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0268B1 -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0268B1
KR101470268B1 KR1020137013919A KR20137013919A KR101470268B1 KR 101470268 B1 KR101470268 B1 KR 101470268B1 KR 1020137013919 A KR1020137013919 A KR 1020137013919A KR 20137013919 A KR20137013919 A KR 20137013919A KR 101470268 B1 KR101470268 B1 KR 101470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all
fixing
main body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3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7323A (ko
Inventor
시게루 구로다
Original Assignee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하츠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073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73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2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16C11/063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 F16C11/063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characterised by geometric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85Manufacture of ball-joints and parts thereof, e.g. assembly of ball-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2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of short lengths, e.g. chopped filaments, staple fibres or bris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Joints with ca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84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 Y10T29/49845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by deforming interlock
    • Y10T29/49853Retaining clearance for motion between assembled parts by deforming interlock of sphere, i.e., ball, in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606Pivoted
    • Y10T403/32631Universal ball and socket
    • Y10T403/32721Elastomeric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볼 시트의 고정부에 강화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서도,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서브 조립체(100A)의 형성에서는, 볼 시트(200)의 본체부(201)의 측면부의 바닥부측과 하우징(300)의 내면의 바닥부측의 사이에 공간(S)을 설치하고 있다. 하우징(300)의 바닥부측의 외면에 형틀(600)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티(C)를 형성한다. 캐비티(C) 및 공간(S)의 내부에 강화 수지(R)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한다. 사출 성형에 의해 본체부(201)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 도 3에 도시하는 고정부(202)가 형성된다. 이 경우, 본체부(201)의 고정용 홈부(221)에 끼워맞추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가 고정부(202)에 형성된다. 하우징의 구멍부(32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232)가 고정부(202)의 바닥부에 형성되고, 돌기부(232)는 하우징(300)의 바닥부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을 가진다.

Description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STABILIZER L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볼 시트를 구비한 스태빌라이저 링크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볼 시트의 고정 수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서스펜션 장치와 스태빌라이저 장치를 연결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부품이다. 도 1은, 차량의 전차륜측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서스펜션 장치(10)는, 좌우의 타이어(30)에 설치되어, 아암(11)과 실린더(12)를 구비하고 있다. 아암(11)의 하단부는 타이어(30)의 축을 지지하는 베어링부에 고정되고, 실린더(12)는 아암(11)에 대해 탄성 변위가 가능하다. 아암(11)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가 장착되는 브래킷(13)이 설치되어 있다. 서스펜션 장치(10)는, 타이어(30)에 가해지는 차체의 중량을 지탱하고 있다. 스태빌라이저 장치(20)는, 대략 コ자형상을 가지는 바(21)를 구비하고, 부시(22)를 개재하여 차체에 장착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장치(20)는, 차량의 롤 강성을 확보한다.
스태빌라이저 링크(1)는, 서스펜션 장치(10)의 브래킷(13) 및 스태빌라이저 장치(20)의 바(21)의 단부에 설치되고, 스태빌라이저 링크(1)들은 서포트 바(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링크(1)는, 서스펜션 장치(10)가 노면으로부터의 입력을 받았을 때에 발생하는 하중을 스태빌라이저 장치(20)에 전달한다.
도 2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의 구성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스태빌라이저 링크(1)는, 스터드 볼(2), 볼 시트(3), 하우징(4), 및, 더스트 커버(5)를 구비하고 있다.
스터드 볼(2)은, 일체 성형된 스터드부(2A) 및 볼부(2B)를 가지고 있다. 스터드부(2A)의 선단부에는 나사부(2C)가 형성되어 있다. 서스펜션 장치(10)측의 스태빌라이저 링크(1)의 나사부(2C)는, 아암(11)의 브래킷(13)에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고, 스태빌라이저 장치(20)측의 스태빌라이저 링크(1)의 나사부(2C)는, 바(21)에 나사 체결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볼 시트(3) 및 하우징(4)은, 스터드 볼(2)을 전반적으로 축지(軸支)하는 축지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볼 시트(3)의 오목부(3A)는, 거기에 스터드 볼(2)의 볼부(2B)가 압입되어, 베어링 기능을 가진다. 하우징(4)은, 볼 시트(3)를 수용하고 있다. 더스트 커버(5)는, 볼 시트(3)의 오목부(3A) 내로의 이물의 침입을 방지한다. 하우징(4)의 측면에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들을 접속하는 서포트 바(6)가 설치되어 있다. 볼 시트(3)의 바닥면부에는, 고정부로서 열코킹부(3B)가 형성되어 있다. 열코킹부(3B)의 형성에서는, 볼 시트(3)의 핀부를 하우징(4)의 구멍부(4A)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키고, 열코킹이나 초음파코킹에 의해 핀부를 변형시킴으로써, 하우징(4)의 바닥부 외부에 코킹한다. 볼 시트(3)는, 열코킹부(3B)에 의해 하우징(4)에 고정된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링크(1)에서는, 스터드 볼(2)의 볼부(2B)가 볼 시트(3)의 오목부(3A)로부터 인발(引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인발 강도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이 경우, 하우징(4)에 대한 볼 시트(3)의 고정 부위인 코킹부(3B)의 강도는, 같은 재료로 구성되는 볼 시트(3)의 강도에 대응하기 때문에, 스터드 볼(2)의 인발 강도는, 볼 시트(3)의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
볼 시트(3)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글래스 파이버 등의 강화제를 함유시킨 강화 수지를 볼 시트(3)에 이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이 경우, 강화제는, 스터드 볼(2)의 볼부(2B)에 대한 공격성을 가지기 때문에, 볼 시트(3)의 베어링 기능이 저하할 우려가 있다. 한편, 베어링 기능을 우선시키기 위해, 볼 시트(3)의 재료로서, 강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폴리아세탈(POM)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φ16구에서 인발 강도가 2000N~2800N 정도밖에 얻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인발 강도의 향상 및 베어링 기능의 저하 방지의 양립을 도모하기 위해, 이색(二色) 성형에 의해 얻어지는 하이브리드형 볼 시트를 제안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3). 하이브리드형 볼 시트는, 스터드 볼의 볼부를 전반적으로 지지하는 베어링 기능을 가지는 볼받이부와, 볼받이부의 외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강화부를 가진다.
