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6183A - 차량용 연료탱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6183A
KR20040066183A KR10-2004-7009672A KR20047009672A KR20040066183A KR 20040066183 A KR20040066183 A KR 20040066183A KR 20047009672 A KR20047009672 A KR 20047009672A KR 20040066183 A KR20040066183 A KR 20040066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nent
casing
fuel
assembly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9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르션에릭
바우도욱스패트리스
로세엘알렉시스
Original Assignee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이너지 오토모티브 시스템즈 리서치 (소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20040066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19Valve arrangements in the vent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 B60K15/061Fuel tanks characterised by fuel reserve systems with level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0318Processes
    • Y10T137/0402Cleaning, repairing, or assembling
    • Y10T137/0441Repairing, securing, replacing, or servicing pipe joint, valve, or tank
    • Y10T137/0486Specific valve or valve element mounting or repai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348Tank with internally extending flow guide, pipe or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Hybrid Electric Veh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화수소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의 조립체와, 이러한 조립체로 구성되는 탱크에 관한 것으로, 케이싱 또는 이러한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며, 두 구성요소의 각각이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 구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상기 탄화수소에 의하여 팽창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상대측에 대한 구성요소의 고정을 강화한다.
이러한 탱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연료가 없는 상태에서 두 구성요소를 조립하고 조립후에 이들을 연료에 접촉시키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 {MOTOR VEHICLE FEUL TANK}
일반적으로 연료탱크는 연료를 저장하기 위한 케이싱 이외에, 다른 기능, 특히 탈기, 탱크내 연료레벨의 측정, 엔진으로의 연료공급 및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연료압력의 조절과 같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여러가지 요소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가지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탱크의 케이싱에 직접 용착되거나 너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되고 있으나, 이러한 방식은 탄화수소방출에 관련된 규정을 완전히 만족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은 탄화수소와 같은 연료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의 조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탱크 케이싱의 부분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탱크에 구비될 수 있게 된 밸브의 사시도.
도 3은 탱크의 케이싱에 도 2의 밸브를 조립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두 조립단계를 보인 도 3의 IV-IV 선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케이싱에 구비될 수 있게 된 다른 형태의 밸브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밸브가 구비된 케이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연료게이지의 지지체로서 작용하는 리브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리브에 착설되는 게이지 지지체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연료게이지 지지체가 구비된 게이지의 사시도.
도 10은 탱크의 케이싱에 용착된 고정부재와 밸브의 조립상태를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은 특히 연료탱크의 여러 요소의 조립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러한 조립이 신뢰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탄화수소방출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탄화수소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의 새로운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일측 구성요소가 연료탱크 케이싱또는 이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고 타측 구성요소가 케이싱의 내부에 부착되는 요소로 구성되며, 두 조립된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대하여 일측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상기 탄화수소에 의하여 팽창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고, 고정부가 상기 탄화수소의 효과를 통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팽창이 타측 구성요소에 대한 일측 구성요소의 고정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는 다른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케이싱에 고정될 수 있다. 양호한 결과를 보이는 고정수단은 용착이다.
부착요소는 탱크내에 결합되는 요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부착요소는 밸브 또는 연료게이지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두 구성요소는 일측 구성요소 또는 양측 구성요소가 탄화수소와의 접촉으로 팽창되어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차량이 이동중에 차량의 진동효과로 분리되는 위험이 없이 예를 들어 래칭(latching)과 같은 간단한 방법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적당한 경우, 본 발명에 의하여 연료에 대하여 방벽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층을 갖는 탱크의 케이싱을 제조할 수 있고 탄화수소방출의 감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벽형성층을 손상시킴이 없이 이러한 케이싱에 부착요소를 고정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특수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고정부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물질들의 연료접촉팽창특성은 상이하여 예를 들어 조립체가 연료와 접촉하게 되는 것이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케이싱 또는 고정부재는 부착요소를 구성하는 물질 보다 팽창특성이 큰 물질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두 구성요소의 각각은 볼 조인트의 기능을 갖는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예를 들어 구상부(球狀部)와 구상요구(球狀凹溝)와 같은 단일 고정부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두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각 구성요소는 두개의 고정부를 갖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우선실시형태에서, 고정부는 동일한 폴리머물질로 구성되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나, 물질 마다 충전물의 양이 상이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부는 충전물을 함유하지 않거나 유리섬유 또는 탈크 충전물과 같은 충전물을 함유하는 HDPE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폴리아세탈, 폴리아미드 또는 PBT와 같은 다른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예를 들어 HDPE 및 폴리아세탈과 같은 상이한 폴리머물질로 구성되는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변형예에서, 고정부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물질은 동일할 수 있다.
