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8256B1 - 차량의 접경부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접경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8256B1
KR101668256B1 KR1020157005071A KR20157005071A KR101668256B1 KR 101668256 B1 KR101668256 B1 KR 101668256B1 KR 1020157005071 A KR1020157005071 A KR 1020157005071A KR 20157005071 A KR20157005071 A KR 20157005071A KR 101668256 B1 KR101668256 B1 KR 101668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vehicle
edge
design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8424A (ko
Inventor
요시히로 이와노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50038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8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8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8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Abstract

접경부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를 구성하는 의장 패널의 일단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를 얻는다. 펜더 패널(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는,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져 있다. 단연부(56)의 접힘선(56L)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직선 형상의 제 2 능선(L2)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제 2 능선(L2)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단연부(56)의 포개진 부분은 접착제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의 접경부 구조{BOUNDARY-SECTION STRUCTURE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접경부(boundary-section)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 있어서는, 복수매의 의장 패널이 인접 배치되어 있고, 의장 패널끼리의 사이에는 접경부(경계선)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펜더 패널의 상단(上端) 후부(後部)가 프런트 필러 외판의 단차부에 맞대어짐으로써 접경부가 형성된 구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그리고, 예를 들면, 이 펜더 패널의 상단 후부를 잘라 단면(端面)으로 함으로써, 접경부에 샤프한 느낌이 부여된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96502호 공보
그러나, 접경부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를 구성하는 의장 패널의 일단(一端)의 강성을 높이는 점에 대해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접경부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를 구성하는 의장 패널의 일단의 강성을 높일 수 있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는,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직선 형상의 능선부를 구비한 제 1 의장 패널과,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 1 의장 패널과의 사이에 접경부를 형성하며, 반(反)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진 단연부(端緣部)를 상기 접경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단연부의 접힘선이 상기 능선부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상기 능선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의장 패널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2 의장 패널의 단연부가,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져 있고, 단연부의 접힘선이 제 1 의장 패널의 직선 형상의 능선부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상기 능선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의장 패널의 단연부는,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최소한으로 억제됨으로써 샤프한 느낌이 부여되면서, 강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단연부의 강성이 한층 높아진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제 1 양태 또는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장 패널은, 상기 제 2 의장 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2 의장 패널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구성부와, 상기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2 구성부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제 1 구성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능선부가 형성된 제 3 구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의장 패널은, 제 1 구성부가 제 2 의장 패널과의 사이에 접경부를 형성하고, 제 2 구성부가 제 2 의장 패널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의장 패널은, 제 1 구성부와 제 2 구성부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제 3 구성부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제 1 구성부와 제 3 구성부의 경계부에 능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 2 의장 패널은 그 단연부가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져 있다. 이 때문에, 제 1 의장 패널에 있어서의 제 1 구성부와 제 2 구성부의 단차를 제 2 의장 패널의 판 두께의 2배분(分) 이상 확보할 수 있으면, 제 1 의장 패널의 제 1 구성부의 의장면과 제 2 의장 패널의 의장면을 가지런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제 3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장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됨과 함께, 상기 제 2 의장 패널이 차체 전부(前部)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이 되고, 상기 펜더 패널은, 그 상단 후부에 상기 단연부의 접힘선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그 전단(前端)부에서 상기 펜더 패널의 상단 후부의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1 구성부보다 차량 하방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구성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의장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로 되어 있고, 제 2 의장 패널이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로 되어 있다. 또한, 펜더 패널이 그 상단 후부에 접힘선을 구비하는 것에 비해,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그 전단부에서 펜더 패널의 상단 후부의 상방측에 제 1 구성부가 배치되고, 제 1 구성부보다 차량 하방측에 제 2 구성부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펜더 패널은 모두 차체 측부의 외판이므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전단부와 펜더 패널의 후부가 차량 폭방향으로 늘어서는 에어리어에서는 양자간의 간격은 작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펜더 패널은 단연부의 포개진 만큼이 두꺼워질 뿐이으므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에 있어서의 제 1 구성부와 제 2 구성부의 단차를 펜더 패널의 판 두께의 두배 이상 확보할 수 있으면, 접경부의 상하에서 단차가 없는 의장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접경부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를 구성하는 의장 패널의 일단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2 의장 패널의 단연부에 있어서의 포개진 부분을 일체화함으로써, 제 2 의장 패널의 단연부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제 1 의장 패널의 일부가 제 2 의장 패널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어도, 접경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 의장면을 단차없이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의하면,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 펜더 패널의 접경부에 대해 상하에 배치되는 양 패널의 의장면을 단차없이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가 적용된 차량 전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펜더 패널을 반 의장면측으로부터 본 상태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를 도 2의 4-4선의 절단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b는, 대비 구조를 도 4a와 동일한 절단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에 대하여 도 1∼도 4b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적절히 나타내어지는 화살표 FR은 차량 전방(前方)측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차량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IN은 차량 폭방향 내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차량 전부(12)의 일부가 사시도로 나타내어져 있고, 이 차량 전부(12)에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가 적용되어 있다. 먼저, 이 도 1을 참조하면서 차량의 접경부 구조(10)를 포함하는 차량 구조에 대하여 개략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차량 전부(12)에는, 차체 측부(14)를 구성하는 제 1 의장 패널로서의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전부가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은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전부는, 차체 측부(14)의 프런트측의 도어 개구부(14A)의 전측(前側)에 있어서 프런트 필러(18)의 외판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도어 개구부(14A)는 사이드 도어(30)(넓은 의미로는 「차량용 개폐체」로 파악되는 요소이다.)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덮여 있다.
