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721B1 -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7721B1
KR101557721B1 KR1020157000813A KR20157000813A KR101557721B1 KR 101557721 B1 KR101557721 B1 KR 101557721B1 KR 1020157000813 A KR1020157000813 A KR 1020157000813A KR 20157000813 A KR20157000813 A KR 20157000813A KR 101557721 B1 KR101557721 B1 KR 101557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guide member
line guide
curved surfac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0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4721A (ko
Inventor
카즈노리 타케노우치
카즈아키 타키가와
유키 소노다
카즈히토 오무라
Original Assignee
쿄세라 코포레이션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쿄세라 코포레이션, 후지코교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쿄세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34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4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7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7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축선을 포함하는 절단면의 단면을 볼 때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내주측의 곡면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측의 곡률반경을 R1, 축선방향 단부측의 곡률반경을 R2로 했을 때 R2보다 R1이 큰 것에 의해 낚싯줄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에 낚싯줄에 가해지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이 크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Description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FISHING-LINE GUIDE MEMBER, AND FISHING-LINE GUIDE AND FISHING ROD PROVIDED WITH SAID FISHING-LINE GUIDE MEMBER}
본 발명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싯대에 부착되는 낚싯줄용 가이드는 경질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소위 실안내환과,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를 내주부에 감합하는 것이 가능한 형상의 유지부와, 낚싯줄용 가이드를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는 릴로부터 인출된 낚싯줄을 통과해서 안내할 수 있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재질로서는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금속이나 세라믹스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안내하는 낚싯줄과의 접촉부에서 생기는 부하의 영향을 저감할 목적으로서 여러가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서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인 안내환의 내주부의 1 또는 2이상의 부위를 외향 요입부로서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안내 구멍을 형성함으로써 정원형 안내구멍에 비해 낚싯줄이 안내환에 접촉하는 면적을 간단히 감소시킨 릴 낚싯대용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가 제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 9-163900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종래 기술에 의거한 대부분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는 축선을 포함하는 절단면의 단면을 볼 때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에 접해서 슬라이딩하는 영역이 작고,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에 낚싯줄에 가해지는 내주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면압력)이 커져 낚싯줄이 절단되기 쉽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이며, 낚싯줄이 끊어지기 어려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는 링형상을 이루고, 축선을 포함하는 절단면의 단면을 볼 때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곡면으로 되어 있고, 내주측의 곡면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측의 곡면의 곡률반경을 R1, 축선방향 단부측의 곡면의 곡률반경을 R2로 했을 때 R2보다 R1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싯줄용 가이드는 상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와, 상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를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낚싯대는 막대체와, 상기 막대체에 부착된 상기 낚싯줄용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에 의하면 낚싯줄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에 낚싯줄에 가해지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내주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낚싯줄용 가이드에 의하면 낚싯줄이 마모에 의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낚싯대에 의하면 낚시시에 낚싯줄이 끊어지는 소위 라인 브레이크의 발생이 적어 장시간에 걸쳐 안정되게 낚시를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2의 (a), (b)는 릴로부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에 보내지는 낚싯줄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b)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에 있어서의 C부의 확대도이다.
도 4의 (a), (b)는 릴로부터 송출한 낚싯줄을 되감을 때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와 낚싯줄의 접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또 다른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가 유지된 낚싯줄용 가이드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은 정면도, (b)은 (a)에서 나타내는 Y-Y'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를 구비한 낚싯대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낚싯줄에 대한 내마모성의 평가에 사용하는 내마모성 평가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압환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X선 회절 챠트이다.
도 12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X선 회절 챠트이다.
이하,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1(a)∼(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링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링형상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측의 공간이 낚싯줄의 안내구멍(3)이 된다. 이 안내구멍(3)의 중심을 지나는 선이 축선이 된다. 도 1(b)에서는 이 축선이 나타내는 방향(L)(도 1(a)에 있어서의 지면과 수직인 방향, 이하 축방향(L)이라고 한다)이 낚싯줄(도시 생략)이 통과하는 방향이 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c)에 있어서, 축방향(L)에 수직인 A-A'으로 나타내는 1점쇄선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두께(반경방향치수)가 최대 두께(T)가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축방향(L)에 평행한 B-B'로 나타내는 1점쇄선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폭(축방향치수)이 최대 폭(W)이 되는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축선을 포함하는 절단면의 단면을 볼 때(이하, 단지 단면을 볼 때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에 있어서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단면을 볼 때 최대 폭(W)인 B-B'선보다 내주측에 있는 곡면을 내주측의 곡면(2)(이하, 제 1 곡면(2)이라고 한다)으로 한다. 또한, 제 1 곡면(2)은 각각 곡률반경이 다른 2개이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곡면(2)이 2개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도 1(c)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제 1 곡면(2)은 제 1 곡면(2)과 A-A'선이 교차하는 부위인 축선방향 중앙부측의 곡면(이하, 단지 중앙부측 곡면이라고도 한다)과, 제 1 곡면(2) 중 중앙부측 곡면을 사이로 두고 양측에 배치되는 축선방향 단부측의 곡면(이하, 단부측 곡면이라고도 한다)으로 이루어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과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이 서로 다르다.
또한, 도 1(c)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중앙부측 곡면의 끝점을 점(D) 및 점(D'), 단부측 곡면의 끝점 중 중앙부측 곡면과의 경계의 끝점(점(D) 및 점(D'))과는 반대측의 끝점을 점(C) 및 점(C')으로 나타낸다. 즉, 중앙부측 곡면의 형상은 상기 단면에 있어서 고(D⌒D'), 단부측 곡면의 형상은 고(C⌒D) 및 고(D'⌒C')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A-A'선과 현(D-D')의 교점은 현(D-D')의 중앙점(O)이 되는 것이 대칭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지만, A-A'선과 현(D-D')의 교점과 현(D-D')의 중앙점(O)이 어긋나도 상관없다. 또한, 제 1 곡면(2)이 3개이상의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단면에 있어서 A-A'선과 제 1 곡면(2)의 교점이 존재하는 곡면을 중앙부측 곡면으로 하고, 중앙부측 곡면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B-B'선과 제 1 곡면(2)의 교점이 존재하는 곡면을 단부측 곡면으로 하고, 중앙부측 곡면과 단부측 곡면 사이에 중앙부측 곡면 및 단부측 곡면과는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다른 곡면을 가지면 좋다. 또한 각각의 곡면에 대해서는 곡면에 있어서의 임의의 점을 복수 선택하고, 그 선택한 범위에서의 곡률반경을 측정하고, 곡률반경이 다른 경우에 그 달랐던 부분을 포함하는 임의의 점을 복수 선택해서 곡률반경을 측정하는 것을 반복함으로써 곡면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을 볼 때 제 1 곡면(2)의 한쪽의 단부(점(C'))로부터 한쪽의 외주(4)측으로 연장되는 면이 곡면(2')(이하, 제 2 곡면(2')이라고 한다)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곡면이란 제 1 곡면(2)과 제 2 곡면(2')으로 이루어져 있다. 바꿔 말하면,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하는 곡면이란 도 1(c)에 나타내는 단면에 있어서 제 1 곡면(2)과 A-A'의 교점을 기점으로 해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외주(4)를 향해서 연장되는 면이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에 있어서는 제 1 곡면(2)의 다른쪽의 단부(점(C))로부터 다른쪽의 외주(4)측으로 연장되는 면도 곡면으로 되어 있고, 일방측 및 타방측의 곡면이 선대칭(또는 대략 선대칭)의 관계로 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형상을 사용해서 설명할 경우, 이 타방측의 곡면에 대해서는 일방측과 같은 부호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또한,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 제 1 곡면(2)은 낚싯줄에 접촉하여 낚싯줄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이 된다.
