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3040B1 - 마스크 - Google Patents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3040B1
KR101563040B1 KR1020127005629A KR20127005629A KR101563040B1 KR 101563040 B1 KR101563040 B1 KR 101563040B1 KR 1020127005629 A KR1020127005629 A KR 1020127005629A KR 20127005629 A KR20127005629 A KR 20127005629A KR 101563040 B1 KR101563040 B1 KR 101563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heet
layer
mask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584A (ko
Inventor
아키라 시바타
마코토 이시가미
나오히토 다케우치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55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3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3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vertical fold or wel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52Disposabl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30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 A41D31/305Antimicrobial, e.g. antibacterial using layer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마스크 본체부의 외표면에 바이러스 등을 잔류시키는 일없이, 높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더욱이 통기성, 포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부(10)와, 마스크 본체부(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귀걸이부(20)를 구비하며, 마스크 본체부(10)는 외층 시트와 중간층 시트를 갖고 있다. 외층 시트는, 소수성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층 시트는, 외층 시트보다 착용자 측에 배치되도록 외층 시트에 적층되어 있으며,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1 섬유층과, 제1 섬유층보다도 큰 섬유경을 갖는 폴리올레핀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2 섬유층을 갖고 있다. 제1 섬유층의 섬유경은 0.5∼2.8 ㎛의 범위 내로 설정되고, 제1 섬유층의, 섬유경에 대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은 0.1∼6.0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스크{FACE MASK}
본 발명은,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마스크의 구축 기술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착용자의 입 및 코를 덮는 입체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최근, 위생 환경 의식이 고조되고, 감기나 인플루엔자의 유행, 나아가서는 조류 인플루엔자나 코로나바이러스로 대표되는 신형 감염병의 발생 등의 영향을 받아,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마스크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2 및 3에는,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부직포에서는, 무기계 항균제의 대부분이 폴리올레핀에 의해서 피복된 상태로 섬유 내부에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섬유 표면에 무기계 항균제가 노출되는 양이 적다. 이 때문에, 이 부직포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더라도,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대한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할 때에,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마스크 컵)에 닿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마스크 본체의 외표면에 부착된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그대로 외표면에 머무르면, 외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의해서 이차 감염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섬유 시트를 이용하여 마스크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마스크 본체의 외표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잔류하지 않도록,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을 확실하게 발휘시킬 것이 요청된다.
더욱이, 이런 유형의 마스크의 개발에 있어서는, 높은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에 대한 요청과 더불어, 포집성이 우수하여 공기 중의 분진 등을 포착할 수 있을 것, 통기성이 우수하여 마스크 착용시의 숨이 차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 생산성이 우수하여 마스크 가공시에 섬유 끊어짐 등이 일어나기 어려울 것에 대한 요청도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7-37737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평5-153874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평8-325915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마스크 본체의 외표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잔류시키는 일없이, 높은 항균 작용이나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더구나 통기성, 포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각 청구항에 기재된 발명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이며, 적어도 마스크 본체부와 1쌍의 귀걸이부를 갖추고 있다. 마스크는, 1회 사용 내지 수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 일회용 타입의 것이라도 좋고, 혹은 세탁하거나 함으로써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것이라도 좋다.
마스크 본체부는, 착용자의 적어도 입(입가) 및 코(비강)를 덮는다. 1쌍의 귀걸이부는,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귀에 걸리게 된다. 귀걸이부는, 귀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는 신축성을 갖는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는, 촉감이 좋고 착용감이 좋은 감촉의 것이며, 또한 얼굴에 피착되었을 때의 형상이 유지되기 쉬운, 귀걸이부보다도 저신축성의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마스크 본체부는, 평면 형상이라도 좋고, 입체 형상이라도 좋다. 입체 형상인 경우에는, 적어도 마스크 착용시에 마스크 본체부가 입체 형상으로 되면 되고(예컨대, 마스크 착용시에 입체 형상으로 되고,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는 소정 양태로 접혀 포개져 평면 형상으로 됨), 마스크 착용시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에도 입체 형상으로 되더라도 좋다. 마스크 본체부는, 일반적으로는, 기계적, 화학적, 열적 등의 처리에 의해서 섬유를 고착하거나 뒤얽히게 하거나 하여 만들어지는 시트형의 구성물에 의해 구성되며, 전형적으로는, 열용융성 섬유(열가소성 섬유)를 일부에 포함하여 융착(용착) 가능한 부직포에 의해서 구성된다.
마스크 본체부는 제1 섬유 시트와 제2 섬유 시트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섬유 시트는 소수성 섬유(「발수성 섬유」라고도 함)에 의해 구성된다. 제2 섬유 시트는, 마스크 착용시에, 제1 섬유 시트보다 착용자 측에 배치되도록 제1 섬유 시트에 적층되어 있다. 본 구성에서는, 제1 섬유 시트에 의해서 마스크의 외표면(외기에 닿는 면)이 형성된다. 마스크 본체부는, 제1 섬유 시트와 제2 섬유 시트가 적층된 이층 구조라도 좋고, 혹은 제1 섬유 시트와 제2 섬유 시트에 더하여 한층 더 섬유 시트가 적층된 3층 이상의 다층 구조라도 좋다.
제2 섬유 시트는 또한 제1 섬유층과 제2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섬유층은,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으로서 구성된다. 특히, 이 제1 섬유층은, 섬유경이 0.5∼2.8 ㎛의 범위 내이고, 섬유경에 대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이 0.1∼6.0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다. 제2 섬유층은, 제1 섬유층보다도 섬유경이 큰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으로서 구성된다. 제1 섬유층에 의해서, 제2 섬유 시트의 전체적인 원하는 항균성, 항바이러스성이 확보되어, 제2 섬유층에 의해서, 제2 섬유 시트의 전체적인 원하는 포집성(「집진성」이라고도 함) 및 통기성이 확보된다. 제2 섬유 시트는, 제1 섬유층이 제2 섬유층보다도 제1 섬유 시트 측(외측)에 배치된 구성이라도 좋고, 혹은 제2 섬유층이 제1 섬유층보다도 제1 섬유 시트 측(외측)에 배치된 구성이라도 좋다.
제2 섬유 시트에 대해서는 필요에 따라서 일렉트릿화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일렉트릿화 처리」는, 기지의 일렉트릿 설비를 이용함으로써, 폴리올레핀계 섬유 표면에 소정량의 플러스 전하 혹은 마이너스 전하를 부여하여 분극시킨 유전 상태를 형성시키는 처리로서 규정된다. 일렉트릿화 처리가 실시된 제2 섬유 시트에 의해서 마스크를 구성함으로써, 한층 더 포집성 향상이 도모된다.
