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3935B1 - 적층 코일 부품 - Google Patents

적층 코일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3935B1
KR101483935B1 KR20130167150A KR20130167150A KR101483935B1 KR 101483935 B1 KR101483935 B1 KR 101483935B1 KR 20130167150 A KR20130167150 A KR 20130167150A KR 20130167150 A KR20130167150 A KR 20130167150A KR 101483935 B1 KR101483935 B1 KR 10148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face
pair
short side
co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6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120A (ko
Inventor
마사즈미 아라타
다쿠야 가메이
도시키 사토
쇼 치바
요지 도자와
다카시 엔도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21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1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3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006Printed inductances
    • H01F17/0013Printed inductances with stacked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04Printed windings
    • H01F2027/2809Printed windings on stacked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Manufacturing Cores, Coils, And Magnets (AREA)

Abstract

자기 포화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직류 중첩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한다.
적층 코일 부품(1)은 소체(10)와, 소체(10) 내에 배치된 내부 도체(28, 34)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L)과, 외부 전극(12, 14)을 구비한다. 내부 도체(28)는 절연체층(A14) 위에서 1턴 감기로 권회되어 있고, 이 순서로 순차 접속된 제 1 부분(28a) 내지 제 7 부분(28g)을 가진다. 제 5 부분(28e)은 제 2 장변으로부터 제 1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4 부분(28d)과 제 6 부분(28f)을 접속하도록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2) 및 단변(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Description

적층 코일 부품{LAMINATED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적층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14834호는 직사각 형상의 자성체층이 복수 적층되어 구성된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복수의 내부 도체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된 코일을 구비하는 적층 코일 부품을 개시하고 있다. 자성체층은 제 1 주연 내지 제 4 주연을 가진다. 제 1 주연 및 제 3 주연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주연 및 제 4 주연은 제 1 주연 및 제 3 주연과 서로 이웃하는 동시에, 서로 대향하고 있다.
각 내부 도체는 각각 상이한 자성체층 위에 배치되어 있다. 내부 도체는 1턴의 길이로 권회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부 도체는 제 1 부분 내지 제 5 부분을 가진다. 제 1 부분은 자성체층 위에서 제 1 주연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2 부분은 자성체층 위에서 제 2 주연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2 부분의 일단은 제 1 부분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제 3 부분은 절연층 위에서 제 3 주연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3 부분의 일단은 제 2 부분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제 4 부분은 절연층 위에서 제 4 주연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4 부분의 일단은 제 3 부분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제 4 부분의 타단은 제 1 부분과는 이간되는 동시에, 제 1 부분보다도 제 3 부분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은 절연층 위에서 제 1 주연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5 부분의 일단은 제 4 부분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 내지 제 4 부분은 직사각 형상의 가상 직사각형의 각 변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은 가상 직사각형보다도 내측으로 연신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 포화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직류 중첩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이 예의 연구한 결과,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14834호에 기재된 적층 코일 부품은 자기 포화가 발생하기 쉬워 직류 중첩 특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을 밝혀내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1-014834호에 기재된 적층 코일 부품은 내부 도체가 자성체층 위에 1턴 권회되는 구조상, 가상 직사각형보다도 내측으로 연신되는 제 5 부분을 필요로 한다. 이 제 5 부분은 제 1 부분보다도 가까운 측에 있어서 제 3 부분과 대향한다. 이로 인해, 제 3 부분과 제 5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은 제 3 부분과 제 1 부분 사이에 형성되는 영역보다도 좁아진다.
제 1 부분 내지 제 5 부분으로 순차적으로 전류가 흐른 경우, 제 3 부분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5 부분으로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반대가 된다. 이로 인해, 제 3 부분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과 제 5 부분 주위에 발생하는 자장이 상호 작용하여, 제 3 부분과 제 5 부분 사이에 보다 큰 자장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자성체층 중 제 3 부분과 제 5 부분 사이에서의 영역이 다른 영역에 앞서 자기 포화된다.