그리고,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내주측의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을 R1(이하, 단지 R1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을 R2(이하, 단지 R2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로 했을 때 R2보다 R1이 크다. 이러한 구성이면 낚싯줄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에 낚싯줄에 가해지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어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여기서, R1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단면에 있어서 A-A'선과 제 1 곡면(2)의 교점이 존재하는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이며, R2는 B-B'선과 제 1 곡면(2)의 교점이 존재하는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이라고 간주하면 좋다. 또한, R1, R2의 실제치수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크기에 맞춰, 예를 들면 최대 두께(T)가 0.2∼3.0mm, 최대 폭(W)이 0.5∼5.0mm인 경우에 R1이 0.5∼8.0mm이며, R2를 0.1∼1.0mm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하기에서 설명하는 2개의 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을 볼 때 최대 두께(T)의 최대 폭(W)에 대한 비율 T/W의 값이 0.2이상 0.7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이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압환 강도를 높게 유지함과 아울러 낚싯줄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확보하면서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1)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이 보다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사용해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제 1 상승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b)는 릴로부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에 보내지는 낚싯줄(5)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2(a)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는 단면에 있어서 제 1 곡면의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1)이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보다 작은 참고형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2(b)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에 있어서 제 1 곡면의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1)이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보다 큰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는 각각 낚싯대(도시생략)에 낚싯줄용 가이드(도시생략)를 사용해서 부착되어 있고, 릴(도시생략)로부터 송출된 낚싯줄(5)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의 안내구멍(3)에 통과되고, 그 내주측의 제 1 곡면(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낚싯대끝까지 안내되어 있다. 또한, 도 2(a),(b)에서는 낚싯줄(5)이 릴로부터 송출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소위 스피닝릴에 있어서 장치를 캐스팅할 때에 송출되는 낚싯줄(5)은 B부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송출되고, 그 나선상으로 회전한 낚싯줄(5)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의 내주측의 제 1 곡면에 접촉하고, 그 내주면을 따라서 회전하면서 진행되어 낚싯대끝 방향으로 송출된다.
도 3은 도 2(b)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C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2점 쇄선은 도 2(a)에 있어서 참고형태로서 나타낸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윤곽선(11')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살표(X)는 낚싯줄(5)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와 접촉할 때의 낚싯줄(5)의 진입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살표(X)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를 θ1(이하, 진입각(θ1)이라고 한다)로 나타낸다. 또 화살표(X')는 낚싯줄(5)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의 내주면을 나타내는 가상 윤곽선(11'))와 접촉했을 때의 낚싯줄(5)의 진입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살표(X')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축선이 이루는 각도를 θ2(이하, 진입각(θ2)이라고 한다)로 나타낸다. 또한, 도 3에 있어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축선의 위치를 적당히 비켜서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에 있어서 곡률반경(R2)보다 곡률반경(R1)이 크다, 바꿔 말하면,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이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그 때문에, 낚싯줄(5)이 릴로부터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로 보내질 때 낚싯줄(5)과 단부측 곡면이 접촉하기 어렵고, 낚싯줄(5)과 제 1 곡면(2)이 접촉하는 위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의 경우에 비해 제 1 곡면(2)의 중앙부측에 보다 가깝게 되는 경향이 있다. 즉, 낚싯줄(5)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와 접촉할 때의 진입각(θ1)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의 경우의 진입각(θ2)에 비해서 작아지므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를 사용하면 낚싯줄(5)이 릴로부터 송출될 때에 발생하는 나선상의 회전의 회전 지름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즉,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에 있어서 R2보다 R1이 크므로 낚싯줄(5)이 릴로부터 송출될 때에 발생하는 나선상의 회전의 회전 지름이 작아지는 경향이 되고, 나선상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을 억제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원심력에 의한 낚싯줄(5)에의 부담을 경감함과 아울러 낚싯줄(5)의 이송 속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어 캐스트의 비거리가 오른다고 하는 제 1 상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사용해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제 2 상승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 (b)는 릴로부터 송출한 낚싯줄(5)을 되감을 때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와 낚싯줄(5)의 접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참고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를 나타내고, 도 4(b)는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를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는 각각 낚싯대(도시생략)에 낚싯줄용 가이드(도시생략)를 사용해서 부착되어 있으며, 릴(도시생략)로부터 인출된 낚싯줄(5)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의 안내구멍(3)으로 통과되고, 그 내주측의 제 1 곡면(2)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낚싯대끝까지 안내되어 있다. 또한, 도 4(a), (b)에 있어서는 낚싯줄(5)이 일단 릴로부터 송출된 후, 릴에 의해 낚싯줄(5)을 되감았을 때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1)와 낚싯줄(5)의 접촉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에 있어서 곡률반경(R2)보다 곡률반경(R1)이 크므로, 낚싯줄(5)과의 접촉 단부의 경사가 완만해지고, 낚싯줄(5)이 일단 릴로부터 송출된 후, 낚싯줄(5)을 되감았을 때에도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곡면(2)에 있어서 낚싯줄(5)의 굴곡이라는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참고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는 단면에 있어서 제 1 곡면(2a)의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1)이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보다 작다, 바꿔 말하면, 제 1 곡면의 낚싯줄(5)과의 접촉 단부의 경사가 급해진다. 이러한 곡면형상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를 사용하면 소위 스피닝릴에 있어서 낚싯줄(5)이 일단 릴로부터 송출되었을 때 도 2(a)의 B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나선상의 실꼬임이 발생한다. 그 후, 낚싯줄(5)에 실꼬임이 발생한 상태에서 낚싯줄(5)이 되감김으로써 되감김에 따라 낚싯줄(5)의 실꼬임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의 제 1 곡면의 단부의 급한 경사로 축적되고, 도 4(a)의 D부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싯줄(5)이 굴곡함으로써 낚싯줄(5)이 절단되기 쉬워진다. 또한, 낚싯줄(5)의 굴곡이 유지되면, 다시, 낚싯줄(5)이 릴로부터 송출될 때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1)에 대한 저항인 이송 저항이 증가하고, 캐스트의 비거리가 내려간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단면에 있어서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보다 제 1 곡면(2)의 중앙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1)이 크므로 낚싯줄(5)이 일단 릴로부터 송출된 후, 낚싯줄(5)을 되감았다고 해도 실꼬임이 축적되는 일이 없고,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곡면(2)에 있어서 낚싯줄(5)이 굴곡하기 어렵기 때문에 낚싯줄(5)이 절단되기 어렵다고 하는 제 2 상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곡률반경(R1) 및 곡률반경(R2)의 비율인 R1/R2의 값이 3이상, 특히는 3이상 15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낚싯줄(5)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특히 크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낚싯줄(5)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할 때에 낚싯줄(5)에 가해지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에 수직인 방향의 압력이 커지는 것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5)의 마모를 보다 억제할 수 있어 낚싯줄(5)이 보다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비율 R1/R2의 값이 상기 범위에 있으면, 제 1 상승 효과 및 제 2 상승 효과를 특히 높게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곡률반경(R1,R2)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임의의 단면 5개소의 사진을 시판의 금속현미경 등을 사용해서 촬영하고, 사진을 화상 데이터화한 후, 시판의 화상 해석 소프트 등을 사용해서 각 단면의 곡률반경(R1,R2)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값의 산술 평균값을 산출함으로써 구해진다. 또한, 측정하는 사진에 있어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 표면이 요철의 영향에 의해 곡면의 일부가 도중에 끊어지는 경우나, 웨이브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근사에 의해 곡면의 윤곽선을 보정해도 상관없다.