여기서 말하는 「무기계 항균제」로서는,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섬유의 용융 방사시에 가해지는 열 등에 의해, 휘발, 분해, 변질 등을 일으키지 않고, 또한 단기간에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이 저하되지 않는 무기계 항균제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은 이온, 구리 이온, 아연 이온 등과 같이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금속 이온을 무기 담체에 유지시킨 무기계 항균제나, 산화티탄계 무기계 항균제 등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항균성을 지니는 금속 이온을 무기 담체에 유지시킨 무기계 항균제에서는, 무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 시트의 열화 작용 등을 보이지 않는 무기 담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지만, 적합하게는, 이온 교환능이나 금속 이온 흡착능을 갖고 또한 금속 이온의 유지능이 높은 무기 담체가 이용된다. 이러한 무기 담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고, 이 중에서도, 높은 이온 교환능을 갖는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이 특히 적합하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루어지는 섬유층」은, 폴리올레핀계 섬유만으로 이루어지는 섬유층뿐만 아니라, 폴리올레핀계 섬유에 또 다른 섬유가 혼합된 섬유층도 널리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 섬유로서, 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에틸렌 섬유, 폴리1-부텐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마스크에 따르면,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 외표면으로부터 착용자의 입가로 향해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飛沫)은,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 시트에 의해서 흡수되지 않고(마스크 외표면에 머물지 않고), 제2 섬유 시트 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탈시에 착용자가 마스크 본체부(마스크 컵)에 닿았다고 해도 이차 감염이 방지되어 안심이다. 또한, 본 발명자들이 평가 시험을 한 결과, 제2 섬유 시트에 있어서, 제1 섬유층의 섬유경과, 섬유경에 대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의 각각을 적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더구나 통기성, 포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이 도모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에 대해서는, 제1 섬유층의 섬유경 및 섬유경에 대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을 상기한 적정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상기한 적정 범위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서, 섬유 표면에 무기계 항균제를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대한 원래의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얻는 경우에는, 무기계 항균제의 배합 비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 비용의 저감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섬유 끊어짐 등에 의한 생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제2 섬유 시트는, 제1 섬유층이 제2 섬유층보다도 제1 섬유 시트 측에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섬유 시트를 통과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을, 제1 섬유층에 포함되는 무기계 항균제에 의해서 조속하게 항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제1 섬유 시트는, 섬유경이 10∼40 ㎛의 범위 내, 포어 사이즈(pore size)(세공경)이 60∼100 ㎛의 범위 내로 설정된 소수성 섬유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제1 섬유 시트가 저밀도화되어, 통기성을 높여 호흡하기 쉽게 하는 동시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을, 제2 섬유 시트 측으로 유도하기 쉽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부는, 제1 섬유 시트와 제2 섬유 시트와의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가 1.0∼3.0 g/㎡ 범위 내의 평량으로 섬유형으로 도포된 접합부를 갖추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유기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를 의미한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섬유형의 도포」에서는, 전형적으로는, 핫멜트 수지의 섬유가 거의 등간격으로 도포 방향으로 사행한 상태에서 피착부에 도포된다. 한편, 직경이나 형상, 패턴 등은, 핫멜트 수지의 종류, 도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낮은 평량의 접합부는, 접착제가 피막형으로 도포된 경우와 달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의 이동이 저지되어, 비말 유도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마스크에서는, 마스크 본체부는, 제2 섬유 시트를 사이에 두고 제1 섬유 시트와 반대 측에, 섬유경이 10∼40 ㎛의 범위 내, 포어 사이즈(세공경)가 60∼100 ㎛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3 섬유 시트가 적층되어 있다. 제3 섬유 시트를 저밀도화함으로써, 통기성을 높여 호흡하기 쉽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질, 작용 및 효과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 특허청구범위, 첨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즉시 이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착용자의 얼굴에 장착되는 마스크에 있어서, 마스크 본체의 외표면에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잔류시키는 일없이, 높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고, 더구나 통기성, 포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데 유효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마스크(1)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마스크(1)를 구성하는 마스크 본체부(10)의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마스크」의 일 실시형태인 마스크(1)의 구성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한편, 이상 및 이하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내지 방법은, 본 발명의 「마스크」의 제조 및 사용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다른 구성 내지 방법과는 별도로 혹은 이들과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적용예를 실시하기 위한 상세 정보를 당업자에 교시하는 것에 머무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그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기초하여 정해진다. 이 때문에,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의 각 구성 혹은 각 방법은, 광의의 의미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전부 필수라고 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대표적 형태를 개시하는 데에 머무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의 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마스크(1)는, 1회 내지 수회의 사용을 상정한 일회용 마스크로서 구성되어, 감기 등의 바이러스 대책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기타, 필요에 따라서 꽃가루 대책 등에 이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마스크 본체부(10)와 귀걸이부(20)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마스크 본체부(10))
마스크 본체부(10)는 착용자(마스크 착용자)의 입(입가) 및 코(비강)를 덮는 부재이다. 마스크 본체부(10)의 전부 또는 일부가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부」에 해당한다.
마스크 본체부(10)는, 착용자의 우측 안면을 덮는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안면을 덮는 좌측 시트편(10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은, 열 용착에 의해서 서로 연접형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의 접합 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 형상으로 연장되는 접합 가장자리(10c)가 형성되어 있어, 마스크 본체부(10)는 접합 가장자리(10c)를 경계로 하여 좌우로 이분된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 착용시에, 착용자 측의 착용면이 컵 형상 혹은 함몰 형상을 형성하는 입체 형상(입체 구조)으로 된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부(10)는 「입 덮개부」 혹은 「마스크 컵」이라고도 불린다.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 착용시에,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이 서로 이격된 확대 개방 상태로 설정되어 입체형으로 된다. 한편, 마스크 수납시 혹은 마스크 미사용시에는, 우측 시트편(10a)과 좌측 시트편(10b)이 서로 접촉한 접어 포개진 상태(평면형)로 설정된다. 한편, 마스크 본체부(10)는, 적어도 마스크 착용시에 입체형이면 되며, 마스크 착용시뿐만 아니라 마스크를 착용하기 전(마스크 미사용시)에도 입체형이라도 좋다. 또한,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 착용시에 입체 구조가 유지되기 쉽게 되도록 귀걸이부(20)보다도 저신축성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크 본체부(10)(즉,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의 단면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마스크 본체부(10)는, 마스크 장착시에 외측(착용자의 얼굴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외층 시트(11)와, 마스크 장착시에 착용자의 얼굴 측에 배치되는 내층 시트(12)와, 외층 시트(11)와 내층 시트(12) 사이에 설치되는 중간층 시트를 갖고 있다. 즉, 마스크 본체부(10)는, 중간층 시트(13)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외층 시트(11)와 내층 시트(12)가 배치되도록 적층된 3층 구조의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는, 모두 부직포에 의해 구성되는 제1 섬유층(14)과 제2 섬유층(15)이 복합된 복합 섬유 시트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외층 시트(11)와 중간층 시트(13)와의 사이 및 내층 시트(12)와 중간층 시트(13)와의 사이에는 접합부(16)가 형성되어 있다. 외층 시트(11), 내층 시트(12) 및 중간층 시트(13)가 각각 본 발명의 「제1 섬유 시트」, 「제3 섬유 시트」 및 「제2 섬유 시트」에 해당한다.
한편, 외층 시트(11), 내층 시트(12) 및 중간층 시트(13) 각각은, 한 조각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더라도 좋고, 복수의 부직포 시트를 적층하여 혹은 맞대어 접합한 구성이라도 좋다.
외층 시트(11)는, 저밀도이며 또한 소수성 혹은 발수성이 높은(소수성 섬유 혹은 발수성 섬유에 의해 구성되는) 부직포 시트(섬유 시트)로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및 폴리에틸렌 섬유를 포함하고, 가압 롤에 의해서 포인트본드 가공된 저밀도의 포인트본드 부직포 시트(예컨대, 평균 섬유경이 10∼40 ㎛, 포어 사이즈(세공경)가 60∼100 ㎛, 평량이 20∼40 g/㎡인 부직포 시트)가 이용된다. 이러한 구성의 저밀도의 외층 시트(11)를 이용함으로써, 외층 시트(11)에 부착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은, 외층 시트(11) 자체에 흡수 혹은 흡착되는 것이 억제되어, 중간층 시트(13) 측으로 유도되기 쉽게 되고, 또한 통기성이 높아져 호흡하기 쉽게 되는 동시에, 촉감이 좋다. 한편, 외층 시트(11)는, 전체적으로 소수성 혹은 발수성이 높으면 되며, 엄밀하게 소수성 혹은 발수성이 높은 섬유 시트만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더라도 좋다.
