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260B1 - 이중 에어로졸 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에어로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260B1
KR101634260B1 KR1020147033847A KR20147033847A KR101634260B1 KR 101634260 B1 KR101634260 B1 KR 101634260B1 KR 1020147033847 A KR1020147033847 A KR 1020147033847A KR 20147033847 A KR20147033847 A KR 20147033847A KR 101634260 B1 KR101634260 B1 KR 10163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contents
container
shape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6045A (ko
Inventor
요시히로 콘노
타케시 코모다
카즈마 오자와
Original Assignee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6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6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0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 B65D83/62Contents and propellant separated by membrane, bag,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2Dip-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 B65D83/382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with closures that must be perfo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68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 B65D83/682Dispensing two or more contents, e.g. sequential dispensing or simultaneous dispensing of two or more products without mixing them the products being first separated, but finally mixed, e.g. in a dispensing hea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3Transparent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38Details of the containe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Nozzles (AREA)
  • Packag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Cosmetic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이중 에어로졸 장치는, 혼합에 의하여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로서 사용되는 복수 종류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각각 수용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를 복수 수용하는 외용기를 구비하고,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내용기가 수축함으로써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로서, 상기 외용기는,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외용기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는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파우치에 수용한다.

Description

이중 에어로졸 장치{Double-aerosol device}
본 국제출원은 2012년 6월 22일에 일본특허청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제2012-141093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특허출원 제2012-141093호의 전체 내용을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와, 그 내용기를 수용하는 외용기로 이루어지는 이중용기 구조를 가지고, 외용기와 내용기 사이의 공간에 충전된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로서는, 1개의 캔(외용기)에 1개의 내봉투(내용기)를 수용한 에어로졸 용기를 2개 나란히 배치하고, 한쪽 내봉투에 염모제 등의 제1 제를 수용하며, 다른 쪽 내봉투에 그 제2 제를 수용한 이련 캔용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한편, 1개의 외용기에 2개의 내용기를 수용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구체적으로는, 특허문헌 1에는, 내용기의 변형의 정도에 근거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주름이 있는 플리츠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내봉투(내용기)를 투명한 외용기에 수용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2001-122364호
플리츠형상의 내봉투는 변형의 정도가 눈으로 판단하기 어려워,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하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에 수용된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하기 쉽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는, 혼합에 의하여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로서 사용되는 복수 종류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각각 수용하는 내용기와, 내용기를 복수 수용하는 외용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중 에어로졸 장치는,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기가 수축함으로써 모발처리제 조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이중 에어로졸 장치에서는, 외용기가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외용기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용기는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파우치에 수용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외용기의 내부를 시인함으로써,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모발처리제 조성물이 파우치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잔량을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용기의 적어도 1개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부공간의 상부가 좁아지지 않는 형상과 비교하여, 내부공간의 상부에 수용된 모발처리제 조성물이 중앙에 모인 상태가 되므로,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잔존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내용기에는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배출하는 연통구가 설치되어 있고, 연통구로부터 파우치의 내부로 연장 설치된 유로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내용기에 수용된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연통구로의 흐름을 저해하는 파우치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 포함되어 있음.
도 1은 이중 에어로졸 장치를 정면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2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를 우측면에서 본 외관도이다.
도 3의 (a)는 제1 내용기의 외관도,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IIIB 단면도, 도 3의 (c)는 도 3의 (b)의 IIIC-IIIC 단면도, 도 3의 (d)는 도 3의 (a)의 IIID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4의 (a)는 제2 내용기의 외관도, 도 4의 (b)는 도 4의 (a)의 IVB-IVB 단면도, 도 4의 (c)는 도 4의 (a)의 IVC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5는 실시형태의 제2 내용기의 외관도이다.
도 6은 변형예의 제2 내용기의 외관도이다.
도 7은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이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8의 (a)는 내부공간의 가로폭이 일정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 도 8의 (b)는 내부공간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 도 8의 (c)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고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9의 (a)는 내부공간의 하부가 원호형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 도 9의 (b)는 내부공간을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10의 (a)는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 도 10의 (b)는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 도 10의 (c)는 위쪽 및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의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11의 (a)는 내부공간을 상하로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 도 11의 (b)는 내부공간을 좌우로 복수의 방으로 구분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12의 (a)는 내부공간의 안쪽을 부분적으로 점형상으로 용착한 파우치의 외관도, 도 12의 (b)는 내부공간의 안쪽을 부분적으로 선형상으로 용착한 파우치의 외관도이다.
도 13의 (a)는 상부 및 하부의 각 양단이 직선형상으로 비스듬히 형성된 형상의 파우치의 외관도, 도 13의 (b)는 도 13의 (a)의 XIIIB-XIIIB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변형예의 조인트 부재를 가지는 제1 내용기의 외관도, 도 14의 (b)는 도 14의 (a)의 XIVB-XIVB 단면도, 도 14의 (c)는 도 14의 (b)의 XIVC-XIVC 단면도, 도 14의 (d)는 도 14의 (a)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하단부의 확대도, 도 14의 (e)는 도 14의 (b)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하단부의 확대도, 도 14의 (f)는 도 14의 (b)와 같은 방향에서 본 막대형상부의 상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15의 (a)는 비율(T/D)이 1.0 미만인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 도 15의 (b)는 비율(T/D)이 1.0~3.0인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 도 15의 (c)는 비율(T/D)이 3.0을 웃도는 경우의 제1 내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조인트 부재에 관한 시험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복수의 내용물 중 하나를 외용기에 직접 수용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8은 한쪽 파우치가 다른 쪽 파우치에 수용된 구성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9는 파우치에 관한 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적용된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1)는 1개의 외용기(11)와, 외용기(11)에 수용된 2개의 내용기(12, 13)와, 외용기(11)의 상부에 설치된 밸브 유닛(14)과, 밸브 유닛(14)의 상부에 설치된 토출기(15)를 구비한다.
우선, 외용기(1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외용기(11)는 그 주요부인 용기본체(111)와, 용기본체(111)의 바깥면에 장착된 시트형상의 외장재(112)를 구비한다.
용기본체(111)는 투명한 수지(예를 들어, PET)로 형성된 전면이 투명한 보틀 용기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본체(111)는 복수(예를 들어, 3~6정도의 수)의 돌출 다리부(113)를 가지는 평면에서 볼 때 원형의 바닥부(114)와, 단면이 원형의 통형상의 몸통부(115)와, 위쪽으로 직경 축소하는 형상의 어깨부(116)와, 원통형상의 목부(117)를 구비한다. 바닥부(114), 몸통부(115), 어깨부(116) 및 원통형상의 목부(117)는, 일체적으로(일 부품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용기본체(111)의 형상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돌출 다리부(113)를 가지지 않는 형상이어도 좋다.