즉,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PE(소위 브레이디드라인), 나일론, 폴리불화비닐리덴(소위 플루오로카본라인) 등의 고분자 화합물 및 금속 와이어 등으로 이루어지는 낚싯줄(5)의 안내에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에 있어서는 제 2 곡면(2')의 곡률반경을 R3으로 했을 때 R3이 R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R3은 도 1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단면에 있어서 B-B'선과 제 1 곡면(2)의 교점(C 및 C')으로부터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곡선의 곡률반경으로 간주하면 좋다. 또한, R3의 실제치수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크기에도 의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크기에 맞춰, 예를 들면 최대 두께(T)가 0.2∼3.0mm, 최대 폭(W)이 0.5∼5.0mm인 경우에 R3이 0.1∼2.0mm이다.
제 1 곡면(2)의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보다 제 2 곡면(2')의 곡률반경(R3)을 동등이상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낚싯대를 떨어뜨렸을 때 등,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에 충격이 가해졌다고 해도 응력 완화되기 쉬워 변형이나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는 곡률반경(R2 및 R3)의 비율인 R3/R2의 값이 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범위이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 전체로서 보다 높은 기계적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낚시를 하는 중에 낚싯줄(5)은 팽팽하게 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느슨해지는 일도 있고, 그 경우는 제 1 곡면(2) 및 제 2 곡면(2')이 낚싯줄(5)과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접촉하는 영역이 된다. 그 때문에, R3이 R2이상이면 제 1 곡면(2) 및 제 2 곡면(2')에 있어서 낚싯줄(5)에 가해지는 마찰 등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특히 낚싯대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는 난폭한 물고기를 낚아 올리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낚싯줄(5)이 동작하므로, 다른 부위에 설치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에 비해 다방향으로 불의의 하중이 가해지기 때문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를 유지하는 낚싯줄용 가이드의 유지부와 강고하게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는 단면을 볼 때 다른쪽의 외주측에 일단이 내주측의 곡면에 연결되는 외면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8)으로 된 플랜지부(7)를 갖고 있다. 그것에 의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와 환상의 유지부를 감합해서 접합할 수 있는 것 이외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와 유지부의 접합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접착제로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특히, 이 플랜지부(7)는 일단이 내주측의 곡면에 연결되는 외면을 구비하고 있고, 이 외면 중 적어도 일부가 곡면상으로 되어 있고, 곡면(8)의 곡률반경을 R4로 했을 때 R4가 R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일단이 내주측의 곡면에 연결되는 외면 전체가 곡면(8)으로 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외면의 일부가 곡면(8)으로 되고, 일부에 평탄면이 되는 부위가 있어도 좋다.
이러한 플랜지부(7)를 갖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에서는 낚싯대의 선단 방향으로 플랜지부(7)를 향해서 설치하면 캐스트시나 물고기가 건드려서 막대를 당겨올렸을 때 등에 낚싯줄(5)이 낚싯대와 90˚미만이 되는 각도를 이루었을 때에도 낚싯줄(5)이 곡면(8)을 슬라이딩하는 점에서 낚싯줄이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특히, 곡면(8)의 곡률반경(R4)을 단부측 곡면의 곡률반경(R2)이상으로 함으로써 곡면(8)에 있어서의 낚싯줄의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낚싯줄이 보다 절단되기 어려워진다.
또한, 도 5에 있어서는 다른쪽의 외주측(도면에 있어서 좌하측)에 설치된 플랜지부(7)의 외면이 일단이 내주측의 곡면인 단부측 곡면에 직접 연결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도 5(c)에 있어서, 좌측의 단부측 곡면은 외주(4)의 연장선 상에 있는 C의 부위에까지 설치되어 있고, 외주(4)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플랜지부(7)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외면의 타단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 내측면(9)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7)의 두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가 부착되는 유지부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플랜지부(7)를 포함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의 최대 두께(T2)와, 플랜지부(7)를 제외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의 최대 두께(T1)의 비인 T2/T1이 1.1∼2.5의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에 있어서 곡면(8)의 곡률반경(R4)의 실제치수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범위는 0.2∼5.0mm이다.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Z-Z'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며, (c)는 (b)의 측면 단면도에 있어서의 A부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4)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낸 낚싯줄용 가이드부재(6)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내주측의 곡면에 연결되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8)으로 된 플랜지부(7)를 갖고, 또한 플랜지부(7)가 외면의 타단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9)에 있어서 함몰부(15)를 갖고 있다. 이 함몰부(15)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4)와 유지부를 접착제로 접착할 때의 접착제 저류부로서 기능하고, 그것에 의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4)와 유지부를 보다 강고하게 접합할 수 있다. 또한, 함몰부(15)의 크기는 플랜지부(7)의 강도를 고려해서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이 내측면(9)의 외면의 타단측이 곡면상의 볼록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함몰부(15)가 형성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평탄상의 볼록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도 7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유지된 낚싯줄용 가이드(1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며, (a)는 정면도, (b)는 (a)에서 나타내는 Y-Y'선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10)는 본 실시형태의 링형상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를 유지하기 위한 환상의 유지부(12)와,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3)를 갖는다. 또한, 유지부(12)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끼워넣어지는 정도의 크기의 감합 구멍을 구비하고, 유지부(12)의 감합 구멍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외주(4)측을 감합시켜 유지하고 있다. 유지부(12)와 외주(4)가 감합하는 서로의 면은 움직이지 않게 유지하기 위해서 직선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낚싯줄용 가이드(10)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서 낚싯줄이 마모에 의해 절단되기 어려운 것 이외에 낚싯대에 착탈이 가능한 낚싯줄용 가이드(10)로 할 수 있다. 또한, 낚싯줄용 가이드(10)는 상술한 제 1 상승 효과 및 제 2 상승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10)를 구비한 낚싯대(20)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낚싯대(20)는 복수의 낚싯줄용 가이드(10)의 각각의 부착부(13)를 낚싯대(20)를 구성하는 막대체(21)의 소정 위치에 고정하고, 유지부(22)의 릴 시트에 부착된 릴(23)에 감긴 낚싯줄(5)을 낚싯줄용 가이드(10)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안내구멍(3)을 통해서 사용된다. 