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222B1 -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 Google Patents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222B1
KR102352222B1 KR1020210064483A KR20210064483A KR102352222B1 KR 102352222 B1 KR102352222 B1 KR 102352222B1 KR 1020210064483 A KR1020210064483 A KR 1020210064483A KR 20210064483 A KR20210064483 A KR 20210064483A KR 102352222 B1 KR102352222 B1 KR 102352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hole
rib
fusion
guide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415A (ko
Inventor
하윤철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64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222B1/ko
Publication of KR20210060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5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3개 부품을 융착 고정시킬 때 제2부품에 형성된 가이드리브가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에 삽입되도록 하여 융착 과정에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고, 제1부품에 형성된 보스만을 용융시키는 것이 아니라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까지 함께 용융시켜 제3부품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어서, 어느 특정 부품이 결합에서 제외되어 유동하거나 진동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을 막아주며 제1부품에 후크가 형성되어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이 가조립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Fusion welding structure of three parts}
본 발명은 3개 부품의 융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3개의 플라스틱 부품들을 결합할 시 결합 과정에서 비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견고한 융착이 가능토록 하여 진동에 따른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크래시패드(crash pad), 플로어콘솔(floor console), 필라트림(pillar trim), 도어트림(door trim) 등에는 자동차를 구성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부품들이 설치된다. 이때 플라스틱 부품들은 열융착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특히 3개 부품을 동시에 융착 고정시키는 경우도 있으며, 이를 3점 융착이라 부르기도 한다.
도1은 종래의 3점 융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3개의 부품을 분리해 놓은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3개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점 융착을 위해서는 먼저 제1부품(10), 제2부품(20) 및 제3부품(30)이 준비된다.
제1부품(10)에는 보스(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보스(11)의 둘레에는 제2부품(20)을 받쳐주기 위한 십자형날개(12)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제2부품(20)에는 보스(11)가 삽입되는 관통공a(21)가 형성되어 있고, 제3부품(30)에도 보스(11)가 삽입되는 관통공b(3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3개 부품(10,20,30)들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품(10)의 보스(11)를 제2부품(20)의 관통공a(21)와 제3부품(30)의 관통공b(31)에 삽입하여 제2부품(20) 및 제3부품(30)이 제1부품(10)의 날개에 지지되도록 한 후, 제3부품(30)의 상단에서 열을 공급하는 융착팁(1)을 하강시켜 보스(11)의 상단 부분을 용융시킨다. 이렇게 보스(11)의 상단 부분이 융착팁(1)에 의해 용융되면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품(30)의 관통공b(31) 둘레에 용융접합부(40)가 형성되고, 용융접합부(40)가 굳으면 용융접합부(40)에 제3부품(30) 및 제2부품(20)이 걸리면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하지만 종래의 3점 융착 방식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먼저 도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품(10)의 보스(11)가 제2부품(20) 및 제3부품(30)의 관통공(21,31)에 삽입된 가조립 상태에서는 각 부품들이 아직 결합된 상태가 아니다. 따라서 융착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지면 각 부품들이 회전하는 현상, 즉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렇게 부품들이 비틀린 상태로 용융 접합이 이루어지게 되면 부품간 유격이 발생할 여지가 커진다.
또한, 제1부품(10)의 보스(11)가 제2부품(20) 및 제3부품(30)의 관통공(21,31)에 삽입 된 상태에서 보스(11)의 상단 부분을 용융시키면, 도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1)의 상단이 용융되면서 제3부품(30)의 관통공b(31) 둘레와 접합된 상태로 굳게 된다. 즉 용융 접합에 관여되는 부분은 제1부품(10)과 제3부품(30) 뿐이며, 제2부품(20)은 실질적으로 다른 부품과 용융 접합되지는 못하고 제1부품(10)과 제3부품(30) 사이에 끼워져 있는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2부품(20)은 다른 부품에 접합 고정되지 못하기 때문에, 제2부품(20)의 유동 가능성이 있고, 반복적인 유동에 의해 틈(갭)이 커지면 진동에 따른 소음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게 된다.
