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6776B1 - 차량용 공조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6776B1
KR101586776B1 KR1020147024683A KR20147024683A KR101586776B1 KR 101586776 B1 KR101586776 B1 KR 101586776B1 KR 1020147024683 A KR1020147024683 A KR 1020147024683A KR 20147024683 A KR20147024683 A KR 20147024683A KR 101586776 B1 KR101586776 B1 KR 101586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flow
air flow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4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3563A (ko
Inventor
히데유키 사쿠라이
다카오 사토
가요코 하세가와
야스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도요타 지도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 지도샤(주) filed Critical 도요타 지도샤(주)
Publication of KR20140123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3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6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6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7Disposition of several air-diffusers in a vehicle for ventilation-air circulation in a vehicle cab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078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 B60H2001/00092Assembling, manufacturing or layout details of 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inside the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Abstract

캐빈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얻는다.
차량용 공조 장치(10)는,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16)과, 이 팬(16)의 작동에 의해 생긴 공기류를 캐빈(12)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주류 분출구(66)와, 팬(16)의 작동에 의해 생긴 공기류를 캐빈(12)을 향하여 분출시킴과 함께, 이 분출된 공기류(F3)가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공조 장치{VEHICLE AIR-CONDITIO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용 공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안다 효과를 이용하여, 노즐로부터 분출된 공기의 양을 넘는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0-77969호 공보 참조). 또한, 차량용 공조 장치로서는,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7-50781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5-35423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04-14896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송풍기에서는, 풍향을 변경하기 위해, 송풍기의 전체의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송풍기를 차량용 공조 장치로서 설치한 경우,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캐빈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캐빈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용 공조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작동함으로써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제 1 분출구와,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상기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킴과 함께, 이 분출된 공기류가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2 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1 분출구와,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2 분출구를 구비한 분출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출체에 도입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상기 제 1 분출구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기류의 하류측에 상기 제 2 분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팬이 작동함으로써 생긴 공기류가 유로에 도입되면, 이 공기류는 제 1 분출구 및 제 2 분출구로부터 캐빈을 향하여 분출된다. 여기에서, 본 태양에서는,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별도 풍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등을 설치하지 않고,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측방으로부터 합류됨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향이 변경된다.
또한,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구성의 분출체가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분출구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분출된 공기류가, 제 1 분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분출된 공기류의 상측으로부터 합류한다. 그 결과,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풍향이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을 향하여 흐르는 풍향으로 변경된다. 바꿔 말하면, 별도 풍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등을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하지 않고,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향이 변경된다.
또한,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제 1 분출구 및 제 2 분출구가 분출체에 있어서의 상기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압력을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압력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즉, 본 태양에 의하면, 복수의 팬을 설치하지 않고, 고압의 공기류(주류) 및 저압의 공기류(주류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류)를 얻을 수 있다.
제 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작동함으로써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과,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유로와,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제 1 분출구와,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상기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킴과 함께, 이 분출된 공기류가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2 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1 분출구와,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2 분출구를 구비한 분출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로부터 이간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팬이 작동함으로써 생긴 공기류가 유로에 도입되면, 이 공기류는 제 1 분출구 및 제 2 분출구로부터 캐빈을 향하여 분출된다. 여기에서, 본 태양에서는,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교차하도록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별도 풍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등을 설치하지 않고,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측방으로부터 합류됨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향이 변경된다.
또한,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의 구성의 분출체가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분출구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분출된 공기류가, 제 1 분출구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분출된 공기류의 상측으로부터 합류한다. 그 결과,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풍향이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을 향하여 흐르는 풍향으로 변경된다. 바꿔 말하면, 별도 풍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등을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하지 않고,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향이 변경된다.
또한,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제 2 분출구가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2 분출구가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이간하고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합류하는 것에 의한 와류(渦流)의 발생이 억제된다. 그 결과, 이 와류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 억제된다.
제 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상기 제 1 태양 또는 제 2 태양의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유량 조절부를 조작함으로써,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향을 임의의 풍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 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상기 제 3 태양의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분출구의 분출 방향 및 상기 제 2 분출구의 분출 방향 중 어느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상기 유량 조절부를 조작하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유량 조절부를 조작하는 레버가, 상기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가 이 레버를 손으로 조작할 경우, 조작자의 손에는 제 1 분출구 및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가 직접 닫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이 조작자의 손은, 제 1 분출구 및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를 차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작자는, 풍향의 변화를 직접 느끼면서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 5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상기 제 1∼제 4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에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가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보다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팬에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가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보다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캐빈의 전방측의 공기를 도입구로부터 흡입하고, 이 공기를 캐빈의 후방측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특히, 캐빈의 전방측에만 에어 컨디셔너의 분출구가 설치된 차량의 경우, 이 에어 컨디셔너에 의해 식혀진(따뜻해진) 공기를 효율 좋게 캐빈의 후방으로 흐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삭제
삭제
제 8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상기 제 6 태양의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에는, 상기 캐빈의 천정 방향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배치된 벽면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상기 구성의 벽면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팬의 소음이 도입구로부터 캐빈으로 방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소음은 캐빈의 천정에 맞닿는다. 일반적으로, 캐빈의 천정에는, 흡음(吸音) 효과가 있는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형성된 루프 헤드라이닝이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입구로부터 캐빈으로 방출된 팬의 소음은, 캐빈의 천정(루프 헤드라이닝)에 맞닿음으로써 감쇠된다.
제 9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상기 제 4∼제 8 중 어느 하나의 태양의 차량용 공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팬은,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팬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류의 유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팬의 체격이 당해 팬의 직경 방향으로 커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태양에 의하면, 팬의 축 방향이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팬의 축 방향을 차 폭 방향 또는 차량 전후 방향을 향하여 배치된 경우와 비교하여, 캐빈의 천정부가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캐빈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의 스페이스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팬을 설치하지 않고 주류와 이 주류의 풍향을 조절하는 공기류를 얻을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2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캐빈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의 스페이스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3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풍향을 임의의 풍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4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조작자가 레버를 조작하는 것에 의한 풍향의 변화를 직접 느끼면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삭제
삭제
제 5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에어 컨디셔너에 의해 온도 조절이 이루어진 공기를 캐빈의 후방측으로 효율 좋게 흐르게 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6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이 차량용 공조 장치의 작동에 의한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제 7 태양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는, 캐빈의 스페이스가 차량 상하 방향으로 감소되는 것을 보다 더 억제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도 3의 1-1선을 따라 절단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가 적용된 차량을 차량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을 따라 절단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단면 및 차량의 천정부의 단면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5-5선을 따라 절단한 차량용 공조 장치의 단면 및 차량의 천정부의 단면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의 분출체에 설치된 댐퍼 및 레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어진 댐퍼의 주위를 흐르는 공기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분출체의 내부를 흐르는 공기류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9a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b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에 있어서의 풍향 조절류 분출구를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9c는,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9d는,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a는, 제 1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b는, 제 2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c는, 제 3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d는, 제 4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e는, 제 5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f는, 제 6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g는, 제 7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의 단면을 나타낸 도 1에 상당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1a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본 도 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1b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본 도 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1c는,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본 도 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1d는,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를 차량 하방측으로부터 본 도 2에 상당하는 평면도이다.
