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7784A -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7784A
KR20210157784A KR1020200076023A KR20200076023A KR20210157784A KR 20210157784 A KR20210157784 A KR 20210157784A KR 1020200076023 A KR1020200076023 A KR 1020200076023A KR 20200076023 A KR20200076023 A KR 20200076023A KR 20210157784 A KR20210157784 A KR 20210157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polypropylene
face mask
fabric lay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열
박응준
Original Assignee
(주)성원티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원티엔지 filed Critical (주)성원티엔지
Priority to KR10202000760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7784A/ko
Publication of KR20210157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77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2Adhesive fibres
    • D04H1/544Olefin seri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92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with antimicrobial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01D39/1607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 B01D39/1623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the material being fibrous of synthetic orig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5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the fibres being within layered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4Additives and treatments of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442Antimicrobial, antibacterial, antifung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Landscapes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물질이나 분진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 및 이를 이용한 안면마스크의 본체에 삽입하여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 Multi-layered Non-woven sheet and detachable non-woven pad for facial mask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이나 분진 등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와 이를 이용하여 안면마스크의 본체 내부에 착탈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지구의 기후 변화로 자주 발생되는 황사 등 자연적인 대기 환경의 악화와, 경제 발전에 따른 급격한 도시화에 의한 대기 오염 등으로 발생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 등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안면마스크의 착용이 필요한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등으로 인해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되고, 이에 따라 상기 안면마스크의 착용 빈도와 착용 시간이 늘어나고 있다.
안면마스크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respiratory system)를 보호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주변으로 방출되는 분비물 을 차단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안면부에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면마스크는 착용자와 외부 공기의 직접적인 접촉을 차단하기 위하여 안면부를 덮어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의 유입과 방출을 차단하도록, 직물, 편물 또는 부직포 등의 다양한 소재로 제조된 마스크 본체와, 상기 마스크 본체를 착용자의 양쪽 귀에 걸어주기 위한 걸이 수단인 귀걸이 끈으로 구성된다. 또한 착용자는 상기 귀걸이 끈을 귀에 걸어 안면마스크를 착용하게 된다.
이러한 안면마스크에 대한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82477호(2017. 10. 23.)에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덮게 되는 마스크부와, 상기 마스크부의 양 쪽에 끈 형태로 연결되는 한 쌍의 걸이부를 포함하는 안면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부의 양 측면 부위에는 착용자가 안면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양 측면 부위가 주름지어 접힘이 가능하도록 하여, 착용자의 안면 윤곽에 대하여 들뜸이 발생되지 않도록 종 방향에 걸쳐 복수의 개구 홀들이 형성되는 안면마스크가 개시되어 있고,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12180호(2012. 12. 13.)에는 본체, 표면층과 내층이 겹쳐져 있는 상부 차단막, 표면층과 내층이 겹쳐져 있는 하부 차단막, 상부 접힘부, 하부 접힘부, 고정끈 조절장치, 고정끈 조절장치 덮개 및 코형상 조절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를 한번 조작(One-Touch)만으로 반으로 접어 휴대가 용이한 접이식 마스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기술에 따른 안면마스크에 포함되어 공기 내의 미세한 먼지 등을 포집하기 위한 정화수단으로 사용되는 섬유재 필터는 일정시간 사용 후에는 오염되어 여과 기능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안면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기침 또는 재채기 등으로 내부가 오염되고, 그 부분을 중심으로 세균이 번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안면마스크는 섬유재 필터가 쉽게 오염되고, 오염된 섬유재 필터를 다시 세탁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운 문제점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 본체의 내측에 착탈이 가능하여 사용 후 교체가 가능한 구조를 갖는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 및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을 적층하여 일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의 평량은 20 ~ 30 g/m2 이고,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평량은 15 ~ 25 g/m2 이며,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평량은 30 ~ 50 g/m2 이며,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스펀본드 부직포층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부직포층일 수 있으며,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은 항균 부직포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로 구성되며, 중앙에 돌출부(75)가 구비되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둘레를 따라 말단부에는 변부접착부(110)가 형성되고, 특히, 중앙 상부에는 상부접착부(120)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상부접착부(120)는 하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하부접착부(130)는 상부로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직경은 5 ~ 15 cm이며, 외측면의 양측에는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접착가능하도록 벨크로 파스너, 스냅단추, 접착제 중 어느 하나의 접착수단(7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KF 80급 또는 KF 94급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간편하게 안면마스크의 내부에 삽입한 후, 착탈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후 새로운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안면마스크를 위생적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실질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 시 안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어 미세먼지와 바이러스 등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여과성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일측에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안면마스크(110)의 내부로 삽입한 후 접착하여 안면마스크(110)의 내측에서 분리되어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접철된 평면도이며,
도 4는 안면마스크(11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안면마스크(110)의 내부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서는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접철된 평면도이며, 도 4는 안면마스크(11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안면마스크(110)의 내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제조하기 위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가 다층으로 적층되어 형성되는 부직포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과,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및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을 적층하여 일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은 그 하부에 구비되는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필터층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은 기계적 물성이 약하여 외력 등에 의해 찢어지기 쉬우므로, 이를 보호하고 지지하기 위하여 최상부층으로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을 구비하게 된다.
