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793B1 - Soi 기판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Soi 기판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793B1
KR101515793B1 KR1020090009328A KR20090009328A KR101515793B1 KR 101515793 B1 KR101515793 B1 KR 101515793B1 KR 1020090009328 A KR1020090009328 A KR 1020090009328A KR 20090009328 A KR20090009328 A KR 20090009328A KR 101515793 B1 KR101515793 B1 KR 10151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gle crystal
substrate
crystal semiconductor
semiconductor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9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6165A (ko
Inventor
후미토 이사카
쇼 카토
코세이 네이
류 코마츠
타츠야 미조이
아키히사 시모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Publication of KR20090086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6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7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Making of isolation regions between components
    • H01L21/762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 H01L21/762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 H01L21/76251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 H01L21/76254Dielectric regions, e.g. EPIC dielectric isolation, LOCOS; Trench refilling techniques, SOI technology, use of channel stoppers using semiconductor on insulator [SOI] technology using bonding techniques with separation/delamination along an ion implanted layer, e.g. Smart-cut, Unibon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0Deposition of semiconductor materials on a substrate, e.g. epitaxial growth solid phase epitax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 Thin Film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합 불량을 저감하고, 또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이 형성된 제 1 기판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1 절연막을 평탄화한 후, 제 1 절연막 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접합시키고 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시드(seed)층으로 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을 도입하고 취화층(脆化層)을 형성한 후,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2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2 기판을 제 2 절연막 위에 중첩하고, 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절연막을 통하여 제 2 기판 위에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가 고정된 SOI 기판을 형성한다.
SOI 기판, 고상 성장, 평탄화 처리, 분리, 단결정

Description

SOI 기판의 제작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I SUBSTRATE}
SOI(Silicon on Insulator) 기판의 제작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들어, LSI 기술의 비약적인 진보를 이루는 중에서, 고속화, 저소비 전력화를 실현할 수 있는 SOI 구조가 주목되고 있다. 이 기술은, 종래, 벌크(bulk) 단결정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있던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FET: Field Effect Transistor)의 활성 영역(채널 형성 영역)을, 단결정 실리콘 박막으로 하는 기술이다. SOI 구조를 사용하여 MOS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면, 종래의 벌크 단결정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기생 용량을 작게 할 수 있고, 고속화가 유리하게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SOI 구조를 갖는 기판(이하, SOI 기판이라고도 함)으로서는, SIMOX 기판, 접합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SIMOX 기판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 산소 이온을 주입하고, 1300℃ 이상에서 열 처리하여 매립 산화막(BOX: Buried Oxide)을 형성함으로써, 표면에 단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여 SOI 구조를 얻고 있다. SIMOX 기판에서는, 산소 이온의 주입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단결정 실 리콘 박막을 균일한 막 두께로 제어성(制御性) 좋게 형성할 수 있지만, 산소 이온의 주입에 긴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에 문제가 있다. 또한, 산소 이온 주입 시에 단결정 실리콘 박막에 대미지가 생기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접합 기판은, 산화막을 통하여 2장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베이스 기판 및 본드 기판)을 접합하고, 한쪽의 단결정 실리콘 기판(본드 기판)을 이면(접합면이 아닌 면)으로부터 연삭 및 연마하고, 박막화함으로써, 단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여 SOI 구조를 얻고 있다. 연삭 및 연마로는 균일하고 얇은 단결정 실리콘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 컷(등록 상표)이라고 불리는 수소 이온 주입을 이용하는 박막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이러한 스마트 컷법을 사용하여 단결정 실리콘 층을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 위에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2 참조).
또한, SOI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대형의 반도체 장치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SOI 기판의 대면적화가 요구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 문헌 3에서는 대면적의 지지 기판 위에 복수의 실리콘 웨이퍼를 배열하여 접합시키고, 상기 복수의 실리콘 웨이퍼 위에 에피택셜 성장막을 형성하고 대면적의 SOI 기판을 제작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특허 문헌 1] 특개평5-211128호 공보
[특허 문헌 2] 특개평11-163363호 공보
[특허 문헌 3] 특개2003-257804호 공보
유리 기판은 실리콘 웨이퍼보다 대면적화가 가능하고, 또 싼값의 기판이기 때문에, 주로 액정 표시 장치 등의 제조에 사용된다. 유리 기판을 베이스 기판(피분리용 기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대면적이며 싼값의 SOI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컷법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절연막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분리용 기판으로서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고, 피분리용 기판인 유리 기판에 실리콘 웨이퍼의 일부를 분리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분리용 기판과 피분리용 기판의 특성(열 팽창 계수, 휘어짐량 등)이 다른 경우, 접합한 후에 행하는 열 처리 등에 의하여 접합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다. 특히,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유리 기판 등의 반도체 기판 이외의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합시키는 기판끼리가 다르기 때문에, 접합 불량이 생기기 쉽다.
또한, 분리용 기판을 반복하여 재이용하는 경우, 상기 분리용 기판을 반복하여 재이용함으로써, 분리용 기판의 품질이 저하되고, 상기 분리용 기판을 사용하여 제조한 SOI 기판의 품질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1장의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여 가능한 한 많은 SOI 기판을 제작하려고 하는 경우는, 실리콘 웨이퍼를 반복하여 재이용함으로써 기판의 막 두께가 작게 되기 때문에, 제조 과정에 있어서, 분리용 기판이 파손될 우려나 접합 불량이 생길 확률이 높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1장의 실리콘 웨이퍼로부터 1장째로 제작된 SOI 기판과 n장째(n는 2 이상의 자연수)로 제작된 SOI 기판의 품질에 차이가 생길 우려가 있다.
또한, 특히 유리 기판이 대면적인 경우, 복수 매수의 실리콘 웨이퍼를 대면적의 유리 기판에 접합할 필요가 있지만, 복수의 실리콘 웨이퍼를 유리 기판 위에 빽빽하게 접합해도 인접하는 부분에는 적어도 100μm 내지 200μm 정도의 틈(이음매)이 발생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허 문헌 3에는, 이 틈에 아모퍼스 반도체 층을 형성하고, 상기 아모퍼스 반도체 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킴으로써,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그러나, 100μm 내지 200μm 정도의 틈에 형성된 아모퍼스 반도체 층을 에피택셜 성장시킴으로써 단결정화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열 처리를 가할 필요가 있고, 작업 효율이 너무 나쁘고, 또 유리 등의 내열성이 낮은 기판은 장시간의 열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틈에 형성된 아모퍼스 반도체 층을 에피택셜 성장에 의하여 단결정화하는 경우, 실리콘 웨이퍼 유래의 단결정 반도체 층을 시드(seed)층으로 하여 가로 방향으로 결정 성장하지만, 가로 방향으로 결정 성장시킴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층의 표면에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특히 대면적의 SOI 기판을 제작할 때, 접합 불량을 저감하고, 또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할 수 있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또한, 복수의 SOI 기판을 제작할 때, 분리용 기판의 소비 및 파손을 억제하고, 복수의 SOI 기판간에 있어서의 품질의 차이를 저감시키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하나는, 절연 표면을 갖는 제 1 기판 위에 서로 이간(離間)하여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제 1 기판을 덮도록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1 절연막의 평탄화 처리를 행하고, 소정의 깊이에 제 1 취화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상기 반도체 막과 중첩하도록 제 1 절연막 위에 중첩하고, 열 처리에 의하여 제 1 취화층에서 분리함으로써, 제 1 절연막 위에 복수의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마스크로 하여, 제 1 절연막을 에칭함으로써,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노출시키고, 제 1 기판 위에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시드층으로 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을 도입하고, 제 2 취화층을 형성하고,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1 기판과 절연 표면을 갖는 제 2 기판을 중첩하고 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취화층에서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분리함으로써, 제 2 절연막을 통하여 제 2 기판 위에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하나는, 절연 표면을 갖는 제 1 기판 위에 서로 이간하여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제 1 기판을 덮도록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노출시키도록 반도체 막의 평탄화 처리를 행하고,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및 반도체 막 위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고, 소정의 깊이에 제 1 취화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상기 반도체 막과 중첩하도록 제 1 절연막 위에 중첩시키고, 열 처리에 의하여 제 1 취화층에서 분리함으로써, 제 1 절연막 위에 복수의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마스크로 하여 제 1 절연막을 에칭하여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노출시키고, 제 1 기판 위에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시드층으로 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다음,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을 도입함으로써 제 2 취화층을 형성하고,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1 기판과 절연 표면을 갖는 제 2 기판을 중첩시켜 열 처리를 행하고, 제 2 취화층에서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분리함으로써, 제 2 절연막을 통하여 제 2 기판 위에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한다.
