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488B1 - 고굴절률 유리 - Google Patents
고굴절률 유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38488B1 KR101638488B1 KR1020157019675A KR20157019675A KR101638488B1 KR 101638488 B1 KR101638488 B1 KR 101638488B1 KR 1020157019675 A KR1020157019675 A KR 1020157019675A KR 20157019675 A KR20157019675 A KR 20157019675A KR 101638488 B1 KR101638488 B1 KR 1016384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ss
- bao
- glass
- refractive index
- cao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1
- 229910021193 La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0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1
- 229910018068 Li 2 O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7500 overflow downdraw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3280 down draw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29910010413 T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6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52
- 238000004031 devit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6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9000006060 molten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29910006404 Sn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7788 roug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088 Archimedes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6066 glass bat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17 polish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017 vit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287 alkaline earth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85 arseni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738 chel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9477 glass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754 rep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372 rollout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88 sandbl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9 refractory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0 to 30% of B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62—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 C03C3/06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68—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less than 4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rare earth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 C03C3/08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 C03C3/08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aluminium oxide or an iron compound containing an oxide of a divalent metal containing calcium oxide, e.g. common sheet or container glas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89—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 C03C3/091—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 C03C3/093—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boron containing aluminium containing zinc or zirc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5—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rare earths
-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C—CHEMICAL COMPOSITION OF GLASSES, GLAZES OR VITREOUS ENAMELS; SURFACE TREATMENT OF GLASS; SURFACE TREATMENT OF FIBRES OR FILAMENTS MADE FROM GLASS, MINERALS OR SLAGS; JOINING GLASS TO GLASS OR OTHER MATERIALS
- C03C3/00—Glass compositions
- C03C3/04—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 C03C3/076—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 C03C3/097—Glass compositions containing silica with 40% to 90% silica, by weight containing phosphorus, niobium or tantalu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4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 H01L31/03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 H01L31/0392—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semiconductor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crystalline planes including thin films deposited on metallic or insulating substrates ; characterised by specific substrate materials or substrate features or by the presence of intermediate layers, e.g. barrier layers, on the substrate
-
- H01L51/5262—
-
- H01L51/5275—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1/00—Properties of the organic materials covered by group H10K85/00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고굴절률 유리이고,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을 0.1∼60질량% 함유하고,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5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0,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01∼40, 굴절률(nd)이 1.55∼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굴절률 유리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면 유기 EL 디바이스, 특히 유기 EL 조명에 바람직한 고굴절률 유리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기 발광 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조명이 점점 주목받고 있다. 이들 유기 EL 디바이스는 ITO 등의 투명 도전막이 형성된 기판에 의해, 유기 발광 소자가 끼워진 구조를 갖는다(예를 들면, 일본 공표특허공보 특표2009-531811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0-198797호). 이 구조에 있어서, 유기 발광 소자에 전류가 흐르면, 유기 발광 소자 중의 정공과 전자가 회합해서 발광한다. 발광한 광은 ITO 등의 투명 도전막을 통하여 기판 중에 진입하고, 기판내에서 반사를 반복하면서 외부로 방출된다.
그런데, 유기 발광 소자의 굴절률(nd)은 1.8∼1.9이고, ITO의 굴절률(nd)은 1.9∼2.0이다. 이것에 대하여 기판의 굴절률(nd)은 통상 1.5정도이다. 이 때문에, 종래의 유기 EL 디바이스는 기판-ITO 계면의 굴절률 차에서 기인해서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유기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한 광을 높은 효율로 취출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유기 발광 소자나 ITO의 굴절률에 정합할 수 있는 고굴절률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1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을 0.1∼60질량% 함유하고,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5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0,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01∼40, 굴절률(nd)이 1.55∼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기 발광 소자나 ITO의 굴절률에 정합되기 쉬워지고, 또한 내실투성을 높이기 쉬워진다.
여기서, 「굴절률(nd)」은 굴절률 측정기로 측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25mm× 25mm × 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서랭점(Ta) + 30℃)부터 (변형점 - 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이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를 사용함으로써 측정 가능하다. 「서랭점(Ta)」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SiO2 + Al2O3 + B2O3」는 SiO2, Al2O3, 및 B2O3의 합량을 나타낸다.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는 BaO, La2O3, Nb2O5, TiO2 및 ZrO2의 합량을 나타낸다. 「MgO + CaO + SrO + BaO」는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을 나타낸다.「TiO2 + ZrO2」는 TiO2와 ZrO2의 합량을 나타낸다. 「BaO + La2O3 + Nb2O5」는 BaO, La2O3 및 Nb2O5의 합량을 나타낸다.
제 2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액상 점도가 103. 0d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상 점도」는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액상 온도」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은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서 24시간 유지하여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유기 EL 조명 등에는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의 약간의 차이에 의해, 전류 인가시의 전류 밀도가 변화되고, 조도의 불균일을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 표면을 연마하면, 가공 코스트가 고등(高騰)한다고 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액상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하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하기 쉬워지고, 결과적으로, 미연마로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유리판을 제작하기 쉬워진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용융 유리를 내열성의 홈통상 구조물의 양측으로부터 넘치게 해서, 넘친 용융 유리를 홈통상 구조물의 하단에서 합류시키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해서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 3 으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색소증감형 태양 전지 등의 각종 디바이스의 기판에 적용하기 쉬워진다. 또한, 「판상」은 판두께가 작은 필름상의 것을 포함한다.
제 4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또는 슬롯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롯 다운드로우법」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간극으로부터 용융 유리를 흘리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하고,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 5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적어도 한쪽의 면이 미연마이고, 또한 미연마면의 표면 조도(Ra)가 10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표면 조도(Ra)」는 JIS B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제 6 으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조명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조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태양 전지, 특히 색소 증감형 태양 전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 로, 제 1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2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2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5∼50%, SiO2 + Al2O3 + B2O3 20∼5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5,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1.5, 질량비(TiO2 + ZrO2)/ (BaO + La2O3 + Nb2O5)가 0.05∼2, 굴절률(nd)이 1.6∼2.2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3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3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이고, 굴절률(nd)이 1.6 이상, 액상 점도가 104. 0dPa·s 이상, 적어도 한쪽 면의 표면 조도(Ra)가 10Å 이하, 두께가 0.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4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0∼60%, B2O3 0∼5%, BaO 0.1∼60%, La2O3 + Nb2O5 0.1∼40%, Li2O + Na2O + K2O 0∼1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5, 변형점이 600℃이상, 굴절률(nd)이 1.55∼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기 발광 소자나 ITO의 굴절률이 정합되기 용이함과 아울러, 내열성을 높이기 용이해진다. 또한, 내실투성을 높이기 용이해지고, 또한 ITO, FTO 등의 투명 도전막의 열팽창 계수에 정합되기 용이해진다.
그런데, 유기 EL 발광 소자를 사용한 디스플레이(OLED 등)에서는 전자의 이동도, TFT 특성의 관점으로부터, p-Si·TFT에 의한 구동이 주류가 되고 있다. p-Si·TFT의 제조공정에는 400∼600℃의 열처리 공정이 존재하지만, 이 열처리 공정에서, 유리에 열수축이라 불리는 미소한 치수 수축이 발생하고, 이것이 TFT의 화소 피치의 엇갈림을 야기하고, 표시 불량의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특히, 최근에는 다안식의 3D 디스플레이도 등장하고, 자연스러운 입체상을 얻기 위해서, 2K∼4K 이상의 고해상도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고 있다. 디스플레이의 해상도가 높아지면, 수 ppm 정도의 치수 수축에서도 표시 불량이 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고굴절률 유리는 내열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고온의 열처리를 행하면, 표시 불량의 원인이 되는 열수축을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열성을 용이하게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과제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변형점」은 ASTM C336-71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굴절률(nd)」은 굴절률 측정기로 측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25mm × 25mm × 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서랭점(Ta)+30℃)부터 (변형점-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이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을 사용함으로써 측정가능하다.「서랭점(Ta)」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La2O3 + Nb2O5」는 La2O3과 Nb2O5의 합량이다. 「Li2O + Na2O + K2O」는 Li2O, Na2O, 및 K2O의 합량이다. 「MgO + CaO」는 MgO와 CaO의 합량이다. 「SrO + BaO」는 SrO와 BaO의 합량이다.
제 2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액상 점도가 103. 0d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상 점도」는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의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액상 온도」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서 24시간 유지하여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유기 EL 조명 등에는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의 작은 차이에 의해, 전류 인가시의 전류 밀도가 변화되고, 조도의 불균일을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 표면을 연마하면, 가공 코스트가 고등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액상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하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하기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미연마로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유리판을 제작하기 용이해진다.
제 3 으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5∼60%, B2O3 0∼5%, BaO 0.1∼40%, La2O3 + Nb2O5 0.1∼30%, Li2O + Na2O + K2O 0∼5%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5, 변형점이 630℃ 이상, 굴절률(nd)이 1.55∼2.2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0∼60%, B2O3 0∼5%, BaO 5∼40%, La2O3 + Nb2O5 0.1∼25%, Li2O + Na2O + K2O 0∼3%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BaO)의 값이 0∼0.4, 변형점이 650℃ 이상, 굴절률(nd)이 1.55∼2.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밀도가 4.0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 6 으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유기 EL 디스플레이, 유기 EL 조명, 색소 증감형 태양 전지 등의 각종 디바이스의 기판에 적용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판상」은 판두께가 작은 필름상의 것을 포함한다.
제 7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또는 슬롯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용융 유리를 내열성의 홈통상 구조물의 양측으로부터 넘치게 해서, 넘친 용융 유리를 홈통상 구조물의 하단으로 합류시키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해서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또한, 「슬롯 다운드로우법」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간극으로부터 용융 유리를 흘리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해서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 8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적어도 한쪽 면이 미연마이고, 그 미연마면의 표면 조도(Ra)가 10Å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표면 조도(Ra)」는 JIS B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제 9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조명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 으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조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1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태양 전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2 로, 제 4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5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5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5∼60%, B2O3 0∼5%, BaO 20∼40%, La2O3 0.1∼10%, Nb2O5 0.1∼10%, La2O3 + Nb2O5 0.1∼20%, Li2O + Na2O + K2O 0∼0.1%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2, 굴절률(nd)이 1.55∼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6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6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이고,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고, 굴절률(nd)이 1.55∼2.0, 변형점이 630℃ 이상, 액상 점도가 104dPa·s 이상,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가 45×10-7/℃∼95×10-7/℃, 두께가 0.05∼1.5mm, 적어도 한쪽 면의 표면 조도(Ra)가 30Å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음」은 유리 조성 중의 PbO의 함유량이 1000ppm(질량) 미만인 것을 나타낸다.「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로 측정 가능하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7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20∼70%, SiO2 20∼70%, B2O3 0∼30%, MgO + CaO + SrO + BaO 0∼5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0∼30%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0.1∼6,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1∼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하면, 유기 발광 소자나 ITO의 굴절률에 정합되기 용이해진다. 또는 내실투성이 향상하기 용이해지고, 또한 밀도가 저하하기 용이해진다.
여기서, 「굴절률(nd)」은 굴절률 측정기로 측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25mm × 25mm × 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서랭점(Ta)+30℃)부터 (변형점-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이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을 사용함으로써 측정 가능하다.「서랭점(Ta)」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SiO2 + Al2O3 + B2O3」은 SiO2, Al2O3, 및 B2O3의 합량을 나타낸다.「MgO + CaO + SrO + BaO」는 MgO, CaO, SrO 및 BaO의 합량을 나타낸다.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는 BaO, La2O3, Nb2O5, ZrO2 및 TiO2의 합량을 나타낸다. 「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는 MgO, CaO, SrO, BaO, La2O3 및 Nb2O5의 합량을 나타낸다. 「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는 MgO, CaO, SrO, BaO, La2O3, Nb2O5 및 Gd2O3의 합량을 나타낸다.
제 2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액상 점도가 103. 0d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액상 점도」는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액상 온도」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서 24시간 유지하고,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유기 EL 조명 등에는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의 작은 차이에 의해, 전류 인가시의 전류 밀도가 변화되고, 조도의 불균일을 야기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리판의 표면 평활성을 높이기 위해서, 유리 표면을 연마하면, 가공 코스트가 고등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액상 점도를 상기 범위로 하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하기 용이해지고, 결과적으로, 미연마로 표면 평활성이 양호한 유리판을 제작하기 용이해진다. 여기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용융 유리를 내열성의 홈통상 구조물의 양측으로부터 넘치게 해서, 넘친 용융 유리를 홈통상 구조물의 하단에서 합류시키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해서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 3 으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30∼70%, SiO2 30∼70%, B2O3 0∼15%, MgO + CaO + SrO + BaO 5∼45%,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15∼30%, 몰비 B2O3/SiO2가 0∼1, 몰비 SiO2/ (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0.5∼5, 몰비(MgO + CaO + SrO + BaO)/ (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3∼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4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40∼70%, SiO2 40∼70%, B2O3 0∼10%, MgO + CaO + SrO + BaO 10∼4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15∼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1∼3,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5∼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 5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밀도가 4.5g/cm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EL 조명 등은 천장에 끼워 넣어지는 타입 외에도, 천장으로부터 달아 매는 타입도 있는다. 이 때문에, 작업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디바이스의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밀도를 상기 범위로 하면,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용이해진다. 여기서,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 6 으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또는 슬롯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슬롯 다운드로우법」은 대략 사각형 형상의 간극으로부터 용융 유리를 흘려내면서, 하방으로 연신 성형하고, 유리판을 성형하는 방법이다.