하나의 구성요소가 탱크의 케이싱에 용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고정부재와 케이싱은 예를 들어 동일한 물질, 특히 HDPE와 같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지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팽창특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와 케이싱은 연료의 작용하에 동일한 특성을 가지며 이러한 특성은 케이싱에 대한 고정부재의 고정상태를 약화시키기 쉬운 이들 두 요소 사이의 상이한 변형을 제한한다.
일측 고정부는 예를 들어 적어도 두개의 외측지지면을 가지며 이들 사이에 그리고 이에 접촉하여 두 구성요소가 조립될 때 타측 고정부의 두 내측지지면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적어도 4개의 외측지지면이 쌍으로 배치되어 있고, 동일한 쌍의 외측지지면은 서로 대향되어 있으며, 마찬가지로, 타측 고정부의 적어도 4개의 내측지지면이 쌍으로 배치되고, 동일한 쌍의 내측지지면도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며, 일측 고정부의 각 내측지지면은 타측 고정부의 외측지지면에 결합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일측 고정부는 예를 들어 특수공구없이 수동으로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배치됨으로서 타측 고정부에 고정된다.
조립체의 일측 구성요소가 밸브인 경우, 이러한 슬라이딩 운동은 예를 들어 밸브를 호스에 연결하기 위하여 노즐의 축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이루어져 밸브의 배치시에 밸브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탱크의 케이싱에 형성된 내측지지면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쌍으로 배치되며, 동일한 쌍 내에서, 각 내측지지면은 타측의 내측지지면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만곡부를 갖는다.
외측지지면에는 요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내측지지면의 상기 만곡부가 결합된다.
이들 요구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두개의 평행한 리브 사이에 형성된다.
변형실시형태에서, 이들 요구 중의 적어도 하나는 외측지지면의 만곡부와 이러한 지지면이 연결된 벽 사이에 형성된다.
일측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슬라이딩 운동과 같은 조립운동의 종료시에 타측 구성요소에 결합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분리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결합분리구는 고정부의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요구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고, 예를 들어 외측 또는 내측 지지면 또는 이들 지지면이 연결되는 벽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분리구는 조립중에 일측 고정부가 타측 고정부에 대하여 이동할 때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과 상기 경사면을 통과한 후에 두 구성요소의 분리를 억지하는 직선면을 갖는다.
일측 구성요소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결합분리구에 부가하여 조립과정의 종료시에 타측 구성요소가 지지되는 정지구를 갖는다.
이러한 정지구는 예를 들어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요구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부가적으로 이러한 요구의 영역에서 구성요소의 구조 일부분을 견고히 하도록 하는데 작용한다.
하나의 구성요소가 밸브일 때, 내측 지지면이 탱크 케이싱의 요구에 형성되고 상기 요구의 저면에 형성된 평면벽에 연결될 수 있다.
구성요소의 하나가 연료게이지 지지체일 때, 내측 지지면은 탱크 케이싱의 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내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리브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서, 조립체의 고정부는 일측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고정토록 래칭으로 상호작용토록 배치된다.
일측 고정부는 타측 구성요소에 래칭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변형가능한 탭으로 구성된다.