도 12a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b는,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c는, 도 12a의 12C-12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a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a는,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b는,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5c는, 도 15b의 15C-15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6a는, 제 5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b는, 제 5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 1∼도 6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이용하여 설명할 때에는, 차량용 시트에 착좌한 탑승자로부터 본 전후 좌우 상하의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또한 각 도면에 적절히 나타낸 화살표 FR은 전(前)방향, 화살표 UP는 상(上)방향, 화살표 RH는 우(右)방향, 화살표 LH는 좌(左)방향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살표 FR의 방향은 차량 전방향과 일치하고 있고, 화살표 UP의 방향은 차량 상방향과 일치하고 있으며, 화살표 RH 및 화살표 LH의 방향은 차 폭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10)는, 캐빈(12)의 천정부(14)에 설치된 송풍기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차량용 공조 장치(10)는,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16)과, 이 팬(16)의 작동에 의해 생긴 공기류를 캐빈(12)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분출구를 구비한 분출체(18, 20)와, 팬(16)의 작동에 의해 생긴 공기류를 분출체(18, 20)에 도입하기 위한 덕트(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차량용 공조 장치(10)는, 팬(16)을 덮음과 함께, 이 팬(16)으로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24)를 구비한 팬 커버(26)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먼저,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10)를 구비한 차량(28)의 캐빈(12)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어서 팬(16), 분출체(18, 20), 덕트(22) 및 팬 커버(26)에 대하여 이 순서로 설명한다.
(캐빈(12))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차량용 공조 장치(10)를 구비한 차량(28)은, 승차 정원이 7명인 소위 미니밴 타입의 차량이다. 이 차량(28)의 캐빈(12)에는, 1열째∼3열째의 시트(30, 32, 34)가 설치되어 있다. 1열째의 시트(30)는 운전석 또는 조수석으로 되어 있고, 2열째의 시트(32)는 3명의 탑승자가 착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벤치 타입의 시트로 되어 있으며, 3열째의 시트(34)는, 2명의 탑승자가 착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벤치 타입의 시트로 되어 있다.
(팬(16))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팬(16)은, 직경 방향 외측에 다수의 날개를 가지고, 또한 축심(軸芯)부에 흡입된 공기를 직경 방향 외측으로 분출시키는 시로코 팬으로 되어 있다. 이 팬(16)은,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모터(36)의 축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팬(16)은, 차량 하방측에 원형의 개구부(38A)를 가짐과 함께, 팬(16)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주벽부(38B)를 가지는 슈라우드(38)로 덮여 있다. 또한, 이 슈라우드(38)에는, 후술하는 덕트(22)가 연결되는 플랜지부(38C)가 설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팬(16), 모터(36) 및 슈라우드(38)는 브래킷(40)을 통하여 캐빈(12)의 천정부(14)를 구성하는 루프 리인포스먼트(4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브래킷(40)의 둘레에는 시일재(44)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재(44)에 의해, 캐빈(12)의 천정부(14)를 구성하는 루프 패널(46)과 루프 헤드라이닝(48)의 사이의 공기(외기나 태양광 등에 의해 식혀지거나 또는 따뜻해진 공기)가 팬(16)에 흡입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분출체(18, 20))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18, 20)는, 캐빈(12)의 좌우 각각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빈(12)의 천정부(14)에 있어서의 1열째의 시트(30)의 후방 또한 2열째의 시트(32)의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출체(18) 및 분출체(20)는 차 폭 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분출체(20)에 대하여 설명하고, 분출체(18)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20)는, 차 폭 방향 내측에 개구한 대략 U자 형상의 유로(50)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20)는, 차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유로(52)와, 이 제 1 유로(52)의 차 폭 방향 외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대략 U자 형상으로 꺾어진 제 2 유로(54)와, 이 제 2 유로(54)를 거쳐 차 폭 방향 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3 유로(5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유로(52)의 차 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팬(16)으로부터의 공기류가 도입되는 도입구(58)로 되어있음과 함께, 제 3 유로(56)의 차 폭 방향 내측의 단부는 폐지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이 분출체(20)에는, 제 1 유로(52)로부터 제 2 유로(54)를 거쳐 제 3 유로(56)에 유입되는 공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로서의 댐퍼(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분출체(20)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20)는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상부 구성체(62)와 하부 구성체(64)에 의한 상하 2분할 구조로 되어 있다. 이 분출체(20)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62)는, 차량 전후 방향 및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벽부(62A)와, 이 상벽부(62A)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측을 향하여 굴곡하여 연장되는 전벽부(62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는, 전벽부(62B)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연장되는 경사벽부(62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는, 상벽부(62A)의 차량 전후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62D)와, 상벽부(62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후벽부(62E)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2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64)는, 차량 전후 방향 및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벽부(64A)와, 이 하벽부(64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굴곡하여 연장되는 경사벽부(6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성체(64)는, 경사벽부(64B)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굴곡하고, 또한 상부 구성체(62)의 경사벽부(62C)의 차량 후방측의 벽면과 소정의 거리(C1)를 가지고 배치된 전벽부(6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성체(64)는, 하벽부(64A)의 차량 전후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돌출하고 또한 선단부가 상측 구성체(62)의 리브(62D)를 따라 연장되는 격벽부(64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구성체(64)는, 하벽부(64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측 구성체(62)의 후벽부(62E)의 차량 전방측의 벽면과 소정의 거리(C2)를 가지고 배치된 후벽부(64E)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전벽부(62B) 및 경사벽부(62C) 와 하부 구성체(64)의 격벽부(64D), 하벽부(64A), 경사벽부(64B) 및 전벽부(64C)에 의해 제 1 유로(5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및 후벽부(62E) 와 하부 구성체(64)의 격벽부(64D), 하벽부(64A) 및 후벽부(64E)에 의해 제 3 유로(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및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 등에 의해 제 2 유로(54)(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의 경사벽부(62C)와 하부 구성체(64)의 전벽부(64C)의 사이에는, 차량의 경사진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분출구로서의 주류 분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구성체(62)의 후벽부(62E)와 하부 구성체(64)의 후벽부(64E)의 사이에는,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제 2 분출구로서의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팬(16)으로부터 덕트(22)를 통하여 분출체(20)에 유입된 공기류가,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에는, 팬(16)으로부터 덕트(22)를 통하여 분출체(20)에 유입된 공기류를,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 리브(70, 7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출체(20)에 도입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주류 분출구(66)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기류의 하류측에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3)와,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고 또한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를 따라 흐르는 공기류(F1)가 교차하도록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는 공기류(F1)와 거리(D1)만큼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보다 거리(D1)만큼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에는, 분출체(20)에 있어서의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경계에 설치된 댐퍼(60)가 폐쇄 위치가 된 상태의 분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댐퍼(60)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축부(74)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축부(74)의 일방의 단부(차량 상방측의 단부)는,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에 설치된 원 형상의 축 지지 구멍(62F)에 유삽(游揷)되어 있다. 