내층 시트(12)는, 저밀도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섬유 시트로서 구성된다. 전형적으로는, 외층 시트(11)와 동종의 포인트본드 부직포 시트가 이용된다. 이 경우, 내층 시트(12)는, 소수성 혹은 발수성이 높은 부직포 시트가 이용되더라도 좋고, 소수성 혹은 발수성이 낮은 부직포 시트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의 내층 시트(12)를 이용함으로써, 통기성이 높아져 호흡하기 쉽게 되는 동시에, 촉감이 좋다.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은, 미립자형의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계 수지 조성물(전형적으로는,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제조된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층으로서 구성된다. 제1 섬유층(14)은, 외층 시트(11)나 내층 시트(12)보다도 고밀도의 부직포층으로 된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중간층 시트(13)에서는, 제1 섬유층(14)이, 제2 섬유층(15)보다도 외층 시트(11) 측, 즉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외층 시트(11)를 통과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을, 제1 섬유층(14)에 포함되어 있는 미립자형의 무기계 항균제에 의해서 조속히 항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1 섬유층(14)이 본 발명의 「제1 섬유층」에 해당한다.
제1 섬유층(14)에 함유되는 무기계 항균제로서는, 인체에 대하여 안전하고, 섬유의 용융 방사시에 가해지는 열 등에 의한 휘발, 분해, 변질이 없고, 또한 짧은 기간에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이 저하되지 않는 무기계 항균제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은 이온, 구리 이온, 아연 이온 등의 항균·항바이러스 작용을 갖는 금속 이온을 무기 담체에 유지시킨 무기계 항균제, 산화티탄계 무기계 항균제 등 중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할 수 있다. 항균성을 갖는 금속 이온을 무기 담체에 유지시킨 무기계 항균제에서는, 무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섬유 시트의 열화 작용 등을 보이지 않는 무기 담체라면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는데, 적합하게는, 이온 교환능이나 금속 이온 흡착능을 지니고 또한 금속 이온의 유지능이 높은 무기 담체가 이용된다. 이러한 무기 담체로서는, 전형적으로는,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 인산칼슘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높은 이온 교환능을 갖는 제올라이트, 인산지르코늄이 특히 적합하다. 무기계 항균제가 본 발명의 「무기계 항균제」에 해당한다.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은,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층으로서 구성된다. 제2 섬유층(15)은, 외층 시트(11)나 내층 시트(12)보다도 고밀도의 부직포층으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중간층 시트(13)에서는, 제2 섬유층(15)이, 제1 섬유층(14)보다도 내층 시트(12) 측, 즉 착용자 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섬유층(15)은, 제1 섬유층(14)보다 섬유경(평균 섬유경)이 크다. 이에 따라, 중간층 시트(13) 전체적으로, 제1 섬유층(14)에 의해서 항균 작용·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하면서, 제2 섬유층(14)에 의해서 원하는 포집성(「집진성」이라고도 함) 및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제2 섬유층(15)에 의해서, 섬유경이 작은 제1 섬유층(14)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제2 섬유층(15)이 본 발명의 「제2 섬유층」에 해당한다.
각 접합부(16)는, 핫멜트 접착제를 피착부에 낮은 평량(예컨대 1.0∼3.0 g/㎡)으로 섬유형으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말하는 「핫멜트 접착제」는, 열가소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한 유기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접착제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섬유형의 도포」에서는, 전형적으로는, 핫멜트 수지의 섬유가 거의 등간격으로 도포 방향으로 사행한 상태에서 피착부에 도포된다. 한편, 직경이나 형상, 패턴 등은, 핫멜트 수지의 종류, 도포 조건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낮은 평량의 접합부(16)는, 접착제가 피막형으로 도포되어 형성된 접합부와 달리,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의 이동의 저지에 의한 비말 유도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접합부(16)가 본 발명의 「접합부」에 해당한다.
(귀걸이부(20))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좌우 양측, 즉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 각각의 단부에서부터 연장되어 있다. 귀걸이부(20)가 본 발명의 「귀걸이부」에 해당한다.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와 별개로 형성되어, 마스크 본체부(10)에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접합된다. 또한,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의 일부로서 마스크 본체부(10)와 일체로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귀걸이부(20)는 개구(21)를 갖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마스크 착용시에는, 착용자의 얼굴, 특히 코와 입을 마스크 본체부(10)에 의해서 덮은 상태에서, 귀걸이부(20)의 개구(21)가 착용자의 귀에 걸쳐진다.
귀걸이부(20)는, 마스크 본체부(10)와 마찬가지로, 열가소성 합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에 의해 형성된다. 귀걸이부(20)는, 귀에 과도한 부하를 주지 않는 신축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비탄성적으로 신장 가능한 신장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신장층(예컨대, 프로필렌 연속 섬유가 서로 용착된 부직포)과, 탄성 신축 가능한 탄성 신축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성층(예컨대, 열가소성 합성 섬유의 엘라스토라마나 우레탄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사를 사용한 부직포)이 적층되어 구성된다.
상기 구성의 중간층 시트(13)의 제조 방법 및 마스크 본체부(10)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이하에 설명한다. 이 제조 방법은 이하의 (단계 1)∼(단계 4)를 갖고 있다.
(단계 1)
폴리프로필렌(멜트플로우레이트(MFR)=700 g/10분)을, 일반적인 멜트블로우(「멜트블로운」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음)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80℃, 에어 온도 290℃, 에어 압력 1.2 kg/㎠, 단공 토출량 0.4 g/구멍·분, 구금(口金)에 있어서의 방사 구멍수 2850개(1열 배치), 포집 거리 30 cm로 멜트블로우 방사를 행한다. 이에 따라, 소정의 평량 및 섬유경(평균 섬유경)을 갖는 부직포층(제2 섬유층(15))이 제조된다.
(단계 2)
폴리프로필렌(α)(MFR=700 g/10분) 80 질량부에, 인산지르코늄을 주체로 하는 무기 이온 교환체에 은 이온을 담지시킨 은계 무기계 항균제(토아고세이사 제조 「노바론 AG300」, 평균 입자경 1 ㎛, 대략 입방체형) 20 질량부를 배합하여, 은계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마스터 배치를 조제한다. 조정한 마스터 배치와, 폴리프로필렌(β)(MFR=700 g/10분)을, 마스터 배치:폴리프로필렌(β)=1:1의 질량비로 혼합하고, 일반적인 멜트블로우 설비를 사용하여, 방사 온도 280℃, 에어 온도 290℃, 에어 압력 1.2 kg/㎠, 단공 토출량 0.1 g/구멍·분, 구금에 있어서의 방사 구멍수 2850개(1열 배치)로,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부직포층(제2 섬유층(15)) 위에 멜트블로우 방사를 행하여 새로운 부직포층(제1 섬유층(14))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 섬유층(14)과 제2 섬유층(15)으로 이루어지는 복합 섬유 시트가 제조된다.