또한, 낚싯대(20)를 낚시에 사용할 때는 릴로부터 인출한 낚싯줄(5)의 선단부근에 루어나, 낚시바늘, 추 및 낚시찌(도시생략) 등의 장치를 부착하고, 낚싯대(20)의 유지부(22)를 잡고 막대체(21)를 휘두르고, 장치의 하중을 이용해서 릴(23)에 감긴 낚싯줄(5)을 송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10)가 부착된 낚싯대(20)를 사용해서 낚시를 실시함으로써 낚시시에 낚싯줄(5)이 끊어지는, 소위 라인 브레이크의 발생이 적어 장시간에 걸쳐 안정되게 낚시를 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재질은 금속, 수지 또는 세라믹스 등 사용하는 낚싯줄(5)의 재질에 맞춰서 적당히 선정할 수 있지만, 기계적 특성이나 내마모성의 관점에서 세라믹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색조는 JIS Z 8729-1980의 Lab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지수 L이 3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색조가 상기 범위이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고급감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재질로서 적용할 수 있는 세라믹스로서는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스피넬(MgAl2O4) 등의 산화물 세라믹스나, 탄화 규소(SiC), 질화규소(Si3N4), 질화 알루미늄(AlN), 질화 티타늄(TiN), 탄화 티타늄(TiC) 등의 비산화물 세라믹스가 있다. 또한, 그 중에서도 낚싯줄(5)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기 쉽게 해서 낚싯줄(5)에의 데미지를 최대한 저감한다고 하는 관점에서는 탄화규소질 소결체나 질화알루미늄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최대 두께(T)를 얇게 할 경우에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및 인성 등의 기계적 특성을 갖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에 사용하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트륨(Y)을 Y2O3 환산으로 3질량%이상 12질량%이하, 알루미늄(Al)을 Al2O3 환산으로 2질량%이상 5질량%이하 및 규소(Si)를 SiO2 환산으로 2질량%이상 4질량%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질화규소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면 보다 고밀도화할 수 있고, 높은 기계적 특성을 가지므로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질 때 겉보기 밀도가 3.27g/㎤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겉보기 밀도가 3.27g/㎤이상일 때에는 고밀도화된 질화규소질 소결체가 되므로 마모에 의한 질화규소의 결정이 탈립되기 어려워져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낚싯줄(5)에 대한 내마모성이 더욱 높아진다. 또한, 질화규소질 소결체에 있어서의 평균 결정 입경은 0.8㎛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겉보기 밀도는 JIS R 1634-1998에 준거해서 측정하면 좋다. 또한, 평균 결정 입경에 대해서는 프라니메트릭법에 의해 산출하면 좋다. 산출 방법으로서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를 경면 연마한 후, 연마면을 초음파 세정 또는 에칭 처리하고,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서 예를 들면 5000배의 배율로 관찰하고, 이 때의 관찰상을 사용해서 프라니메트릭법에 의해 산출하면 좋다. 또한, 프라니메트릭법이란 촬상 배율이 m배인 관찰상에 있어서 면적(A)의 기지의 원을 그리고, 원내의 입자수(nC)와 원주에 걸린 입자수(ni)로부터 다음식 (1)에서 의해 단위영역당 입자수(NG)를 구하고, 다음 식(2)을 사용해서 원상당 지름(D)을 산출해서 평균 결정 입경으로 하는 방법이다.
NG=(nC+1/2ni)/(A/m2) ·············(1)
D=2/(πNG)1/2·····················(2)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질 때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는 종횡이 10㎛×10㎛인 단위영역당 20개이하(0개를 포함하지 않음)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가 20개이하인 것에 의해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고 하는 지견에 의거하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임의의 단면이 낚싯줄(5)이 슬라이딩 가능한 영역의 표면성상을 나타내고 있다고 간주하고 있다.
또,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의 하한값은 5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이유에 대해서도 명확하지 않지만, 질화규소질 소결체 중에 존재하는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가 기둥상인 질화규소의 결정에 가해지는 압축 응력에 영향을 끼치고 있기 때문이다라고 생각된다. 또한,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는 6개이상 16개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는 8개이상 14개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10㎛×10㎛의 단위영역당에 존재하는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는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임의의 단면을 경면 연마한 후, 연마면을 초음파 세정 또는 에칭 처리하고,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이나 금속현미경에 의해 소정의 배율로 촬영해서 얻어진 화상을 기초로 지름이 1㎛인 원을 기준원으로 하고, 이 기준원과, 10㎛×10㎛의 단위영역에 있어서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를 대조해서 이 기준원의 크기(면적)와 동등하거나 또는 큰 결정 입자의 개수를 세면 좋다. 또한, 화상 해석 소프트를 사용해서 산출해도 좋다.
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세라믹스로 이루어질 때 보이드율이 1.8%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이드율이 1.8%이하일 때에는 기계적 강도가 향상되고,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낚싯줄(5)에 대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보이드율이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임의의 단면을 경면 연마한 후,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이나 금속현미경에 의해 그 표면을 관찰하고, 화상해석에 의해 측정 면적 중의 보이드 총면적을 면적비율로 나타낸 것이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질 때는 보이드율이 0.3%이상 1.5%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이드율이 이 범위내인 경우에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것으로 할 수 있고, 또한 낚시의 최중에 보이드에 유지되는 물이 낚싯줄(5)의 표면과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표면 사이에서 윤활제의 역활을 해서 마찰 계수가 저감되므로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보이드율이 0.3%미만인 경우에는 보이드에 유지되는 물의 양이 적어 내마모성 향상의 효과가 낮고, 1.5%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질 때 입계(여기서는 질화규소의 결정간)에 멜리라이트(Y2Si3O3N4:이트륨나이트라이드실리케이트) 결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질화규소의 결정이나, 입계에 멜리라이트 결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X선 회절 장치(Bruker AXS사제 D8 ADVANCE)를 사용하고,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표면에 CuKα선을 조사하고, CuKα선의 회절 방향과 입사 방향의 각도차(2θ)와 회절 X선 강도를 검출기로 주사한 결과인 X선 회절 챠트를 얻고, JCPDS(Joint Committee on Powder Diffraction Standards) 카드에 의거해서 동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입계에 멜리라이트 결정이 존재하고,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37.2˚의 멜리라이트(Y2Si3O3N4:이트륨나이트라이드실리케이트) 결정의 피크 강도를 IM, 2θ=27.0˚의 질화규소 결정의 피크 강도를 IS로 했을 때 IM/IS의 값은 0.1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IM/IS의 값이 0.1이하인 경우에는 양호한 내마모성을 가짐과 아울러 높은 강도를 갖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가 얻어진다. IM/IS의 값이 0.1을 초과할 경우에는 보다 높은 강도(압환 강도)가 얻어지기 어렵고, IM/IS의 값이 0으로 입계에 멜리라이트 결정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는 질화규소 결정이 입자 성장하기 쉬워 전체적으로 결정 입경이 커지므로 보다 양호한 내마모성이 얻어지기 어렵다.