일본국 특허 공개 평6-117429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평7-54835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2010-65725호 공보
그러나, 하이브리드형 볼 시트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의 볼 시트(3)와 마찬가지로, 열코킹부(3B)에 의해 볼 시트를 고정하는 수법을 이용한 경우, 열코킹이나 초음파코킹을 행할 때, 강화 수지에 함유되어 있는 강화제의 거동 제어가 어렵기 때문에, 강화 섬유의 정규 배열의 붕괴가 발생하기 쉬워, 그 결과,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없는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볼 시트의 고정부에 강화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서도,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은, 스터드 볼, 볼 시트의 본체부, 및, 하우징을 구비한 서브 조립체를 형성하고, 그 서브 조립체의 형성에서는,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과 하우징의 내면의 바닥부측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며,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바닥부측의 외면에 형틀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티를 형성하고, 캐비티 및 공간의 내부에 강화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함으로써,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는 볼 시트의 고정부를 형성하며, 볼 시트의 본체부의 형성에서는,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제1 끼워맞춤형상을 형성하고, 볼 시트의 고정부의 형성에서는, 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를 강화 수지로서 이용하며, 하우징의 구멍부를 통해 본체부의 측면부의 외면에 대해 강화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제1 끼워맞춤형상에 끼워맞추는 제2 끼워맞춤형상을 고정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하우징의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고정부의 바닥부에 형성하고, 돌기부를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에서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과 하우징의 내면의 바닥부측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도록 하여 서브 조립체를 형성하고,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의 하우징의 바닥부측의 외면에 형틀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티를 형성한다. 그러한 캐비티 및 공간의 내부에 강화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함으로써,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는 고정부를 볼 시트에 형성하고 있다.
볼 시트의 고정부의 형성에서는, 하우징의 구멍부를 통해 본체부의 측면부의 외면에 대해 강화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본체부의 제1 끼워맞춤형상에 끼워맞추는 제2 끼워맞춤형상을 고정부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1 끼워맞춤형상(본체부측 끼워맞춤형상) 및 제2 끼워맞춤형상(고정부측 끼워맞춤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에 의해, 본체부와 고정부는 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볼 시트에서는, 본체부와 고정부의 재료인 서로의 수지가 화학적 융합을 하지 않아도, 고정부로부터의 본체부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정부의 돌기부를 하우징의 바닥부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으로부터의 고정부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에서는, 강화제를 함유시킨 강화 수지를 사출 성형으로 주입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코킹이나 초음파코킹 등의 코킹 수법과는 상이하여, 강화 섬유 등의 강화제의 정규 배열을 얻기 쉽다. 따라서, 고정부는, 강화 수지 본래의 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터드 볼의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에 대한 고정부의 고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본체부와 고정부의 서로의 수지의 화학적 융합이 불필요하고, 수지들의 융합 상성(相性)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출 성형으로 이용하는 수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고정부의 돌기부의 바닥부와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면은, 주입된 강화 수지의 성형 수축에 의해, 강고하게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오수 등에 대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은 여러 가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바닥부에, 다른 구멍부를 형성하고, 볼 시트의 고정부의 형성에서는, 캐비티 및 공간의 내부로의 강화 수지의 주입시에 다른 구멍부로부터 가스를 방출시키며, 다른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다른 돌기부를 형성하고, 다른 돌기부를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는 양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양태에서는, 하우징에 대한 볼 시트의 축선 둘레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볼부를 가지는 스터드 볼과, 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추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가지는 볼 시트와, 볼 시트를 수용함과 더불어, 바닥부에 구멍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고정부는, 강화제를 함유하는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며,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제1 끼워맞춤형상이 형성되고, 고정부에는, 제1 끼워맞춤형상에 끼워맞추는 제2 끼워맞춤형상이 형성되며, 고정부의 바닥부에는, 하우징의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돌기부는, 하우징의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는 여러 가지의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 시트의 본체부는, 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추는 볼받이부와, 볼받이부의 외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강화부를 가지고, 제1 끼워맞춤형상은, 강화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 형성되며, 고정부는, 강화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태빌라이저 링크 혹은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볼 시트의 고정부에 강화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서도,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차량의 전차륜측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본체부의 볼받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본체부의 강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의 사출 성형을 설명하기 위한 도로서, (A)는 사출 성형의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B)는 하우징의 바닥부 하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사출 성형으로 사용되는 형틀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볼 시트의 본체부의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볼 시트의 본체부의 다른 변형예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1) 스태빌라이저 링크 구성
(1-1) 전체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하는 볼 시트의 본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하는 본체부의 볼받이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하는 본체부의 강화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스태빌라이저 링크(10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터드 볼(101), 볼 시트(200), 하우징(300), 서포트 바(400), 및, 더스트 커버(500)를 구비하고 있다.