프런트 필러(18)의 상부인 필러 상부(18A)는, 프런트 글래스(도시 생략)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차량 상방을 향해 차량 후방측으로 경사져 있다. 필러 상부(18A)의 상단부는 루프 사이드 레일부(도시 생략)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루프 사이드 레일부는 루프(도시 생략)의 양 사이드에 대략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한편, 프런트 필러(18)의 하부인 필러 하부(18B)는, 필러 상부(18A)의 하단(下端)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으로 대략 수직으로 수하(垂下)되어 있다. 필러 하부(18B)의 하단부는 로커부(22)(「사이드 실」이라고도 한다)의 전단부와 결합되어 있고, 로커부(22)는 차체 플로어(도시 생략)의 양 사이드에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필러 하부(18B)의 상단부측의 내면에는, 상기 프런트 글래스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차량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울(도시 생략)의 양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카울의 차량 전방측에는 후드(24)가 설치되어 있다. 후드(24)는 차량 전부(12)의 엔진룸(도시 생략)을 상방측으로부터 개폐 가능하게 덮고 있다.
후드(24)의 측방의 차체 전부 측면에는, 제 2 의장 패널로서의 펜더 패널(「프런트 펜더 패널」이라고도 한다.)(26)이 배치되어 있다. 펜더 패널(26)은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다. 후드(24)와 펜더 패널(26)의 경계부가 되는 접경부(32)는 대략 차량 전후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펜더 패널(26)은, 전륜(28)의 상방측 및 그 주위부에 배치되어 의장면을 구성하는 외벽부(26A)와, 이 외벽부(26A)와 후드(24)의 접경부(32)로부터 하방측으로 구부러진 내벽부(26B)(도 3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전륜(28)의 위쪽으로 비스듬한 전방측의 부위에는 범퍼 커버(34)의 단부가 장착되고 있고, 펜더 패널(26)의 전단부측에는 헤드 램프(36)(넓은 의미로는 「차량용 등구(燈具)」로 파악되는 요소이다.)가 인접 배치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1의 펜더 패널(26)을 반 의장면측으로부터 본 상태의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의 내벽부(26B)는, 외벽부(26A)의 상단부로부터 수하된 내측 종벽부(縱壁部)(26Y)와, 이 내측 종벽부(26Y)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폭방향 내측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된 내측 플랜지부(26X)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내측 종벽부(26Y)는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외벽부(26A)에 대한 차량 폭방향의 거리가 길어지고 있다. 즉, 외벽부(26A)의 상부와 내측 종벽부(26Y)는 차량 정면에서 봤을 때 역V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26X)는 도 3에서는 판 두께 부분만이 보인다.
내측 플랜지부(26X)는 차체 골격 부재인 에이프런 어퍼멤버(도시 생략)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내측 플랜지부(26X)는, 상기 에이프런 어퍼멤버에 대해 직접 고정되어도 되고, 브래킷을 통해 고정되어도 된다.