또한, 축부(74)의 타방의 단부(차량 하방측의 단부)에는, 레버(76)의 접속부(7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접속부(74A)에 레버(76)가 접속됨과 함께, 레버(76)의 축부(76A)가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에 설치된 원 형상의 축 지지 구멍(64F)에 유삽되어 있다. 그 결과, 레버(76)를 조작함으로써(화살표 A 및 화살표 B 방향으로 움직임으로써), 축부(74)가 회전하는 구성이다. 또한, 댐퍼(60)는, 축부(74)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이 축부(74)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 1 플랩부(78) 및 제 2 플랩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랩부(78)는, 상단부, 차량 후방측의 단부 및 하단부가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하부 구성체(64)의 격벽부(64D) 및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랩부(80)는, 상단부 및 하단부가 각각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및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를 따라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랩부(80)의 선단부는 차 폭 방향 외측을 향하여 굴곡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플랩부(80)의 선단부는, 댐퍼(60)가 폐쇄 위치로 된 상태에 있어서, 제 2 유로(54)의 외벽과 동심원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도 8 참조). 또한, 제 1 플랩부(78)의 외측면의 면적(S1)과 제 2 플랩부(80)의 외측면의 면적(S2)은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레버(76)는,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 F3)가 닿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레버(76)는,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주류 분출구(66)의 분출 방향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의 분출 방향 중 어느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차 폭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덕트(22))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덕트(22)는 차량 좌우 방향으로의 분기를 가지는 Y자 형상의 분기관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덕트(22)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덕트부(8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1 덕트부(82)의 기단측(차량 전방측)은, 슈라우드(38)의 플랜지부(38C)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덕트(22)는, 제 1 덕트부(82)의 선단으로부터 차 폭 방향 좌측으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 2 덕트부(84)와, 제 1 덕트부(82)의 선단으로부터 차 폭 방향 우측으로 분기하여 연장되는 제 3 덕트부(8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덕트부(84) 및 제 3 덕트부(86)의 선단은, 분출체(18)의 도입구(58) 및 분출체(20)의 도입구(58)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제 1 덕트부(82)의 선단이, 제 2 덕트부(84) 및 제 3 덕트부(86)에 분기함으로써, 제 1 덕트부(82)의 선단측의 개구 면적이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개구 면적의 변화가 가급적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덕트부(84)와 제 3 덕트부(86)의 접합부(88)가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돌출함과 함께,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오므라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팬 커버(26))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팬 커버(26)는, 브래킷(40)을 통하여 캐빈(12)의 천정부에 고정된 팬(16), 모터(36) 및 슈라우드(38)를 덮음과 함께, 상기 덕트(22)를 덮는 대략 상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 커버(26)는, 팬(16), 모터(36) 및 슈라우드(38)를 덮는 팬 커버부(90)와, 덕트(22)를 덮는 덕트 커버부(92)를 구비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팬 커버부(90)는,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차량 전방시에서 대략 U형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팬 커버부(90)는, 차량 전후 방향 및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저벽부(90A)와, 이 저벽부(90A)의 좌우의 양단부로부터 각각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굴곡하여 연장되는 우측 측벽부(90B) 및 좌측 측벽부(90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팬 커버(26)가 캐빈(12)의 천정부(14)에 장착된 상태에 있어서, 팬 커버부(90)의 저벽부(90A)는, 슈라우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38A)와 거리(C3)만큼 이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거리(C3)는, 슈라우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38A)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의 유량이나 캐빈(12)의 헤드 클리어런스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팬 커버부(90)의 전단부에는, 팬(16)에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입구(24)는, 차량 전방시에서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1열째의 시트(30)의 상방보다 약간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도입구(24)에는,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루버(9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루버(94)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전단부가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도입구(24)의 주연부에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도입구(24)가 루버(94)에 의해 높이 방향으로 단락지어져 있다. 또한, 이 루버(94)에 단락지어짐으로써 형성된 각각의 도입 개구(96)는, 루프 헤드라이닝(48)의 방향으로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또한, 팬 커버부(90)의 후단부에는, 덕트(22)의 제 1 덕트부(82)가 관통하는 것이 가능해진 시일재(9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시일재(98)에 의해, 팬 커버부(90)에 의해 덮인 공간과 덕트 커버부(92)에 의해 덮인 공간이 이격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팬 커버부(90)는, 도시하지 않은 클립 등을 통하여 루프 헤드라이닝(4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덕트 커버부(92)는, 상기 팬 커버부(90)와 마찬가지로, 차량 상방측으로 향하여 개구됨과 함께 차량 전방시에서 대략 U형상 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덕트 커버부(92)의 전단부는, 캐빈(12)의 천정부(14)에 설치된 분출체(18)와 분출체(20)를 차 폭 방향으로 연결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클립 등을 통하여 분출체(18, 20)에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모터(36)가 회전함으로써 팬(16)이 회전하면, 캐빈(12)의 전방측의 공기가 팬 커버(26)의 전단부에 형성된 도입구(24)로부터 도입된다. 이어서, 도입구(24)로부터 도입된 공기는, 슈라우드(38)의 하부에 형성된 개구부(38A)로부터 팬(16)의 축심부에 도입된다. 이어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팬(16)의 축심부에 도입된 공기는, 덕트(22)의 제 1 덕트부(82)에 유입된 후, 제 2 덕트부(84)와 제 3 덕트부(86)에 분기되어 흘러 간다. 이어서, 제 2 덕트부(84) 및 제 3 덕트부(86)에 유입된 공기류는, 분출체(18) 및 분출체(20)에 유입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분출체(18) 및 분출체(20)는 차 폭 방향으로 대략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분출체(2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분출체(18)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20)의 제 1 유로(52)에 유입된 공기류의 일부는 가이드 리브(70, 72)(도 3 참조)를 따라 흐른 후,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다. 이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는,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를 따라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흐른다. 또한, 하벽부(64A)를 따라 흐른 공기류(F1)에 의해, 이 공기류(F1)의 하방측의 공기가 휩쓸린다(이하 이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를 「공기류(F2)」로 한다). 그 결과,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유량을 넘는 공기류(공기류(F1)와 공기류(F2)를 서로 더한 양의 공기류)가 동일한 방향을 향하여 흐른다.