또한, 상술한 SOI 기판의 제작 방법에 있어서, 제 2 기판 위에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제 2 기판 위의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을 도입함으로써 제 3 취화층을 형성하고, 제 2 기판 위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고, 제 3 절연막을 통하여 제 2 기판 위에 제 3 기판을 중첩시켜 열 처리를 행하고, 제 3 취화층에서 분리함으로써, 제 3 절연막을 통하여 제 3 기판 위에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하여도 좋다.
상기 제작 방법은, 상기 과제의 적어도 하나를 해결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SOI 기판이란, 반도체 기판과 단결정 반도체 막의 사이에 절연층이 끼워진 것 이외에 상기 반도체 기판 대신에 석영 기판, 유리 기판, 세라믹스 기판 및 금속 기판을 적용한 것도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반도체 장치란, 반도체 특성을 이용함으로써 기능할 수 있는 장치 전반(全般)을 가리키고, 전기 광학 장치, 반도체 회로 및 전자 기기는 모두 반도체 장치에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 중에 있어서 표시 장치란, 발광 장치나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발광 장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소자를 포함한다. 발광 소자는, 전류 또는 전압에 의하여 휘도가 제어되는 소자를 그 범주에 포함하고, 구체적으로는, 무기 EL(Electro Luminescence), 유기 EL 등이 포함된다.
또한, "제 1", "제 2"라고 붙인 서수사(序數詞)는, 편의상 사용하는 것이며, 공정 순서 또는 적층 순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발명을 특정하기 위한 사항으로서 고유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다.
대면적의 SOI 기판을 제작하는 경우라도, 접합 불량을 저감하고, 또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SOI 기판을 제작하는 경우라도, 분리용 기판의 파손을 억제하고, 복수의 SOI 기판간에 있어서의 품질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이하에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발명은 많은 다른 모양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형태 및 상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기재 내용에 한 정하여 해석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부분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 발명의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SOI 기판(100)을 준비한다(도 1a 참조).
제 1 SOI 기판(100)은 제 1 기판(101) 위에 절연막(102)을 통하여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이 일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기판(101)으로서, 알루미노 실리케이트 유리, 알루미노 보로실리케이트 유리, 바륨 보로실리케이트 유리와 같은 전자 공업용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을 사용한다. 또한, 본 공정의 처리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표면에 절연막(예를 들어, 산화실리콘막이나 산질화실리콘막)이 형성된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기판(101)으로서 대면적화가 가능하고 싼값의 유리 기판이나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실리콘 웨이퍼를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판(101)으로서 실리콘 웨이퍼 등의 반도체 기판 이외의 기판(비반도체 기판)이며, 특히 실리콘 웨이퍼 등의 반도체 기판보다 대면적의 기판을 사용한다.
절연막(102)은,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질화산화실 리콘막 등의 단층, 또는 이들을 적층시킨 막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질화실리콘이란, 그 조성으로서, 질소보다 산소의 함유량이 많은 것이며, 러더퍼드 후방 산란법(RBS: Rutherford Backscattering Spectrometry) 및 수소 전방 산란법(HFS: Hydrogen Forward Scattering)을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조성 범위로서 산소가 50at.% 내지 70at.%, 질소가 0.5at.% 내지 15at.%, 실리콘이 25at.% 내지 35at.%, 수소가 0.1at.% 내지 10a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가리킨다. 또한, 질화산화실리콘이란, 그 조성으로서, 산소보다 질소의 함유량이 많은 것이며, RBS 및 HFS를 사용하여 측정한 경우에, 조성 범위로서 산소가 5at.% 내지 30at.%, 질소가 20at.% 내지 55at.%, 실리콘이 25at.% 내지 35at.%, 수소가 10at.% 내지 30at.%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을 가리킨다. 다만, 산화질화실리콘 또는 질화산화실리콘을 구성하는 원자의 합계를 100at.%로 할 때, 질소, 산소, 실리콘 및 수소의 함유비율이 상기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은, 각각 단결정 실리콘 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표면으로부터 전계로 가속된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빔을 조사하고,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이온을 도입함으로써, 취화층을 형성한 실리콘 웨이퍼 등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제 1 기판(101)과 접합하고, 열 처리에 의하여 분리함으로써,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기판(101) 위에는 복수 매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이 일렬로 배치된다. 또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과 다른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은 반드시 틈이 없는 상 태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200μm 정도 이상 이간시켜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제 1 기판(101) 위에 복수 매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접합하는 공정은, 반드시 1번의 공정으로 할 필요는 없고, 복수 횟수 반복하여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 매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복수 횟수로 분할하여 접합하는 경우는, 제 1 기판(101)에 접합하기 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단부를 미리 에칭함으로써, 2번째 이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접합할 때에, 제 1 기판(101) 위에 형성된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흠집을 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의 막 두께는, 20nm 내지 250n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단결정"이란, 결정면, 결정축이 일치하는 결정이며, 그것을 구성하는 원자 또는 분자가 공간적으로 규칙적인 배열이 되는 것을 가리킨다. 물론, 단결정은 원자가 규칙적으로 배열됨으로써 구성되는 것이지만, 일부에 이 배열의 흐트러짐이 있는 격자 절함을 포함하는 것, 의도적 또는 비의도적으로 격자 변형을 갖는 것도 포함된다.
다음,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반도체 막(104)을 형성한다(도 1b 참조). 또한, 도 1b에 있어서, 반도체 막(104)은 제 1 기판(101)의 전면에 형성된다.
반도체 막(104)은 CVD법 등을 사용하여 실리콘 막을 20nm 내지 1000nm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비정 질 반도체 막(예를 들어, 아모퍼스 실리콘막)을 20nm 내지 250nm로 형성한다. 반도체 막(104)의 막 두께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의 막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반도체 막(104)은,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를 스핀 코팅법 또는 잉크 젯법 등에 의하여 도포하고, 열 처리에 의하여 고화시킴으로써 형성하여도 좋다. 액체 재료를 사용하여 반도체 막(104)을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끼리의 틈을 충전할 수 있다. 액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란(약칭; CPS) 등의 고차 실란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반도체 막(104)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고, 각각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을 노출시킨다. 평탄화 처리로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에칭 처리, 레이저 광의 조사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조합한 에칭 처리(에치백 처리)를 행한 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반도체 막(104) 표면의 평탄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평탄화 처리를 행하기 전에, 열 처리를 행하고, 각각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형성된 반도체 막(104)을 에피택셜 성장(고상(固相) 성장)시켜 결정화시킨 후, 평탄화하여도 좋다.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의 반도체 막(104)을 에피택셜 성장시킴으로써,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의 막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다.
열 처리는 가열로, 레이저 조사, RTA(Rapid Thermal Annealing)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반도체 막(104)을 형성한 후, RTA에 의하여 500℃ 내지 800℃에서 5초 내지 180초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형성된 반도체 막(104)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다음, 노출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반도체 막(104) 위에 절연막(105)을 형성한다(도 1c 참조). 절연막(105)은, 분리용 기판과 접합하는 층(접합층)으로서 기능하고, CVD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에 의하여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105)은 접합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유기 실란을 원료 가스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층을 형성한다. 그 이외에도, 실란을 원료 가스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층 또는 산화질화실리콘층을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반도체 막(104)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제 1 기판을 덮도록 절연막(105)을 퇴적시킴으로써, 서로 이간하여 형성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의 간격을 메우고, 그 후 절연막(105)의 평탄화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다음,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취화층(156)을 형성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을 복수 매수 준비하고, 각각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표면을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105) 위에 중첩시킨다(도 1d 참조). 여기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은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또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기판(101)과 중첩하도록, 절연막(105) 위에 형성된다. 도 1d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은, 절연막(105)을 통하여 반도체 막(104) 위에 중첩된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양단부(兩端部)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가 절연막(105)을 통하여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위에 중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은, 시중 판매되는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단결정의 실리콘 기판이나 게르마늄 기판, 갈륨비소나 인듐인 등의 화합물 반도체 기판을 들 수 있다. 시중 판매되는 실리콘 기판으로서는, 직경 5인치(125mm), 직경 6인치(150mm), 직경 8인치(200mm), 직경 12인치(300mm) 사이즈, 직경 18인치(450mm)의 원형이 대표적이다. 또,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상 등으로 가공한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취화층(156)은, 전계로 가속된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빔을 조사하여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이온을 도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온 빔은 소스 가스를 여기하여 소스 가스의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로부터 전계의 작용에 의하여 플라즈마에 포함되는 이온을 인출(引出)함으로써 생성된다.
취화층(156)이 형성되는 영역의 깊이는, 이온 빔의 가속 에너지와 입사각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가속 에너지는 가속 전압, 도즈량 등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온의 평균 침입 깊이와 대략 같은 깊이의 영역에 취화층(156)이 형성된 다. 이온을 도입하는 깊이에 따라, 후의 공정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으로부터 분리되는 단결정 반도체 막의 두께가 결정된다. 취화층(156)이 형성되는 깊이는 10nm 이상 500nm 이하이며, 바람직한 깊이의 범위는 50nm 이상 200nm 이하이다.
