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411B1 -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 Google Patents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411B1
KR101552411B1 KR1020137023039A KR20137023039A KR101552411B1 KR 101552411 B1 KR101552411 B1 KR 101552411B1 KR 1020137023039 A KR1020137023039 A KR 1020137023039A KR 20137023039 A KR20137023039 A KR 20137023039A KR 101552411 B1 KR101552411 B1 KR 101552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wire
connection structure
sealing member
termi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3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2668A (ko
Inventor
츠토무 타카야마
타카히토 나카시마
히로시 고바야시
사오리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22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2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70Insulation of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2Connections between conductors of different materials; Connections between or with aluminium or steel-core aluminium conductors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도체(11)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10)이 압착부(22)에 의해 단자(20)에 접속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는 상대 단자 접속부(21)와 압착부(22)사이에 제공되고, 도체(11)의 단부(11a)를 수용하는 하우징부(31)를 구비하는 중간부(30); 하우징부(31)에 맞추어지는 중간부 밀봉 부재(50); 및 전선(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중간부(30)로부터 전선(10)이 절연 피복 부재(12)로 덮이는 절연 피복 영역(AR2)까지의 부분을 덮는 중공 피복 부재(6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AL WIRING AND TERMINAL}
본 발명은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구리 재료로 만들어진 도체를 구비하는 전선과, 구리 재료로 만들어진 단자가 서로 연결된 신호선들과 전력선들이 자동차, 소비자 전자제품 등에서 사용되어 왔다.
반면, 자동차 산업에서, 환경에 대한 영향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차량의 무게를 줄여 연료 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결국, 도체 재료로서 구리보다 가벼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전선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상기 알루미늄 전선은, 알루미늄은 물과 구리 이온의 존재로 인해 부식하기 쉬우며, 따라서 물이 알루미늄 도체와 구리 단자 사이에 들어가는 경우 부식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상기 문제로 인해, 전선 및 단자에 대한 접속 구조가 제안되어, 알루미늄 도체와 구리 단자의 접속 부분을 열수축 튜브로 덮어서 물의 침입을 방지하여 부식을 예방한다(특허 문헌 1 참조).
JP-A-2010-165630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전선과 단자 접속 구조에서, 피복 부재로 덮인 도체를 구비하는 전선이, 접촉부와 전선 배럴부 사이의 중간 연결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단자에 연결된다.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는 도체가 전선 배럴부에 고정되는 도체 접속부를 구비한다. 도체 접속부는 열수축 튜브인 방수 튜브로 덮인다. 중간 접속부와 그 주변은 작은 틈 없이 방수 튜브의 단자측 단부로 덮인다.
그러나, 단자 형태에 있어서 큰 폭의 변동성이 존재한다. 열 수축 튜브와 같은 중공의 피복 부재로 덮기가 어려운 형태의 단자가 존재하여, 단자의 외부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이런 단자의 경우, 방수 성능은 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상황에서 만들어졌으며, 본 발명의 목적은 물 침투를 보다 신뢰 가능하게 방지하고 또한 중공의 피복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구성을 통해 상기 문제를 해결한다.
(1)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로서, 상대 단자에 연결되는 상대 단자 접속부, 전선 도체에 압착되는 압착부를 구비하는 단자, 및 절연 피복부재가 단부에서 제거되어 도체가 외부로 노출되는 전선을 구비하며, 전선은 압착부에 의해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는, 상대 단자 접속부와 압착부 사이에 제공되고 외부에 노출되어 도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중간부; 하우징부에 맞추어지는 중간부 밀봉 부재; 및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간부로부터 전선이 절연 피복 부재로 덮이는 절연 피복 영역까지의 부분을 덮는 중공피복 부재를 포함한다.
(2) 상기 (1)을 따르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로서,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3) 상기 (2)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로서, 하우징부는 바닥벽, 바닥벽의 양측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쌍, 및 측벽 쌍 중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돌기를 포함하고, 중간부 밀봉 부재는 돌기가 하우징부 안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4) 상기 (1) 내지 (3)중 어느 하나의 구성을 따르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구조에서, 중간부 밀봉부재는 중공 피복 부재용 위치설정부를 구비하고, 위치 설정부는 상대 단자 접속 부에 대향하는, 중간부 밀봉부재의 단부이며, 단부의 위치에 배치되어, 플랜지 방식으로 돌출하여 단자의 외주에 부합하며, 단자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5) (1)을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밀봉-부재-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단자의 중간부는 단자-측 결합부를 구비하며, 중간부 밀봉 부재는 밀봉-부재-측 결합부와 단자-측-결합부간 결합 결과 하우징부에 고정된다.