도 7에는, 댐퍼(60)가 전개(全開)의 상태가 되었을 때의 제 2 유로(54)를 흐르는 공기류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20)의 제 1 유로(52)에 유입된 공기류의 다른 일부는, 제 2 유로(54)를 거쳐 제 3 유로(56)에 유입된다.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분출체(20)의 제 3 유로(56)에 유입된 공기류는 가이드 리브(70, 72)(도 3 참조)를 따라 흐른 후,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다. 이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3)는,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흐른다. 그러면,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3)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 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림으로써 생긴 공기류(F2)의 측방으로부터 합류한다. 그 결과,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이 변경된다(이하 풍향이 변경된 공기류를 「공기류(F4)」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60)가 전개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2열째의 시트(32)에 착좌한 탑승자(P1)(도 2 참조)를 향하여 공기류(F4)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댐퍼(60)가 전폐(全閉)의 상태가 된 경우, 제 1 유로(52)에 유입된 공기류는 제 2 유로(54)를 거쳐 제 3 유로(56)에 유입되기 어려워진다. 그 때문에,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의 유량은 증가하고, 반대로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3)의 유량은 감소한다. 그 결과,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는,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3)의 영향을 그다지 받지 않고,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흘러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60)가 전폐의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3열째의 시트(34)에 착좌한 탑승자(P2)(도 2 참조)를 향하여 공기류(F4)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60)에 접속된 레버(76)를 조작함으로써, 무단계에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별도 풍향 조절을 행하기 위한 레지스터 등을 캐빈(12)의 천정부(14)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해지며, 그 결과, 캐빈(12)의 스페이스가 감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60)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76)가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 F3)가 닫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자(예를 들면, 2열째의 시트(32)에 착좌한 탑승자(P1) 혹은 3열째의 시트(34)에 착좌한 탑승자(P2))가 이 레버(76)를 손으로 조작할 경우, 조작자의 손에는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 F3)가 직접 닫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이 조작자의 손은,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 F3)를 차단하지 않는다. 그 결과, 조작자는, 풍향의 변화를 직접 느끼면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출체(20)에 도입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주류 분출구(66)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기류의 하류측에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의 압력을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3)의 압력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팬을 설치하지 않고, 고압의 공기류(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F1)) 및 저압의 공기류(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F1) 등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풍향 조절류(F3))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팬(16)에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24)가 주류 분출구(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보다 차량 전방측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캐빈(12)의 전방측의 공기를 도입구(24)로부터 흡입하고, 이 공기를 캐빈(12)의 후방측으로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캐빈(12)의 전방측에만 에어 컨디셔너의 분출구(100)가 설치된 본 실시형태의 차량(28)의 경우, 이 에어 컨디셔너에 의해 식혀진(따뜻해진) 공기를 효율 좋게 캐빈(12)의 후방으로 흘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보다 거리(D1)만큼 차량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3)가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와 합류하는 것에 의한 와류의 발생이 억제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와류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입구(24)가 루버(94)에 구획됨으로써 형성된 각각의 도입 개구(96)가, 루프 헤드라이닝(48)의 방향으로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팬(16)의 소음이 이 도입구(24)로부터 캐빈(12)으로 방출되었다고 하더라도, 이 소음은 루프 헤드라이닝(48)에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캐빈(12)의 천정부(14)를 구성하는 루프 헤드라이닝(48)은, 흡음 효과가 있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는, 도입구(24)로부터 캐빈(12)으로 방출된 팬(16)의 소음을 루프 헤드라이닝(48)에 흡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분출체(20)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에는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62D)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분출체(2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에는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부(64D)가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부 구성체(62) 및 하부 구성체(64)를 성형할 때에, 이 상부 구성체(62) 및 하부 구성체(64)가 차 폭 방향으로 뒤집히도록 변형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덕트부(82)의 선단측의 개구 면적이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서서히 넓어지고 있음과 함께, 이 개구 면적의 변화가 가급적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덕트부(84)와 제 3 덕트부(86)의 접합부(88)가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돌출함과 함께, 차량 전방측으로 향하여 오므라든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의 공기류의 박리가 억제되며, 나아가서는, 공기류의 박리에 의한 소음 및 압력 손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플랩부(78)의 외측면의 면적(S1)과 제 2 플랩부(80)의 외측면의 면적(S2)이 대략 동일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 1 플랩부(78)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생기는 축부(74) 둘레의 모멘트가, 제 2 플랩부(80)의 외측면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생기는 축부(74) 둘레의 모멘트에 의해 지워진다. 그 결과, 댐퍼(60)의 축부(74)의 회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별도 설치하지 않고, 댐퍼(60)를 전개위치와 전폐 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댐퍼(60)를 분출체(20)에 있어서의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경계에 설치한 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댐퍼(60)를 설치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분출체(20)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9a∼도 9d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분출체(2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 및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02))
도 9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02)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출체(20)와 비교하여,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차량 전방측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102)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04)는, 후벽부(64E)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중간벽부(104A)와, 이 중간벽부(104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경사지어 연장되는 경사벽부(104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102)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106)는, 하벽부(64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여 연장됨과 함께, 선단부가 상측 구성체(104)의 경사벽부(104B)의 차량 전방측의 벽면과 소정의 거리(C2)를 가지고 배치된 후벽부(106A)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분출체(102)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08))
도 9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08)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분출체(20)와 비교하여,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108)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110)는, 후벽부(62E)의 하단부가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된 경사부(110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108)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112)는, 하벽부(64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차량의 경사진 상방측으로 경사함과 함께, 선단부가 경사부(110A)의 차량 전방측의 면을 따라 배치된 후벽부(112A)를 구비하고 있다.