즉, 상기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은 필요한 강도 및 적당한 강성을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에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20 ~ 30 g/m2 의 평량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평량은 20 내지 30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평량이 20 g/m2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의 표면이 균일하지 않아 제품으로 사용하기 어렵고, 평량이 30 g/m2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직포의 두께가 두껍고 무거워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로의 적용이 불가하다.
특히 상기 폴리프로필렌은 특유의 낮은 융점 및 우수한 내화학성으로 인해 유아용 및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 생리대, 위생용 부직포, 의료용 부직포, 물수건, 마스크, 진공청소기의 필터백, 테이블 커버 직물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은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서멀본딩(thermal bonding)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가능하나, 스펀본드 공법으로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는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에 여과성을 부여하기 위한 필터층인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은 미세한 입자의 분진 및 이온성 물질 등을 여과하기 위한 것으로써, 폴리프로필렌 폴리머와 유전체 무기물을 혼합방사하여 제조된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은 평량이 30 ~ 50 g/m2 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공기 정화 기능 즉, 공기 중의 유해물질이나 분진 등에 대한 필터링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을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평량은 15 ~ 25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르면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은 항균성이 부여된 항균 부직포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항균성이 부여된 부직포는 섬유제품에 물리화학적 성질을 변화시키지 않고 미생물에 대한 성질을 개량하여 섬유상의 세균이나 곰팡이 등의 서식이나 번식을 억제시킴으로써 인체보호와 위생적인 생활환경을 도모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된다.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을 형성하는 항균 부직포는 통상적으로 부직포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항균방취 가공방법을 적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부직포에 항균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항균물질을 섬유의 표면에 물리적으로 부착시키는 후처리 방법과, 폴리머 중에 혼합시켜 방사하는 방법이 주로 행해지고 있다.
상기 후처리 방법에 사용되는 항균성 물질로는 무기계로서 은계 또는 구리계 금속염을 주로 사용하고, 유기계로는 비구아니드(biguanides), 카르보아닐리드(carbanilid), 양성계면활성제, 카르복실산, 제 4 급 암모늄염 등을 주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항균물질을 섬유가교형 바인더로 원단에 코팅한 후, 고착시키거나 또는 부직포의 표면에 딥핑 또는 스프레이 등의 방법에 의해 가공하게 된다.