(6) (1), (2), (4) 및 (5)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하우징부는 바닥벽, 바닥벽의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쌍, 및 측벽쌍 중 어느 하나의 상단에서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며, 돌기는 중간부 밀봉부재에 압착된다.
(7) (1) 내지 (6) 중 어느 하나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단자는 바닥부의 일부이며 압착부의 단부에서 절연 피복 영역의 지점까지 연장하는, 압착부의, 전선 지지부를 구비한다.
(1)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는, 상대 단자 접속부와 압착부사이에 제공되고, 외부에 노출되어 도체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중간부; 하우징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중간부 밀봉 부재; 및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하고 중간부로부터 전선이 절연 피복 부재로 덮이는 절연 피복 영역까지 부분을 덮는 중공 피복 부재를 포함한다. 그 결과 중공 피복 부재로 덮인 부분의 외부 형태는 중간부 밀봉 부재에 의해 단순화되어, 중공 피복 부재는 더욱 쉽게 단자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로 인해 물의 침입은 더욱 신뢰성 있게 방지되고 또한 중공의 밀봉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식을 예방할 수 있다.
(2)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하우징부에서 규정된 위치에서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3)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하우징부는 바닥벽, 바닥벽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 쌍, 측벽 쌍에서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고, 중간부 밀봉 부재는 돌기가 하우징부 안으로 구부러진 상태에서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따라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하우징부에서 규정된 위치에서 더욱 강하게 고정될 수 있다.
(4)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중공 피복 부재용 위치설정부를 구비하여, 단부의 위치에서 위치설정되어 단자의 외주에 부합하도록 플랜지 방식으로 돌출한 위치설정부는 중간부 밀봉 부재의 단부이고 상대 단자 접속부에 대향하며, 단자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공의 밀봉 부재가 단자에 부착되면, 중공 밀봉 부재의 일단이 중공 밀봉 부재의 위치설정부에 접촉하게 되는 위치가 중공 밀봉 부재 부착의 참조 위치로 사용된다. 그 결과, 중공 밀봉 부재는 규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고, 방수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5)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밀봉 부재 측 결합부와 단자측 결합부간의 결합의 결과로 하우징 부에 고정된다. 따라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하우징부에서 규정된 위치에 신뢰가능하게 고정된다.
(6)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에서, 하우징부는 바닥벽, 바닥벽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쌍 및 측벽쌍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고, 돌기는 중간부 밀봉 부재에 압착된다. 따라서, 중간부 밀봉 부재는 하우징부에 규정된 위치에 더욱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다.
(7)의 구성을 구비하는 전선 및 단자에 대한 접속 구조에서, 단자는 압착부의 바닥벽의 일부인 전선 지지부를 구비하며, 압착부의 단부로부터 절연 피복 영역에서의 위치까지 연장된다. 전선 지지부가 중공 밀봉 부재와 함께 도체 노출 영역과 절연 피복 영역 사이에 위치한 경계 영역에 존재하는 도체의 부분을 지지하기 때문에, 경계 영역에서 구부러지는 것을 통한 손상으로부터, 도체는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간부 밀봉 부재가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되는 것에 대한 예시적 절차를 도시하는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 대한 변형예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에 대한 접속 구조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선 및 단자에 대한 접속 구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중공의 밀봉 부재의 부착 절차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가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에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조립된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중간부 밀봉 부재가 단자(20)와 통합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따르는 예시적 절차를 도시하는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는 전선(10), 단자(20) 및 방수 밀봉 부재(40)를 구비한다.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에서, 전선(10)의 도체(11), 및 단자(20)는 서로 접속되고, 도체(11)는 방수 밀봉 부재(40)로 덮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우선, 전선(10)이 기술된다.
예를 들어, 전선(10)은,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도체들인 복수의 심선들을 함께 꼬아 형성되는 도체(11)와 도체(11)를 덮고,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절연 물질로 만들어지는 절연 피복 부재(12)를 구비한다. 전선(10)은 도체 노출 영역(AR1)과 절연 피복 영역(AR2)을 구비하고, 도체 노출 영역(AR1)은, 단자(20) 접속 측에서, 절연 피복 부재(12)의 단부가 제거되고 따라서 노출되는 영역이며, 절연 피복 영역은 도체(11)가 절연 피복 부재(12)로 덮이는 영역이다.