제 7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조명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8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조명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9 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태양 전지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0 으로, 제 7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조성 범위와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8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8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60∼70%, SiO2 60∼70%, B2O3 0∼1%, MgO + CaO + SrO + BaO 25∼3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15∼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1.5∼2.5,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8∼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 밀도가 4.5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자 등은,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유리 특성을 소정 범위로 규제함으로써,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제 9 발명으로서, 제안하는 것이다. 즉, 제 9 발명의 고굴절률 유리는 PbO를 함유하지 않고, 굴절률이 1.55∼2.0, 액상 점도가 103. 0dPa·s 이상, 밀도가 4.0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발광 소자나 ITO의 굴절률에 정합할 수 있는 고굴절률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
제 1 발명의 일실시형태(이하, 제 1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 실시형태는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의 실시형태를 겸한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을 0.1∼60질량% 함유하고,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5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0,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01∼40이다. 이렇게 각 성분의 함유 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함유 범위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는 특별히 언급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질량%를 나타낸다.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0.1∼60%이다.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망상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져, 유리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상, 10% 이상, 12%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28% 이상, 35% 이상, 특히 40% 이상이다. 한편,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융성, 성형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6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53% 이하, 50% 이하, 49% 이하, 48% 이하, 특히 45% 이하이다.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는 0.1∼50이다.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작아지면,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의 하한치는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2 이상, 0.3 이상, 0.5 이상, 0.6 이상, 특히 0.7 이상이다. 한편,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커지면, 유리화가 곤란해짐과 아울러 유리의 점성이 극단적으로 저하하고,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의 상한치는 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3 이하, 2 이하, 1.8 이하, 1.6 이하, 1.3 이하, 1.1 이하, 특히 1.0 이하이다.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는 0∼10이다.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커지면, 내실투성이 향상하지만, 그 값이 10을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내실투성이 저하하거나, 굴절률(nd)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은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 3 이하, 2 이하, 1.5 이하, 1.4 이하, 1.3 이하, 1.2 이하, 1.1 이하, 특히 1 이하이다. 또한,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작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는 0.1 이상, 0.3 이상, 0.4 이상, 0.5 이상, 0.6 이상, 특히 0.7 이상이 바람직하다.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는 0.001∼40이다.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적어지면,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움과 아울러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는 0.0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005 이상, 0.01 이상, 0.05 이상, 0.1 이상, 0.15 이상, 0.18 이상, 특히 0.2 이상이다. 한편,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커지면, 고굴절률을 유지하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용이해지지만,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40을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드려서, 반대로 액상 점도가 저하하기 용이해진다. 따라서, 질량비 (TiO2 + ZrO2)/(BaO + La2O3 + Nb2O5)는 4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13 이하, 10 이하, 7 이하, 5 이하, 2 이하, 1.6 이하, 1.3 이하, 1 이하, 0.8 이하, 특히 0.5 이하이다.
SiO2의 함유량은 0.1∼60%가 바람직하다. SiO2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망상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져, 유리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0.1% 이상, 3% 이상, 5% 이상, 10% 이상, 12%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28% 이상, 35% 이상, 특히 40%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S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융성, 성형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60% 이하, 55% 이하, 53% 이하, 52% 이하, 50% 이하, 49% 이하, 48% 이하, 특히 45% 이하가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은 0∼20%가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유리에 실투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져서, 액상 점도가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20% 이하, 15% 이하, 10% 이하, 8% 이하, 특히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Al2O3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0.1% 이상, 0.5% 이상, 특히 1% 이상이 바람직하다.
B2O3의 함유량은 0∼10%가 바람직하다. B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이나 신장탄성률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2O3의 함유량은 10% 이하, 8% 이하, 4% 이하, 2% 미만, 특히 1% 미만이 바람직하다.
MgO는 굴절률(nd), 영률,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임과 아울러 고온 점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MgO를 함유시키면, 액상 온도가 상승하고, 내실투성이 저하하거나, 밀도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아진다. 따라서, MgO의 함유량은 10% 이하, 5% 이하, 3% 이하, 2% 이하, 1.5% 이하, 1% 이하, 특히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은 0∼15%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아지기 쉽고, 그 함유량이 15%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15% 이하, 12% 이하, 10% 이하, 9% 이하, 특히 8.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C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거나, 영률이 저하하거나,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특히 5% 이상이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은 0∼15%가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아지기 쉽고, 그 함유량이 15%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15% 이하, 12% 이하, 10% 이하, 9% 이하, 8% 이하, 특히 7%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Sr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특히 3.5% 이상이 바람직하다.
MgO + CaO + SrO의 함유량은 굴절률(nd)를 높이면서, 높은 액상 점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0∼50%가 바람직하다. MgO + CaO + Sr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MgO + CaO + SrO의 함유량은 50% 이하, 45% 이하, 30% 이하, 20% 이하, 특히 1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MgO + CaO + Sr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MgO + CaO + SrO의 함유량은 5% 이상, 8% 이상, 10% 이상, 특히 11% 이상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MgO + CaO + SrO」는 MgO, CaO 및 SrO의 합량을 나타낸다.
BaO는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 중에서는 유리의 점성을 극단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고, 그 함유량은 0∼50%가 바람직하다. B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BaO의 함유량이 5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50% 이하, 40% 이하, 35% 이하, 32% 이하, 29.5% 이하, 29% 이하, 특히 28%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B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소망의 굴절률(nd)을 얻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3% 이상, 특히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La2O3은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La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La2O3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2%, 0.1∼18%, 1∼14%, 2∼12%, 특히 3∼10%이다.
Nb2O5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Nb2O5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Nb2O5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2%, 0.1∼18%, 1∼14%, 2∼12%, 특히 3∼10%이다.
Ti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T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Ti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1∼22%, 1∼18%, 2∼14%, 3∼12%, 특히 4∼10%이다.
Zr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Zr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Zr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0%, 0.1∼10%, 0.1∼8%, 0.1∼6%, 특히 0.1∼5%이다.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를 소정량 첨가하면, 내실투성의 저하를 억제하면서, 굴절률(nd)을 높일 수 있다.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의 함유량은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28% 이상, 33% 이상, 특히 35% 이상이 바람직하다. 한편,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의 함유량은 65% 이하, 60% 이하, 58% 이하, 55% 이하, 50% 이하, 45% 이하, 특히 41%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이외에도, 임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Li2O + Na2O + K2O는 유리의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고, 또한 열팽창 계수를 조정하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Li2O + Na2O + K2O의 함유량은 15% 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Li2O, Na2O, K2O의 함유량은 각각 10% 이하, 8%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Li2O + Na2O + K2O」는 Li2O, Na2O, 및 K2O의 합량을 나타낸다.
청등제로서, As2O3, Sb2O3, CeO2, SnO2, F, Cl, SO3의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3% 첨가할 수 있다. 단, As2O3, Sb2O3, 및 F, 특히 As2O3 및 Sb2O3은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함유량은 0.1%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면, 청등제로서, SnO2, SO3 및 Cl이 바람직하다. 특히, SnO2의 함유량은 0∼1%, 0.01∼0.5%, 특히 0.05∼0.4%가 바람직하다. 또한, SnO2 + SO3 + Cl의 함유량은 0∼1%, 0.001∼1%, 0.01∼0.5%, 특히 0.01∼0.3%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SnO2 + SO3 + Cl」은 SnO2, SO3 및 Cl의 합량을 나타낸다.
PbO는 고온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다」란 유리 조성 중의 PbO의 함유량이 1000ppm(질량) 미만의 경우를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를 조합시키고,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1)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을 0.1∼60질량% 함유하고, 질량비 (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3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5,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1∼30, 굴절률(nd)이 1.6∼2.2,
(2)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을 5∼55질량% 함유하고,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2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3,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1∼10, 굴절률(nd)이 1.55∼2.3,
(3)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3∼55%, SiO2 + Al2O3 + B2O3 10∼55%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10,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5,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5∼5, 굴절률(nd)이 1.6∼2.2,
(4)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5∼52%, SiO2 + Al2O3 + B2O3 20∼52%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5,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1∼1.5,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5∼2, 굴절률(nd)이 1.6∼2.2,
(5)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0∼50%, SiO2 + Al2O3 + B2O3 20∼5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1∼3,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3∼1.4,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5∼1, 굴절률(nd)이 1.6∼2.2,
(6)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0∼50%, SiO2 + Al2O3 + B2O3 20∼5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2∼1.8,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5∼1.2,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5∼0.8, 굴절률(nd)이 1.6∼2.2,
(7)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0∼50%, SiO2 + Al2O3 + B2O3 20∼5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BaO + La2O3 + Nb2O5 + TiO2 + ZrO2)/(SiO2 + Al2O3 + B2O3)가 0.3∼1.2, 질량비(MgO + CaO + SrO + BaO)/(BaO + La2O3 + Nb2O5 + TiO2 + ZrO2)가 0.7∼1.1, 질량비(TiO2 + ZrO2)/(BaO + La2O3 + Nb2O5)가 0.05∼0.5, 굴절률(nd)이 1.6∼2.2.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굴절률(nd)은 1.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8 이상, 1.6 이상, 1.63 이상, 1.65 이상, 1.67 이상, 1.69 이상, 1.7 이상, 특히 1.71 이상이다. 굴절률(nd)이 1.55 미만이 되면, ITO-유리 계면의 반사에 의해 광을 효율적으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굴절률(nd)이 2.3보다 높아지면, 공기-유리 계면에서의 반사율이 높아지고, 유리 표면에 조면화 처리를 실시해도,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굴절률(nd)은 2.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특히 1.75 이하이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액상 온도는 1200℃ 이하, 1150℃ 이하, 1130℃ 이하, 1110℃ 이하, 1090℃ 이하, 1070℃ 이하, 특히 105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점도는 103. 0dPa·s 이상, 103. 5dPa·s 이상, 104. 0dPa·s 이상, 104. 5dPa·s 이상, 104. 8dPa·s 이상, 105. 0dPa·s 이상, 105. 2dPa·s 이상, 특히 105.3dPa·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성형시에 유리가 실투하기 어려워져,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유리판을 성형하기 용이해진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는 1.5mm 이하, 1.3mm 이하, 1.1mm 이하, 0.8mm 이하, 0.6mm 이하, 0.5mm 이하, 0.3mm 이하, 0.2mm 이하, 특히 0.1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작을수록, 가요성이 높아지고, 디자인성이 우수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쉬워지지만, 두께가 극단적으로 작아지면, 유리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두께는 10㎛ 이상, 특히 30㎛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경우, 적어도 한쪽 면이 미연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의 이론 강도는 본래 대단히 높은 것이지만, 이론 강도보다도 매우 낮은 응력으로도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유리 표면에 그리피스 플로(Griffith's flaw)라고 불리는 작은 결함이 성형 후의 공정, 예를 들면 연마 공정 등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본래의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손상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리가 파괴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제조 코스트를 저렴화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표면(단, 유효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하, 5Å 이하, 3Å 이하, 특히 2Å 이하가 바람직하다. 표면 조도(Ra)가 10Å보다 크면, 그 면에 형성되는 ITO의 품위가 저하하고, 균일한 발광을 얻기 어려워진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미연마로 표면 품위가 양호한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의 경우, 표면이 되어야 할 면은 홈통상 내화물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 표면의 상태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홈통상 구조물의 구조나 재질은 소망의 치수나 표면 정밀도를 실현시킬 수 있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방으로의 연신 성형을 행하기 위해서, 용융 유리에 대하여, 힘을 인가하는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충분히 큰 폭을 갖는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에 접촉시킨 상태로 회전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고, 복수의 쌍으로 된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의 단면 근방에만 접촉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다운 드로우법(슬롯 다운법, 리드로우법 등), 플롯법, 롤아웃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HF 에칭,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한쪽면에 조면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상, 20Å 이상, 30Å 이상, 특히 50Å 이상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을 유기 EL 조명 등의 공기와 접하는 측으로 하면, 조면화 처리면이 무반사 구조가 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유기 발광층내에 돌아오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프레스 등의 열가공에 의해, 유리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유리 표면에 정확한 반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 형상은 굴절률(nd)을 고려하면서, 그 간극과 깊이를 조정하면 된다. 또한, 요철 형상을 갖는 수지 필름을 유리 표면에 접합시켜도 좋다.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에 의해 조면화 처리하면, 한쪽 표면의 표면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타방의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조면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의 소스로서, F를 함유하는 가스(예를 들면, SF6, CF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HF계 가스를 함유한 플라즈마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면화 처리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성형시에 표면에 무반사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조면화 처리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밀도는 5.0g/cm3 이하, 4.8g/cm3 이하, 4.5g/cm3 이하, 4.3g/cm3 이하, 3.7g/cm3 이하, 특히 3.5g/cm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바이스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30×10-7/℃∼100×10-7/℃, 40×10-7/℃∼90×10-7/℃, 60×10-7/℃∼85×10-7/℃, 특히 65×10-7/℃∼80×10-7/℃가 바람직하다. 최근, 유기 EL 조명, 유기EL 디바이스, 색소 증감 태양 전지에 있어서,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유리판에 가요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가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판의 두께를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유리판과 ITO, FTO 등의 투명 도전막의 열팽창 계수가 부정합하면, 유리판이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용이해진다. 또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변형점은 630℃ 이상, 650℃ 이상, 670℃ 이상, 690℃ 이상, 특히 7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고온 열처리에 의해 유리판이 열수축하기 어려워진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102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1400℃ 이하, 1380℃ 이하, 1360℃ 이하, 1330℃ 이하, 특히 130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용융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유리의 제조 효율이 향상한다. 여기서, 「102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제 1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우선, 소망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하고, 유리 배치를 제작한다. 이어서, 이 유리 배치를 용융, 청등한 후,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제 2 실시형태)
제 4 발명의 일실시형태(이하, 제 2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는 제 5 발명 및 제 6 발명의 실시형태를 겸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10∼60%, B2O3 0∼5%, BaO 0.1∼60%, La2O3 + Nb2O5 0.1∼40%, Li2O + Na2O + K2O 0∼10%를 함유 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5이다. 이렇게 각 성분의 함유 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함유 범위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질량%를 나타낸다.