이상 설명한 분출체(108)의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는, 차량 전방측 또한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을 향하여 공기류(F3)를 분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그 결과,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08)에서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의 풍향을 보다 광범위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14))
도 9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14)는, 이 분출체(114)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116)의 하벽부(64A)에 형성된 원형의 관통 구멍(118)에 의해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형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관통 구멍(118)은, 제 3 유로(56)에 있어서의 하부 구성체(116)의 하벽부(64A)의 차량 전후 방향의 중간 부위에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전후 방향 및 차 폭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3열이 되도록 관통 구멍(118)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14)에서는, 관통 구멍(118)에 의해 형성된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3)에 의해,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20))
도 9d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20)에는, 상기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14)와 비교하여, 제 1 유로(52)와 제 3 유로(56)를 가르는 격벽부(64D)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118)을 폐지함으로써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F3)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로서의 조절판(1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조절판(122)은, 하벽부(64A)의 차량 상방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레일에 의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한. 조절판(122)에는, 도시하지 않은 레버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조절판(122)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는 구성이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분출체(120)에서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레버(조절판(122))를 조작함으로써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를 형성하는 관통 구멍(118)으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F3)의 유량이 조절된다. 그 결과,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F1)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분출체의 참고예>
다음으로, 도 10a∼도 10g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분출체의 참고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등과 동일한 부재 및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24))
도 10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24)는, 주류 분출구(66) 및 제 1 유로(52)를 가지는 분출체 본체부(126)와, 이 분출체 본체부(126)에 지지된 레지스터(128)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 본체부(126)는, 차량 전후 방향 및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벽부(126A)와, 이 상벽부(126A)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굴곡함과 함께 선단부가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경사하도록 연장되는 전벽부(12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 본체부(126)는, 상벽부(126A)의 후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으로 경사하여 연장되는 제 1 경사벽부(126C)와, 이 제 1 경사벽부(126C)의 하단부로부터 차량 전방측을 향하여 굴곡하여 연장되는 하벽부(126D)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 본체부(126)는, 하벽부(126D)의 전단부로부터 차량 상방측으로 경사하여 연장됨과 함께 전벽부(126B)의 선단부를 따라 배치된 제 2 경사벽부(126E)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경사벽부(126E)와 전벽부(126B)의 사이에는, 차량의 경사진 후방측으로 개구한 주류 분출구(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경사벽부(126C)의 하방측에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됨과 함께 분출체 본체부(126)의 하벽부(126D) 및 제 1 경사벽부(126C)를 따라 흐르는 공기류(F1)를 레지스터(128)를 향하여 가이드하는 가이드 벽(126F)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벽(126F)의 전단부와 분출체 본체부(126)의 전단부 사이에 레지스터(128)가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레지스터(128)가 차 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서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24)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됨과 함께 분출체 본체부(126)의 하벽부(126D) 및 제 1 경사벽부(126C)를 따라 흐르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레지스터(128)를 회동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제 2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0))
도 10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0)는, 상기 제 1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24)의 레지스터(128) 대신, 풍향 조절용의 플랩(132)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플랩(132)은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분출체 본체부(126)의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플랩(132)의 기단부는 차 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 수단에 축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플랩(132)이 차량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0)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됨과 함께 분출체 본체부(126)의 하벽부(126D) 및 제 1 경사벽부(126C)를 따라 흐르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플랩(132)을 회동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제 3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4))
도 10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4)는, 상기 제 2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0)의 플랩(132)의 선단부에, 원호벽(136)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원호벽(136)은, 차량 측방으로부터 본 단면이 원호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랩(132)의 선단으로부터 차량 상방측을 향하고, 또한 이 플랩(132)의 회동축으로부터의 거리가 R1이 되도록 연장하고 있다. 또한, 이 원호벽(136)은, 분출체 본체부(126)의 상벽부(126A)에 형성된 개구(138)에 삽입 통과되어 있다. 또한, 원호벽(136)의 선단부에는, 이 원호벽(136)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하여 굴곡된 굴곡부(13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굴곡부(136A)가 원호벽(136)이 삽입 통과된 개구(138)의 가장자리에 맞닿음으로써, 플랩(132)의 회동 각도가 규제되어 있는 구성이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4)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됨과 함께 분출체 본체부(126)의 하벽부(126D) 및 제 1 경사벽부(126C)를 따라 흐르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플랩(132)을 회동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참고예에서는, 상기 구성의 원호벽(136)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플랩(132)의 선단부에 예리한 부분이 형성되지 않는다. 그 결과, 분출체(134)의 외관 의장의 질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0))
도 10d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0)는, 상기 제 2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30)의 플랩(132)에 더해 연장 플랩(142)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연장 플랩(142)은 차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플랩(132)의 상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 결과, 연장 플랩(142)이 플랩(132)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의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연장 플랩(142)의 단부에는, 피맞닿음 부재(144)에 맞닿음으로써 연장 플랩(142)의 슬라이드량을 규제하는 굴곡부(14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0)는, 연장 플랩(142)을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플랩(플랩(132) 및 연장 플랩(142))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랩(132)의 길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5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6))
도 10e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6)는,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차량의 경사진 하방측으로 개구하도록 형성된 슬릿(148)에 의해 주류 분출구(66)가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각각의 슬릿(148)이 개폐 뚜껑(15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146)에는,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슬릿(148)이 차량 상하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슬릿(148)을 개폐하는 개폐 뚜껑(150)은, 슬릿(148)의 개구 형상을 따라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슬릿(148)의 길이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개폐 뚜껑(150)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슬릿(148)이 개폐되는 구성이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6)는, 개폐 뚜껑(150)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임의의 슬릿(148)(주류 분출구(66))으로부터 분출체(146)에 도입된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개폐 뚜껑(150)을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분출체(146)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6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52))
도 10f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52)는, 슬릿(148)을 개폐하는 개폐 뚜껑(154) 및 이 개폐 뚜껑(15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 부재(156)가 분출체(15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개폐 뚜껑(154)은 슬릿(148)의 개구 형상을 따라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기단부가 슬릿(148)의 가장자리를 따라 회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이 개폐 뚜껑(154)을 회동시킴으로써 슬릿(148)이 개폐되는 구성이다. 또한, 이 개폐 뚜껑(154)은, 스프링(158)에 의해 슬릿(148)이 개구 상태가 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있다.