(단계 3)
상기 단계 2에서 얻어진 복합 섬유 시트에 대하여, 일반적인 일렉트릿 설비를 사용하여, 침상 전극과 롤 전극 사이의 거리 25 mm, 인가 전압 -25 KV, 온도 80℃의 조건 하에서 일렉트릿화 처리를 실시한다. 이에 따라, 대전 복합 섬유 시트(중간층 시트(13))가 제조된다. 이 일렉트릿화 처리에 의해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표면에 소정량의 정전하 혹은 부전하가 주어져, 분극된 유전 상태가 형성된다. 일렉트릿화 처리가 실시된 복합 섬유 시트에 의해서 마스크를 구성함으로써, 포집성 혹은 집진성의 한층 더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섬유층(14) 및 제2 섬유층(15)을, 폴리올레핀계 섬유 중의 폴리프로필렌 섬유에 의해 구성했기 때문에, 일렉트릿화 처리를 특히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동시에, 비용면에서 우수한 저렴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섬유 이외의 폴리올레핀계 섬유, 예컨대 폴리에틸렌 섬유나 폴리1-부텐 섬유 등을 이용하여 제1 섬유층(14) 및 제2 섬유층(15)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단계 4)
상기 단계 3에서 얻어진 대전 복합 섬유 시트(중간층 시트(13))의 한쪽의 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낮은 평량(예컨대 1.0∼3.0 g/㎡)으로 섬유형으로 도포한 상태에서 외층 시트(11)를 접착한다. 또한, 대전 복합 섬유 시트(중간층 시트(13))의 다른 쪽의 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낮은 평량(예컨대 1.0∼3.0 g/㎡)으로 섬유형으로 도포한 상태에서 내층 시트(12)를 접착한다.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부(10)가 제조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와 같이, 미립자형의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마스크에서는, 무기계 항균제의 대부분이 폴리올레핀으로 피복된 상태에서 섬유 내부에 존재하면, 섬유 표면에의 무기계 항균제의 노출이 적어져,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원래의 항균 작용·항바이러스 작용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섬유경과,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폴리올레핀 섬유의 섬유경 및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에 관한 값을 특정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원래의 항균 작용·항바이러스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고, 또한, 포집성 및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알아내는 데에 성공했다.
이하에, 마스크 본체부(10)의 구성을 변경한 경우의 마스크 성능에 관해서 설명한다. 한편, 마스크 성능을 평가할 때, 마스크 본체부(10)를 본뜬 이하의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의 평가편을 작성했다.
한편, 각 평가편은, 모두 외층 시트(11) 및 내층 시트(12)로서, 일렉트릿화되어 있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에틸렌제의 포인트본드 부직포 시트(평균 섬유경 : 17 ㎛, 평량 : 32 g/㎡)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 섬유층의 섬유경 및 평량, 포어 사이즈는,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했다.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
제1 섬유층(14)에 함유되는 미립자형의 무기계 항균제(은계 무기계 항균제)에 물을 가하고, 충분히 교반하여 수중에 균일하게 분산시켰다. 그리고,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측정 장치(호리바세이사쿠쇼 제조 「LA-920」)를 사용하여, 이 분산액의 입도 분포를 측정했다. 이 때, 측정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초음파 호모게나이저에 의해 초음파를 1분간 조사한 후에 분산액의 입도 분석을 측정하여, 체적 기준의 입도 분포에 의해 계산되는 산술 평균치(㎛)를 무기계 항균제의 평균 입자경으로 했다. 그리고, 계산한 무기계 항균제의 평균 입자경을, 제1 섬유층(14)에 함유되는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으로 했다.
(섬유경)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14)(제2 섬유층(15))으로부터 (세로×가로=5 cm×5 cm)의 정방형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리고, 채취한 시험편 표면의 중앙부(대각선의 교점을 중심으로 하는 부분)를, 주사형 전자현미경(SEM ; 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사용하여 1000배의 배율로 사진 촬영했다. 이로써 얻은 사진 위에, 사진의 중앙부(대각선의 교점)를 중심으로 하는 반경 15 cm의 원을 그렸다. 그리고, 그린 원 안에 포함되는 모든 미융착 폴리올레핀 섬유(통상 약 50∼100 가닥 정도)의 길이 방향의 중앙부 또는 그것에 가까운 부위에서의 섬유경을 노기스에 의해 측정하여, 측정한 섬유경의 평균치를 폴리올레핀 섬유의 평균 섬유경(㎛)으로 했다. 그리고, 구한 폴리올레핀 섬유의 평균 섬유경을, 제1 섬유층(14)(제2 섬유층(15))의 섬유경으로 했다.
한편, 폴리올레핀 섬유의 평균 섬유경을 구할 때는, 사진에 찍혀 있는 폴리올레핀 섬유가, 제1 섬유층(14)(제2 섬유층(15))의 최외측 표면에 위치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인지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폴리올레핀 섬유인지를 구별하지 않고, 사진에 찍혀 있는 폴리올레핀 섬유의 모든 섬유경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의 평균을 구했다. 제1 섬유층(14)(제2 섬유층(15))의 시험편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험편(세로×가로=5 cm×5 cm) 이외의 크기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평량)
제2 섬유층(15)의 평량은, 제2 섬유층(15)으로서 이용한 부직포로부터 (세로×가로=20 cm×20 cm)의 정방형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리고, JIS L1906(일반 장섬유 부직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채취한 시험편의 폭 방향을 따라서 3곳에서 평량을 측정하여, 측정한 평량의 평균치를 제2 섬유층(15)의 평량으로 했다.
중간층 시트(13)(복합 섬유 시트)의 평량은, 중간층 시트(13)로부터 (세로×가로=20 cm×20 cm)의 정방형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리고, JIS L1906(일반 장섬유 부직포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채취한 시험편의 폭 방향을 따라서 3곳에서 평량을 측정하고, 측정한 평량의 평균치를 중간층 시트(13) 전체의 평량으로 했다.
제1 섬유층(14)의 평량은, 중간층 시트(13) 전체의 평량으로부터, 상기 산출한 제2 섬유층(15)의 평량을 빼어, 제1 섬유층(14)의 평량으로 했다.
한편, 제2 섬유층(15) 및 중간층 시트(13) 각각의 시험편은, 필요에 따라서, 상기 시험편(세로×가로=20 cm×20 cm) 이외의 크기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포어 사이즈)
포어 사이즈는, 마스크 본체부(입 덮개부)(10)로부터 직경 42.5 mm의 원형의 시험편을 채취했다. 그리고, 기지의 측정 장치(Porous Materials, Inc사 제조의 Automated Perm Porometer)를 사용하여, 채취한 시험편의 평균 세공경을 측정하여, 측정한 평균 세공경을 포어 사이즈로서 규정했다. 이에 따라, 예컨대, 외층 시트(11)나 내층 시트(12)를 구성하는 섬유의 포어 사이즈를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7)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3.5 ㎛, 평량 : 15 g/㎡)를 이용했다.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을 84.1 g/㎡로 하고,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0.15 g/㎡로 했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2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4)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3)
실시예 3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2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13)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4)
실시예 4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2.0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2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1)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5)
실시예 5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5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2.0)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2.8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36)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7)
실시예 7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5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3.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6.0)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8)
실시예 8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0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6.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6.0)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9)
실시예 9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5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6.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4.0)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실시예 10)
실시예 10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2.8 ㎛, 평량 : 1.0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6.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2.1)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를 단일의 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만 형성하고, 이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3.5 ㎛, 평량 : 18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를 이용했다.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을 85.6 g/㎡로 하고,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0.30 g/㎡로 했다.