다음, 단자(20)가 기술된다.
예를 들어, 단자(20)는 구리와 같은 도체로 만들어진 판형 부재를 가압하여 형성된다. 단자(20)는 상대 단자 접속부(21), 압착부(22) 및 중간부(30)를 구비한다.
상대 단자 접속부(21)는 장방형 실린더 형상이며, 상대 단자가 실린더에서 규정된 위치로 삽입되어 단자(20)에 대한 접속을 성립시키는 부분이다.
압착부(22)는 도체 노출 영역(AR1)에 있는 도체(11)의 부분으로 압착되는 압착 배럴이다. 전선(10)과 단자(20)는 압착부(22)에 의해 서로 접속된다. 도체(11)는 도체-노출 영역(AR1)에 있는 압착부(22) 주변 영역에서 외부에 노출되는 경향이 있다.
중간부(30)는 상대 단자 접속부(21)와 압착부(22)사이에 위치하여 그들을 연결한다.
중간부(30)는 단자(20)에 의해 지지되는 전선(10) 연장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취해진 단면에서 오목형상을 구비한다. 중간부(30)는 볼록 형상의 바닥에 대응하는 바닥벽(30a)과 바닥벽(30a)의 양 에지로부터 상방으로 직립한 측벽(30b)쌍을 구비한다. 따라서, 압착부(22)가 압착되는 도체의 단부(11a)가 바닥벽(30a)과 측벽쌍(30b)으로 구성되는 하우징부(31)에 배치된다.
중간부(30)는 측벽(30b)쌍 중 하나의 상단(30bb)으로부터 돌출한 돌기(32)를 구비한다.
돌기(32)는 중간부(30)에 배치되는 중간부 밀봉 부재(이후 기술)위로 압착되어 중간부 밀봉 부재가 중간부(30)에서 규정된 위치에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 방수 밀봉 부재(40)가 기술된다.
방수 밀봉 부재(40)는 중간부 밀봉 부재(50)와 중공 피복 부재(60)를 구비한다.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하우징부(31)의 내부 하우징 공간 형상에 부합하도록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대략 평행 직육면체형으로 형상화되어 거의 간격 없이 하우징부(31)내에 수용된다. 즉,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하우징부(31)에 맞추어진다.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수지나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부(31)내 다이면 맞춤편 T 셋트로 후프 성형으로 불리는 것을 수행함으로써,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단자(20)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중공 밀봉 부재(60)는 수축성의 튜브이며, 중간부(30)에서 절연 밀봉 영역(AR2)까지의 부분을 덮는다. 따라서, 중공 밀봉 부재(60)는 물이 중간부(30)에서부터 절연 피복 영역(AR2)까지의 부분들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체(11)가 도체-노출-영역(AR1)과 절연 피복 영역(AR1) 간의 경계에서 구부러지는 것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중공 피복 부재(60)의 중간부(30)측 단부는 단자(20)에 밀접하여 중간부(30)의 외부 표면과 중간부 밀봉 부재(50)의 표면을 덮는다. 따라서, 중공 피복 부재(60)는 하우징부(31)의 내부 표면에 밀접하게 접촉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1)의 접속 구조는 상대 단자 접속부(21)와 압착부(22)사이에 제공되며, 외부에 노출된, 도체(11)의 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부(31)를 구비하는 중간부(30); 하우징부(31)에 맞추어지는 중간부 밀봉 부재(50); 및 전선(1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하고, 중간부(30)에서 전선(10)이 절연 밀봉 부재(12)로 덮이는 절연 밀봉 영역(AR2)까지의 부분을 덮는 중공 밀봉 부재(60)를 구비한다. 그 결과, 중공 밀봉 부재(60)로 덮인 부분의 외부 형상이 중간부 밀봉 부재(50)에 의해 단순화되어, 중공 밀봉 부재(60)는 더욱 쉽게 단자의 표면과 밀접하게 접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더욱 신뢰성있게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중공 피복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단자(20)와 통합적으로 성형되므로,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하우징부(31)에서 규정된 위치에서 신뢰성있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가 하우징부(31)내에서 규정된 위치에 위치할 때, 돌기(32)가 중간부 밀봉 부재(50)상으로 압착되므로,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하우징부(31)에서 규정된 위치에 더욱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변형예)
이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의 변형예가 도 4를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의 변형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가 단자(20)와 통합적으로 성형된 이후, 돌기(32)는 중간부 밀봉 부재(50)상으로 압착된다. 반대로, 상기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2)에서, 돌기(32)가 하우징부(31)로 구부러진 이후(도 4의 (a) 참조), 중간부 밀봉부재(50)는 단자(20, 도 4의 (b) 참조)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타 구성 요소들은 기상술된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주어진다.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2)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가 구부러진 돌기(32)와 통합적으로 형성되므로, 중간부 밀봉 부재(50)는 하우징부(31)에서 규정된 위치에서 더욱 강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2)는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는 중간부 밀봉 부재(50)와 단자(20)를 대신하여, 각각 중간부 밀봉 부재(51)와 단자(23)를 구비한다.