이온의 도입에는 질량 분리를 수반하지 않는 이온 도핑법 또는 질량 분리를 수반하는 이온 주입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온의 도입시에 사용하는 소스 가스로서는, 수소 가스, 희가스 등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소 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온 도핑법에서 수소 가스를 사용한 경우, 생성하는 이온 종은, H+, H2 + 및 H3 +이지만, H3 +가 가장 많이 주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3 +는 H+, H2 +보다 이온의 주입 효율이 좋고, 주입 시간의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후의 공정에 있어서는, 취화층에 균열이 생기기 쉽게 된다.
또한, 이온을 도입하기 전에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이온의 도입에 따라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표면에 불순물이 부착하는 것이나, 표면이 에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연막으로서는,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 질화실리콘막, 질화산화실리콘막 등의 단층, 또는 이것들을 적층시킨 막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절연막(105)의 상방에 이것들의 절연막이 형성된다.
제 1 SOI 기판(100) 위에 형성된 절연막(105)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접합된다. 이 접합은 반데르발스 힘(Van der Waals forces)이 작용하고, 제 1 SOI 기판(100)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을 압접(壓接)함으로써, Si-H, Si-OH 등의 결합을 이용하여 수소 결합에 의한 강고한 접합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SOI 기판(100)과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을 접합시키기 전에 접합면을 메가소닉 세정, 또는 메가소닉 세정 및 오존수 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합면의 유기물 등의 먼지를 제거하고, 표면을 친수화할 수 있다.
다음, 가열 처리를 행하여 취화층(156)에서 분리(벽개)하고,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일부를 분리하여 제 1 SOI 기판(100) 위에 형성한다(도 1e 참조). 여기서는, 400℃ 내지 700℃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취화층(156)에 포함되는 이온(예를 들어, 수소 이온)에 미소한 공동의 체적 변화가 일어나고, 취화층(156)을 따라서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 SOI 기판(100) 위에는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이 접합되고, 그 각각이 열 처리에 의하여 분리됨으로써 복수의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이 형성된다. 또한, 도 1e에 도시한 분리 공정에 있어서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이 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하고, 제 1 SOI 기판(100)이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한다.
다음,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을 마스크로 하여, 절연막(105)을 에칭한다(도 1f 참조). 이 에칭 공정에 의하여,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과 다른 제 2 단 결정 반도체 막의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이 노출된다.
다음, 노출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반도체 막(107)을 형성한다(도 1g 참조).
반도체 막(107)은, CVD법 등을 사용하여 실리콘 막을 20nm 내지 1000nm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비정질 반도체 막(예를 들어, 아모퍼스 실리콘 막)을 20nm 내지 250nm로 형성한다. 반도체 막(107)의 막 두께는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의 막 두께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반도체 막(107)은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를 스핀 코팅법 또는 잉크 젯법 등이 의하여 도포하고, 열 처리에 의하여 고화시켜 형성하여도 좋다. 액체 재료를 사용하여 반도체 막(107)을 형성함으로써,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과 다른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의 틈을 충전할 수 있다. 액체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펜타실란(약칭; CPS) 등의 고차 실란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열 처리를 행하고,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형성된 반도체 막(107)을 에피택셜 성장(고상 성장)시켜 결정화시킨다(도 1h 참조). 결과적으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은,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과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는,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을 시드층으로 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이 세로 성장하고, 또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과 겹치는 영역에 있어서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을 시드층으로 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이 세로 성장한다.
열 처리는 가열로, 레이저 조사, RTA(Rapid Thermal Annealing)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반도체 막(107)을 형성한 후, RTA에 의하여 500℃ 내지 800℃에서 5초 내지 180초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반도체 막(107)을 결정화시킨다.
다음,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한다. 평탄화 처리로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에칭 처리, 레이저 광의 조사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조합한 에칭 처리(에치백 처리)를 행한 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 표면의 평탄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막(107)의 평탄화를 행한 후, 열 처리에 의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을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에 전계로 가속된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빔을 조사하여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취화층(109)을 형성한다(도 1i 참조). 취화층(109)은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에 취화층(156)을 형성할 때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취화층(109)을 형성한 후,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110)을 형성한다. 절연막(110)은 분리용 기판과 접합하는 층(접 합층)으로서 기능하고, CVD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에 의하여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110)은 접합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유기 실란을 원료 가스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층을 형성한다. 그 이외에, 실란을 원료 가스로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층 또는 산화질화실리콘층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제 1 SOI 기판(100) 위에 형성된 절연막(110)과 제 2 기판(111)의 표면을 대향시키고,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110)의 표면과 제 2 기판(111)을 접합시킨다(도 1j 참조). 제 1 SOI 기판(100) 위에 형성된 절연막(110)과 제 2 기판(111)의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접합된다. 이 접합은 반데르발스 힘이 작용하고, 제 1 SOI 기판(100)과 제 2 기판(111)을 압접(壓接)함으로써, Si-H, Si-OH 등의 결합을 이용하여 수소 결합에 의한 강고한 접합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기판(111)은, 제 1 SOI 기판(100)을 구성하는 제 1 기판(10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1 기판(101) 및 제 2 기판(111)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제 2 기판(111)으로서 제 1 기판(101)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제 1 SOI 기판(100)과 제 2 기판(111)을 접합한 후에 가열 처리를 행한 경우라도 각각의 기판의 열 팽창이나 열 처리 전후에 있어서의 기판의 수축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SOI 기판(100)과 제 2 기판(111)을 접합하기 전에 접합면을 메가 소닉 세정, 또는 메가소닉 세정 및 오존수 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합면의 유기물 등의 먼지를 제거하고, 표면을 친수화할 수 있다.
다음, 가열 처리를 행하여 취화층(109)에서 분리(벽개)하고, 결정화된 반도체 막(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의 일부를 분리하여 제 2 기판(111) 위에 고정한다(도 1k 참조). 여기서는, 400℃ 내지 700℃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취화층(109)에 포함되는 이온(예를 들어, 수소 이온)에 미소한 공동(空洞)의 체적 변화가 일어나고, 취화층(109)을 따라서 분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2 기판(111) 위에 절연막(110)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113)(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의 일부)이 형성되고, 제 1 기판(101) 위에는 분리되지 않는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이 잔존한다. 또한, 도 1k에 도시한 분리 공정에 있어서는, 제 1 SOI 기판(100)은 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하고, 제 2 기판(111)은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제 2 기판(111) 위에 절연막(110)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113)이 형성된 제 2 SOI 기판(120)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용 기판으로서 SOI 기판을 사용하여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분리용 기판의 SOI 기판을 구성하는 기판과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반도체 기판 이외의 기판으로 구성되는 SOI 기판을 제작하는 경우라도, 접합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피분리용 기판인 제 2 기판(111)을 사용하여 형성된 제 2 SOI 기판(110)을 분리용 기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SOI 기판의 양산 공정에 있어서, 스루풋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시드층으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단결정 반도체 막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지 않고,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시드층을 단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틈이 없도록 접합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과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을 교차로 중첩시키고, 복수 층으로 이루어지는 시드층으로서 사용하기 때문에,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끼리, 또는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끼리는, 틈이 없도록 배치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접합할 때에 얼라인먼트(alignment)의 마진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상 성장에 의하여 단결정화시키는 막 두께는, 예를 들어, 20nm 내지 1000nm이기 때문에, 예를 들어, 200μm 정도의 틈에 형성된 반도체 막을 가로 성장에 의하여 단결정화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 처리의 시간을 극히 짧은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열 처리의 시간이 단시간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은 유리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공정에 있어서, 분리한 후의 제 1 SOI 기판(100'), 또는 제 2 SOI 기판(120)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평탄화 처리를 행함으로써, 분리한 후에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또는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의 표면에 요철이 생긴 경우라도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평탄화 처리로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에칭 처리, 레이저 광의 조사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 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조합한 에칭 처리(에치백 처리)를 행한 후에 레이저 광을 조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막의 재결정화와 표면의 평탄화를 행한다.
레이저 광을 단결정 반도체 막의 상면 측으로부터 조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막의 상면을 용융시킬 수 있다. 용융한 후, 단결정 반도체 막이 냉각, 고화됨으로써, 그 상면의 평탄성이 향상된 단결정 반도체 막을 얻을 수 있다. 레이저 광을 사용함으로써, 제 1 기판(101) 또는 제 2 기판(111)이 직접 가열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 1 기판(101) 또는 제 2 기판(111)의 기판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기판과 같은 내열성이 낮은 기판을 제 1 기판(101) 또는 제 2 기판(111)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 광의 조사에 의한 단결정 반도체 막의 용융은, 부분 용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전 용융시킨 경우에는, 액상(液相)이 된 후의 무질서한 핵 발생에 의하여 미결정화하고, 결정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부분 용융시킴으로써, 용융되지 않는 고상 부분으로부터 결정 성장이 진행된다. 이것에 따라, 반도체 막 중의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완전 용융이란, 단결정 반도체 막이 하부 계면 부근까지 용융되고, 액체 상태가 되는 것을 가리킨다. 한편, 부분 용융이란, 이 경우, 단결정 반도체 막의 상부는 용융하여 액상이 되지만, 하부는 용융시키지 않고 고상 상태인 것을 가리킨다.