구성요소의 하나가 고정부재일 때, 이 공정부재는 일측단부에 의하여 탱크의 케이싱에 용착되고타측단부를 향하여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환상팽출부를 갖는 관상벽으로 구성되고, 부착요소의 탄성변형가능한 탭이 이 팽출부에 지지될 수 있다.
부착요소는 고정부재의 관상벽에 결합되는 내부스커트와 탄성변형가능한 탭이 연결되는 외부스커트로 구성된다.
이 실시형태에서, 래칭운동은 고정부재의 관상벽의 축선에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서, 일측 및 타측 구성요소가 조립될 때 일측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대하여 일측 구성요소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리프를 포함한다.
특히, 일측 고정부가 탱크 케이싱에 형성되어 있을 때, 타측 고정부는 두쌍의 리브로 구성되며, 이들은 탱크의 케이싱상에 지지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특히 제1쌍의 리브는 일측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배치되는 방향에 평행하며 제2쌍의 리브는 제1쌍의 리브의 양측에 배치되고 일측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배치되는 방향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조립체로 구성되고 제2 구성요소가 밸브와 연료게이지로부터 선택된 부착요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탱크의 케이싱은 열가소성 물질을 사출하거나 취입성형 또는 로토-몰딩에 의하여 제조된다. 탱크의 케이싱은 예를 들어 열가소성 물질을 사출하여 용착으로 조립되는 두 외갑체반부분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음의 단계로 구성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 일측 구성요소를 타측 구성요소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상호작용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측 구성요소가 연료의 작용을 통하여 팽창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되는 탱크의 상기 두 구성요소를 이들이 연료와 접촉하기 전에 조립하는 단계.
b)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팽창시키고 타측 구성요소에 대한 일측 구성요소의 고정을 강화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료에 접촉시키는 단계.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차량용 연료탱크의 케이싱(1)을 부분적으로 보인 것이다.
연료는 특히 지정되지 않았으나 탄화수소 도는 알콜이다.
도시된 예에서, 이 케이싱(1)은 비충전형의 HDPE를 사출성형하여 얻으며 내부에 예를 들어 EVOH 층과 같이 탄화수소에 대하여 방벽을 형성하는 층을 포함한다.
케이싱(1)은 평면상 저면벽을 갖는 요구(4)로 구성되고 이에 두 탭쌍(3a)(3b)의 탭(2)이 연결된다.
동일한 탭쌍(3a)(3b)의 탭(2)은 서로 대향하고 있으며 이들 탭쌍(3a)(3b)은 서로 정렬되어 있다.
탭쌍(3a) 또는 탭쌍(3b)의 각 탭(2)은 케이싱(1)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직립부(2a)와, 탭쌍(3a) 또는 탭쌍(3b)의 타측 탭(2)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부(2b)로 구성된다. 탭(2)은 예시된 바와 같이 도 2에서 별도로 보인 밸브와 같은 부착요소(5)를 케이싱(1)에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이 밸브는 유리섬유 또는 탈크로 충전된 HDPE로 제조된다.
밸브(5)는 축선 X를 갖는 관상동체(6)로 구성되며 이 관상동체는 그 일측단부가 축선 X에 수직인 플레이트(7)에 연결된다.
관상동체(6)의 반대측에서, 이 플레이트는 축선 X에 대하여 수직인 축선 Y를 가지고 파이프(도시하지 않았음)에 삽입될 수 있게 된 노즐(10)을 지지한다.
또한 플레이트(7)는 관상동체(6)의 반대측에서 두 탭쌍(14a)(14b)의 탭(15)을 지지하며, 각 탭쌍(14a)(14b)의 탭(15)은 축선 X와 Y를 포함하는 중간평면의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다. 탭쌍(14a)(14b)은 축선 Y의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어 있다.
각 탭(15)은 플레이트(7)에 수직으로 연결된 직립부(15a)를 갖는다.