스터드 볼(101)은, 예를 들어 금속제로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터드 볼(101)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터드부(110), 볼부(120), 플랜지부(130), 나사부(140), 볼록부(150), 및, 테이퍼부(160)를 가지고 있다. 스터드부(110)는, 예를 들어 원기둥형상을 이루고 있다. 볼부(120)는, 예를 들어 구형상을 이루어, 스터드부(110)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볼부(120)의 중심은, 스터드부(110)의 축선(O)상에 위치하고 있다. 스터드부(110)의 축선(O) 방향 중간부에는 플랜지부(130) 및 볼록부(150)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부(140)는 스터드부(110)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부(160)는, 볼록부(150)와 볼부(1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볼 시트(200)는, 본체부(201) 및 고정부(202)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201)는, 볼받이부(210) 및 강화부(220)를 가진다. 볼받이부(210)는, 스터드 볼(101)의 볼부(120)를 전반적으로 지지한다. 강화부(220)는, 볼받이부(210)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볼 시트(200)는, 하우징(300)에 수용되어, 고정부(202)에 의해 하우징(300)의 바닥부에 고정되어 있다.
하우징(300)은, 플랜지부(310) 및 구멍부(320)를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310)는, 하우징(300)의 개구측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부(320)는, 하우징(300)의 바닥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00)의 측면부 외면에는,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포트 바(400)의 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더스트 커버(500)에서는, 대경측의 단 가장자리부가 볼 시트(200)의 플랜지부(211)와 하우징(300)의 플랜지부(310)의 사이에 협지되고, 소경측의 단 가장자리부가 스터드 볼(101)의 플랜지부(130)와 볼록부(150)의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
(1-2) 볼 시트의 구성
(A) 볼 시트의 재료
볼 시트(200)에서는, 본체부(201)의 볼받이부(210)의 재료는, 예를 들어 하기의 제1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본체부(201)의 강화부(220)의 재료는, 예를 들어 하기의 제2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되며, 고정부(202)의 재료는, 예를 들어 하기의 제2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이 경우, 강화부(220)의 재료와 고정부(202)의 재료는 상이해도 된다.
제1 재료로서는, 폴리아세탈(POM)이나, 폴리프로필렌(PP), 사불화에틸렌(PTFE),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나일론66(PA66) 등의 수지가 이용된다. 제2 재료로서는, 폴리아세탈(POM)이나, 폴리프로필렌(PP), 사불화에틸렌(PTFE),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나일론66(PA66) 등의 수지에, 글래스 파이버(GF)나 카본 파이버(CF) 등의 강화 섬유(강화제)를 첨가한 강화 수지 등이 이용된다.
제2 재료를 볼 시트(200)의 일부(강화부(220) 및 고정부(202))에만 첨가함으로써, 고가의 재료인 제2 재료의 사용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제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글래스 파이버(GF) 혹은 카본 파이버(CF) 등을 첨가하는 양으로서는, 10~30% 정도가 적절하다. 이러한 첨가량으로 설정함으로써, 볼 시트(200)의 강도를 유지함과 더불어,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제조 코스트의 억제를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재료로서, 글래스 파이버를 중량비로 30% 함유하는 나일론66(PA66)을 이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링크(100)는, 예를 들어 φ16구에서 6000N 이상의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B) 본체부의 구성
(B-1) 볼받이부 구성
본체부(201)의 볼받이부(210)는,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11), 오목부(212), 및, 볼록부(213)를 가지고 있다. 볼받이부(210)에서는, 예를 들어 제1 재료로서 폴리아세탈(POM)이 이용되고, 플랜지부(211), 오목부(212), 및, 볼록부(213)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플랜지부(211)는, 예를 들어 볼받이부(210)의 개구측에 형성되어, 볼받이부(21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어 있다. 오목부(212)의 내측형상은, 볼부(120)의 외면형상에 대응하는 구형상이다. 오목부(212)의 외측형상은, 오목부(212)의 내측형상과 상사(相似)형상을 이루는 구형상이다. 오목부(212)는, 받이부(212a), 오버행부(212b), 및, 그리스홈(212c)을 가지고 있다. 오목부(212)의 내측에는, 스터드 볼(101)의 볼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춰져 있다.
받이부(212a)는, 예를 들어 볼부(120)의 중심(Z)에 대해 오목부(212)의 바닥측에 설치되고, 볼부(120)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는 반구형상을 이루고 있다. 받이부(212a)는, 스터드 볼(101)이 볼 시트(200)의 바닥측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압력을 받는다.
오버행부(212b)는, 예를 들어 볼부(120)의 중심(Z)에 대해 오목부(212)의 개구측에 설치되고, 볼부(120)의 측면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오버행부(212b)는 볼부(120)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터드 볼(101)에 인발력이 작용하여 인발 하중을 받은 경우, 오버행부(212b)는, 인발 하중에 저항하여 볼부(120)가 오목부(2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스홈(212c)은, 예를 들어 오목부(212)의 바닥측으로부터 개구측까지 형성되고, 오목부(212)의 둘레 방향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스홈(212c)의 개수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개이다. 그리스홈(212c)은, 오목부(212)나 더스트 커버(500)의 내측에 충전된 그리스가 볼부(120)의 상하간에 형성된 공간을 이동하기 위한 통로이다. 그리스홈(212c)은, 그리스가 빼앗은 열의 방출 혹은 흡수를 행한다고 하는 열순환의 작용을 촉진한다.