다음에, 도 1∼도 4b를 참조하면서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의 주요부를 확대한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a에는 도 2의 4-4선의 절단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4b에는 대비 구조를 도 4a와 동일한 절단 위치에서 절단한 상태의 단면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전단부는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전측에 예각(銳角) 형상의 모서리부(42)를 구비하고 있다. 모서리부(42)는,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진 제 1 능선(L1)과,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제 1 능선(L1)과 예각 형상으로 교차하는 능선부로서의 제 2 능선(L2)에 끼워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42X)보다 약간 차량 후방측이 되는 도면 중의 2L-2L선으로 절단한 단면(斷面) 형상이 차량 폭방향 안쪽을 향해 개구하여 상하 플랜지를 구비한 해트(hat)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 1 능선(L1)은, 대체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전면(前面)에 배치된 전측 판부(44)와,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 측면에 배치된 제 1 구성부로서의 측면 판부(46)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전측 판부(44)와 측면 판부(46)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판부(46)는, 제 1 능선(L1)을 사이에 두고 전측 판부(44)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판면을 대체로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전술한 후드(24)는, 그 후단(後端)부에 있어서의 차량 폭방향의 양 사이드가 제 1 능선(L1)을 따라 배치되며,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측면 판부(46)와의 사이에 접경부(38)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후드(24)의 외형을 2점쇄선으로 나타냄과 함께 이 후드(24)를 투시한 상태에서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전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 2 능선(L2)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술한 측면 판부(46)와, 측면 판부(46)의 하방측에 배치된 제 3 구성부로서의 하측 판부(48)의 경계부에 형성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측면 판부(46)와 하측 판부(48)에 의해 굴곡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하측 판부(48)는, 필러 상부(18A)의 하단부에 있어서 필러 하부(18B)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제 2 능선(L2)을 사이에 두고 측면 판부(46)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하측 판부(48)는, 차량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판면을 차량 하방 비스듬히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다.
또한,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42X)으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비드(50)를 구비하고 있다. 비드(50)는, 전측 판부(44)의 일부와 하측 판부(48)의 일부로 구성되어 단면(斷面) V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제 1 능선(L1)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비드(50)의 정상부(頂部) 능선은,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4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차량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즉, 비드(50)의 볼록방향의 높이는 제 1 능선(L1)과 제 2 능선(L2)의 교점(32X)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낮아지고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하측 판부(48)의 차량 폭방향 내측단으로부터는 굴곡되어 차량 하방측으로 연장되는 제 2 구성부로서의 내측 판부(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측면 판부(46)와 내측 판부(52)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구체적으로는 측면 판부(46)의 하단부 및 내측 판부(52)의 상단부)는 하측 판부(4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내측 판부(52)는, 그 판면을 대체로 차량 폭방향 외측을 향하게 하고 있고, 측면 판부(46)와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고 있다.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에 있어서의 측면 판부(46)와 내측 판부(52)의 단차는, 펜더 패널(26)의 판 두께의 두배보다 큰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내측 판부(52)는, 측면 판부(46)보다 차량 하방측에 배치됨과 함께, 펜더 패널(26)의 반 의장면측(차량 폭방향 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은, 그 상단 후부의 단연부(56)가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제 2 능선(L2)을 따라 배치되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측면 판부(46)와의 사이에 접경부(40)를 형성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측면 판부(46)는 펜더 패널(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펜더 패널(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는, 접경부(40)측에 배치됨과 함께, 도 2∼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180도 구부러져) 포개져 있다. 단연부(56)의 포개진 부분의 대향면끼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연부(5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 단연부(56)의 접힘선(56L)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제 2 능선(L2)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제 2 능선(L2)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힘선(56L)은 단연부(56)의 접힘 정상부에 의해 형성된 선이다.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에 있어서 접혀서 외벽부(26A)와 포개진 접힘 단말부(56A)는, 내측 종벽부(26Y)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접힘 단말부(56A)와 내측 종벽부(26Y)의 경계부(X)로부터 그 차량 전방측으로 소정 거리 떨어진 부위(Y)까지의 범위에서는, 차량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외벽부(26A)에 대한 개방 각도가 점차 커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내측 종벽부(26Y)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내측 플랜지부(26X)를 에이프런 어퍼멤버(도시 생략)에 고정하는 위치 중 가장 차량 후방측이 되는 위치는, 접힘 단말부(56A)에 근접한 위치로 설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접힘 단말부(56A)의 차량 폭방향으로의 변위가 억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접힘 단말부(56A)는, 차량 후방측의 단말부를 제외하고, 외벽부(26A)와 포개지는 접힘값(접힘선(56L)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균일하게 되어 있다. 접힘 단말부(56A)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단말부는 차량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접힘값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작용·효과)
다음에,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과 같이, 펜더 패널(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는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져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단연부(56)의 접힘선(56L)은,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직선 형상의 제 2 능선(L2)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제 2 능선(L2)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펜더 패널(26)의 단연부(56)는,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최소한으로 억제됨으로써 샤프한 느낌이 부여되면서, 강성도 높아진다. 또한, 접경부(40)를 형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6)과 펜더 패널(26) 사이에 일체감이 얻어진다.