(비교예 2)
비교예 2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4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1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25)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3)
비교예 3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1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07)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4)
비교예 4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2.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0.2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08)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5)
비교예 5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4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2.5)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6)
비교예 6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3.0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1.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0.3)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7)
비교예 7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4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3.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7.5)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8)
비교예 8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0.9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6.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6.7)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9)
비교예 9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1.5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7.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4.7)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비교예 10)
비교예 10의 평가편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제의 멜트블로우 부직포 시트(섬유경 : 3.0 ㎛, 평량 : 1.5 g/㎡,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 : 7.0 ㎛, (무기계 항균제 입자경/섬유경) : 2.3)를 이용했다. 또한, 중간층 시트(13)의 제2 섬유층(15)에 상당하는 부직포 시트로서,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은 부직포 시트를 이용했다. 또한, 이 평가편에서는, 총평량 및 무기계 항균제 배합량을 실시예 1의 평가편과 같게 했다.
(통기 저항치의 도출 및 평가)
통기 저항치의 측정에서는, 마스크의 본체부(입 덮개부)로부터 종횡 치수 40 mm 이상의 시료를 채취했다. 한편, 통기 저항치는, 멜트블로우층(필터층) 단독으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초음파 시일이나 히트 시일, 접착제 등으로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멜트블로우층을 포함하는 최저층수로 측정한다. 통기 저항치의 측정에는, Automatic Air-Permeability Tester(카토테크사 제조, 상품명「KES-F8-AP1」)를 사용하여, 유량 4 cc/㎠/sec(면적 : 2π×10-4 ㎡)로, 공기를 시료에 방출(배기 모드)하고, 또한, 공기를 시료로부터 흡인(흡기 모드)했다. 그리고, 배기 모드를 3초, 흡기 모드를 3초 행했을 때의 압력 손실을 반도체 차압 게이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측정치의 적분치에 의해서 통기 저항치(cc/㎠/sec)를 얻었다.
또한, 구한 통기 저항치(cc/㎠/sec)에 기초하여, 통기성을 ○, △, ×의 3단계로 판정했다. 이 판정에서는, 통기 저항치(cc/㎠/sec)가 0.41 이하인 경우를 ○, 0.42∼0.45의 범위 내인 경우를 △, 0.46 이상인 경우를 ×로 했다.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 ; Bacterial Filtation Efficiency)의 도출 및 평가)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의 측정에서는, 마스크의 본체부(입 덮개부)로부터 종횡 치수 90 mm 이상의 시료를 채취했다. 한편, 마스크의 본체부(입 덮개부)로부터 종횡 치수 90 mm 이상의 시료를 채취할 수 없는 경우에는, 채취한 여러 장의 시료를 합장형으로 겹쳐, 초음파 혹은 히트 시일로 직선형으로 시일함으로써 종횡 치수 90 mm 이상의 시료를 작성했다.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의 측정은, 멜트블로우층(필터층)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멜트블로우층과 다른 층(예컨대, 스펀본드층)이 복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멜트블로우층을 포함하는 최소 단위로 행했다.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의 측정은 ASTM F2101-07에 준거하여 행했다. 평균(컨트롤 콜로니의 수)을 A, 평균(샘플 콜로니의 수)을 B로 한 경우, 이하의 식에 의해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을 얻었다.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A-B)/A}×100
한편, 이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에 기초하여, 포집성을 ○, △, ×의 3단계로 판정했다. 이 판정에서는, 박테리아 여과 효율(BFE)이 95% 이상인 경우를 ○, 90∼94%의 범위 내인 경우를 △, 89% 이하인 경우를 ×로 했다.
(항균 시험)
항균 시험에서는, 마스크의 본체부(입 덮개부)의 항균 가공 부분 0.4 g을 시료로서 채취했다. 항균 시험은, JIS L1902의 균액 흡수법에 준거하여 행하여, 항균 효과(활성치)를 측정했다. 본 시험에서는, 생균수의 증식치가 1.0 이상에서 유효로 하여, 상기 활성치로서 정균 활성치를 측정했다. 한편, 정균 활성치가 2.0 이상에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했다.
(바이러스 감소율의 도출 및 평가)
바이러스 감소율에 관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불활화 시험에서는, 시료가 발수성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멸균 증류수를 스며들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마스크의 본체부(입 덮개부)로부터 채취한 시료에 대하여 사전에 친수성 처리를 했다. 친수성 처리는, 활성제로서 Tween80를 이용하여 이하의 요령으로 행했다. Tween80의 용액 농도를 0.05%로 한다. 녹기 어렵기 때문에, 히터가 달린 마그네틱 스터러로 약하게 가열하면서 녹이거나, 맨 처음에 끓인 물로 녹인다. 그리고, 친수성 처리를 하고 싶은 재료를 이 액체에 담그고, 오븐을 이용하여 90℃에서 건조시켜 시료를 얻었다.
시험은 다음과 같이 행했다.
공시 바이러스로서, 인플루엔자 A형 바이러스(Influenza virus A/H1N1)를 이용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발육 계란의 장뇨액강에 접종하여, 부화기로 배양 후, 장뇨액을 채취하여, 밀도 구배 원심법에 의해 정제한 바이러스액을 공시 바이러스액으로 했다. 바이러스 작용 시간은 24시간으로 했다.
(4 cm×4 cm)각의 크기로 절단한 시료를 플라스틱 샤알레에 넣고, 공시 바이러스액을 0.2 ml 첨가했다. 또한, (4 cm×4 cm)각의 필름으로 시료의 상면을 커버하여, 공시 바이러스와 시료와의 접촉 효율을 높였다. 실온에서 24시간 작용시킨 후, 5 ml의 인산 버퍼 살린(PBS ; Phoshate buffered saline)을 가한 원심관으로 시료와 필름을 옮겼다. 그리고, 보르텍스 믹서로 30초간 믹싱하여 공시 바이러스를 씻어내어, 정량 시험용 시료를 얻었다.
한편, 시료는, 필요에 따라서 상기 (4 cm×4 cm)각 이외의 크기인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공시 바이러스를 씻어낸 상기 정량 시험용 시료를 원액으로 하여, PBS로 10배 단계 희석을 했다. 그리고, 희석한 바이러스 용액과 MDCK(Madin-Darby canine kidney) 세포를 96 구멍의 웰 플레이트로 옮겨 심어, 37℃의 탄산 가스 부화기 내에서 5일간 배양했다. 배양 후, 웰 속의 세포를, 4% 포르말린·0.1% 크리스탈 바이올렛으로 고정·염색하여, 수세했다. 그 후, 웰을 건조시켜, 에탄올을 각 웰에 50 ml 가했다. 그리고, 염색한 비감염 세포로부터 용출시킨 크리스탈 바이올렛의 흡광도(피크 파장 585 nm)를 측정하여, 바이러스 감염가 TCID50(조직 배양 50% 감염가)을 구해, 시료 1장당 바이러스 감염가(TCID50/장)를 산출했다.
바이러스 감소율은, 산출한 바이러스 감염가에 관해서, 블랭크치에 대한 24시간 후의 바이러스 감염가의 비율에 기초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
바이러스 감소율(%)=100-{(24시간 후의 바이러스 감염가)/(블랭크치)}
한편, 항바이러스성에 대해서는, 산출한 바이러스 감소율(%)에 기초하여, ○, △, ×의 3단계로 판정했다. 이 판정에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0% 이상인 경우를 ○, 11∼89%의 범위 내인 경우를 △, 10% 이하인 경우를 ×로 했다.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의 각 평가편을, 상기 도출한 각종 측정치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실시예 1∼10의 평가 결과)
실시예 1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13 cc/㎠/sec, BFE가 99.1%였다.
실시예 2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21 cc/㎠/sec, BFE가 99.3%였다.
실시예 3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0.2%, 통기 저항치가 0.414 cc/㎠/sec, BFE가 99.1%였다.