외장재(112)는 원통형상의 수지시트(예를 들어, 슈링크 필름)이다. 외장재(112)는, 용기본체(111)에 있어서의 몸통부(115)의 외주에 장착되어 있다. 외장재(112)의 재질은 투명한 수지(예를 들어, PE, PP, PVC, PS, PET)이다. 외장재(112)에는 상표명, 사용방법, 디자인 화상 등 다양한 정보가 표시(인쇄 등)되어 있다. 외장재(112)에 있어서의 정보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은 불투명하게 되어 있다.
단, 외장재(112)에 있어서의 제2 내용기(13)를 시인하기 위한 위치(이 예에서는, 제2 내용기(13)가 제1 내용기(12)의 앞쪽에 보이는 위치)에는, 표시가 되어 있지 않은 투명한 부분이 확보되어 있다. 그 투명한 부분은 외창부(118)로서 기능한다. 즉, 제2 내용기(13)(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제2 파우치(131)에 있어서의 제2 조인트 부재(132)가 위치하는 중앙부)가, 외창부(118)를 통하여 바깥쪽으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이러한 예에서는, 3개의 직사각형의 외창부(118)가 세로방향(상하방향)을 따라서 병설되어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내용기(12, 13)의 전체 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외장재(112)를 가상선(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본래라면 외장재(112)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내용기(12, 13)에 있어서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대하여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외창부(118)는 외장재(112)를 잘라낸 형태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으로, 내용기(12, 13)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2개의 내용기(12, 13)는 외용기(11)의 내부에 있어서 병렬로 수용되어 있다. 내용기(12, 13)의 하단부는 용기본체(111)에 있어서의 바닥부(114)의 상면(바닥면)에 맞닿고 있다. 즉, 내용기(12, 13)는 바닥부(114)의 상면에 재치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a), 도 3의 (b), 도 4의 (a) 및 도 4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내용기(12, 13)는 시트재의 둘레부를 서로 접합한 구조의 봉투체인 파우치(121, 131)와, 그 연통구(상부개구)에 고정된 조인트 부재(122, 132)를 구비한다. 한편, 도 3의 (a) 및 도 4의 (a)에서는, 조인트 부재(122, 132)의 전체 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파우치(121, 131)를 가상선(이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때문에, 본래라면 파우치(121, 131) 및 내용물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조인트 부재(122, 132)의 일부)에 대하여도 도시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내용기(12, 13)의 하단부가 바닥부(114)의 상면에 맞닿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용기(12, 13)의 하단부가 바닥부(114)의 상면에 맞닿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단, 내용기(12, 13)의 하단부가 바닥부(114)의 상면에 맞닿는 구성에서는, 파우치(121, 131)에 있어서의 조인트 부재(122, 132)와의 용착부에 부담이 걸리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내용물의 누출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1 내용기(12)에 사용되는 제1 파우치(121)에는, 제1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또한, 제2 내용기(13)에 사용되는 제2 파우치(131)에는, 제1 내용물과는 다른 제2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은 모발처리제 조성물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은 혼합에 의하여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로서 사용되는 제1 제 및 제2 제이다.
제1 제는 알칼리제를 함유하고, 제2 제는 과산화수소를 함유한다. 제2 제에서는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어 산소가 발생하므로, 제2 내용기(13)에서 발생한 산소를 제2 내용기(13)의 외부로 내보낼 필요가 있다. 이중 에어로졸 장치(1)는 이련 캔용기와 같이 내용기 바깥쪽 공간이 독립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만일 제1 내용기(12) 및 제2 내용기(13)가 공통의 외용기(11)에 수용되어 있다고 하면, 제2 내용기(13)의 외부로 나온 산소가 제1 내용기(12)의 내부로 침입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제1 내용기(12)에 이용되는 제1 파우치(121)에는, 기체 및 액체를 차단하는 성능이 높은 다층구조의 시트재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파우치(121)에는 금속박 시트나 수지시트 등을 적층한 다층(예를 들어, 6층) 구조의 불투명한 시트재가 이용된다. 제1 파우치(121)의 두께는, 예를 들어 70~150㎛로 하여도 좋다. 두께를 150㎛ 이하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과 함께 파우치(121)가 찌그러지기 쉬워, 내용물을 전부 짜낼 수 있으므로, 최후까지 안정된 토출량이 얻어지기 쉽다. 또한, 두께를 70㎛ 이상으로 함으로써, 파우치(121)가 원형을 남기지 않을 정도로 찌그러져 내용물이 유로나 구멍 등을 막아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한편, 금속으로서, 예를 들어 알루미늄을 이용하여도 좋고, 수지로서, 예를 들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VOH)를 이용하여도 좋다. 알루미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5~20㎛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제2 내용기(13)에 이용되는 제2 파우치(131)에는, 기체는 통과하지만 액체는 통과하지 않는 성질(가스 투과성)의 시트재가 이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지시트를 이용한 단층 또는 다층 구조의 투명한 시트재가 이용된다. 제2 파우치(131)의 두께는 제1 파우치(131)와 같은 이유에 의하여, 예를 들어 70~150㎛로 하여도 좋다. 한편, 수지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스테르를 이용하여도 좋다.
즉, 제1 파우치(121)가 불투명해지는 한편, 제2 파우치(131)는 투명하게 할 수 있다. 제2 파우치(131)는 전면을 투명하게 하는 것도 가능한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양측부에 불투명부(139)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불투명부(139)는 제2 파우치(131)를 구성하는 시트재에 직접 형성(인쇄 등)하여도 좋으며, 또한 파우치 표면에 다른 시트를 접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즉, 제2 파우치(131)는 좌우 양측부를 제외하는 중앙부가 투명하고, 그 중앙부에 있어서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파우치(121) 및 제2 파우치(131)는 공통의 형상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4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우치(121, 131)의 외형은 개략 직사각형이다. 구체적으로는, 파우치(121, 131)는 상부 양단이 직선형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형상이고,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이다. 마찬가지로, 파우치(121, 131)의 내부공간(내용물이 수용되는 공간)도 직사각형의 상부 양단이 직선형상으로 비스듬히 용착된 형상이며,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이다. 이 때문에, 내용물의 잔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121, 131)의 외형에 있어서의 모서리부는, 외용기(11)와의 간섭을 발생시키기 어렵게 하기 위하여, 동그랗게(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부 양단의 경사 부분의 각도는, 예를 들어 연직방향에 대하여 30~60도로 하여도 좋다.
내부공간의 상단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수평방향)으로 직선형상의 부분이 확보되어 있다. 이것은 내용기(12, 13)의 제조과정에 있어서 조인트 부재(122, 132)를 파우치(121, 131)에 삽입한 상태에서, 파우치(121, 131)의 상단 중앙부(조인트 부재(122, 132)가 삽입된 부분)를 용착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용착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이 직선형상의 부분의 길이를, 예를 들어 10mm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물을 중앙에 모은다는 관점으로부터, 이 직선형상의 부분의 길이를, 예를 들어 35mm 이하(바람직하게는, 30mm 이하)로 하여도 좋다. 즉, 내부공간의 상단 중앙에 있어서의 직선형상 부분의 길이를, 예를 들어 15mm 이상 35mm 이하로 함으로써, 제조과정에 있어서 용착을 행하기 쉽게 하면서,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물이 배출되기 쉬워지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예를 들어 내부공간의 가로폭이 35mm를 넘지 않는 것이라면, 내부공간의 상부를 좁게 형성하지 않고(예를 들어, 통상의 직사각형상이어도), 이러한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내부공간의 가로폭이 35mm를 넘는 경우에는, 내부공간의 상부를 좁게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효과가 얻어진다.