또한 폴리머 중에 혼합하여 방사하는 방법은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부직포의 제조시, 항균제 또는 제균제 등을 함께 혼입하여 방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때 항균제 또는 제균제로서 은(Ag) 또는 아연(Zn) 등의 금속염이 치환된 제올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하부에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제조 후 지지체 역할을 함으로써,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형태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피부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유연하고 피부 자극이 없는 인체 친화적인 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평량이 20 ~ 30 g/m2인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의 평량이 30 g/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간 공간이 부족하여, 공기투과도가 저하되어 착용자의 호흡이 불편할 수 있으며, 마스크의 전체 두께가 상승하여 형태가 유연하지 못하여 누설율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의 평량이 20 g/m2 미만인 경우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간 공간이 커서 분진 또는 바이러스와 세균 등의 차단성이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스펀본드(spunbond), 스펀레이스(spunlace) 또는 서멀본딩(thermal bonding) 중 어느 하나의 부직포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열접착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의 이성분(bicomponent)으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부직포층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는 열을 가하여 접착시 접착성이 불량할 수 있으므로, 폴리에틸렌을 포함함으로써 열접착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부직포층은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층의 일측면에,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층이 압착롤러에 의해 부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프로필렌 장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은 10 내지 30 ㎛이며, 상기 폴리에틸렌 장섬유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 또한 10 내지 30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브리드 부직포층의 평량은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 및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과 동일하도록 20 ~ 30 g/m2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도 1의 (b)와 같이,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과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및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는 이후에 재단 및 접착 공정 등을 거쳐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제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도 4와 같이 일측에 삽입구(72)가 형성된 안면마스크(110)에 삽입하여 접착함으로써, 상기 안면마스크(110)에 착탈가능하도록 장착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삽입구(72)가 형성된 안면마스크(110)에 용이하게 삽입하여 접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설명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로 구성되며,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말단부에는 변부접착부(1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변부접착부(110)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둘레를 따라 적층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에 열 또는 초음파 등을 가하여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돌출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어 착용될 수 있도록 중앙에는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를 따라 변부접착부(110)가 형성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중앙의 상부와 하부에 도 3과 같이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사용시 펼치게 되면 실질적으로 반구형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성을 높힐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중앙의 상부에 상부접착부(120)를 형성하고, 또한 하부에 하부접착부(13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제조후 펼쳤을 때 도 2와 같이 중앙부가 돌출되어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착용자의 안면부와의 밀착성을 높힐 수 있게 되고,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장착된 안면마스크(110)는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respiratory system)를 보호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주변으로 방출되는 분비물 등을 원활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에서 착용자의 안면부와 접촉하는 위치에 반구형의 돌출부가 형성됨으로써, 착용자의 코와 입 주변으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밀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착용자의 안면부와 밀착되면 안면마스크(110)가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게 된다.
즉, 착용자가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장착된 안면마스크(110)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안면과 상기 안면마스크(110) 간의 밀착성이 개선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으로부터 착용자의 호흡기(respiratory system)를 보호하거나, 또는 착용자의 호흡기로부터 주변으로 방출되는 분비물의 차단성을 더욱 높힐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의 변부접착부(110)와 상부접착부(120) 및 하부접착부(130)를 형성하는 방법은 열접착 또는 초음파 접착을 통해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는 서로 대칭되도록 경사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사용시 펼치게 되면 돌출부(75)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중앙부에는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접착부(120)는 하부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부접착부(130)는 상부로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되면, 착용자가 상기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안면마스크에 삽입하여 착용시 접철된 상기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펼치게 되면 상기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중앙의 상부와 하부는 상기 상부접착부(120)와 하부접착부(130)에 의해 접착되어 있으므로, 변부접착부(110)가 펼쳐지면서 중앙부가 돌출된 반구형의 돌출부(75)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중앙부가 돌출되어 반구형의 돌출부(75)가 형성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직경은 5 ~ 15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직경이 5 ~ 15 cm로 형성되는 경우에 안면마스크(110)를 착용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안면부를 적절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가 반구형으로 돌출된 돌출부(75)를 형성하게 되는 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마스크(110)에 삽입되어 마스크 본체(115) 내부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됨으로써, 공기 중에 부유하는 분진 또는 바이러스 등의 세균 등에 대한 차단성을 높힐 수 있게 된다.
상기 변부접착부(110)와 상부접착부(120) 및 하부접착부(130)를 형성하기 위한 열접착 공정은 적층된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에 열을 가하여 섬유를 융착시키는 공정을 가리킨다. 상기 열접착 공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엠보스 롤(emboss roll) 또는 카렌다 롤(calendar roll) 등에 의해 수행이 가능하다.