여기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낚싯줄(5)에 대한 내마모성은 이하에 나타내는 구성의 내마모성 평가 장치를 사용해서 평가할 수 있다.
도 9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낚싯줄(5)에 대한 내마모성의 평가에 사용하는 내마모성 평가 장치(30)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 내마모성 평가 장치(30)는 낚싯줄(5)과, 소정 위치에서 낚싯줄(5)에 장력을 부여하는 풀리(35)와, 낚싯줄(5)을 주행시키는 모터(33)와, 낚싯줄(5)에 흙탕물을 부착시키는 수조(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소정 위치에 지그(도시생략) 등으로 고정된 링형상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에 와이어(37)를 통해 추(34)의 질량분의 하중이 연직 상방향으로 부여되고, 수조(32)를 통과하여 흙탕물이 부착된 낚싯줄(5)이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하방측 내주면을 슬라이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마모성 평가 장치(30)를 사용해서 낚싯줄(5)을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내주면에 접촉한 상태로 일정 시간 슬라이딩시키고, 슬라이딩후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가 어느 만큼 마모되어 있는지를 마모에 의해 생긴 마모흔의 깊이(이하, 단지, 마모 깊이라고 한다)를 측정함으로써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낚싯줄(5)에 대한 내마모성을 평가할 수 있다.
또,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상기 압환 강도는 이하에 설명하는 압환 강도 시험에 의해 평가할 수 있다.
압환 강도는 JIS Z 2507:2000의 압환 강도 시험 방법에 준한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10은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압환 강도 시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시험물(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을 상하 한쌍의 고정 지그(세라믹 지그(40)) 사이에 끼워서 고정하고, 상방으로부터 피시험물에 반경방향의 하중을 가해가고, 피시험물이 파괴되었을 때의 최대 하중(p)을 측정해서 압환 강도를 구한다. 이 시험 방법에 의해, 피시험물의 압환 강도(σr)(단위:㎫)는 피시험물이 파괴되었을 때의 최대 하중을 p(단위:kgf),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외경의 값을 d(단위:mm), 두께(T)의 값을 t(단위:mm), 폭(W)의 값을 w(단위:mm)로 했을 때 σr=(p(d-t)/(w×t2))×9.8의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질 때 입계(여기서는 질화규소의 결정간)에 Y2SiAlO5N, Y4SiAlO8N, Y2SiO5 및 α-Y2Si2O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계에 Y2SiAlO5N, Y4SiAlO8N, Y2SiO5, α-Y2Si2O7의 결정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X선 회절 장치를 사용해서 확인할 수 있다.
입계에 Y2SiAlO5N, Y4SiAlO8N, Y2SiO5 및 α-Y2Si2O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이 존재하고 있을 때에는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파괴 인성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입계에 Y2SiAlO5N, Y4SiAlO8N, Y2SiO5 및 α-Y2Si2O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이 존재함으로써 기둥상인 질화규소의 결정의 입자성장을 억제해서 미세한 조직 구조로 할 수 있고, 또한 입계상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산시키는 작용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입계가 Y2SiAlO5N, Y4SiAlO8N, Y2SiO5 및 α-Y2Si2O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결정을 갖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파괴 인성에 의해 높은 압환 강도를 갖는다.
도 11은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일례를 나타내는 X선 회절 챠트이다. 이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 질화규소의 결정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피크는 2θ=23.5˚부근, 27.2˚부근, 33.6˚부근, 36˚부근에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Y2SiAlO5N의 결정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피크가 2θ=32˚∼33˚(예를 들면 32.6˚)에 나타나고, Y4SiAlO8N의 결정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피크가 2θ=29˚∼31˚(예를 들면 29.4˚, 30.7˚, 31.1˚)에 나타나 있으므로 각각의 피크에 의해 Y2SiAlO5N 및 Y4SiAlO8N의 결정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질화규소, Y2SiAlO5N 및 Y4SiAlO8N의 존재를 나타내는 피크 사이의 폭넓은 피크는 질화규소질 소결체에 비정질(아모르포스)상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는 질화규소질 소결체 표면의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32.6˚부근의 Y2SiAlO5N의 결정의 피크 강도의 값을 X로 하고, 2θ=29.4˚부근의 Y4SiAlO8N의 결정의 X선 회절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의 값을 Y로 했을 때 그 비율 X/Y가 1.2이하(0을 제외)이면 기계적 강도 및 파괴 인성이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압환 강도가 보다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도 12는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X선 회절 챠트이다. 이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 도 11에 나타내는 예와 같은 질화규소, Y2SiAlO5N 및 Y4SiAlO8N의 각 결정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피크에 추가해서 2θ=28˚∼29˚(예를 들면 28.3˚)에 Y2SiO5 또는 α-Y2Si2O7의 결정의 존재를 나타내는 피크가 나타나 있고,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이들 결정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의 재질에 질화규소질 소결체를 적용한 경우를 설명한다.
우선, 출발원료로서 Si 분말(평균 입경 D50=0.5∼100㎛) 및 Si3N4 분말(α화율 50%이상, 평균 입경 D50=0.5∼10㎛)과, 소결 조제인 Y2O3 분말(평균 입경 D50=0.5∼10㎛), Al2O3 분말(평균 입경 D50=0.5∼10㎛) 및 SiO2 분말(평균 입경 D50=0.5∼10㎛)을 준비한다. 그 후, 각각의 분말을 소정량 칭량하고, 폴리비닐알콜(PVA)이나 폴리에틸렌글리콜(PEG) 등의 각종 바인더와, 용매와 함께, 예를 들면 회전밀, 진동밀, 비즈밀 등의 밀에 넣어서 습식 혼합·분쇄하여 슬러리를 제작한다.