상기 레이저 광의 조사에는, 펄스 발진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순간적으로 고에너지의 펄스 레이저 광을 발진할 수 있고, 부분 용융 상태를 창출(創出)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기 때문이다. 발진 주파수는, 1Hz 이상 10MHz 이하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 광을 조사한 후에는, 단결정 반도체 막의 막 두께를 작게 하는 박막화 공정을 행하여도 좋다. 단결정 반도체 막의 박막화에는, 드라이 에칭 또는 웨트 에칭의 한쪽, 또는 양쪽 모두를 조합한 에칭 처리(에치백 처리)를 적용하면 좋다. 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막이 실리콘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인 경우, 드라이 에칭으로서 SF6와 O2를 프로세스 가스에 사용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을 얇게 할 수 있다.
또한, 분리한 후의 제 1 SOI 기판(100´) 위에, 예를 들어 비정질 반도체 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고상 성장시키는 것 등에 의하여, 새롭게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함으로써, 도 1h에 도시한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08)을 갖는 SOI 기판으로서 재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작 방법과 적절히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SOI 기판의 제작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반도체 막을 성막하고, 성막과 동시에 에피택셜 성장(기상(氣相) 성장)시켜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기 실시형태와 다른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결정 반도체 막(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막) 위에 CVD법에 의하여 소정 의 조건으로 반도체 막(예를 들어, 실리콘막)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되는 반도체 막을 퇴적과 동시에 단결정 실리콘 막을 시드층으로 하여 에피택셜 성장(기상 성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 1f까지의 공정을 행한 후,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위에 CVD법을 사용하여 소정의 조건으로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제 1 SOI 기판(100) 위에 형성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 및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106) 위에 에피택셜 성장(기상 성장)시키면서 반도체 막을 성막함으로써,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14)을 형성할 수 있다(도 2g 참조).
또한, 플라즈마 CVD법의 조건은, 미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조건으로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실란 및 수소를 포함하는 분위기하에서 수소 가스의 유량을 실란 가스의 유량과 비교하여 50배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배 이상으로 하여 행한다.
다음,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114)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한다(도 2h 참조). 평탄화 처리로서는,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에칭 처리, 레이저 광의 조사 등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으로 행함으로써, 성막과 동시에 에피택셜 성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f 및 도 2i 내지 도 2k까지의 공정은, 상기 도 1a 내지 도 1f 및 도 1i 내지 도 1k와 마찬가지로 행하면 좋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작 방법과 적절히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작한 SOI 기판을 사용하여 복수의 대면적 단결정 반도체 막을 갖는 SOI 기판을 제작하는 방법 및 그 경우의 기판의 이용 방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방법으로 제작한 제 2 SOI 기판(120)을 준비한다(도 3a 참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제 2 SOI 기판(120)을 분리용 기판으로서 이용한다.
다음, 제 2 SOI 기판(120) 위에 반도체 막(204)을 형성한다(도 3b 참조). 반도체 막(204)은, CVD법 등을 사용하여 실리콘 막을 20nm 내지 1000nm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비정질 반도체 막(예를 들어, 아모퍼스 실리콘막)을 20nm 내지 250nm로 형성한다. 반도체 막(204)의 막 두께는, 단결정 반도체 막(113)의 막 두께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다. 또한, 반도체 막(204)은, 반도체 재료를 포함하는 액체 재료를 스핀 코팅법 또는 잉크 젯법 등에 의하여 도포하고, 열 처리에 의하여 고화시켜 형성하여도 좋다.
다음, 열 처리를 행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형성된 반도체 막(204)을 에피택셜 성장(고상 성장)시켜 결정화시켜 단결정 반도체 막(205)을 형성한다(도 3c 참조). 또한, 실시형태 2에서 나타낸 방법을 사용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성막과 동시에 에피택셜 성장시킴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막(205)을 형성하여도 좋다.
열 처리는 가열로, 레이저 조사, RTA(Rapid Thermal Annealing) 또는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반도체 막(204)을 형성한 후, RTA에 의하여 500℃ 내지 800℃에서 5초 내지 180초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형성된 반도체 막(204)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열 처리를 행하기 전, 또는 열 처리를 행한 후에 제 2 SOI 기판(120)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SOI 기판(120)의 표면이 평탄한 경우는, 평탄화 처리는 생략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결정 반도체 막(113의 표면에 요철이 있는 경우라도,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113) 위에 형성되는 단결정 반도체 막(205)(결정화된 반도체 막(204))의 표면은,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113)의 표면의 요철보다 완화된 표면으로 할 수 있다.
다음, 단결정 반도체 막(205)의 표면에 전계로 가속된 이온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빔을 조사하여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이온을 도입함으로써, 취화층(206)을 형성한다(도 3d 참조). 이온 빔은 소스 가스를 여기하여 소스 가스의 플라즈마를 생성하고, 플라즈마로부터 전계의 작용에 의하여 플라즈마에 포함되는 이온을 인출하여 생성된다. 취화층(206)은,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에 취화층(156)을 형성할 때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취화층(206)을 형성한 후, 단결정 반도체 막(205)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210)을 형성한다. 절연막(210)은, 분리용 기판과 접합하는 층(접합층)으로서 기능하고, CVD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에 의하여 산화실리콘막, 산화질화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절연막(210)은 접합층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표면이 평탄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유기 실란을 원료 가스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층을 형성한다. 그 이외에도, 실란을 원료 가스로 사용한 CVD법에 의하여 성막되는 산화실리콘 층 또는 산화질화실리콘 층을 적용할 수도 있다.
다음, 제 2 SOI 기판(120) 위에 형성된 절연막(210)과, 제 3 기판(208)의 표면을 대향시키고,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210)의 표면과 제 3 기판(208)을 접합시킨다(도 3e 참조). 제 2 SOI 기판(120) 위에 형성된 절연막(210)과 제 3 기판(208)의 표면을 밀착시킴으로써, 접합이 형성된다. 이 접합은 반데르발스 힘이 작용하고, 제 2 SOI 기판(120)과 제 3 기판(208)을 압접함으로써, Si-H, Si-OH 등의 결합을 이용하여 수소 결합에 의한 강고한 접합을 형성할 수 있다.
제 3 기판(208)은, 제 2 SOI 기판(120)을 구성하는 제 2 기판(111)과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 2 기판(111) 및 제 3 기판(208)으로서 유리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는 제 2 SOI 기판(120)은 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하고, 제 3 기판(208)은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기능한다.
제 3 기판(208)으로서 제 2 기판(111)과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제 2 SOI 기판(120)과 제 3 기판(208)을 접합한 후에 가열 처리를 행한 경우라도, 각각 기판의 열 팽창이나 열 처리 전후에 있어서의 기판의 수축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2 SOI 기판(120)과 제 3 기판(208)을 접합하기 전에 접합면을 메가 소닉 세정, 또는 메가소닉 세정 및 오존수 세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접합면의 유기물 등의 먼지를 제거하고, 표면을 친수화할 수 있다.
다음, 가열 처리를 행하여 취화층(206)에서 분리(벽개)하고, 결정화된 반도체 막(단결정 반도체 막(205))의 일부를 분리하여 제 3 기판(208) 위에 고정한다(도 3f 참조). 여기서는, 400℃ 내지 700℃의 가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취화층(206)에 포함되는 이온(예를 들어, 수소 이온)에 미소한 공동의 체적 변화가 일어나고, 취화층(206)을 따라서 분리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 3 기판(208) 위에 절연막(210)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211)(단결정 반도체 막(205)의 일부)이 형성되고, 제 2 SOI 기판(120) 위에는 분리되지 않는 단결정 반도체 막(205)이 잔존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하여, 제 3 기판(208) 위에 절연막(210)을 통하여 단결정 반도체 막(211)이 형성된 제 3 SOI 기판(130)을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제 2 SOI 기판은,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 형성용의 SOI 기판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제 3 SOI 기판은, 도 3a에 도시한 분리용 SOI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작된 SOI 기판을 1번은 분리용 SOI 기판으로서 이용하고, 분리용 SOI 기판으로서 사용된 SOI 기판을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소자 형성용의 SOI 기판으로서 사용한다.