조인트 부재(122, 132)는 파우치(121, 131)의 연통구에 있어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동시에,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흐름이 파우치(121, 131)의 꺾임 등에 의하여 저해되기 어렵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내용기(12)에 이용되는 제1 조인트 부재(122)와, 제2 내용기(13)에 이용되는 제2 조인트 부재(132)는 형상이 다르다. 단,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한쪽의 조인트 부재를 양쪽 내용기에 이용하여도 좋다. 즉, 동일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동일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구성에 따르면, 다른 형상의 조인트 부재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생산효율을 높일 수 있다. 더욱이, 파우치(121, 131)가 마찬가지로 찌그러지기 쉬워지므로, 잔량을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의 점도 및 점성이 거의 같은 경우에는, 동일한 조인트 부재를 이용함으로써,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이 거의 같은 양으로 토출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도 3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조인트 부재(122)는 제1 파우치(121)의 연통구를 내용물이 통과하기 위한 내부유로(123)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헤드부(124)와, 제1 파우치(121)의 내부에 삽입되는 막대형상부(125)를 구비한다. 헤드부(124) 및 막대형상부(125)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막대형상부(125)에는 표리를 관통하는 슬릿(126)이 세로방향(상하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막대형상부(125)는 평행한 2개의 막대(127, 128)가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된 형상이다. 단, 2개의 막대(127, 128) 사이에는 이들을 연결하는 판형상의 연결부(129)가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 장소에(이 예에서는 일정 간격으로 4곳에) 설치되어 있다. 즉, 막대형상부(125)는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연결부(129)의 두께 치수는, 슬릿(126)에 의하여 형성되는 개방유로(파우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유로)를 막힘이 없도록, 2개의 막대(127, 128)의 각각의 두께 치수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도 3의 (b)를 참조). 이 때문에, 연결부(129)가 설치된 부분의 단면형상(막대형상부(125)의 축방향을 따른 단면형상)은 H형이 된다(도 3의 (d)를 참조).
한편, 도 4의 (a) 내지 도 4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조인트 부재(132)는 제2 파우치(131)의 연통구를 내용물이 통과하기 위한 내부유로(133)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헤드부(134)와, 제2 파우치(131)의 내부에 삽입되는 막대형상부(135)를 구비한다. 헤드부(134) 및 막대형상부(135)는 수지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막대형상부(135)는 축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개략 타원형(상세하게는, 마름모꼴의 모서리부를 원호형상으로 한 형상)이다(도 4의 (c)를 참조). 막대형상부(135)는 두께 치수(제2 파우치(131)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길이이고, 도 4의 (c)에서 말하는 세로방향)보다 가로폭 치수(제2 파우치(131)의 면을 따른 방향의 폭의 길이이고, 도 4의 (c)에서 말하는 가로방향)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막대형상부(135)의 두께 치수는, 헤드부(134)의 하부이며 파우치(131)가 용착되는 부위인 단면 마름모꼴의 용착부위의 두께 치수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파우치(131)를 용착하는 제조공정에 있어서, 파우치(131)를 조인트 부재(132)의 용착부위에 따르도록 하기 쉬워(용착부위로부터 들뜨기 어려워), 용착을 행하기 쉽다. 또한, 막대형상부(135)의 단면이 가로폭 치수보다 두께 치수가 짧은 타원형이므로, 내용물의 대부분이 배출된 상태에 있어서 막대형상부(135)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간격(내용물이 잔존하기 쉬워지는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파우치(131)에 잔존하는 내용물의 양이 저감된다.
그리고, 막대형상부(135)에 있어서, 제1 내용기(12)측을 향하는 면(도 4의 (b)에서 말하는 좌측 면이고, 이하 '내향면'이라고 함)에는, 세로방향(상하방향)을 따라서 직선형상의 슬릿(136)이 하단까지 형성되어 있다. 슬릿(136)은 그 상부에 있어서 깊이가 단계적으로 깊어지게 된다. 슬릿(136)의 최상단에는, 내향면과는 반대측 면(도 4의 (b)에서 말하는 우측 면이고, 이하 '외향면'이라고 함)까지 관통한 관통구멍(137)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막대형상부(135)의 강도를 유지한다(휘어지기 어렵게 한다)는 관점, 및 슬릿(136)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를 찌그러지기 어렵게 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슬릿(136)의 깊이는, 예를 들어 막대형상부(135)의 두께 치수의 20~50%로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표현으로서, 슬릿(136)의 두께는, 0.5mm 이상으로 하여도 좋고, 슬릿(136)에 의한 잔여 부분(슬릿(136)을 깊게 할수록 얇아지는 부분)의 두께 치수를 1.5mm 이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슬릿(136)에 파우치(131)를 파고 들게 하기 어렵게 한다는 관점으로부터, 슬릿(136)의 가로폭 치수는, 예를 들어 0.5~3mm로 하여도 좋다. 또한, 슬릿(136)은 가로폭이 위쪽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좋다. 또한, 단계적으로에 한정되지 않으며, 위쪽을 향하여 비스듬히 넓어지는(또는 깊어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외향면에는 내향면과 같은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하단부에 오목부(138)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138)는 조인트 부재(132)를 수지로 성형할 때의 게이트가 되는 부분이고, 바리케이트가 돌출되어 파우치(131)를 손상시켜 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움푹 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한편, 막대형상부(135)의 하단부를 게이트로 하고 있는 것은, 막대형상부(135)가 장척이고, 강성이 높기 때문이다.
또한, 외향면은, 제2 내용물의 색상(불투명한 색상이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백색)과는 다른 색상으로서, 시인하기 쉬운 색상(본 실시형태에서는 황색)을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기능은, 제2 조인트 부재(132)의 재료 자체를 황색으로 착색함으로써 실현된다. 따라서, 이 예에서는, 외향면 이외의 부분도 황색이다. 단,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시인하기 쉬운 색상 이외의 색상 재료로 형성된 제2 조인트 부재(132)에 있어서의 적어도 외향면 부분에, 시인하기 쉬운 색상의 외장재(예를 들어, 씰)를 장착하여도 좋다. 한편, 외향면의 색상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황색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적색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2 조인트 부재(132)의 막대형상부(135)의 가로폭은, 제1 조인트 부재(122)의 막대형상부(125)와 비교하여, 약간 크게 설계되어 있다. 이것은 외향면의 면적을 크게 함으로써, 외향면을 시인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즉, 외향면은 제2 내용물의 잔량을 외용기(11)의 바깥쪽으로부터 파악하기 위한 게이지로서 기능한다.