그래서, 이러한 자기 포화를 억제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이 더욱 검토를 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은 자성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직사각 형상의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소체와, 소체 내에 배치된 내부 도체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과, 코일의 일단측과 접속되는 동시에,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외부 전극과, 코일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동시에,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2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가지고, 내부 도체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서 1턴 감기로 권회되어 있고, 이 순서로 접속된 제 1 부분 내지 제 6 부분을 가지며, 제 1 부분은 한쌍의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과 한쌍의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 중 제 1 장변 위로 연신되어 있고, 제 2 부분은 제 1 단변측에서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을 접속하도록, 제 1 장변측으로부터 제 2 장변측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고, 제 3 부분은 가상 직사각형 중 제 2 장변 위로 연신되어 있는 동시에, 제 2 단변측의 단부가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4 부분은 제 2 장변으로부터 제 2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3 부분과 제 5 부분을 접속하도록 제 2 장변 및 제 2 단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고, 제 5 부분은 제 2 단변 위로 연신되어 있고, 제 1 장변측의 단부가 제 1 부분과는 이간되어 있고, 제 6 부분은 제 1 장변과 제 2 단변이 이루는 제 1 각부(角部) 근처에서 제 1 부분과 대향하도록,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에서 제 1 부분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에서는 제 1 부분과 제 6 부분이 절연체층의 제 1 각부 근처에서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에서는, 제 4 부분이 제 2 장변으로부터 제 1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3 부분과 제 5 부분을 접속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4 부분과 제 6 부분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서의 자속의 집중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서 자기 포화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자기 포화를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직류 중첩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부분은 제 1 단변으로부터 제 2 장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제 1 단변 및 제 2 장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는 부분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소체 내에서 코일과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도체와, 소체 내에서 코일과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도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며, 제 1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 중 제 1 단면 근처에 한쌍 배치되어 있고, 제 2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 중 제 2 단면 근처에 한쌍 배치되어 있고,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과 제 1 보조 도체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과 제 2 보조 도체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2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제 1 보조 도체와 코일의 일단은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 3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코일의 타단에는,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에서, 제 1 각부와 가상 직사각형 중 제 1 각부의 대각(對角)에 위치하는 제 2 각부 사이로 연신되는 제 4 접속 도체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제 2 보조 도체와 제 4 접속 도체의 타단은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서 연신되는 제 5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한쌍의 제 1 접속 도체, 제 1 보조 도체 및 제 3 접속 도체를 개재하여,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이 코일의 일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은 모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한쌍의 제 2 접속 도체, 제 2 보조 도체, 제 5 접속 도체 및 제 4 접속 도체를 개재하여,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이 코일의 타단과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은 모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이다. 따라서, 이들 외부 전극에 전기 도금이 가해질 때에, 이들 외부 전극에 적절한 전계가 인가된다. 그 결과, 이들 외부 전극에 도금을 적절히 형성할 수 있다.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며, 제 1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단면에 위치하고 있고, 제 2 외부 전극은 제 2 단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제 1 외부 전극 및 제 2 외부 전극은 모두 제 1 주면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며, 제 1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 중 제 1 단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 중 제 2 단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외부 전극과 코일의 일단은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 1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코일의 타단에는,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에서, 제 1 각부와 가상 직사각형 중 제 1 각부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2 각부 사이로 연신되는 제 2 접속 도체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제 2 접속 도체와 제 2 외부 전극은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서 연신되는 제 3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포화를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직류 중첩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한 적층 코일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 1 내부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3b는 제 2 내부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그린 시트 위에 배치된 내부 도체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그린 시트 위에 배치된 내부 도체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a는 제 1 내부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제 2 내부 도체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그린 시트 위에 배치된 내부 도체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그린 시트 위에 배치된 내부 도체의 패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하의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을 이하의 내용으로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적층 코일 부품(1)은,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는 소체(10)와, 소체(10)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과, 소체(10)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을 구비한다.
소체(10)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주면(10a, 10b)과,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면(10c, 10d)과,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단면(10e, 10f)을 가진다. 이들 외표면(10a 내지 10f)은 모두 장방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한쌍의 주면(10a, 10b)은 한쌍의 측면(10c, 10d) 및 한쌍의 단면(10e, 10f)과 이웃하고 있다. 한쌍의 측면(10c, 10d)은 한쌍의 주면(10a, 10b) 및 한쌍의 단면(10e, 10f)과 이웃하고 있다. 한쌍의 단면(10e, 10f)은 한쌍의 주면(10a, 10b) 및 한쌍의 측면(10c, 10d)과 이웃하고 있다.
한쌍의 측면(10c, 10d)은 한쌍의 주면(10a, 10b) 및 한쌍의 단면(10e, 10f)과 이웃하고 있다. 한쌍의 주면(10a, 10b)의 장변측 부분은 한쌍의 측면(10c, 10d)의 장변측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주면(10a, 10b)의 단변측 부분은 한쌍의 단면(10e, 10f)의 장변측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한쌍의 측면(10c, 10d)의 단변측 부분은 한쌍의 단면(10e, 0f)의 단변측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 평면으로 볼 때, 소체(10)는 측면(10c)과 단면(10e)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c1)와, 측면(10d)과 단면(10e)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c2)와, 측면(10c)과 단면(10f)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c3)와, 측면(10d)과 단면(10f)에 의해 형성되는 각부(c4)를 가진다.
소체(10)는,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절연체층(A10 내지 A20)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절연체층(A10 내지 A20)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절연체층(A10 내지 A2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이며, 절연체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 소체(10)에 있어서는, 각 절연체층(A10 내지 A20)은 소결에 의해 그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절연체층(A10 내지 A20)은 이 순서로 나란히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A10)의 표면(도 2에 있어서 상면)은 소체(10)의 주면(10a)에 상당한다. 절연체층(A20)의 표면(도 2에 있어서 하면)은 소체(10)의 주면(10b)에 상당한다.
절연체층(A10 내지 A20)은, 예를 들면, 페라이트(Ni-Cu-Zn계 페라이트, Ni-Cu-Zn-Mg계 페라이트, Cu-Zn계 페라이트, 또는 Ni-Cu계 페라이트 등) 등의 자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절연체층은 비자성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내부 도체(28a)가 배치되는 절연체층(A14, A16, A18)이 비자성 페라이트로 구성되고, 다른 절연체층이 페라이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절연체층(A10)의 표면(주면(10a))에는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과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이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은 주면(10a)에 있어서의 단면(10e)측의 영역, 즉 주면(10a) 중 측면(10e)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은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은 주면(10a)에 있어서의 측면(10f)측의 영역, 즉 주면(10a)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은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각 외부 전극(12, 14)은 각각 주면(10a)의 각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외부 전극(12)의 한쪽은 각부(c1)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외부 전극(12)의 다른쪽은 각부(c2)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외부 전극(14)의 한쪽은 각부(c3)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외부 전극(14)의 다른쪽은 각부(c4)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은, 평면으로 볼 때(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에서 볼 때, 또는, 주면(10a, 10b)에 대해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의 긴 방향은 주면(10a)의 긴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의 각 각부는 둥글어져 있다.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은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와 유리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은 도전성 금속 분말(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과 글래스 플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소결된 것이다. 이 도전성 페이스트의 표면에 전기 도금이 가해짐으로써, 도금층(도시하지 않음)이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의 표면에 형성된다. 상기 도금층은 예를 들면 Ni나 Sn 등에 의해 구성된다.