또한, 선택 부재(156)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원형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슬릿(148)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분출체(152)의 내벽의 형상을 따라 형성된 일반면(156A)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택 부재(156)는, 일반면(156A)으로부터 이 선택 부재의 직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움푹 패이도록 형성된 오목부(156B)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오목부(156B)와 대항하는 위치의 개폐 뚜껑(154)은 일반면(156A)과 간섭하지 않고 슬릿(148)이 개구 상태가 되는 위치에 회동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반대로, 일반면(156A)과 대항하는 위치의 개폐 뚜껑(154)은, 이 일반면(156A)과 간섭하여 슬릿(148)을 폐지하는 위치에 규제되어 있다. 또한, 이 선택 부재(156)는 도시하지 않은 레버에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선택 부재(156)가 슬릿(148)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분출체(152)의 내벽을 따라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52)에서는, 선택 부재(156)가 회동함으로써 슬릿(148)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 결과, 임의의 슬릿(148)(주류 분출구(66))으로부터 분출체(152)에 도입된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선택 부재(156)를 회동시킴으로써 분출체(152)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7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60))
도 10g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60)는, 제 5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46)의 개폐 뚜껑(150)으로 바꾸어, 슬릿(148)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선택 부재(162)가 분출체(1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선택 부재(162)는, 차 폭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는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슬릿(148)이 설치된 부분에 있어서의 분출체(160)의 내벽을 따라 연장되는 일반부(162A)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일반부(162A)에는,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개구(162B)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162B)와 슬릿(148)이 연통됨으로써 분출체(16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개구(162B) 및 슬릿(148)을 통하여 분출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구성이다. 또한, 이 선택 부재(162)는 도시하지 않은 레버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참고예에 관련된 분출체(160)에서는, 선택 부재(162)가 회전함으로써 슬릿(148)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그 결과, 임의의 슬릿(148)(주류 분출구(66))으로부터 분출체(160)에 도입된 공기를 분출시킬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선택 부재(162)를 회전시킴으로써 분출체(160)로부터 분출하는 공기류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팬의 배치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11a∼도 11d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팬의 배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등과 동일한 부재 및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
도 11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64)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시키는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주류용 팬(166) 및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풍향 조절류용 팬(168)이 분출체(170)의 차 폭 방향의 좌우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170)는,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전방측에 설치된 제 1 유로(172)와 차량 후방측에 설치된 제 2 유로(17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분출체(170)에는, 차량의 경사진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주류 분출구(66)가 제 1 유로(172)를 따라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함과 함께 차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된 풍향 조절류 분출구(68)가 제 2 유로(174)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유로(172)의 일방측의 단부(차 폭 방향 우측의 단부)에는, 주류용 팬(166)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도입구(176)가 개구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도입구(176)는 주류용 팬(166)의 슈라우드(38)의 플랜지부(38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유로(172)의 타방측의 단부(차 폭 방향 좌측의 단부)는 폐지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2 유로(174)의 일방측의 단부(차 폭 방향 우측의 단부)에는, 풍향 조절류용 팬(168)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도입구(178)가 개구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도입구(178)는 풍향 조절류용 팬(168)의 슈라우드(38)의 플랜지부(38C)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2 유로(174)의 타방측의 단부(차 폭 방향 좌측의 단부)는 폐지단으로 되어 있다. 또한, 주류용 팬(166) 및 풍향 조절류용 팬(168)은,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시로코 팬으로 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64)에서는, 주류용 팬(166)이 작동함으로써 생긴 공기류는 분출체(170)의 제 1 유로(172)에 유입된다. 또한, 이 제 1 유로(172)에 유입된 공기류는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후에 캐빈(12)(도 2 참조)의 후방측을 향하여 흐른다.
또한, 풍향 조절류용 팬(168)이 작동함으로써 생긴 공기류가 분출체(170)의 제 2 유로(174)에 유입된다. 또한, 이 제 2 유로(174)에 유입된 공기류는 풍향 조절류 분출구(68)로부터 분출된 후에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의 측방에 부딪힌다(합류한다). 그 결과,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이 변경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풍향 조절부로서의 풍향 조절류용 팬(168)의 출력을 조절함으로써, 주류 분출구(66)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F1)(및 이 공기류(F1)에 휩쓸린 공기의 공기류(F2))의 풍향을 조절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
도 11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0)는, 팬(16)이 분출체(18)와 분출체(20)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팬(16)은, 분출체(18)의 도입구(58) 및 분출체(20)의 도입구(58)에 접속되는 플랜지부(182A)를 가지는 슈라우드(182)에 덮여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0)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0)와 비교하여,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설정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
도 11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4)는, 차 폭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된 단일의 분출체(186)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분출체(186)의 차 폭 방향 우측의 단부에 팬(16)이 배치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분출체(186)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의 분출체(18)의 구성과 동일하나, 본 변형예의 분출체(186)는, 상기 실시형태의 분출체(18)보다 차 폭 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분출체(186)의 도입구(188)는 차 폭 방향 우측에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도입구(188)에 팬(16)을 덮는 슈라우드(38)의 플랜지부(38C)가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4)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84)와 비교하여, 차량 전후 방향의 치수를 콤팩트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팬(16)이 분출체(186)의 차 폭 방향 우측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예에 대하여 설명해 왔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팬(16)을 분출체(186)의 차 폭 방향 좌측의 단부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팬의 배치)
도 11d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90)는, 상기 실시형태의 분출체(20)가 차 폭 방향 좌측에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분출체(18)가 차 폭 방향 우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팬(16)이 분출체(20) 및 분출체(18)의 차 폭 방향 외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각각의 팬(16)을 덮는 슈라우드(38)의 플랜지부(38C)가 분출체(20)의 도입구(58) 및 분출체(18)의 도입구(58)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변형예에 관련된 차량용 공조 장치(190)에서는, 분출체(20) 및 분출체(18)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풍량 등을 각각 임의의 풍량 등으로 조절할 수 있다.
<유량 조절부의 변형예>
다음으로, 도 12a∼도 16b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형태의 유량 조절부(댐퍼(60))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등과 동일한 부재 및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
도 12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는,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를 개폐하는 셔터(19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셔터(192)는, 차량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피스(194)가 도시하지 않은 핀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이웃하는 피스(194)끼리는 서로 핀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192)가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복수의 피스(194)를 인테그럴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셔터(192)를 구성해도 된다.
또한, 분출체(20)의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 구성체(62)의 상벽부(62A) 및 분출체(20)의 하부를 구성하는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에는, 상기 셔터(192)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홈(196, 19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196, 198)은,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제 1 홈부(196A, 198A)와, 이 제 1 홈부(196A, 198A)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로부터 제 3 유로(56)를 따라 연장되는 제 2 홈부(196B, 198B)를 가지고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셔터(192)에는, 이 셔터(192)를 상기의 가이드 홈(196, 198)을 따라 슬라이드 시키기 위한 레버(200)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버(200)는, 하부 구성체(64)의 하벽부(64A)에 형성된 개구(20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 개구(202)는 제 1 홈부(198A)를 따라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레버(200)와 개구(202)의 사이에는 시일재(204)가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레버(200)와 개구(202)의 사이로부터 분출체(20)의 내부에 유입된 공기가 누출되는 것이 억제되어 있다.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레버(200)를 개구(202)를 따라 조작함으로써, 셔터(192)가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를 개폐한다. 그 결과, 제 1 유로(52)로부터 제 2 유로(54)를 거쳐 제 3 유로(56)에 유입되는 공기류의 유량이 조절된다.
(제 2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는,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를 개폐하는 주름판(206)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름판(206)은, 판 형상의 부재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접혀짐(산접기(山折)와 계곡접기(谷折)가 번갈아 실시되어 있다)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주름판(206)은, 차량 전후 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신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주름판(206)에는, 상기 제 1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셔터(192))와 마찬가지의 구성인 레버(200)가 접속되어 있다. 이 레버(200)를 개구(202)를 따라 조작함으로써, 주름판(206)이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를 개폐한다. 그 결과, 제 1 유로(52)로부터 제 2 유로(54)를 거쳐 제 3 유로(56)에 유입되는 공기류의 유량이 조절된다.