더불어 3개 부품(10,20,30)을 고정시켜야 하는데도 보스(11)의 상단 부분만을 용융시키기 때문에 적은 양의 용융물에 의해 융착 강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한편 융착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7038호(2009.07.02.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3개 부품을 융착시킬 때 비틀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3개 부품 모두가 융착에 관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들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으며, 충분한 양의 용융물을 통해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는,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보스를 갖는 제1부품;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a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리브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부품; 및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b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3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에 삽입되고,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팁을 통해 상기 보스 및 가이드리브의 상단부를 용융시켜 상기 제3부품과 용융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부품의 보스 일측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로 절개된 형태의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상기 제2부품의 관통공a 및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를 관통할 시 상기 후크가 상기 제2부품 및 제3부품에 걸리면 상기 슬릿부가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보스 상단부분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를 완전히 지나가면, 상기 보스에서 상기 후크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 복원됨으로써 상기 후크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 둘레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이 가조립되고,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제2부품과 제3부품 사이의 상대회전이 억제될 수 있다.
본 발명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에서는 제1부품에 형성된 보스에 후크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1 내지 제3부품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후크에 의해 가조립 부품들이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2부품에서 관통공a의 둘레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복수의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제3부품에서 제1부품의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b 둘레를 따라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안착홈이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들이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리브가 리브안착홈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의 비틀림 현상도 억제된다. 즉 융착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품들이 비틀어진 상태에서 융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융착이 마쳐지더라도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 하단 부분은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부품과 제3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보스의 용융물이 가이드리브에서 용융되지 않은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용융접합부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부품과 제2부품 사이의 상대 회전도 억제된다. 즉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 모두가 서로 비틀림에 강한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제2부품의 관통공a 둘레를 따라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을 관통하는 가이드리브가 형성되어 있고, 융착팁에 의해 제1부품의 보스를 용융시킬 때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까지 함께 용융시켜 제3부품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1부품의 보스 상단,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 상단 및 제3부품의 관통공b 둘레 부분이 용융 혼합된 후 굳어지는 것인데, 이에 따라 제1부품 내지 제3부품이 모두 용융 접합에 관여하게 된다. 즉 종래의 3점 융착 방식에서는 제1부품과 제3부품만이 용융 접합에 관여하게 되어 제2부품이 유동하면서 진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이 모두 용융 접합되기 때문에, 용융 접합되지 않은 특정 부품의 유동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외부 진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3개 부품을 용융 접합 시킴에도 불구하고 보스의 상단 부분만을 용융시켰기 때문에 용융물의 양이 적어 견고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스의 상단 부분뿐만 아니라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 상단 부분까지 함께 용융시킴으로써, 3개 부품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용융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충분한 크기의 용융접합부에 의해 체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3점 융착 방식에 사용되는 부품들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부품들을 융착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도3에 도시된 부품들을 융착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는 도3에 도시된 부품들을 융착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이 열풍 또는 열에 의해 용융되어 혼합된 후 경화됨으로써 융착되는 구조이다.
