(5)로부터 통신회선(4)를 통해서 제공되는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다. 이 톱 화면은 틀의 도안(25) 및 키(26)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고 있다. 키(26)는 사용자가 냉장고(7)를 사용하는 데에서 곤란한 경우 및 필요한 경우에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키(26)에는 메시지 「곤란할 때·필요할 때」가 첨부되어 있다.
도 4의 제1 선택 화면은 톱 화면 상에서 키(26)가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의 표시 영역(24)내에 톱 화면으로 바꾸어 표시되는 것이다. 제1 선택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가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다. 제1 선택 화면은 키(27)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고 있다. 키(27)는 사용자가 식품의 냉각 방식으로 곤란한 경우 및 식품을 식히는 데에 필요한 경우에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키(27)에는 메시지 「냉각방식에 대해서」가 첨부되어 있다.
도 5의 제2 선택 화면은 제1 선택 화면상에서 키(27)가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의 표시 영역(24)내에 제1 선택 화면으로 바꾸어 표시되는 것이다. 제2 선택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가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다. 제2 선택 화면은 키(28), 키(29) 및 키(30)를 포함하는 복수의 키를 가지고 있다. 키(28)는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냉각이 나쁜 경우에 사용자가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키(28)에는 메시지 「냉각되지 않음·냉각이 나쁨」이 첨부되어 있다. 키(29)는 냉장실의 식품이 어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키(29)에는 메시지「냉장실의 식품이 언다」가 첨부되어 있다. 키(30)는 아이스크림이 녹아서 물렁거리는 경우에 사용자가 전기적으로 조작하는 것이다. 키(30)에는 메시지 「아이스크림이 물렁거림」이 첨부되어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가 조작된 경우 서버(5)를 통해서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제1 운전 정보의 송신을 요구한다. 제1 운전 정보는 냉장고(7)의 현재 상태에 따른 정보의 일례이다. 통신제어회로(23)는 제1 운전 정보의 송신이 요구된 경우에 제1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기동한다. 도 6은 제1 운전정보 송신처리이다. 통신제어회로(23)는 단계(S1)에서 전원 정보의 설정 결과가 「전원없음」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전원 정보의 설정 결과가 「전원없음」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S2)에서 제1 운전 정보로서 「전원없음」을 설정하고, 단계(S10)에서 제1 운전 정보의 설정 결과를 퍼스널 컴퓨터(1)에 서버(5)를 통하여 송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단계(S1)에서 전원정보의 설정결과가 「전원없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단계(S3)에서 시간정보의 설정결과가 「시간의 경과 없음」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시간정보의 설정결과가 「시간의 경과없음」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S4)에서 제1 운전정보로서 「시간의 경과없음」을 설정하고, 단계(S10)에서 제1 운전정보의 설정결과를 퍼스널 컴퓨터(1)에 서버(5)를 통하여 송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단계(S3)에서 시간정보의 설정결과가 「시간의 경과없음」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단계(S6)에서 약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약」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약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약」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6)에서 제1 운전정보로서 「약」을 설정하고, 단계(S10)에서 제1 운전정보의 설정결과를 퍼스널컴퓨터(1)에 서버(5)를 통하여 송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단계(S6)에서 약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약」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단계(S7)에서 절전정보의 설정결과가 「절전」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절전정보의 설정결과가 「절전」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8)에서 제1 운전정보로서 「절전」을 설정하고, 절전정보의 설정결과가 「절전」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9)에서 제1 운전정보로서 「블랭크」를 설정하고, 어떤 경우에도 단계(S10)에서 제1 운전정보의 설정결과를 퍼스널컴퓨터(1)에 서버(5)를 통하여 송신한다.
퍼스널컴퓨터(1)는 제2 선택 화면 상에서 키(29)가 조작된 경우에 서버(5)를 통하여 통신제어회로(23)에 제2 운전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는 것이다. 통신제어회로(23)는 제2 운전정보의 송신이 요구된 경우에 제2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기동한다. 도 7은 제2 운전정보 송신처리이다. 통신제어회로(23)는 단계(S11)에서 강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강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강」이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S12)에서 제2 운전정보로서 「강」을 설정하고, 강운전 정보의 설정결과가 「강」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 단계(S13)에서 제2 운전정보로서 「블랭크」를 설정하고, 어떤 경우에도 단계(S14)에서 제2 운전정보의 설정결과를 퍼스널 컴퓨터(1)에 서버(5)를 통하여 송신한다.
도 8~도 15의 어드바이스 화면은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키(30)의 각각이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의 표시 영역(24)내에 제2 선택 화면으로 바꾸어 표시되는 것이다. 어드바이스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가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하는 것이다. 어드바이스 화면은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 및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을 갖고 있다.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은 가로로 긴 장방형의 틀의 도안으로 둘러싸인 영역이다.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 내에는 제1~ 제3 독자 어드바이스 중 어느 것이 문자로 표시된다.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은 가로로 긴 장방형 형상의 가상적인 영역이다.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은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의 아래쪽에 설정된다.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은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에 비하여 면적이 작게 설정된 것이다.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내에는 제1~ 제3 일반 어드바이스 중 하나가 제1~ 제3독자 어드바이스의 각각에 비하여 작은 문자로 표시된다.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은 표시영역 및 윈도우의 일례이다.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은 표시영역의 일례이다.
제1 독자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가 조작된 경우에 표시되는 것이고,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일례이다. 제1 독자 어드바이스는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조언이다. 제1 독자 어드바이스는 냉장고(7)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종류 및 표시의 유무가 설정된다. 제2 독자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9)가 조작된 경우 표시되는 것이다. 제2 독자 어드바이스는 냉장실의 식품이 어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조언이다. 제2 독자 어드바이스는 냉장고(7)의 현재 상태에 따라서 표시의 유무가 설정된다. 제3 독자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30)가 조작된 경우에 반드시 표시되는 것이다. 제3 독자 어드바이스는 아이스크림이 녹아 물렁거리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조언이다.
제1 일반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가 조작된 경우에 반드시 표시되는 것이다. 제1 일반 어드바이스는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이다. 제2 일반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9)가 조작된 경우에 반드시 표시되는 것이다. 제2 일반 어드바이스는 냉장실의 식품이 어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이다. 제3 일반 어드바이스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30)가 조작된 경우에 반드시 표시되는 것이다. 제3 일반 어드바이스는 아이스크림이 녹아 물렁거리는 것을 개선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일반적인 조언이다.
서버(5)는 복수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이들 복수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각각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제1 운전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서버(5)의 복수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 중에서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에 따른 1개를 취득하고, 제1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의 취득 결과에 따른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어드바이스 화면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표시한다. 이 제1 독자 어드바이스의 표시처리는 퍼스널 컴퓨터(1)가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실시하는 것이고, 다음의 1)~5)는 제1 운전 정보 및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간의 관계이다.
1)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전원없음」인 경우에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로서 「전원이 공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전원 플러그가 빠져 있지 않은지, 브레이커나 퓨즈가 끊어져 있지 않은지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가 표시된다(도 8 참조).
2)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시간의 경과 없음」인 경우에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로서 「전원을 넣고 나서 충분히 냉각하기 위한 시간이 경과되어 있지 않습니다! 고내가 냉각될 때가지 약 3~4시간, 여름철 등은 1일 이상 걸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잠시 기다려 주십시오.」가 표시된다(도 9 참조).
3)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약」인 경우에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로서 「온도조절이 「약」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온도조절을 「중」 또는 「강」측으로 변경하고 상태를 관찰해 주십시오.」가 표시된다(도 10 참조).
4)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절전」인 경우에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로서 「절전(또는 「외출」「절전 외출」「절전 피크시프트」)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설정중에는 고내의 온도가 1~2℃ 높아집니다. 냉각이 나쁜 경우에는 설정을 해제해 주십시오.」가 표시됩니다(도 11 참조).
5)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블랭크」인 경우에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 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가 표시되지 않고,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이 공란이 됩니다(도 12 참조).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약」인 경우에,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온도변경키(33~36)를 표시한다. 이들 온도변경키(33~36)는 각각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대응하여 표시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키(33~36)가 조작된 경우, 온도변경키(33~36)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한다. 다음의 11)~14)는 온도변경키(33~36)의 조작 내용 및 온도변경지령간의 관계이며,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한 경우에 온도 변경 명령의 설정 결과를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이들 온도변경키(33~36)의 각각은 설정 키에 상당한다.
11) 온도변경키(33)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서 「냉장강도(중)」이 설정된다.
12) 온도변경키(34)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서 「냉장강도(강)」가 설정된다.
13) 온도변경키(35)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서 「냉동강도(중)」이 설정된다.
14) 온도변경키(36)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서 「냉동강도(강)」이 설정된다.
통신제어회로(23)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의 온도변경지령의 설정 결과를 수신하면, 운전제어회로(22)에 냉장 강도 또는 냉동 강도를 현재의 「약」에서 온도 변경 지령의 설정 결과로 변경하는 것을 지령한다. 운전제어회로(22)는 냉장 강도 또는 냉동 강도의 변경이 지령된 경우에, 냉장 강도 또는 냉동 강도를 현재의 「약」에서 지령 결과로 변경하는 것이다. 냉장 강도 및 냉동 강도가 각각 「약」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 사용자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온도변경키(33~36) 중 어느 것을 조작하여 냉장고(7)의 냉장강도 또는 냉동강도를 「약」으로부터 강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7)의 냉장강도 또는 냉동강도를 강하게 변경함으로써,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절전」인 경우에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절전 해제키(37~40)를 표시한다. 이들 절전 해제키(37~40)는 각각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되는 것이다. 절전 해제키(37)는 절전 모드「절전」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 상태로 표시된다. 절전 해제키(38)는 절전 모드「외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 상태로 표시된다. 절전 해제키(39)는 절전 모드「절전 외출」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 상태로 표시된다. 절전 해제키(40)는 절전 모드「절전 피크시프트」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점등 상태로 표시된다. 이들 절전 해제키(37~40)는 각각 설정키의 한 예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절전 해제키(37~40)가 점등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 절전 해제키(37~40)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절전 해제 지령을 설정한다. 다음의 21)~24)는 절전 해제키(37~40)의 조작 내용 및 절전 해제 지령간의 관계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절전 해제 지령을 설정한 경우에, 서버(5)를 통해서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절전 해제 지령의 설정 결과를 송신한다.
21) 절전 해제키(37)가 점등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는 절전 해제 지령「절전」이 설정된다.
22) 절전 해제키(38)가 점등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는 절전 해제 지령「외출」가 설정된다.
23) 절전 해제키(39)가 점등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는 절전 해제 지령「절전 외출」이 설정된다.
24) 절전 해제키(40)가 점등 상태에서 조작된 경우에는 절전 해제 지령「절전 피크시프트」가 설정된다.