동일한 탭쌍의 타측 탭을 향하는 면에서 각 직립부(15a)는 축선 Y에 평행하고 이들 사이에 축선 Y를 가지며 탭(2)의 만곡부(2b)가 삽입될 수 있는 요구(16)를 형성하는 두개의 리브(15b)를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탭(2)이 내측 지지면을 형성하고 탭(15)이 외측 지지면을 형성한다.
인접한 탭(15)을 향하여 배치된 요구(16)의 단부에서, 각 탭(15)에는 케이싱(1)의 탭(2)의 후측에 고정되는 톱니(20)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5)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케이싱(1)에 배치된다.
밸브(5)의 탭(15)이 요구(16)측으로 만곡부(2b)를 슬라이딩 삽입하여 케이싱(1)의 탭(2)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슬라이딩 운동은 축선 Y에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밸브(5)가 도 4a 및 도 4b에서 보인 바와 같이 배치되는 동안에 톱니(20)가 만곡부(2b)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통과한다.
슬라이딩 운동의 종료시에, 톱니(20)가 탭(2) 사이에 수용되어 어느 한도까지 축선 Y를 따라서 케이싱(1)에 대해 밸브(5)의 이동을 차단하는 정지구를 형성한다.
연료가 탱크에 주입되었을 때, 탭(2)(15)이 연료와 접촉하게 된다.
케이싱(1)과 탭(2)이 비충전형의 HDPE로 제조되므로 이들이 연료와 접촉하여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팽창에 의하여, 만곡부(2b)는 리브(15b)내에서 움직이지 않게 되며, 이들 리브는 팽창되지 않거나 케이싱에 대하여 비교적 적게 팽창되고, 탭(15)은 충전형의 HDP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는 부동성은 케이싱(1)에서 밸브(5)의 고정을 강화한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밸브의 조립을 위하여 일부의 형상을 수정할 수 있다.
도 5는 제1쌍의 대향탭(31)과 제2쌍의 대향탭(32)을 가짐으로서 앞서 예시한 4개의 탭(15)과 같이 배열되나 이들과는 구조가 상이하다.
탭(31)은 각각 플레이트(7)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제1부분(31a)을 포함하고, 이 제1부분(31a)은 타측 탭(31)의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부 형태의 제2부분(31b)까지 연장된다.
각 탭(31)의 제1부분(31a)과 제2부분(31b)은 플레이트(7)에서 축선 Y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요구(33)를 형성한다.
플레이트(7)에는 탭(32)을 향하는 각 요구(33)의 단부에 결합분리구(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결합분리구(35)는 밸브가 케이싱에서 이동하는 동안에 만곡부(2b)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경사면(35a)과, 요구(33)에 결합된 만곡부(2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직선면(35b)으로 구성된다.
각 탭(32)은 제1 및 제2부분(31a)(31b)과 유사하고 각 탭(32)에서 축선 Y를 따라서 연장되고 만곡부(2b)가 삽입될 수 있게 된 요구(38)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부분(32a)(32b)으로 구성된다.
또한 각 탭(32)은 탭(31)을 향하는 요구(38)의 단부에 위치하는 정지구(40)를 포함한다.
각 정지구(40)는 제1 및 제2부분(32a)(32b)과 플레이트(7)에 연결되어탭(32)을 보강한다.
플레이트(7)는 부가적으로 이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양측으로 연장되며 축선 Y에 평행한 한쌍의 리브(42)를 지지한다.
리브(42)는 밸브(5')가 축선 X와 Y에 수직인 축선 Z에 대하여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밸브(5')가 케이싱(1)에 배치되었을 때 이들 리브를 케이싱의 내측면에 지지할 수 있도록 선택된 높이를 갖는다.
또한 플레이트(7)는 이 플레이트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각각 두 탭(31)932) 사이에 배치되며 축선 Z를 따라서 연장된 하쌍의 리브(45)를 지지한다.