도 3a 내지 도 3f에 도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SOI 기판을 제작함으로써, 분리용 기판을 몇 번이나 반복해서 재이용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분리용 기판의 박막화 등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고, 분리용 기판의 품질의 저하에 수반하는 SOI 기판의 품질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새롭게 제작된 SOI 기판을 분리용 기판으로서 한 번 사용한 후에, 반도체 소자 형성용 기판으로서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SOI 기판을 제작할 때, 복수의 SOI 기판간에 있어서의 품질의 차이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분리용 기판이 내열성이 낮은 유리 기판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분리용 기판을 몇 번이나 반복해서 재이용함으로써 열 처리가 복수 횟수 행하여지고, 기판의 특성의 변화에 의한 접합 불량이 생길 우려가 있지만, 분리용 기판으로서 수회(바람직하게는, 1회)의 이용이라면, 기판의 특성의 변화에 의한 접합 불량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가령 비반도체 기판(예를 들어, 유리 기판) 위에 단결정 반도체 막을 갖는 SOI 기판을 50장 형성하는 경우, 종래 방법으로는, 모든 SOI 기판의 제작에 있어서, 분리용 기판으로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분리용 기판과 피분리용 기판의 특성의 차이에 의하여 접합 불량이 생길 가능성이 높고, 수율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SOI 기판의 제작 방법에서는, 제 3 SOI 기판 이후의 제조에는 분리용 기판과 피분리용 기판으로서 동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합 불량을 저감하고, 수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작 방법과 적절히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실시형태 4)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 1 SOI 기판(100)으로서 일렬로 배치한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03)을 갖는 SOI 기판을 사용한 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SOI 기판으로서 복수 열로 나란히 배치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을 갖는 SOI 기판을 사용하여,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갖는 SOI 기판을 제작하는 방법을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 1 SOI 기판(140)을 준비한다(도 4a 참조).
제 1 SOI 기판(140)은 제 1 기판(141) 위에 절연막(142)을 통하여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이 형성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기판(141) 및 절연막(142)은, 실시형태 1에서 나타낸 제 1 기판(101) 및 절연막(102)과 같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은, 단결정 실리콘 막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는, 실리콘 웨이퍼 등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을 접합, 분리함으로써,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매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으로부터 분리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이 종횡으로 나란히 놓이고 복수 열로 배치된다. 또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끼리는, 틈이 없도록 배치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200μm 정도 이상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폭 이하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또한, 각각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의 막 두께는, 20nm 내지 250n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끼리의 간격을 넓게 하면,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의 형성에 사용하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의 매수를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다음, 도 1b에 도시한 공정과 마찬가지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 위에 반도체 막(144)을 형성한 후, 반도체 막(144)의 표면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고, 각각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을 노출시킨다(도 4b 참조).
다음, 도 1c에서 도시한 공정과 마찬가지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 및 반도체 막(144)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105)을 형성한다. 또한, 반도체 막(144)을 형성하지 않고,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 위에 제 1 기판을 덮도록 절연막(105)을 퇴적시킴으로써, 서로 이간하여 형성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의 간격을 메우고, 그 후, 절연막(105)의 평탄화 처리를 행하여도 좋다.
다음,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깊이의 영역에 취화층(도시하지 않는다)을 형성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을 복수 매수 준비하고, 각각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의 표면을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절연막(105) 위에 중첩시킨다(도 4c 참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은 종횡으로 복수 열로 나란히 배치되기 때문에,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끼리의 간격은 X축 방향과 Y축 방향의 2방향에 있어서 존재한다. 도 4c에 도시한 공정에 있어서,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은,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끼리의 간격 중의 1방향(예를 들어, X축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143) 또는 단결정 반도체 기판(157) 중 적어도 하나가 제 1 기판(141)과 중첩하도록, 절연막(105) 위에 배치된다.
다음, 도 1e 내지 도 1k에서 도시한 공정과 같은 공정을 행함으로써, 스트라이프 형상의 단결정 반도체 막(145)을 복수 갖는 SOI 기판(150)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d 참조). 형성한 SOI 기판(150)을 제 1 SOI 기판으로서 사용하여 도 1a 내지 도 1k에서 도시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이음매가 거의 없는 대면적의 단결정 반도체 막을 갖는 SOI 기판을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상 성장에 의하여 단결정화시키는 막 두께는, 예를 들어, 20nm 내지 1000nm이기 때문에, 200μm 정도의 틈에 형성된 반도체 막을 가로 성장에 의하여 단결정화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열 처리의 시간을 극히 짧은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열 처리의 시간이 단시간이기 때문에, 내열성이 낮은 유리 기판을 지지 기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제작한 SOI 기판을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으로서 n채널형 박막 트랜지스터, 및 p채널형 박막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조합함으로써, 각종의 반도체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a는 상기 실시형태를 사용하여 설명한 방법으로 제작된 SOI 기판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SOI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실시형태 1의 방법으로 제작한 제 2 SOI 기판(120)을 사용한다.
에칭에 의하여 SOI 기판의 단결정 반도체 막(113)을 소자 분리하여,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막(251, 252)을 형성한다. 반도체 막(251)은 n채널형의 TFT를 구성하고, 반도체 막(252)은 p채널형 TFT를 구성한다.
도 5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막(251, 252) 위에 절연막(254)을 형성한다. 다음, 절연막(254)을 통하여 반도체 막(251) 위에 게이트 전극(255)을 형성하고, 반도체 막(252) 위에 게이트 전극(256)을 형성한다.
또한, 단결정 반도체 막(113)의 에칭을 행하기 전에 TFT의 임계값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서, 붕소, 알루미늄, 갈륨 등의 억셉터가 되는 불순물 원소, 또는 인, 비소 등의 도너가 되는 불순물 원소를 단결정 반도체 막(113)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n채널형 TFT가 형성되는 영역에 억셉터를 첨가하고, p채널형 TFT가 형성되는 영역에 도너를 첨가한다.
다음, 도 5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막(251)에 n형의 저농도 불순물 영역(257)을 형성하고, 반도체 막(252)에 p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259)을 형성한다. 우선, 반도체 막(251)에 n형 저농도 불순물 영역(257)을 형성한다. 따라서, p채널형 TFT가 되는 반도체 막(252)을 레지스트로 마스크하고, 도너를 반도체 막(251)에 첨가한다. 도너로서 인 또는 비소를 첨가하면 좋다. 이온 도핑법 또는 이온 주입법에 의하여 도너를 첨가함으로써, 게이트 전극(255)이 마스크가 되고, 반도체 막(251)에 자기정합적으로 n형의 저농도 불순물 영역(257)이 형성된다. 반도체 막(251)의 게이트 전극(255)과 겹치는 영역은 채널 형성 영역(258)이 된다.
다음에, 반도체 막(252)을 덮는 마스크를 제거한 후, n채널형 TFT가 되는 반도체 층(251)을 레지스트 마스크로 덮는다. 다음에, 이온 도핑법 또는 이온 주입법에 의해 억셉터를 반도체 막(252)에 첨가한다. 억셉터로서, 붕소를 첨가할 수 있다. 억셉터의 첨가 공정에서는, 게이트 전극(256)이 마스크로서 기능하여, 반도 체 막(252)에 p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259)이 자기정합적으로 형성된다. 고농도 불순물 영역(259)은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반도체 막(252)의 게이트 전극(256)과 겹치는 영역은 채널 형성 영역(260)이 된다. 여기서는, n형의 저농도 불순물 영역(257)을 형성한 후, p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259)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먼저 p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259)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음에, 반도체 막(251)을 덮는 레지스트를 제거한 후, 플라즈마 CVD법 등에 의해서 질화실리콘 등의 질소 화합물이나 산화실리콘 등의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 또는 적층 구조의 절연막을 형성한다. 이 절연막을 수직 방향의 이방성 에칭함으로써, 도 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255, 256)의 측면에 접하는 사이드 월 절연막(261, 262)을 형성한다. 이 이방성 에칭에 의해, 절연막(254)도 에칭된다.
다음에, 도 6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막(252)을 레지스트(265)로 덮는다. 반도체 막(251)에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으로서 기능하는 고농도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서, 이온 주입법 또는 이온 도핑법에 의해, 반도체 막(251)에 고도즈량으로 도너를 첨가한다. 게이트 전극(255) 및 사이드 월 절연막(261)이 마스크가 되어, n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267)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너 및 억셉터의 활성화를 위한 가열 처리를 행한다.
활성화의 가열 처리 후,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소를 포함한 절연막(268)을 형성한다. 절연막(268)을 형성한 후, 350℃ 이상 450℃ 이하의 온도로 가열 처리를 하여, 절연막(268) 중에 포함되는 수소를 반도체 막(251, 252) 중으로 확산시킨다. 절연막(268)은, 프로세스 온도가 350℃ 이하의 플라즈마 CVD법에 의하여 질화실리콘 또는 질화산화실리콘을 퇴적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반도체 막(251, 252)에 수소를 공급함으로써, 반도체 막(251, 252) 중 및 절연막(254)과의 계면에서의 포획 중심이 되는 결함을 효과적으로 보상할 수 있다.