여기에서,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에 대하여 보충설명하면, 예를 들면, 의장 패널의 단부를 접어 다른 패널을 끼워넣는 대비 구조에서는, 다른 패널을 끼우는 분만큼 의장 패널에 있어서의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커져버린다. 이와 같이 곡률반경이 크면, 예를 들면, 의장 패널의 의장면측을 의장면에 수직한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에, R 형상으로 구부러지는 범위(R 형상으로 구부러지기 시작한 부위에서부터 접힘 정상부까지의 범위)가 커지므로, 그 분만큼 접힌 부분의 샤프한 느낌이 저하된다. 이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펜더 패널(26)의 단연부(56)는 다른 패널을 끼워넣지 않고 접혀 있으므로,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억제되어 샤프한 느낌이 향상된다.
또한, 단연부(5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단연부(56)의 포개진 부분이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단연부(56)의 강성이 한층 높아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은, 측면 판부(46)가 펜더 패널(26)과의 사이에 접경부(40)를 형성하고, 내측 판부(52)가 펜더 패널(26)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은, 측면 판부(46)와 내측 판부(52)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가 하측 판부(48)에 의해 연결됨과 함께 측면 판부(46)와 하측 판부(48)의 경계부에 제 2 능선(L2)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56)는, 전술과 같이,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에 있어서의 측면 판부(46)와 내측 판부(52)의 단차를 펜더 패널(26)의 판 두께의 두배 이상 확보할 수 있으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측면 판부(46)의 의장면과 펜더 패널(26)의 의장면을 가지런하게 할 수 있다. 즉,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일부가 펜더 패널(26)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되어도, 접경부(40)의 양측에 배치되는 양 의장면을 단차없이 설정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충설명하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과 펜더 패널(26)은 모두 차체 측부의 외판이므로,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전단부와 펜더 패널(26)의 후부가 차량 폭방향으로 늘어서는 에어리어에서는 양자간의 간격(스페이스)은 작게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고, 예를 들면, 도 4b에 나타내어지는 펜더 패널(126)의 상단 후부의 단연부(156)가 역V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대비 구조에서는, 단연부(156)의 높이 위치 및 차량 폭방향 위치를 본 실시형태의 단연부(56)(도 4a 참조)와 동일하게 하면, 접힘값이 짧아진다. 이와 같이 접힘값이 짧으면 단연부(156)의 강성이 그다지 높아지지 않지 때문에, 차량 주행시 등에 단연부(156)가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내측 판부(52)에 부딪쳐 이음(異音)이 발생해버린다. 또한, 도시를 생략하였으나, 단연부(156)가 접혀있지 않은 구조에 대해서도 동일한 문제가 생긴다.
한편, 대비 구조에 있어서, 단연부(156)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접힘값을 길게 하면, 도면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펜더 패널(126)과 같이, 펜더 패널(126)과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에 의해 형성하는 접경부(140)의 상하에서 의장면에 단차가 생겨버린다. 또한, 대비 구조에 있어서, 이음이 생기지 않도록, 단연부(156)의 접힘값은 그대로이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의 내측 판부(52)와 단연부(156)의 거리를 길게 한 경우도, 접경부(140)의 상하에서 의장면에 단차가 생겨버린다. 이들과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에 인접하는 펜더 패널(126)의 단부의 의장면이 일단(一段) 높아지는 구조에서는, 접경부(140)의 외관 품질(겉모양)이 좋지 않다.
또한, 대비 구조에 있어서, 단연부(156)의 접힘값을 길게 하며 또한 접경부(140)의 상하에서 의장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면 중의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단연부(156)와 같이 높이 위치를 낮추면, 단연부(156)와 측면 판부(46)의 간격이 지나치게 커진다. 이 경우, 단연부(156)와 측면 판부(46)의 사이에 큰 오목부가 형성되어버리므로, 외관 품질(겉모양)이 좋지 않다.
