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189B1 - 적층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적층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189B1
KR101555189B1 KR1020150048665A KR20150048665A KR101555189B1 KR 101555189 B1 KR101555189 B1 KR 101555189B1 KR 1020150048665 A KR1020150048665 A KR 1020150048665A KR 20150048665 A KR20150048665 A KR 20150048665A KR 101555189 B1 KR101555189 B1 KR 101555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electrodes
pair
connecting conductor
main surface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181A (ko
Inventor
마사주미 아라타
요지 도자와
다카시 엔도
도시키 사토
다쿠야 가메이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2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out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41Printed circuit coils
    • H01F41/043Printed circuit coils by thick film techniqu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19Planar transformers with printed windings, e.g. surrounded by two cores and to be mounted on printed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적층 코일 부품은 소체와, 코일과,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과, 제 1 접속 도체와, 제 2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코일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된다.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은 소체의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는 소체 내에 있어서 코일과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코일의 일단과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는 소체 내에 있어서 코일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코일의 타단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코일 부품{LAMINATED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적층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는 코일과, 소체의 실장면의 일단측에 배치된 한 쌍의 외부 전극과, 소체의 실장면의 타단측에 배치된 한 쌍의 외부 전극을 구비한 적층 코일 부품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국제공개 제2011/155240호 팜플렛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코일 부품에서는 실장면의 일단측 및 타단측에 각각 배치된 한 쌍의 외부 전극 중 한쪽의 외부 전극만이 코일과 접속되어 있다.
국제공개 제2011/155240호
이러한 종류의 전자 부품에서는, 통상, 납땜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외부 전극에는 전기 도금이 가해진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적층 코일 부품에서는 한 쌍의 외부 전극 중 한쪽의 외부 전극만이 코일과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쪽의 외부 전극은 코일과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다른쪽의 외부 전극은 전기적으로 부유(浮遊)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 도금이 가해질 때에, 전기적으로 부유한 다른쪽의 외부 전극에는, 적절한 전계가 인가되지 않아 도금이 형성되기 어렵다. 도금이 적절히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예를 들면, 도금이 얇은 경우 등), 외부 전극과 땜납의 접합력이 약하여, 적층 코일 부품의 실장 강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외부 전극에 전기 도금을 적절히 가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은 복수의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대략 장방 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主面)과, 제 1 및 제 2 주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연신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제 1 및 제 2 주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연신되고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는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가 서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는 코일과, 제 1 주면의 제 1 측면측의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과, 제 1 주면의 제 2 측면측의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과, 소체 내에 있어서 코일과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코일의 일단과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에 접속되는 제 1 접속 도체와, 소체 내에 있어서 코일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배치되고, 코일의 타단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에 접속되는 제 2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에서는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이 제 1 접속 도체를 통해서 코일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제 1 외부 전극도 전기적으로 부유하지 않는다.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이 제 2 접속 도체를 통해서 코일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제 2 외부 전극도 전기적으로 부유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 전기 도금이 가해질 때에, 각각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에 적절한 전계가 인가되어 도금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접속 도체의 면적은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아도 좋고, 제 2 접속 도체의 면적은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아도 좋다.
절연체층과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 사이에는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수축률)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발생하기 쉽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는 각각의 면적, 즉 체적이 크면 보다 많이 수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응력도 크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 연구 결과,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에 의해, 제 1 접속 도체와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 및 제 2 접속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에 내부 구조 결함(예를 들면, 크랙 등)이 생길 우려가 있는 것이 새롭게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제 1 접속 도체의 면적이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에 의해,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작다. 따라서,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속 도체의 면적이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은 것에 의해,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접속 도체는,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해도 좋고, 제 2 접속 도체는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본 발명자들의 조사 연구 결과, 제 1 접속 도체의 가장자리와 제 1 외부 전극의 가장자리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 있으면,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에 의해, 제 1 접속 도체와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 및 제 2 접속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에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도 새롭게 판명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입각하여, 제 1 접속 도체가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으면, 제 1 접속 도체의 가장자리와 제 1 외부 전극의 가장자리가 떨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한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접속 도체의 가장자리와 제 2 외부 전극의 가장자리가 떨어지기 때문에, 상기한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 1 접속 도체와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의 두께는 제 1 접속 도체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좋고, 제 2 접속 도체와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의 두께는 제 2 접속 도체의 두께보다 두꺼워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접속 도체와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꺼워, 제 1 접속 도체와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에 내부 구조 결함이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 접속 도체와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의 두께가 비교적 두껍고, 마찬가지로, 제 2 접속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에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전극에 전기 도금을 적절히 가하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오직 예시적 방식으로만 제공됨으로써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를 갖지 않는,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적용 범위는 이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그와 같은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오직 예시적으로만 주어지게 되므로, 당업자들에게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 소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 소체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 소체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우선,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 소체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 소체의 단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후술하는 도금층(7)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적층 코일 부품(1)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소체(2)와, 소체(2)의 외표면에 배치되는 각각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을 구비하고 있다.