중간부 밀봉 부재(51)는 밀봉 부재측 결합부(51b)를 구비하는 점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와 다르다.
단자(23)는 단자측 결합부(23a)를 구비하는 점에서 단자(20)와 다르다.
타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밀봉 부재 측 결합부(51b)는 중간부 밀봉 부재(51)의 두 개의 측 표면 (51a)각각에 형성된 리브의 쌍이며 상부-바닥 방향으로 연장된다.
단자측 결합부(23a)는 중간부(30)의 두 개의 측 벽(30b)각각에서 형성된 그루브 쌍이며 각각의 밀봉부재측 결합부(51b)에 대응하며, 상부-바닥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성의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에서, 밀봉 부재측 결합부(51b)는 각각의 단자측 결합부(23a)와 결합되어, 중간부 밀봉부재(51)는 하우징부(31)에 위치하여 규정된 위치에서 고정된다.
제 2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3)는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변형예1)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제 1 변형예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4)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제 1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4)에서, 중간부 밀봉부재(52)는 밀봉-부재-측 결합부(51b) 대신 밀봉-부재-측 결합부(52a)를 구비하고, 단자-측 결합부(23a) 대신 단자-측 결합부(24a)를 구비한다.
타 구성요소들은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며,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밀봉-부재-측 결합부(52b)는 중간부 밀봉 부재(52)의 두 개의 측 표면(52a)각각에 형성되는 원통형 돌기의 쌍이며, 원통형으로 돌출한다.
단자-측 결합부(24a)는 중간부(30)의 두 개의 각 측벽(30b)에서 형성되는 원형의 개구쌍으로, 각 밀봉-부재-측 결합부(52b)에 대응한다.
상기 구성의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4)에서, 밀봉-부재-측 결합부(52b)는 각 단자-측 결합부(24a)와 결합하여, 중간부 밀봉 부재(52)는 하우징부(31)의 규정된 위치에서 위치설정되어 고정된다.
(변형예 2)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제 2 변형예가 기술될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5)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제 2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5)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3)는 밀봉-부재-측 결합부(51b) 대신 밀봉-부재-측 결합부(53b)를 구비하고, 단자(25)는 단자-측 결합부(23a) 대신 단자-측 결합부(25a)를 구비한다.
밀봉-부재-측 결합부(53b)는 중간부 밀봉 부재(53)의 바닥표면(53a)에 형성된 리세스이다.
단자-측 결합부(25a)는 중간부(30)의 바닥벽(30a) 위에 형성된 랜스(lance)이며 밀봉-부재-측 결합부(53b)에 대응한다.
상기 구성의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5)에서, 밀봉-부재-측 결합부(53b)는 단자-측 결합부(25a)와 결합되어, 중간부 밀봉부재(53)는 하우징부(31)의 규정된 위치에 위치설정되어 고정된다.
(변형예 3)
다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제 3 변형예가 도 9를 참조로 하여 기술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3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6)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사시도이다.
제 3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6)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4)는 밀봉-부재-측 결합부(51b) 뿐만 아니라, 제 2 밀봉-부재-측 결합부(54b)를 구비하고, 단자-측 결합부(23a)에 더하여 제 2 단자-측 결합부(26a)를 구비한다.
제 2 밀봉-부재-측 결합부(54b)는 중간부 밀봉 부재(54)의 바닥 표면(54a)에 형성되는 반구형 리세스이다
제 2 단자-측 결합부(26a)는 중간부(30)의 바닥벽(30a) 상에 형성되는 반구형 돌기이며 제 2 밀봉-부재-측 결합부(54b)에 대응한다.