SiO2의 함유량은 10∼60%이다. SiO2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망상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져, 유리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2% 이상, 15% 이상, 20% 이상, 25% 이상, 28% 이상, 35% 이상, 특히 40% 이상이다. 한편, S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융성, 성형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6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5% 이하, 53% 이하, 50% 이하, 49% 이하, 48% 이하, 특히 45% 이하이다.
B2O3은 0∼10%이다. B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영률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변형점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2O3의 함유량은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 이하, 5% 이하, 4% 이하, 3% 이하, 2% 미만, 특히 1% 미만이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B2O3을 함유하지 않는다」란 유리 조성 중의 B2O3의 함유량이 1000ppm(질량) 미만의 경우를 나타낸다.
BaO는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 중에서는 유리의 점성을 극단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고, 그 함유량은 0.1∼60%이다. B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BaO의 함유량이 6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6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3% 이하, 48% 이하, 44% 이하, 40% 이하, 39% 이하, 36% 이하, 특히 33% 이하이다. 단, B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소망의 굴절률(nd)을 얻기 어려워지는 점에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 2%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3% 이상, 특히 25% 이상이다.
La2O3 + Nb2O5의 함유량은 0.1∼40%이다. La2O3 + Nb2O5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La2O3 + Nb2O5의 함유량은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 이상, 5% 이상, 8% 이상, 10% 이상이다. 한편, La2O3 + Nb2O5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어, 그 함유량이 4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La2O3 + Nb2O5의 함유량은 4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30% 이하, 25% 이하, 20% 이하, 18% 이하, 특히 15% 이하이다.
La2O3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La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La2O3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2%, 0.1∼18%, 0.5∼14%, 1∼12%, 특히 2∼10%이다.
Nb2O5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Nb2O5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Nb2O5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2%, 0.1∼18%, 0.5∼14%, 1∼12%, 특히 2∼10%이다.
Li2O + Na2O + K2O는 유리의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고, 또한 열팽창 계수를 조정하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Li2O+Na2O+K2O의 함유량은 1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 3%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이다. 또한, Li2O, Na2O, K2O의 함유량은 각각 8%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은 0∼0.5이다.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작아지면, 높은 액상 온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변형점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한편,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커지면, 밀도가 높게 되고, 그 값이 0.5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은 0.5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45 이하, 0.4 이하, 0.35 이하, 0.3 이하, 0.25 이하, 0.05∼0.22, 특히 0.1∼0.2이다.
MgO는 굴절률(nd), 영률,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임과 아울러 고온 점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MgO를 함유시키면, 액상 온도가 상승하고, 내실투성이 저하하거나, 밀도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된다. 따라서, MgO의 함유량은 20% 이하, 10% 이하, 5% 이하, 3% 이하, 특히 1% 이하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은 0∼15%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게 되기 쉽고, 그 함유량이 15%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15% 이하, 13% 이하, 11% 이하, 9.5% 이하, 특히 8%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C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거나, 영률이 저하하거나,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특히 5% 이상이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은 0∼25%가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게 되기 쉽고, 그 함유량이 25%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18% 이하, 14% 이하, 12% 이하, 11% 이하, 8% 이하, 7% 이하, 특히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Sr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0.1% 이상, 0.8% 이상, 1.4% 이상, 3% 이상, 특히 4%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이외에도, 임의 성분으로서, 이하의 성분을 첨가해도 좋다.
Ti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T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Ti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2%, 0.1∼18%, 1∼14%, 2∼12%, 특히 4∼10%이다.
Zr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Zr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Zr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20%, 0.1∼10%, 0.1∼8%, 0.1∼6%, 특히 0.1∼5%이다.
Al2O3의 함유량은 0∼20%가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유리에 실투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져서, 액상 점도가 저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15% 이하, 10% 이하, 8% 이하, 특히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Al2O3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0.1% 이상, 0.5% 이상, 특히 1% 이상이 바람직하다.
청등제로서, As2O3, Sb2O3, CeO2, SnO2, F, Cl, SO3의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3% 첨가할 수 있다. 단, As2O3, Sb2O3, 및 F, 특히 As2O3 및 Sb2O3은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함유량은 0.1%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면, 청등제로서, SnO2, SO3 및 Cl이 바람직하다. 특히, SnO2의 함유량은 0∼1%, 0.01∼0.5%, 특히 0.05∼0.4%가 바람직하다. 또한, SnO2 + SO3 + Cl의 함유량은 0∼1%, 0.001∼1%, 0.01∼0.5%, 특히 0.01∼0.3%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SnO2 + SO3 + Cl」은 SnO2, SO3 및 Cl의 합량을 나타낸다.
PbO는 고온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는다」란 유리 조성 중의 PbO의 함유량이 1000ppm(질량)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를 조합시키고,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1)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0∼60%, B2O3 0∼5%, BaO 10∼40%, La2O3 0.1∼25%, Nb2O5 0.1∼25%, La2O3 + Nb2O5 0.1∼25%, Li2O + Na2O + K2O 0∼1% 함유 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3, 굴절률(nd)이 1.55∼2.0,
(2)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5∼55%, B2O3 0∼5%, BaO 10∼40%, La2O3 0.1∼18%, Nb2O5 0.1∼18%, La2O3 + Nb2O5 0.1∼20%, Li2O + Na2O + K2O 0∼0.5%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3, 굴절률(nd)이 1.55∼2.0,
(3)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5∼50%, B2O3 0∼5%, BaO 20∼40%, La2O3 0.1∼10%, Nb2O5 0.1∼10%, La2O3 + Nb2O5 0.1∼20%, Li2O + Na2O + K2O 0∼0.1%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2, 굴절률(nd)이 1.55∼2.0,
(4)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5∼45%, B2O3 0∼3%, BaO 20∼40%, La2O3 0.1∼10%, Nb2O5 0.1∼10%, La2O3 + Nb2O5 0.1∼15%, Li2O + Na2O + K2O 0∼0.1%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2, 굴절률(nd)이 1.55∼2.0.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굴절률(nd)은 1.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8 이상, 1.60 이상, 1.63 이상, 1.65 이상, 1.67 이상, 1.69 이상, 1.70 이상, 특히 1.71 이상이다. 굴절률(nd)이 1.55 미만이 되면, ITO-유리 계면의 반사에 의해 광을 높은 효율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굴절률(nd)이 2.3보다 높게 되면, 공기-유리 계면에서의 반사율이 높게 되고, 유리 표면에 조면화 처리를 실시해도,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굴절률(nd)은 2.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특히 1.75 이하이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변형점은 630℃ 이상, 650℃ 이상, 670℃ 이상, 690℃ 이상, 특히 7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색소 증감형 태양 전지 등의 디바이스에 있어서, FTO를 형성할 때, 투명성이 높고, 또한 저전기 저항의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600℃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고굴절률 유리에서는 내열성이 충분하지 않고, 투명성과 저전기 저항의 양립이 곤란했다. 그래서, 변형점을 상기 범위로 하면, 색소 증감 태양 전지 등에 있어서, 투명성과 저전기 저항의 양립이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디바이스의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열처리에 의해 유리가 열수축하기 어려워진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액상 온도는 1200℃ 이하, 1150℃ 이하, 1130℃ 이하, 1110℃ 이하, 1090℃ 이하, 1070℃ 이하, 1050℃ 이하, 특히 10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점도는 103. 5dPa·s 이상, 103. 8dPa·s 이상, 104.2dPa·s 이상, 104. 4dPa·s 이상, 104. 6dPa·s 이상, 105. 0dPa·s 이상, 특히 105.2dPa·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성형시에 유리가 실투하기 어려워지고,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유리판을 성형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밀도는 5.0g/cm3 이하, 4.8g/cm3 이하, 4.5g/cm3 이하, 4.3g/cm3 이하, 3.7g/cm3 이하, 3.5g/cm3 이하, 3.4g/cm3 이하, 3.3g/cm3 이하, 특히 3.2g/cm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바이스를 경량화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는 1.5mm 이하, 1.3mm 이하, 1.1mm 이하, 0.8mm 이하, 0.6mm 이하, 0.5mm 이하, 0.3mm 이하, 0.2mm 이하, 특히 0.1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작을수록 가요성이 높아지고, 디자인성이 우수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쉬워지지만,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면, 유리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두께는 10㎛ 이상, 특히 30㎛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인 경우, 적어도 한쪽 면이 미연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의 이론 강도는 본래 매우 높지만, 이론 강도보다도 매우 낮은 응력으로도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유리 표면에 그리피스 플로라고 불리는 작은 결함이 성형 후의 공정, 예를 들면 연마 공정 등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본래의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손상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리가 파괴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제조 코스트를 저렴화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표면(단, 유효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하, 5Å 이하, 3Å 이하, 특히 2Å 이하가 바람직하다. 표면 조도(Ra)가 10Å보다 크면, 그 면에 형성되는 ITO의 품위가 저하하고, 균일한 발광을 얻기 어려워진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미연마로 표면 품위가 양호한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의 경우, 표면이 되어야 할 면은 홈통상 내화물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 표면의 상태로 성형되기 때문이다. 홈통상 구조물의 구조나 재질은 소망의 치수나 표면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방으로의 연신 성형을 행하기 위해서, 용융 유리에 대하여, 힘을 인가하는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충분히 큰 폭을 갖는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되고, 복수의 쌍으로 된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의 단면 근방에만 접촉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다운 드로우법(슬롯 다운법, 리드로우법 등), 플롯법, 롤아웃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HF 에칭,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한쪽 면에 조면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상, 20Å 이상, 30Å 이상, 특히 50Å 이상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을 유기 EL 조명 등의 공기와 접하는 측으로 하면, 조면화 처리면이 무반사 구조가 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유기 발광층내로 돌아오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프레스 등의 열가공에 의해, 유리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유리 표면에 정확한 반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 형상은 굴절률(nd)을 고려하면서, 그 간격과 깊이를 조정하면 좋다. 또한, 요철 형상을 갖는 수지 필름을 유리 표면에 접합시켜도 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에 의해 조면화 처리하면, 한쪽 표면의 표면 상태를 유지한 점에서, 타방의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조면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의 소스로서, F를 함유하는 가스(예를 들면, SF6, CF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HF계 가스를 함유한 플라즈마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면화 처리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성형시에 표면에 무반사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조면화 처리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45×10-7/℃∼110×10-7/℃, 50×10-7/℃∼100×10-7/℃, 60×10-7/℃∼95×10-7/℃, 65×10-7/℃∼90×10-7/℃, 65×10-7/℃∼85×10-7/℃, 특히 70×10-7/℃∼80×10-7/℃가 바람직하다. 최근, 유기 EL 조명, 유기 EL 디바이스, 색소 증감태양 전지에 있어서, 디자인적 요소를 향상시키는 관점으로부터, 유리판에 가요성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가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판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유리판과 ITO, FTO 등의 투명 도전막의 열팽창 계수가 부정합하다면, 유리판이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102. 5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1450℃ 이하, 1400℃ 이하, 1370℃ 이하, 1330℃ 이하, 1290℃ 이하, 특히 127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용융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유리의 제조 효율이 향상한다.