다음으로, 밸브 유닛(14)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밸브 유닛(14)은 2개의 내용기(12, 13)의 각각에 대응하는 2개의 밸브, 이들 2개의 밸브를 늘어뜨려 고정하는 밸브 홀더, 이들을 외용기(11)의 개구부에 고정하는 마운틴 커버 등을 구비한다. 제1 밸브는 제1 조인트 부재(12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1 파우치(121)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유로를 개폐한다. 바꿔 말하면, 제1 조인트 부재(122)는 제1 파우치(121)의 내부와, 제1 밸브를 연통한다. 마찬가지로, 제2 밸브는 제2 조인트 부재(132)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제2 파우치(131)에 수용된 내용물의 토출유로를 개폐한다. 바꿔 말하면, 제2 조인트 부재(132)는 제2 파우치(131)의 내부와, 제2 밸브를 연통한다. 각 밸브는 상하 이동 가능한 스템(141, 142)을 구비하고, 스템(141, 142)이 밑으로 눌림으로써 유로를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밸브 유닛(14)의 구성 자체는 주지이므로, 구조를 간이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여기에서 설명한 구성은 일례이며,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지는 다른 구성으로 치환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밑으로 눌림으로써 유로를 개방하는 타입의 스템 대신에, 기울어짐으로써 유로를 개방하는 타입의 스템을 이용하여도 좋다.
한편, 파우치(121, 131)끼리가 간섭하면, 각각에 수용된 내용물 중, 점도가 낮은 쪽이 밀려 배출되기 쉬워져, 배출되는 비율이 원하는 비율에서 어긋나버리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래서, 스템(141, 142)의 간격을, 예를 들어 파우치(121, 13)의 두께 치수의 최대값(내용물을 배출하기 전의 팽창된 폭)의 5할 이상의 길이(바람직하게는, 6할 이상의 길이)로 설계하여도 좋다. 또한, 내용기(12, 13)에 수용하는 내용물의 양을, 예를 들어 만(滿)용량(수용 가능한 최대량)의 9할 이하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파우치(121, 131)끼리 간섭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서 말하는 만용량이란, 비어 있는 상태의 내용기(12, 13)에 물을 계속 주입하여, 파우치(121, 131)의 복원력에 의하여 물이 넘치기 직전의(한계치의) 용량을 의미한다.
외용기(11)의 안쪽이며, 내용기(12, 13)의 바깥쪽 공간은, 밸브 유닛(14)에 의하여 밀폐되고, 그 밀폐공간에는 분사제(예를 들어, 압축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2개의 파우치(121, 131)는, 분사제에 의하여 상시 가압되고 있고,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기(12, 13)가 수축함으로써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분사제는 내용기(12, 13)가 밸브에 설치되고, 외용기(11)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외용기(11) 내를 탈기하고, 내용기(12, 13)에 내용물을 충전한 후에, 외용기(11) 내에 충전된다. 외용기(11) 내를 탈기할 때에는, 마운틴 커버가 외용기(11)로부터 조금 들뜬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 있어서도, 내용기(12, 13)가 외용기(11)(용기본체(111))에 있어서의 바닥부(114)의 상면(바닥면)에 맞닿고, 재치된 상태가 되도록, 내용기(12, 13)의 상하방향의 길이가 설계되어 있다. 한편, 내용기(12, 13)의 상하방향의 길이란, 파우치(121, 131)의 상하방향의 길이와, 파우치(121, 131) 상부로부터 돌출된 조인트 부재(122, 132)의 상하방향의 길이를 가산한 길이이다.
다음으로, 토출기(15)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토출기(15)는 스템(141, 142)으로부터 배출된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을 합류시켜 노즐(151)로부터 토출하는 내부유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토출기(15)는 상하 이동 가능하고, 그 상면이 아래쪽으로 내려 눌림으로써, 2개의 스템(141, 142)을 동시에 내려 누른다. 이에 따라, 제1 밸브와 제2 밸브가 동시에 개방되고, 내용기(12, 13)로부터 내용물이 동시에 배출된다. 한편, 이와 같은 토출기(15)의 구성 자체는 주지이므로, 구조를 간이적으로 나타내는 동시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이중 에어로졸 장치(1)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 전 상태에서는, 2개의 내용기(12, 13)의 각각이 내용물로 채워져 있다.
이러한 상태로 토출기(15)가 아래쪽으로 내려 눌려지고, 밸브 유닛(14)의 2개의 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면, 제1 내용물 및 제2 내용물이 동시에 토출된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파우치(121, 131)에 있어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된다. 그때, 파우치(121, 131)의 내부공간에 있어서는 위쪽에 존재하는 내용물부터 순서대로 배출된다.
이 때문에, 제2 내용기(13)에서는, 제2 내용물의 감소에 따라, 조인트 부재(132)의 막대형상부(135)의 외향면이, 상부로부터 서서히 노출된다. 이렇게 하여서 노출된 막대형상부(135)의 외향면을 외용기(11)의 외부로부터 외창부(118)를 통하여 시인함으로써, 제2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은, 일정 비율(본 실시형태에서는 1:1)로 토출되고, 동시에 전부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2 파우치(131)의 잔량에 근거하여, 제1 파우치(121)의 잔량에 대하여도 파악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1)는 혼합에 의하여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로서 사용되는 2종류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제1 제 및 제2 제)을 각각 수용하는 2개의 내용기(12, 13)와, 이들 2개의 내용기(12, 13)를 수용하는 외용기(11)를 구비한다. 이러한 이중 에어로졸 장치(1)는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내용기(12, 13)가 수축됨으로써 내용물(모발처리제 조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히, 이러한 이중 에어로졸 장치(1)에서는 외용기(11)가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외용기(11)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이중 에어로졸 장치(1)에 따르면, 외용기(11)의 내부를 시인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내용기(12, 13)는 내용물을 파우치(121, 131)에 수용한다. 그리고, 제2 파우치(131)에는 투명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특히, 제1 내용기(12)와 제2 내용기(13)가 공통의 외용기(11)에 수용된 구성에서는, 이련 캔용기와 같이 내용기 바깥쪽의 공간이 독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반응하기 쉬운 환경이 되며, 내용기(12, 13)에는 높은 차단성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점, 파우치는 시트재의 둘레부를 서로 접합한 구조이고, 재질의 자유도가 높으며, 다층(예를 들어, 6층) 구조의 시트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높은 차단성능을 실현할 수 있다. 더욱이, 파우치라면 평면에 가까운 상태의 면이 넓게 형성되므로,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덧붙여, 제2 파우치(131)의 좌우 양측부에 불투명부(139)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파우치(131)의 단부에 잔존하기 쉬운(배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내용물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여, 잔량이 적절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내용기(12, 13)는 파우치(121, 131)에 있어서의 내용물을 배출하는 연통구로부터 파우치(121, 131)의 내부로 연장 설치된 조인트 부재(122, 132)를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우치(121, 131)에 수용된 내용물의 연통구로의 흐름을 저해하는 파우치(121, 131)의 변형을 억제하여, 내용물을 최후까지 토출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121, 131)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이므로, 내부공간의 상부가 좁아지지 않는 형상과 비교하여, 내부공간의 상부에 수용된 내용물이 중앙에 모인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상부의 내용물이 조인트 부재(122)에 가까운 위치가 되어, 배출되기 쉬워지므로,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잔존량을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물이 최초로 배출되고, 그 흐름으로 내용물이 위쪽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쉬워지므로, 파우치(121, 131)에 수용된 내용물이 파우치(121, 131)의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위쪽부터 순서대로 감소하기 쉬워진다. 그 결과, 외부로부터의 시인에 의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더욱이, 파우치(121, 131)의 무게중심이 낮아지므로, 이중 에어로졸 장치(1)를 재치하였을 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2 조인트 부재(132)는 가로폭 치수가 길게 형성되어 있고, 게이지로서 시인되는 외향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잔량의 시인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막대형상부(135)에는 내향면에 슬릿(136)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외향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내용물은 외향면측보다 내향면측을 흐르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외향면이 제2 내용물에 가려지기 어려워져, 외향면의 색상을 시인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조인트 부재(122)와 제2 조인트 부재(132)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있으므로, 점성 등이 다른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배출되는 비율을 바람직한 비율에 근접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막대형상부(125)에 형성되는 슬릿(126)의 폭이 막대형상부(135)에 형성되는 슬릿(136)의 폭보다 넓다(형성되는 유로면적이 크다). 이 때문에, 제2 내용물보다 점성이 높은 제1 내용물의 배출량을 제2 내용물의 배출량에 근접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1) 내용물의 잔량을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외용기의 구성
내용물의 잔량을 외용기(11)의 바깥쪽으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는, 외용기(11)의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을 가질(투명 또는 반투명일) 필요가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된 용기본체(111)에 외장재(112)가 장착되고, 외장재(112)에 설치된 외창부(118)로부터 내부를 시인하는 구성의 외용기(11)를 예시하였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외창부의 형상, 크기, 위치, 개수 등은 내용물의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어 외장재(112)를 이용하지 않고, 용기본체(111)에 문자나 도형 등을 직접 형성(인쇄 등)한 것을 외용기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불투명한 부분을 형성하지 않고, 전면이 투명한 외용기로 하여도 좋다.