그 후, 층간 절연막(269)을 형성한다. 층간 절연막(269)은, 산화실리콘막, BPSG(Boron Phosphorus Silicon Glass)막 등의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는 절연막, 또는, 폴리이미드, 아크릴 등의 유기 수지막으로부터 선택된 단층 구조의 막, 적층 구조의 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층간 절연막(269)에 콘택트 홀을 형성한 후, 도 6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선(270)을 형성한다. 배선(270)의 형성에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막 또는 알루미늄 합금막 등의 저저항 금속막을 배리어 메탈막으로 끼운 3층 구조의 도전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배리어 메탈막은, 몰리브덴, 크롬, 티타늄 등의 금속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n채널형 TFT와 p채널형 TFT를 갖는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SOI 기판의 제작 과정에서, 채널 형성 영역을 구성하는 반도체 막의 금속 원소의 농도를 저감시키고 있기 때문에, 오프 전류가 작고, 임계값 전압의 변동이 억제된 TFT를 제작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TFT의 제작 방법을 설명하였지만, TFT 이외에 용량, 저항 등 TFT와 함께 각종의 반도체 소자를 형성함으로써, 고부가가치의 반도체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반도체 장치의 구체적인 형 태를 설명한다.
우선, 반도체 장치의 일례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마이크로프로세서(500)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500)는, 연산회로(501; Arithmetic logic unit. ALU라고도 한다), 연산회로 제어부(502; ALU Controller), 명령 해석부(503; Instruction Decoder), 인터럽트 제어부(504; Interrupt Controller), 타이밍 제어부(505; Timing Controller), 레지스터(506; Register), 레지스터 제어부(507; Register Controller), 버스 인터페이스(508; Bus I/F), 판독 전용 메모리(509),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510)를 갖는다.
버스 인터페이스(508)를 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500)에 입력된 명령은, 명령 해석부(503)에 입력되고, 디코드된 후, 연산회로 제어부(502), 인터럽트 제어부(504), 레지스터 제어부(507), 타이밍 제어부(505)에 입력된다. 연산회로 제어부(502), 인터럽트 제어부(504), 레지스터 제어부(507), 타이밍 제어부(505)는, 디코드된 명령에 의거하여 각종 제어를 행한다.
연산회로 제어부(502)는, 연산회로(50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인터럽트 제어부(504)는, 마이크로프로세서(500)의 프로그램 실행중에, 외부의 입출력 장치나 주변회로로부터의 인터럽트 요구를 처리하는 회로이며, 인터럽트 제어부(504)는 인터럽트 요구의 우선도나 마스크 상태를 판단하여 인터럽트 요구를 처리한다. 레지스터 제어부(507)는, 레지스터(506)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500)의 상태에 따라서 레지스터(506)의 판독이나 기록 을 한다. 타이밍 제어부(505)는, 연산회로(501), 연산회로 제어부(502), 명령 해석부(503), 인터럽트 제어부(504), 및 레지스터 제어부(507)의 동작의 타이밍을 제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타이밍 제어부(505)는 기준 클록 신호 CLK1을 기초로 하여, 내부 클록 신호 CLK2를 생성하는 내부 클록 생성부를 구비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 클록 신호 CLK2는 다른 회로에 입력된다.
다음에, 비접촉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을 하는 기능, 및 연산기능을 구비한 반도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8은 이러한 반도체 장치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반도체 장치는 무선 통신에 의해 외부 장치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여 동작하는 컴퓨터(이하, "RFCPU"라고 한다)라고 부를 수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RFCPU(511)는, 아날로그 회로부(512)와 디지털 회로부(513)를 갖는다. 아날로그 회로부(512)로서, 공진용량을 갖는 공진 회로(514), 정류 회로(515), 정전압 회로(516), 리셋 회로(517), 발진 회로(518), 복조 회로(519), 변조 회로(520), 및 전원 관리 회로(530)를 갖는다. 디지털 회로부(513)는, RF 인터페이스(521), 제어 레지스터(522), 클록 컨트롤러(523), CPU 인터페이스(524), 중앙 처리 유닛(525), 랜덤 액세스 메모리(526), 및 판독 전용 메모리(527)를 갖는다.
RFCPU(511)의 동작의 개요는 이하와 같다. 안테나(528)가 수신한 신호는 공진 회로(514)에 의해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유도 기전력은, 정류 회로(515)를 거쳐 용량부(529)에 충전된다. 이 용량부(529)는 세라믹 콘덴서나 전기 이중층 콘덴서 등의 커패시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량부(529)는 RFCPU(511)을 구 성하는 기판에 집적될 필요는 없고, 별도 부품으로서 RFCPU(511)에 조합할 수도 있다.
리셋 회로(517)는, 디지털 회로부(513)를 리셋하여 초기화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전원 전압의 상승에 지연하여 상승하는 신호를 리셋 신호로서 생성한다. 발진 회로(518)는, 정전압 회로(516)에 의해 생성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클록 신호의 주파수와 듀티비를 변경한다. 복조 회로(519)는, 수신 신호를 복조하는 회로이고, 변조 회로(520)는, 송신하는 데이터를 변조하는 회로이다.
예를 들어, 복조 회로(519)는 로우패스 필터(low-pass filter)로 형성되고, 진폭 변조(ASK) 방식의 수신 신호를, 그 진폭의 변동을 기초로 하여, 2치화(二値化)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를 진폭 변조(ASK) 방식의 송신 신호의 진폭을 변동시켜 송신하기 때문에, 변조 회로(520)는, 공진 회로(514)의 공진점을 변화시킴으로써 통신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킨다.
클록 컨트롤러(523)는, 전원 전압 또는 중앙 처리 유닛(525)에 있어서의 소비 전류에 따라 클록 신호의 주파수와 듀티비를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전원 전압의 감시는 전원 관리 회로(530)가 행한다.
안테나(528)로부터 RFCPU(511)에 입력된 신호는 복조 회로(519)에서 복조된 후, RF 인터페이스(521)에서 제어 커맨드나 데이터 등으로 분해된다. 제어 커맨드는 제어 레지스터(522)에 격납된다. 제어 커맨드에는 판독 전용 메모리(52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판독, 랜덤 액세스 메모리(526)에의 데이터의 기록, 중앙 처리 유닛(525)에의 연산 명령 등이 포함된다.
중앙 처리 유닛(525)은, CPU 인터페이스(524)를 통하여 판독 전용 메모리(527), 랜덤 액세스 메모리(526), 제어 레지스터(522)에 액세스한다. CPU 인터페이스(524)는, 중앙 처리 유닛(525)이 요구하는 어드레스로부터, 판독 전용 메모리(527), 랜덤 액세스 메모리(526), 제어 레지스터(522)의 어느 하나에 대한 액세스 신호를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중앙 처리 유닛(525)의 연산 방식은, 판독 전용 메모리(527)에 OS(오퍼레이팅 시스템)을 기억시켜 두고, 기동과 함께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전용 회로에서 연산 회로를 구성하고, 연산 처리를 하드웨어적으로 처리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병용하는 방식에서는, 전용의 연산회로에서 일부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나머지의 연산을 중앙 처리 유닛(525)이 처리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 도 9a 내지 도 10b를 사용하여 반도체 장치로서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액정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소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J-K 절단선에 의한 도 9a의 단면도이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는 단결정 반도체 막(320), 단결정 반도체 막(320)과 교차하는 주사선(322), 주사선(322)과 교차하는 신호선(323), 화소 전극(324), 화소 전극(324)과 단결정 반도체 막(32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극(328)을 가진다. 단결정 반도체 막(320)은 SOI 기판에 접합된 단결정 반도체 막(302)으로 형성된 층이며, 화소의 TFT(325)를 구성한다.
SOI 기판에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SOI 기판이 사용된다.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기판(111) 위에 절연막(110) 및 단결정 반도체 막(320)이 적층된다. 제 2 기판(111)은 유리이다. TFT(325)의 단결정 반도체 막(320)은 SOI 기판의 단결정 반도체 막(113)을 에칭에 의하여 소자 분리하여 형성된 막이다. 단결정 반도체 막(320)에는 채널 형성 영역(340), 도너가 첨가된 n형의 고농도 불순물 영역(341)이 형성된다. TFT(325)의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322)에 포함되고,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의 한쪽은 신호선(323)에 포함된다.