제 2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우선, 소망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하고, 유리 배치를 제작한다. 이어서, 이 유리 배치를 용융, 청등한 후,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제 3 실시형태)
제 7 발명의 일실시형태(이하, 제 3 실시형태라고 한다.)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는 제 8 발명 및 제 9 발명의 실시형태를 겸한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20∼70%, SiO2 20∼70%, B2O3 0∼30%, MgO + CaO + SrO + BaO 0∼5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0∼30%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0.1∼6,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1∼0.99이다. 이렇게 각 성분의 함유 범위를 한정한 이유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함유 범위의 설명에 있어서, %표시는 특히 언급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몰%를 나타낸다.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20∼70%이다.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화가 곤란해지고, 또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밀도가 높아지기 쉽다. 따라서,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55% 이상, 특히 60% 이상이다. 한편,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SiO2 + Al2O3 + B2O3의 함유량은 70% 이하이고, 68% 이하, 특히 66% 이하가 바람직하다.
SiO2의 함유량은 20∼70%이다. SiO2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망상 구조를 형성하기 어려워져, 유리화가 곤란해진다. 또한,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해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밀도가 높아지기 쉽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2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특히 60% 이상이다. 한편, S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용융성, 성형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iO2의 함유량은 7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68% 이하, 65% 이하, 특히 63%이하이다.
Al2O3의 함유량은 0∼10%가 바람직하다. Al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유리에 실투결정이 석출하기 쉬워져서, 액상 점도가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10% 이하, 8% 이하, 6% 이하, 특히 5%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Al2O3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Al2O3의 함유량은 0.1% 이상, 0.5% 이상, 특히 1% 이상이 바람직하다.
B2O3의 함유량은 0∼30%이다. B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이나 영률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분상이 발생하고, 내실투성이 급격하게 저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B2O3의 함유량은 3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5% 이하, 10% 이하, 8% 이하, 5% 이하, 4% 이하, 2% 미만, 1% 이하, 1% 미만, 0.5% 이하, 특히 0.1% 이하이다.
MgO + CaO + SrO + BaO의 함유량은 0∼50%이다. MgO + CaO + SrO + B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열팽창 계수나 밀도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MgO + CaO + SrO + BaO의 함유량은 5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40% 이하, 35% 이하, 33% 이하, 특히 30% 이하이다. 또한, MgO + CaO + SrO + B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굴절률(nd)을 높이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MgO + CaO + SrO + BaO의 함유량은 1%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20% 이상, 22% 이상, 특히 25% 이상이 바람직하다.
MgO는 굴절률(nd), 영률, 변형점을 높이는 성분임과 아울러, 고온 점도를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MgO를 함유시키면, 액상 온도가 상승하고, 내실투성이 저하하거나, 밀도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된다. 따라서, MgO의 함유량은 10% 이하, 5% 이하, 3% 이하, 2% 이하, 1.5% 이하, 1% 이하, 특히 0.5% 이하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은 0∼30%가 바람직하다. C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게 되기 쉽고, 그 함유량이 3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30% 이하, 20% 이하, 15% 이하, 13% 이하, 11% 이하, 특히 1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C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거나, 영률이 저하하거나,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CaO의 함유량은 2% 이상, 4% 이상, 6% 이상, 특히 8% 이상이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은 0∼20%가 바람직하다. Sr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게 되기 쉽고, 그 함유량이 2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20% 이하, 15% 이하, 12% 이하, 8% 이하, 특히 6%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Sr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용융성이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Sr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3% 이상, 특히 3.5% 이상이 바람직하다.
BaO는 알칼리 토류 금속 산화물 중에서는 유리의 점성을 극단적으로 저하시키지 않고,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고, 그 함유량은 0∼40%가 바람직하다. BaO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굴절률(nd), 밀도, 열팽창 계수가 높아지기 쉽다. 그러나, BaO의 함유량이 40%를 초과하면, 유리 조성의 밸런스를 깨뜨려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40% 이하, 30% 이하, 25% 이하, 특히 20% 이하가 바람직하다. 단, BaO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소망의 굴절률(nd)을 얻기 어려운 점에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BaO의 함유량은 0.5% 이상, 1% 이상, 2% 이상, 5% 이상, 특히 10% 이상이 바람직하다.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의 함유량을 적정하게 규제하면, 높은 액상 점도를 유지하면서, 굴절률(nd)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함유량은 0∼30%이다.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의 함유량이 30%보다 많아지면,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를 깨뜨려서, 유리가 실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액상 점도가 저하하기 쉬워진다. 또한, 밀도나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된다. 따라서,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의 함유량은 3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8% 이하, 25% 이하, 22% 이하이다. 또한,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의 함유량이 적어지면, 굴절률(nd)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의 함유량은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18% 이상, 특히 20% 이상이 바람직하다.
La2O3은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La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La2O3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5%, 0∼15%, 0.1∼10%, 0.1∼7%, 0.1∼5%, 특히 0.5∼3%이다.
Nb2O5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Nb2O5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밀도,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되고, 또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Nb2O5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0%, 0∼12%, 0∼8%, 0∼4%, 특히 0.1∼3%이다.
Ti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Ti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Ti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0%, 0.1∼18%, 0.5∼15%, 1∼12%, 2∼10%, 특히 3∼8%이다.
ZrO2는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ZrO2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ZrO2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20%, 0∼15%, 0.1∼12%, 0.1∼10%, 0.1∼8%, 특히 0.5∼5%이다.
몰비 B2O3/SiO2는 0∼1이다. 몰비 B2O3/SiO2가 커지면, 유리가 분상하기 쉬워지고, 내실투성의 저하를 초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몰비 B2O3/SiO2는 0∼1이고, 바람직하게는 0∼0.8, 0∼0.6, 0∼0.5, 0∼0.4, 0∼0.2, 0∼0.1, 특히 0∼0.05이다.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를 적정하게 규제하면, 내실투성, 높은 액상 점도를 유지하면서, 고굴절률화를 꾀하기 쉬워진다.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커지면, 밀도가 저하하기 쉬워지고, 또한 액상 점도가 높아지기 쉽지만, 굴절률(nd)가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는 6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5 이하, 4 이하, 3.5 이하, 3 이하, 2.5 이하, 특히 2.3 이하이다. 한편,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작아지면, 소망의 굴절률(nd)을 확보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열팽창 계수가 지나치게 높게 될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는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1 이상, 1.2 이상, 1.3 이상, 1.5 이상, 특히 1.8 이상이다.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를 적정하게 규제하면, 내실투성, 높은 액상 점도를 유지하면서, 고굴절률화를 꾀하기 쉬워진다.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99보다 크면, 고굴절률화를 꾀하기 어려워지고, 또한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는 0.99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0.97 이하, 특히 0.96 이하이다. 한편,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1미만이 되면, 유리 조성의 성분 밸런스를 깨뜨려서 반대로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는 0.1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0.3 이상, 0.5 이상, 0.6 이상, 0.7 이상, 0.8 이상, 0.84 이상, 0.9 이상, 0.92 이상, 특히 0.95 이상이다.
Gd2O3은 굴절률(nd)을 높이는 성분이다. Gd2O3의 함유량이 많아지면, 내실투성이 저하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Gd2O3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는 0∼10%, 0∼8%, 0.1∼5%, 0.1∼4%, 0.2∼3%, 특히 0.3∼2%이다.
상기 성분 이외에도, 임의 성분으로서, 예를 들면 이하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Li2O + Na2O + K2O는 유리의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고, 또한 열팽창 계수를 조정하는 성분이지만, 다량으로 함유시키면, 유리의 점성이 지나치게 저하하고, 높은 액상 점도를 확보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Li2O + Na2O + K2O의 함유량은 15%이하, 10%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Li2O, Na2O, K2O의 함유량은 각각 10% 이하, 8% 이하, 5% 이하, 2% 이하, 1% 이하, 0.5% 이하, 특히 0.1% 이하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Li2O + Na2O + K2O」는 Li2O, Na2O 및 K2O의 합량을 나타낸다.
청등제로서, As2O3, Sb2O3, CeO2, SnO2, F, Cl, SO3의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을 0∼3% 첨가할 수 있다. 단, As2O3, Sb2O3, 및 F, 특히 As2O3 및 Sb2O3은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의 함유량은 0.1% 미만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점을 고려하면, 청등제로서, SnO2, SO3 및 Cl이 바람직하다. 특히, SnO2의 함유량은 0∼1%, 0.01∼0.5%, 특히 0.05∼0.4%가 바람직하다. 또한, SnO2 + SO3 + Cl의 함유량은 0∼1%, 0.001∼1%, 0.01∼0.5%, 특히 0.01∼0.3%가 바람직하다. 여기서,「SnO2 + SO3 + Cl」은 SnO2, SO3 및 Cl의 합량을 나타낸다.
PbO는 고온 점성을 저하시키는 성분이지만, 환경적 관점으로부터, 그 사용을 극력 삼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함유량은 0.5% 이하가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실질적으로 PbO를 함유하지 않다」란 유리 조성 중의 PbO의 함유량이 1000ppm(질량) 미만의 경우를 나타낸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각 성분의 바람직한 함유 범위를 조합시키고,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유리 조성 범위의 구체적인 예는 이하와 같다.