(2) 내용물의 잔량을 시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내용기의 구성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2 파우치(131)의 좌우 양측부를 제외하는 중앙부를 투명하게 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량을 시인 가능하게 한 내용기(12, 13)를 예시하였다(도 5). 이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좌우 양측부에 잔존하기 쉬운(배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내용물이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잔량이 적절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파우치에 있어서의 투명한 부분의 형상, 크기, 위치, 개수 등은 내용물의 잔량을 시인할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6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A)의 제2 파우치(131A)와 같이, 좌우 양측부의 불투명부(139)에 더하여, 막대형상부(135)를 덮는 불투명부(139A)를 중앙부에 형성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막대형상부(135)의 좌우 양측에 존재하는 내용물을 시인 가능하게 하면서, 막대형상부(135)의 양측에 잔존하기 쉬운(배출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곤란한) 내용물이 시인되지 않도록 하여, 잔량이 적절하게 파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2 파우치를 구성하는 한쪽의(제1 내용기(12)측의) 시트재를 불투명으로 하고, 다른 쪽의 시트재에 투명한 부분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불투명한 시트재의 안쪽에 표시된 색상, 문자, 기호 등의 정보를 투명한 부분이 설치된 시트재를 통하여 시인함으로써,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투명한 부분은 제2 파우치의 일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파우치의 전면을 투명하게 하여도 좋다.
또한, 파우치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하게 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파우치의 변형 정도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그 변형 정도에 근거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파우치는 다른 봉투형상 용기와 비교하여, 변형되는 방향이 특정되므로, 변형 정도에 근거하여 잔량이 파악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파우치(121, 131)에 있어서 내용물이 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는 구성에 따르면, 파우치(121, 131) 변형의 정도에 근거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3) 파우치의 형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이 비스듬하게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형상의 파우치(121, 131)를 예시하였는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음에 예시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한편, 다음에 예시하는 형상은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 중 어느 한쪽에 적용하여도 좋고, 양쪽에 적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유로부재로서 제2 조인트 부재(132)를 예시하는데, 어디까지나 예시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7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B)의 제2 파우치(131B)와 같이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이 직선형상이 아니라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이 예에서는 원호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은 내부공간에 있어서 위쪽 위치일수록 가로폭이 좁아진다는 특징을 보다 현저하게 한 것이다. 도 7에 나타내는 형상에 따르면, 내부공간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잔존량을 저감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내용물이 내부공간의 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파우치의 외형을 내부공간의 형상에 맞추어, 상부를 좁게 하여도 좋다. 단,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형에 대하여는 상부 폭을 좁게 하지 않음으로써(상부 양단 모서리부에 있어서의 용착부의 폭을 크게 함으로써), 외용기(11)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간격을 작게 할 수 있어, 파우치(131B)의 이동 가능 범위를 좁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외용기(11)를 거꾸로 향하게 한 경우(특히, 낙하한 경우)의 파우치(131B)의 이동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조인트 부재(132)의 하단이 파우치(131B)를 돌파해버리는 일이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한편, 예를 들어, 도 8의 (a)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C)의 제2 파우치(131C)와 같이, 내부공간의 가로폭이 일정(이 예에서는 직사각형)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의 (b)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D)의 제2 파우치(131D)와 같이 내부공간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특히, 점도가 높은 내용물(상기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제1 내용물)은, 내부공간의 하부에 잔존하기 쉬워지므로, 하부를 좁게 함으로써 잔존량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파우치 중의 일부(상기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제1 파우치(121))에 적용하여도 좋다. 한편, 도 7에 나타낸 형상과 마찬가지로, 내부공간의 하부 양단을 비스듬하게 직선형상으로 형성한 형상 대신에,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예를 들어, 원호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8의 (c)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E)의 제2 파우치(131E)와 같이,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고,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내용물이 위쪽에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쉬어진다는 효과)와 더불어, 도 8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내용물이 하부에 잔존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한편, 이 경우에도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 및 하부 양단을 비스듬하게 직선 형상으로 형성한 형상 대신에, 안쪽으로 움푹 패인 형상(예를 들어, 원호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9의 (a)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F)의 제2 파우치(131F)와 같이, 내부공간의 하부가 원호형상으로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여도, 도 8의 (b)의 구성과 같은 효과(내용물이 하부에 잔존하기 어려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예를 들어 도 9의 (b)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G)의 제2 파우치(131G)와 같이, 내부공간을 복수의 방(이 예에서는 상하 2개의 방)으로 구분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내용물의 배출량을 방마다 조정하기 쉬워져, 내용물을 위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공간의 측부가 잘록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H)의 제2 파우치(131H)와 같이, 위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I)의 제2 파우치(131I)와 같이,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10의 (c)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J)의 제2 파우치(131J)와 같이, 위쪽 및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도, 도 9의 (b)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효과(내용물이 위쪽으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위쪽의 내부공간을 아래쪽 내부공간보다 크게 함으로써, 위쪽에 있어서의 복원력(내용물을 배출하기 위하여 작용하는 힘)이 아래쪽에 있어서의 복원력보다 커져, 내용물을 상부로부터 순서대로 배출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1의 (a)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K)의 제2 파우치(131K)와 같이, 내부공간을 복수의 방(이 예에서는 상하 3개의 방)으로 구분하고, 이웃하는 방끼리를 한쪽 단부(이 예에서는 좌우 상호가 되는 측)에서 연통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여기에서, 구분하는 방향은 상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 11의 (b)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L)의 제2 파우치(131L)와 같이, 내부공간을 좌우로 복수의 방으로 구분하고, 이웃하는 방끼리를 한쪽 단부(이 예에서는 하단)에서 연통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내부 공간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흐름이 규제되므로, 내용물이 배출되는 태양의 편차를 발생시키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내부공간의 안쪽을 부분적으로 용착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12의 (a)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M)의 제2 파우치(131M)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내부공간의 안쪽(이 이예에서는 상부 양단)을 부분적으로 점형상으로 용착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내부공간의 상부 양단이 비스듬하게 직선형상으로 형성된 형상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예에서는, 좌우 2곳씩 용착하고 있는데, 좌우 1곳씩이어도 좋고, 또한 보다 많은 곳을 용착하여도 좋다. 그리고, 용착위치에 따라서 상술한 각종 형상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12의 (b)에 나타내는 제2 내용기(13N)의 제2 파우치(131N)와 같이, 직사각형의 내부공간의 안쪽(이 예에서는 상부 양단)을 부분적으로 선형상으로 용착하여도 좋다.