소체(2)는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외표면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대략 장방 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2a, 2b)과,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2c, 2d)과,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2e, 2f)을 가지고 있다. 제 1 및 제 2 측면(2c, 2d)은 제 1 및 제 2 주면(2a, 2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2a, 2b)의 단변 방향으로 연신되고 있다. 제 3 및 제 4 측면(2e, 2f)은 제 1 및 제 2 주면(2a, 2b)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2a, 2b)의 장변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소체(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절연체층(11)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절연체층(11)은 대략 장방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절연체층(11)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이며, 절연체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즉, 소체(2)는 복수의 절연체층(11)의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다. 실제 소체(2)에서는 각 절연체층(11)은 그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절연체층(11)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Ni-Cu-Zn계 페라이트, Ni-Cu-Zn-Mg계 페라이트, Cu-Zn계 페라이트, 또는 Ni-Cu계 페라이트 등)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의 절연체층(11)은 비자성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과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은 제 1 주면(2a)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은 제 1 주면(2a)의 제 1 측면(2c)측의 단부, 즉 제 1 주면(2a)의 한쪽의 단변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은 제 1 주면(2a)의 단변 방향으로 이간되어 병치(倂置)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은 제 1 주면(2a)의 제 2 측면(2d)측의 단부, 즉 제 1 주면(2a)의 다른쪽의 단변 가까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은 제 1 주면(2a)의 단변 방향으로 이간되어 병치되어 있다. 제 1 외부 전극(4)과 제 2 외부 전극(6)은 제 1 주면(2a)의 장변 방향으로 이간되어 위치하고 있다. 각 외부 전극(4, 6)은 제 1 주면(2a)의 각부(角部)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주면(2a)의 장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그 각이 둥글게 되어 있다.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은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와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은 도전성 금속 분말(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 및 유리 플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을 구성하는 소결체에 전기 도금이 가해지고 있고,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의 표면에는 도금층(7)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적층 코일 부품(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금층(7)을 구비하고 있고, 도금층(7)은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다. 전기 도금에는 Ni 및 Sn 등이 사용된다.
적층 코일 부품(1)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일 도체(내부 도체)(21)와, 복수의 인출 도체(23, 25)와, 제 1 접속 도체(27)와, 제 2 접속 도체(29)를 소체(2) 내에 구비하고 있다. 각 도체(21, 23, 25)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포함하고 있다. 각 도체(21, 23, 25)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와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과 같이, 도전성 금속 분말(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 및 유리 플리트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복수의 코일 도체(21)와 복수의 인출 도체(23, 25)는 절연체층(11)의 적층방향으로 병치되어 있다. 복수의 코일 도체(21)의 단부끼리는 스루홀 도체(3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코일 도체(21)의 단부끼리가 스루홀 도체(31)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소체(2) 내에 코일(C)이 형성된다. 즉, 적층 코일 부품(1)은 복수의 코일 도체(21)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C)을 구비하고 있다. 각 코일 도체(21)는 1턴 미만의 패턴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인출 도체(23)는 제 1 외부 전극(4)과 코일(C)의 일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스루홀 도체(3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복수의 인출 도체(25)는 제 2 외부 전극(6)과 코일(C)의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스루홀 도체(3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코일(C)의 끝에 위치하는 코일 도체(21)와 상기 코일 도체(21)와 이웃하는 인출 도체(23, 25)는 스루홀 도체(35)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27)는 제 1 주면(2a)에 가장 가까운 인출 도체(23)와 제 1 주면(2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1 접속 도체(27)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코일(C)(코일 도체(21))과 제 1 외부 전극(4)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접속 도체(27)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주면(2a)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접속 도체(27)의 면적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R1)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접속 도체(27)는, 제 1 주면(2a)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영역(R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접속 도체(27)와 상기 제 1 접속 도체(27)와 이웃하는 인출 도체(23)는 스루홀 도체(37)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제 1 접속 도체(27)와 코일(C)(코일 도체(21))의 일단은 각 인출 