또한, Si 분말과 Si3N4 분말의 질량비율은 Si 분말/Si3N4 분말≥1이 되도록 칭량한다. 그리고,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조성이 이트륨(Y)을 Y2O3 환산으로 3질량%이상 12질량%이하, 알루미늄(Al)을 Al2O3 환산으로 2질량%이상 5질량%이하 및 규소(Si)를 SiO2 환산으로 2질량%이상 4질량%이하 함유하고, 잔부가 질화규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Si 분말과 Si3N4 분말의 질량비율이 85:15일 때 Y2O3 분말 및 Al2O3 분말에 대해서는 각각 4.3질량%이상 17질량%이하, 2.9질량%이상 7.2질량%이하가 되도록 칭량한다. 또한, 각 분말의 칭량시와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함유량에서 질량%가 다른 것은 Si 분말을 질화시켜서 질화규소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저렴한 Si 분말을 적용한 예를 상술했지만, Si3N4 분말만을 1차 원료로 해서 제조된 질화규소질 소결체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SiO2 분말에 대해서는 Si 분말 및 Si3N4 분말에 불가피하게 포함되는 산소를 SiO2로 환산한 양과 합쳐 질화규소질 소결체에 포함되는 SiO2 환산에서의 함유량이 2질량%이상 4질량%이하가 되도록 칭량한다. 또한, Y2O3:Al2O3:SiO2의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함유량은 질량비율로 50∼66질량%:18∼26질량%:16∼24질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분무 입자화 건조 장치(스프레이 드라이어)를 사용해서 슬러리를 분무 입자화해서 구상 과립을 얻은 후, 이 구상 과립을 사용해서 분말 프레스 성형법으로 성형하고, 필요에 따라 절삭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성형체를 얻는다.
다음에, 이 성형체를 50㎪∼1.1㎫의 질소 분압으로 1000∼1400℃의 온도에서 소성함으로써 성형체중의 규소(Si 분말)를 질화시키고, 성형체중의 질화규소의 α화율을 90%이상으로 한 후, 50∼300㎪의 질소분압으로 1700∼1900℃의 최고 온도에서 소성한다. 그리고, 입계에 멜리라이트(Y2Si3O3N4), Y2SiAlO5N 및 Y4SiAlO8N의 결정을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최고 온도로부터 1200℃까지의 강온 속도를 10℃/min이하로 하면 좋다. 또한,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37.2˚의 멜리라이트(Y2Si3O3N4:이트륨나이트라이드실리케이트) 결정의 피크 강도를 IM, 2θ=27.0˚의 질화규소 결정의 피크 강도를 IS로 했을 때 IM/IS의 값을 0.1이하(0을 제외)로 하기 위해서는 최고 온도로부터 1200℃까지의 강온속도를 5℃/min이상 10℃/min이하로 하면 좋다. 또한,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32.6˚부근의 Y2SiAlO5N의 결정의 피크 강도를 X로 하고, 2θ=29.4˚부근의 Y4SiAlO8N의 결정의 X선 회절에 있어서의 피크 강도를 Y로 했을 때 그 비율 X/Y를 1.2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강온속도를 7℃/min이상 10℃/min이하로 하면 좋다. 또한,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28˚∼29˚ 사이에 피크를 나타내는 결정(Y2SiO5 또는 α-Y2Si2O7)을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소성시의 최고 온도를 1700∼1800℃의 범위내로 해서 비교적 저온에서 소성하면 좋다.
또, 색조를 JIS Z 8729-1980의 Lab표색계에 있어서의 명도지수 L을 35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소정량의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착색제를 출발 원료에 첨가하면 좋다. 이렇게, 출발 원료에 전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착색제를 첨가하면 질화규소질 소결체의 입계에 전이 금속의 규화물이 존재하게 되고, 명도지수 L을 35이하로 할 수 있다. 또한, 첨가하는 전이 금속으로서는 소성시에 입계로 규화물을 형성하기 쉬운 철이나 텅스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겉보기 밀도를 3.27g/㎤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소성시의 최고 온도를 1700℃이상으로 하면 좋다.
또, 질화규소의 평균 결정 입경을 0.8㎛이하로 하기 위해서는 출발 원료로서 Si 분말 및 Si3N4 분말을 사용한 반응 소결법에 의해 질화규소질 소결체를 제작하면 좋다.
또,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를 10㎛×10㎛의 단위영역당 20개이하(0개를 포함하지 않음) 존재시키기 위해서는 소성시의 최고 온도를 1710∼1750℃로 비교적 저온으로 하면 좋다.
또, 소성시의 최고 온도를 1710℃이상으로 함으로써 보이드율을 1.8%이하로 할 수 있고, 특히 소성시의 최고 온도의 유지 시간을 3∼20시간의 범위내로 함으로써 보이드율을 0.3%이상 1.5%이하의 범위내로 할 수 있다. 또한, 보이드율을 더 낮게 하기 위해서는 소성후에 열간 정수압 프레스 성형(HIP) 처리를 행하면 좋다.
그리고, 실온까지 냉각한 후, 배럴 가공이나 연삭 가공에 의해 곡면을 형성하고, 최종적으로 센터리스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로서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것의 제조 방법의 상세를 상술했지만, 이 그 외에도 알루미나(Al2O3), 지르코니아(ZrO2), 스피넬(MgAl2O4), 탄화 규소(SiC), 질화 알루미늄(AlN), 질화 티타늄(TiN) 및 탄화 티타늄(TiC) 등의 세라믹스로 이루어지는 것도 제조 가능하며, 스테인레스강이나 티타늄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제조 가능하다.
실시예 1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발 원료로서 Si 분말(평균 입경 D50=10㎛) 및 Si3N4 분말(α화율 70%, 평균 입경 D50=1㎛)과, 소결 조제인 Y2O3 분말(평균 입경 D50=1㎛), Al2O3 분말(평균 입경 D50=1㎛), SiO2 분말(평균 입경 D50=1㎛)을 준비했다. 계속해서, 각각의 분말을 Si 분말을 65질량%, Si3N4 분말을 15질량%, Y2O3 분말을 12질량%, Al2O3 분말을 5질량%, SiO2 분말을 3질량% 칭량했다.
그리고, 칭량후의 분말과, 폴리비닐알콜(PVA)과, 용매를 회전밀에 넣어서 소정 시간 혼합·분쇄하여 슬러리를 제작했다. 그리고, 분무 입자화 건조 장치를 사용해서 슬러리를 분무 입자화해서 구상 과립을 얻은 후, 이 구상 과립을 사용해서 분말 프레스 성형법으로 성형체를 얻었다. 이어서, 이 성형체를 120㎪의 질소분압으로 1300℃의 온도에서 소성하고, 질화규소의 α화율이 90%이상인 질화체를 얻은 후, 또한 120㎪의 질소분압으로 표 1에 나타내는 최고 온도에서 각각 5시간 유지함으로써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가 다른 시료 No. 1∼10을 얻었다. 여기에서, 시료 No. 1∼10의 형상은 모두 외경이 12mm, 내경이 10mm, 폭(W)이=2mm이며, 단면을 볼 때 도 2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로서 곡률반경(R1)이 4.5mm, 곡률반경(R2)이 0.8mm였다.