절연체층(A10, A11)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쌍의 스루홀 도체(16)와,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한쌍의 스루홀 도체(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16, 18)는 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16)는 주면(10a)에 있어서의 단면(10e)측의 영역, 즉 주면(10a)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스루홀 도체(16)는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각 스루홀 도체(16)는 각각, 적층 방향에서 볼 때, 각 제 1 외부 전극(12)과 중첩되어 있고, 각 제 1 외부 전극(12)과 접속되어 있다. 각 스루홀 도체(16)는 각각 각부(c1, c2)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18)는 주면(10a)에 있어서의 단면(10f)측의 영역, 즉 주면(10a)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한쌍의 스루홀 도체(18)는 주면(10a)의 단변 방향에서 이간되어 있다. 각 스루홀 도체(18)는 각각 적층 방향에서 볼 때 각 제 1 외부 전극(14)과 중첩되어 있고, 각 제 1 외부 전극(14)과 접속되어 있다. 각 스루홀 도체(18)는 각각 각부(c3, c4)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층(A12)의 표면에는 제 1 보조 도체(20) 및 제 2 보조 도체(22)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보조 도체(20)는 절연체층(A12)에 있어서 단면(10e)측의 영역, 즉 절연체층(A12)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보조 도체(20)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1 보조 도체(20)는 절연체층(A12)의 짧은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1 보조 도체(20)는, 평면으로 볼 때,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과 중첩되어 있고, 스루홀 도체(16)와 접속되어 있다. 제 1 보조 도체(20)의 면적은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외부 전극(20)은, 평면으로 볼 때, 상기 하나의 영역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보조 도체(22)는 절연체층(A12)에 있어서 단면(10f)측의 영역, 즉 절연체층(A12)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보조 도체(22)는, 평면으로 볼 때,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제 2 보조 도체(22)는 절연체층(A12)의 짧은 방향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제 2 보조 도체(22)는, 평면으로 볼 때,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4)과 중첩되어 있고, 스루홀 도체(18)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보조 도체(22)의 면적은 한쌍의 외부 전극(14)의 윤곽에 의해 구성되는 하나의 영역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외부 전극(22)은, 평면으로 볼 때, 상기 하나의 영역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층(A12, A13)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24)와,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2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24, 26)는 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24)는 절연체층(A12, A13)에 있어서 각부(c1)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24)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한쌍의 스루홀 도체(16) 중 측면(10d)측의 각부에 위치하는 한쪽 스루홀 도체(16)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한쪽 스루홀 도체(16)와 접속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26)는 절연체층(A12, A13)에 있어서 각부(c4)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26)는, 적층 방향에서 볼 때, 한쌍의 스루홀 도체(18) 중 측면(10c)측의 각부에 위치하는 한쪽 스루홀 도체(18)와 중첩되어 있고, 상기 한쪽 스루홀 도체(18)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4, A16, A18)의 표면에는 1턴 감기로 권회된 제 1 내부 도체(28)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내부 도체(28)는 주면(10a, 10b)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내부 도체(28)는 제 1 부분(28a) 내지 제 7 부분(28g)을 가진다. 제 1 부분(28a) 내지 제 7 부분(28g)은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28a)의 단부는 제 1 내부 도체(28)의 한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7 부분(28g)의 단부는 제 1 내부 도체(28)의 다른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1 부분(28a)은 절연체층(A14, A16, A18)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분(28a)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A14, A16, A18) 위에서 한쌍의 장변(T1, T2) 및 한쌍의 단변(T3, T4)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T) 중 장변(T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28a)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과 단변(T4)이 이루는 각부(c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28a)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과 단변(T3)이 이루는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28a)의 단부는 스루홀 도체(26)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부분(28b)은 절연체층(A14, A16, A18)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28b)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 중 단변(T3) 위에 위치하고 있고, 장변(T1)으로부터 장변(T2)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다. 제 2 부분(28b)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부분(28b)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와,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3) 및 장변(T2)이 이루는 각부(c7)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7)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3 부분(28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변(T3)으로부터 장변(T2)을 향하여(절연체층(A14, A16, A18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으로부터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3 부분(28c)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 근방에서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부분(28d)은 절연체층(A14, A16, A18)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4 부분(28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 중 장변(T2)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부분(28d)의 양단은 모두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7, 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5 부분(28e)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변(T2)으로부터 단변(T4)을 향하여(절연체층(A14, A16, A18)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으로부터 다른쪽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5 부분(28e)은 가상 직사각형(T)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28f)은 절연체층(A14, A16, A18)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부분(28f)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 중 단변(T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28f)의 양단은 모두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5, 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6 부분(28f) 중 장변(T1) 근처(각부(c5) 근처) 단부는 제 1 부분(28a)과는 이간되어 있다.