통신제어회로(23)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절전 해제 지령의 설정 결과를 수신하면, 운전제어회로(22)에 절전 해제 지령에 따른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지령한다. 운전제어회로(22)는 절전 모드의 해제가 지령된 경우에 지령 결과에 따른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이다. 절전 모드가 「절전」「외출」「절전 외출」「절전 피크시프트」 중 하나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빠지는 경우에, 사용자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절전 해제키(37~40) 중 어느 것을 조작하여 냉장고(7)의 절전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7)의 절전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또는 식품의 냉각이 나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서버(5)는 제1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1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제1 일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가 조작된 경우에, 서버(5)부터 제1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8~도 12와 같이 어드바이스 화면의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내에 제1 일반 어드바이스로서 「문을 잘 닫고 가능한 문의 개폐를 하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플러그를 뽑고 나서 구입하신 판매점에 연락 주십시오.」 를 제1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에 따라서 표시한다. 즉,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8)가 조작된 경우 제1 운전 정보로서 「전원없음」「시간의 경과없음」「약」「절전」「블랭크」 중 어느 것이 설정된 경우에도,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 내에 공통의 제1 일반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서버(5)는 제2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2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제2 독자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의 제2 운전 정보로서 「강」을 수신한 경우, 서버(5)부터 제2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화면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2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의 취득 결과에 따라서 제2 독자 어드바이스 「냉장실의 온도조절이 「강」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온도조절을 「중」으로 변경하고 상태를 관찰해 주십시오.」를 표시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제2 운전 정보로서 「블랭크」를 수신한 경우에,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어드바이스를 표시하지 않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독자 어드바이스(31)를 공란으로 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운전 정보의 수신 결과가 「강」인 경우에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온도변경키(41 및 42)를 표시한다. 이들 온도변경키(41 및 42)는 각각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키(41 또는 42)가 조작된 경우,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한다. 다음의 31 및 32)는 온도변경키(41, 42)의 조작 내용 및 온도변경지령간의 관계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한 경우에 온도변경지령의 설정 결과를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31) 온도변경키(41)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 「냉장강도(약)」이 설정된다.
32) 온도변경키(42)가 조작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으로서 「냉장강도(중)」가 설정된다.
통신제어회로(23)는 퍼스널 컴퓨터(1)로부터 온도변경지령의 설정결과를 수신하면, 운전제어회로(22)에 냉장강도를 현재의 「강」으로부터 온도변경지령의 설정결과로 변경하는 것을 지령한다. 운전제어회로(22)는 냉장강도의 변경이 지령된 경우에, 냉장강도를 현재의 「강」으로부터 지령결과로 변경하는 것이다. 냉장강도가 「강」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원인으로 냉장실내의 식품이 어는 경우, 사용자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온도변경키(41 및 42) 중 어느 것을 조작함으로써 냉장고(7)의 냉장강도를 현재의 「강」으로부터 약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냉장고(7)의 냉장 강도를 약하게 변경함으로써, 냉장실 내의 식품이 어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서버(5)는 제2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2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제2 일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9)가 조작된 경우에 서버(5)부터 제2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화면의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내에 제2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에 따라서 제2 일반 어드바이스 「냉장실의 안이나 칠트룸에 수분이 많은 식품이 들어 있지 않습니까? 수분이 많은 식품은 수납하는 위치를 변경해 주십시오.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플러그를 뽑고나서 구입하신 판매점에 연락 주십시오.」를 표시한다. 즉, 제2 선택 화면상에서 키(29)가 조작된 경우에는 제2 운전 정보로서 「강」「블랭크」 중 어느 것이 설정된 경우에도 제1 일반 어드바이스와는 다른 제2 일반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서버(5)는 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제3 독자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제2 선택 화면에서 키(30)가 조작된 경우 서버(5)로부터 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화면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에 따라서 제3 독자 어드바이스 「상부 냉동실에 들어 있지 않습니까? 아이스크림 등 -18℃ 이하에서 보존이 필요한 식품은 하단 냉동실에 넣어 주십시오.」를 표시한다.
서버(5)는 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는 제3 일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제2 선택화면키(30)가 조작된 경우에, 서버(5)부터 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드바이스 화면의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내에 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에 따라서 제3 일반 어드바이스 「증상이 개선되지 않는 경우, 전원 플러그를 뽑고 나서 구입하신 판매점에 연락 주십시오.」를 표시한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퍼스널 컴퓨터(1)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도 3의 톱 화면은 고기능 휴대전화(6)의 터치패널기 조작된 경우에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에 표시된다.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상에서 키(26)가 조작된 경우, 액정표시기(6a)에는 제1 선택 화면이 표시된다.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식(6a)상에서 제1 선택화면의 키(27)가 조작된 경우, 액정표시기(6a)에는 제2 선택화면이 표시된다. 제2 선택 화면의 키(28~30)가 각각 조작된 경우, 고기능 휴대전화(6)는 퍼스널 컴퓨터(1)와 동일하게 서버(5)를 통하여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와의 사이에서 정보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에 도 8~도 15의 어드바이스 화면이 표시된다.
상기 제1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냉장고(7)는 현재의 운전제어회로(22)의 상태에 따라서 제1 운전정보를 설정하고 또한 제1 운전정보의 설정결과를 외부에 통신회선(4)을 통하여 송신한다. 그리고, 퍼스널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각각 서버(5)의 복수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 중 제1 운전정보의 송신결과에 대응하는 것에 따라서 특정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및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에, 사용자는 퍼스널컴퓨터(1)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냉장고(7)의 현재의 상태에 따른 적절한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이 향상된다.
냉장고(7)로부터의 제1 운전정보의 송신결과에 따르지 않는 제1 일반 어드바이스를, 특정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어드바이스 화면상에 표시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및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의 일반적인 대처의 방법을, 제1 일반 어드바이스로부터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편리성이 한층 향상된다.
퍼스널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제1 일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상측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가 제1 일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사용자의 눈에 들어오기 쉬워지므로, 사용자가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간과하기 어려워진다.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제1 일반 어드바이스용의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에 비하여 면적이 큰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 내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가 제1 일반 어드바이스에 비해서 사용자의 눈에 띄기 쉬워지므로, 이 점에서도 사용자가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간과하기 어려워진다.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제1 일반 어드바이스로서 고정된 1개인 것을 표시한다. 이 경우, 「고정된」이라는 것은 제1 일반 어드바이스의 내용이 상기 제1 일반 어드바이스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는 독자 어드바이스의 내용에 따라서는 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의 눈높이에서 가변적인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가 고정적인 제1 일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되므로, 이 점에서도 사용자가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간과하기 어려워진다.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냉장고(7)의 운전 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온도변경키(33~36)를 제1 독자 어드바이스과 함께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및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의 대처 방법을 사용자가 어드바이스 화면의 제1 독자 어드바이스로부터 인식하고 어드바이스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전환하지 않고 온도변경키(33~36)를 조작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한층 향상된다. 이 효과는 절전 해제키(37~4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제2 실시형태)
도 16의 어드바이스 화면은 퍼스널 컴퓨터(1)가 도 11의 어드바이스 화면을 대신하여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는 것이고, 이행키(51)를 갖고 있다. 이행키(51)는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이행키(51)가 조작된 경우에, 도 16의 어드바이스 화면을 대신하여 도 17의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이 설정 화면은 서버(5)로부터의 표시 프로그램에 따라서 표시되는 것이다. 이 설정 화면은 냉장 강도용의 온도변경키(52~54)와 냉동 강도용 온도변경키(55~57)와 절전해제키(58~61)를 갖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키(52~57)가 조작된 경우에 온도변경키(52~57)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냉장 강도용 또는 냉동 강도용의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온도변경지령을 설정한 경우에는 온도변경지령의 설정결과를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온도변경지령의 설정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운전제어회로(22)에 현재의 냉장강도 또는 냉동강도를 온도변경지령의 수신결과로 변경하는 것을 지령하는 것이다. 운전제어회로(22)는 냉장강도 또는 냉동강도의 변경이 지령된 경우에, 현재의 냉장강도 또는 냉동강도를 지령결과로 변경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절전해제키(58~61)가 조작된 경우, 절전해제키(58~61)의 조작 내용에 따라서 절전 해제 지령을 설정하는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1)는 절전 해제 지령을 설정한 경우에, 절전 해제 지령의 설정 결과를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통신제어회로(23)는 절전 해제 지령의 설정 결과를 수신한 경우 절전 해제 지령의 수신 결과에 따른 1개의 절전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운전제어회로(22)에 지령하는 것이다. 운전제어회로(22)는 1개의 절전 모드 해제가 지령된 경우에 상기 1개의 절전 모드를 해제한다.
도 16의 어드바이스 화면 및 도 17의 설정 화면은 각각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에도 표시되는 것이다. 고기능 휴대전화(6)는 온도변경키(52~57)가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와 동일하게 온도변경지령을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또한, 고기능 휴대전화(6)는 절전해제키(58~61)가 조작된 경우에, 퍼스널 컴퓨터(1)와 동일하게 절전 해제 지령을 통신제어회로(23)에 서버(5)를 통해서 송신한다.
상기 제2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이행키(51)을 표시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이행키(51)이 조작된 경우에 어드바이스 화면을 냉장고(7)의 운전 내용을 설정하는 설정 화면으로 이행시킨다. 이에 따르면,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및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에 사용자는 이행키(51)를 조작함으로써 어드바이스 화면을 설정 화면으로 이행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설정 화면상에서 온도변경키(52~57) 및 절전해제키(58~61)를 조작함으로써 식품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및 식품의 냉각이 나쁜 경우에 대처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제3 실시형태)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어드바이스 화면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제1 독자 어드바이스와 제2 독자 어드바이스와 제3 독자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경우,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의 일부를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전방에 겹쳐 표시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을 공란으로 하는 경우에,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을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전방에 겹치지 않고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상측에 표시한다.
도 18의 어드바이스 화면은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 하측의 일부를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전방에 겹친 것이다.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의 일부가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전방에 겹쳐진 경우,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내의 일반 어드바이스의 일부는 시각적으로 인식 불능으로 된다. 이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은 제1 실시형태 및 제2 실시형태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에 비하여 면적이 크게 설정된 것이다.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에는 제1 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의 제1~ 제3 독자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큰 문자로 제1~ 제3 독자 어드바이스가 표시된다.
상기 제3 실시형태에 따르면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는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되는 어드바이스 화면상에서,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윈도우(31)(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내에 표시하고 또한 윈도우(31)를 일반의 어드바이스의 전방에 겹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제1 독자 어드바이스가 제1 일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사용자의 눈에 띄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독자 어드바이스를 간과하기 어려워진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서버(5)에 전원 정보와 시간 정보와 약운전 정보와 절전 정보와 강운전 정보를 송신하고, 서버(5)가 도 6의 제1 운전정보 송신처리 및 도 7의 제2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전원 정보, 시간 정보, 약운전 정보 및 절전 정보는 냉장고(7)의 현재 상태에 따른 정보의 일례이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서버(5)를 통해서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에 전원 정보와 시간 정보와 약운전 정보와 절전 정보와 강운전 정보를 송신하고,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가 각각 도 6의 제1 운전정보 송신처리 및 도 7의 제2 운전정보 송신처리를 실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의 윤곽 형상 또는 면적 또는 위치를, 제1 독자 어드바이스의 종류에 따라서 변화시켜도 좋다. 이 경우의 독자 어드바이스 영역(31)은 제1 독자 어드바이스의 종류에 관계 없이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의 상측에 일반 어드바이스 영역(32)보다 큰 면적으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즉, 통신제어회로(23)의 ROM(222)에, 제1~ 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 및 제1~ 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미리 기록해 둔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 및 고기능 휴대전화(6)가 통신제어회로(23)의 ROM(222)으로부터 통신회선(4) 및 서버(5)를 통해서 제1~제3 독자 어드바이스 데이터 및 제1~제3 일반 어드바이스 데이터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제4 실시형태)
다음에, 제4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 19~도 3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7~도 34에 도시한 표시 영역(24)은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와 고기능 휴대전화(6)와의 제어 내용은 동일하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고기능 휴대전화(6)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 고기능 휴대전화(6) 및 냉장고(7)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4)을 통하여 수리 접수부(62)에 접속되어 있다. 수리 접수부(6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서버를 갖고, 수리 담당 창구로서 오퍼레이터를 갖고 있다. 수리 접수부(62)의 서버는 퍼스널 컴퓨터(1), 고기능 휴대전화(6) 및 냉장고(7)로부터 취득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퍼스널 컴퓨터(1)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를 사용하여 전화나 전자메일 등의 통신 수단에 의해, 수리 접수부(62)의 오퍼레이터와 직접적으로 정보의 전달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서버(5)와 수리 접수부(62)의 도시하지 않는 서버는 동일한 것이이어도 좋다.