상기 구성의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6)에서, 밀봉-부재-측 결합부(51b)는 단자-측 결합부(23a)와 결합하고 제 2 밀봉-부재-측 결합부(54b)는 제 2 단자-측 결합부(26a)와 결합하여, 중간부 밀봉부재(54)는 하우징부(31)의 규정된 위치에서 위치설정되어 고정된다.
(실시예 3)
이하, 도 10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및 단자 접속 구조(7)가 기술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7)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중공 피복 부재(60)의 부착 과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7)의 중간부 밀봉 부재(55)는, 위치설정부(56)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중간부 밀봉부재(50)와 다르다.
타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었다.
위치 설정부(56)는 중공 피복 부재(60)를 위치설정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부분이다. 위치 설정부(56)는, 상대 단자 접속부(21)에 대향하는, 중간부 밀봉 부재(55)의 단부(56a)이며, 단자(20)의 외주에 부합하도록 플랜지 방식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중간부 밀봉 부재(55)의 단부(56a)의 위치에 배치되며, 단자(20)와 통합적으로 형성된다.
제 3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7)에서, 중공 피복 부재(60)가 단자(20)에 부착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 피복 부재(60)의 일 단이 위치설정부(56)와 접촉하게 되는 위치가 중공 피복 부재(60) 부착의 참조 위치로 사용된다. 그 결과, 중공 피복 부재(60)는 규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고, 따라서 방수 성능이 향상된다.
(변형예)
다음,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예가 기술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8)의 도면이다.
본 변형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8)에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사용된 중간부 밀봉 부재(50)처럼, 중간부 밀봉 부재(55)는 돌기(32)가 구부러진 이후 단자(20)와 통합적으로 성형된다.
(실시예 4)
다음,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9)는 도 13 내지 14를 참고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9)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9)의 측면도이다.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9) 접속 구조는,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단자(20) 대신 단자(27)를 구비한다. 단자(27)는, 전선 지지부(27a)를 추가 구비한다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에 사용된 단자(20)와 다르다.
타 구성 요소들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여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한다.
전선 지지부(27a)는 도체-노출 영역(AR1)과 절연 피복 영역(AR2) 사이의 경계 영역(AR3)에 존재하는 도체(11)의 부분을 지지한다. 전선 지지부(27a)는, 압착부(22)의 바닥부(22b)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압착부(22)의 단부(22a)에서 절연 피복 영역(AR2)의 임의 영역까지 연장된다.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9)에서, 전선 지지부(27a)가, 중공 피복 부재(60)와 함께, 도체-노출 영역(AR1)과 절연 피복 영역(AR2)간의 경계 영역(AR3)에 존재하는 도체(11)의 일부를 지지하므로, 도체(11)가 경계 영역에서 구부러지는 것을 통해 손상되는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를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1,2,3,4,5,6,7,8,9)에서, 중간부 밀봉 부재(50,51,52,53,54,55) 각각은 대략 평행 직육면체와 같은 형상을 구비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예시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각 중간부 밀봉 부재(50,51,52,53,54,55)는 하우징부에 맞추어질 수 있다면 타 형상도 구비할 수 있다.