도체(23) 및 각 스루홀 도체(33, 35, 37)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제 1 접속 도체(27)와 각 제 1 외부 전극(4)은 스루홀 도체(39)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은 제 1 접속 도체(27) 및 스루홀 도체(39)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과 코일(C)(코일 도체(21))이 각 인출 도체(23), 제 1 접속 도체(27), 및 각 스루홀 도체(33, 35, 37, 39)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접속 도체(29)는 제 1 주면(2a)에 가장 가까운 인출 도체(25)와 제 1 주면(2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제 2 접속 도체(29)는 소체(2) 내에 있어서, 코일(C)(코일 도체(21))과 제 2 외부 전극(6)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접속 도체(29)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 형상(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주면(2a)의 단변 방향을 장변 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접속 도체(29)의 면적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R2)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접속 도체(29)는, 제 1 주면(2a)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영역(R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접속 도체(29)와 상기 제 2 접속 도체(29)와 이웃하는 인출 도체(25)는 스루홀 도체(41)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2 접속 도체(29)와 코일(C)(코일 도체(21))의 타단은 각 인출 도체(25) 및 각 스루홀 도체(33, 35, 41)를 개재하여 접속된다. 제 2 접속 도체(29)와 각 제 2 외부 전극(6)은 스루홀 도체(43)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은 제 2 접속 도체(29) 및 스루홀 도체(43)를 개재하여, 서로 접속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과 코일(C)(코일 도체(21))이 각 인출 도체(25), 제 2 접속 도체(29), 및 각 스루홀 도체(33, 35, 41, 43)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각 스루홀 도체(33, 35, 37, 39, 41, 43)도, 각 도체(21, 23, 25, 27, 29)와 같이,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포함하고 있다. 각 스루홀 도체(33, 35, 37, 39, 41, 43)는 도전성 재료(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를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의 소결체로서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의 두께(T1), 즉,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주면(2a)의 간격은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의 두께보다 두껍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4)이 제 1 접속 도체(27)를 통해서 코일(C)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제 1 외부 전극(4)도 전기적으로 부유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6)이 제 2 접속 도체(29)를 통해서 코일(C)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어느 제 2 외부 전극(6)도 전기적으로 부유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각각 한 쌍의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에 전기 도금이 가해질 때에,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에 적절한 전계가 인가된다. 이 결과, 적층 코일 부품(1)에서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에 전기 도금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제 1 접속 도체(27)의 면적은 상기 영역(R1)의 면적보다도 작고, 제 2 접속 도체(29)의 면적은 상기 영역(R2)의 면적보다도 작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의 체적이 비교적 작고,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에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접속 도체(27)는, 제 1 주면(2a)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영역(R1)의 내측에 위치하고, 제 2 접속 도체(29)는, 제 1 주면(2a)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영역(R2)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제 1 접속 도체(27)의 가장자리와 제 1 외부 전극(4)의 가장자리가 떨어져서 위치하는 동시에, 제 2 접속 도체(29)의 가장자리와 제 2 외부 전극(6)의 가장자리가 떨어져서 위치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에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의 두께(T1)는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의 두께보다 두껍다. 이로 인해,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에,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에 의한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및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는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절연체층(11)과의 밀착성이 높아져 있다. 이로 인해,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고,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이 보다 한층 현저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의 면적 및 위치, 및, 제 1 및 제 2 접속 도체(27, 29)와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11)의 두께(T1)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이 각을 가진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각에 집중되어 내부 구조 결함이 발생하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나, 각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4, 6)은, 그 각이 둥글게 되어 있기 때문에, 소결시의 체적 변화율의 차이에 기초하는 응력이 집중되지 않는다. 따라서, 내부 구조 결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 접속 도체(27)와 각 제 1 외부 전극(4)이 각각 복수의 스루홀 도체(39)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고, 제 2 접속 도체(29)와 각 제 2 외부 전극(6)이 각각 복수의 스루홀 도체(43)로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접속 도체(27)와 제 1 외부 전극(4)의 접속 신뢰성 및 제 2 접속 도체(29)와 제 2 외부 전극(6)의 접속 신뢰성이 향상된다.