서버(5)는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7)에 관한 에러 정보 테이블을 갖고 있다. 에러 정보 테이블은 구분, 위험도, 에러 코드 및 에러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고장이라는 것은 냉장고(7)를 구성하는 기기에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어떠한 문제가 생겨, 냉장고(7)를 정상 운전하는 것이 곤란하여 수리가 필요한 상태를 말한다. 또, 에러라는 것은 정상적인 상태와는 다른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상기의 고장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간단한 복구 작업을 함으로써 회복 가능한 경우도 포함한다.
구분은 사용자에 대해서 어떠한 알림을 실시할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의 환기」와 「중증 고장」이 있다. 「주의 환기」는 사용자에 대해서,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중증 고장」은 사용자에 대해서, 중증도의 고장이 발생한 것을 알리는 경우를 나타낸다. 위험도는 냉장고(7)에 발생한 에러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장래적으로 냉장고(7)에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의 고저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경우 알림이라는 것은 표시나 소리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시각이나 청각 등의 오감에 호소하는 것을 말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 알림이라는 것은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나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의 표시영역(24)에 정보를 표시시키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나 고기능 휴대전화(6)가 구비하는 발음장치를 사용하여 특정의 음성을 발생시키는 것도 포함된다.
위험도는 복수 단계의 랭크로 나누어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위험도는 「경도」, 「중간」 및 「중증」의 3단계로 설정되어 있고, 「경도」, 「중간」, 「중증」의 순서로 위험도가 높아진다. 「경도」는 현재는 아직 고장이 발생하고 있지 않고, 또한 장래적으로도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경도」는 냉장고(7)의 운전을 계속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냉장고(7)에 어떤 문제가 발생함으로써 정상적인 운전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를 나타낸다. 위험도 「경도」는 에러에 대한 회복처치가 대부분의 경우 사용자 자신으로 가능한 것을 나타낸다. 위험도 「중간」은 현재는 아직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장래적으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중간」은 현재는 아직 고장이 발생하지 않았지만, 가까운 장래에 고장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위험도 「중간」은 에러에 대한 회복처치가 사용자 자신으로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사용자 자신이 실시할 수 없는 경우도 있는 것을 나타낸다. 위험도 「중간」은 현재 고장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중증」은 이미 냉장고(7)에 어떤 고장이 발생하고, 정상적인 운전을 계속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를 나타낸다. 위험도 「중증」은 에러에 대한 회복 처치가 사용자 자신이 실시하는 것이 곤란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문이 장시간 개방되어 있는 경우, 구분은 「주의 환기」, 위험도는 「경도」, 에러 코드는 E11이다. 냉동실이 냉각되지 않는 경우, 구분은 「주의 환기」, 위험도는 「중간」, 에러 코드는 E21이다. 냉동 냉각기가 냉각되지 않는 경우, 구분은 「주의 환기」, 위험도는 「중간」, 에러 코드는 E22이다. 컴프레서(14)가 전류초과인 경우, 구분은 「중증 고장」, 위험도는 「중증」, 에러코드는 E31이다. 그리고, 컴프레서(14)의 전류검출회로는 고장난 경우, 구분은 「중증 고장」, 위험도는 「중증」, 에러 코드는 E32이다. 각 구분에 속하는 정보는 각각 냉장고(7)의 고장을 예측하는 고장 예측 정보가 된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고장을 예측」이라는 것은 냉장고(7)에 장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관찰할 뿐만 아니라, 현재 발생하고 있는 고장을 검출하는 것도 포함된다. 서버(5)는 이 밖에도 다수의 에러 내용을 기억하고 있지만, 그 설명은 생략한다.
냉장고(7)에 도 20에 도시한 에러가 발생한 경우, 또는 서버(5)로부터 에러의 유무에 대해서 조회가 있었던 경우,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는 현재 냉장고(7)에 발생한 에러를 나타내는 에러 코드를, 통신회선(4)을 통하여 서버(5)로 송신한다. 여기에서, 서버(5)로부터 에러의 유무에 대해서 조회가 있는 경우라는 것은, 다음와 같은 상황이 생각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냉장고(7)의 상태를 조사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자 자신이 퍼스널 컴퓨터(1)나 고기능 휴대전화(6)를 사용하여 서버(5)에 조회하는 경우가 생각된다. 또한, 서버(5)가 냉장고(7)의 상황을 정기적으로 진단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서버(5)가 일정기간마다 자동적으로 냉장고(7)로 조회하는 것이 생각된다.
서버(5)는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에러 코드를 수신하고, 특정의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에 대해서, 고장예측정보를 포함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표시한다. 여기에서, 통신제어회로(23)의 전원이 차단되어 있는 경우, 서버(5)로부터 냉장고(7)에 조회가 있어도, 냉장고(7)는 응답할 수 없다. 이 경우, 서버(5)는 이번회 조회되기 이전에 얻은 에러 코드, 예를 들어 가장 가까이에서 얻은 에러 코드를 사용하여, 특정의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1과 같이 서버(5)는 특정 어드바이스 표시 처리를 실행하면(START), 우선 단계(S21)에서 에러 플래그(F)를 "0"으로 설정하여 에러 플래그(F)를 초기화한다. 에러 플래그(F)는 냉장고(7)에 어떤 에러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에러 플래그(F)가 「0」인 경우 냉장고(7)에 에러는 발생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에러 플래그(F)가 「1」인 경우 냉장고(7)에 가벼운 에러가 생겼음을 나타낸다. 에러 플래그(F)가 「2」인 경우 냉장고(7)에 중간 정도의 에러가 발생했음을 나타낸다. 에러 플래그(F)가 「3」인 경우 냉장고(7)에 중증도의 에러가 생겼음을 나타낸다.
다음에, 서버(5)는 단계(S22)에서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수신한 에러 코드에 기초하여 냉장고(7)의 현재의 위험도를 검출하고, 단계(S23)에서 그 위험도가 경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5)는 위험도가 경도라고 판단하면(단계 S23에서 예), 단계(S24)로 이행하여 에러 플래그(F)를 「1」로 설정한 후, 단계(S25)로 이행하고, 경도용 어드바이스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서버(5)는 경도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면, 도 22에 나타내는 단계(S4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해서, 경도용 특정의 어드바이스(이하, 경도용 어드바이스라고 함)을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경도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받으면,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 내에 에러 코드에 따른 경도용 어드바이스(81)를 표시한다. 도 27에서는 에러 코드가 E11인 경우의 경도용 어드바이스(81)를 도시하고 있다. 경도용 어드바이스(8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예측정보로서, 예를 들어 「문이 장시간 열려 있습니다」라고 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경도용 어드바이스(8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 등의 에러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문의 개폐횟수, 개폐시간을 감소시키면 에너지 절감이 되는 취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OK키(71)를 경도용 어드바이스(8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사용자에 의해 OK키(71)가 조작되면 OK키(71)가 조작된 것을 서버(5)에 송신한다. 서버(5)는 OK키(71)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S42)에서 예)와 도 21의 단계(S26)로 이행한다(RET). 또한, 서버(5)는 단계(S23)에서 위험도가 경도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S23)에서 아니오), 다른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단계(S26)로 이행한다. 서버(5)는 단계(S26)에서 위험도가 중간 정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5)는 위험도가 중간 정도라고 판단하면(단계 S26에서 예), 단계 S27로 이행하여 에러 플래그(F)를 「2」로 설정한 후, 단계(S28)로 이행하여 중간 정도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서버(5)는 중간 정도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면 도 23에 나타내는 단계(S5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중간정도용 특정의 어드바이스(이하,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라고 함)을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도록 지령을 받으면 도 28과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내에, 에러 코드에 따른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를 표시한다. 도 28은 에러 코드가 E21 또는 E22인 경우의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를 나타내고 있다.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예측정보로서, 예를 들면 「냉동실 고내 온도가 높아져 있습니다」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문에 이물질이 끼어 빈틈이 생기지 않았는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포트 키(72) 및 OK키(73)를,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포트 키(72) 또는 OK키(73)가 조작되면 서포트키(72) 또는 OK키(73)가 조작된 것을 서버(5)에 송신한다. 서버(5)는 서포트 키(72) 또는 OK키(73) 중 어느 한쪽의 조작을 검출할 때까지 도 23의 단계(S52, S53)를 반복한다. 서버(5)는 서포트 키(72)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고(단계 S52에서 아니오), OK키(73)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단계 S53에서 예), 다른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도 21의 단계 S29로 이행한다(RET). 한편, 서버(5)는 서포트 키(72)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52에서 예), 단계 S54로 이행하고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서버(5)는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면 도 24의 단계 S6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에러 서포트용 특정의 어드바이스(이하,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라고 함)을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받으면 도 29와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내에, 에러 코드에 따른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를 표시한다.
도 29는 에러 코드가 E21 또는 E22인 경우의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예측 정보로서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의 고장으로 생각됩니다.」라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에 대처하기 위한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냉장고(7)를 구입한 판매점에 연락해야 한다는 취지의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수리요청키(74), 구입서포트키(75), 및 취소키(76)를,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서버(5)는 퍼스널 컴퓨터(1)가 도 28에 나타내는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를 표시하고 나서 일정 기간 예를 들어 1일 경과 후에 자동으로 도 29에 나타내는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를 표시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서포트 키(72)를 조작하지 않고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확인하는 것을 잊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서버(5)는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리스크 정보(80)를 표시 영역(24)에 표시시켜도 좋다. 리스크 정보(80)는 고장 예측 정보로 표시한 고장의 내용에 대해서 고장난 상태에서 사용을 계속함으로써 어떠한 리스크가 생길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리스크 정보(80)는 고장난 상태에서 가전기기의 사용을 계속함으로써 발생하는 리스크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서버(5)는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의 고장으로 예측되어 있고 냉각 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그대로 사용을 계속하면 냉동 사이클의 고장이 심각화되고, 전혀 냉각할 수 없어질 우려가 있는 취지를 알린다. 또한, 서버(5)는 예를 들어 전원 코드의 손상을 검지한 경우, 그대로 사용을 계속하면 사람이 감전될 우려가 있는 취지를 알린다. 또한, 서버(5)는 예를 들어 가전기기가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시간이 경과해도 충전되지 않는 경우 배터리의 열화가 생각되므로, 그대로 사용을 계속하면 발화하여 화염의 우려가 있는 취지를 알린다. 이에 따르면, 고장의 랭크만을 알리는 경우에 비하여, 어느 정도 중대한 고장이 발생하는지를 사용자가 이해하기 쉽고, 사용자는 고장 그대로 방치한 경우의 리스크를 생각하기 쉽다.