또한, 파우치의 내부공간의 형상에 따라서, 파우치의 외형도 변경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도 8의 (b)와 같이 내부공간의 하부가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인 경우, 파우치의 외형도 아래쪽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외용기(11)와 간섭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13의 (a)에 나타내는 제1 내용기(12A)의 제1 파우치(121A)와 같이, 상부 양단 및 하부 양단이 직선 형상으로 비스듬하게 형성된 형상(위쪽 및 아래쪽 각각으로 서서히 좁아지는 형상으로서, 직사각형의 네 모서리를 절삭한 형상)의 외형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외용기(11)의 내벽과의 간섭에 기인하는 파우치(121A)의 비틀림이나 기울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우치(121A)에 있어서의 상부의 씰부(시트재끼리를 서로 접합한 둘레부)의 폭을 하부의 씰부의 폭과 비교하여 넓게(씰부의 면적을 크게)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상부의 씰부가 하부의 씰부와 비교하여 단단해져, 거꾸로 낙하(헤드부(124)가 아래가 되는 방향으로 낙하)하여도 파우치(121A)가 찌그러지기 어려워져, 낙하 전과 같은 파우치(121A)의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도 13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우치(121A)의 상부가 파우치(121A)의 하부와 비교하여, 두께 방향으로 넓어지기 어려워진다(두께가 좁아진다). 이 때문에, 파우치(121A)의 상부에 있어서의 내용적이 파우치(121A)의 하부에 있어서의 내용적과 비교하여 작아진다. 그 결과, 내용물이 항상 일정한 밸런스(아래쪽이 많아지는 상태)로 충전되기 쉬어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형상의 파우치(121A)를 제1 내용기 및 제2 내용기에 이용하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이 토출되는 비율에 편차가 발생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4) 유로부재의 형상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유로부재로서 제1 조인트 부재(122) 및 제2 조인트 부재(132)를 예시하였는데, 유로부재의 형상은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에 나타내는 제1 내용기(12B)의 조인트 부재(122B)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실시형태의 제1 조인트 부재(122)와 같은 형상이다. 단, 조인트 부재(122B)에서는 막대형상부(125B)에 있어서의 하단부의 두께 치수(파우치(121)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길이이고, 도 14의 (b)에서 말하는 가로방향)가 하단부 이외의 부분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127B, 128B)의 하단에는, 최하단의 연결부(129)보다 아래쪽으로 돌출된 돌출부(127C, 128C)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7C, 128C)는 동일한 형상이고, 도 14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127B, 128B)에 있어서의 돌출부(127C, 128C) 이외의 부분과 비교하여, 두께 방향 양측(도 14의 (b) 및 도 14의 (e)에서 말하는 가로방향 좌우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막대형상부(125B)의 하단부에 있어서 파우치(121)를 폐색하기 어렵게 할 수 있어, 파우치(121)의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하부에 모인 내용물을 빨아내기 쉽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인트 부재(122B)는 막대형상부(125B)에 있어서의 상단부(헤드부(124)와의 접촉부이며, 파우치(121)의 내부공간에 있어서의 최상부에 위치하는 부분)의 두께 치수가, 상단부 이외의 부분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막대(127B, 128B)의 상단부(127D, 128D)는 동일한 형상이고, 도 14의 (f)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127B, 128B)에 있어서의 상단부(127D, 128D) 이외의 부분과 비교하여, 두께 방향 양측에 있어서 안쪽(중심선측)으로 움푹 패여 있다. 이러한 형상에 따르면, 막대형상부(125)의 상단부에 홈이 형성되므로, 막대형상부(125)의 옆쪽에 모인 내용물이 그 홈으로부터 막대(127B, 128B) 사이로 흘러 들어가기 쉬워져서, 내용물의 잔량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홈이 상단부에 형성되므로, 상단부 이외에 홈이 형성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막대(127B, 128B) 사이에 있어서의 내용물의 잔량을 저감할 수 있다.
막대(127B, 128B)에 있어서의 돌출부(127C, 128C) 및 상단부(127D, 128D)를 제외하는 부분의 두께(T)는 일정하다(도 14의 (e) 및 도 14의 (f)를 참조). 또한, 막대(127B, 128B)끼리의 간격(슬릿(126B)의 가로폭 치수)(D)도 일정하다(도 14의 (d)를 참조). 파우치(121)의 두께가 70~150㎛의 범위 내인 경우, 막대(127B, 128B)의 두께(T)와 간격(D)의 비율(T/D)은 1.0~3.0으로 하여도 좋다. 도 1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T/D)이 1.0 미만인 경우, 파우치(121)가 폐색되기 쉬워, 내용물이 토출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15의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T/D)이 3.0을 웃도는 경우, 파우치(121)는 폐색되기 어렵지만, 막대(127B, 128B) 사이에 잔존하는 내용물의 양이 많아져 버린다. 이에 대하여, 비율(T/D)이 1.0~3.0이면, 도 1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우치(121)의 폐색을 억제하면서, 막대(127, 128) 사이에 잔존하는 내용물의 양도 적게 할 수 있다.