제 7 부분(28g)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28a)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절연체층(A14, A16, A18)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 즉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7 부분(28g)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처로부터 각부(c6) 근처를 향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제 7 부분(28g)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7 부분(28g)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방에서 제 1 부분(28a)의 단부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절연체층(A14, A16, A18)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30, 3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30, 32)는 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30)는 각부(c1) 근방에서 제 1 내부 도체(28)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32)는 제 7 부분(28g)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5, A17)의 표면에는 1턴 감기로 권회된 제 2 내부 도체(3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내부 도체(34)는 주면(10a, 10b)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내부 도체(34)는 제 1 부분(34a) 내지 제 7 부분(34g)을 가진다. 제 1 부분(34a) 내지 제 7 부분(34g)은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34a)의 단부는 제 2 내부 도체(34)의 한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7 부분(34g)의 단부는 제 2 내부 도체(34)의 다른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1 부분(34a)은 절연체층(A15, A17)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부(34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A15, A17) 위에서, 한쌍의 장변(T1, T2) 및 한쌍의 단변(T3, T4)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 중 단변(T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34a)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34a)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2 부분(34b)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변(T4)으로부터 장변(T2)을 향하여(절연체층(A15, A17)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으로부터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2 부분(34b)은 가상 직사각형(T) 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34c)은 절연체층(A15, A17)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부분(34c)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2)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34c)의 양단은 모두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7, 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4 부분(34d)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변(T2)으로부터 단변(T3)을 향하여(절연체층(A15, A17)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으로부터 다른쪽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4 부분(34d)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34e)은 절연체층(A15, A17)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5 부분(34e)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3)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34e)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와 각부(c7)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7)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5 부분(34e)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34f)은 절연체층(A15, A17)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부분(34f)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34f)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34f)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6)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5)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즉, 제 6 부분(34f)은 제 1 부분(34a)과는 이간되어 있다.
제 7 부분(34g)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34a)보다도 내측에서, 절연체층(A15, A17)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 즉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4)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7 부분(34g)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처로부터 각부(c8) 근처를 향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제 7 부분(34g)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7 부분(34g)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방에 있어서, 제 1 부분(34a)의 단부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제 7 부분(34g)은 스루홀 도체(32)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5, A1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30, 3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30, 36)는 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30)는 각부(c1)의 근방에서 제 2 내부 도체(34)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36)는 제 1 부분(34a)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4 내지 A18)에 각각 교대로 배치된 제 1 내부 도체(28) 및 제 2 내부 도체(34)가 스루홀 도체(32, 36)에 의해 순차적으로 접속되어 코일(L)을 형성하고 있다. 코일(L)의 일단은 스루홀 도체(26), 보조 도체(22) 및 스루홀 도체(18)를 개재하여, 제 2 외부 전극(14)과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9, A20)의 표면에는 약 5/8턴 감기로 권회된 접속 도체(38)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접속 도체(38)는 각각 주면(10a, 10b)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접속 도체(38)의 일단은 각부(c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접속 도체(38)의 타단은 각부(c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층(A19) 위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38)의 일단은 스루홀 도체(30)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9) 위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38)의 타단은 스루홀 도체(32)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19)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40, 4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40, 42)는 절연체층(A10 내지 A2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40)는 각부(c1)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스루홀 도체(42)는 각부(c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절연체층(A20) 위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38)의 일단은 스루홀 도체(40)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20) 위에 있어서의 접속 도체(38)의 타단은 스루홀 도체(42)와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접속 도체(38)가 소체(10) 내에 2개 이상 병렬로 배치되어 있으면, 도체의 단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절연체층(A20) 및 접속 도체(38)가 없고, 소체(10) 내에 접속 도체(38)가 1개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코일(L)의 타단은 스루홀 도체(32, 42), 접속 도체(38), 스루홀 도체(24, 40), 보조 도체(20) 및 스루홀 도체(16)를 개재하여, 제 1 외부 전극(12)과 접속되어 있다.
각 보조 도체(20, 22)는 각 외부 전극(12, 14)과 같이 하여 구성할 수 있다. 각 도체(16, 18, 24, 26, 28, 30, 32, 34, 40, 42)는 도전재(예를 들면, Ag 또는 Pd 등)를 포함하고 있다. 각 도체(16, 18, 24, 26, 28, 30, 32, 34, 40, 42)는 도전성 금속 분말(예를 들면, Ag 분말 또는 Pd 분말 등)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가 소결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의 적층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소체(10)의 주성분인 페라이트에 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절연체층(A10 내지 A20)이 되는 절연체 슬러리를 준비한다. 다음에, 도전성 금속 분말에 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각 도체(16, 18, 24, 26, 28, 30, 32, 34, 40, 42)가 되는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다음에 도전성 금속 분말에 글래스 플릿이나 바인더 등을 혼합하여, 각 보조 도체(20, 22) 및 각 외부 전극(12, 14)이 되는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다음에, 절연체 슬러리를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기재(예를 들면, PET 필름 등) 위에 도포하여 절연체 그린 시트를 형성한다. 다음에, 소정의 절연체 그린 시트에 있어서의 스루홀 도체의 형성 예정 위치에 레이저 가공에 의해 관통공을 형성한다. 다음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관통공 내에 충전하여 각 스루홀 도체(16, 18, 24, 26, 30, 32, 36, 40, 42)가 되는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체층(A12)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각 보조 도체(20, 22)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체층(A14, A16, A18)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 1 내부 도체(28)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도체 패턴(28A)과 도체 패턴(28B)끼리가 점대칭이 되도록, 복수의 도체 패턴(28A, 28B)이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배열된다. 이 경우, 스루홀 도체(30)가 형성되는 관통공이 도체 패턴(28A) 중 제 3 부분(28c) 및 제 5 부분(28e)이 되는 부분과, 도체 패턴(28B) 중제 3 부분(28c) 및 제 5 부분(28e)이 되는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들 제 3 부분(28c) 및 제 5 부분(28e)은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의 거리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관통공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할 때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제 1 도전성 페이스트가 주위로 확산되어 버린 경우(소위, 번짐이 발생한 경우)라도, 쇼트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복수의 절연체 그린 시트를 적층할 때에, 시트끼리가 양호하게 부착되기 쉬워진다.