이들 리브(45)는 밸브(5')가 축선 Y를 중심으로 하여 케이싱(1)에 대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5')는 탭(2)의 만곡부(2b)를 탭(31)(32)에 의하여 형성된 요구(33)938)에 슬라이딩 삽입시켜 케이싱(1)에 배치된다.
슬라이딩 운동의 종료시에, 요구(33)에 삽입된 만곡부(2b)가 결합분리구(35)의 후측에서 결합되고 직선면(35b)에 지지되며, 요구(38)에 삽입된 만곡부(2b)는 정지구(40)에 지지된다.
그리고 밸브(5')는 축선 Y를 따라 케이싱(1)에 대하여 어느 범위까지는 움직이지 않는다.
그리고 케이싱(1)의 팽창으로 앞서의 실시형태의 경우와 같이 밸브(5')가 케이싱에 대하여 더욱 움직이지 않게 된다.
조립체의 두 구성요소는 상이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충전체의 충전양을 달리한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조립체의 두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HDPE와 같은 동일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플라스틱의 팽창으로 다른 구성요소가 움직이지 않게 되는 효과를 보이도록 배치된다.
탱크 케이싱의 리브(51)에 대한 연료게이지(50)의 조립은 도 7-도 9에서 설명된다.
리브(51)가 각각 직립부(55a)(56a)를 갖는 두 대향탭(55)(56)을 지지하고, 이들 직립부가 리브(51)에 수직으로 연결된다.
각 직립부(55a)(56a)는 이들의 상측단부에서 각 탭(55)(5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하는 각각의 두 만곡부(55b)(56b)까지 연장된다.
연료게이지(50)는 도 8에 독립하여 도시한 폴리아세탈 재질의 지지체(60)를 포함한다.
이 지지체(60)는 밸브(5')와 유사하게 만곡부(55b)(56b)가 삽입되는 요구(33)(38)를 형성하는 두 탭(31)과 두 탭(32)을 갖는다.
지지체(60)는 케이싱(1)에 밸브(5')를 조립하는 것과 유사하게 리브(51)에 조립된다.
이러한 조립에 이어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이, 플로트(도시하지 않았음)를 지지하는 롯드(70)가 지지체(60)에 고정된다.
변형예에서, 이 롯드(70)는 지지체(60)가 리브(51)에 배치되기 전에 이 지지체에 고정될 수 있다.
탭(55)(56)에 연료게이지(50)를 고정하는 최종단계는 조립체를 연료에 접촉시킴으로서 수행된다.
물론, 본 발명은 상기 언급된 예시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특히, 케이싱에 고정되는 부착요소는 밸브나 연료게이지가 아닌 다른 요소로서 예를 들어 펌프나 필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싱으로부터 분리된 두 구성요소를 탱크에 조립하는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립체는 도 10에서 설명되는 바, 이 조립체는 탱크의 케이싱(1)에 용착되는 고정부재(80)와 밸브로 구성되는 부착요소(81)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예에서, 고정부재(80)는 HDPE로 제조되고 부착요소(81)는 POM으로 제조된다.
고정부재(80)는 축선 X'을 갖는 축대칭형 관상벽(82)과, 이 관상벽(82)의 축단부(84)로부터 비교적 작은 거리를 두고 배치된 횡벽(83)으로 구성된다.
고정부재(80)는 그 상측단부(84)에서 케이싱(1)에 용착된다.
하측단부(85)에서, 관상벽(82)은 방사상 외측으로 향하는 환상 팽출부(90)를 갖는다.
관상벽(82)과 횡벽(83)은 하측으로 개방되어 부착요소(81)의 상측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하우징(91)을 형성하고, 이 요소는 축선 X'을 갖는 외부 스커트(96)와 탄성변형가능한 탭(98)을 갖는다. 이들 탭은 팽출부(90)에 지지된다.
밸브(81)는 마찬가지로 축선 X'을 가지고 관상벽(82)에 결합되며 횡벽(83)에지지되는 내부 스커트(100)를 갖는다.