퍼스널 컴퓨터(1)는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76)가 조작되면,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76)가 조작된 것을 서버(5)에 송신한다.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76)의 조작이 실시될 때까지 도 24의 단계 S62~단계 S64를 반복한다.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 및 구입 서포트 키(75)의 조작을 검출하지 않고(단계 S62에서 아니오 또한 단계 S63에서 아니오), 취소 키(76)의 조작을 검출한 경우(단계 S64에서 예), 도 23의 단계 S53로 이행한다(RET).
한편,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62에서 예), 단계 S65로 이행하고 수리 요청을 실행한다. 서버(5)는 수리 요청을 실행하면 냉장고(7)의 통신제어회로(23)에 대하여, 냉장고(7)에 발생한 고장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취득하도록 지령한다. 고장에 관한 상세 데이터는 예를 들면 도 20과 같이, 에러 코드를 비롯한 구분이나 위험도 및 에러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서버(5)로부터 지령을 받으면 현재 냉장고(7)에 발생한 고장에 관한 상세 데이터를 취득한다. 이 경우 통신제어회로(23)는 냉장고(7)에 발생한 고장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에 상당한다.
그 후, 통신제어회로(23)는 송신부로서 기능하고 고장에 관한 데이터 이 경우 에러 코드를 수리 접수부(62)에 송신한다. 또한, 통신제어회로(23)는 이 고장에 관한 데이터와 함께 냉장고(7)의 형식이나 제조 번호, 사용자의 연락처 등을 수리 접수부(62)로 송신해도 좋다. 수리 접수부(62)는 통신제어회로(23)로부터 수리 요청을 받으면,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해서 수리를 접수한 것을 나타내는 수리 접수 정보를 송신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수리 접수부(62)로부터 수리 접수 정보를 수신하면 도 30과 같이,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OK키(77)와 함께 냉장고(7)의 수리를 접수한 취지를 표시한다.
또,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도 30과 같이 수리 접수 정보나 고장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냉장고(7)의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한다. 예를 들면, 본 실시형태에서는 표시 영역(24)에 「이번의 수리에 필요한 시간은 약 3시간입니다」라고 표시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그리고 사용자가 OK키(77)를 조작하면,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에 대해서 OK키(77)가 조작된 것을 송신한다. 서버(5)는 사용자에 의해 OK키(77)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다른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도 21의 단계 S29로 이행한다.
한편, 서버(5)는 도 24에서 구입 서포트 키(75)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63에서 예), 단계 S66로 이행하고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 처리를 실행한다. 서버(5)는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면 도 25의 단계 S7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구입 서포트용 특정의 어드바이스(이하,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라고 함)을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받으면, 도 31과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내에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4)를 표시한다.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4)는 가전기기 이 경우 냉장고 구입에 관한 정보로,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4)는 예를 들면 직판점 사이트 키(85), 양판점 사이트 키(86), 교체구입정보 키(87) 및 취소 키(88)를 포함하고 있다. 직판점 사이트 키(85)는 냉장고(7)의 메이커 직영의 가전 판매점의 웹 사이트에 링크되어 있다. 양판점 사이트 키(86)는 일반 가전 양판점의 웹 사이트에 링크되어 있다. 직판점 사이트 키(85) 및 양판점 사이트 키(86)는 동종의 가전기기 이 경우 냉장고를 판매하는 가전기기 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판매점 사이트 키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메이커 직영의 가전 판매점 및 일반 가전 양판점이라는 것은 실제로 점포가 존재하는 판매점이어도 좋고 인터넷상에만 점포가 존재하는 판매점이어도 좋다. 퍼스널 컴퓨터(1)는 직판점 사이트 키(85), 할인점 사이트 키(86), 교체 정보 키(87) 및 취소 키(88) 중 어느 것이 조작될 때까지 도 25의 단계 S72~단계 S75를 반복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직판점 사이트 키(85), 양판점 사이트 키(86), 교체구입정보 키(87) 및 취소 키(88) 중 어느 것이 조작되면, 그 조작이 실시된 것을 서버(5)로 송신한다. 서버(5)는 직판점 사이트 키(85)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72에서 예), 단계 S76으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에, 냉장고(7)의 메이커 직영의 가전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그 지령을 받아,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가 갖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여,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에 냉장고(7)의 메이커 직영의 가전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한다. 그 후, 서버(5)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도 21의 END).
또한, 서버(5)는 양판점 사이트키(86)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73에서 예), 단계 S77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가전 양판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그 지령을 받으면,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1)가 갖는 웹 브라우저를 기동하고,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에 가전 양판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한다. 그 후, 서버(5)는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도 21의 END). 또한, 상기 구성에서 메이커 직영의 가전판매점의 웹 사이트 또는 일반 가전 양판점의 웹 사이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5)는 예를 들어 그 판매점의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를 표시시켜도 좋다.
또한, 서버(5)는 교체구입정보 키(87)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74에서 예), 단계 S78로 이행하고,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교체구입정보(89)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그 지령을 받아, 예를 들어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구입정보(89)를 OK키(79)와 함께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에 표시한다. 교체구입정보(89)는 냉장고를 교체 구입할 때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이고, 예를 들어 냉장고의 좋은 교체구입방법에 관한 유익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교체구입정보(89)는 예를 들어 가장 가까운 판매점을 나타내는 정보(891), 냉장고의 최신기종을 나타내는 정보(892), 냉장고의 인기판매기종을 나타내는 정보(893)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서버(5)는 OK키(77)가 조작된 것을 검출한 후,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도 21의 END).
한편, 서버(5)는 도 24의 단계(S64)에서 취소키(88)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S64)에서 예), 다른 에러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 도 21의 단계 S29로 이행한다. 서버(5)는 단계 S29에서 위험도가 중증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서버(5)는 위험도가 중증이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9에서 아니오), 단계 S32로 이행하다. 한편, 서버(5)는 위험도가 중증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9에서 예), 단계 S30으로 이행하여 에러 플래그(F)를 「3」으로 설정한 후 단계 S31로 이행하여 중증도의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한다. 서버(5)는 중증용 어드바이스 표시처리를 실행하면, 도 26에 도시한 단계 S81에서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해서 중증용 특정의 어드바이스(이하, 중증용 어드바이스라고 부름)을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중증용 어드바이스(91)를 표시하는 취지의 지령을 받으면, 예를 들어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영역(24) 내에 에러 코드에 따른 중증용 어드바이스(91)를 나타내고 있다. 도 33은 에러 코드(E31)인 경우의 중증용 어드바이스(91)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중증용 어드바이스(9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예측 정보로서 예를 들어 「컴프레서에 고장이 발생했습니다」라고 하는 내용 및 그 에러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중증용 어드바이스(9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로서, 냉장고(7)를 구입한 판매점에 연락해야 하는 취지 등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수리요청 키(74), 구입서포트 키(75), 및 취소키(76)를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퍼스널 컴퓨터(1)는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92)가 조작되면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92)가 조작된 것을 서버(5)에 송신한다.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 구입 서포트 키(75), 또는 취소 키(92) 중 어느 것이 조작될 때까지, 단계 S82~단계 S84를 반복한다. 한편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82에서 예), 단계 S85로 이행하고 도 24의 단계 S63와 동일하게 수리 접수부(62)에 대해서 수리 요청을 실시한다. 또한 서버(5)는 구입 서포트 키(75)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83에서 예), 단계 S86로 이행하고 도 24의 단계 S65와 동일하게 구입 서포트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서버(5)는 취소 키(92)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단계 S84로 예), 도 21의 단계 S32로 이행한다. 여기에서 사용자 자신이 조작기(1, 6)을 사용하여 냉장고(7)의 상황을 조회한 경우, 냉장고(7)에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그래서, 서버(5)는 단계 S32에서 에러 플래그(F)가 「0」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에러 플래그(F)=0인 경우(단계 S32에서 예), 냉장고(7)에는 어떤 에러도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서버(5)는 냉장고(7)의 운전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그리고 서버(5)는 퍼스널 컴퓨터(1)에 대하여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에 정상용 정보를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그리고, 퍼스널 컴퓨터(1)는 서버(5)로부터 지령을 받으면 도 34와 같이 액정표시기(1b)의 표시 영역(24)에 정상용 정보(93)를 표시한다. 이 정상용 정보(93)는 예를 들면 「냉장고의 운전은 정상입니다.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라고 하는 정보이다.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정상용 정보(93)와 동일한 화면상에, OK키(94)를 표시한다. 그리고 서버(5)는 OK키(94)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일련의 처리를 종료한다(도 21의 END).
제4 실시형태에서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표시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 예를 들면 경도용 어드바이스(81),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 및 중증용 어드바이스(9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을 나타내는 고장 예측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고장 예측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냉장고(7)가 고장나기 전에 장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고장을 감지할 수 있어, 사전에 그 고장에 대비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특정 어드바이스(81,82,83,91)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현상으로부터 장래적으로 예상되는 고장에 대처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그 어드바이스를 확인함으로써 어떤 처치를 실시하면 좋은지 판단하기 쉬워진다. 이들의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에러의 위험도는 「경도」, 「중간」 및 「중증」의 3단계로 설정되어 있고, 고장 예측 정보는 그 위험도에 따라서 내용이 다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위험도가 경도이면 고장 예측 정보의 내용을 예를 들면「문이 장시간 열려 있습니다」로 하여 사용자에 대해서 경도의 주의를 재촉한다. 또한, 위험도가 중간이면 고장 예측 정보의 내용을 예를 들면 「냉동 사이클의 고장이 생각됩니다」로 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중간정도의 주의를 재촉한다. 그리고, 위험도가 중증이면, 고장 예측 정보의 내용을 예를 들면 「컴프레서에 고장이 발생했습니다」라고 하여 사용자에 대하여 중증도의 주의를 재촉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고장 예측 정보 내용에 기초하여 고장의 위험도를 판단할 수 있고, 고장의 심각도를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냉장고(7)에 발생한 에러에 대해서, 그 위험도에 따라서 보다 적절한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사용자는 냉장고(7)에 발생한 에러에 대해, 사용자 자신이 회복 처치가 가능한지 또는 수리 요청을 해야 하는지를, 에러의 위험도에 따라서 판단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불필요한 수리 요청을 감소시킬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에러 위험도가 「중간」인 경우, 도 29와 같이, 수리를 요청하기 위한 수리요청 키(74)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에러 위험도가 「중증」인 경우,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리요청 키(74)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동일한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리의 요청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수리요청 키(74)를 조작하는 것 만으로 신속하게 수리 접수부(62)에 대해서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리 요청이 필요한 고장에 대해서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한편, 퍼스널 컴퓨터(1)는 에러 위험도가 「경도」인 경우 수리를 요청하기 위한 수리요청 키(74)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경도용 어드바이스(8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지 않는다. 이에 따르면, 경도의 에러 즉 수리의 요청이 불필요한 경미한 에러가 냉장고(7)에 발생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불필요한 수리 요청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에러 위험도가 「중간」인 경우에, 사용자가 도 28에 도시한 서포트 키(72)를 조작함으로써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리요청 키(74)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즉, 퍼스널 컴퓨터(1)는 에러 위험도가 「중간」인 경우에,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응하여, 수리요청 키(74)를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도 28에 도시한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를 본 경우에 우선 스스로 복구 수단을 강구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복구 수단을 강구해도 복구되지 않는 경우, 서포트 키(72)를 조작하고 수리요청 키(74)를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도록 하고, 그 수리요청 키(74)를 조작함으로써 신속하게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통신제어회로(23)는 수리요청 키(74)가 사용자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냉장고(7)에 발생한 고장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통신제어회로(23)는 그 고장에 관한 상세한 데이터를, 통신 회선에 접속되어 냉장고(7)의 수리를 접수하는 수리 접수부(62)에 송신한다. 이에 따르면, 수리 접수부(62)는 냉장고(7)로부터 수신한 고장에 관한 데이터를 참조함으로써 냉장고(7)에 발생한 고장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수리 접수부(62)는 냉장고(7)에 대해서 신속하게 적절한 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수리 요청을 할 때 사용자는 수리 접수부(62)의 오퍼레이터에 대해서 냉장고(7)의 고장의 상세한 내용을 설명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의 수고가 덜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퍼스널 컴퓨터(1)는 도 29와 같이 가전기기 이 경우 냉장고 구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입 서포트 키(75)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한다. 또한, 퍼스널 컴퓨터(1)는 도 33과 같이 구입 서포트 키(75)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중증용 어드바이스(91)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의 구입시에 유리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가전기기 이 경우 냉장고 구입에 관한 정보에는 냉장고(7)의 메이커의 직판점의 웹 사이트로의 링크 및 일반 가전 양판점의 웹 사이트로의 링크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일부러 웹상에서 검색하지 않고 가전기기의 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열람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그 웹 사이트가 냉장고(7)의 메이커의 직판점의 웹 사이트인 경우, 그 직판점은 사용자에게 있어 친숙한 업체이므로 사용자의 구매 의욕이 생기기 쉽다.