다음에, 절연체층(A15, 17)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 2 내부 도체(34)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도체 패턴(34A)과 도체 패턴(34B)끼리가 점대칭이 되도록, 복수의 도체 패턴(34A, 34B)이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배열된다. 이 경우, 스루홀 도체(30)가 형성되는 관통공이 도체 패턴(34A) 중 제 2 부분(34b) 및 제 4 부분(34d)이 되는 부분과, 도체 패턴(34B) 중 제 2 부분(34b) 및 제 4 부분(34d)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다. 이로 인해, 상기 관통공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할 때에,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제 1 도전성 페이스트가 주위로 확산되어 버린 경우(소위, 번짐이 발생한 경우)라도, 쇼트가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복수의 절연체 그린 시트를 적층할 때에, 시트끼리가 양호하게 부착되기 쉬워진다.
다음에, 절연체층(A19, A20)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접속 도체(38)가 되는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에,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절연체 그린 시트를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적층한다. 여기에서는, 절연체 그린 시트를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하여 소정의 매수(枚數)로 적층하고, 적층 방향에서 가압하여 그린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그린 적층체를 절단기로 소정의 크기의 칩으로 절단하여 그린 칩을 얻는다(절단 공정). 얻어진 그린 칩을 배럴 연마하여 그린 칩의 모서리부(稜部)를 둥글게 해도 좋다.
다음에, 그린 칩으로부터, 각 부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를 제거한 후, 이 그린 칩을 소성한다. 이 소성에 의해, 절연체 그린 시트가 절연체층(A10 내지 A20)이 되는 동시에,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도포된 도전체 페이스트나 관통공 내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각각 각 도체(16 내지 42)가 되어, 소체(10)가 얻어진다. 얻어진 소체(10)를 배럴 연마하여 소체(10)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해도 좋다.
다음에, 소체(10)의 주면(10a)에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부여하여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체(10)에 소결하여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 및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을 형성한다.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결하여 형성한 전극 위에 도금을 가해도 좋다. 금속 도금은, 예를 들면, Ni와 Sn으로 2층 이상 형성한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도전성 페이스트를 관통공 내에 충전하여 각 스루홀 도체(16, 18, 24, 26, 30, 32, 36, 40, 42)가 되는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은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각 내부 도체(28, 34, 38)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또는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각 보조 도체(20, 22)가 되는 소정의 도전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동시에 행해져도 좋다.
각 외부 전극(12, 14)을 형성하는 방법은 이하와 같아도 좋다. 즉, 절연체층(10a)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각 외부 전극(12, 14)이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하고, 각 도체(16 내지 42)와 동시에 소성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에서는 내부 도체(28)의 한쪽 단부(제 1 부분(28a))와 다른쪽 단부(제 7 부분(28g))가 각부(c4) 근처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고 있고, 각부(c3) 근처에 위치하는 내부 도체(28)의 부분(제 5 부분(28e))이 가상 직사각형(T)보다도 내측을 통과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7 부분(28g)과 제 5 부분(28e)으로 둘러싸이는 영역이 좁아진다. 따라서, 상기 영역에 있어서의 자속의 집중이 억제되기 때문에, 상기 영역에 있어서 자기 포화되기 어려워진다. 그 결과, 자기 포화를 억제할 수 있어 보다 우수한 직류 중첩 특성을 얻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에서는,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이 제 1 보조 도체(20)를 통과하여 코일(L)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제 1 외부 전극(12)도 전기적으로 부유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본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에서는,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14)이 제 2 보조 도체(22)를 통과하여 코일(L)의 타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제 2 외부 전극(14)도, 전기적으로 부유된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이들에 의해, 각각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에 전기 도금이 가해질 때에,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에 적절한 전계가 인가되게 된다. 이 결과, 적층 코일 부품(1)에서는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에 도금을 적절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계속해서,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적층 코일 부품(2)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체(10)와,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을 구비한다. 소체(10)는,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절연체층(A21 내지 A30)이 적층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각 절연체층(A21 내지 A30)은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각 절연체층(A21 내지 A30)은 전기 절연성을 갖는 절연체이며, 절연체 그린 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실제 소체(10)에 있어서는, 각 절연체층(A21 내지 A30)은 소결에 의해 그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절연체층(A21 내지 A30)은 이 순서로 나열되도록 적층되어 있다. 절연체층(A21)의 표면(도 6에 있어서 상면)은 소체(10)의 주면(10a)에 상당한다. 절연체층(A30)의 표면(도 2에 있어서 하면)은 소체(10)의 주면(10b)에 상당한다. 절연체층(A21 내지 A30)은 절연체층(A10 내지 A20)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절연체층(A22)의 표면에는 인출 도체(44) 및 접속 도체(46)가 배치되어 있다. 인출 도체(44)는 소체(10)의 단면(10f)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단면(10f)측으로 인출되어 제 2 외부 전극(14)과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44)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단면(10f)측에 있어서 각부(c3)로부터 각부(c4)에 걸쳐 연신되어 있다. 접속 도체(46)는 각부(c4) 근방에 있어서 절연체층(A22)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절연체층(A22)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4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48)는 절연체층(A21 내지 A3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48)는 각부(c4)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스루홀 도체(48)는 접속 도체(46)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23, A25, A27)의 표면에는 1턴 감기로 권회된 제 3 내부 도체(50)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3 내부 도체(50)는 주면(10a, 10b)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내부 도체(50)는 제 1 부분(50a) 내지 제 6 부분(50f)을 가진다. 