(1)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50∼70%, SiO2 50∼70%, B2O3 0∼10%, MgO + CaO + SrO + BaO 20∼35%,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15∼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1∼2.5,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6∼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
(2)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55∼70%, SiO2 55∼70%, B2O3 0∼5%, MgO + CaO + SrO + BaO 22∼33%,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15∼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0.5,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1.2∼2.5,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7∼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
(3)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60∼70%, SiO2 60∼70%, B2O3 0∼0.5%, MgO + CaO + SrO + BaO 25∼3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20∼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0.1, 몰비 SiO2/(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가 1.8∼2.3,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9∼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
(4) 유리 조성으로서, 몰%로 SiO2 + Al2O3 + B2O3 60∼70%, SiO2 60∼70%, B2O3 0∼0.1%, MgO + CaO + SrO + BaO 25∼30%, BaO + La2O3 + Nb2O5 + ZrO2 + TiO2 20∼25%를 함유하고, 몰비 B2O3/SiO2가 0∼0.1, 몰비 SiO2/(La2O3 + Nb2O5 + RO)가 1.8∼2.3,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95∼0.99임과 아울러 굴절률이 1.55∼2.3.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굴절률(nd)은 1.5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8 이상, 1.6 이상, 1.63 이상, 1.65 이상, 1.67 이상, 1.69 이상, 1.7 이상, 특히 1.71 이상이다. 굴절률(nd)이 1.55 미만이 되면, ITO-유리 계면의 반사에 의해 광을 높은 효율로 인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굴절률(nd)이 2.3보다 높게 되면, 공기-유리 계면에서의 반사율이 높게 되고, 유리 표면에 조면화 처리를 실시해도,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이는 것이 곤란해진다. 따라서, 굴절률(nd)은 2.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2.2 이하, 2.1 이하, 2.0 이하, 1.9 이하, 특히 1.75 이하이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액상 온도는 1200℃ 이하, 1150℃ 이하, 1130℃ 이하, 1110℃ 이하, 1090℃ 이하, 특히 1070℃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액상 점도는 103. 0dPa·s 이상, 103. 5dPa·s 이상, 104. 0dPa·s 이상, 104. 5dPa·s 이상, 104. 8dPa·s 이상, 105. 1dPa·s 이상, 105. 3dPa·s 이상, 특히 105. 5dPa·s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성형시에 유리가 실투하기 어려워지고,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유리판을 성형하기 쉬워진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밀도는 5.0g/cm3 이하, 4.8g/cm3 이하, 4.5g/cm3 이하, 4.3g/cm3 이하, 3.7g/cm3 이하, 3.6g/cm3 이하, 3.4g/cm3 이하, 특히 3.3g/cm3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바이스를 경량화할 수 있다. 또한,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으로 측정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50×10-7/℃∼100×10-7/℃, 60×10-7/℃∼95×10-7/℃, 65×10-7/℃∼90×10-7/℃, 65×10-7/℃∼85×10-7/℃, 특히 70×10-7/℃∼80×10-7/℃가 바람직하다. 최근, 유기 EL 조명, 유기 EL 디바이스, 색소 증감 태양 전지에 있어서, 디자인적 요소를 높이는 관점으로부터, 유리판에 가요성이 요구될 경우가 있다. 가요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유리판의 두께를 작게 할 필요가 있지만, 이 경우, 유리판과 ITO, FTO 등의 투명 도전막의 열팽창 계수가 부정합하면, 유리판이 휘기 쉬워진다. 따라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를 상기 범위로 하면, 이러한 사태를 방지하기 쉬워진다. 또한,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 등으로 측정 가능하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변형점은 630℃ 이상, 650℃ 이상, 670℃ 이상, 690℃ 이상, 특히 700℃ 이상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디바이스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고온의 열처리에 의해 유리판이 열수축하기 어려워진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102. 5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1400℃ 이하, 1350℃ 이하, 1300℃ 이하, 특히 1250℃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용융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유리의 제조 효율이 향상한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필름 모양을 포함한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두께는 1.5mm 이하, 1.3mm 이하, 1.1mm 이하, 0.8mm 이하, 0.6mm 이하, 0.5mm 이하, 0.3mm 이하, 0.2mm 이하, 특히 0.1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두께가 얇을수록 가요성이 높아지고, 디자인성이 우수한 조명 디바이스를 제작하기 쉬워지지만, 두께가 극단적으로 얇아지면, 유리가 파손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두께는 10㎛ 이상, 특히 30㎛ 이상이 바람직하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판상(필름상을 포함한다)의 경우, 적어도 한쪽 면이 미연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의 이론 강도는, 본래 매우 높은 것이지만, 이론 강도보다도 매우 낮은 응력으로도 파괴에 이르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유리 표면에 그리피스 플로라고 불리는 작은 결함이 성형 후의 공정, 예를 들면 연마 공정 등에서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본래 유리의 기계적 강도를 손상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유리가 파괴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유리 표면을 미연마로 하면, 연마 공정을 생략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판의 제조 코스트를 저렴화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의 표면(단, 유효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하, 5Å 이하, 3Å 이하, 특히 2Å 이하가 바람직하다.표면 조도(Ra)가 10Å보다 크면 그 면에 형성되는 ITO의 품위가 저하하고, 균일한 발광을 얻기 어려워진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미연마로 표면 품위가 양호한 유리판을 제조할 수 있다. 그 이유는,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의 경우, 표면이 되어야 할 면은 홈통상 내화물에 접촉하지 않고, 자유 표면의 상태에서 성형되기 때문이다. 홈통상 구조물의 구조나 재질은 소망의 치수나 표면 정밀도를 실현할 수 있는 한,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하방으로의 연신 성형을 행하기 위해서, 용융 유리에 대하여, 힘을 인가하는 방법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충분히 큰 폭을 갖는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회전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고, 복수의 쌍으로 된 내열성 롤을 용융 유리의 단면 근방에만 접촉시켜서 연신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이외에도, 예를 들면 다운드로우법(슬롯 다운법, 리드로우법 등), 플롯법, 롤아웃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는 HF 에칭, 샌드 블라스트 등에 의해, 한쪽면에 조면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의 표면 조도(Ra)는 10Å 이상, 20Å 이상, 30Å 이상, 특히 50Å 이상이 바람직하다. 조면화 처리면을 유기 EL 조명 등의 공기와 접하는 측으로 하면, 조면화 처리면이 무반사 구조가 되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에서 발생한 광이 유기 발광층 내로 돌아오기 어려워지고, 결과적으로, 광의 인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리프레스 등의 열가공에 의해, 유리 표면에 요철 형상을 부여해도 좋다. 이렇게 하면, 유리 표면에 정확한 반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요철 형상은 굴절률(nd)을 고려하면서, 그 간극과 깊이를 조정하면 된다. 또한, 요철 형상을 갖는 수지 필름을 유리 표면에 접합시켜도 된다.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에 의해 조면화 처리하면, 한쪽 표면의 표면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타방의 표면에 대하여, 균일하게 조면화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대기압 플라즈마 프로세스의 소스로서, F를 함유하는 가스(예를 들면, SF6, CF4)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HF계 가스를 함유한 플라즈마가 발생하기 때문에, 조면화 처리의 효율이 향상한다.
또한, 성형시에 표면에 무반사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조면화 처리하지 않아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고굴절률 유리를 제조하는 방법을 예시한다. 우선, 소망의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하고, 유리 배치를 제작한다. 이어서, 이 유리 배치를 용융, 청등한 후, 소망의 형상으로 성형한다. 그 후, 소망의 형상으로 가공한다.
(실시예)
이하, 제 1∼3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들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표 1∼4는 제 1 발명의 실시예(시료 No.1∼17)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제 2 발명 및 제 3 발명의 실시예도 겸하고 있다.
실시예 | ||||||
No.1 | No.2 | No.3 | No.4 | No.5 | ||
유리조성 (wt%) |
SiO2 | 34.6 | 37.6 | 37.6 | 37.6 | 37.6 |
Al2O3 | 1.5 | 1.5 | 1.5 | 1.5 | 1.5 | |
CaO | 2.9 | 5.9 | 5.9 | 5.9 | 5.9 | |
SrO | 2.9 | 4.9 | 4.9 | 4.9 | 4.9 | |
BaO | 27.0 | 27.0 | 27.0 | 27.0 | 27.0 | |
La2O3 | 8.8 | 3.8 | 3.8 | 6.8 | 6.8 | |
Nb2O5 | 9.4 | 6.4 | 9.4 | 9.4 | 6.4 | |
TiO2 | 9.7 | 9.7 | 9.7 | 6.7 | 6.7 | |
ZrO2 | 3.2 | 3.2 | 0.2 | 0.2 | 3.2 | |
SiO2+Al2O3+B2O3 | 36.1 | 39.1 | 39.1 | 39.1 | 39.1 | |
(BaO+La2O3+Nb2O5+TiO2+ZrO2) /(SiO2+Al2O3+B2O3) |
1.61 | 1.28 | 1.28 | 1.28 | 1.28 | |
(MgO+CaO+SrO+BaO) /(BaO+La2O3+Nb2O5+TiO2+ZrO2) |
0.56 | 0.75 | 0.75 | 0.75 | 0.75 | |
(TiO2+ZrO2)/(BaO+La2O3+Nb2O5) | 0.29 | 0.35 | 0.25 | 0.16 | 0.25 | |
밀도[g/cm3] | - | 3.66 | 3.66 | 3.70 | 3.71 | |
열팽창 계수[×10-7/℃] | 74 | 77 | 78 | 79 | 78 | |
Ps[℃] | 712 | 711 | 701 | 713 | 703 | |
Ta[℃] | 751 | 750 | 739 | 753 | 742 | |
Ts[℃] | 881 | 881 | 868 | 889 | 875 | |
104dPaㆍs[℃] | 1042 | 1042 | 1026 | 1038 | 1054 | |
103dPaㆍs[℃] | 1117 | 1120 | 1102 | 1115 | 1133 | |
102.5dPaㆍs[℃] | 1168 | 1171 | 1152 | 1166 | 1185 | |
102dPaㆍs[℃] | 1232 | 1236 | 1215 | 1231 | 1248 | |
TL[℃] | 1061 | 1077 | 1053 | 1066 | 1077 | |
log10ηTL[dPaㆍs] | 3.7 | 3.5 | 3.6 | 3.6 | 3.7 | |
굴절률(nd) | 1.74 | 1.72 | 1.72 | 1.71 | 1.71 |
실시예 | ||||||
No.6 | No.7 | No.8 | No.9 | No.10 | ||
유리조성 (wt%) |
SiO2 | 40.6 | 43.6 | 37.6 | 38.8 | 40.6 |
Al2O3 | 1.5 | 1.5 | 1.5 | 1.5 | 1.5 | |
CaO | 5.9 | 5.9 | 5.9 | 6.1 | 5.9 | |
SrO | 4.9 | 4.9 | 4.9 | 5.1 | 4.9 | |
BaO | 27.0 | 27.0 | 27.0 | 27.9 | 27.0 | |
La2O3 | 6.8 | 6.8 | 3.8 | 3.9 | 3.8 | |
Nb2O5 | 6.4 | 3.4 | 9.4 | 9.7 | 6.4 | |
TiO2 | 6.7 | 6.7 | 6.7 | 6.9 | 6.7 | |
ZrO2 | 0.2 | 0.2 | 3.2 | - | 3.2 | |
SiO2+Al2O3+B2O3 | 42.1 | 45.1 | 39.1 | 40.4 | 42.1 | |
(BaO+La2O3+Nb2O5+TiO2+ZrO2) /(SiO2+Al2O3+B2O3) |
1.12 | 0.98 | 1.28 | 1.20 | 1.12 | |
(MgO+CaO+SrO+BaO) /(BaO+La2O3+Nb2O5+TiO2+ZrO2) |
0.80 | 0.86 | 0.75 | 0.81 | 0.80 | |
(TiO2+ZrO2)/(BaO+La2O3+Nb2O5) | 0.17 | 0.19 | 0.25 | 0.17 | 0.27 | |
밀도[g/cm3] | 3.62 | 3.54 | 3.68 | 3.69 | 3.59 | |
열팽창 계수[×10-7/℃] | 78 | 78 | 77 | 79 | 75 | |
Ps[℃] | 694 | 692 | 712 | 685 | 707 | |
Ta[℃] | 734 | 732 | 752 | 724 | 748 | |
Ts[℃] | 873 | 876 | 887 | 860 | 889 | |
104dPaㆍs[℃] | 1048 | 1057 | 1053 | 1021 | 1063 | |
103dPaㆍs[℃] | 1132 | 1147 | 1132 | 1099 | 1148 | |
102.5dPaㆍs[℃] | 1188 | 1207 | 1185 | 1149 | 1204 | |
102dPaㆍs[℃] | 1257 | 1281 | 1250 | 1214 | 1274 | |
TL[℃] | 1026 | 1082 | 1006 | 1018 | 1048 | |
log10ηTL[dPaㆍs] | 4.3 | 3.7 | 4.8 | 4.1 | 4.2 | |
굴절률(nd) | 1.69 | 1.67 | 1.71 | 1.71 | 1.69 |
실시예 | ||||||
No.11 | No.12 | No.13 | No.14 | No.15 | ||
유리조성 (wt%) |
SiO2 | 37.6 | 37.6 | 37.6 | 37.6 | 37.6 |
Al2O3 | 1.5 | 1.5 | 1.5 | 1.5 | 4.5 | |
MgO | - | - | 3.0 | - | - | |
CaO | 5.9 | 5.9 | 5.9 | 5.9 | 5.9 | |
SrO | 4.9 | 4.9 | 4.9 | 4.9 | 4.9 | |
BaO | 24.0 | 21.0 | 27.0 | 27.0 | 27.0 | |
ZnO | 3.0 | 6.0 | - | 3.0 | - | |
La2O3 | 3.8 | 6.8 | 3.8 | 3.8 | 3.8 | |
Nb2O5 | 9.4 | 6.4 | 6.4 | 6.4 | 6.4 | |
TiO2 | 6.7 | 6.7 | 6.7 | 6.7 | 6.7 | |
ZrO2 | 3.2 | 3.2 | 3.2 | 3.2 | 3.2 | |
SiO2+Al2O3+B2O3 | 39.1 | 39.1 | 39.1 | 39.1 | 42.1 | |
(BaO+La2O3+Nb2O5+TiO2+ZrO2) /(SiO2+Al2O3+B2O3) |
1.20 | 1.13 | 1.20 | 1.20 | 1.12 | |
(MgO+CaO+SrO+BaO) /(BaO+La2O3+Nb2O5+TiO2+ZrO2) |
0.74 | 0.72 | 0.87 | 0.80 | 0.80 | |
(TiO2+ZrO2)/(BaO+La2O3+Nb2O5) | 0.27 | 0.29 | 0.27 | 0.27 | 0.27 | |
밀도[g/cm3] | 3.68 | 3.70 | 3.66 | 3.72 | 3.61 | |
열팽창 계수[×10-7/℃] | 75 | 74 | 78 | 75 | 75 | |
Ps[℃] | 696 | 685 | 704 | 698 | 713 | |
Ta[℃] | 736 | 726 | 743 | 738 | 754 | |
Ta[℃] | 875 | 866 | 881 | 878 | 894 | |
104dPaㆍs[℃] | 1040 | 1030 | 1041 | 1042 | 1065 | |
103dPaㆍs[℃] | 1119 | 1108 | 1118 | 1122 | 1151 | |
102.5dPaㆍs[℃] | 1171 | 1159 | 1168 | 1174 | 1207 | |
102dPaㆍs[℃] | 1236 | 1223 | 1230 | 1239 | 1278 | |
TL[℃] | 1030 | 1050 | 1070 | 1046 | 1053 | |
log10ηTL[dPaㆍs] | 4.2 | 3.7 | 3.6 | 3.9 | 4.2 | |
굴절률(nd) | 1.71 | 1.71 | 1.71 | 1.71 | 1.69 |
실시예 | |||
No.16 | No.17 | ||
유리조성 (wt%) |
SiO2 | 45.0 | 45.0 |
Al2O3 | 5.0 | 5.0 | |
CaO | 5.9 | 5.9 | |
SrO | 4.9 | 4.9 | |
BaO | 26.2 | 29.2 | |
La2O3 | 6.0 | 3.0 | |
TiO2 | 4.0 | 4.0 | |
ZrO2 | 3.0 | 3.0 | |
SiO2+Al2O3+B2O3 | 50.0 | 50.0 | |
(BaO+La2O3+Nb2O5+TiO2+ZrO2) /(SiO2+Al2O3+B2O3) |
0.78 | 0.78 | |
(MgO+CaO+SrO+BaO) /(BaO+La2O3+Nb2O5+TiO2+ZrO2) |
0.94 | 1.02 | |
(TiO2+ZrO2)/(BaO+La2O3+Nb2O5) | 0.22 | 0.22 | |
밀도[g/cm3] | 3.42 | 3.41 | |
열팽창 계수[×10-7/℃] | 72 | 72 | |
Ps[℃] | 704 | 699 | |
Ta[℃] | 748 | 743 | |
Ts[℃] | 907 | 902 | |
104dPaㆍs[℃] | 1115 | 1108 | |
103dPaㆍs[℃] | 1221 | 1214 | |
102.5dPaㆍs[℃] | 1291 | 1283 | |
102dPaㆍs[℃] | 1380 | 1372 | |
TL[℃] | 1006 | 1051 | |
log10ηTL[dPaㆍs] | 5.5 | 4.8 | |
굴절률(nd) | 1.63 | 1.63 |
우선, 표 1∼4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유리 용융로에 공급해서 1500∼1600℃에서 4시간 용융했다. 다음에 얻어진 용융 유리를 카본판 상에 흘려서 판상으로 성형한 후, 소정의 어닐 처리를 행했다. 최후에, 얻어진 유리판에 대해서, 각종 특성을 평가했다.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를 이용하여, 30∼380℃에 있어서의 평균 열팽창 계수를 측정한 값이다. 측정 시료로서, φ5mm×20mm의 원주상 시료(단면은 R 가공되어 있다)를 사용했다.