볼록부(213)는, 예를 들어 오목부(212)의 개구측의 외측 둘레벽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설치되고, 오목부(212)에 있어서 인접하는 그리스홈(212c, 212c)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볼록부(213)의 개수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8개이다.
(B-2) 강화부의 구성
본체부(201)의 강화부(220)는, 예를 들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용 홈부(221) 및 유지부(222)를 가지고 있다. 강화부(220)에서는, 예를 들어 제2 재료로서 글래스 파이버를 중량비로 30% 함유하는 나일론66(PA66)이 이용되고 있다.
고정용 홈부(221)는,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외면에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오목한 형상을 이루고 있다. 고정용 홈부(221)는, 측면부의 외면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용 홈부(221) 표면에 고정용 볼록부(223)를 설치함으로써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정용 홈부(221)의 개수는, 높이 방향의 스페이스와의 관계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복수로 설정해도 된다. 또,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외면의 바닥부측에는, 고정용 홈부(221)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24)를 설치해도 된다.
유지부(222)는, 예를 들어 오목부(212)의 외측에 밀착하도록 하여 덮고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212)보다 고강도를 가지는 유지부(222)에 의한 볼부(120)로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볼부(120)의 표면 조도(粗度)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볼부(120)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지부(222)에 의한 볼부(1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유지부(222)의 내측형상은, 오목부(212)의 외측형상에 대응하는 구형상이다. 유지부(222)는, 볼받이부(210)의 오목부(212)가 인발 하중을 받았을 때, 오목부(212)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기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어, 그 결과,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유지부(222)는, 예를 들어 그 외측의 형상이 유저원통형상을 이루고 있고, 하우징(300)에 압입된다. 유지부(222)는, 지지부(222a), 백업부(222b), 그리스용 홈부(222c), 및, 슬릿(222d)을 가지고 있다. 유지부(222)는, 볼받이부(210)의 오목부(212)를 유지한다.
지지부(222a)는, 볼부(120)의 중심(Z)에 대해 유지부(222)의 바닥측에 설치되고, 오목부(212)의 외측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지지부(222a)는, 볼받이부(210)의 받이부(212a)를 지지한다.
백업부(222b)는, 볼부(120)의 중심(Z)에 대해 유지부(222)의 개구측에 설치되고, 오버행부(212b)를 덮고 있다. 백업부(222b)는, 백업부(222b)의 인발 하중을 직접 받는 오버행부(212b)를 보강하고 있다. 백업부(222b)는, 오목부(212)의 오버행부(212b)가 인발 하중을 받았을 때, 인발 하중에 저항하여 볼부(120)가 오목부(2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백업부(222b)는, 오버행부(212b)를 보강하고 있고, 플랜지부(211) 및 오목부(212)는 일체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212)가 인발 하중을 받았을 때에도, 오목부(21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스트 커버(500)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목부(212)가 인발 하중을 받았을 때, 볼받이부(210)와 강화부(220)의 경계에서 이반(離反)하는 일이 있어도, 유지부(222)로부터의 오목부(21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백업부(222b)에는, 예를 들어 복수의 슬릿(222d)을 설치함으로써 복수의 볼록형상부(222e)가 형성되어 있다. 볼 시트(200)의 오목부(212)에 스터드 볼(101)의 볼부(120)를 밀어넣는 경우나, 볼받이부(210)의 오목부(212)에 중심을 넣고 볼받이부(210) 및 유지부(222)를 가지는 볼 시트(200)를 성형한 후에 중심을 뽑는 경우 등에는, 백업부(222b)의 볼록형상부(222e)가 외측에 가압되고, 볼 시트(200)의 개구부분이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볼부(120)를 오목부(212)에 밀어넣을 수 있음과 더불어, 중심을 오목부(212)로부터 뽑을 수 있다.
백업부(222b)는, 복수의 볼록형상부(222e)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인발 하중에 저항하여 볼부(120)가 오목부(2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터드 볼(101)의 볼부(120)를 볼 시트(200)의 오목부(212)에 끼워맞춰, 그 볼 시트(200)를 하우징(300)에 수용한 경우, 하우징(300)에 의해 백업부(222b)의 확경이 방지되기 때문에, 볼 시트(200)의 개구 부분의 확장을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백업부(222b)가 인발 하중에 저항하여 볼부(120)가 오목부(21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볼록형상부(222e)는, 예를 들어 그리스용 홈부(222c)를 중심으로 하여 설치되어 있다. 볼록형상부(222e)의 폭(W)은, 그리스용 홈부(222c)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균등하게 넓어지고 있다. 볼록형상부(222e)의 높이(H)는, 볼부(120)의 중심(Z)으로부터 개구 부분까지의 높이이다. 또한, 볼록형상부(222e)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오목부(212)에 볼부(120)를 끼워맞출 수 있는 경우, 볼록형상부(222e)의 높이(H)를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볼록형상부(222e)의 개수는, 그리스용 홈부(222c)의 수와 동수로 설정되며, 예를 들어 8개이다.
