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732Y1 -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732Y1
KR0132732Y1 KR2019950028090U KR19950028090U KR0132732Y1 KR 0132732 Y1 KR0132732 Y1 KR 0132732Y1 KR 2019950028090 U KR2019950028090 U KR 2019950028090U KR 19950028090 U KR19950028090 U KR 19950028090U KR 0132732 Y1 KR0132732 Y1 KR 0132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ll
ball seat
stabilizer
ball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80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6681U (ko
Inventor
조용구
Original Assignee
강태룡
주식회사 센트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태룡, 주식회사 센트랄 filed Critical 강태룡
Priority to KR20199500280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732Y1/ko
Publication of KR960036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668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42Special features of the plug or cover on the blind end of the sock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19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the female part comprising a blind socket receiving the male part
    • F16C11/062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 F16C11/062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 F16C11/0633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 F16C11/0638Construction or details of the socket member with linings the linings being made of plastics characterised by geometric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220/00Shaping
    • F16C2220/02Shaping by casting
    • F16C2220/04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mou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01Parts of vehicles in general
    • F16C2326/05Vehicle suspensions, e.g. bearings, pivots or connecting rods used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Stabilizer)용 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볼 조인트는 하우징(2)에 볼 시트(3)를 고정하기 위하여 캡(6)을 초음파진동기로 볼 시트(3)에 융착고정하였던 바, 이는 융착의 유무를 확인하는 별도의 검사장비가 필요하고, 검사장비를 이용하더라도 융착강도는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인은 끼움부(8)에 걸림돌기(7)가 형성된 볼 시트(3)를 사출성형하고, 끼움공(10)에 또한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형성된 걸림돌기(7)와 동일상의 걸림돌기(7)가 형성된 캡(6)을 사출성형하여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캡(6)의 끼움공(10) 끼워 걸림돌기(7)가 서로 맞물려 끼움조립되는 볼 조인트를 고안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제1도 (a)는 종래의 볼 조인트의 단면도.
(b)는 캡의 단면도.
제2도 (a)는 본 고안 볼 시트의 단면도.
(b)는 볼 시트의 저면도.
제3도 (a)는 본 고안 캡의 단면도.
(b)는 캡의 저면도.
제4도 본 고안 삼각돌기의 일측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 볼 조인트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지대 2 : 하우징
3 : 볼 시트 4 : 볼 스터드
4a : 구두부 5 : 걸림턱
6 : 캡 6a : 돌기
7 : 걸림돌기 7a : 하향경사면
8 : 끼움부 9 : 캡 걸림턱
9a : 미세돌기 10 : 끼움공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Stabilizer)용 볼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는 자동차가 주행중에 노면으로부터 받게 되는 가로충격(수평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자의 볼 조인트는 경량화에 기술개발의 목적을 두고 개발되고 있는 것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던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의 구조와 문제점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에서 보는 바와 같은 종래 볼 조인트 중의 하나인 미국 특허 제5,011,321호를 살펴 보면 금속재인 지지대(1)가 용접고정된 금속재 하우징(2)을 만들고, 합성수지재인 볼 시트(3)의 원형공에 볼 스터드(4)의 구두부(4a)를 유동가능도록 억지삽입하여 일체화한 다음 하우징(2)에 볼 시트(3)를 삽입한다.
위와 같이 볼 스터드(4)가 삽입된 볼 시트(3)를 하우징(2)에 삽입하고, 다수의 돌기(6a)가 형성된 합성수지제인 캡(6)을 볼 시트(3)에 융착고정하는 것으로써, 볼 시트(3)에 캡(6)을 융착하는 공정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캡(6)에 형성된 돌기(6a)를 볼 시트(3)의 외측면에 접촉시키고, 돌기(6a)가 형성된 캡(6)의 반대편 면에서 초음파진동기를 사용하여 융착하면, 캡(6)에 형성된 돌기(6a)가 녹아 캡(6)이 볼 시트(3)에 융착고정되므로서, 볼 시트(3)가 하우징(2)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위와 같이 캡(6)이 볼 시트(3)에 초음파진동기에 의하여 융착고정되던 종래의 고정방법은 융착작업이 끝난 다음 융착이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는 별도의 검사장비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검사장비를 이용하더라도 볼 조인트가 필요로 하는 강도를 가지고 융착이 이루어졌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볼 시트(3)와 캡(6)에 걸림돌기(7)를 형성하여 볼 시트(3)에 캡(7)을 끼워조립하는 것으로써, 부수되는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제2도 내지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부에 돌출된 끼움부(7)를 가진 볼 시트(3)를 사출성형하여 만들되, 끼움부(8)의 외측외주면을 따라 하향경사면(7a)을 가진 걸림돌기(7)를 다단으로 층지게 만들며, 볼 시트(3)하단의 캡 걸림턱(9)상에서 미세돌기(9a)를 만든 것이다.
또한 끼움공(10)이 형성된 캡(6)을 사출성형하되, 끼움공(10) 내주면에도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형성된 걸림돌기(7)와 동일한 걸림돌기(7)를 다단으로 층지게 만든 것이다.
위에서 사출성형되는 볼 시트(3)의 끼움부(8)외주면상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의 숫자는 캡(6)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의 숫자와 동일하게 만들어지면 되는 것이고, 걸림돌기7)의 끝단부가 각 층을 따라 내려가면서 작아지도록 만들어야 캡(6)을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끼움조립할 때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즉,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볼 시트(3)의 끼움부(8)와 캡(6)의 끼움공(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를 위에서부터 A,B,C라고 한다면 A,B,C의 크기가 ABC가 되도록 하는 것이 조립에 용이한 형태가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만들어진 본 고안 볼 조인트의 조립을 제5도와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볼 스터드(4)가 끼움되어 있는 볼 시트(3)를 하우징(2)에 삽입하고, 공구(도시하지 않음)를 사용하여 캡(6)의 끼움공(10)을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끼워조립하면 캡(6)의 끼움공(10)에 만들어진 걸림돌기(7)가 볼 시트(3)의 끼움부(8)에 만들어진 걸림돌기(7)와 맞물리면서 조립되는 것이다.
위에서 캡(6)이 볼 시트(3)에 조립될 때 캡(6)은 볼 시트(3) 하단에 형성된 캡 걸림턱(9)까지 끼움되는 것이고, 이때 캡 걸림턱(9)상에 형성된 미세돌기(9a)는 볼 시트(3)와 캡(6)이 사출성형 될 때 발생할 수 있는 미세한 오차를 극복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볼 시트(3)에 캡(6)이 탄력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볼 시트(3)와 캡(6)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만들게 됨으로써, 볼 시트(3)와 캡(6)의 걸림돌기(7)에 미세한 제조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고, 볼 시트(3)에 캡(6)이 조립될 경우 미세돌기(9a)가 볼 시트(3)와 캡(6) 사이에 제조오차흡수공간 'H'를 확보하여 찌그러들면서 조립되어, 사출로 인한 제조오차를 극복하고 캡(6)이 볼 시트(3)에 항상 탄력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볼 시트에 캡이 융착고정되어 만들어지던 종래의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삼각돌기가 형성된 끼움부를 가진 볼 시트를 만들고, 삼각돌기가 끼움공에 형성된 캡을 만들어 볼 시트의 끼움부에 캡을 끼움조립함으로서 해결하게 된 것이다.