도 16에 막대(127B, 128B)의 두께(T) 및 간격(D)을 다르게 한 경우의 시험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에서는, 두께가 121㎛의 제1 파우치(121)에 제1 제를 40g 충전하고, 두께가 104㎛인 제2 파우치(131)에 제2 제를 40g 충전하였다. 그리고, 내용물 40g 중 30g 이상을 3초당 2~15g 이상의 토출량으로 토출시킬 수 있었던 경우에 양호라고 평가하고, 그 토출량으로 토출시킬 수 없었던 경우에 가능이라고 평가하였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율(T/D)이 1.0~3.0인 경우에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고, 특히 1.2~2.2인 경우에는 보다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한편,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c)에 나타내는 조인트 부재(122B)는 막대(127B, 128B)에 있어서의 돌출부(127C, 128C) 및 상단부(127D, 128D)를 제외하는 부분의 두께(T)가 일정하며, 막대(127B, 128B)끼리의 간격(D)도 일정하다. 따라서, 이 부분의 비율(T/D)이 1.0~3.0의 범위에 설계됨으로써, 막대형상부(125B)에 있어서의 대부분에서 상술한 효과가 얻어지므로, 그 결과로서 높은 효과가 얻어진다. 단, 조인트 부재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율(T/D)이 1.0~3.0의 범위가 되는 부분이 일부라도 존재하면, 그 부분에 있어서는 상술한 효과가 얻어지고, 특히 그 부분의 비율이 높을수록 그 효과가 높아진다.
한편, 도 14의 (a) 내지 도 14의 (f)에서 예시한 형상은, 제1 조인트 부재 및 제2 조인트 부재 중 어느 한쪽에 적용하여도 좋고, 양쪽에 적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파우치로서 상기 실시형태의 파우치(121)를 예시하였는데,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예를 들어 슬릿의 위치나 개수를 변경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막대형상부의 양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예를 들어, 단면 H형), 또한 막대형상부의 모서리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예를 들어, 단면 T자형, 단면 십자형, 단면 별형). 그리고, 막대형상부의 주위에 나선형상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유로부재는 슬릿에 의하여 개방유로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유로를 가지는 구성(튜브)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또한 내부공간의 하부로부터보다 상부로부터 우선적으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상부에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복수의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 상부일수록 구멍의 간격을 작게 하여도 좋고, 또한 상부일수록 구멍을 크게 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도 10의 (a) 내지 도 10의 (c)와 같이 잘록한 부분을 가지는 형상에서는, 잘록한 부분의 상부에 내용물이 잔존하기 쉬우므로, 잘록한 부분의 상부에 닿는 위치에 구멍을 형성하여도 좋다. 그리고, 튜브의 구멍 대신에 슬릿의 폭을 넓게 하거나, 슬릿의 깊이를 깊게 하거나 함으로써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유로부재의 길이는, 파우치의 바닥변과의 간격이 가급적 작아지는 길이로 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파우치에 동일한 구성의 유로부재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복수의 파우치 중 적어도 일부에 유로부재를 이용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5) 그 밖의 변형예
파우치는 전체 둘레를 밀봉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1매의 시트를 접어서 3방향을 밀봉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측부 등에 '이음조각'을 가지는 거싯(gusset) 타입의 것이어도 좋다.
내용물은 2제식의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의 제1 제 및 제2 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염모제와 트리트먼트제 등이어도 좋다. 한편, 염모제에는 산성염모료, 직접염모료, 일시착색료 등이 포함된다.
또한, 내용기는 2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3제식의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를 구성하는 3종류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각각 수용하고, 합류시켜 토출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내용기를 1개로 하고, 혼합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모발처리제 조성물(예를 들어, 1제식의 약제)을 수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내용물 중의 1개(상기 실시형태라면, 예를 들어 제2 내용물)를 파우치에 수용하지 않고, 외용기(11)에 직접 수용하여, 튜브(232)로 흡인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외용기(11)에 있어서의 잔여 공간에 분사제가 충전된다. 이렇게 하면, 외용기(11)에 직접 수용된 내용물의 액면을 외용기(11)의 바깥쪽으로부터 시인할 수 있으므로, 내용물의 잔량을 비교적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내용기(32)가 다른 쪽 내용기(33)에 수용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면, 바깥쪽 내용기(33)가 시인되고, 안쪽 내용기(32)는 시인되지 않으므로, 1개의 내용기(33)의 변형 정도에 근거하여 내용물의 잔량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바깥쪽 내용기(33)의 적어도 일부를 투명으로 하고, 그 내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내용기(파우치)의 두께를 적절한 범위로 함으로써, 내용물의 토출량을 안정시키고, 잔량이 적어져도 토출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도 19에 외층으로부터 순서대로 PET/AL/EMAA(에틸렌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특수 PE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파우치를 이용한 경우의 토출량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 시험에서는, 파우치 내의 내용물을 제1 시간 내에 토출 종료할 수 있었던 경우에 양호라고 평가하고, 제1 시간보다 긴 제2 시간 내에 토출 종료할 수 있었던 경우를 가능이라고 평가하며, 제2 시간 내에 토출 종료할 수 없었던 경우를 불량이라고 평가하였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두께 70~150㎛의 범위에서는 내용물을 문제없이 토출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히 100~150㎛의 범위에서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며, 100~130㎛의 범위에서는 특히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다.
1: 이중 에어로졸 장치
11: 외용기
12, 13: 내용기
14: 밸브 유닛
15: 토출기
111: 용기본체
112: 외장재
113: 돌출 다리부
118: 외창부
121, 131: 파우치
122, 132: 조인트 부재
123, 133: 내부유로
124, 134: 헤드부
125, 135: 막대형상부
126, 136: 슬릿
127, 128: 막대
129: 연결부
137: 관통구멍
138: 오목부
139: 불투명부
141, 142: 스템
151: 노즐

Claims (4)

  1. 혼합에 의하여 염모제, 탈색제 또는 탈염제로서 사용되는 복수 종류의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각각 수용하는 내용기와,
    상기 내용기를 복수 수용하는 외용기를 구비하고,
    분사제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내용기가 수축함으로써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로서,
    상기 외용기는,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외용기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를 시인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용기는, 상기 모발처리제 조성물을 수용하는 파우치와,
    상기 파우치의 연통구에 고정되고, 상기 파우치의 내부에 삽입된 막대형상부를 가지는 유로부재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1개가 구비한 상기 유로부재의 상기 막대형상부의 하단부에는,
    상기 파우치의 면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의 길이인 두께 치수가, 상기 하단부 이외의 부분보다 큰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1개는, 내부공간의 상부가 위쪽으로 좁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상부는 평행한 2개의 막대가 간격을 두고 좌우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의 두께(T)와 막대끼리의 간격(D)의 비율(T/D)이 1.0~3.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에어로졸 장치.