볼록형상부(222e)의 높이(H) 및 폭(W)은, 이하의 수 1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수 1]
1.0≤볼록형상부의 높이(H)/볼록형상부의 폭(W)≤2.0
볼록형상부(222e)의 높이(H)는, 예를 들어 7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볼록형상부(222e)의 폭(W)은, 4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볼록형상부(222e)의 높이(H) 및 폭(W)을 수 1의 식을 만족하도록 설정함으로써, 백업부(222b)의 탄력성을 유지함과 더불어, 백업부(222b)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볼받이부(210)의 볼록부(213)는, 강화부(220)의 슬릿(222d)에 끼워맞춰져 있다. 이에 의해, 오목부(212)와 유지부(222)가 맞물려, 오목부(212)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볼 시트(200)의 외측 둘레에 볼받이부(210)의 노출부를 설치하고, 하우징(300)과 볼 시트(200)의 끼움 여유를 설정함으로써, 볼부(120)가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도록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토크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스용 홈부(222c)는, 예를 들어 유지부(222)의 내측에서 오목부(212)의 그리스홈(212c)에 겹쳐지도록 하여 배치되고, 유지부(222)의 바닥측으로부터 개구측까지 형성되어 있다. 그리스용 홈부(222c)의 개수는 예를 들어 8개이다. 그리스용 홈부(222c)는, 오목부(212)나 더스트 커버(500)의 내측에 충전된 그리스가 볼부(120)의 상하간에 형성된 공간을 이동하기 위한 통로다. 그리스용 홈부(222c)는, 그리스가 빼앗은 열의 방출이나 흡수를 행한다고 하는 열순환의 작용을 촉진한다. 그리스홈(212c) 및 그리스용 홈부(222c)는, 그리스를 순환시키기 위한 그리스 유통로가 된다.
그리스 유통로에서는, 오목부(212)에 그리스홈(212c)을 설치하고 있어, 유지부(222)가 오목부(212)를 덮지 않은 상태가 되기 때문에, 유지부(222)에 그리스용 홈부(222c)를 설치함으로써, 유지부(222)에 의한 볼부(120)로의 접촉을 방지하고 있다.
(C) 고정부의 구성
고정부(202)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외면의 바닥부측에 밀착하여 덮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2)에는, 강화부(220)의 고정용 홈부(221)에 끼워맞추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 및 고정용 홈부(221)는, 끼워맞춤부를 구성하고 있어, 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고정부(202)의 바닥부에는, 하우징(300)의 구멍부(32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23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32)의 선단부는, 하우징(300)의 바닥부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을 가지고, 예를 들어 버튼형상을 이루고 있다. 돌기부(232)는, 하우징(300)으로부터의 고정부(20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끼워맞춤부(고정용 홈부(221) 및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 및 돌기부(232)의 재료로서, 강화 수지인 제2 재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인발 하중에 저항하여 볼 시트(200)가 하우징(30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의 형상 및 개수는, 강화부(220)의 고정용 홈부(221)에 대응하고 있다. 유지부(222)의 측면부 외면에 고정용 홈부(221) 대신에, 도 13에 도시하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24)를 설치하는 경우, 고정부(202)에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24)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고정용 홈부가 형성된다. 돌기부(232)는, 하우징(300)의 바닥부의 중심으로부터 이격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하우징(300)에 대한 볼 시트(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돌기부의 기둥형상부의 단면형상을 그 중심에 대해 비대칭인 형상으로 함으로써, 하우징(300)에 대한 볼 시트(2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232)의 개수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개이다. 이 경우, 하우징(300)에 대한 볼 시트(200)의 회전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돌기부(232)의 설계에서는, 돌기부(232)에 있어서의 구멍부(320) 내에 형성되어 있는 기둥형상 부분의 총 단면적(예를 들어, 모든 기둥형상부의 단면적(구멍부(320)의 단면적)이 같은 경우, 기둥형상 부분의 개수×기둥형상 부분의 단면적)과 인장 파괴 강도의 면적(기둥형상 부분의 총단면적×인장 파괴 강도)은, φ16구의 스터드 볼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2kN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고정부(202)의 재료로서, 글래스 파이버를 중량비로 30% 함유하는 나일론66(PA66)을 이용하는 경우는, 도 2의 종래의 스태빌라이저 링크(1)의 볼 시트(3)의 재료로서 폴리아세탈(POM)을 이용하여, 기둥형상 부분의 면적을 동일하게 설정했을 경우와 비교해, 약 2배의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2) 스태빌라이저 링크 제조 방법
다음에, 스태빌라이저 링크(100)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터드 볼(101), 볼 시트(200)의 본체부(201), 하우징(300), 서포트 바(400), 및, 더스트 커버(500)을 구비한 서브 조립체(100A)를 형성한다. 서브 조립체(100A)의 형성에서는, 본체부(201)의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외면의 바닥부측과 하우징(300)의 내면의 바닥부측의 사이에 공간(S)을 설치하고 있다.
이 경우, 서브 조립체(100A)는, 볼 시트(200)의 고정부(202)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이외는, 도 3의 구성과 같다. 볼 시트(200)의 본체부(201)는, 예를 들어 본 발명자가 특허 문헌 1에서 제안하고 있는 수법에 의해 얻어진다. 본체부(201)의 형성에서는, 강화부(220)의 측면부의 외면에 고정용 홈부(221)을 형성하고 있다. 하우징(300)에서는,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부(320)의 개수를 2개로 설정하고, 그 위치는 바닥부의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하고 있다.
이어서, 서브 조립체(100A)의 하우징(300)의 바닥부측의 외면에 사출 성형용 형틀(600)(이하, 형틀(600))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티(C)를 형성한다. 이 경우, 하우징(300)의 바닥부를 상방을 향해 위치시킨다. 형틀(600)은, 하우징(300)의 구멍부(320)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구멍부(600A)를 가지고, 구멍부(600A)에 있어서의 하우징측의 단부에는, 고정부(202)의 돌기부(232)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광폭부(600B)가 형성되어 있다.