Claims (2)

  1. 볼 스터스(2)의 구두부(4a)가 끼움된 볼 시트(3)를 하우징(2)에 삽입하고 캡(6)으로 볼 시트(3)를 하우징(2)에 고정하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의 볼 시트(3)에 캡(6)을 고정하는 것에 있어서, 캡 걸림턱(9)상에 원주상의 미세돌기(9a)를 가지며 끼움부(8)의 외주면상에 걸림돌기(7)가 층지게 다단으로 형성된 볼 시트(3)를 사출성형하고, 끼움공(10) 내주면에 전기한 볼 시트(3)에 형성된 걸림돌기(7)와 동등한 걸림돌기(7)가 형성된 캡(6)을 사출성형하여 캡(6)의 끼움공(10)과 볼 시트(6) 끼움부(8)의 걸림돌기(7)가 맞물려 조립되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볼 시트(3)의 끼움부(8)와 캡(6)의 끼움공(10)에 형성되는 걸림돌기(7)의 크기가 상단에서 하단으로 작아지는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KR2019950028090U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KR0132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090U KR0132732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8090U KR0132732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81U KR960036681U (ko) 1996-12-16
KR0132732Y1 true KR0132732Y1 (ko) 1999-03-30

Family

ID=19425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8090U KR0132732Y1 (ko) 1995-10-06 1995-10-06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27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668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620B2 (ja)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US5011321A (en) Ball joint for stabilizer
NZ209555A (en) Laterally-adjustable two-part fastener assembly
JPH08135632A (ja) 部材の取付具
KR20110060919A (ko) 볼 조인트 및 그 제조 방법
JPH03501513A (ja) シール
JP3403050B2 (ja) 樹脂製リザーバー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89270B1 (ko)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KR20040066183A (ko) 차량용 연료탱크
KR0132732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태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KR0132731Y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계통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져용 볼 조인트
JP2006336869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製造方法
KR100187490B1 (ko) 볼 조인트의 하우징에 더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방법
KR102352222B1 (ko)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018748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이나 서스펜션계통 관절부에 사용되는 볼 조인트
JP3723633B2 (ja) 防振装置
KR102183399B1 (ko)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JP4190400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157333Y1 (ko) 쇽업소바의 더스트 커버
KR20140059504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
KR102227631B1 (ko)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551673B1 (ko) 차량용 튜브 홀더
KR100908651B1 (ko) 스태빌라이저 링크 및 그 제조방법
KR101584714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열 융착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2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