변형점(Ps)은 ASTM C336-71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변형점(Ps)이 높을수록 내열성이 높게 된다.
서랭점(Ta), 연화점(Ts)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고온점도 104. 0dPa·s, 103. 0dPa·s, 102. 5dPa·s 및 102. 0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이들의 온도가 낮을수록 용융성이 우수하다.
액상 온도(TL)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 24시간 유지하고,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또한, 액상 점도 log10ηTL은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의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액상 점도가 높고, 액상 온도가 낮을수록 내실투성, 성형성이 우수하다.
굴절률(nd)은 25mm×25mm×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Ta+30℃)부터 (변형점-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이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을 사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시료 No.8, 16 및 17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연속 가마에 투입하고, 1500∼1600℃의 온도에서 용융했다. 이어서, 얻어진 용융 유리에 대하여,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을 행하여 두께 0.5mm의 유리판을 얻었다. 얻어진 유리판에 대하여, 평균 표면 조도(Ra)를 측정한 바, 그 값은 모두 2Å이었다. 또한, 평균 표면 조도(Ra)는 JIS B 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이하, 제 4∼6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표 5, 6은 제 4 발명의 실시예(시료 No.18∼31)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제 5 발명 및 제 6 발명의 실시예도 겸하고 있다.
실시예 | ||||||||
No.18 | No.19 | No.20 | No.21 | No.22 | No.23 | No.24 | ||
유리조성 (wt%) |
SiO2 | 40.6 | 37.6 | 38.8 | 45.0 | 45.0 | 45.0 | 45.0 |
Al2O3 | 1.5 | 1.5 | 1.5 | 5.0 | 5.0 | 5.0 | 5.0 | |
MgO | - | - | - | 4.2 | 4.2 | - | - | |
CaO | 6.9 | 5.9 | 6.1 | 5.9 | 5.9 | 5.9 | 5.9 | |
SrO | 5.9 | 4.9 | 5.1 | 10.9 | 10.9 | 4.9 | 4.9 | |
BaO | 28.0 | 27.0 | 24.7 | 16.0 | 16.0 | 26.2 | 23.2 | |
La2O3 | 6.8 | 3.8 | 7.0 | 3.0 | 3.0 | - | 3.0 | |
Nb2O5 | 6.4 | 9.4 | 6.6 | - | - | - | - | |
ZrO2 | 0.2 | 3.2 | 3.3 | - | 3.0 | 3.0 | 3.0 | |
TiO2 | 3.7 | 6.7 | 6.9 | 10.0 | 7.0 | 10.0 | 10.0 | |
(MgO+CaO)/(SrO+BaO) | 0.2 | 0.18 | 0.2 | 0.4 | 0.4 | 0.2 | 0.2 | |
La2O3+Nb2O5 | 13.2 | 13.2 | 13.2 | 3.0 | 3.0 | - | 3.0 | |
밀도[g/cm3] | 3.64 | 3.68 | 3.66 | 3.32 | 3.34 | 3.32 | 3.32 | |
열팽창계수[×10-7/℃] | 82 | 77 | 77 | 75 | 74 | 69 | 68 | |
Ps[℃] | 693 | 712 | 714 | 684 | 692 | 701 | 705 | |
Ta[℃] | 734 | 752 | 753 | 724 | 734 | 742 | 746 | |
Ts[℃] | 876 | 887 | 890 | 867 | 883 | 892 | 896 | |
104dPaㆍs[℃] | 1050 | 1053 | 1058 | 1040 | 1067 | 1081 | 1090 | |
103dPaㆍs[℃] | 1133 | 1132 | 1139 | 1128 | 1158 | 1182 | 1192 | |
102.5dPaㆍs[℃] | 1188 | 1185 | 1192 | 1187 | 1219 | 1249 | 1261 | |
102dPaㆍs[℃] | 1256 | 1250 | 1257 | 1262 | 1296 | 1338 | 1349 | |
TL[℃] | 1020 | 1006 | 1025 | 1058 | 1105 | 1100 | 1123 | |
log10ηTL[dPaㆍs] | 4.5 | 4.8 | 4.5 | 3.8 | 3.5 | 3.8 | 3.6 | |
굴절률(nd) | 1.67 | 1.71 | 1.70 | 1.66 | 1.65 | 1.65 | 1.66 |
실시예 | ||||||||
No.25 | No.26 | No.27 | No.28 | No.29 | No.30 | No.31 | ||
유리조성 (wt%) |
SiO2 | 44.9 | 44.9 | 41.9 | 44.9 | 44.9 | 44.9 | 44.9 |
Al2O3 | 5.0 | 5.0 | 5.0 | 5.0 | 5.0 | 5.0 | 5.0 | |
CaO | 5.9 | 5.9 | 5.9 | 5.9 | 5.9 | 6.9 | 6.9 | |
SrO | 4.9 | 4.9 | 4.9 | 4.9 | 4.9 | 5.9 | 5.9 | |
BaO | 26.2 | 26.2 | 26.2 | 26.2 | 29.2 | 27.2 | 27.2 | |
La2O3 | 3.0 | 3.0 | 6.0 | 6.0 | 3.0 | 3.0 | 3.0 | |
ZrO2 | 3.0 | - | 3.0 | 3.0 | 3.0 | 3.0 | 3.0 | |
TiO2 | 7.0 | 10.0 | 7.0 | 4.0 | 4.0 | 4.0 | 4.0 | |
SnO2 | 0.1 | 0.1 | 0.1 | 0.1 | 0.1 | 0.1 | 0.1 | |
(MgO+CaO)/(SrO+BaO) | 0.2 | 0.2 | 0.2 | 0.2 | 0.2 | 0.2 | 0.2 | |
La2O3+Nb2O5 | 3.0 | 3.0 | 6.0 | 6.0 | 3.0 | 3.0 | 3.0 | |
밀도[g/cm3] | 3.04 | 3.35 | 3.49 | 3.42 | 3.41 | 3.41 | 3.40 | |
열팽창계수[×10-7/℃] | 71 | 72 | 74 | 72 | 72 | 75 | 75 | |
Ps[℃] | 703 | 692 | 706 | 704 | 699 | 699 | 699 | |
Ta[℃] | 746 | 732 | 748 | 748 | 743 | 742 | 742 | |
Ts[℃] | 899 | 877 | 897 | 907 | 902 | 899 | 899 | |
104dPaㆍs[℃] | 1100 | 1069 | 1089 | 1114 | 1108 | 1104 | 1103 | |
103dPaㆍs[℃] | 1203 | 1170 | 1185 | 1220 | 1214 | 1207 | 1207 | |
102.5dPaㆍs[℃] | 1273 | 1238 | 1249 | 1290 | 1283 | 1276 | 1276 | |
102dPaㆍs[℃] | 1361 | 1328 | 1332 | 1378 | 1372 | 1365 | 1365 | |
TL[℃] | 1054 | 1082 | 1078 | 1000 | 1051 | 1046 | 1040 | |
log10ηTL[dPaㆍs] | 4.6 | 3.9 | 4.1 | 5.6 | 4.8 | 4.8 | 4.8 | |
굴절률(nd) | 1.65 | 1.65 | 1.66 | 1.63 | 1.63 | 1.63 | 1.63 |
우선, 표 5, 6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유리 용융로에 공급해서 1500∼1600℃에서 4시간 용융했다. 다음에, 얻어진 용융 유리를 카본판 상에 흘려서 판상으로 성형한 후, 소정의 어닐 처리를 행했다. 최후에, 얻어진 유리판에 대해서, 각종 특성을 평가했다.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를 이용하여, 30∼380℃에 있어서의 평균 열팽창 계수를 측정한 값이다. 측정 시료로서, φ5mm×20mm의 원주상 시료(단면은 R 가공되어 있음)를 사용했다.
변형점(Ps)은 ASTM C336-71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변형점(Ps)이 높을수록 내열성이 높게 된다.
서랭점(Ta), 연화점(Ts)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고온 점도 104. 0dPa·s, 103. 0dPa·s, 102. 5dPa·s 및 102. 0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이들의 온도가 낮을수록 용융성이 우수하다.
액상 온도(TL)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 24시간 유지하고,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또한, 액상 점도(log10ηTL)는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의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액상 점도가 높고, 액상 온도가 낮을수록 내실투성, 성형성이 우수하다.
굴절률(nd)은 우선 25mm×25mm×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Ta+30℃)부터 (변형점-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계속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를 사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시료 No.18∼20, 25 및 28∼31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연속 가마에 투입하고, 1500∼1600℃의 온도에서 용융했다. 이어서, 얻어진 용융 유리에 대하여,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을 행하고, 두께 0.5mm의 유리판을 얻었다. 얻어진 유리판에 대하여, 평균 표면 조도(Ra)를 측정한 바, 그 값은 모두 2Å이었다. 또한, 평균 표면 조도(Ra)는 JIS B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이하, 제 7∼9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또한, 이들의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지 않는다.
표 7∼10은 제 7 발명의 실시예(시료 No.32∼50)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들 실시예는 제 8 발명 및 제 9 발명의 실시예도 겸하고 있다.