또한,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교체 정보 키(87)가 조작되면, 냉장고를 새로 구입할 때 사용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로서 교체구입정보(89)를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냉장고의 신규구입시에 유익한 정보를 간단히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주로 냉장고에 적합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에 적합한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의 액정표시기(6a)에 표시하는 구성이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서버(5)가 퍼스널 컴퓨터(1)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에 메일을 송신함으로써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알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위험도나 중요도에 따라서, 그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미리 지정된 메일 주소로 메일로 알릴지,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하게 할지를 선택하거나 또는 병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위험도 또는 중요도가 낮으면,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하게 하는 데에 그친다. 한편,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위험도 또는 중요도가 높으면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하게 하고, 또한 메일로도 송신한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1)나 고기능 휴대전화(6)의 전원이 들어가 있지 않은 경우이며, 가전 제품에 중대한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 사용자는 메일을 확인함으로써 그 고장을 재빨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중대한 고장이 아닌 경우 메일이 발송되지 않으므로, 경미한 에러 때문에 메일을 일일이 확인하는 수고가 덜어진다. 또한, 이 경우, 퍼스널 컴퓨터(1) 또는 고기능 휴대전화(6)는 서버(5)로부터 수신한 특정 어드바이스의 위험도 또는 중요도에 따라서, 그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액정표시기(1b, 6a)에 표시하게 할지의 여부를 선택해도 좋다.
또한,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가전기기가 구비하는 표시 장치에 표시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표시 또는 메일에 의한 송신은, 가전기기가 구비하는 표시 장치와 연동하여 실시해도 좋다. 예를 들어,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표시할 때 냉장고(7)에 대해서, 예를 들면 조작 패널(9)을 점멸시키는 등 조작 패널(9)을 통상과 다른 형태로 표시하도록 지령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냉장고(7)의 조작 패널(9)을 봄으로써 특정의 어드바이스가 통신단말기(1, 6)에 표시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서버(5)는, 조작 패널(9)을 통해서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통신단말기(1,6)에 표시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 이에 따르면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확인 누락을 극히 방지할 수 있다.
퍼스널 컴퓨터(1)는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를 판매하는 가전기기 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판매점 사이트 키를, 특정의 어드바이스인 에러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3)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판매점 사이트 키는 예를 들면 직판점 사이트 키(85)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도, 사용자는 예를 들면 중간 정도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일부러 가전기기 판매점의 웹 사이트를 검색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편리하다.
서버(5)는 먼저 검출한 냉장고(7)의 에러(이하, 먼저의 에러라고 함)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게 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에러(이하, 뒤의 에러라고 함)를 검출한 경우, 새롭게 검출한 뒤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뒤의 에러의 위험도가 앞의 에러 위험도보다 높은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먼저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로 바꾸고 뒤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한다. 한편, 뒤의 에러의 위험도가 먼저의 에러 위험도보다 낮은 경우, 퍼스널 컴퓨터(1)는 먼저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표시를 지속하고, 뒤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표시를 실시하지 않는다.
서버(5)는 앞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 어드바이스를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표시하고 있는 동안에 뒤의 에러를 검출한 경우, 먼저의 에러에 근거한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뒤의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 어드바이스를,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7)에 현재 발생한 에러를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서버(5)는 냉장실에 관한 에러와 냉장실에 관한 에러 양쪽을 검출한 경우, 냉동실에 관한 에러에 기초하는 특정 어드바이스를, 퍼스널 컴퓨터(1)의 액정표시기(1b)에 우선적으로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온도대가 낮고 고장의 영향을 보다 받기 쉬운 냉동실의 에러에 대해서 사용자는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한 교체구입정보(89)는 소개하는 냉장고(7)의 설치 공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설치 공간이라는 것은 설치 면적 및 설치 높이를 의미한다. 그리고 서버(5)는 현재 사용 중인 냉장고(7)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설치공간에 설치 가능한 냉장고를 우선적으로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냉장고의 설치 면적 및 설치 높이를 다시 재는 등의 수고를 들이지 않고 냉장고를 바꿀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이 경우, 냉장고(7)에 거리를 측정 가능한 적외선 센서 등의 계측 장치를 탑재하고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냉장고(7)의 측정 장치는 상기 냉장고(7)의 주위에 있는 벽이나 천장, 가구 등 냉장고(7)가 설치되어 있는 주위 환경을 바탕으로 설치 면적이나 설치 높이를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서버(5)에 송신한다. 그리고, 서버(5)는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현재 냉장고(7)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에 설치 가능한 새로운 냉장고를 선택하여 소개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냉장고(7)가 자기의 제조 번호나 형식 번호 등의 정보를 기억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서버(5)는 제조 번호나 형식마다 설치 공간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갖고 있다. 그리고, 서버(5)는 냉장고(7)로부터 냉장고(7)의 제조 번호나 형식 번호를 취득한다. 그리고, 서버(5)는 냉장고(7)로부터 취득한 제조 번호 또는 형식 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냉장고(7)의 설치 공간에 관한 정보를 취득하고, 그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 가능한 냉장고를 선택해서 소개한다. 또한, 이 경우 냉장고(7)는 제조 번호와 형식 번호로 바꾸어 자기의 설치 공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서버(5)는 설치 공간에 관한 정보의 데이터베이스를 갖추고 있을 필요는 없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현재 사용 중인 냉장고(7)와 동일한 개방방식, 예를 들어 좌우 여닫이식이나 우측 개방 등의 형태를 소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교체구입한 냉장고를, 교체구입 전의 냉장고(7)와 동일한 감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예를 들어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격정보(894), 재고정보(895), 및 입하 예정 정보(896)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가격정보(894)는 소개하는 제품의 각 판매점에서의 판매 가격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가격 정보(894)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품의 가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이 높다. 이 재고정보(895)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인근의 판매점에서의 재고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제품을 사기 위해서 재고가 없는 점포에 헛걸음을 하는 일이 없어져 편리성이 높다. 입하 예정 정보(896)는 재고 정보에 따른 교체에 관한 기준의 일수이다. 즉, 입하 예정 정보(896)는 판매점에 재고가 없는 경우에 있어서, 다음에 제품이 입하되기까지의 일수 또는 날짜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입하 예정 정보(896)로부터 인근의 판매점에서 교체구입에 걸리는 일수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다.
이 경우 서버(5)는 복수의 점포 및 복수의 기종에 대한 가격 정보(894), 재고 정보(895) 및 입하 예정 정보(896)를 동일 화면에 나란히 표시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의 판매점 및 복수의 기종에 대한 가격 정보(894), 재고 정보(895) 및 입하 예정 정보(896)를 한번에 비교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이 경우 각 판매점에서의 가격 정보(894), 재고 정보(895), 또는 입하 예정 정보(896)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나란히 표시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예를 들어 각 판매점에서의 가격 정보(894)를 오름차순 즉 가격이 낮은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경우, 사용자는 가격이 낮은 판매점의 파악이 용이해져 편리성이 높다.
또한, 서버(5)는 도 38와 같이 교체구입정보(89)에 대해서, 예를 들어 재고 정보를 복수의 판매점 및 기종마다 동일 화면에 나란히 표시해도 좋다. 즉, 서버(5)는 판매점마다 최신 기종에 대한 재고 정보(895)와 인기판매 기종에 대한 재고 정보(895)를 나란히 표시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판매점 및 기종의 비교가 용이해지고, 편리성이 높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예를 들면 도 39과 같이 소개하는 가전기기의 매출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소개하는 제품이 어느 정도 판매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매출 정보(897)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매출 정보(898)는 예를 들면 소개하는 상품의 매출 대수나, 매출 대수로부터 산출되는 매출 순위, 구입자의 감상이나 리뷰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소개된 상품이 어느 정도의 인기가 있는 상품인지를 파악하여 구입을 검토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는 소개하는 제품을 실제로 구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다른 사용자로부터 투고된 감상이나 리뷰 등의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그 내용은 원래 그 투고수가 많을수록 잘 팔리고 있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의 리뷰의 내용이나 투고수는 구입을 검토할 때의 큰 판단재료가 된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도 40과 같이 교체구입 전의 기존 기종과 최신 기종으로 교체구입한 경우에 비교 검토할 때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898)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정보(898)는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로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의 장점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정보(898)는 예를 들면 현재 사용 중인 냉장고(7)와, 최신 기종의 냉장고의 소비 전력의 차이를 전력량이나 금액으로 나타내는 정보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최신 기종으로의 교체구입에 의한 에너지 절감 효과나 그 에너지 절감에 의한 절약을 실감할 수 있어, 사용자의 구매 의욕이 증가한다. 또한, 정보(898)는 예를 들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7)와 소개된 제품의 수납 용량의 차이나 저소음(靜音) 성능의 차이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는, 정보(898)는 최신 기종의 냉장고와 비교한 결과의 정보가 아니라, 현재 사용 중인 냉장고(7)에 대한 소비 전력이나 사용 연수와 같은 정보이어도 좋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현재 사용 중인 냉장고(7)에 탑재되어 있지 않은 새 기능을 소개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최신 기종에 탑재된 최신 기능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사용자의 구매 의욕이 증가한다.