형틀(600)의 한쪽의 구멍부(600A)에는,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를 삽입하고, 다른 한쪽의 구멍부(600A)에는, 탈가스용 부재(602)를 삽입한다. 강화 수지(R)는,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의 구멍부로부터 주입되고, 가스(G)는,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의 구멍부로부터 방출된다. 구멍부(600A)의 내측 둘레면과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의 슬리브의 외측 둘레면의 사이에는 간극(603)이 설치되고, 구멍부(600A)의 내측 둘레면과 탈가스용 부재(602)의 슬리브의 외측 둘레면의 사이에는 간극(603)이 설치되며, 간극(603)은, 탈가스용의 클리어런스이다. 탈가스용 부재(602)측의 구멍부(600A)에서의 간극(603)은,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측의 구멍부(600A)에서의 간극(603)보다 간격이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양쪽 모두의 구멍부(600A)에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도 10, 11에서는, 도시의 편의상, 간극(603)의 간격을 크게 기재하고 있다. 돌기부(232)의 기둥형상 부분에 대응하는 형상을 이루는 구멍부(320)의 형상은, 수지 주입 및 탈가스가 가능한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원기둥형상이나 각기둥형상이며, 그 단면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캐비티(C) 및 공간(S) 내에, 제2 재료인 강화 수지(R)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한다. 이 경우, 강화 수지(R)는, 수지 주입용 게이트(601)의 구멍부로부터 주입한다. 가스(G)는, 탈가스용 부재(602)의 구멍부 및 간극(603)으로부터 방출된다. 이러한 사출 성형에 의해, 본체부(201)의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 고정부(202)가 형성된다. 고정부(202)의 형성에서는, 유지부(222)의 측면부의 외면에 대해 강화 수지(R)를 유입시킴으로써, 유지부(222)의 고정용 홈부(221)에 끼워맞추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를 고정부(202)에 형성함과 더불어, 하우징(300)의 구멍부(320)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232)를 고정부(202)의 바닥부에 형성하여, 돌기부(232)를 하우징(300)의 바닥부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 3에 도시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100)가 제조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볼 시트(200)의 고정부(202)의 형성에 있어서, 하우징(300)의 구멍부(320)를 통해 본체부(201)의 측면부의 외면에 대해 강화 수지(R)를 유입시키고, 고정용 홈부(221)(제1 끼워맞춤형상)에 끼워맞추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제2 끼워맞춤형상)를 고정부(202)에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고정용 홈부(221) 및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231)로 이루어지는 끼워맞춤부에 의해, 본체부(201)와 고정부(202)는 기계적으로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볼 시트(200)에서는, 본체부(201)와 고정부(202)의 재료인 서로의 수지가 화확적 융합을 하지 않아도, 고정부(202)로부터의 본체부(201)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고정부(202)의 돌기부(232)를 하우징(300)의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하우징(300)으로부터의 고정부(202)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강화제를 함유시킨 강화 수지(R)를 사출 성형으로 주입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열코킹이나 초음파코킹 등의 코킹 수법과는 상이하여, 강화 섬유 등의 강화제의 정규 배열을 얻기 쉽다. 따라서, 고정부(202)는, 강화 수지 본래의 강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스터드 볼(101)의 원하는 인발 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본체부(201)에 대한 고정부(202)의 고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본체부(201)와 고정부(202)의 서로의 수지의 화확적 융합이 불필요하고, 수지끼리의 융합 상성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출 성형으로 이용하는 수지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또, 고정부(202)의 돌기부(232)의 바닥부와 하우징(300)의 바닥부의 외면은, 주입된 강화 수지(R)의 성형 수축에 의해, 강고하게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오수 등에 대한 실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변형예
이상, 실시 형태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볼받이부 및 강화부를 가지는 하이브리드형 볼 시트에 본 발명을 적용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단일 재료로 이루어지는 볼 시트에 적용해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의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스태빌라이저 링크(800)는, 볼 시트 이외는, 도 2의 스태빌라이저 링크(1)와 같은 구성이다.