실시예 | ||||||
No.32 | No.33 | No.34 | No.35 | No.36 | ||
유리조성 (몰%) |
SiO2 | 62.1 | 62.1 | 61.5 | 61.5 | 60.9 |
Al2O3 | 3.4 | 3.4 | 1.3 | 3.4 | 3.3 | |
CaO | 8.7 | 8.7 | 8.6 | 8.6 | 10.0 | |
SrO | 3.9 | 3.9 | 3.9 | 3.9 | 4.6 | |
BaO | 14.2 | 14.2 | 14.0 | 15.7 | 14.4 | |
La2O3 | 1.5 | 0.8 | 1.5 | 0.8 | 0.7 | |
ZrO2 | 2.0 | 2.0 | 2.0 | 2.0 | 2.0 | |
TiO2 | 4.2 | 4.2 | 7.2 | 4.1 | 4.1 | |
Gd2O3 | - | 0.7 | - | - | - | |
SiO2+Al2O3+B2O3 | 65.5 | 65.5 | 62.8 | 64.9 | 64.2 | |
MgO+CaO+SrO+BaO | 26.8 | 26.8 | 26.5 | 28.2 | 29.0 | |
BaO+La2O3+Nb2O5+TiO2+ZrO2 | 21.9 | 21.1 | 24.7 | 22.5 | 21.2 | |
B2O3/SiO2 | 0 | 0 | 0 | 0 | 0 | |
SiO2/(MgO+CaO+SrO +BaO+La2O3+Nb2O5) |
2.2 | 2.3 | 2.2 | 2.1 | 2.0 | |
(MgO+CaO+SrO+BaO)/(MgO+CaO+SrO+BaO+La2O3+Nb2O5+Gd2O3) | 0.95 | 0.95 | 0.95 | 0.97 | 0.97 | |
밀도[g/cm3] | 3.42 | 3.41 | 3.46 | 3.41 | 3.41 | |
열팽창계수[×10-7/℃] | 72 | 72 | 74 | 72 | 75 | |
Ps[℃] | 704 | 706 | 700 | 699 | 699 | |
Ta[℃] | 748 | 751 | 742 | 743 | 742 | |
Ts[℃] | 907 | 912 | 891 | 902 | 899 | |
104dPaㆍs[℃] | 1115 | 1118 | 1085 | 1108 | 1104 | |
103dPaㆍs[℃] | 1221 | 1224 | 1182 | 1214 | 1207 | |
102.5dPaㆍs[℃] | 1291 | 1293 | 1247 | 1283 | 1276 | |
102dPaㆍs[℃] | 1380 | 1384 | 1330 | 1372 | 1365 | |
TL[℃] | 1006 | 1035 | 미측정 | 1051 | 1046 | |
log10ηTL[dPaㆍs] | 5.5 | 5.1 | 미측정 | 4.8 | 4.8 | |
굴절률(nd) | 1.63 | 1.63 | 1.66 | 1.63 | 1.63 |
실시예 | ||||||
No.37 | No.38 | No.39 | No.40 | No.41 | ||
유리조성 (몰%) |
SiO2 | 63.0 | 60.9 | 57.4 | 59.7 | 56.5 |
Al2O3 | 1.4 | 3.3 | 1.1 | 1.1 | 3.3 | |
CaO | 8.8 | 10.0 | 9.6 | 9.3 | 9.5 | |
SrO | 4.0 | 4.6 | 4.3 | 4.2 | 4.3 | |
BaO | 14.4 | 14.4 | 16.1 | 15.5 | 15.9 | |
La2O3 | 1.5 | 0.7 | 1.9 | 1.0 | 1.1 | |
Nb2O5 | - | - | 2.2 | 2.1 | 2.2 | |
ZrO2 | 2.0 | 2.0 | 2.4 | 2.3 | 2.3 | |
TiO2 | 4.2 | 4.1 | 4.2 | 4.1 | 4.2 | |
Gd2O3 | 0.7 | - | 0.8 | 0.7 | 0.7 | |
SiO2+Al2O3+B2O3 | 64.4 | 64.2 | 58.5 | 60.8 | 59.8 | |
MgO+CaO+SrO+BaO | 27.2 | 29.0 | 30.1 | 29.0 | 29.7 | |
BaO+La2O3+Nb2O5+TiO2+ZrO2 | 22.2 | 21.2 | 26.9 | 25.1 | 25.7 | |
B2O3/SiO2 | 0 | 0 | 0 | 0 | 0 | |
SiO2/(MgO+CaO+SrO +BaO+La2O3+Nb2O5) |
2.2 | 2.1 | 1.7 | 1.9 | 1.7 | |
(MgO+CaO+SrO+BaO)/(MgO+CaO+SrO+BaO+La2O3+Nb2O5+Gd2O3) | 0.92 | 0.97 | 0.86 | 0.88 | 0.88 | |
밀도[g/cm3] | 3.52 | 3.40 | 3.76 | 3.63 | 3.65 | |
열팽창계수[×10-7/℃] | 75 | 75 | 79 | 75 | 76 | |
Ps[℃] | 703 | 699 | 716 | 710 | 718 | |
Ta[℃] | 746 | 742 | 757 | 752 | 760 | |
Ts[℃] | 900 | 899 | 899 | 900 | 906 | |
104dPaㆍs[℃] | 1102 | 1103 | 1069 | 1082 | 1086 | |
103dPaㆍs[℃] | 1202 | 1207 | 1151 | 1172 | 1174 | |
102.5dPaㆍs[℃] | 1269 | 1276 | 1204 | 1230 | 1232 | |
102dPaㆍs[℃] | 1354 | 1365 | 1271 | 1304 | 1305 | |
TL[℃] | 1086 | 1040 | 1081 | 1043 | 1063 | |
log10ηTL[dPaㆍs] | 4.2 | 4.8 | 3.8 | 4.6 | 4.3 | |
굴절률(nd) | 1.64 | 1.63 | 1.69 | 1.67 | 1.68 |
실시예 | ||||||
No.42 | No.43 | No.44 | No.45 | No.46 | ||
유리조성 (몰%) |
SiO2 | 59.0 | 60.0 | 59.8 | 58.9 | 57.5 |
Al2O3 | 3.2 | 3.5 | 3.5 | 3.4 | 3.4 | |
CaO | 9.2 | 9.0 | 9.0 | 10.3 | 11.6 | |
SrO | 4.1 | 4.1 | 4.1 | 4.8 | 5.5 | |
BaO | 15.4 | 14.7 | 14.6 | 14.9 | 15.1 | |
La2O3 | 1.0 | 1.6 | 1.6 | 1.5 | 0.8 | |
Nb2O5 | 1.1 | - | 1.0 | - | - | |
ZrO2 | 2.3 | 2.1 | 2.1 | 2.0 | 2.0 | |
TiO2 | 4.0 | 4.3 | 4.3 | 4.2 | 4.1 | |
Gd2O3 | 0.7 | 0.7 | - | - | - | |
SiO2+Al2O3+B2O3 | 62.2 | 63.5 | 63.3 | 62.3 | 60.9 | |
MgO+CaO+SrO+BaO | 28.7 | 27.8 | 27.7 | 30.0 | 32.2 | |
BaO+La2O3+Nb2O5+TiO2+ZrO2 | 23.8 | 22.6 | 23.6 | 22.7 | 22.0 | |
B2O3/SiO2 | 0 | 0 | 0 | 0 | 0 | |
SiO2/(MgO+CaO+SrO +BaO+La2O3+Nb2O5) |
1.9 | 2.0 | 2.0 | 1.9 | 1.7 | |
(MgO+CaO+SrO+BaO)/(MgO+CaO+SrO+BaO+La2O3+Nb2O5+Gd2O3) | 0.91 | 0.92 | 0.92 | 0.95 | 0.98 | |
밀도[g/cm3] | 3.57 | 3.53 | 3.37 | 3.51 | 3.50 | |
열팽창계수[×10-7/℃] | 74 | 74 | 70 | 77 | 79 | |
Ps[℃] | 713 | 712 | 703 | 705 | 700 | |
Ta[℃] | 756 | 755 | 747 | 747 | 742 | |
Ts[℃] | 908 | 909 | 905 | 899 | 893 | |
104dPaㆍs[℃] | 1095 | 1108 | 1106 | 1092 | 1084 | |
103dPaㆍs[℃] | 1188 | 1207 | 1211 | 1189 | 1179 | |
102.5dPaㆍs[℃] | 1250 | 1272 | 1282 | 1252 | 1242 | |
102dPaㆍs[℃] | 1328 | 1356 | 1370 | 1332 | 1320 | |
TL[℃] | 1051 | 1083 | 1023 | 1050 | 1065 | |
log10ηTL[dPaㆍs] | 4.6 | 4.3 | 5.2 | 4.6 | 4.3 | |
굴절률(nd) | 1.66 | 1.65 | 1.64 | 1.65 | 1.65 |
실시예 | |||||
No.47 | No.48 | No.49 | No.50 | ||
유리조성 (몰%) |
SiO2 | 59.4 | 57.9 | 58.9 | 59.5 |
Al2O3 | 3.5 | 3.4 | 3.5 | 3.5 | |
CaO | 8.9 | 13.1 | 8.9 | 9.0 | |
SrO | 4.0 | 3.9 | 6.4 | 4.0 | |
BaO | 16.2 | 14.1 | 14.4 | 14.6 | |
La2O3 | 1.6 | 1.5 | 1.6 | 2.0 | |
ZrO2 | 2.1 | 2.0 | 2.1 | 3.1 | |
TiO2 | 4.3 | 4.1 | 4.2 | 4.3 | |
SiO2+Al2O3+B2O3 | 62.9 | 61.3 | 62.4 | 63.0 | |
MgO+CaO+SrO+BaO | 29.2 | 31.2 | 29.7 | 27.6 | |
BaO+La2O3+Nb2O5+TiO2+ZrO2 | 24.1 | 21.8 | 22.3 | 23.9 | |
B2O3/SiO2 | 0 | 0 | 0 | 0 | |
SiO2/(MgO+CaO+SrO +BaO+La2O3+Nb2O5) |
1.9 | 1.8 | 1.9 | 2.0 | |
(MgO+CaO+SrO+BaO)/(MgO+CaO+SrO+BaO+La2O3+Nb2O5+Gd2O3) | 0.95 | 0.95 | 0.95 | 0.93 | |
밀도[g/cm3] | 3.53 | 3.49 | 3.54 | 3.54 | |
열팽창계수[×10-7/℃] | 76 | 77 | 78 | 73 | |
Ps[℃] | 705 | 706 | 704 | 716 | |
Ta[℃] | 748 | 748 | 747 | 760 | |
Ts[℃] | 901 | 898 | 899 | 915 | |
104dPaㆍs[℃] | 1100 | 1088 | 1091 | 1113 | |
103dPaㆍs[℃] | 1199 | 1183 | 1187 | 1211 | |
102.5dPaㆍs[℃] | 1264 | 1245 | 1250 | 1277 | |
102dPaㆍs[℃] | 1347 | 1324 | 1332 | 1358 | |
TL[℃] | 1058 | 1079 | 1044 | 1076 | |
log10ηTL[dPaㆍs] | 4.6 | 4.1 | 4.7 | 4.5 | |
굴절률(nd) | 1.65 | 1.65 | 1.65 | 1.66 |
우선, 표 7∼10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유리 용융로에 공급해서 1500∼1600℃에서 4시간 용융했다. 다음에 얻어진 용융 유리를 카본판 상에 흘려서 판상으로 성형한 후, 소정의 어닐 처리를 행했다. 최후에, 얻어진 유리판에 대해서, 각종 특성을 평가했다.
밀도는 주지의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한 값이다.
열팽창 계수는 딜라토미터를 이용하여, 30∼380℃에 있어서의 평균 열팽창 계수를 측정한 값이다. 측정 시료로서, φ5mm×20mm의 원주상 시료(단면은 R 가공되어 있다)를 사용했다.
변형점(Ps)은 ASTM C336-71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또한, 변형점(Ps)이 높을수록 내열성이 높게 된다.
서랭점(Ta), 연화점(Ts)은 ASTM C338-93에 기재된 방법에 기초하여 측정한 값이다.
고온점도 104. 0dPa·s, 103. 0dPa·s, 102. 5dPa·s 및 102. 0dPa·s에 있어서의 온도는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이들의 온도가 낮을수록 용융성이 우수하다.
액상 온도(TL)는 표준체 30메쉬(500㎛)를 통과하고, 50메쉬(300㎛)에 남는 유리 분말을 백금 보트에 넣고, 온도 구배로 중에 24시간 유지하고, 결정의 석출하는 온도를 측정한 값이다. 또한, 액상 점도(log10ηTL)는 액상 온도에 있어서의 유리의 점도를 백금구 인상법으로 측정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액상 점도가 높고, 액상 온도가 낮을수록 내실투성, 성형성이 우수하다.
굴절률(nd)은 25mm×25mm×약 3mm의 직방체 시료를 제작한 후, (Ta+30℃)부터 (변형점 -50℃)까지의 온도 영역을 0.1℃/min이 되도록 냉각 속도로 어닐 처리하고, 계속해서 굴절률이 정합하는 침액을 유리 사이에 침투시키면서, Shimadzu Corporation 제작의 굴절률 측정기 KPR-200을 사용해서 측정한 값이다.
또한, 시료 No.32, 33, 35, 36, 38, 40, 42, 44, 45, 47, 49 및 50에 기재된 유리 조성이 되도록 유리 원료를 조합한 후, 얻어진 유리 배치를 연속 가마에 투입하고, 1500∼1600℃의 온도에서 용융했다. 이어서, 얻어진 용융 유리에 대하여,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한 성형을 행하고, 두께 0.5mm의 유리판을 얻었다. 얻어진 유리판에 대하여, 평균 표면 조도(Ra)를 측정한 바, 그 값은 모두 2Å이었다. 또한, 평균 표면 조도(Ra)는 JIS B0601:2001에 준거한 방법으로 측정한 값이다.