제 1 부분(50a) 내지 제 6 부분(50f)은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부분(50a)의 단부는 제 1 내부 도체(50)의 한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6 부분(50f)의 단부는 제 3 내부 도체(50)의 다른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1 부분(50a)은 절연체층(A23, A25, A27)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분(50a)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A23, A25, A27) 위에 있어서, 한쌍의 장변(T1, T2) 및 한쌍의 단변(T3, T4)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T) 중 장변(T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50a)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과 단변(T4)이 이루는 각부(c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50a)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과 단변(T3)이 이루는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50a)의 단부는 스루홀 도체(48)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부분(50b)은 절연체층(A23, A25, A27)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부분(50b)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 중 단변(T3)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부분(50b)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부분(50b)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50c)은 절연체층(A23, A25, A27)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부분(50c)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2)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50c)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50c)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4 부분(50d)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장변(T2)으로부터 단변(T4)을 향하여(절연체층(A23, A25, A27)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으로부터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4 부분(50d)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8) 근방에서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50e)은 절연체층(A23, A25, A27)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5 부분(50e)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4)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50e)의 양단은 모두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5, 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5 부분(50e) 중 장변(T1) 근처(각부(c5) 근처)의 단부는 제 1 부분(50a)과는 이간되어 있다.
제 6 부분(50f)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50a)보다도 내측에서 절연체층(A23, A25, A27)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 즉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부분(50f)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처로부터 각부(c6) 근처를 향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제 6 부분(50f)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50f)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방에서 제 1 부분(50a)의 단부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절연체층(A23, A25, A27)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5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52)는 절연체층(A21 내지 A3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52)는 제 6 부분(50f)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24, A26, A28)의 표면에는 1턴 감기로 권회된 제 4 내부 도체(54)가 배치되어 있다. 즉, 제 4 내부 도체(54)는 주면(10a, 10b)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내부 도체(54)는 제 1 부분(54a) 내지 제 6 부분(54f)을 가진다. 제 1 부분(54a) 내지 제 6 부분(54f)은 이 순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부분(54a)의 단부는 제 4 내부 도체(54)의 한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6 부분(54f)의 단부는 제 4 내부 도체(54)의 다른쪽 단부에 상당한다.
제 1 부분(54a)은 절연체층(A24, A26, A28)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부분(54a)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A24, A26, A28) 위에서 한쌍의 장변(T1, T2) 및 한쌍의 단변(T3, T4)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T) 중 단변(T4) 위에 위치하고 이다. 제 1 부분(54a)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부분(54a)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1 부분(54a)의 단부는 스루홀 도체(52)와 접속되어 있다.
제 2 부분(54b)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단변(T4)으로부터 장변(T2)을 향하여(절연체층(A24, A26, A28) 중 단면(10f)을 이루는 단변으로부터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향하여)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T2) 및 단변(T3, T4)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다. 즉, 제 2 부분(52b)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54c)은 절연체층(A24, A26, A28) 중 측면(10d)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부분(54c)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3)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3 부분(54c)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와 각부(c8)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각부(c8)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3 부분(54c)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부분(54d)은 절연체층(A24, A26, A28) 중 단면(10e)을 이루는 단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4 부분(54d)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절연체층(A24, A26, A28) 위에서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3)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부분(54d)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7)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부분(54d)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54e)은 절연체층(A24, A26, A28) 중 측면(10c)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5 부분(54e)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가상 직사각형(T)의 장변(T1)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54e)의 일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6)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제 5 부분(54e)의 타단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와 각부(c6)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각부(c5) 위에는 위치하고 있지 않다. 제 5 부분(54e) 중 단변(T4) 근처(각부(c5) 근처)의 단부는 제 1 부분(54a)과는 이간되어 있다.
제 6 부분(54f)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부분(54a)보다도 내측에 있어서, 절연체층(A24, A26, A28) 중 측면(10f)을 이루는 단변, 즉 가상 직사각형(T)의 단변(T4)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6 부분(54f)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처로부터 각부(c8) 근처를 향하도록 연신되어 있다. 제 6 부분(54f)은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6 부분(54f)은 가상 직사각형(T)의 각부(c5) 근방에서 제 1 부분(54a)의 단부와 서로 대향하고 있다.
절연체층(A24, A26, A28)에는 그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스루홀 도체(56)가 형성되어 있다. 즉, 스루홀 도체(56)는 절연체층(A21 내지 A30)의 적층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다. 스루홀 도체(56)는 제 6 부분(54f)의 단부와 접속되어 있다.
절연체층(A29)의 표면에는 인출 도체(58) 및 접속 도체(60)가 배치되어 있다. 인출 도체(54)는 소체(10)의 단면(10e)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단면(10e)측으로 인출되어, 제 1 외부 전극(12)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도체(44)는 직사각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단면(10e)측에 있어서 각부(c1)로부터 각부(c2)에 걸쳐 연신되어 있다. 접속 도체(60)는 각부(c2) 근방에 있어서 절연체층(A29) 중 단면(10e)을 이루는 장변을 따라 연신되어 있다.