층간 절연막(327) 위에는 신호선(323), 화소 전극(324), 및 전극(328)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327) 위에는 주상(柱狀) 스페이서(329)가 형성된다. 신호선(323), 화소 전극(324), 전극(328) 및 주상 스페이서(329)를 덮어 배향막(330)이 형성된다. 대향 기판(332)에는 대향 전극(333), 대향 전극(333)을 덮는 배향막(334)이 형성된다. 주상 스페이서(329)는, 제 2 기판(111)과 대향 기판(332)의 틈을 유지하기 위해서 형성된다. 주상 스페이서(329)에 의해서 형성되는 틈에 액정층(335)이 형성된다. 신호선(323) 및 전극(328)과 고농도 불순물 영역(341)의 접속부는, 콘택트 홀의 형성에 의해서 층간 절연막(327)에 단차가 생기기 때문에, 이 접속부에서는 액정층(335)의 액정의 배향이 흐트러지기 쉽다. 그 때문에, 이 단차부에 주상 스페이서(329)를 형성하여 액정의 배향의 흐트러짐을 방지한다.
다음, 일렉트로루미네선스 표시장치(이하, EL 표시장치라고 한다)에 대해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a는 EL 표시장치의 화소의 평면도이고, 도 10b는, J-K 절단선에 의한 도 10a의 단면도이다.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는 TFT로 이루어지는 선택용 트랜지스터(401),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 주사선(405), 신호선(406), 및 전류 공급선(407), 화소 전극(408)을 포함한다.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층(EL 층)이 한 쌍의 전극간에 끼운 구조의 발광 소자가 각 화소에 형성된다. 발광 소자의 한쪽의 전극이 화소 전극(408)이다. 또한, 반도체 막(403)은, 선택용 트랜지스터(401)의 채널 형성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반도체 막(404)은,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의 채널 형성 영역,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이 형성된다. 반도체 막(403, 404)은, SOI 기판에 접합된 단결정 반도체 막(302)으로 형성된 막이다.
선택용 트랜지스터(401)에 있어서, 게이트 전극은 주사선(405)에 포함되고,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은 신호선(406)에 포함되고, 다른 쪽은 전극(410)으로서 형성된다.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는, 게이트 전극(412)이 전극(4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소스 전극 또는 드레인 전극의 한쪽은 화소 전극(40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극(413)으로서 형성되고, 다른 쪽은 전류 공급선(407)에 포함된다.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는 p채널형 TFT이다.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막(404)에는 채널 형성 영역(451) 및 p형 고농도 불순물 영역(452)이 형성된다. 또한, SOI 기판은 실시형태 1의 방법으로 제작한 제 2 SOI 기판(120)이 사용된다.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의 게이트 전극(412)을 덮고, 층간 절연막(427) 이 형성된다. 층간 절연막(427) 위에 신호선(406), 전류 공급선(407), 전극(411, 413) 등이 형성된다. 또한, 층간 절연막(427) 위에는 전극(4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화소 전극(408)이 형성된다. 화소 전극(408)은 주변부가 절연성의 격벽층(428)으로 둘러싸여 있다. 화소 전극(408) 위에는 EL 층(429)이 형성되고, EL 층(429) 위에는 대향 전극(430)이 형성된다. 보강판으로서 대향 기판(431)이 형성되어 있고, 대향 기판(431)은 수지층(432)에 의해 제 2 기판(111)에 고정된다.
EL 표시장치의 계조의 제어는, 발광 소자의 휘도를 전류로 제어하는 전류 구동 방식과, 전압으로 그 휘도를 제어하는 전압 구동 방식이 있지만, 전류 구동 방식은, 화소마다에 트랜지스터의 특성 값의 차이가 큰 경우, 채용하는 것은 어렵고, 그것을 위해서는 특성의 편차를 보정하는 보정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SOI 기판의 제작 공정, 및 게터링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으로 EL 표시장치를 제작함으로써, 선택용 트랜지스터(401) 및 표시 제어용 트랜지스터(402)는 화소마다 특성의 편차가 없어지기 때문에, 전류 구동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즉, SOI 기판을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전기 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전기 기기로서는, 비디오 카메라, 디지털 카메라, 네비게이션 시스템, 음향 재생장치(카 오디오, 오디오 콤포넌트 등), 컴퓨터, 게임 기기, 휴대 정보 단말(모바일 컴퓨터, 휴대 전화, 휴대형 게임기 또는 전자 서적 등), 기록 매체를 구비한 화상 재생 장치(구체적으로는 DVD(digital versatile disc) 등의 기록매체에 기억된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고, 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구비한 장치) 등이 포함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사용하여, 전기 기기의 구체적인 형태를 설명한다. 도 11a는 휴대 전화기(901)의 일례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이 휴대 전화기(901)는, 표시부(902), 조작 스위치(903)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시부(902)에, 도 9a 및 도 9b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EL 표시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이 적고 화질이 뛰어난 표시부(902)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b는 디지털 플레이어(911)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외관도이다. 디지털 플레이어(911)는, 표시부(912), 조작부(913), 이어폰(914) 등을 포함한다. 이어폰(914)의 대신에 헤드폰이나 무선식 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다. 표시부(912)에, 도 9a 및 도 9b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EL 표시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화면 사이즈가 0.3인치부터 2인치 정도인 경우라도, 고정세(高精細)의 화상 및 다량의 문자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11c는 전자 서적(921)의 외관도이다. 이 전자 서적(921)은, 표시부(922), 조작 스위치(923)를 포함한다. 전자 서적(921)에는, 모뎀이 내장되어도 좋고, 도 8의 RFCPU를 내장시킴으로써, 무선으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표시부(922)에는 도 9a 및 도 9b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EL 표시장치를 적용함으로써, 고화질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실시형태의 휴대 전화(800)의 구성의 다른 일례이며, 도 12a가 정면도, 도 12b가 배면도, 도 12c가 전개도이다. 휴대 전화(800)는, 전화와 휴대 정보 단말의 쌍방의 기능을 구비하고, 컴퓨터를 내장하고, 음성 통화 이외에도 여러 가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소위 스마트 폰이다.
휴대 전화(800)는, 하우징(801) 및 하우징(802) 2개의 하우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801)에 있어서는, 표시부(811), 스피커(812), 마이크로폰(813), 조작키(814), 포인팅 디바이스(815), 카메라용 렌즈(816), 외부접속단자(817), 이어폰 단자(818) 등을 구비하고, 하우징(802)에 있어서는, 키보드(821), 외부 메모리 슬롯(822), 카메라용 렌즈(823), 라이트(824) 등을 구비한다. 또한, 안테나는 하우징(801) 내부에 내장되어 있다. 표시부(811)에 도 9a 및 도 9b에서 설명한 액정 표시 장치 또는 도 10a 및 도 10b에서 설명한 EL 표시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표시 불균일이 적고, 화질이 뛰어난 표시부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더하여, 비접촉 IC칩, 소형 기록 장치 등을 내장하여도 좋다.