발명자에 의해 만들어진 본 발명은, 실시예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실시예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영역과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채로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1년 3월 31일 제출된 일본 특허 출원 2011-077247에 기초하며, 그 개시 내용은 참고적으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는, 신뢰가능하게 물의 침투를 방지하고 중공 피복 부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1,2,3,4,5,6,7,8,9 :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10 : 전선
10a : 단부
11 : 도체
11a : 단부
12 : 절연 피복 부재
20, 23, 24, 25, 26, 27 : 단자
21 : 상대 단자 접속부
22 : 압착부
22a : 단부
22b : 바닥부
23a, 24a, 25a : 단자-측 결합부
26a : 제 2 단자-측 결합부
27a : 전선 지지부
30 : 중간부
30a : 바닥벽
30b: 측벽
30bb : 상단
31 : 하우징부
32 : 돌기
40 : 방수 밀봉 부재
50,51,52,53,54,55 : 중간부 밀봉 부재
51a,52a : 측표면
51b,52b,53b : 밀봉-부재-측 결합부
53a, 54a : 바닥 표면
54b : 제 2 밀봉-부재-측 결합부
56 : 위치설정부
56a : 단부
60 : 중공 피복 부재
AR1 : 도체 노출 영역
AR2 : 절연 피복 영역
AR3 : 경계 영역

Claims (11)

  1.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로서, 상기 단자는 상대 단자가 접속되는 상대 단자 접속부 및 전선의 도체에 압착되는 압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에서, 절연 피복 부재가 단부에서 제거되고 상기 도체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선은 상기 압착부에 의해 상기 단자에 연결되는, 상기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에 있어서,
    상기 상대 단자 접속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에 제공되고, 외부에 노출된, 상기 도체의 단부의 말단 부분을 수용하는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중간부;
    상기 하우징부에 맞추어지는 중간부 밀봉 부재; 및
    상기 전선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중간부로부터 상기 전선이 상기 절연 피복 부재로 덮이는 절연 피복 영역까지의 부분을 덮는 중공 피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제1결합부를 갖고, 상기 단자의 중간부는 제2결합부를 갖고,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 사이의 결합에 의해 상기 중간부에 위치되며,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중공 피복 부재를 위치설정하기 위한 위치 설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설정부는, 상기 상대 단자 접속부에 대향하는,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의 단부이며, 플랜지 방식으로 돌출하여, 상기 단부의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단자의 외주에 부합하고, 상기 단자와 통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상기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의 쌍, 및 상기 측벽의 쌍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며; 및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상기 돌기가 상기 하우징부에서 구부러진 상태에서 상기 단자와 통합적으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밀봉-부재-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의 상기 중간부는 단자-측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는 상기 밀봉-부재-측 결합부와 상기 단자-측 결합부간의 결합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의 쌍, 및 상기 측벽의 쌍 중 어느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중간부 밀봉 부재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바닥벽, 상기 바닥벽의 양 에지로부터 직립한 측벽의 쌍, 및 상기 측벽의 쌍 중 하나의 상단으로부터 돌출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돌기는 중간부 밀봉 부재에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부분인 전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지지부는 상기 압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절연 피복 영역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부분인 전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지지부는 상기 압착부의 단부에서 상기 절연 피복 영역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부분인 전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지지부는 단부로부터 절연 피복 영역의 일 영역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상기 압착부의 바닥부의 부분인 전선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선 지지부는 상기 압착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절연 피복 영역에서 일 영역까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및 단자 접속 구조.
KR1020137023039A 2011-03-31 2012-03-28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KR1015524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77247 2011-03-31
JP2011077247A JP5792494B2 (ja) 2011-03-31 2011-03-31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PCT/JP2012/058256 WO2012133589A1 (ja) 2011-03-31 2012-03-28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668A KR20130122668A (ko) 2013-11-07
KR101552411B1 true KR101552411B1 (ko) 2015-09-10

Family

ID=46931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3039A KR101552411B1 (ko) 2011-03-31 2012-03-28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93759B2 (ko)
JP (1) JP5792494B2 (ko)
KR (1) KR101552411B1 (ko)
CN (1) CN103430390B (ko)
DE (1) DE112012001517B4 (ko)
WO (1) WO2012133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4583B2 (ja) 2010-11-26 2015-03-11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と端子の接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252900A (ja) * 2011-06-03 2012-12-20 Yazaki Corp 接続端子及び接続端子の製造方法
JP5772643B2 (ja) * 2012-02-10 2015-09-0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
CN104094470B (zh) * 2012-08-07 2015-10-21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压接端子、连接构造体、连接器、线束以及压接端子的制造方法、连接构造体的制造方法
JP6216620B2 (ja) * 2013-11-13 2017-10-1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防水構造