절연체층(A23 내지 A29)에 각각 교대로 배치된 제 3 내부 도체(50) 및 제 4 내부 도체(54)가 스루홀 도체(52, 56)에 의해 순차 접속되어 코일(L)을 형성하고 있다. 코일(L)의 일단은 스루홀 도체(48), 접속 도체(46) 및 인출 도체(44)를 개재하여, 제 2 외부 전극(14)과 접속되어 있다. 코일(L)의 타단은 스루홀 도체(56), 접속 도체(60) 및 인출 도체(58)를 개재하여, 제 1 외부 전극(12)과 접속되어 있다.
제 1 외부 전극(12)은 단면(10e)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c, 10d) 중 단면(10e)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외부 전극(14)은 단면(10f)과, 주면(10a, 10b) 및 측면(10c, 10d) 중 단면(10f)측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계속해서, 상기의 적층 코일 부품(2)의 제조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절연체 슬러리와, 제 1 도전성 페이스트 및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준비하는 공정과, 절연체 그린 시트에 형성된 관통공 내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충전하고, 각 스루홀 도체(48, 56)를 형성하는 공정에 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이후의 공정에 관해서 설명한다.
절연체층(A22)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인출 도체(44) 및 접속 도체(46)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절연체층(A29)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인출 도체(58) 및 접속 도체(60)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다음에, 절연체층(A23, A25, A27)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 3 내부 도체(50)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도체 패턴(50A)과 도체 패턴(50B)끼리가 점대칭이 되도록, 복수의 도체 패턴(50A, 50B)이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배열된다.
다음에, 절연체층(A24, A26, A28)이 되는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제 1 도전성 페이스트를 도포하여, 제 4 내부 도체(54)가 되는 소정의 도체 패턴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이웃하는 도체 패턴(54A)과 도체 패턴(54B)끼리가 점대칭이 되도록, 복수의 도체 패턴(54A, 54B)이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배열된다.
다음에, 도체 패턴이 형성된 절연체 그린 시트를 기재로부터 박리하여 적층한다. 여기에서는, 절연체 그린 시트를 소정의 크기로 일정하게 하여 소정의 매수로 적층하고, 적층 방향에서 가압하여 그린 적층체를 얻는다. 다음에, 그린 적층체를 절단기로 소정의 크기의 칩으로 절단하여 그린 칩을 얻는다(절단 공정). 얻어진 그린 칩을 배럴 연마하여 그린 칩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해도 좋다.
다음에, 그린 칩으로부터, 각 부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를 제거한 후, 이 그린 칩을 소성한다. 이 소성에 의해, 절연체 그린 시트가 절연체층(A21 내지 A30)이 되는 동시에, 절연체 그린 시트 위에 도포된 도전체 페이스트나 관통공 내에 충전된 도전성 페이스트가 각각 각 도체(44 내지 60)가 되어 소체(10)가 얻어진다. 얻어진 소체(10)를 배럴 연마하여, 소체(10)의 모서리부를 둥글게 해도 좋다.
다음에, 소체(10)의 단면(10e, 10f) 각각에 대해 제 2 도전성 페이스트를 부여하여, 열처리를 가함으로써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체(10)에 소결하여, 제 1 외부 전극(12) 및 제 2 외부 전극(14)을 형성한다. 도전성 페이스트를 소결하여 형성한 전극 위에 도금을 가해도 좋다. 금속 도금은, 예를 들면, Ni와 Sn으로 2층 이상 형성한 다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2)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르는 적층 코일 부품(1)과 같은 효과를 나타낸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내부 도체(28)의 제 3 부분(28c)과, 제 2 내부 도체(34)의 제 4 부분(28d)이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있었지만, 가상 직사각형(T)을 따라 직각으로 제 1 내부 도체(28) 및 제 2 내부 도체(34)가 연신되어 있어도 좋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3 내부 도체(50) 중 각부(c1)의 근방 부분과, 제 4 내부 도체(54) 중 각부(c1)의 근방 부분이 가상 직사각형(T)을 따라 직각으로 연신되어 있었지만, 제 3 내부 도체(50) 및 제 4 내부 도체(54) 중 각부의 근방 부분이 가상 직사각형(T)의 내측을 통과하도록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어도 좋다.