실시예 4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0.0%, 통기 저항치가 0.409 cc/㎠/sec, BFE가 99.0%였다.
실시예 5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22 cc/㎠/sec, BFE가 99.3%였다.
실시예 6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4.5%, 통기 저항치가 0.401 cc/㎠/sec, BFE가 98.1%였다.
실시예 7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20 cc/㎠/sec, BFE가 99.0%였다.
실시예 8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16 cc/㎠/sec, BFE가 99.1%였다.
실시예 9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13 cc/㎠/sec, BFE가 99.3%였다.
실시예 10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9%, 통기 저항치가 0.402 cc/㎠/sec, BFE가 97.0%였다.
따라서, 실시예 1∼10의 평가편은, 모두 항바이러스성, 통기성 및 포집성 전부에 관한 판정 결과가 ○이며, 이로써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우수하고, 또한 통기성 및 포집성이 우수한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실시예 1∼10의 평가편은 모두 섬유 끊어짐 등의 생산성에 대해서도 문제없는 레벨이었다.
(비교예 1의 평가 결과)
비교예 1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15.0%, 통기 저항치가 0.412 cc/㎠/sec, BFE가 96.1%였다. 즉, 비교예 1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1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2의 평가 결과)
비교예 2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10.0%, 통기 저항치가 0.433 cc/㎠/sec, BFE가 97.3%였다. 즉, 비교예 2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2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2의 평가편은, 섬유경이 작아 섬유 끊김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비교예 3의 평가 결과)
비교예 3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10.0%, 통기 저항치가 0.414 cc/㎠/sec, BFE가 97.1%였다. 즉, 비교예 3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3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4의 평가 결과)
비교예 4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12.0%, 통기 저항치가 0.405 cc/㎠/sec, BFE가 96.0%였다. 즉, 비교예 4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4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5의 평가 결과)
비교예 5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70.0%, 통기 저항치가 0.434 cc/㎠/sec, BFE가 97.0%였다. 즉, 비교예 5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5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5의 평가편은, 섬유경이 작아 섬유 끊김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비교예 6의 평가 결과)
비교예 6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10.0%, 통기 저항치가 0.402 cc/㎠/sec, BFE가 96.8%였다. 즉, 비교예 6의 평가편은, 특히 섬유 표면 및 부직포 표면에 항균제가 노출되기 어려워, 항바이러스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였다. 따라서, 비교예 6의 평가편은, 항균·항바이러스 성능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6의 평가편은, 포집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로, 포집성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7의 평가 결과)
비교예 7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8.0%, 통기 저항치가 0.408 cc/㎠/sec, BFE가 95.0%였다. 즉, 비교예 7의 평가편은, 항바이러스성, 통기성 및 포집성에 대해서는 효과가 있지만, 섬유경이 작아 섬유 끊김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비교예 8의 평가 결과)
비교예 8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0%, 통기 저항치가 0.407 cc/㎠/sec, BFE가 91.3%였다. 즉, 비교예 8의 평가편은, 포집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로, 포집성이 실시예 1∼10보다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9의 평가 결과)
비교예 9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0%, 통기 저항치가 0.411 cc/㎠/sec, BFE가 92.0%였다. 즉, 비교예 9의 평가편은, 포집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로, 포집성이 실시예 1∼10보다도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비교예 9의 평가편은, 섬유경이 작아 섬유 끊김을 일으키기 쉽기 때문에, 생산성이 안정적이지 못하다.
(비교예 10의 평가 결과)
비교예 10의 평가편에 대해서는, 바이러스 감소율이 99.0%, 통기 저항치가 0.401 cc/㎠/sec, BFE가 95.9%였다. 즉, 비교예 10의 평가편은, 포집성에 관한 판정 결과가 △로, 포집성이 실시예 1∼10보다 뒤떨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실시형태의 마스크(1)는, 상기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착용자의 호흡에 의해 마스크 외표면에서 착용자의 입가로 향해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될 때,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비말은, 소수성 섬유 혹은 발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외층 시트(11)에 의해서 흡수되는 일없이(마스크 외표면에 멈추는 일없이), 중간층 시트(13) 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마스크 착탈시에 착용자가 본체부(마스크 컵)에 닿은 경우라도, 이차 감염이 방지된다.
또한, 실시예 1∼10 및 비교예 1∼10의 각 평가편에 관한 상기한 평가 결과로부터,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의 섬유경을 0.5∼2.8 ㎛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또한, 섬유경에 대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을 0.1∼6.0의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혹은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의 섬유경을 0.5∼2.8 ㎛의 범위 내로 설정하고, 또한,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을 0.2∼6.0 ㎛의 범위 내로 설정함으로써, 높은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발휘시킬 수 있는 동시에, 통기성, 포집성 및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은,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섬유 표면에 무기계 항균제를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병원체에 대한 원래의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동일한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얻는 경우에는, 무기계 항균제의 배합 비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품 비용의 저감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상기한 것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생산성이나 성능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제1 섬유층(14)의 섬유경이 상기한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섬유 끊김 등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14)의 섬유경이 상기한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무기계 항균제를 섬유 표면에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14)의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이 상기한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섬유 끊김 등에 의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섬유층(14)의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이 상기한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범위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무기계 항균제를 섬유 표면에 효과적으로 노출시킬 수 있어, 무기계 항균제가 갖는 항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응용이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를 응용한 다음 각 형태를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층 시트(11) 및 내층 시트(12)를, 가압 롤에 의한 포인트본드 가공이 이루어진 저밀도의 포인트본드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외층 시트(11) 및 내층 시트(12)는, 섬유경이 10∼40 ㎛의 범위 내인 부직포에 의해서 형성할 수 있으면 되며, 포인트본드 부직포 시트 이외의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스펀레이스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시트, 에어스루법에 의해 제조된 에어스루 부직포 시트, 스펀본드법에 의해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 시트에 의해서 외층 시트(11)나 내층 시트(12)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중간층 시트(13)의 제1 섬유층(14)을 제2 섬유층(15)보다도 외층 시트(11) 측(외측)에 배치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제품 사양 등에 따라서, 제2 섬유층(15)을 제1 섬유층(14)보다도 외층 시트(11) 측(외측)에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층 