이들에 대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구성에 의해, 도 4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16)과 펜더 패널(26) 사이의 간격이 좁아도, 단연부(56)의 강성이 확보되면서, 접경부(40)의 상하에서 단차가 없는 의장면의 형성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사이드 아우터 패널(16)과 펜더 패널(26) 사이에 틈이 확보되면서 단연부(56)의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이음의 발생이 방지되거나 또는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단연부(56)의 강성이 확보됨으로써, 충돌시의 에너지 흡수 성능 나아가서는 보행자 보호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에 의하면, 접경부(40)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40)를 구성하는 펜더 패널(26)의 일단(상단 후부의 단연부(5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 대하여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의장 패널로서의 도어 아우터 패널(62)과 제 2 의장 패널로서의 펜더 패널(26)의 접경부(64)에 적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사이드 도어(30)는, 그 전부가 도어 힌지부(도시 생략)를 통해 프런트 필러(18)의 필러 하부(18B)에 장착되어 있다. 이 사이드 도어(30)는, 그 외판을 구성하는 도어 아우터 패널(62)과, 도어 아우터 패널(62)에 대해 차실측에 배치되어 사이드 도어(30)의 내판을 구성하는 도어 이너 패널(도시 생략)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62)은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62)의 외주부는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외주부에 헤밍 가공에 의해 결합되어 있다.
또한, 도어 아우터 패널(62)의 전단부에는, 헤밍 가공에 의해 절곡되어 차량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능선부로서의 전측 능선(62L)이 형성되어 있다. 도어 아우터 패널(62)은, 그 차량 전방측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26)과의 사이에 접경부(64)를 형성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은, 접경부(64)측(즉 차량 후방측)의 단연부(66)가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180도 구부러져) 포개져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펜더 패널(26)의 후단부의 일부를 컷아웃하여 단연부(66)의 단면(斷面)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단연부(66)의 포개진 부분의 대향면끼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연부(6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 단연부(66)의 접힘선(66L)은, 도어 아우터 패널(62)의 전측 능선(62L)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전측 능선(62L)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힘선(66L)은 단연부(66)의 접힘 정상부에 의해 형성된 선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단연부(66)에 있어서 접혀서 외벽부(26A)와 포개진 접힘 단말부(66A)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상단 후부의 단연부(56)의 접힘 단말부(56A)와는 비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펜더 패널(26)의 상단과 후단이 교차하는 코너부(26C)에는 단연부(56, 66)의 접힘에 기인한 변형이 생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접힘 단말부(66A)의 차량 상하방향(접힘선(66L)을 따른 방향)의 중간부는, 외벽부(26A)와 포개지는 접힘값(접힘선(66L)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균일하게 되어 있다. 접힘 단말부(66A)에 있어서의 차량 상방측의 단말부는, 차량 상방측을 향함에 따라 접힘값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또한, 접힘 단말부(66A)에 있어서의 차량 하방측의 단말부는, 차량 하방측을 향함에 따라 접힘값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단연부(66)는,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최소한으로 억제됨으로써 샤프한 느낌이 부여되면서, 강성도 높아진다. 또한, 단연부(6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단연부(66)의 포개진 부분이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단연부(66)의 강성이 한층 높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60)에 의하면, 접경부(64)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64)를 구성하는 펜더 패널(26)의 일단(차량 후방측의 단연부(6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70)에 대하여 도 1 및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70)는,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제 1 의장 패널로서의 램프 렌즈(72)와 제 2 의장 패널로서의 펜더 패널(26)의 접경부(74)에 적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헤드 램프(36)는, 차량 전방의 조사용이고, 광원(도시 생략)을 수용하는 하우징(도시 생략)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의 차량 전방측의 개구부에 램프 렌즈(72)가 배치되어 있다. 램프 렌즈(72)는, 투명한 경질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있다. 이 램프 렌즈(72)는, 의장면을 구성하는 렌즈 본체(72A)와, 렌즈 본체(72A)의 외주 후단부에서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피장착부(도시 생략)를 구비하고 있다.
렌즈 본체(72A)의 상단부에는, 차량 폭방향 내측을 향해 차량 전방측으로 경사지는 직선 형상의 능선부로서의 상단 능선(72L)이 형성되어 있다. 램프 렌즈(72)의 렌즈 본체(72A)는, 그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26)과의 사이에 접경부(74)를 형성하고 있다.