또한, 교체구입정보(89)는 냉장고 본체 즉 가전기기 본체의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뿐만 아니라, 도 41과 같이 상기 가전기기에 부속되는 소모품에 관한 정보, 즉 상기 가전기기가 구비하는 소모품의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899)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 정보(899)는 상기 가전기기의 소모품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모품의 열화에 의해 가전기기의 성능이 크게 떨어지기 전에 소모품을 교체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소모품의 열화에 의해 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된 상태의 가전기기의 사용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르면 가전기기에 부속된 소모품의 열화에 의해 상기 가전기기의 성능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일부러 가전기기 본체를 수리나 교환하지 않고, 소모품을 수리 또는 교환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가전기기 본래의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
또한, 에러의 위험도가 「중증」인 경우 서버(5)는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리요청 키(74)를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을 대신하여 교체를 권하는 내용, 예를 들면 「냉장고를 교체구입할 것을 권합니다」등의 사용자에게 가전기기의 교체를 촉구하는 정보를 표시하게 해도 좋다. 중증도의 고장인 경우, 그 수리에 시간과 비용을 요하는 경우가 많다. 그 때문에 중증도의 고장인 경우, 교체구입을 권하는 내용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교체구입을 재촉함으로써, 사용자는 수리를 요청하지 않고 교체구입하고, 그 결과 수리에 요하는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5)는 가전기기에 사용되는 소모품을 교환할 필요가 있는지의 여부를 알려도 좋다. 즉, 서버(5)는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가전기기의 소모품의 교환에 관한 소모품 교환정보(90)를 표시영역(24)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 경우, OK키(79)도, 소모품 교환 정보(90)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된다. 소모품 교환 정보(90)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에 대해서, 소모품의 교환을 재촉하는 정보(901)와, 그 소모품을 교환함으로써 발생하는 이점을 나타내는 정보(902)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가 청소기이며, 그 청소기에 장착된 필터가 막힘을 일으킨 경우, 정보(901)는 소모품인 필터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정보이고, 정보(902)는 필터를 교환하면 먼지의 잔존이 감소한다는 취지의 정보이다. 또한, 예를 들어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가 냉장고이고 고내를 폐색하는 패킹이 소모되어 있는 경우 정보(901)는 소모품인 패킹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정보이고, 정보(902)는 패킹을 교환하면 냉기 누출이 감소되어 에너지가 절감된다는 취지의 정보이다. 또한, 예를 들어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가 배터리를 탑재한 것으로, 그 배터리의 잔량이 저하되어 있는 경우, 정보(901)는 소모품인 배터리를 교환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의 정보이며, 정보(902)는 배터리를 교환하면 운전시간이 길어지는 취지의 정보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교환 시기가 도래한 소모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모품을 교환함으로써 이점을 쉽게 인식할 수 있고, 고장나기 전의 소모품 교환이 재촉된다. 또한, 이들 소모품의 소모 정도는 가전기기의 구입으로부터의 경과 연수나 사용 시간부터 추측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검지하는 센서를 탑재하고 서버(5)는 그 센서의 검출 결과를 토대로 소모 정도를 판단해도 좋다. 이 경우 소모 정도의 판단은 가전기기 자체가 실시해도 좋다.
주로 여름철에 사용되는 에어컨이나 선풍기 등 또는 주로 겨울철에 사용되는 난방 기구 등의 이른바 계절 상품이나, 꽃가루 시즌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공기청정기 등의 가전기기는, 연간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기에 장기간 사용되지 않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 서버(5)는 그 가전기기의 운전을 시작하기 전에, 예를 들면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에 전원이 투입되어 서버(5)와 통신 가능하게 되었을 때, 그 가전기기의 고장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알려도 좋다. 이 경우, 고장의 유무의 검출은 가전기기 자체가 실시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서버(5)는 운전개시전의 고장 유무의 판정에서 가전기기에 중증도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나, 중증도의 고장은 아니지만 수리를 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면 중증도의 고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수리를 재촉하는 표시 또는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표시를 실시한다.
또한, 세탁기와 같이 연간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예상되는 가전기기이어도, 지난번의 운전으로부터 장기간, 예를 들어 1개월간 운전하지 않은 경우, 서버(5)는 세탁기의 운전개시전에 고장을 검출하고, 그 결과를 알려도 좋다. 이 경우도 고장의 유무의 검출은 가전기기 자체가 실시해도 좋다.
여기에서, 가전기기에 대해서 전회의 사용부터 이번회의 사용까지 장기간 사용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그 기간내에 가전기기에 고장이 발생하거나 또는 전회의 사용종료시까지 가전기기에 발생한 경미한 고장이 악화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가전기기는 사용재개시에 동작 불량을 일으키기 쉽다는 사정이 있다. 이와 같은 동작불량이 발생하면, 사용자는 그 동작불량이 사용자 자신의 사용방법의 오류에 의한 것인지 고장의 발생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동작불량이 발생한 가전기기에 대해서 수리를 해야 할지 또는 교체구입을 해야 할지의 판단을 사용자 자신이 실시하는 것은 어려웠다.
그러나, 서버(5)가 가전기기의 운전개시전에 고장을 검지하고 그 결과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는 가전기기에 고장이 발생했는지의 여부, 즉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가전기기에 동작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그 가전기기를 수리할지 교체구입할지에 대해서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가전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사용자는 그 고장을 빨리 알 수 있으므로, 수리의뢰나 교체구입을 빠르게 실시할 수 있다.
서버(5)는 복수의 가전기기, 예를 들면 냉장고나 세탁기, 에어컨 등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동일한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여기에서 연중 내내 사용되는 가전기기이어도, 예를 들어 냉장고나 에어컨 등 사용 빈도는 기온이 낮은 겨울철보다 기온이 높은 여름철이 높다. 그래서, 냉장고나 에어컨은 여름철에 부하가 높아지기 쉽고 따라서 여름철에 고장날 리스크가 높아지기 쉽다. 또한, 예를 들면 여름철에 냉장고가 고장나면, 냉장고 내의 온도가 상승하고 냉장고 내의 저 장품이 단기간에 열화된다. 동일하게 여름철에 에어컨이 고장나면, 사용자는 기온이 높은 실내에서 보내게 되어 불편하다. 따라서, 냉장고나 에어컨 등 가전기기에 있어서는 겨울철보다 여름철쪽이 그 고장이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그 때문에, 서버(5)는 연월일 등에 기초한 계절 정보를 취득하는 달력 기능, 즉 연월일에 기초하여 현재의 시기 정보를 취득하는 시기정보 획득수단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그리고, 서버(5)는 시기정보 획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현재 시기정보, 즉 현재의 계절에 따라서 표시하는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변경해도 좋다. 또, 서버(5)는 현재의 계절에서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이 큰 가전기기의 고장을 우선하여 그 고장에 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즉, 서버(5)는 현재의 계절에 따라서 어드바이스의 중요도를 변경한다. 즉, 서버(5)는 동일 내용의 고장 예지의 정보를 표시하는 경우라도, 여름이나 여름 전의 계절은 겨울에 비해서 냉장고의 고장 예지 정보의 중요도를 높게 설정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현재의 계절에서 고장나기 쉽고, 그리고 고장난 경우의 리스크가 큰 가전기기에 대한 정보를, 중요도가 높은 정보로서 인식할 수 있다.
가전기기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 정보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취득한 위치정보로부터 그 가전기기가 사용되고 있는 지역에 대응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바다에 가까운 지역에서 에어컨을 사용하는 경우, 에어컨의 실외기는, 염해(鹽害)로 고장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경우 서버(5)는, 염해에 의해 에어컨의 실외기에 고장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취지를, 표시 영역(24)에 표시시킨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해안 인근의 지역 등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지역에 가전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가전기기의 성능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이 경우, 서버(5)는 가전기기의 고장을 예측하는 고장 예측 정보를 알리는 타이밍을 판단하기 위한 임계값을 낮게 설정하는 등 하여, 통상보다 빠른 타이밍에 고장예측정보를 알려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가전기기는 대략적인 위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면 된다. 그래서, 위치정보 취득수단은 GPS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통신제어회로(23)를 위치정보 취득수단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통신제어회로(23)는 무선 LAN의 액세스 포인트(2)의 위치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가전기기의 위치정보를 간편하게 취득한다. 또한, 위치정보 취득수단은 사용자 자신이 위치정보를 입력하는 것이어도 좋다.
서버(5)는 도 43 및 도 44와 같이 가전기기의 사용기간에 따라서 표시 영역(24)에 표시하는 어드바이스의 내용 즉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내용을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사용 연수에 따라서 변경하는 어드바이스는 예를 들어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예를 들어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현재까지의 사용 연수가 그 가전기기에 미리 설정된 내용년수를 초과하지 않은 경우이고, 그 가전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5)는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함께 수리를 재촉하는 정보(911)를 표시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한편,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현재까지의 사용 연수가, 그 가전기기에 미리 설정된 내용년수를 초과하고 있는 경우이고, 그 가전기기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서버(5)는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912)를 표시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냉장고(7)에 대해서 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이다. 즉, 냉장고(7)의 내용년수는 예를 들어 8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냉장고(7)의 현재까지의 사용기간은, 예를 들어 내용년수 8년 이하인 3년 5개월이다. 이 경우, 냉장고(7)에 고장이 발생하면, 서버(5)는 도 4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증용 어드바이스(91)와 함께 수리를 재촉하는 정보(911)를 표시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서버(5)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춘 안내가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보다 유익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서버(5)는 내용년수의 정보(913) 및 사용기간의 정보(914)를, 수리를 재촉하는 정보(911)와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수리를 재촉하는 것의 근거를 알 수 있고, 안심하고 수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서버(5)는 수리요청 키(74)를, 수리를 재촉하는 정보(911)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수리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빠르게 수리를 요청할 수 있어 편리하다.