그리고, 시료 No. 1∼10을 상술의 내마모성 평가 장치(30)를 사용해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의 낚싯줄에 대한 내마모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마모 깊이로서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내마모성 평가 장치(30)의 설정 조건은 추(34)의 질량을 500g으로 하고, 실(5)이 시료의 내주면을 슬라이딩하는 속도를 60m/분으로 하고, 실(5)의 주행거리를 3000m로 했다.
또, 시료의 임의의 단면을 경면 연마한 후, 연마면을 초음파 세정 처리하고,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서 배율 5000배로 확대한 관찰상을 얻었다. 그리고, 상기 관찰상을 화상 데이터로 하고, 화상 해석 소프트「A상군」(등록상표, 아사히 카세이 엔지니어링(주)제)을 사용해서 원형입자 해석 방법을 적용하고, 화상 데이터내의 10㎛×10㎛의 범위내에 있는 결정 입자의 수와 입자 1개 1개의 면적을 각각 구하고, 화상 데이터내의 스케일로 그린 지름 1㎛의 원의 면적을 상회하는 결정 입자가 몇개 존재하는지를 산출하여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 결정 입자의 수를 구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상기 관찰상을 사용하고, 프라니메트릭법에 의해 시료 No. 1∼10의 평균 결정 입경을 산출한 결과, 시료 No. 1∼10은 모두 평균 결정 입경이 0.8㎛이하였다. 또한, JIS R 1634-1998에 준거해서 시료 No. 1∼10의 겉보기 밀도를 측정한 결과, 시료 No. 1∼10은 모두 겉보기 밀도가 3.27g/㎤이상이었다. 또한, 시료 1∼10의 상기 단면에 있어서 SEM(주사형 전자현미경)을 사용해서 배율 500배로 확대한 관찰상으로부터 100㎛×100㎛의 영역을 차지하는 보이드의 면적을 측정하고, 보이드율을 산출한 결과, 시료 1∼10은 모두 보이드율이 1.8%이하였다.
Figure 112015003339783-pct00001
표 1에 나타낸 대로,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가 10㎛×10㎛의 단위영역당 20개이하인 시료 No. 3∼10은 마모 깊이가 1.6㎛이하이며, 상기 범위외인 시료 No. 1 및 2에 비해서 마모 깊이가 얕게 되어 있으며, 낚싯줄에 대한 내마모성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료 No. 3∼10에 있어서 시료 No. 3∼9는 마모 깊이가 1.4㎛이하이며,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가 5개이상 20개이하이면 낚싯줄에 대한 내마모성이 높아지기 쉽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료 No. 4∼8은 마모 깊이가 1.3㎛이하이며, 10㎛×10㎛의 단위영역당에 있어서의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의 개수가 6개이상 16개이하이면 낚싯줄에 대한 내마모성이 특히 향상되기 쉽다고 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소성시의 최고 온도의 유지 시간을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의 시료 No. 5와 같은 방법을 사용해서 시료 No. 11∼17을 제조했다. 각 시료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외경이 12mm, 내경이 10mm, 폭(W)이 2mm이며, 단면을 볼 때 도 2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로서 곡률반경(R1)이 4.5mm, 곡률반경(R2)이 0.8mm인 형상의 시료를 준비했다. 또한, 각 시료의 보이드율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해서 측정을 행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내마모 시험을 실시함과 아울러 상술의 압환 강도 시험을 행하여 각 시료의 마모 깊이 및 압환 강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03339783-pct00002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성시의 최고 온도의 유지 시간을 3∼20시간의 범위내로 한 시료 No. 12∼15에 대해서는 보이드율이 0.3%이상 1.5%이하이며, 1.2㎛이하의 마모 깊이와 700㎫이상의 압환 강도가 얻어졌다.
실시예 3
다음에, 소성시의 최고 온도로부터 1200℃까지의 강온속도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가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의 시료 No. 7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시료 No. 18∼22를 제조했다. 시료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외경이 12mm, 내경이 10mm, 폭(W)이 2mm이며, 단면을 볼 때 도 2에 나타내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1)로서 곡률반경(R1)이 4.5mm, 곡률반경(R2)이 0.8mm인 형상의 시료를 준비했다.
또한, 각 시료의 IM/IS의 값에 대해서는 X선 회절 장치(Bruker AXS사제 D8 ADVANCE)를 사용하고, 시료의 표면에 CuKα선을 조사하고, CuKα선의 회절 방향과 입사 방향의 각도차(2θ)와 회절 X선 강도를 검출기로 주사한 결과인 X선 회절 챠트를 얻고, 2θ=37.2˚와 2θ=27.0˚의 피크 강도(IM,IS)를 확인하고, 이 비율을 구함으로써 산출했다.
그리고, 시료 No. 18∼22에 대해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내마모 시험을 실시함과 아울러 압환 강도 시험을 행하여 각 시료의 마모 깊이 및 압환 강도를 구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5003339783-pc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강온속도가 5∼10℃/min인 시료 No. 19∼21에 대해서는 IM/IS가 0.1이하이며, 1.2㎛이하의 마모 깊이와 700㎫이상의 압환 강도가 얻어졌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의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내의 것이다.