도 1 및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은, 접경부(74)측(즉 차량 전단부측)의 단연부(76)가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180도 구부러져) 포개져 있다. 단연부(76)의 포개진 부분의 대향면끼리는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단연부(7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이 단연부(76)의 접힘선(76L)은, 램프 렌즈(72)의 상단 능선(72L)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상단 능선(72L)을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접힘선(76L)은 단연부(76)의 접힘 정상부에 의해 형성된 선이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차량 전단부측의 단연부(76)에 있어서 접혀서 외벽부(26A)와 포개진 접힘 단말부(76A)는, 펜더 패널(26)의 상단부의 내측 종벽부(26Y)와는 비연속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펜더 패널(26)의 상단과 전단이 교차하는 코너부(26D)에는 상단부의 절곡 및 단연부(76)의 접힘에 기인한 변형이 생기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접힘 단말부(76A)의 접힘선(76L)을 따른 방향의 중간부는, 외벽부(26A)와 포개지는 접힘값(접힘선(76L)에 직교하는 방향의 길이)이 균일하게 되어 있다. 접힘 단말부(76A)에 있어서의 차량 전방측의 단부는, 차량 전방측을 향함에 따라 접힘값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또한, 접힘 단말부(76A)에 있어서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는, 차량 후방측을 향함에 따라 접힘값이 점차 작아지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펜더 패널(26)에 있어서의 차량 전단부측의 단연부(76)는, 접힌 부분의 외주면의 곡률반경이 최소한으로 억제됨으로써 샤프한 느낌이 부여되면서, 강성도 높아진다. 또한, 단연부(76)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으므로, 단연부(76)의 포개진 부분이 일체화된다. 이 때문에, 단연부(76)의 강성이 한층 높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에 나타내어지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70)에 의하면, 접경부(74)에 샤프한 느낌을 부여하면서 당해 접경부(74)를 구성하는 펜더 패널(26)의 일단(차량 전단부측의 단연부(76))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보충설명]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펜더 패널은, 예를 들면, 그 뒤쪽 상부에 삼각창용(三角窓用)으로서 차량 후방측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도려내어지도록 컷아웃된 컷아웃부가 형성된 펜더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펜더 패널은, 예를 들면, 그 앞쪽 상부에 헤드 램프의 램프 렌즈 배치용으로서 차량 전방측으로부터 오목 형상으로 도려내어지도록 컷아웃된 컷아웃부가 형성된 펜더 패널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제 1 의장 패널이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되고, 제 2 의장 패널은, 상측의 단연부가 사이드 아우터 패널과의 사이에 접경부를 형성하는 수지제의 로커 몰딩이 되어도 된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리어측의 도어 개구부에 있어서의 뒤쪽 하부의 하방측에 직선 형상의 능선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로커 몰딩은,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함과 함께,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진 단연부를 상기 접경부측에 구비하고, 그 단연부의 접힘선이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의 능선부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상기 능선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용접 등으로 서로 접합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다른 변형예로서,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지 않은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이외에도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No.2012-252575의 개시는, 그 전체가 참조에 의해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Claims (4)

  1.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하고, 직선 형상의 능선부를 구비한 제 1 의장 패널(16, 62, 72);
    차량의 의장면을 구성함과 함께 상기 제 1 의장 패널과의 사이에 접경부를 형성하며, 반 의장면측으로 접혀 포개진 단연부를 상기 접경부측에 구비하고, 상기 단연부의 접힘선이 상기 능선부에 인접 배치되며 또한 상기 능선부를 따라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 2 의장 패널(26);을 가지고,
    상기 단연부의 포개진 부분이 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10).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장 패널은,
    상기 제 2 의장 패널과의 사이에 상기 접경부를 형성하는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2 의장 패널의 반 의장면측에 인접하여 대향 배치된 제 2 구성부와,
    상기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2 구성부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끼리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제 1 구성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능선부가 형성된 제 3 구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의장 패널이 차체 측부를 구성하는 사이드 아우터 패널이 됨과 함께, 상기 제 2 의장 패널이 차체 전부 측면에 배치되는 펜더 패널이 되고,
    상기 펜더 패널은, 그 상단 후부에 상기 단연부의 접힘선을 구비하며,
    상기 사이드 아우터 패널은, 그 전단부에서 상기 펜더 패널의 상단 후부의 상방측에 배치된 상기 제 1 구성부와, 상기 제 1 구성부보다 차량 하방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구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경부 구조.