밸브(81)에는 내부 스커트(100)와 외부 스커트(96)를 통과하는 측방향 연장형의 연결노즐(105)이 구비되어 있다.
밸브(81)는 축선 X'을 따라 고정함으로서 고정부재(80)에 배치되며, 탭(98)이 탄성변형을 통하여 팽출부(90)를 통과한다.
연료가 탱크에 주입될 때, 탭(98)과 팽출부(90)가 연료와 접촉하게 된다.
팽출부(90)가 HDPE로 제조되어 있으므로 이는 연료와 접촉하여 팽창하게 되고 이에 결합된 탭(98)에 고정력을 가하며 고정부재(80)에 대한 밸브(81)의 고정을 강화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탄화수소와 같은 연료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의 조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연료탱크에 관한 것이다.

Claims (10)

  1. 탄화수소에 접촉하게 되는 적어도 두 구성요소의 조립체로서, 일측 구성요소가 연료탱크 케이싱(1) 또는 이 케이싱에 고정되는 고정부재(80)로 구성되고 타측 구성요소가 케이싱의 내부에 부착되는 요소로 구성되며, 두 조립된 구성요소가 타측 구성요소에 대하여 일측 구성요소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2, 15; 31, 32; 55, 56; 90, 98)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상기 탄화수소에 의하여 팽창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고, 고정부가 상기 탄화수소의 효과를 통하여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팽창이 타측 구성요소에 대한 일측 구성요소의 고정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구성요소의 조립체.
  2. 전기 청구항에 있어서, 고정부재(80)가 용착으로 케이싱(1)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3.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요소가 밸브(5, 5')와 연료게이지(50)로부터 선택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4.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부(2, 15; 31, 32; 55, 56; 90, 98)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물질의 팽창특성이 상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5.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싱(1) 또는 고정부재(80)가 부착요소를 구성하는 물질 보다 팽창특성이 큰 물질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고정부를 구성하는데 사용된 물질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7.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요소가 탱크의 케이싱에 용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고정부재와 케이싱이 동일한 팽창특성을 갖는 물질로 만들어지고 동일한 HDPE 물질로 만들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8.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측 구성요소가 슬라이딩 조립운동의 종료시에 타측 구성요소에 결합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분리구(20, 35)를 포함하고, 이들 결합분리구가 구정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체.
  9. 차량용 연료탱크에 있어서, 이 차량용 연료탱크가 전기 청구항의 어느 한 항에서 한정된 조립체로 구성되고, 제2 구성요소가 밸브(5, 5')와 연료게이지(50)로부터 선택된 부착요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
  10. 차량용 연료탱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일측 구성요소를 타측 구성요소에 고정하기 위하여 각각 상호작용하는 고정부로 구성되고 적어도 일측 구성요소가 연료의 작용을 통하여 팽창될 수 있는 물질로 제조되는 탱크의 상기 두 구성요소를 이들이 연료와 접촉하기 전에 조립하는 단계와,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를 팽창시키고 타측 구성요소에 대한 일측 구성요소의 고정을 강화하도록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료에 접촉시키는 단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제조방법.