Claims (6)

  1. 자성체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직사각 형상의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구성된 소체와,
    상기 소체 내에 배치된 내부 도체에 의해 구성되는 코일과,
    상기 코일의 일단측과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코일의 타단측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소체의 외표면에 배치된 제 2 외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을 가지며,
    상기 내부 도체는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 직교하는 가상 평면 위에서 1턴 감기로 권회되어 있고, 이 순서로 접속된 제 1 부분 내지 제 6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분은 한쌍의 제 1 장변 및 제 2 장변과 한쌍의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에 의해 구성된 가상 직사각형 중 상기 제 1 장변 위를 연신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단변측에서 상기 제 1 부분 및 제 3 부분을 접속하도록, 상기 제 1 장변측으로부터 상기 제 2 장변측을 향하여 연신되어 있고,
    상기 제 3 부분은 상기 가상 직사각형 중 상기 제 2 장변 위를 연신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제 2 단변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단변 및 제 2 단변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제 4 부분은 상기 제 2 장변으로부터 상기 제 2 단변을 향하여 상기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제 3 부분과 상기 제 5 부분을 접속하도록 상기 제 2 장변 및 상기 제 2 단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어 있고,
    상기 제 5 부분은 상기 제 2 단변 위를 연신하어 있고, 상기 제 1 장변측의 단부가 상기 제 1 부분과는 이간되어 있고,
    상기 제 6 부분은 제 1 장변과 상기 제 2 단변이 이루는 제 1 각부 근처에서 제 1 부분과 대향하도록, 상기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에서 상기 제 1 부분을 따라 연신되어 있는, 적층 코일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단변으로부터 상기 제 2 장변을 향하여 상기 가상 직사각형의 내측을 통과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단변 및 상기 제 2 장변에 대해 비스듬하게 연신되는 부분을 갖는, 적층 코일 부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 내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보조 도체와,
    상기 소체 내에서 상기 코일과 상기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보조 도체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 중 상기 제 1 단면 근처에 한쌍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 중 상기 제 2 단면 근처에 한쌍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제 1 보조 도체는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제 2 외부 전극과 상기 제 2 보조 도체는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2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보조 도체와 상기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 3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코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각부와 상기 가상 직사각형 중 상기 제 1 각부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2 각부 사이로 연신되는 제 4 접속 도체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보조 도체와 상기 제 4 접속 도체의 타단은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서 연신되는 제 5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코일 부품.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단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제 2 외부 전극은 상기 제 2 단면에 위치하고 있는, 적층 코일 부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외부 전극 및 제 2 외부 전극은 모두 상기 제 1 주면에 위치하고 있는, 적층 코일 부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체는 서로 대향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 사이로 연신되는 한쌍의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 중 상기 제 1 단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 중 상기 제 2 단면 근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외부 전극과 상기 코일의 일단은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으로 연신되는 제 1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코일의 타단에는, 상기 제 1 단면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에서, 상기 제 1 각부와 상기 가상 직사각형 중 상기 제 1 각부의 대각에 위치하는 제 2 각부 사이로 연신되는 제 2 접속 도체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2 접속 도체와 상기 제 2 외부 전극은 상기 제 1 주면 및 제 2 주면의 대향 방향에서 연신되는 제 3 접속 도체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코일 부품.
KR20130167150A 2013-02-13 2013-12-30 적층 코일 부품 KR101483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5845A JP6221250B2 (ja) 2013-02-13 2013-02-13 積層コイル部品
JPJP-P-2013-025845 2013-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120A KR20140102120A (ko) 2014-08-21
KR101483935B1 true KR101483935B1 (ko) 2015-01-19

Family

ID=51576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67150A KR101483935B1 (ko) 2013-02-13 2013-12-30 적층 코일 부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221250B2 (ko)
KR (1) KR101483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7829B2 (ja) * 2015-05-30 2017-09-2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表面実装インダクタ
CN208722717U (zh) * 2015-12-25 2019-04-09 株式会社村田制作所 低矮电感器
JP6828555B2 (ja) 2017-03-29 2021-02-10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80589B2 (ja) * 2017-06-02 2020-11-0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
JP7238622B2 (ja) * 2019-06-21 2023-03-14 Tdk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JP7373930B2 (ja) 2019-06-28 2023-11-06 太陽誘電株式会社 積層コイル部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802A (ko) * 2001-02-19 2002-10-1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형 임피던스 소자
JP2003017327A (ja) 2001-06-29 2003-01-17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JP2004303776A (ja) 2003-03-28 2004-10-28 Mitsubishi Materials Corp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0970A (ja) 2006-11-24 2008-06-05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3210B2 (ja) * 2009-10-20 2012-12-12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240221B2 (ja) * 2010-03-25 2013-07-17 Tdk株式会社 積層型インダクタ、及び積層型インダクタの製造方法
JP5454684B2 (ja) * 2010-06-09 2014-03-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電子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5707988B2 (ja) * 2011-02-04 2015-04-30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イル内蔵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dc−dcコンバータ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7802A (ko) * 2001-02-19 2002-10-14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적층형 임피던스 소자
JP2003017327A (ja) 2001-06-29 2003-01-17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JP2004303776A (ja) 2003-03-28 2004-10-28 Mitsubishi Materials Corp 積層型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0970A (ja) 2006-11-24 2008-06-05 Fdk Corp 積層インダ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120A (ko) 2014-08-21
JP2014154839A (ja) 2014-08-25
JP6221250B2 (ja) 2017-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3935B1 (ko) 적층 코일 부품
KR101555189B1 (ko) 적층 코일 부품
US7579937B2 (en) Laminated inductor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ame
JP6528636B2 (ja) 積層コイル部品
JP6569457B2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部品が実装された回路基板
CN109698063B (zh) 层叠线圈部件及其制造方法
US9947455B2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US20140022042A1 (en) Chip device, multi-layered chip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TW201802840A (zh) 積層線圈零件
JP7235088B2 (ja) 積層型電子部品
JP6569458B2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部品が実装された回路基板
US11139112B2 (en) Electronic component
JP2020102491A (ja) 積層コイル部品
JP6264774B2 (ja) 積層型コイル部品
US10998129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d coil component
US9058923B2 (en) Electronic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25455A (ja) 積層コイル部品
JP2012204475A (ja) 積層電子部品
JP5999119B2 (ja) インダクタ
US20230230737A1 (en) Multilayer coil component
JP2014160714A (ja) 積層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28667B1 (ko) 적층 세라믹 전자 부품
JP2018056190A (ja) 積層型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6565580B2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イル部品が実装された回路基板
JP2021093450A (ja) コイル部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