KR1020157005071A 2012-11-16 2013-09-24 차량의 접경부 구조 KR1016682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52575 2012-11-16
JP2012252575A JP5772793B2 (ja) 2012-11-16 2012-11-16 車両の見切り部構造
PCT/JP2013/075736 WO2014077034A1 (ja) 2012-11-16 2013-09-24 車両の見切り部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8424A KR20150038424A (ko) 2015-04-08
KR101668256B1 true KR101668256B1 (ko) 2016-10-21

Family

ID=50730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071A KR101668256B1 (ko) 2012-11-16 2013-09-24 차량의 접경부 구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69876B2 (ko)
EP (1) EP2878520B1 (ko)
JP (1) JP5772793B2 (ko)
KR (1) KR101668256B1 (ko)
CN (1) CN104583061B (ko)
CA (1) CA2883509C (ko)
WO (1) WO20140770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D185577S (zh) * 2016-04-21 2017-09-21 Bmw股份有限公司 汽車用前保險桿
USD861552S1 (en) * 2017-04-21 2019-10-01 Jaguar Land Rover Limited Rear bumper
ZAA201701738S (en) * 2017-05-10 2019-03-2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Motor vehicles
USD882471S1 (en) * 2017-05-11 2020-04-28 Jaguar Land Rover Limited Wing mirror for a vehicle
USD876999S1 (en) * 2017-05-17 2020-03-03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front bumper upper
USD845850S1 (en) * 2017-06-30 2019-04-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USD853897S1 (en) * 2017-07-11 2019-07-1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iator grille for a vehicle
USD859211S1 (en) * 2017-08-29 2019-09-10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USD867236S1 (en) * 2017-08-30 2019-11-19 Jaguar Land Rover Limited Vehicle hood
USD853925S1 (en) * 2017-09-06 2019-07-16 Jaguar Land Rover Limited Front door for a vehicle
USD865605S1 (en) * 2017-09-06 2019-11-05 Jaguar Land Rover Limited Rear tailgate for a vehicle
USD863159S1 (en) * 2017-09-06 2019-10-15 Fca Us Llc Fender flare
USD856878S1 (en) * 2017-10-23 2019-08-20 Streetcar ORV LLC Wheel flare
USD857571S1 (en) * 2017-10-23 2019-08-27 Streetcar ORV LLC Wheel flare
USD858386S1 (en) * 2017-10-27 2019-09-03 Naade, Inc. Vehicular fender
USD856879S1 (en) * 2017-10-31 2019-08-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3914S1 (en) * 2017-11-01 2019-07-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0341S1 (en) * 2017-11-07 2019-06-0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73193S1 (en) * 2017-11-10 2020-01-21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ailgate for a vehicle
USD873192S1 (en) * 2017-11-16 2020-01-21 Jaguar Land Rover Limited Fender vent for a vehicle
USD875006S1 (en) * 2017-11-16 2020-02-11 Turn 5, Inc. Set of fender flares
USD843284S1 (en) * 2017-11-17 2019-03-19 Jaguar Land Rover Limited Fender for a vehicle
USD887933S1 (en) * 2017-11-17 2020-06-23 Fca Us Llc Side panel
USD854988S1 (en) * 2017-11-28 2019-07-3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55520S1 (en) * 2017-12-12 2019-08-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66418S1 (en) * 2017-12-13 2019-11-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USD838642S1 (en) * 2017-12-21 2019-01-22 V Daniel J. Sullivan Fender for a motor vehicle
USD866423S1 (en) * 2018-01-09 2019-11-12 Honda Motor Co., Ltd. Fender
USD864812S1 (en) * 2018-01-09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91332S1 (en) * 2018-01-12 2020-07-28 Paccar Inc Truck air dam
USD854990S1 (en) * 2018-01-12 2019-07-30 Honda Motor Co., Ltd. Fender
USD864813S1 (en) * 2018-01-26 2019-10-2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JP6943198B2 (ja) * 2018-02-08 2021-09-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ピラー構造
USD870621S1 (en) * 2018-03-06 2019-12-24 Robert Roy McMath Pair of rear inside fenders