KR10-2004-7009672A 2001-12-21 2002-12-11 차량용 연료탱크 KR200400661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116892A FR2833890B1 (fr) 2001-12-21 2001-12-21 Reservoir a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01.16892 2001-12-21
PCT/EP2002/014071 WO2003053731A1 (fr) 2001-12-21 2002-12-11 Reservoir a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183A true KR20040066183A (ko) 2004-07-23

Family

ID=887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9672A KR20040066183A (ko) 2001-12-21 2002-12-11 차량용 연료탱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48397B2 (ko)
EP (1) EP1458584B1 (ko)
JP (2) JP4675565B2 (ko)
KR (1) KR20040066183A (ko)
CN (1) CN1289331C (ko)
AT (1) ATE337932T1 (ko)
AU (1) AU2002361392A1 (ko)
BR (1) BR0215219A (ko)
DE (1) DE60214426T2 (ko)
FR (1) FR2833890B1 (ko)
WO (1) WO20030537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77883B1 (fr) * 2004-11-15 2008-05-2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Embout en matiere plastique pour reservoir a carburant
FR2889099A1 (fr) * 2005-07-28 2007-02-0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et dispositif associe pour le moulage d'une partie d'un composant creux ; composant creux et procede de fixation sur un reservoir
FR2897308B1 (fr) * 2006-02-13 2009-01-23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Procede pour la fixation d'un accessoire dans un reservoir a carburant en matiere plastique
JP5163610B2 (ja) * 2009-07-30 2013-03-13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タンク用ユニット
FR2952142B1 (fr) * 2009-10-29 2016-01-22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 Corps creux comportant un module accessoire fixe sur sa paroi, et module adapte pour un tel corps creux
JP5097221B2 (ja) * 2010-01-19 2012-12-12 八千代工業株式会社 樹脂製燃料タンクの部品固定構造
US9994101B2 (en) 2010-05-06 2018-06-12 Jeff Yager Vehicle fuel tank
ES2656521T3 (es) 2010-05-06 2018-02-27 YAPP USA Automotive Systems, Inc. Tanque de combustible de vehículo
US8567426B2 (en) * 2010-05-21 2013-10-29 Eaton Corporation Valve housing for a fuel tank-mounted valv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102010032279B4 (de) * 2010-07-26 2012-09-06 Kautex Textron Gmbh & Co. Kg Verfahren zur Nietbefestigung eines Zubehörteils
WO2012066646A1 (ja) 2010-11-17 2012-05-24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
WO2012066649A1 (ja) * 2010-11-17 2012-05-24 愛三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8973778B2 (en) * 2012-10-29 2015-03-10 Ti Automotive Technology Center Gmbh Self-adjusting connector
DE102013013212A1 (de) * 2013-08-09 2015-02-12 Kautex Textron Gmbh & Co. Kg Universelles Abschaltventil
US9909538B2 (en) * 2015-12-09 2018-03-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por blocking valve mounting system
DE102016225721A1 (de) * 2016-12-21 2018-06-21 Robert Bosch Gmbh Ventilvorrichtung
DE102016226339A1 (de) 2016-12-30 2018-07-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ntank-befestigungsvorrichtung
WO2020110314A1 (ja) * 2018-11-30 2020-06-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遮断弁ユニット取り付け構造
BR112023003402A2 (pt) * 2020-09-02 2023-05-02 Asian Honda Motor Co Ltd Estrutura de engate da cobertura de bomba de combustível para veículo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28469A1 (de) * 1979-07-14 1981-01-29 Bosch Gmbh Robert Befestigungsvorrichtung fuer elektrokraftstoffpumpen
JPH0530500Y2 (ko) * 1985-05-30 1993-08-04
JPS62137724U (ko) * 1986-02-20 1987-08-31
JPH0618053Y2 (ja) * 1988-07-07 1994-05-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カットバルブ
JP3034992B2 (ja) * 1991-06-14 2000-04-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燃料遮断装置
US5192143A (en) * 1992-05-15 1993-03-09 Sun Microsystems, Inc. Quick connect modular unit retainer assembly with damping