(제 3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
도 14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배치된 복수의 회동축(208)과, 기단부가 이 회동축(208)에 지지된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폐지판(210)을 가지는 멀티 셔터(212)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폐지판(210)의 기단부로부터 선단부까지의 길이(L1)는, 인접하는 회동축(208)의 간격과 대략 동일한 길이로 설정되어 있음과 함께, 폐지판(210)의 폭(B1)(차량 상하 방향의 길이)은 분출체(20)의 상벽부(62A)와 하벽부(64A)(도 13a 등 참조)의 거리(차량 상하 방향의 거리)와 대략 동일한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회동축(208)에 지지된 각각의 폐지판(210)은 로드(214)를 통하여 대략 동일한 각도로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전개 상태로부터 회동축(208)을 90도 회동시킴으로써, 2점 차선으로 나타내어진 전폐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멀티 셔터(212)가,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4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
도 15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폐지판(216)을 가지는 셔터(218)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셔터(218)를 구성하는 폐지판(216)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일반부(216A)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일반부(216A)의 일방측의 단부에는 당해 일반부(216A)의 판 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굴곡부(21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반부(216A)의 타방측의 단부에는, 당해 일반부(216A)가 연장되는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벽(216C)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폐지판(216)이 일반부(216A)의 판 두께 방향으로 포개지도록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가 개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복수의 폐지판(216)이 일반부(216A)의 판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개됨으로써,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가 개구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c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복수의 폐지판(216) 일반부(216A)의 판 두께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개되는 과정에 있어서, 인접하는 폐지판(216)의 굴곡부(216B)와 수직벽(216C)이 맞닿도록 각각의 폐지판(216)이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폐지판(216(219A)) 만을 화살표 C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혹은 폐지판(216(219B)) 만을 화살표 D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모든 폐지판(216)을 전개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셔터(218)가,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 5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관련된 유량 조절부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축(220)과 지지축(222)의 사이를 걸쳐놓도록 설치된 복수의 폐지사(絲)(2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에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폐지사(224)는 일례로서 수지 재료를 짜 넣음으로써 소정의 굵기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이 폐지사(224)의 일단측은, 인접하는 폐지사(224)끼리가 근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축(220)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폐지사(224)의 타단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폐지사(224)끼리가 근접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축(222)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지지축(220)과 지지축(222)의 사이에는, 폐지사(224)의 중간부를 지지하는 지지축(226)이 설치되어 있다.
도 16a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지지축(220)이 화살표 E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폐지사(224)에는 인장의 장력이 가해짐과 함께, 인접하는 폐지사(224)끼리가 밀착한다. 그 결과, 공기류가 폐지사(224)의 사이를 빠져나갈 수 없다. 반대로, 도 16b에 나타내어진 바와 같이, 지지축(220)이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되면, 폐지사(224)에 가해진 인장의 장력이 풀어짐과 함께, 인접하는 폐지사(224)와의 사이에 극간이 생긴다. 그 결과, 공기류가 폐지사(224)의 사이를 빠져나갈 수 있다. 이상 설명한 폐지사(224)가, 제 1 유로(52)와 제 2 유로(5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상기 이외에도 여러 가지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9)

  1. 작동함으로써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16),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유로(22),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캐빈(12)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제 1 분출구(66),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상기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킴과 함께, 이 분출된 공기류가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2 분출구(68)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1 분출구와,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2 분출구를 구비한 분출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분출체에 도입되는 공기류의 상류측에 상기 제 1 분출구가 설치되어 있음과 함께, 이 공기류의 하류측에 상기 제 2 분출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2. 작동함으로써 공기류를 생기게 하는 팬(16),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되는 유로(22),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캐빈(12)을 향하여 분출시키는 제 1 분출구(66),
    상기 유로에 도입된 공기류를 상기 캐빈을 향하여 분출시킴과 함께, 이 분출된 공기류가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와 교차하도록 배치된 제 2 분출구(68)를 구비하고,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는, 상기 팬에 의해 생긴 공기류가 도입됨과 함께, 차량 후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1 분출구와, 차량 하방측을 향하여 개구하도록 설치된 상기 제 2 분출구를 구비한 분출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분출구는, 상기 제 1 분출구로부터 분출된 공기류로부터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분출구로부터 분출되는 공기류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와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상기 제 1 분출구의 분출 방향 및 상기 제 2 분출구의 분출 방향 중 어느 방향과도 교차하는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상기 유량 조절부를 조작하는 레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에 도입되는 공기의 도입구가 상기 제 1 분출구 및 상기 제 2 분출구보다 차량 전방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구에는, 상기 캐빈의 천정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도입구를 높이방향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도입구의 주연부에 배치된 벽면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팬은, 차량 상하 방향을 축 방향으로 하여 상기 캐빈의 천정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조 장치.