USD883155S1 (en) * 2018-03-28 2020-05-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ender
USD878261S1 (en) * 2018-04-24 2020-03-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859248S1 (en) * 2018-05-31 2019-09-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front fender
USD871985S1 (en) * 2018-06-08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929916S1 (en) * 2018-06-29 2021-09-07 Zoox, Inc. Fender
USD958033S1 (en) * 2018-07-16 2022-07-19 Daimler Ag Wheel enclosure for a vehicle
USD861561S1 (en) 2018-10-03 2019-10-01 Bodyguard Products LLC Fender flare
US11273873B2 (en) 2018-10-03 2022-03-15 Bodyguard Products LLC Fender flare
FR3089478B1 (fr) * 2018-12-06 2020-11-13 Psa Automobiles Sa Aménagement de tôleries pour prévenir une coulure de liquide de cataphorèse dans une gouttière d’entrée de volet
USD920866S1 (en) * 2019-07-16 2021-06-01 Omix-Ada, Inc. Front flare
USD920867S1 (en) * 2019-07-16 2021-06-01 Omix-Ada, Inc. Rear flare
USD919520S1 (en) * 2019-08-02 2021-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fender
USD953946S1 (en) * 2020-02-28 2022-06-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ear bumper for a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959A (ja) * 2000-05-29 2001-12-04 Mazda Motor Corp 車両前部の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9428A (en) * 1926-11-13 1927-04-21 William Henry Barker Improvements in pit tubs, corves and the like
JPS6124453Y2 (ko) * 1980-11-20 1986-07-22
JPS5861326U (ja) * 1981-10-21 1983-04-25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外板の接合構造
JPS58101875A (ja) * 1981-12-10 1983-06-17 Nissan Motor Co Ltd 自動車のフエンダ
JPS60165268U (ja) * 1984-04-13 1985-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ロントフエンダプロテクタ
KR19980042584U (ko) * 1996-12-24 1998-09-2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필러와 프론트펜더의 조립구조
JP4206878B2 (ja) 2003-09-22 2009-01-14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自動車のフェンダパネルの取付構造
JP2008087616A (ja) * 2006-10-02 2008-04-17 Suzuki Motor Corp カウルトップサイドガーニッシュとフェンダパネルとの取付け構造
JP4638926B2 (ja) * 2008-07-30 2011-0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側部構造
JP5820624B2 (ja) 2011-06-03 2015-11-24 アプリックスIp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ラおよびワイヤレスコントロール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34959A (ja) * 2000-05-29 2001-12-04 Mazda Motor Corp 車両前部の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772793B2 (ja) 2015-09-02
CA2883509A1 (en) 2014-05-22
US9669876B2 (en) 2017-06-06
CA2883509C (en) 2018-03-13
CN104583061A (zh) 2015-04-29
WO2014077034A1 (ja) 2014-05-22
CN104583061B (zh) 2017-02-22
EP2878520B1 (en) 2018-10-24
EP2878520A1 (en) 2015-06-03
EP2878520A4 (en) 2015-09-16
KR20150038424A (ko) 2015-04-08
JP2014100954A (ja) 2014-06-05
US20150259012A1 (en) 2015-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8256B1 (ko) 차량의 접경부 구조
JP5742817B2 (ja) 車両の見切り部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9592856B2 (en) Upper vehicle-body structure of vehicle
JP5141834B2 (ja) 車体構造
JP6026091B2 (ja) 車両用ドアフレーム
WO2013035734A1 (ja) 車両用ドア
US20190126986A1 (en) Vehicle pillar structure
JP6816676B2 (ja) 車体上部構造
US9573559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vehicle
CN107683240B (zh) 结构车顶以及配备有此类车顶的车辆
JP6237669B2 (ja) 車両の上部車体構造
CN110809548B (zh) 车辆的车顶结构体
JP5383839B2 (ja) 車両のドアフレーム構造
CN112677922B (zh) 车辆的前部结构
JP6972908B2 (ja) フロントバンパ構造
JP7172205B2 (ja) 車両用フロントピラーの周辺構造
JP7367555B2 (ja) 車両用フード
JP7103118B2 (ja) 車両の側部ドア構造
JP4053488B2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構造
JP6037719B2 (ja) 車両用ドアの接合構造
JP7427911B2 (ja) 車両の前部構造
KR101922170B1 (ko) 차량용 수지제 테일게이트
JP2023158518A (ja) 車両用ガラスモール周辺構造
JP2018172048A (ja) 車両用バックドア
JP2016078697A (ja) 車両のデッキガーニッシュ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