절연체층(11)의 적층수, 복수의 코일 도체(21)의 적층수, 및 복수의 인출 도체(23, 25)의 적층수는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적층수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적층 칩 인덕터나 적층 칩 비즈 등의 적층 코일 부품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음을 명확히 알 수 있다. 그와 같은 변경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서 간주되지 않으며, 또한 그와 같은 모든 변경은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는 사실을 당업자라면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적층 코일 부품으로서,
    복수의 절연체층들이 적층되어 이루어지고, 서로 대향하는 장방 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과, 제 1 및 제 2 주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과, 제 1 및 제 2 주면 사이를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장변 방향으로 연장하고 서로 대향하는 제 3 및 제 4 측면을 갖는 소체와,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들이 서로 접속됨으로써 구성되는 코일과,
    상기 제 1 주면의 상기 제 1 측면측의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로서, 상기 제 1 외부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 1 외부 전극들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제 2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 2 방향은 상기 제 1 방향에 수직인,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과,
    상기 제 1 주면의 상기 제 2 측면측의 단부에 배치된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로서, 상기 제 2 외부 전극들 각각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제 2 외부 전극들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과,
    상기 소체 내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일단과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에 접속되는 제 1 접속 도체로서, 상기 제 1 접속 도체는 균일한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균일한 폭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1 외부 전극들의 각각의 길이보다 짧은,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
    상기 소체 내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코일의 타단과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에 접속되는 제 2 접속 도체로서, 상기 제 2 접속 도체는 균일한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균일한 폭은 상기 제 1 주면에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 2 외부 전극들의 각각의 길이보다 짧은, 상기 제 2 접속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면적은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단일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면적은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단일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는, 상기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는, 상기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전체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외부 전극들의 가장자리들이 떨어져서 위치하고, 상기 제 1 주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전체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외부 전극들의 가장자리들이 떨어져서 위치하는 적층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도체와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체층의 두께는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와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체층의 두께는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두께보다 두꺼운 적층 코일 부품.
  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들은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주면의 장변 방향과 일치하는 장변 방향을 갖는 장방 형상으로 형성되는 적층 코일 부품.
  4.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외부 전극들은 모든 모서리들이 둥글게 되어 있는 적층 코일 부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 및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이 형성되는 절연체층과 상기 제 1 접속 도체 및 상기 제 2 접속 도체가 형성되는 절연체층 사이에 적층되는 절연체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층 코일 부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영역은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영역은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은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은 길이와 폭을 갖는 장방 형상을 갖고,
    상기 제 1 접속 도체의 상기 길이와 상기 폭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 1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의 상기 길이와 상기 폭보다 짧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의 상기 길이와 상기 폭은 각각 상기 한 쌍의 제 2 외부 전극들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상기 단일 영역의 상기 길이와 상기 폭보다 짧은 적층 코일 부품.
KR1020150048665A 2012-03-30 2015-04-06 적층 코일 부품 KR1015551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78834A JP5598492B2 (ja) 2012-03-30 2012-03-30 積層コイル部品
JPJP-P-2012-078834 2012-03-3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83A Division KR20130111274A (ko) 2012-03-30 2013-02-20 적층 코일 부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181A KR20150042181A (ko) 2015-04-20
KR101555189B1 true KR101555189B1 (ko) 2015-09-24

Family

ID=4923413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83A KR20130111274A (ko) 2012-03-30 2013-02-20 적층 코일 부품
KR1020150048665A KR101555189B1 (ko) 2012-03-30 2015-04-06 적층 코일 부품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883A KR20130111274A (ko) 2012-03-30 2013-02-20 적층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988180B2 (ko)
JP (1) JP5598492B2 (ko)
KR (2) KR2013011127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97921B2 (ja) * 2012-07-13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US10062493B2 (en) * 2013-11-26 2018-08-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mounted thereon
KR101548858B1 (ko) * 2014-02-20 2015-08-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칩형 코일 부품 및 그 실장 기판