JP6020436B2 (ja) * 2013-12-16 2016-11-0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接続用の端子および該端子の電線接続構造
JP2017195137A (ja) * 2016-04-22 2017-10-2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被覆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DE102017113837B3 (de) * 2017-06-22 2018-03-29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m abdichten eines fügebereichs einer elektrischen verbindungsanordnung und elektrische verbindungsanordnu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970A (ja) 2007-01-17 2008-07-31 Komatsu Ltd 圧着端子
JP2010049941A (ja) 2008-08-21 2010-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08611A (en) * 1972-02-14 1973-01-02 Amp Inc Heat shrinkable preinsul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JP2002025647A (ja) * 2000-07-03 2002-01-25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端末部の防水構造
JP3866107B2 (ja) * 2002-01-09 2007-01-1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端子
DE202005000665U1 (de) * 2005-01-12 2005-03-17 Volkswagen Bordnetze Gmbh Elektrisches Verbindungselement, insbesondere Ringkabelschuh
DE102006009035A1 (de) 2005-02-28 2006-09-07 Yazaki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Metallklemme und durch das Verfahren hergestellte Metallklemme
JP4592460B2 (ja) * 2005-03-23 2010-12-01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US7422480B1 (en) * 2007-04-20 2008-09-09 Delphi Technologies, Inc. Shielded electric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and method for making same
JP2008293810A (ja) * 2007-05-25 2008-12-0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9230998A (ja) * 2008-03-21 2009-10-08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
JP5191814B2 (ja) * 2008-06-13 2013-05-08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JP5391700B2 (ja) * 2009-01-19 2014-01-1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付き電線
JP2010182507A (ja) * 2009-02-04 2010-08-19 Toshiba Corp 燃料電池
JP2010201289A (ja) * 2009-02-27 2010-09-16 Micro Powtec Kk 微粉砕装置
JP2011029102A (ja) * 2009-07-29 2011-02-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ハーネス及びハーネスの製造方法
JP5495203B2 (ja) * 2009-09-24 2014-05-21 矢崎総業株式会社 圧着部の防水処理方法
JP2011077247A (ja) 2009-09-30 2011-04-14 Fujitsu Ltd ヒートシンク
JP3159035U (ja) * 2010-02-04 2010-05-06 定一 羅 電源プラグ
CN103069660B (zh) 2010-08-06 2016-03-09 株式会社自动网络技术研究所 具有端子的电线及连接器
JP5510738B2 (ja) * 2010-09-08 2014-06-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5510742B2 (ja) * 2010-08-06 2014-06-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端子金具付き電線、連鎖端子及び端子金具付き電線の製造方法
JP5510739B2 (ja) * 2010-09-08 2014-06-0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
JP5434847B2 (ja) * 2010-08-17 2014-03-05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JP5652085B2 (ja) * 2010-09-28 2015-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及び端子付電線
JP5549617B2 (ja) * 2011-02-14 2014-07-1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付き電線
JP5578105B2 (ja) * 2011-02-14 2014-08-27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金具付き電線
JP2012169121A (ja) * 2011-02-14 2012-09-06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金具付き電線および端子金具
JP2012185984A (ja) * 2011-03-04 2012-09-27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金具付き電線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76970A (ja) 2007-01-17 2008-07-31 Komatsu Ltd 圧着端子
JP2010049941A (ja) 2008-08-21 2010-03-04 Sumitomo Wiring Syst Ltd 電線と端子金具との接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2668A (ko) 2013-11-07
CN103430390B (zh) 2016-04-06
JP2012212545A (ja) 2012-11-01
US9093759B2 (en) 2015-07-28
DE112012001517T5 (de) 2013-12-24
WO2012133589A1 (ja) 2012-10-04
JP5792494B2 (ja) 2015-10-14
DE112012001517B4 (de) 2019-11-28
US20130344752A1 (en) 2013-12-26
CN103430390A (zh) 2013-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411B1 (ko) 전선 및 단자의 접속 구조
KR101455485B1 (ko) 압착 접촉을 위한 전기 케이블용 연결 구조물
US9543689B2 (en) Terminal crimped wire
JP5743740B2 (ja) コネクタ
US8569623B2 (en)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ing method and wire harness provided with waterproof joint section formed by the method
KR102647718B1 (ko) 콘택 캐리어, 전기 콘택 유닛 및 기성품 케이블을 생성하는 방법
US8851935B2 (en) Electrical wire harness connector
US9270049B2 (en) Waterproof connector
WO2014087791A1 (ja) コネクタ
JP5995799B2 (ja) 接続構造体、コネクタ、及び接続方法
KR20180028386A (ko) 전기 커넥터
JP6053920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US9431727B2 (en) Terminal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wire
JP2014038785A (ja) 防水プラグ、及び防水プラグ付コード
JP2004119294A (ja) シール材の固定構造
JP2011060426A (ja) コネクタ
JP5720609B2 (ja) 圧着端子付き保護キャップおよび該保護キャップを用いた端末スプライス部の形成方法
JP3119119B2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156288B2 (ja) 屋内配線用ユニットケーブル
JP4218852B2 (ja) 回路ユニット
JPH07312259A (ja) 接続端子固定機構
JP2007157486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2003157929A (ja) 圧接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30284514A1 (en) Terminal box for solar cell module
JP2011060427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