시트(11) 및 내층 시트(12) 쌍방을, 섬유경이 10∼40 ㎛의 범위 내이고, 포어 사이즈가 60∼100 ㎛의 범위 내로 된 섬유에 의해서 구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외층 시트(11) 및 내층 시트(12)의 섬유경이나 포어 사이즈는 상기 범위 이외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외층 시트(11)와 중간층 시트(13) 사이 및 내층 시트(12)와 중간층 시트(13) 사이의 양 부위에 접합부(16)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접합부(16)의 양쪽 혹은 적어도 한쪽을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의 포집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중간층 시트(13)에 대하여 일렉트릿화 처리를 실시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이 일렉트릿화 처리를 실시하는지 여부는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원하는 포집 성능을 만족하는 경우에는, 이 일렉트릿화 처리를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우측 시트편(10a) 및 좌측 시트편(10b)을 열용착 접합함으로써 마스크 본체부(10)를 형성하는 경우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마스크 본체부는, 열용착을 비롯한 각종 접합 방법을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시트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접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회 사용 내지 수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 일회용 타입의 마스크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마스크 본체부나 귀걸이부의 소재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세탁 등을 하여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는 타입의 마스크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스크 본체부가 입체 형상인 마스크에 관해서 기재했지만, 마스크 본체부가 평면 형상으로 되는 마스크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마스크 10 : 마스크 본체부
10a : 우측 시트편 10b : 좌측 시트편
10c : 접합 가장자리 11 : 외층 시트
12 : 내층 시트 13 : 중간층 시트
14 : 제1 섬유층 15 : 제2 섬유층
16 : 접합부 20 : 귀걸이부
21 : 개구

Claims (5)

  1. 착용자의 적어도 입 및 코를 덮는 마스크 본체부와,
    상기 마스크 본체부의 양측에서부터 연장되어 있고, 착용자의 귀에 걸쳐지는 1쌍의 귀걸이부를 구비한 마스크로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제1 섬유 시트와 제2 섬유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 시트와 상기 제2 섬유 시트는 마스크 착용시에 상기 제2 섬유 시트가 상기 제1 섬유 시트보다 착용자 측에 배치되도록 적층되어 있고,
    상기 제1 섬유 시트는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섬유 시트는, 무기계 항균제를 함유하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1 섬유층과, 상기 제1 섬유층보다도 섬유경이 큰 폴리올레핀 섬유로 이루어지는 제2 섬유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1 섬유층의 섬유경이 0.5∼2.8 ㎛의 범위 내, 상기 제1 섬유층의 상기 섬유경에 대한 상기 무기계 항균제의 입자경의 비율이 0.1∼6.0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고,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제2 섬유 시트를 개재하여 상기 제1 섬유 시트와 반대 측에 적층되어 있는 제3 섬유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섬유층은, 상기 제1 섬유 시트 및 상기 제3 섬유 시트보다 고밀도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섬유층은, 상기 제1 섬유 시트 및 상기 제3 섬유 시트보다 고밀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섬유 시트는, 상기 제1 섬유층이 상기 제2 섬유층보다도 상기 제1 섬유 시트 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섬유 시트는, 섬유경이 10∼40 ㎛의 범위 내, 포어 사이즈가 60∼100 ㎛의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는 소수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부는, 상기 제1 섬유 시트와 상기 제2 섬유 시트와의 사이에, 핫멜트 접착제가 1.0∼3.0 g/㎡의 범위 내의 평량으로 섬유형으로 도포된 접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5. 삭제
KR1020127005629A 2009-08-07 2010-08-03 마스크 KR101563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84045 2009-08-07
JP2009184045 2009-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584A KR20120055584A (ko) 2012-05-31
KR101563040B1 true KR101563040B1 (ko) 2015-10-23

Family

ID=43544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629A KR101563040B1 (ko) 2009-08-07 2010-08-03 마스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20180800A1 (ko)
EP (1) EP2462992B1 (ko)
JP (1) JP5696047B2 (ko)
KR (1) KR101563040B1 (ko)
CN (1) CN102548439B (ko)
TW (1) TWI547298B (ko)
WO (1) WO201101646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721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서브필터층을 포함하여 낮은 흡기저항 및 여과효율이 향상된 마스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8962B1 (ko) * 2012-03-07 2019-02-15 도아고세이가부시키가이샤 소취 마스크
JP5916468B2 (ja) * 2012-03-28 2016-05-11 株式会社クラレ 抗菌性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ター
JP6161285B2 (ja) * 2012-12-26 2017-07-12 株式会社クラレ 抗菌性ナノファイバー・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フィルター
JP2014128387A (ja) * 2012-12-28 2014-07-10 San-M Package Co Ltd マスク
JP6188406B2 (ja) * 2013-05-02 2017-08-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CN104116227B (zh) * 2014-04-09 2016-06-29 青岛阳光动力生物医药技术有限公司 一种抗菌且有效过滤pm2.5颗粒物的口罩滤片
US10646731B2 (en) * 2014-06-09 2020-05-12 Georgia Tech Research Corporation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USD785780S1 (en) * 2014-07-22 2017-05-02 Elizabeth Ann Scarbrough Respiratory filtration mask
JP6551776B2 (ja) * 2015-03-25 2019-07-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不織布および炭素繊維不織布
KR101855683B1 (ko) * 2015-06-01 2018-05-09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흡착 멤브레인이 내장된 마스크
CN107708459A (zh) * 2015-10-30 2018-02-16 株式会社吉姆威 抗病毒性卫生口罩
USD767754S1 (en) * 2015-11-02 2016-09-27 Trainingmask, Llc Resistance and filtration breathing device
JP2017133120A (ja) * 2016-01-27 2017-08-0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不織布、ならびにそれを具備する集塵フィルタ、微生物または生物組織の培地、およびコスメティック用品
USD821568S1 (en) * 2016-07-20 2018-06-26 Blueair Ab Face mask
WO2018048459A1 (en) 2016-09-09 2018-03-15 TrainingMask L.L.C. Resistance breathing device
USD820974S1 (en) 2016-09-30 2018-06-19 TrainingMask L.L.C. Resistance breathing device
CN110167372B (zh) * 2017-02-14 2021-03-12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口罩
CN107048531B (zh) * 2017-03-15 2018-10-19 南昌大学 一种防霾口罩
USD908205S1 (en) * 2017-03-16 2021-01-19 Gwo-Tzong Hwang Air filtering mask
AU201712054S (en) * 2017-04-06 2017-05-02 Healthy Breath Ltd A Mask
USD822195S1 (en) * 2017-05-30 2018-07-03 Ascend Eagle Incorporated Medical mask
US11124901B2 (en) 2017-11-27 2021-09-21 First Step Holdings, Llc Composite fabric, method for forming composite fabric, and use of a composite matter fabric
USD844253S1 (en) * 2018-03-12 2019-03-26 Makrite Industries Inc. Face mask
WO2019176998A1 (ja) * 2018-03-14 2019-09-19 花王株式会社 温熱具
US10322312B1 (en) 2018-06-01 2019-06-18 TrainingMask L.L.C. Resistance and filtration breathing device
USD885677S1 (en) * 2019-03-05 2020-05-26 Beard Blanket Llc Facial covering
USD925727S1 (en) * 2019-06-04 2021-07-20 Lg Electronics Inc. Protective face mask
USD925725S1 (en) * 2019-06-04 2021-07-20 Lg Electronics Inc. Breathing mask
USD925726S1 (en) * 2019-06-04 2021-07-20 Lg Electronics Inc. Breathing mask
CN112545075A (zh) * 2019-09-10 2021-03-26 诗乐氏实业(深圳)有限公司 一种长效型抗菌口罩(诗乐氏)
TWI704000B (zh) * 2020-01-31 2020-09-11 江國慶 口罩與其製作方法
CN113425008A (zh) * 2020-03-18 2021-09-24 香港理工大学 可重复使用的口罩
CN111227371A (zh) * 2020-03-18 2020-06-05 东莞市慧捷复合材料有限公司 一种耳带式多层复合口罩及其生产方法