한편, 냉장고(7)의 현재까지의 사용 기간이, 예를 들면 내용년수 8년이 초과한 12년인 경우, 냉장고(7)에 고장이 발생하면, 서버(5)는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912)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서버(5)는 사용자의 눈높이에 맞춘 안내가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는 보다 유익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서버(5)는 내용년수의 정보(913) 및 사용 기간의 정보(914)를,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912)와 동일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근거를 알 수 있고, 안심하고 교체구입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서버(5)는 구입서포트 키(75)를,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912)와 동일 화면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교체구입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빠르게 구입 서포트용 어드바이스(84)를 취득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서버(5)는 현재의 증상이 고장에 의한 것인지,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사용법이 나쁜 것에 따른 것인지를 알린다. 즉, 도 45에 도시한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는 사용자가 사용 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현재의 가전기기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서버(5)는 도 4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도 28의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확인한 후 1일 운전을 계속하는 모습을 관찰하는 취지의 내용 등을, 중간정도용 어드바이스(82)와 함께 표시영역(24)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해 이것 때문에 고장의 유무가 명확해지므로, 사용자는 안심하고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계속의 가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5)는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소모품의 수리 및 교환에 관한 정보(95)를 표시영역(24)에 표시해도 좋다. 이 경우, 정보(95)는 대상으로 하는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나타내는 정보(951)와, 그 소모품이 가전기기의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952)을 포함하고 있다. 도형(952)은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를 모방한 그림이다. 예를 들어 도 46은 자주식의 청소기 소위 로봇 청소기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각 소모품에 대해서 그 명칭과 교환시기를 나타내는 정보(951)를, 그 각 소모품이 로봇 청소기의 어느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도형(952)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게 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는 소모품의 교환시기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교환이 필요한 소모품이 가전기기의 어느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 스스로 소모품을 교환할 때 편리하다. 또한, 이 경우, OK키(79)도 표시영역(24)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로,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전기기에 부속된 소모품에 관한 정보(96)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이 정보(96)는 소모품의 소모 정도에 관한 정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정보(96)는 가로축을 사용 기간으로 하고 세로축을 소모품의 소모 정도로 한 그래프이고, 예를 들면 소모 정도가 25%, 50%, 90%로 복수의 단계로 나누어 나타내어진다. 정보(96)는 어느 시기의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단계적으로 추정하여 나타내는 그래프(961)를 포함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정보(96)는 가전기기의 수리에 적합한 시기가 언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또한, 정보(96)는 어느 시기 즉 어느 소모 정도에서 그 소모품을 교환해야 할지 여부에 대한 정보(962)와, 그 소모품의 교환 또는 수리에 필요한 비용(963)과, 그 소모품을 교환하지 않고 사용한 경우의 에너지 절약 성능 (964)을 포함하고 있다. 즉, 소모품의 교환 또는 수리에 필요한 비용(963)은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소모품의 수리, 교환에 대해서 명확한 기준을 얻을 수 있어 소모품의 수리, 교환 시기의 판단이 쉬워진다. 또한, 비용(963)은 소모품의 비용에 한정되지 않고 가전기기 본체의 수리 비용이어도 좋다. 또한, 정보(96)는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현재의 에너지 절약 평가 즉 소비전력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사용자는 미리 소모품의 수리나 교환에 드는 비용에 대해서 임계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버(5)는 사용자가 설정한 임계값을 기억하고 그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수리 대금이 임계값을 초과한 취지를 알리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에 따르면, 소모품의 수리, 교환에 요하는 비용이, 미리 설정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소모품의 수리, 교환에 필요한 비용을 상정의 범위내로 억제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도 48과 같은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97)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정보(97)는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이며,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의 타이밍을 단계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이다. 정보(97)는 그래프(971, 972)를 포함하고 있다. 그래프(971)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현재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단계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래프(972)는 그래프(971)의 각 단계의 중요도에서의 그 가전기기의 전력소비량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에너지 절감 평가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그래프(971)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가 중증도의 고장을 일으키려는 상태일 수록,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낮을수록 에너지 절감 평가는 높고,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에너지 절감 평가는 낮아진다. 이 경우, 교체구입의 중요도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의 사용시간 등에 기초하여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기간이 짧은 가전기기의 경우에는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낮다. 이 경우, 사용기간이 짧은 가전기기는 사용기간이 길고 열화가 진행된 가전기기나 구식의 가전기기에 비하여, 에너지 절감 평가가 높게 표시된다. 또한, 중증도의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설령 사용기간이 짧은 경우에도 그 가전기기의 교체구입 중요도는 높아진다.
이에 따르면, 어느 시기에 가전기기를 교체구입할지의 판단이 용이해져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는 현재 사용중인 가전기기에 대해서 현상태의 교체구입의 중요도와 에너지 절감 평가를 비교하면서, 교체구입의 검토를 실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교체구입의 검토시에, 교체구입의 중요도와 에너지 절감 평가라는 교체구입에 대한 객관적인 판단재료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서버(5)는 정보(97)로 바꾸고, 도 49에 도시한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98)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정보(98)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에 대해서 현재로부터의 경과 기간과, 그 경과 기간에서 추정되는 에너지 절감 평가의 상간(相間)을 나타내는 그래프(981)를 포함하고 있다. 이 정보(98)는 대상으로 하는 가전기기를 이대로 계속 사용한 경우, 그 가전기기의 에너지 절감 성능이 몇개월 후에 이 정도까지 저하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내용이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가전기기가, 이후 어느 정도의 기간 사용할 수 있고, 언제 교체 구입할 필요가 있는지의 기준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서버(5)는 대상으로 가전기기가 복수 있는 경우,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도 50과 같이 복수 종류의 가전기기에 대한 교체구입의 중요도에 관한 정보(99)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게 해도 좋다. 정보(99)는 각 가전기기의 현재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단계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예를 들면, 정보(99)는 예를 들면 세탁기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그래프(991)와, 에어컨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그래프(992)와, 냉장고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나타내는 그래프(993)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 각 그래프(991, 992, 993)는 중요도가 높은 순서로 표시된다. 즉, 표시 영역(24)에는 각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랭킹 형식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복수개 있는 가전기기 중에서 교체구입의 중요도가 높은 가전기기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어 편리하다. 또한, 이들 정보(97, 98, 99)는 일반적으로 보너스가 지급되는 시기인 예를 들면 6월, 7월 또는 11월, 12월 등, 사용자가 새로운 가전기기의 구입을 검토하기 쉬운 시기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버(5)는 특정의 어드바이스로서 도 51과 같은 매출 및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100)를, 표시 영역(24)에 표시해도 좋다. 정보(100)는 에어컨 등의 일반적으로 계절상품으로 불리는 상품에 대해서 표시되는 것으로, 이른바 벚꽃 전선이나 장마 전선처럼 「에어컨 구입교체 전선」라고 부른다. 이 「에어컨 교체구입 전선」은 에어컨의 매출 대수의 등기일선도이고, 에어컨의 판매의 최성수기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정보(100)는 에어컨의 지역마다의 판매대수의 동향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 「에어컨 교체구입 전선」의 도면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하여 작성된다. 즉, 우선, 서버(5)는 전국의 각 판매점에서의 예년의 에어컨의 판매대수의 데이터를 집계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서버(5)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년도의 에어컨의 판매대수가 피크가 되는 시기를 판매점마다 예측한다. 그리고, 서버(5)는 그 피크시기가 동등한 판매점을 나타내는 점을 연결한 도면을 작성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에서의 에어컨의 판매예측상황을 보면서, 에어컨의 구입을 검토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에어컨 교체구입 전선」은 도 51에 도시한 정보(99)로 바꾸고, 도 52에 도시한 정보(101)와 같이 해도 좋다. 도 52에 도시한 정보(101)는 매출 및 교체구입에 관한 정보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작성된다. 우선, 서버(5)는 전국의 각 판매점에서의 예년의 에어컨의 판매 대수의 데이터를 집계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서버(5)는 그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 년도의 에어컨의 판매의 피크시에서의 판매대수를 예측하고, 그 예측한 판매대수를 임계값으로 설정한다. 서버(5)는 각 판매점에서의 현재의 에어컨의 판매대수를 집계하고, 현재의 판매대수가 임계값에 도달한 판매점을 나타내는 점을 연결한 도면을 작성한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판매상황을 보면서, 에어컨의 구입을 검토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한, 실시형태는, 이하의 발명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상기 일반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상측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상기 일반의 어드바이스에 비하여 면적이 큰 표시영역 내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일반의 어드바이스로서 고정된 것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윈도우 내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윈도우를 상기 일반의 어드바이스의 전방에 겹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내용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가전기기의 운전내용을 설정하는 설정화면으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판매점 사이트키는 상기 가전기기의 메이커 직영의 판매점의 웹 사이트에 링크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위험도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은 상태를 나타내는 경도와, 장래적으로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중간정도와, 현재 고장이 발생한 상태를 나타내는 중증도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계로 표시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위험도가 상기 중증도인 경우에 수리를 요청하기 위한 수리요청 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고, 상기 위험도가 상기 경도인 경우에 상기 수리요청 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에 표시하지 않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위험도가 상기 중간정도인 경우에, 수리를 요청하기 위한 수리요청 키를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고장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가전기기의 수리에 필요한 시간을 상기 통신단말이 표시하는,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고장에 관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수리에 필요한 비용을 상기 통신단말이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기억수단은 미리 설정되는 상기 수리에 관한 비용의 임계값을 기억하고, 상기 수리에 필요한 비용이 상기 임계값을 초과한 경우에, 그 임계값을 초과한 취지를 알리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제품의 재고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가전기기의 설치공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단말이 현재 사용중의 가전기기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의 설치공간에 설치 가능한 가전기기를 우선적으로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가전기기의 매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매출에 관한 정보는 가전기기의 지역마다 판매대수의 동향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소모품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의 중요도를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통신단말이 복수 종류의 가전기기에 대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를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가 중증도의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상태에 있는 경우에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의 이점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고장난 상태에서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을 계속함으로써 발생하는 리스크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복수 단계의 중요도가 설정되어 있고, 상기 중요도는 현재의 시기에 따라서 변경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을 개시하기 전에 상기 통신단말이 상기 가전기기의 상태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중요도는 복수 단계가 설정되어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상기 가전기기의 수리에 적합한 시기가 언제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그래프로 나타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금액으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전력소비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내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소모품의 소모 정도를 나타내는 정보는 복수의 단계로 나뉘어져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상기 가전기기를 모방한 도형으로 상기 가전제품에 부속되는 소모품의 설치 부분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상기 소모품을 교환한 경우의 이점을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본 발명의 몇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 실시형태는 그 밖의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경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49)

  1. 삭제
  2. 통신회선에 접속된 가전기기,
    상기 가전기기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것으로, 상기 가전기기에 관한 어드바이스를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데이터가 기록된 기억수단,
    상기 기억수단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접속된 것으로, 표시부를 갖는 통신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운전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현재의 상태에 따른 정보를 설정하는 정보설정부와, 상기 정보설정부의 설정결과를 외부에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통신단말은 복수의 키를 가지는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키가 조작되는 경우에, 조작된 상기 키의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독자의 조언으로서, 상기 기억수단이 기억하는 복수의 데이터 중 상기 가전기기로부터의 정보의 송신결과에 대응하는 것에 따른 특정의 어드바이스 및 상기 키의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각 상기 키에 공통된 일반적인 조언으로서, 상기 가전기기로부터의 정보의 송신결과에 따르지 않는 일반의 어드바이스를 상기 표시부에서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고, 또한 상기 일반의 어드바이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보다 작게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상기 가전기기의 고장을 예측하는 고장예측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가전기기의 판매점의 웹사이트를 표시하기 위한 판매점 사이트키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2. 삭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장예측정보는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위험도에 따라서 다른 내용인, 네트워크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수리를 요청하기 위한 수리요청 키가 조작된 것을 검출하면, 상기 통신회선을 통하여 그 검출결과를 상기 송신부에 송신하고,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검출결과를 수신한 경우에 상기 가전기기에 발생한 고장에 관한 데이터를 취득하는 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송신부는 상기 취득부가 취득한 고장에 관한 데이터를, 통신회선에 접속되어 상기 가전기기의 수리를 접수하는 수리접수부에 송신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8.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은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구입 서포트 키를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와 동일한 화면상에 표시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소비전력량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의 구입에 관한 정보는 상기 가전기기의 교체구입을 재촉하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은 현재의 시기정보를 취득하는 시기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기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시기정보를 상기 통신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통신단말은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취득한 상기 시기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를 표시하는 우선순위를 변경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기기는 상기 가전기기의 현재위치를 취득하는 위치정보 취득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부는 상기 위치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한 위치정보를 상기 기억수단에 송신하고,
    상기 기억수단은 상기 가전기기의 위치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의 내용을 변경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3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상기 가전기기의 사용기간에 따라서 그 내용이 변경되는, 네트워크 시스템.