또한 초음파 접착공정은 초음파의 진동을 이용하여 부직포 시트를 융착하는 공정으로 초음파 혼을 이용하여 수행이 가능하다. 상기 초음파 접착공정은 초음파를 이용하여 융착함으로써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며 생산성을 높여 제품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외측면의 양측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접착가능하도록 접착수단(7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안면마스크(110)의 일측에 형성된 삽입구(72)를 통해 내측으로 삽입한 후에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과 접착하게 되면, 상기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가 안면마스크(110)의 내측에서 이탈되어 분리됨으로써 유동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수단(70)은 공지된 접착수단(70)을 이용할 수 있으나, 특히 벨크로 파스너, 또는 스냅단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를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고정하기 위하여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일측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에는 아로마, 민트향 및 피톤치드 등의 향을 함유시켜 마스크 착용자의 입김 누적에 의한 악취 및 불쾌감을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KF80 또는 KF94 급의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을 채용하여 미세먼지 필터링 및 병원균 등에 대한 차단 효과를 개선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KF80급의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은 분진포집효율이 80% 이상이며, 안면부흡기저항이 6.2 mmH2O이며, 누설율이 25%이하인 부직포 필터를 가리킨다. 또한 KF 94급의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은 분진포집효율이 94% 이상이며, 안면부흡기저항이 7.2 mmH2O이며, 누설율이 11%이하인 부직포 필터를 가리킨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간편하게 안면마스크(110)에 삽입한 후, 접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 후 새로운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로 용이하게 교체함으로써, 안면마스크를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착용자의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반구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착용시 안면에 자연스럽게 밀착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전체 구조는 간단하면서도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신속하고 편리하게 장착 및 탈착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50 :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70 : 접착수단
100 :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110 : 변부접착부
120 : 상부접착부
130 : 하부접착부

Claims (5)

  1.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 및
    상기 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3)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
  2. 최상부층을 형성하는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
    상기 제 1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1)의 하부에 구비되는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 및
    상기 폴리프로필렌 멜트블로운 부직포층(5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3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층(55);을 적층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50)로 구성되는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로서,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중앙에 돌출부(75)가 구비되어 반구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둘레를 따라 말단부에는 변부접착부(110)가 형성되고,
    중앙 상부에는 상부접착부(120)가 형성되고, 중앙 하부에는 하부접착부(13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의 외측면의 양측에는 마스크 본체(115)의 내측에 접착가능하도록 접착수단(7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는 KF 80급 또는 KF 94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100).
KR1020200076023A 2020-06-22 2020-06-22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KR202101577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23A KR20210157784A (ko) 2020-06-22 2020-06-22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023A KR20210157784A (ko) 2020-06-22 2020-06-22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7784A true KR20210157784A (ko) 2021-12-29

Family

ID=79176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023A KR20210157784A (ko) 2020-06-22 2020-06-22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778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5789B2 (ja) 衛生マスク用複合不織布及びその製造方法
JP4594180B2 (ja) マスク
US20210316170A1 (en) Reusable face mask
JP5696047B2 (ja) マスク
JP6068135B2 (ja) マスク
JP3129053U (ja) 多層式マスク
JP2015527500A (ja) 形状適合性フェイスマスク
JP2007515248A (ja) 流体抵抗改善のためのバッフル層を持つ顔用マスク
JP2007021025A5 (ko)
US20170325649A1 (en) Hygienic tissue
JP2013172836A (ja) マスク
JP4594181B2 (ja) マスク
JP2007000276A (ja) 衛生マスク
KR20120129552A (ko) 방진 마스크
KR20210157784A (ko) 다층 구조의 부직포 시트 및 이를 이용한 착탈가능한 안면마스크용 부직포 패드
KR102328657B1 (ko) 밀착형 마스크
JP3230900U (ja) マスク
CN212306877U (zh) 一种可抑菌型医用口罩
JP2007021032A (ja) マスク
JP2007021032A5 (ko)
CN211721958U (zh) 透气性好的无纺布口罩
CN213045388U (zh) 一种手术室防雾防护口罩
CN213961944U (zh) 传染病预防用口罩
CN212279978U (zh) 一次性医用口罩垫
KR102328660B1 (ko) 밀착형 마스크용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