Claims (23)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판상이고,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8∼60%, SiO2 + Al2O3 + B2O3 40∼60%, BaO 0.1∼60%, La2O3 + Nb2O5 0.1∼40%, Li2O + Na2O + K2O 0∼10%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5,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8이상, 변형점이 600℃ 이상, 굴절률(nd)이 1.55∼2.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에 있어서,
액상 점도가 103.0dPa·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B2O3 0∼5%, BaO 0.1∼40%, La2O3 + Nb2O5 0.1∼30%, Li2O + Na2O + K2O 0∼5%를 함유함과 아울러, 변형점이 630℃ 이상, 굴절률(nd)이 1.55∼2.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B2O3 0∼5%, BaO 5∼40%, La2O3 + Nb2O5 0.1∼25%, Li2O + Na2O + K2O 0∼3%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4, 변형점이 650℃ 이상, 굴절률(nd)이 1.55∼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밀도가 4.0g/c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 또는 슬롯 다운드로우법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한쪽 면이 미연마이고, 그 미연마면의 표면 조도(Ra)가 10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조명 디바이스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8 항에 있어서,
유기 EL 조명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유기 태양 전지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판상이고, 유리 조성으로서, 질량%로 SiO2 28∼60%, SiO2 + Al2O3 + B2O3 40∼60%, BaO 20∼40%, La2O3 0.1∼10%, Nb2O5 0.1∼10%, La2O3 + Nb2O5 0.1∼20%, Li2O + Na2O + K2O 0∼0.1%를 함유함과 아울러, 질량비(MgO + CaO)/(SrO + BaO)의 값이 0∼0.2,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8이상, 굴절률(nd)이 1.5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 판상이고, 유리 조성으로서 SiO2 + Al2O3 + B2O3를 40∼60질량% 함유하고, PbO의 함유량이 0.1질량% 미만이고, 몰비(MgO + CaO + SrO + BaO)/(MgO + CaO + SrO + BaO + La2O3 + Nb2O5 + Gd2O3)가 0.8이상, 굴절률(nd)이 1.55∼2.0, 변형점이 630℃ 이상, 액상 점도가 104dPa·s 이상, 30∼380℃에 있어서의 열팽창 계수가 45×10-7/℃∼95×10-7/℃, 두께가 0.05∼1.5mm, 적어도 한쪽 면의 표면 조도(Ra)가 30Å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굴절률 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273464A JP5812241B2 (ja) | 2010-12-08 | 2010-12-08 | 高屈折率ガラス |
JPJP-P-2010-273466 | 2010-12-08 | ||
JPJP-P-2010-273464 | 2010-12-08 | ||
JP2010273466A JP2012121757A (ja) | 2010-12-08 | 2010-12-08 | 高屈折率ガラス |
JP2010273465A JP5812242B2 (ja) | 2010-12-08 | 2010-12-08 | 高屈折率ガラス |
JPJP-P-2010-273465 | 2010-12-08 | ||
PCT/JP2011/078292 WO2012077708A1 (ja) | 2010-12-08 | 2011-12-07 | 高屈折率ガラス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4093A Division KR20130041222A (ko) | 2010-12-08 | 2011-12-07 | 고굴절률 유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91525A KR20150091525A (ko) | 2015-08-11 |
KR101638488B1 true KR101638488B1 (ko) | 2016-07-11 |
Family
ID=462071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4093A KR20130041222A (ko) | 2010-12-08 | 2011-12-07 | 고굴절률 유리 |
KR1020157019675A KR101638488B1 (ko) | 2010-12-08 | 2011-12-07 | 고굴절률 유리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7004093A KR20130041222A (ko) | 2010-12-08 | 2011-12-07 | 고굴절률 유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9206074B2 (ko) |
KR (2) | KR20130041222A (ko) |
CN (1) | CN103168011B (ko) |
DE (1) | DE112011104339B4 (ko) |
TW (1) | TWI555714B (ko) |
WO (1) | WO201207770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999871B2 (en) * | 2011-05-25 | 2015-04-07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High refractive index glass |
KR101493601B1 (ko) * | 2013-07-17 | 2015-02-13 |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 발광 디바이스용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JP6268805B2 (ja) * | 2013-08-13 | 2018-01-31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板の製造方法 |
KR101493612B1 (ko) | 2013-10-08 | 2015-02-13 | 쌩-고벵 글래스 프랑스 | 발광 디바이스용 적층체 및 그의 제조 방법 |
GB201505097D0 (en) * | 2015-03-26 | 2015-05-06 | Pilkington Group Ltd | Glass |
JP2017032673A (ja) * | 2015-07-30 | 2017-02-0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導光板及びこれを用いた積層導光板 |
DE102016107934B4 (de) * | 2016-04-28 | 2023-07-13 | Schott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hochbrechender Dünnglassubstrate |
WO2018021221A1 (ja) * | 2016-07-28 | 2018-02-01 | 旭硝子株式会社 | 光学ガラスおよび光学部品 |
JP6695318B2 (ja) * | 2017-12-27 | 2020-05-20 | Hoya株式会社 | 円盤状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薄板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導光板の製造方法及び円盤状ガラス基板 |
CN116066787A (zh) * | 2018-04-25 | 2023-05-05 |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 波长转换部件以及使用该波长转换部件的发光装置 |
EP3887328A2 (en) | 2018-11-26 | 2021-10-06 | Owens Corning Intellectual Capital, LLC | High performance fiberglass composition with improved specific modulus |
JP7488260B2 (ja) | 2018-11-26 | 2024-05-21 | オウェンス コーニング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キャピタ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改善された弾性率を有する高性能ガラス繊維組成物 |
KR20200100901A (ko) * | 2019-02-18 | 2020-08-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CN110342816B (zh) * | 2019-08-27 | 2021-11-02 | 江西理工大学 | 一种玻璃态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
WO2023129891A1 (en) * | 2022-01-03 | 2023-07-06 |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 Hard and crack resistant glass |
DE202023002816U1 (de) | 2022-05-25 | 2024-08-19 | Saint-Gobain Glass France | Verbundscheibe mit Reflexionselement |
CN115010363A (zh) * | 2022-06-01 | 2022-09-06 | 河北光兴半导体技术有限公司 | 高折射率玻璃组合物和高折射率玻璃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9544A (ja) * | 2006-03-31 | 2007-10-18 | Hoya Corp | モールドプレス用ガラス素材、該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光学素子の製造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3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75807B (de) * | 1958-08-07 | 1960-02-18 | JENAer Glaswerk Schott &. Gen Mainz | Alumimumoxydreiches Lanthanborosilikatglas |
DE1093521B (de) * | 1959-01-09 | 1960-11-24 | Leitz Ernst Gmbh | Optisches Glas |
US3578470A (en) * | 1968-11-12 | 1971-05-11 | Dov Bahat | Bao-al2o3-sio2 glass-ceramic materials |
US3964918A (en) * | 1974-02-22 | 1976-06-22 | Corning Glass Works | Barium borosilicate optical glasses |
DE2623683C3 (de) * | 1975-06-02 | 1979-10-04 | Hoya Glass Works, Ltd., Tokio | Glas für Augenlinsen mit einem Brechungsindex von mindestens 40 und einem spezifischen Gewicht von nicht mehr als 3,lg/cm3 |
FR2348163A1 (fr) * | 1976-04-16 | 1977-11-10 | Corning Glass Works | Verre a haut indice de refraction et faible densite |
JPS594390B2 (ja) * | 1977-01-27 | 1984-01-30 | 株式会社保谷硝子 | 光学ガラス |
FR2530235A1 (fr) * | 1982-07-16 | 1984-01-20 | Corning Glass Works | Verres a haut indice de refraction, faible dispersion et faible densite |
JPS5950048A (ja) * | 1982-09-16 | 1984-03-22 | Ohara Inc | 光学ガラス |
US5932501A (en) | 1995-10-18 | 1999-08-03 | Corning Incorporated | High-index glasses that absorb UV radiation |
JPH09255355A (ja) * | 1996-03-18 | 1997-09-30 | Asahi Glass Co Ltd | 基板用ガラス組成物 |
TWI250135B (en) * | 2001-10-15 | 2006-03-01 | Hoya Corp | Optical glass, glass material for press mold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
DE10309495B4 (de) * | 2003-02-25 | 2006-02-16 | Schott Ag | Aluminosilikatglas und dessen Verwendung |
DE10311802B4 (de) * | 2003-03-12 | 2006-03-02 | Schott Ag | Boroaluminosilikatglas und dessen Verwendung |
EP1604959A1 (en) | 2004-06-02 | 2005-12-14 | Kabushiki Kaisha Ohara | An optical glass |
WO2007097345A1 (ja) * | 2006-02-20 | 2007-08-30 | Asahi Glass Co., Ltd. | 光学ガラス |
JPWO2007129629A1 (ja) * | 2006-05-02 | 2009-09-17 | 日本板硝子株式会社 | ガラス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ガラススペーサ |
JP2008233547A (ja) * | 2007-03-20 | 2008-10-02 | Hoya Corp | 車載カメラ用レンズ硝材及び車載カメラ用レンズ |
JP5467490B2 (ja) | 2007-08-03 | 2014-04-09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強化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及び強化ガラス基板 |
US8003556B2 (en) * | 2007-09-28 | 2011-08-23 | Ohara Inc. | Optical glass |
EP2218694A4 (en) * | 2007-10-05 | 2014-03-12 | Olympus Corp | OPTICAL GLASS AND OPTICAL DEVICE EQUIPPED WITH THE OPTICAL GLASS |
WO2009044873A1 (ja) * | 2007-10-05 | 2009-04-09 | Olympus Corporation | 光学ガラス及びこれを使用した光学装置 |
WO2009075325A1 (ja) * | 2007-12-11 | 2009-06-18 | Olympus Corporation | 光学ガラス及びこれを使用した光学装置 |
JP5327702B2 (ja) * | 2008-01-21 | 2013-10-30 |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 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 |
EP2281786A4 (en) * | 2008-05-30 | 2013-12-18 | Hoya Corp | OPTICAL GLASS, PRECISION FORMING PRESENTATION, OPTICAL ELEMENT, METHOD OF MANUFACTURING ITEM AND ILLUSTRATING DEVICE |
JP4948569B2 (ja) * | 2008-06-27 | 2012-06-06 | Hoya株式会社 | 光学ガラス |
TWI494286B (zh) * | 2009-03-19 | 2015-08-01 | Nippon Electric Glass Co | 無鹼玻璃 |
EP2452926B1 (en) | 2009-07-08 | 2017-03-15 |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 Glass sheet |
JP5734189B2 (ja) * | 2009-08-10 | 2015-06-17 | Hoya株式会社 | 磁気記録媒体基板用ガラス、磁気記録媒体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磁気記録媒体 |
US8835336B2 (en) * | 2009-11-26 | 2014-09-16 | Konica Minolta Advanced Layers, Inc. | Optical glass and optical element |
JP6081914B2 (ja) * | 2010-10-18 | 2017-02-15 | オーシーヴィー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キャピタル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 高屈折率ガラス組成物 |
-
2011
- 2011-12-07 US US13/885,213 patent/US9206074B2/en active Active
- 2011-12-07 KR KR1020137004093A patent/KR20130041222A/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07 KR KR1020157019675A patent/KR10163848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12-07 CN CN201180050413.5A patent/CN103168011B/zh active Active
- 2011-12-07 DE DE112011104339.2T patent/DE112011104339B4/de active Active
- 2011-12-07 WO PCT/JP2011/078292 patent/WO201207770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12-08 TW TW100145178A patent/TWI555714B/zh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69544A (ja) * | 2006-03-31 | 2007-10-18 | Hoya Corp | モールドプレス用ガラス素材、該ガラス素材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光学素子の製造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30230692A1 (en) | 2013-09-05 |
DE112011104339B4 (de) | 2019-07-04 |
TWI555714B (zh) | 2016-11-01 |
CN103168011A (zh) | 2013-06-19 |
CN103168011B (zh) | 2016-05-04 |
US9206074B2 (en) | 2015-12-08 |
WO2012077708A1 (ja) | 2012-06-14 |
KR20150091525A (ko) | 2015-08-11 |
TW201228977A (en) | 2012-07-16 |
DE112011104339T5 (de) | 2013-10-02 |
KR20130041222A (ko) | 2013-04-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38488B1 (ko) | 고굴절률 유리 | |
KR101490828B1 (ko) | 고굴절률 유리 | |
EP2452926B1 (en) | Glass sheet | |
KR101779033B1 (ko) | 무알칼리 유리 | |
US8999871B2 (en) | High refractive index glass | |
KR101498938B1 (ko) | 복합 기판 | |
WO2016013612A1 (ja) | 高屈折率ガラス | |
JP6547995B2 (ja) | 高屈折率ガラス基板 | |
TWI603933B (zh) | 高折射率玻璃、照明裝置、有機電致發光照明以及 有機電致發光顯示器 | |
WO2015186584A1 (ja) | 分相ガラス及び分相ガラスの製造方法並びに分相ガラスを用いた複合基板 | |
JP2016028996A (ja) | 高屈折率ガラス | |
JP6249218B2 (ja) | 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 | |
JP5812242B2 (ja) | 高屈折率ガラス | |
WO2015034030A1 (ja) | ガラ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JP5812241B2 (ja) | 高屈折率ガラス | |
JP6331076B2 (ja) | ガラス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基板 | |
JP2015151288A (ja) | 高屈折率ガラス | |
JP6406571B2 (ja) | ガラス | |
WO2015080044A1 (ja) | ガラス | |
JP2015227272A (ja) | 分相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基板 | |
JP2015227274A (ja) | 分相ガラス及びこれを用いた複合基板 | |
JP2014224037A (ja) | 高屈折率ガラス | |
JP2015027928A (ja) | 高屈折率ガラス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