표시부(811)는, 사용 형태에 따라서 표시 방향이 적절하게 변화한다. 표시부(811)와 동일면 위에 카메라용 렌즈(816)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텔레비전 전화가 가능하다. 또한, 표시부(811)를 파인더로 하여 카메라용 렌즈(823) 및 라이트(824)로 정지화상 및 동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다. 스피커(812) 및 마이크로폰(813)은 음성 통화에 한정되지 않고, 텔레비전 전화, 녹음, 재생 등이 가능하다. 조작키(814)로서는, 전화의 발신/착신, 전자 메일 등의 간단한 정보 입력, 화면의 스크롤, 커서 이동 등이 가능하다. 또한, 중첩한 하우징(801)과 하우징(802)(도 12a 참조)은, 슬라이드(slide)하여 도 12c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개하고, 휴대 정보단말로서의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키보드(821), 포인팅 디바이스(815)를 사용하여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다. 외부접속단자(817)는 AC 어댑터 및 USB 케이블 등의 각종 케이블과 접속 가능하고, 충전 및 퍼스널 컴퓨터 등과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메모리 슬롯(822)에 기록 매체를 삽입하여 보다 대량의 데이터 보존 및 이동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에 더하여, 적외선 통신기능, 텔레비전 수신기능 등을 구비한 것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발광 장치를 적용하여 전자 기기나, 조명 기구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발광 장치의 적용 범위는 극히 넓고, 다양한 분야의 전자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형태에서 나타내는 제작 방법과 적절히 조합하여 행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k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k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f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SOI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6a 내지 도 6c는 SOI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SOI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SOI 기판을 사용한 반도체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9a 및 도 9b는 SOI 기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SOI 기판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c는 SOI 기판을 사용한 전자 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 내지 도 12c는 SOI 기판을 사용한 전자 기기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SOI 기판 101: 제 1 기판
102: 절연막 103: 단결정 반도체 막
104: 반도체 막 105: 절연막
106: 단결정 반도체 막 107: 반도체 막
108: 단결정 반도체 막 109: 취화층
110: 절연막 111: 기판
113: 단결정 반도체 막 120: SOI 기판
156: 취화층 157: 단결정 반도체 기판

Claims (11)

  1. 절연 표면을 갖는 제 1 기판 위에, 서로 이간(離間)하여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위에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반도체 막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과 상기 반도체 막 위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소정의 깊이에 각각 제 1 취화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들을, 상기 제 1 기판 위에 상기 반도체 막이 중첩하도록 상기 제 1 절연막 상에 중첩시키는 단계와;
    열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1 취화층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1 절연막 위에 복수의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마스크들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절연막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 위에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및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시드층들로 이용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들을 도입하여 제 2 취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을 절연 표면을 갖는 제 2 기판상에 중첩시키고 열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 2 취화층에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2 절연막을 사이에 끼워 상기 제 2 기판에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취화층에서 분리한 후, 상기 제 1 기판 위에 잔존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표면과 상기 제 2 기판에 고정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표면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 처리로서 레이저 광을 조사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유리 기판이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으로서 이용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및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 위에 열 처리를 행하여 고상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된 반도체 막을 결정화함으로써 형성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및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 위에 CVD법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반도체 막을 기상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8. 절연 표면을 갖는 제 1 기판 위에, 서로 이간하여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위에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반도체 막에 평탄화 처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과 상기 반도체 막 위에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소정의 깊이에 각각 제 1 취화층이 형성된 복수의 단결정 반도체 기판들을, 상기 제 1 기판 위에 상기 반도체 막이 중첩하도록 상기 제 1 절연막상에 중첩시키는 단계와;
    열 처리에 의하여 상기 제 1 취화층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1 절연막 위에 복수의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마스크들로 이용하여 상기 제 1 절연막을 에칭함으로써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 위에 상기 제 1 단결정 반도체 막들 및 상기 제 2 단결정 반도체 막들을 시드층들로 이용하여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들을 도입하여 제 2 취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접합층으로서 기능하는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기판을 절연 표면을 갖는 제 2 기판상에 중첩시키고 제 1 열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 2 취화층에서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2 절연막을 사이에 끼워 상기 제 2 기판에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단결정 반도체 막에 이온들을 도입함으로써 제 3 취화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기판 위에 제 3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제 3 기판을 상기 제 2 기판상에 중첩시키고 제 2 열 처리를 행하여 상기 제 3 취화층에서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을 분리함으로써, 상기 제 3 절연막을 사이에 끼워 상기 제 3 기판에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의 일부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위의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열 처리를 행하여 고상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된 반도체 막을 결정화함으로써 형성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막은 비정질 반도체 막인, SOI 기판의 제작 방법.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위의 상기 단결정 반도체 막은 상기 제 3 단결정 반도체 막 위에 CVD법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반도체 막을 기상 성장시킴으로써 형성되는, SOI 기판의 제작 방법.
KR1020090009328A 2008-02-06 2009-02-05 Soi 기판의 제작 방법 KR101515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26447 2008-02-06
JPJP-P-2008-026447 2008-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6165A KR20090086165A (ko) 2009-08-11
KR101515793B1 true KR101515793B1 (ko) 2015-05-04

Family

ID=40932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9328A KR101515793B1 (ko) 2008-02-06 2009-02-05 Soi 기판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767547B2 (ko)
JP (1) JP5394766B2 (ko)
KR (1) KR101515793B1 (ko)
CN (1) CN1015049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04930B (zh) * 2008-02-06 2013-10-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Soi衬底的制造方法
JP5297219B2 (ja) * 2008-02-29 2013-09-2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単結晶薄膜を有する基板の製造方法
JP5654206B2 (ja) * 2008-03-26 2015-01-14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Soi基板の作製方法及び該soi基板を用いた半導体装置
US8048754B2 (en) * 2008-09-29 2011-11-0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SOI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layer
JP2010114431A (ja) * 2008-10-10 2010-05-20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Soi基板の作製方法
JP5611571B2 (ja) * 2008-11-27 2014-10-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基板の作製方法及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20100216295A1 (en) * 2009-02-24 2010-08-26 Alex Usenko Semiconductor on insulator made using improved defect healing process
JP2011029618A (ja) * 2009-06-25 2011-02-10 Sumco Corp Simoxウェーハの製造方法、simoxウェーハ
US8445317B2 (en) * 2010-02-19 2013-05-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JP5755931B2 (ja) 2010-04-28 2015-07-2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膜の作製方法、電極の作製方法、2次電池の作製方法、および太陽電池の作製方法
US8652925B2 (en) 2010-07-19 2014-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isolated capacitors and structure thereof
US8946820B2 (en) * 2011-06-30 2015-02-0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substrate, substrate for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stacked substrate, semiconductor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CN103280425B (zh) * 2013-05-27 2016-03-30 中国科学院物理研究所 一种具有隔离层的复合衬底及其制造方法
CN109273622B (zh) 2013-08-06 2021-03-12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剥离方法
DE102016117912A1 (de) * 2016-09-22 2018-03-22 Nexwafe Gmbh Verfahren zum Anordnen mehrerer Saatsubstrate an einem Trägerelement und Trägerelement mit Saatsubstraten
CN108461388B (zh) * 2018-03-26 2020-11-06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一种衬底结构、加工方法和显示装置
CN111952240A (zh) * 2020-08-21 2020-11-17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具有纳米级空腔结构的soi衬底及其制备方法
CN111952238A (zh) * 2020-08-21 2020-11-17 中国科学院上海微系统与信息技术研究所 具有空腔结构的soi衬底及其制备方法
CN114512380B (zh) * 2022-01-28 2023-03-28 电子科技大学 一种栅极自对准的垂直纳米空气沟道三极管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268A (ja) * 2006-02-02 2007-08-16 Siltronic Ag 半導体層構造及び半導体層構造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81472B1 (fr) 1991-09-18 1993-10-29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Procede de fabrication de films minces de materiau semiconducteur.
JPH0832038A (ja) * 1994-07-15 1996-02-02 Komatsu Electron Metals Co Ltd 貼り合わせsoi基板の製造方法および貼り合わせsoi基板
US6191007B1 (en) * 1997-04-28 2001-02-20 Denso Corporation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substrate
JPH1174209A (ja) 1997-08-27 1999-03-16 Denso Corp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US6251754B1 (en) * 1997-05-09 2001-06-26 Denso Corporation Semiconductor substrate manufacturing method
JPH11163363A (ja) 1997-11-22 1999-06-18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2000124092A (ja) 1998-10-16 2000-04-28 Shin Etsu Handotai Co Ltd 水素イオン注入剥離法によってsoiウエーハを製造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で製造されたsoiウエーハ
JP4182323B2 (ja) * 2002-02-27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複合基板、基板製造方法
JP4103447B2 (ja) * 2002-04-30 2008-06-18 株式会社Ihi 大面積単結晶シリコン基板の製造方法
US6818529B2 (en) * 2002-09-12 2004-11-16 Applied Material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silicon film across the surface of a glass substrate
EP1835533B1 (en) 2006-03-14 2020-06-03 Soitec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und material wafers and method for recycling a used donor substrate
CN101504930B (zh) * 2008-02-06 2013-10-16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Soi衬底的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08268A (ja) * 2006-02-02 2007-08-16 Siltronic Ag 半導体層構造及び半導体層構造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97392A1 (en) 2009-08-06
CN101504930B (zh) 2013-10-16
CN101504930A (zh) 2009-08-12
US7939426B2 (en) 2011-05-10
US20100291755A1 (en) 2010-11-18
JP2009212505A (ja) 2009-09-17
US7767547B2 (en) 2010-08-03
KR20090086165A (ko) 2009-08-11
JP5394766B2 (ja)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5793B1 (ko) Soi 기판의 제작 방법
KR101521832B1 (ko) Soi 기판의 제작 방법
KR101561855B1 (ko) Soi기판의 제작방법
CN101669193B (zh) Soi衬底及其制造方法和半导体器件
KR101434934B1 (ko) Soi 기판의 제작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작 방법
CN102593153B (zh) 半导体衬底、半导体装置、以及其制造方法
KR101456564B1 (ko) Soi 기판의 제조 방법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 방법
KR20100033408A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80114525A (ko) Soi 기판의 제조방법 및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JP5486781B2 (ja) 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TW200534384A (en) Semiconductor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integrated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JP5386193B2 (ja) Soi基板の作製方法
JP2000150835A (ja) 非単結晶シリコン薄膜の製造方法
JP2008060532A (ja) 半導体装置
JP5201967B2 (ja) 半導体基板の作製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の作製方法
US7402465B2 (en) Method of fabricating single-crystal silicon film and method of fabricating TFT adopting the same
KR20090096353A (ko) 복합 기판의 제조 장치 및 상기 복합 기판의 제조 장치를 사용한 복합 기판의 제조 방법
JP2008047750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7194316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