볼 시트(810)는, 본체부(811) 및 고정부(812)를 가지고 있다. 본체부(811)의 재료는, 예를 들어 제1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되고, 고정부(812)의 재료는, 예를 들어 제2 재료 중으로부터 선택된다. 본체부(811)의 측면부의 외면의 바닥부측에는, 상기 실시 형태의 고정용 홈부(221)와 같은 형상을 이루는 고정용 홈부(82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812)에는, 본체부(811)의 고정용 홈부(821)에 끼워맞추는 고정용 라인형 볼록부(831)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202)의 바닥부에는, 하우징(4)의 구멍부(4A)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832)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832)는, 상기 실시 형태의 돌기부(232)와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다. 고정부(812)는, 상기 실시 형태의 고정부(202)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100, 800…스태빌라이저 링크, 100A…서브 조립체, 101…스터드 볼, 120…볼부, 200, 810…볼 시트, 201, 811…본체부, 202, 812…고정부, 221, 821…고정용 홈부(오목부, 제1 끼워맞춤형상), 223…고정용 볼록부(제1 끼워맞춤형상), 224…고정용 라인형 볼록부(볼록부, 제1 끼워맞춤형상), 231, 831…고정용 라인형 볼록부(볼록부, 제2 끼워맞춤형상), 232, 832…돌기부(돌기부, 다른 돌기부), 4, 300…하우징, 4A, 320…구멍부, 600…사출 성형용 형틀(형틀), 600A…구멍부(구멍부, 다른 구멍부), C…캐비티, G…가스, R…강화 수지, S…공간

Claims (7)

  1. 스터드 볼, 볼 시트의 본체부, 및, 하우징을 구비한 서브 조립체를 형성하고, 그 서브 조립체의 형성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과 상기 하우징의 내면의 바닥부측의 사이에 공간을 설치하며,
    상기 서브 조립체에 있어서의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측의 외면에 형틀을 설치함으로써, 캐비티를 형성하고,
    상기 캐비티 및 상기 공간의 내부에 강화 수지를 주입하여 사출 성형을 행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는 상기 볼 시트의 고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볼 시트의 본체부의 형성에서는,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부의 상기 바닥부측에,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제1 끼워맞춤형상을 상기 측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하고,
    상기 볼 시트의 상기 고정부의 형성에서는, 강화제를 함유하는 수지를 상기 강화 수지로서 이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구멍부를 통해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부의 외면에 대해 상기 강화 수지를 유입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본체부의 바닥면의 전체 면 사이를 막는 벽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끼워맞춤형상의 전체에 끼워맞추는 제2 끼워맞춤형상을 상기 고정부에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상기 고정부의 바닥부에 형성하고, 상기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부에, 다른 구멍부를 형성하고,
    상기 볼 시트의 상기 고정부의 형성에서는, 상기 캐비티 및 상기 공간의 내부로의 상기 강화 수지의 주입시에 상기 다른 구멍부로부터 가스를 방출시키며, 상기 다른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다른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다른 돌기부를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의 제조 방법.
  3. 볼부를 가지는 스터드 볼과,
    상기 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추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고정부를 가지는 볼 시트와,
    상기 볼 시트를 수용함과 더불어, 바닥부에 구멍부를 가지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는, 강화제를 함유하는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부의 바닥부측에는, 오목부 및 볼록부 중 적어도 한쪽으로 이루어지는 제1 끼워맞춤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제1 끼워맞춤형상에 끼워맞추는 제2 끼워맞춤형상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바닥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구멍부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바닥부의 외면과 걸어맞추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볼 시트의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볼부를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끼워맞추는 볼받이부와, 상기 볼받이부의 외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강화 수지로 이루어지는 강화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끼워맞춤형상은, 상기 강화부의 측면부의 바닥부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강화부의 상기 측면부의 바닥부측을 덮도록 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 바닥면과 상기 강화부의 바닥면의 전체 면 사이를 막는 벽부를 구비하고, 이 벽부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2 끼워맞춤형상이 연장되고, 상기 돌기부가 돌출되며,
    상기 제1, 제2 끼워맞춤형상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측면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4. 삭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의 바닥부에 설치된 구멍을 통해 내부로 강화 수지를 유입시키는 것에 의해 형성되고, 강화 수지는, 강화 섬유를 10~3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링크.
  6. 삭제
  7. 삭제
KR1020137013919A 2010-11-19 2011-09-13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4702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58825A JP5718620B2 (ja) 2010-11-19 2010-11-19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JPJP-P-2010-258825 2010-11-19
PCT/JP2011/070831 WO2012066844A1 (ja) 2010-11-19 2011-09-13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7323A KR20130107323A (ko) 2013-10-01
KR101470268B1 true KR101470268B1 (ko) 2014-12-05

Family

ID=46083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3919A KR101470268B1 (ko) 2010-11-19 2011-09-13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864155B2 (ko)
EP (1) EP2642141B1 (ko)
JP (1) JP5718620B2 (ko)
KR (1) KR101470268B1 (ko)
CN (1) CN103201527B (ko)
CA (1) CA2816665C (ko)
ES (1) ES2665523T3 (ko)
WO (1) WO2012066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27028B2 (en) * 2006-07-28 2014-09-09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US7819220B2 (en) * 2006-07-28 2010-10-26 Polaris Industries Inc. Side-by-side ATV
JP5189145B2 (ja) * 2010-08-23 2013-04-24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202011109569U1 (de) * 2011-12-23 2012-03-0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Spindelantrieb für ein Verstellelement eines Kraftfahrzeugs
JP5476402B2 (ja) * 2012-02-16 2014-04-23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DE102013200586A1 (de) * 2013-01-15 2014-07-17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JP6180226B2 (ja) * 2013-08-09 2017-08-16 株式会社ソミック石川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5923154B2 (ja) * 2014-10-28 2016-05-24 日本発條株式会社 リンクアーム部材
JP2016147580A (ja) * 2015-02-12 2016-08-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JP6016979B1 (ja) * 2015-05-11 2016-10-26 Thk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KR101631067B1 (ko) * 2015-05-29 2016-06-16 주식회사 세강 스테이빌라이저 링크의 조립방법