KR20160000329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인덕터, 적층 인덕터의 제조방법 및 적층 인덕터의 실장 기판
KR102004792B1 (ko) * 2014-06-24 2019-07-29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전자부품 및 내부전극용 도전성 페이스트 조성물
KR20160019265A (ko) * 2014-08-11 2016-02-19 삼성전기주식회사 칩형 코일 부품 및 그 제조방법
JP6624026B2 (ja) 2016-05-20 2019-1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CN107404299B (zh) * 2016-05-20 2020-09-22 株式会社村田制作所 层叠型电子部件
US10242798B2 (en) * 2016-05-20 2019-03-26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JP6607173B2 (ja) 2016-05-20 2019-11-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6594837B2 (ja) 2016-09-30 2019-10-23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489097B2 (ja) * 2016-10-31 2019-03-27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US11239019B2 (en) 2017-03-23 2022-02-01 Tdk Corporatio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il component
JP6819395B2 (ja) * 2017-03-23 2021-01-27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455561B2 (ja) 2017-06-30 2019-01-23 Tdk株式会社 電子部品
JP7015650B2 (ja) * 2017-07-03 2022-02-03 太陽誘電株式会社 コイル部品
JP6828673B2 (ja) * 2017-12-15 2021-02-1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及び積層型インダクタ部品の製造方法
JP6753422B2 (ja) * 2018-01-11 2020-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JP6753423B2 (ja) 2018-01-11 2020-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JP6753421B2 (ja) 2018-01-11 2020-09-09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イル部品
JP7176283B2 (ja) * 2018-08-06 2022-11-22 Tdk株式会社 積層電子部品
JP2020061410A (ja) * 2018-10-05 2020-04-1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6919641B2 (ja) * 2018-10-05 2021-08-18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6969533B2 (ja) * 2018-10-31 2021-11-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多層基板および電子機器
JP7475809B2 (ja) * 2018-12-20 2024-04-30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KR102198533B1 (ko) 2019-05-27 2021-01-06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CN110565134A (zh) 2019-10-09 2019-12-13 深圳华络电子有限公司 一种电感器件的电极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0677A (ja) 2008-05-30 2009-12-10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US7679475B2 (en) 2006-05-29 2010-03-16 Kyocera Corporation Bandpass filter and high frequency module using the sam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m
JP2012049694A (ja) 2010-08-25 2012-03-08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9743A (en) 1991-05-02 1994-09-27 At&T Bell Laboratories Method of making a multilayer monolithic magnet component
MY122218A (en) * 1998-02-02 2006-03-31 Taiyo Yuden Kk Multilayer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6380619B2 (en) * 1998-03-31 2002-04-30 Tdk Corporation Chip-type electronic component having external electrodes that are spaced at predetermined distances from side surfaces of a ceramic substrate
JP3351738B2 (ja) * 1998-05-01 2002-12-03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890909B2 (ja) 2001-03-19 2007-03-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部品およびその接合方法
US7176772B2 (en) * 2003-10-10 2007-02-13 Murata Manufacturing Co. Ltd. Multilayer coil componen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274159B2 (ja) 2005-06-28 2009-06-03 日立金属株式会社 積層インダクタ
JP2007066973A (ja) * 2005-08-29 2007-03-15 Taiyo Yuden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WO2011135936A1 (ja) * 2010-04-27 2011-11-03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454684B2 (ja) * 2010-06-09 2014-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9475B2 (en) 2006-05-29 2010-03-16 Kyocera Corporation Bandpass filter and high frequency module using the same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m
JP2009290677A (ja) 2008-05-30 2009-12-10 Murata Mfg Co Ltd ノイズフィルタ
JP2012049694A (ja) 2010-08-25 2012-03-08 Murata Mfg Co Ltd 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11302A (ja) 2013-10-10
US20130257576A1 (en) 2013-10-03
KR20130111274A (ko) 2013-10-10
US8988180B2 (en) 2015-03-24
JP5598492B2 (ja) 2014-10-01
KR20150042181A (ko) 201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5189B1 (ko) 적층 코일 부품
CN109427463B (zh) 线圈部件
KR101908279B1 (ko) 적층 코일 부품
US9959969B2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JP6107080B2 (ja) 積層コンデンサ
US9947455B2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US8526162B2 (en) Feedthrough multilayer capacitor
JP6520433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5929279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6464614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18046228A (ja) 電子部品
JP2016149484A (ja) 積層コンデンサ
KR101483935B1 (ko) 적층 코일 부품
JP2016149487A (ja) 積層コンデンサ
JP2016018812A (ja) 積層コイル部品
JP7379898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6248461B2 (ja)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フィルタ
JP6201477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7243040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13165181A (ja) 積層電子部品
JP6784183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6675933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14160714A (ja) 積層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21028995A (ja) 積層コイル部品
KR20150031954A (ko) 인덕터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