USD912240S1 (en) * 2020-04-03 2021-03-02 Jake Butler Face mask
CA3174421A1 (en) * 2020-04-03 2021-10-07 Aruna Zhamu Antiviral filtration element and filtration devices containing same
CA3179960A1 (en) * 2020-04-09 2021-10-14 Folia Water, Inc. Article for infection prevention for fomite materials
DE102020110057A1 (de) 2020-04-09 2021-10-14 Mondi Ag Atem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Atemmaske
EP4139021A1 (en) * 2020-04-21 2023-03-01 Ascend Performance Materials Operations LLC Filters and facemasks having antimicrobial or antiviral properties
JP1699238S (ko) * 2020-05-04 2021-11-08
DE102020111994A1 (de) 2020-05-04 2021-11-04 Mondi Ag Atemmask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temmasken
WO2021230400A1 (ko) * 2020-05-13 2021-11-18 주식회사 알앤에프케미칼 항균 마스크
EP3912687A1 (en) * 2020-05-20 2021-11-24 Carl Freudenberg KG Face mask withfilter mediummade from multicomponent filaments
CN111642839A (zh) * 2020-05-20 2020-09-11 朱杨子 新型高密合性高效过滤医用防护口罩及密封方法
BR102020010359A2 (pt) * 2020-05-25 2021-12-07 Álvaro Pereira Iaccino Método para controle de uso e reuso de máscaras semifacial fornecida em kit com quatro peças de cores distintas
USD955055S1 (en) * 2020-05-28 2022-06-14 Wibit Sports GmbH Protective face mask for water sports
US11284654B2 (en) * 2020-06-10 2022-03-29 Under Armour, Inc. Breathable face mask
KR20220000777A (ko) 2020-06-26 2022-01-04 이현상 일체형 커버판을 구비한 투명 플라스틱 안면 마스크
IT202000016507A1 (it) 2020-07-08 2022-01-08 Isc S R L Maschera per la respirazione filtrata
US20220008764A1 (en) * 2020-07-12 2022-01-13 Keith Ray Elam All season Non CO2 magnetic filtered multilayered face mask for humans and animals
USD961762S1 (en) * 2020-07-28 2022-08-23 U-Earth Biotech Ltd Protective face mask
US20230284714A1 (en) * 2020-07-30 2023-09-14 Myant Inc. Adaptive personal protective facial garments and methods of operating the same
CN111840841B (zh) * 2020-08-04 2022-04-19 安徽深呼吸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佩戴的呼吸阀口罩及其制备方法
RU2754935C1 (ru) * 2020-08-21 2021-09-08 Владимир Викторович Михайлов Защитная маска с загубником
CN114073351A (zh) * 2020-08-21 2022-02-22 株式会社来喜安韩国 功能性口罩
RU210758U1 (ru) * 2020-09-29 2022-04-29 Као Корпорейшн Масочный лист
US11123584B1 (en) 2020-10-05 2021-09-21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Inc. Personal protective anti-viral face mask
WO2022103816A1 (en) * 2020-11-12 2022-05-19 Milwaukee Electric Tool Corporation Multilayer face-covering
USD933309S1 (en) * 2020-12-04 2021-10-12 Yong Zhang 3D mask bracket
USD936906S1 (en) * 2020-12-21 2021-11-23 Xie Xin Face mask
USD994875S1 (en) * 2020-12-21 2023-08-08 United One America, Inc. Face mask
USD1004769S1 (en) 2021-01-21 2023-11-14 Slip IP Holdings Pty Ltd. Face covering
KR102558393B1 (ko) * 2021-02-05 2023-07-2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항균·항바이러스용 CuBTC-PP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74414A (zh) * 2021-02-12 2021-04-20 蚌埠火鹤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抗菌抗病毒口罩
USD1004073S1 (en) 2021-03-04 2023-11-07 Devarati Roy Mask
USD1000603S1 (en) 2021-03-04 2023-10-03 Devarati Roy Mask
KR102643700B1 (ko) * 2021-03-19 2024-03-05 주식회사 매직카퍼 항균 마스크
EP4079946A1 (en) * 2021-04-19 2022-10-26 Ergocom Company Limited Method for manufacturing a melt-blown non-woven fabric for mask and mask using the melt-blown non-woven fabric
JP7476855B2 (ja) 2021-06-30 2024-05-01 株式会社豊田中央研究所 核酸粒子に対する曝露履歴情報の提供システム及びこの利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26A (ja) 2006-10-04 2008-04-17 Kuraray Co Ltd マスク用フィル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0874A (en) * 1970-12-16 1975-11-18 Du Pont Softened fibrillated sheet
US5240479A (en) * 1991-05-17 1993-08-31 Donaldson Company, Inc. Pleated filter media having a continuous bead of adhesive between layers of filtering material
JPH05153874A (ja) 1991-12-04 1993-06-22 Kanebo Ltd べたがけ栽培用不織布シート
JP3130235B2 (ja) 1995-03-23 2001-01-31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不織布、その積層体及び不織布の製造方法
US5592935A (en) * 1995-05-03 1997-01-1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ositive/negative air pressure adaptor for use with respirators
US5620785A (en) * 1995-06-07 1997-04-15 Fiberweb North America, Inc. Meltblown barrier webs and processes of making same
CN2617412Y (zh) * 2003-05-16 2004-05-26 魏占海 高效医用防护口罩
CN2647352Y (zh) * 2003-07-11 2004-10-13 香港理工大学 防护口罩
JP2007015979A (ja) * 2005-07-07 2007-01-25 Dai Ichi Kogyo Seiyaku Co Ltd 化粧料用表面処理顔料及び化粧品組成物
JP4938260B2 (ja) 2005-08-02 2012-05-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マスク
JP2007159796A (ja) * 2005-12-14 2007-06-28 Dht Corp マスク
JP4916727B2 (ja) * 2006-01-24 2012-04-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マスク
KR101484114B1 (ko) * 2006-11-28 2015-01-19 유니 참 코포레이션 복합 시트 및 복합 시트를 사용한 흡수성 물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6626A (ja) 2006-10-04 2008-04-17 Kuraray Co Ltd マスク用フィル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1721A (ko) * 2019-02-20 2020-08-28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서브필터층을 포함하여 낮은 흡기저항 및 여과효율이 향상된 마스크
KR102159651B1 (ko) * 2019-02-20 2020-09-25 주식회사 선진인더스트리 서브필터층을 포함하여 낮은 흡기저항 및 여과효율이 향상된 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1016462A1 (ja) 2013-01-10
EP2462992B1 (en) 2018-12-26
JP5696047B2 (ja) 2015-04-08
KR20120055584A (ko) 2012-05-31
US20120180800A1 (en) 2012-07-19
TWI547298B (zh) 2016-09-01
EP2462992A4 (en) 2016-12-07
CN102548439B (zh) 2015-03-25
CN102548439A (zh) 2012-07-04
US20160113336A1 (en) 2016-04-28
TW201117853A (en) 2011-06-01
EP2462992A1 (en) 2012-06-13
WO2011016462A1 (ja)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3040B1 (ko) 마스크
JP5072708B2 (ja) マスク
Armentano et al. Polymer materials for respiratory protection: processing, end use, and testing methods
TWI729229B (zh) 口罩
JP5155884B2 (ja) 多層式マスク
WO2011040035A1 (ja) マスク
JP2020503107A5 (ko)
WO2014024805A1 (ja) マスク
JP3232901U (ja) ウイルス抑制マスク
JP5357658B2 (ja) 複合繊維シート
JP2005124777A (ja) 感染予防マスク
MXPA06013970A (es) Mascara para riesgo biologico adecuada para civiles.
JP2019206773A (ja) フィル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マスク
KR101488973B1 (ko) 연기 제거 필터
KR20140002111A (ko) 바이러스 살균 필터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CN212574209U (zh) 一种可重复使用的口罩
CN111791546A (zh) 一种可重复使用的防护服用材料及防护服
KR102530409B1 (ko) 탄소 나노 튜브 시트를 포함하는 전도성 마스크, 전도성 마스크의 제조 방법 및 전도성 마스크를 포함하는 기능성 보호복
WO2021160178A1 (en) Protective mask, air filtration element and air treatment element
WO2022185329A1 (en) Pocket filters
KR20210157784A (ko)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JP2011125376A (ja) 衛生マスク
KR20240002800A (ko) 항균, 항바이러스 및 탈취 성능이 우수한 필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