  4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사용자가 사용방법을 개선함으로써 현재의 가전기기의 증상이 개선되는 것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41. 삭제
  4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의 어드바이스는 가전기기에 부속되는 소모품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KR1020167000520A 2013-06-27 2014-06-23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KR1017797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34908 2013-06-27
JP2013134908 2013-06-27
JP2014056632A JP6359304B2 (ja) 2013-06-27 2014-03-19 家電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JPJP-P-2014-056632 2014-03-19
PCT/JP2014/066544 WO2014208497A1 (ja) 2013-06-27 2014-06-23 家電機器およ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758A KR20160018758A (ko) 2016-02-17
KR101779728B1 true KR101779728B1 (ko) 2017-09-18

Family

ID=52141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0520A KR101779728B1 (ko) 2013-06-27 2014-06-23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10110B2 (ko)
EP (1) EP3016036A4 (ko)
JP (1) JP6359304B2 (ko)
KR (1) KR101779728B1 (ko)
CN (3) CN105339958B (ko)
TW (1) TWI520624B (ko)
WO (1) WO20142084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80655B2 (ja) * 2013-04-03 2017-02-15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US10162785B2 (en) 2015-05-21 2018-12-25 Acceltex Solutions Wireless electronic device controller
CN106406157B (zh) * 2015-07-30 2021-02-02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信息终端的控制方法以及节能支援系统
JP6797528B2 (ja) * 2016-01-04 2020-12-09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監視装置及び監視方法
DE102016101790A1 (de) * 2016-02-02 2017-08-03 Illinois Tool Works Inc. System
JP6663253B2 (ja) * 2016-03-07 2020-03-11 Kddi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装置、及び情報提供方法
KR20190011780A (ko) 2016-05-31 2019-02-07 블루에어 에이비 공기 여과기의 활용된 용량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JP2018073007A (ja) * 2016-10-26 2018-05-10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家電製品を利用する発注システム及び家電製品
US11861716B1 (en) 2016-10-27 2024-01-02 State Farm Mutual Automobile Insurance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utilizing electricity monitoring devices to reconstruct an electrical event
JP6805066B2 (ja) * 2017-04-24 2020-12-23 トヨタホーム株式会社 設備機器異常管理システム
KR102587127B1 (ko) * 2017-12-26 2023-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장 예측을 위해 가전기기의 운영데이터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9139509A (ja) * 2018-02-09 2019-08-22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住宅
JP2019139511A (ja) * 2018-02-09 2019-08-22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住宅
JP6951278B2 (ja) * 2018-03-16 2021-10-2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サーバ、および、機器システム
JP7078437B2 (ja) * 2018-03-30 2022-05-31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機器システム
KR102553092B1 (ko) 2018-04-17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7087B1 (ko) * 2018-04-27 2019-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으로 이상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 및 방법
JP7059105B2 (ja) * 2018-05-18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7328773B2 (ja) * 2018-07-27 2023-08-17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8873727B (zh) * 2018-08-11 2021-03-23 深圳市百创网络科技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智能家庭电器系统
US11049162B2 (en) 2018-08-30 2021-06-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medium, and system for automated hardware device replacement
JP7352348B2 (ja) * 2018-12-10 2023-09-2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TWI732165B (zh) * 2018-12-24 2021-07-01 高聖精密機電股份有限公司 基於分散式帳本技術之鋸切設備供銷系統及其方法
KR20200094845A (ko) * 2019-01-23 2020-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버, 단말 장치 및 이의 가전기기 관리 방법
CN113545009B (zh) * 2019-05-16 2022-10-11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场景操作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KR102332236B1 (ko) * 2019-08-13 2021-11-30 주식회사 유비벨록스모바일 빅데이터 기반 IoT 가전제품 실시간 상태 분석 정보 소비자 알림 시스템
JPWO2021075493A1 (ko) 2019-10-18 2021-04-22
CN112815610A (zh) * 2019-11-18 2021-05-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家用电器中离子发生器的控制方法、装置和家用电器
JP7454208B2 (ja) 2019-12-04 2024-03-22 林電工株式会社 製品販売システム
JP7093806B2 (ja) * 2020-05-18 2022-06-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家電製品の消耗品を発注する発注システム
CN115668973A (zh) * 2020-05-27 2023-01-31 三菱电机株式会社 冰箱通信系统
US11671311B2 (en) * 2020-10-23 2023-06-06 Netapp, Inc. Infrastructure appliance malfunction detection
US11936489B2 (en) 2021-02-02 2024-03-19 True Manufacturing Co., Inc. Systems, methods, and appliances that enable regional control of refrigeration appliances
JP2023120803A (ja) * 2022-02-18 2023-08-30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機器状態予測方法及び機器状態予測システム
JP7289572B1 (ja) 2022-08-17 2023-06-12 デジタルデータ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記憶媒体サポート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017A (ja) * 2000-09-28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住戸診断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住戸診断情報サービス用サービスサーバ
JP2004070699A (ja) * 2002-08-07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管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621A (ja) 1995-06-14 1997-01-10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に於けるエラー処理方式
FR2754938A1 (fr) 1996-10-22 1998-04-24 Philips Electronics Nv Boitier etanche pour contenir un accumulateur electrique
JPH10154181A (ja) 1996-11-25 1998-06-09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電気的装置及び機器保守支援方法
DE10100826B4 (de) * 2000-02-01 2005-11-10 Lg Electronics Inc. Internet-Kühlschrank und Betriebsverfahren hierfür
CN100428763C (zh) 2000-05-26 2008-10-22 松下电工株式会社 用通信网络对特定用户提供顾客信息的方法及系统和终端
JP2002085885A (ja) * 2000-09-11 2002-03-26 Toshiba Corp ランドリーシステム
TW593950B (en) 2000-09-11 2004-06-21 Toshiba Corp Remote inspection system for refrigerator
JP3990884B2 (ja) * 2000-09-11 2007-10-17 株式会社東芝 冷蔵庫の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冷蔵庫の遠隔点検方法
JP2002295939A (ja) * 2001-03-29 2002-10-09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
WO2004107662A1 (en) * 2003-05-30 2004-12-09 Lg Electronics, Inc. Home network system
KR20050008953A (ko) * 2003-07-14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DE10340627A1 (de) * 2003-09-03 2005-04-07 Infineon Technologies Ag Steuerbare Hausgeräte-Anordnung und/oder steuerbare Industriegeräte-Anordnung und Steuersystem zum Steuern einer Hausgeräte-Anordnung und/oder Industriegeräte-Anordnung
JP2005114205A (ja) * 2003-10-06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消耗品交換要請機能付き冷蔵庫
US7317449B2 (en) * 2004-03-02 2008-01-08 Microsoft Corporation Key-based advanced navigation techniques
EP1583027A1 (en) * 2004-04-01 2005-10-05 Alaattin Yarici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aintenance Data Storage Unit
CN1747420A (zh) * 2004-09-07 2006-03-15 乐金电子(天津)电器有限公司 家电网络系统
CA2611527A1 (en) * 2005-06-09 2006-12-21 Whirlpool Corporation Software architectur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nd management of, at least one component within a household appliance
JP4140635B2 (ja) * 2006-03-10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機器情報管理装置
JP4609506B2 (ja) * 2008-03-05 2011-01-12 ソニー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WO2010117242A2 (en) * 2009-04-10 2010-10-14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and home appliance system
KR101563487B1 (ko) * 2009-05-11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US8984338B2 (en) * 2009-07-06 2015-03-17 Lg Electronics Inc. Home appliance diagnosis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4985722B2 (ja) 2009-07-23 2012-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KR101482138B1 (ko) * 2009-07-31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진단시스템 및 그 진단방법
JP2011159051A (ja) * 2010-01-29 2011-08-18 Sharp Corp 電力管理装置、および電力管理方法、ならびに当該電力管理装置を備えた電力管理システム、当該電力管理システムを備えた家屋、電力管理装置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WO2011105768A2 (ko) * 2010-02-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구비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4951082B2 (ja) * 2010-03-18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省エネアドバイス生成装置
KR101182865B1 (ko) 2010-07-08 2012-09-14 주식회사 에스원 전력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2048511A (ja) * 2010-08-27 2012-03-08 Toyota Home Kk 省エネアドバイス装置
JP5764951B2 (ja) 2011-02-04 2015-08-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658597B2 (ja) * 2011-03-03 2015-01-28 大阪瓦斯株式会社 省エネ行動評価システム
US9953278B2 (en) * 2011-05-02 2018-04-24 Sears Brands, L.L.C. System and methods for interacting with networked home appliances
KR101783615B1 (ko) * 2011-08-12 2017-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상품 구매 관리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하는 냉장고
KR101909026B1 (ko) * 2011-08-19 2018-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제품 정보 관리 시스템
KR101819510B1 (ko) * 2011-08-22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CN102636362B (zh) * 2012-03-28 2015-09-09 佛山市顺德区奥达信电器有限公司 一种用于性能检测的温度补偿方法
KR20140007178A (ko) * 2012-07-09 2014-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9017A (ja) * 2000-09-28 2002-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通信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住戸診断情報サービスシステム、および住戸診断情報サービス用サービスサーバ
JP2004070699A (ja) * 2002-08-07 2004-03-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8497A1 (ja) 2014-12-31
TW201509193A (zh) 2015-03-01
TWI520624B (zh) 2016-02-01
CN110276656B (zh) 2022-05-24
JP2015028760A (ja) 2015-02-12
CN110363609A (zh) 2019-10-22
KR20160018758A (ko) 2016-02-17
JP6359304B2 (ja) 2018-07-18
EP3016036A1 (en) 2016-05-04
CN110363609B (zh) 2022-05-24
US20160127144A1 (en) 2016-05-05
CN110276656A (zh) 2019-09-24
CN105339958B (zh) 2019-06-18
EP3016036A4 (en) 2017-03-15
US10510110B2 (en) 2019-12-17
CN105339958A (zh) 2016-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9728B1 (ko) 가전기기 및 네트워크 시스템
JP3990884B2 (ja) 冷蔵庫の遠隔点検システムおよび冷蔵庫の遠隔点検方法
CN1188644C (zh) 冰箱远距离检修系统
EP2954273B1 (en) Controlling a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456253B1 (ko) 네트워크 대응 가전 기기, 가전 기기 점검 시스템 및 가전기기 점검 서비스
JP2018036740A (ja) 情報端末装置、稼動情報提供システムおよび稼動情報提供プログラム
US102812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normal operation of refrigerator
KR102520672B1 (ko) 이상 상태의 원인을 진단하는 냉장고 및 클라우드 서버
EP3040658B1 (en) Home appliance with a power-consumption output device
JP2007305145A (ja) 家電機器点検システム
CN105102911A (zh) 冰箱
JP687549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家電機器、サーバ、および通信端末
JP2005274059A (ja) 冷蔵庫の診断方法およびその診断方法が適用されてなる冷蔵庫
JP2021071204A (ja) 貯蔵庫管理システム
JP7352348B2 (ja) 冷蔵庫
JP2024034238A (ja) 温度管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装置
JP202216027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