1, 6, 11, 14: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2: 제 1 곡면
2': 제 2 곡면
3: 안내구멍
4: 외주
5: 낚싯줄
7: 플랜지부
10: 낚싯줄용 가이드
12: 유지부
13: 부착부
20: 낚싯대
30: 내마모성 평가 장치
40: 세라믹 지그

Claims (11)

  1. 링형상을 이루고, 축선을 포함하는 절단면의 단면을 볼 때 내주측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서 곡면으로 되어 있으며, 내주측의 곡면에 있어서 축선방향 중앙부측의 곡면의 곡률반경을 R1, 축선방향 단부측의 곡면의 곡률반경을 R2, 상기 내주측 곡면의 한쪽의 단부로부터 한쪽의 외주측으로 연장되는 곡면의 곡률반경을 R3으로 했을 때 R2보다 R1이 크고, R3이 R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비율 R1/R2의 값이 3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비율 R3/R2의 값이 1.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외주측에 플랜지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단면을 볼 때 그 플랜지부는 일단이 상기 내주측의 곡면에 연결되는 외면의 적어도 일부가 곡면으로 되어 있고, 그 곡면의 곡률반경을 R4로 했을 때 R4가 R2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면을 볼 때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외면의 타단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면을 갖고 있고, 그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함몰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고, 임의의 단면에 있어서 원상당 지름 1㎛이상의 질화규소의 결정 입자가 10㎛×10㎛의 단위영역당 20개이하(0개를 포함하지 않음)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고, 보이드율이 0.3%이상 1.5%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질화규소질 소결체로 이루어지고, X선 회절 챠트에 있어서의 2θ=37.2˚의 멜리라이트(Y2Si3O3N4:이트륨나이트라이드실리케이트) 결정의 피크 강도를 IM, 2θ=27.0˚의 질화규소 결정의 피크 강도를 IS로 했을 때 IM/IS의 값이 0.1이하(0을 제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낚싯줄용 가이드부재와, 그 낚싯줄용 가이드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와, 그 유지부를 낚싯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를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11. 막대체와, 그 막대체에 부착된 제 10 항에 기재된 낚싯줄용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20157000813A 2013-01-31 2014-01-27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 KR1015577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17655 2013-01-31
JP2013017655 2013-01-31
JPJP-P-2013-155379 2013-07-26
JP2013155379 2013-07-26
PCT/JP2014/051710 WO2014119522A1 (ja) 2013-01-31 2014-01-27 釣り糸用ガイド部材およびこれを備える釣り糸用ガイドならびに釣り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4721A KR20150034721A (ko) 2015-04-03
KR101557721B1 true KR101557721B1 (ko) 2015-10-06

Family

ID=5126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0813A KR101557721B1 (ko) 2013-01-31 2014-01-27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638739B2 (ko)
JP (1) JP5680810B2 (ko)
KR (1) KR101557721B1 (ko)
CN (1) CN104507304B (ko)
AU (1) AU2014211053B2 (ko)
GB (1) GB2518325B (ko)
TW (1) TWI491352B (ko)
WO (1) WO20141195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56999A1 (en) * 2013-09-18 2015-06-11 Doug Roberts Flexible guide apparatus and system for fishing line
EP3366128B1 (en) * 2015-11-28 2020-01-08 Kyocera Corporation Guide member for fishing line
KR20180101337A (ko) 2016-01-27 2018-09-12 글로브라이드 가부시키가이샤 고경도의 표면층을 갖는 낚싯줄 가이드 및 당해 낚싯줄 가이드를 구비하는 낚싯대
JP6817286B2 (ja) 2016-02-29 2021-01-20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釣糸ガイド、当該釣糸ガイドを備える釣竿、及び当該釣糸ガイド用のガイドリング
JP7175233B2 (ja) * 2019-04-17 2022-11-18 株式会社シマノ 釣糸ガイドのガイドフレーム及び釣糸ガイド並びに釣竿
US10569997B1 (en) * 2019-05-03 2020-02-25 Ricky Fusillo Lifting device
US20240174479A1 (en) * 2021-03-24 2024-05-30 Kyocera Corporation Guide ri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959A (ja) 2007-12-29 2009-07-23 Kigan Industry Co Ltd 釣り竿用の釣り糸ガイ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7166A (ja) 2009-09-28 2011-04-07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JP2011067165A (ja) 2009-09-28 2011-04-07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02845A (en) * 1947-07-21 1950-04-04 William M Hoffman Line guide element for fishing rods and the like
JP2990549B2 (ja) * 1991-11-29 1999-12-13 京セラ株式会社 釣り糸用ガイド部材
JPH08295568A (ja) * 1995-04-26 1996-11-12 Kyocera Corp 窒化珪素質着色セラミック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釣り糸用ガイド部材
KR0160266B1 (ko) 1995-12-14 1998-11-16 정춘재 릴 낚시대용 낚시줄 안내링
TW371256B (en) * 1996-11-12 1999-10-01 Fuji Industries Co Ltd Line guide for fishing rod
US7642209B2 (en) * 2003-08-26 2010-01-05 Kyocera Corporation Silicon nitride sintered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JP2006204142A (ja) * 2005-01-26 2006-08-10 Shimano Inc 中通し竿用トップガイド及び中通し竿
US8377837B2 (en) * 2008-04-18 2013-02-19 Kabushiki Kaisha Toshiba Wear resistant member, wear resistant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wear resistant member
JP4755670B2 (ja) * 2008-05-19 2011-08-24 富士工業株式会社 釣糸ガイドおよび釣竿
JP5481273B2 (ja) * 2010-05-14 2014-04-23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窒化珪素・メリライト複合焼結体を用いた基板および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9959A (ja) 2007-12-29 2009-07-23 Kigan Industry Co Ltd 釣り竿用の釣り糸ガイ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1067166A (ja) 2009-09-28 2011-04-07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JP2011067165A (ja) 2009-09-28 2011-04-07 Globeride Inc 釣糸ガイ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4211053A1 (en) 2015-02-19
AU2014211053B2 (en) 2015-07-16
GB2518325B (en) 2015-07-22
GB201500821D0 (en) 2015-03-04
JPWO2014119522A1 (ja) 2017-01-26
CN104507304B (zh) 2015-12-30
JP5680810B2 (ja) 2015-03-04
TWI491352B (zh) 2015-07-11
US20150201595A1 (en) 2015-07-23
US10638739B2 (en) 2020-05-05
KR20150034721A (ko) 2015-04-03
GB2518325A (en) 2015-03-18
CN104507304A (zh) 2015-04-08
WO2014119522A1 (ja) 2014-08-07
TW201440646A (zh) 2014-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7721B1 (ko) 낚싯줄용 가이드부재, 및 이것을 구비하는 낚싯줄용 가이드 및 낚싯대
TWI466751B (zh) Welding needle
TWI511826B (zh) Welding needle
US20100234207A1 (en) Abrasion-resistant sintered body, sliding member, and pump
JP6491964B2 (ja) 窒化珪素焼結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耐摩耗性部材
Zygmuntowicz et al. Dilatrometric sintering study and characterization of alumina-nickel composites
CN105073310A (zh) 切削工具
JP3540912B2 (ja) 釣糸用ガイド部材
US20130247388A1 (en) Ceramic cutting knif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208436B2 (ja) リング部材、釣り糸用リング部材、釣り糸用ガイドおよび釣り竿、並びに繊維機械用リング部材
US20230339815A1 (en) Precursor of alumina sintered body, method for producing alumina sintered body, method for producing abrasive grains, and alumina sintered body
JP5825955B2 (ja) 窒化硼素/炭化珪素複合焼結体の製造方法
JP2990549B2 (ja) 釣り糸用ガイド部材
JP2017173179A (ja) プローブ案内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US7592280B2 (en) Aluminum nitride sintered body, method of manufacturing aluminum nitride sintered body, and member
US20180168004A1 (en) Heater Tube for Molten Metal Immersion
JP6526220B2 (ja) 繊維ガイド
JP6282943B2 (ja) 窒化珪素質焼結体およびこれを備える耐衝撃磨耗性部材
JP2010001203A (ja) 窒化珪素焼結体、窒化珪素切削工具、窒化珪素焼結体の製造方法
JPH0784340B2 (ja) Ni−Cu−Zn系酸化物磁性材料とその製造方法
JPWO2020158882A1 (ja) セラミックス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ノズル部材
JP2021052633A (ja) ガイドリング
JP2010234436A (ja) キャプスタン
JPH06206762A (ja) セラミックス複合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49018A (ja) 釣り糸用ガイド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