JP3449955B2 (ja) * 1992-12-14 2003-09-22 株式会社ニフコ 燃料流出防止弁
US5522417A (en) * 1994-04-21 1996-06-04 Nifco Inc. Anti-spilling valve for vehicle fuel tank
FR2774950B1 (fr) 1998-02-19 2000-05-19 Plastic Omnium Cie Canister de reservoir a carburant et reservoir a carburant muni d'un tel canister
US6035883A (en) * 1998-03-13 2000-03-14 Eaton Corporation Weldable vapor vent valve for fuel tanks
JPH11321353A (ja) 1998-05-15 1999-11-24 Toyota Motor Corp フューエルサブタンクの取付構造
FR2786224B1 (fr) * 1998-11-24 2001-12-07 Marwal Systems Moyens de filtrage perfectionnes pour ensemble de puisage de carburant
JP3506034B2 (ja) * 1999-03-15 2004-03-15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FR2801003B1 (fr) 1999-11-12 2002-09-06 Plastic Omnium Cie Procede pour realiser une enveloppe soufflee munie d'une embouchure apte a recevoir une conduite, insert destine a etre surmoule par soufflage d'une paraison et enveloppe soufflee comportant un tel insert surmoule
JP2001047499A (ja) 2000-01-01 2001-02-20 Nippon Steel Chem Co Ltd 多層樹脂成形品廃材を活用したブロー成形品
JP3994662B2 (ja) * 2000-03-30 2007-10-24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遮断弁
FR2806959B1 (fr) 2000-04-03 2003-02-14 Plastic Omnium Cie Procede de fabrication d'un reservoir en matiere thermoplastique soufflee incorporant un insert
FR2807976B1 (fr) * 2000-04-20 2002-06-28 Plastic Omnium Cie Reservoir a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FR2808471B1 (fr) 2000-05-03 2003-02-14 Plastic Omnium Cie Reservoir a carburant et procede de fabrication
JP3374120B2 (ja) * 2000-05-19 2003-02-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バルブ取付構造
US6289915B1 (en) * 2000-06-06 2001-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Permeation and leak preventative design for fuel tank attachments
FR2816890B1 (fr) 2000-11-20 2003-05-16 Inergy Automotive Systems Reservoir a carburant de vehicule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833890B1 (fr) 2005-04-22
WO2003053731A1 (fr) 2003-07-03
DE60214426T2 (de) 2007-05-03
DE60214426D1 (de) 2006-10-12
JP4675565B2 (ja) 2011-04-27
FR2833890A1 (fr) 2003-06-27
EP1458584B1 (fr) 2006-08-30
US20050217735A1 (en) 2005-10-06
CN1620375A (zh) 2005-05-25
ATE337932T1 (de) 2006-09-15
JP2005512872A (ja) 2005-05-12
BR0215219A (pt) 2004-11-16
EP1458584A1 (fr) 2004-09-22
US7748397B2 (en) 2010-07-06
JP5026447B2 (ja) 2012-09-12
AU2002361392A1 (en) 2003-07-09
JP2009143565A (ja) 2009-07-02
CN1289331C (zh) 200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66183A (ko) 차량용 연료탱크
US6499500B2 (en) Motor vehicle fuel tank
KR101643433B1 (ko) 소음 감소 배플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연료 탱크 및 그 제조 방법
US6338420B1 (en) Motor vehicle fuel tank and method
US7014214B2 (en) Resinous connector
US20130284732A1 (en) Vehicle tank and/or fill pipe for such a tank
JP5107955B2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
JP5499020B2 (ja) 付属品を燃料タンクの内部に締結するための方法
US20070228722A1 (en) Device for Attaching a Componet to a Hollow Body and Fuel System for Motor Vehicles Using the Device
EP3489064B1 (en) Self-adjusting connector
JP2004505812A (ja) プラスチックに物体を溶接するためのアダプタ
WO2019188242A1 (ja) 燃料タンク用蓋
US6786350B2 (en) Fuel container with attentuation element
CN102137746A (zh) 用于制造装备有泵的塑料燃料储箱的方法
EP3052335B1 (en) Tank with internal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for assembling such a tank
JP6788939B2 (ja) フィラーパイプの取付方法
GB2308078A (en) Fuel tank filter
EP1203686B1 (en) Assembly of components for venting fuel vapor from a fuel tank
JP2009502565A (ja) 中空構成部品の一部を成形するためのプロセス及び燃料タンクに中空部品を固定する方法
US10434873B2 (en) Inlet check valve for a filler pipe welded to a liquid tank
WO2017192105A1 (en) Universal fuel filling pipe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