  8. 삭제
  9. 삭제
KR1020147024683A 2012-03-28 2012-03-28 차량용 공조 장치 KR101586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2/058201 WO2013145172A1 (ja) 2012-03-28 2012-03-28 車両用空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3563A KR20140123563A (ko) 2014-10-22
KR101586776B1 true KR101586776B1 (ko) 2016-01-19

Family

ID=49258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4683A KR101586776B1 (ko) 2012-03-28 2012-03-28 차량용 공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017902A1 (ko)
EP (1) EP2832565A4 (ko)
JP (1) JP5962753B2 (ko)
KR (1) KR101586776B1 (ko)
CN (1) CN104220282B (ko)
WO (1) WO2013145172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13A (ko) 2018-08-24 2020-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KR20200022815A (ko) 2018-08-24 2020-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698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710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691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99685A (ko) 2019-02-15 2020-08-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200107346A (ko) 2019-03-07 2020-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42935A (ko) 2020-05-19 2021-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55193A (ko) 2020-06-15 2021-12-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16579A (ko) 2020-08-03 2022-0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랜지, 배관 및 플랜지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24230B2 (ja) * 2012-10-22 2016-05-25 株式会社デンソー 空調装置
JP6197616B2 (ja) * 2012-12-20 2017-09-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送風装置
JP5935769B2 (ja) 2013-07-12 2016-06-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6428004B2 (ja) * 2014-07-10 2018-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WO2016051754A1 (ja) * 2014-10-02 2016-04-07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JP6544165B2 (ja) * 2014-10-02 2019-07-17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JP6536307B2 (ja) * 2014-10-02 2019-07-03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WO2016051753A1 (ja) * 2014-10-02 2016-04-07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JP6358028B2 (ja) * 2014-10-07 2018-07-1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空調装置
JP6331955B2 (ja) * 2014-10-17 2018-05-30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WO2016117348A1 (ja) * 2015-01-23 2016-07-28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JP6642011B2 (ja) * 2015-01-23 2020-02-05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装置
FR3036658B1 (fr) * 2015-06-01 2017-06-0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Console pavillon de diffusion d’air conditionne dans la partie arriere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N105352101B (zh) * 2015-12-10 2018-01-02 南华大学 基于科恩达效应的室内通风装置
JP2017213921A (ja) * 2016-05-30 2017-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用サーキュレータ
KR101803836B1 (ko) * 2017-03-09 2017-12-04 최승혁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시스템을 구비한 전기구이기
FR3075111B1 (fr) * 2017-12-20 2020-07-31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ventilation a tubes pour systeme de ventilation, de chauffage et/ou de climatisation
JP7047582B2 (ja) * 2018-05-07 2022-04-05 株式会社デンソー 吹出装置
JP7135555B2 (ja) 2018-08-06 2022-09-13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空調制御システム、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制御装置
JP7103110B2 (ja) * 2018-09-24 2022-07-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送風装置
JP2020075598A (ja) * 2018-11-07 2020-05-2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ーキュレータ
JP7086493B2 (ja) * 2020-02-28 2022-06-20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の空調装置
KR102344298B1 (ko) 2020-04-14 2021-12-29 한국전력공사 1차원 다공성 금속산화물 나노섬유 기반 가스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36701A (ko) 2020-05-08 2021-11-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써큘레이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994A (ja) 2001-08-10 2003-05-08 Denso Corp 車両用送風装置
JP2005035423A (ja)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12746A (ja) 2004-02-02 2005-08-11 Denso Corp 吹出方向可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07203794A (ja) 2006-01-31 2007-08-1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7150B2 (ja) * 1986-01-16 1995-03-01 日本電装株式会社 車両用の空気調和装置
HU197258B (en) * 1986-12-12 1989-03-28 Koezlekedesi Es Tavkoezlesi Mu Air distributing duct for cooling, heating and aerating the internal spaces of air-conditioned vehicles
JPH0755612B2 (ja) * 1988-04-07 1995-06-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ATE94848T1 (de) * 1989-09-22 1993-10-15 Inventio Ag Vorrichtung fuer die belueftung von schnellaufenden aufzugskabinen.
US6062635A (en) * 1998-03-20 2000-05-16 Lear Automotive Dearborn, Inc, Plastic air duct integrated to headliner
MXPA01006120A (es) * 1998-12-16 2002-09-18 Grumman Olson Ind Inc Ventilacion del conductor para camion de entrega.
JP3578952B2 (ja) * 1999-11-26 2004-10-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エアダクト及びガーニッシュ構造
US6786541B2 (en) * 2001-01-05 2004-09-0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Air distribution system for ventilated seat
JP4380946B2 (ja) * 2001-07-24 2009-12-0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空調装置
JP4055467B2 (ja) * 2002-05-16 2008-03-05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JP3797314B2 (ja) 2002-10-30 2006-07-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DE10354032A1 (de) * 2002-11-20 2004-06-03 Denso Corp., Kariya Fahrzeug-Klimaanlage
JP4193667B2 (ja) * 2003-10-07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気体送風装置および空調装置
US20050087325A1 (en) * 2003-10-27 2005-04-28 Tim Rol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rear seat arrangement
US6899381B1 (en) * 2003-12-30 2005-05-31 Lear Corporation Vehicle headliner with a flexible duct
US7181918B2 (en) * 2004-03-25 2007-02-27 Oxycell Holding B.V. Vehicle cooler
JP4581906B2 (ja) 2005-08-18 2010-11-1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8568209B2 (en) * 2006-06-23 2013-10-29 Dometic Corporation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s
JP2009040304A (ja) * 2007-08-10 2009-02-26 Denso Corp 車両用空調装置
GB2463698B (en) 2008-09-23 2010-12-01 Dyson Technology Ltd A fan
WO2010082828A2 (en) * 2009-01-18 2010-07-22 Matthijs Dirk Meulenbelt Cooling device
US9278605B2 (en) * 2012-03-23 2016-03-08 Faurecia Interior Systems, Inc. Air distribution arrangement for use with vehicle HVAC 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ing ai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29994A (ja) 2001-08-10 2003-05-08 Denso Corp 車両用送風装置
JP2005035423A (ja) 2003-07-16 2005-02-10 Calsonic Kansei Corp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12746A (ja) 2004-02-02 2005-08-11 Denso Corp 吹出方向可変装置および車両用空調装置
JP2007203794A (ja) 2006-01-31 2007-08-16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2813A (ko) 2018-08-24 2020-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송풍장치
KR20200022815A (ko) 2018-08-24 2020-03-04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698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710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81691A (ko) 2018-12-28 2020-07-0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00099685A (ko) 2019-02-15 2020-08-2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200107346A (ko) 2019-03-07 2020-09-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42935A (ko) 2020-05-19 2021-11-2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55193A (ko) 2020-06-15 2021-12-22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20220016579A (ko) 2020-08-03 2022-02-10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플랜지, 배관 및 플랜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832565A4 (en) 2015-12-02
CN104220282A (zh) 2014-12-17
US20150017902A1 (en) 2015-01-15
KR20140123563A (ko) 2014-10-22
EP2832565A1 (en) 2015-02-04
WO2013145172A1 (ja) 2013-10-03
JP5962753B2 (ja) 2016-08-03
JPWO2013145172A1 (ja) 2015-08-03
CN104220282B (zh) 2016-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6776B1 (ko) 차량용 공조 장치
JP5935769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6361221B2 (ja) 空気吹出装置
US9579953B2 (en) Air outlet device for motor vehicle comprising a deflector
WO2014162670A1 (ja) 空気吹出装置
JP2014019270A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190315200A1 (en) Air vent for a vehicle
JP4758782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6439296B1 (en) Heating or air-conditioning system for a vehicle occupant compartment
JP2661344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のデフロスタ構造
KR20110052472A (ko) 차량용 통기 장치
JP2001063350A (ja) 車両用中央コンソール
US20210122212A1 (en) Air Vent for Introducing Air Into a Motor Vehicle Interior
US20130122797A1 (en) Air outlet device
EP2228243B1 (en) Ventilation, heating and/or air conditioning device for the interior of an automotive vehicle
WO2012120980A1 (ja) 空気吹出装置
KR10170998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83376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のデフロスタ構造
JP7394541B2 (ja) 風向調整装置
JP4096243B2 (ja) 通気ダクト
US11938790B2 (en) Ventilation outlet, ventilation system and motor vehicle
KR20210008401A (ko) 자동차 도어에 장착될 하우징, 및 그러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도어
JP2013132925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の吸込口装置
JP7261578B2 (ja) 風向調整装置及び空調装置
JP7427403B2 (ja) デフロスタダク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