KR1020147033847A 2012-06-22 2013-06-20 이중 에어로졸 장치 KR1016342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41093 2012-06-22
JP2012141093 2012-06-22
PCT/JP2013/066955 WO2013191248A1 (ja) 2012-06-22 2013-06-20 二重エアゾー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6045A KR20150006045A (ko) 2015-01-15
KR101634260B1 true KR101634260B1 (ko) 2016-06-28

Family

ID=4976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3847A KR101634260B1 (ko) 2012-06-22 2013-06-20 이중 에어로졸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533819B2 (ko)
EP (1) EP2865610B1 (ko)
JP (1) JP6214531B2 (ko)
KR (1) KR101634260B1 (ko)
CN (1) CN104507826B (ko)
SG (1) SG11201408461XA (ko)
TW (1) TWI519454B (ko)
WO (1) WO20131912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65B1 (ko) * 2018-08-27 2020-02-07 주식회사 새롬코스메틱 공기소통 구멍이 생성된 포장팩 및 그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5029341B1 (pt) 2013-05-31 2021-07-06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cobertura saliente para recipiente aerossol
JP6051107B2 (ja) * 2013-05-31 2016-12-2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JP6051106B2 (ja) * 2013-05-31 2016-12-2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用肩カバー
FR3016870A1 (fr) * 2014-01-27 2015-07-31 Lindal France Sas Dispositif de distribution a deux voies destine a fermer un flacon
KR101930300B1 (ko) * 2015-04-24 2018-12-18 도요 에어로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잔량 저감 부재
WO2017115822A1 (ja) * 2015-12-28 2017-07-06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型染毛用又は毛髪脱色用化粧品
CN108430434A (zh) 2015-12-28 2018-08-21 花王株式会社 气溶胶型染发用或毛发脱色用化妆品
JP6856993B2 (ja) * 2016-09-08 2021-04-14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容器
JP6795946B2 (ja) * 2016-10-14 2020-12-02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容器
JP6887236B2 (ja) * 2016-10-14 2021-06-16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容器
US10945507B2 (en) 2018-07-26 2021-03-16 Cecelia Ann Mims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beauty products
JP2021042135A (ja) * 2019-09-06 2021-03-18 ホーユー株式会社 エアゾール容器、毛髪化粧料用品及び2剤吐出容器
CN114212391B (zh) * 2022-02-21 2022-05-03 河北华油天然气有限责任公司 气体泄漏检测气雾剂罐及气体泄漏检测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342A1 (ja) * 2010-10-29 2012-05-03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液吐出用エアゾール容器、複数液吐出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内部容器
WO2012073361A1 (ja) * 2010-12-02 2012-06-0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分配用のエアゾー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639762A (ko) * 1962-11-16
US3521792A (en) * 1968-04-01 1970-07-28 Dow Chemical Co Dispensing actuator for component pressure cans
US3709437A (en) * 1968-09-23 1973-01-09 Hershel Earl Wright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foam
FR1591250A (ko) * 1968-11-05 1970-04-27
FR2697233B1 (fr) * 1992-10-22 1995-01-27 Lir France Sa Distributeur à dosage variable pour produits fluides.
US5634571A (en) * 1995-06-07 1997-06-03 Innavision Services, Inc. Apparatus for dispensing two sprayable substances in a user selectable ratio
JP3077135B2 (ja) 1996-01-31 2000-08-14 花王株式会社 吐出容器
JP2000327053A (ja) 1999-05-17 2000-11-28 Toyo Aerosol Ind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
JP2001122364A (ja) * 1999-10-27 2001-05-08 Hoyu Co Ltd 二重エアゾール容器
US7036685B1 (en) * 2002-06-17 2006-05-02 Green Ronald D Multi-valve delivery system
US7967220B2 (en) 2002-09-13 2011-06-28 Bissell Homecare, Inc. Manual sprayer with dual bag-on-valve assembly
US6971555B1 (en) * 2003-04-28 2005-12-06 Hak Ghun Apparatus for dispensing decontamination fluids
JP2004337582A (ja) * 2003-10-27 2004-12-02 Tatsuo Okazaki 殺菌液保存方法及び殺菌用容器並びにこれに用いられる開閉弁付きノズル
JP4332444B2 (ja) * 2004-02-17 2009-09-16 東洋製罐株式会社 染毛剤における二重構造エアゾール缶容器及びエアゾール缶容器に収納される内装パウチ
US20070241133A1 (en) 2006-04-17 2007-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tainer visible package
US7875001B2 (en) * 2008-02-25 2011-01-25 Americo Michael Minotti Multi medication nasal spray device and method
JP6077737B2 (ja) 2011-10-07 2017-02-08 株式会社ダイゾー 二重エアゾール製品
WO2012151295A2 (en) * 2011-05-02 2012-11-08 Mouse Trap Design, Llc Mixing and dispensing device
US9315315B2 (en) * 2011-08-30 2016-04-19 Toyo Aerosol Industry Co., Ltd. Remainder reducing memb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57342A1 (ja) * 2010-10-29 2012-05-03 株式会社ダイゾー 複数液吐出用エアゾール容器、複数液吐出エアゾール製品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内部容器
WO2012073361A1 (ja) * 2010-12-02 2012-06-07 東洋エアゾール工業株式会社 複数液分配用のエアゾー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965B1 (ko) * 2018-08-27 2020-02-07 주식회사 새롬코스메틱 공기소통 구멍이 생성된 포장팩 및 그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5341A1 (en) 2015-06-25
CN104507826A (zh) 2015-04-08
US9533819B2 (en) 2017-01-03
KR20150006045A (ko) 2015-01-15
TWI519454B (zh) 2016-02-01
EP2865610B1 (en) 2020-12-30
SG11201408461XA (en) 2015-01-29
CN104507826B (zh) 2017-01-18
JPWO2013191248A1 (ja) 2016-05-26
WO2013191248A1 (ja) 2013-12-27
EP2865610A4 (en) 2016-03-02
TW201410562A (zh) 2014-03-16
JP6214531B2 (ja) 2017-10-18
EP2865610A1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60B1 (ko) 이중 에어로졸 장치
JP6611564B2 (ja) 液体収納ボトルおよび液体収納ボトルのパッケージ
JP5148510B2 (ja) 注ぎ口付き包装袋
US20160052705A1 (en) Flexible pouch with frangible seal for hydrogenated water
JP5957750B2 (ja) 詰め替え用パウチ
JPH08508225A (ja) 流体を収容するバッグ又は小袋
JP6031885B2 (ja) 詰め替え袋
JP6921393B2 (ja) 流体吐出具
CN108349623A (zh) 再填充用液状内容物收纳用纸制内容器
JP2014061897A (ja) 収容容器
ITPR20090058A1 (it) Busta per conservare almeno una sostanza, sacchetto per imballaggio comprendente detta busta e metodi di fabbricazione di questi
JP2009029513A (ja) 2連式吐出容器
JP2013063797A (ja) 詰め替え用パウチ
KR101259816B1 (ko) 어패류 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JP7373279B2 (ja) 包装袋
JP7164388B2 (ja) シート材容器
JP7305999B2 (ja) パウチ
JP2008013195A (ja) 詰替え用袋
JP2018095300A (ja) スパウトパウチセット
JP2017013394A (ja) 液体収容体
JP2003160151A (ja) 立て置き式液体収納袋
JP2017013865A (ja) 液体収容体
JP4150451B2 (ja) 密封シール袋
JP6596993B2 (ja) 収納容器
JP2006027699A (ja) 複数ポンプ式液体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