KR101815147B1 (ko) * 2016-02-04 2018-01-31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KR101857173B1 (ko) * 2016-02-04 2018-05-16 주식회사 일진 볼 조인트 및 그 제작방법
JP6204521B2 (ja) 2016-03-17 2017-09-27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JP6335986B2 (ja) * 2016-08-25 2018-05-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
DE102016220438A1 (de) * 2016-10-19 2018-04-19 Zf Friedrichshafen Ag Hülsengelenk,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US10527089B2 (en) 2016-10-31 2020-01-07 Mevotech Lp Directional bearing for ball joint
DE102016225293A1 (de) * 2016-12-16 2018-06-21 Mekra Lang Gmbh & Co. Kg Kugelgelenkvorrichtung, Befestigungsvorrichtung und indirektes Sichtsystem für Fahrzeuge
US10001163B1 (en) * 2016-12-22 2018-06-19 Federal-Mogul Motorparts, LLC Ball joint with improved upper bearing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DE102017203540A1 (de) * 2017-03-03 2018-09-06 Zf Friedrichshafen Ag Einleger für ein Kugelgelenk in einem Kraftfahrzeug, Kugelgelenk oder Lenker mit einem solchen Einleg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Einlegers, eines solchen Kugelgelenks oder eines solchen Lenkers
JP6832206B2 (ja) 2017-03-29 2021-02-24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スタビリンク
DE102017108982B4 (de) * 2017-04-26 2024-02-15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Radlenker mit einem Kugelgelenk
US10882553B2 (en) * 2017-09-01 2021-01-05 Schaublin Sa Kingpin assembly with a torque receiving configuration
FR3071188B1 (fr) * 2017-09-21 2019-10-18 Jtekt Europe Cage bi-matiere a coussinets pour une rotule
RU2020114998A (ru) * 2017-10-27 2021-10-28 ФЕДЕРАЛ-МОГУЛ МОТОРПАРТС эЛэЛСи Шаровая опора в сборе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CN107914534B (zh) * 2017-11-20 2019-10-15 安徽科源机械有限公司 一种汽车下摆臂球销结构
US11053972B2 (en) 2018-03-16 2021-07-06 Federal-Mogul Motorparts Llc Pivot joint assembly
DE102019204659A1 (de) * 2019-04-02 2020-10-08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Kugelgelenks
JP7175856B2 (ja) * 2019-07-17 2022-11-21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シート、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ボールジョイントの製造方法
CN111873732B (zh) * 2020-07-14 2021-09-17 中车大同电力机车有限公司 麦弗逊式独立悬挂装置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541A (ja) * 2000-09-11 2002-03-27 Nhk Spring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0065725A (ja) * 2008-09-09 2010-03-25 Nhk Spring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9030A (en) * 1975-11-10 1976-07-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all joint with composite compression spring
JPH01126416A (ja) * 1988-10-12 1989-05-18 Tokai Rubber Ind Ltd 球面摺動型継手装置の製造方法
JP3168229B2 (ja) 1992-10-06 2001-05-21 日本発条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装置
JP3369659B2 (ja) 1993-08-06 2003-01-20 日本発条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
JPH0882318A (ja) * 1994-09-12 1996-03-26 Nhk Spring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とその製造方法
DE19513714C1 (de) 1995-04-11 1996-02-08 Trw Fahrwerksyst Gmbh &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gelgelenkes und zugehörige Lagerschale
US6109816A (en) 1996-09-30 2000-08-29 Bridgestone Corporation Stabilizer link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398446B1 (en) * 1997-11-24 2002-06-04 Mac Lean-Fogg Company Ball joint component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DE19832254C2 (de) * 1998-07-17 2000-10-12 Sachsenring Entwicklungsgesell Kugelgelenk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20020074761A1 (en) * 2000-12-14 2002-06-20 Kincaid Jeffrey Lee Robust, low mass stabilizer bar link assembly
JP4201238B2 (ja) * 2001-04-04 2008-12-24 日本発條株式会社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ハウジングの製造方法
CA2563770A1 (en) * 2004-04-21 2005-11-10 Federal-Mogu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rance adjusting cover plate closure
DE102004046676A1 (de) * 2004-09-24 2006-04-20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mit Dichtungsbalg
US20070257462A1 (en) * 2006-05-02 2007-11-08 Meritor Suspension Systems Company, Us Die cast stabilizer bar ends
DE102006052254B4 (de) * 2006-11-03 2012-12-20 Zf Friedrichshafen Ag Kugelgele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9541A (ja) * 2000-09-11 2002-03-27 Nhk Spring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2010065725A (ja) * 2008-09-09 2010-03-25 Nhk Spring Co Ltd ボールジョイ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665523T3 (es) 2018-04-26
EP2642141A1 (en) 2013-09-25
EP2642141A4 (en) 2014-06-11
KR20130107323A (ko) 2013-10-01
JP2012106692A (ja) 2012-06-07
CN103201527B (zh) 2015-09-09
EP2642141B1 (en) 2018-01-10
CN103201527A (zh) 2013-07-10
US8864155B2 (en) 2014-10-21
WO2012066844A1 (ja) 2012-05-24
JP5718620B2 (ja) 2015-05-13
US20130234412A1 (en) 2013-09-12
CA2816665C (en) 2018-03-13
CA2816665A1 (en) 2012-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268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US8550741B2 (en) Ball joi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10836228B2 (en) Ball joint, and stabilizer link using same
KR101886474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 방법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JP5635271B2 (ja) ボージョイント用ベアリングシートおよびボールジョイント
JP5916574B2 (ja) 車両用ダストカバー組付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EP2594815B1 (en) Ball Joint
KR20170099258A (ko) 차량용 스태빌라이저 링크
KR101580428B1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저 바 마운팅 부시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654322B1 (ko) 볼조인트
KR101204473B1 (ko) 차량용 볼조인트의 밀폐구조
JP6180226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061537A (ja) ボールジョイント
KR0132732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JP2019007496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JP7012345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299107B1 (ko) 인슐레이터 캡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