제1부품(310)에는 도면상 위쪽을 향하여 보스(311)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보스(311)의 둘레에는 제2부품(320)을 받쳐줄 수 있도록 십자형날개(312)가 형성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십자형날개(312)가 구비되지 않은 보스(311)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제1부품(310)의 상단면에 제2부품(320)의 저면이 직접 밀착하게 된다. 또한 보스(311)는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상부의 마주보는 양측 지점 일부가 절개되어 슬릿부(3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보스(311)의 바깥 부분에는 후크(311b)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2부품(320)에서 제1부품(31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관통공a(321)가 형성되어 있으며, 관통공a(321)의 둘레를 따라 복수 지점에는 상방향으로 가이드리브(322)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공a(321)는 보스(311)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제3부품(330)에서 제1부품(310) 및 제2부품(320)이 결합되는 부분에는 관통공b(331)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b(331)는 제1부품(310)의 보스(311)가 관통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한편 관통공b(331)의 둘레에는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에 대응하는 위치에 가이드리브(3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리브안착홈(33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이 준비된 상태에서 3개 부품(310,320,330)을 용융 접합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제1부품(310)의 보스(311)가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의 내경은 보스(311)의 외경보다 약간 큰 수준이다. 따라서 보스(311)가 관통공a(321)에 삽입될 때 후크(311b)가 형성된 부분이 제2부품(320)의 저면에 걸릴 경우 바로 삽입이 이루어지진 않는다. 따라서 보스(311)가 관통공a(321)에 삽입되도록 외력을 가하면, 후크(311b)의 경사진 부분이 관통공a(321)의 내측면에 밀리게 되고, 이에 따라 슬릿부(311a)에 의해 영역이 나뉘어진 보스(311)의 상단 부분에서 후크(311b)가 형성된 부분이 반대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즉 보스(311)는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기 때문에 보스(311) 상단에 마주보는 형태로 슬릿부(311a)를 형성시키면 후크(311b)가 형성된 부분이 반대쪽을 향하여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후크(311b)가 관통공a(321)의 내측면에 걸려 보스(311) 상단 부분이 휘어지면서 관통공a(321)에 삽입되고, 후크(311b)의 하단부가 관통공a(321)를 완전히 지나고나면, 보스(311) 상단의 휘어진 부분이 탄성 복원된다.
더불어 제1부품(310)의 보스(311)를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에 삽입시키고 나면, 제2부품(320)의 위에서 제3부품(330)을 결합시킨다. 제3부품(330)에는 관통공b(331)가 형성되어 있는데, 관통공b(331)를 지나갈 때에도 보스(311)의 후크(311b)가 형성된 부분이 휘어지면서 지나가게 된다. 또한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 둘레에 형성된 복수의 가이드리브(322)는 제3부품(330)의 리브안착홈(332)에 각각 삽입된다.
이렇게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을 결합시키면 도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를 관통하여 제1부품(310)의 보스(311)가 상부로 노출되고, 보스(311) 측면에 형성된 후크(311b)는 관통공b(331)의 둘레면에 걸리게 된다. 또한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는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 둘레를 따라 형성된 리브안착홈(332)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다.
도3의 (b)와 같이 3개의 부품(310,320,330)이 조립된 상태는 융착이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융착 구조에서 사용되는 부품들(310,320,330)은 융착 전 가조립 상태에서도 견고한 결합력이 유지된다. 즉 제1부품(310)의 보스(311) 측면에 형성된 후크(311b)가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와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를 관통하여 삽입된 후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 둘레면에 걸려 있는 형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도3의 (b)와 같이 가조립된 상태에서도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은 분리되지 않는다.
더불어 제2부품(320)에 형성된 가이드리브(322)는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 둘레에 형성된 리브안착홈(332)에 각각 삽입된 상태이다. 즉 가이드리브(322)가 리브안착홈(332)에 구속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부품(320)과 제3부품(330)은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다. 즉 제2부품(320)과 제3부품(330) 사이의 비틀림이 방지되며, 융착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비틀림 현상이 억제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다.
한편, 도4는 제1 내지 제3부품을 도3의 (b)와 같이 가조립 해 놓은 상태에서 융착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4의 (a)를 참조하면 제1부품(310)의 보스(311)가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에 삽입됨으로써 제2부품(320)은 십자형날개(312)에 받쳐지게 되고,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는 제1부품(310)의 보스(311) 둘레를 감싸는 형태가 된다. 또한 제3부품(330)은 제2부품(320)의 상부면에 올려진 상태가 된다.
도4의 (a)와 같이 제1 내지 제3부품(310,320,330)을 가조립시켜 놓은 상태에서 보스(311) 및 가이드리브(322)의 상부에서 융착팁(301)이 하강하여 보스(311)와 가이드리브(322)의 상단 부분을 가압하면, 융착팁(301)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보스(311) 및 가이드리브(322)의 상단이 용융되고, 융착팁(301)이 보스(311) 및 가이드리브(322)의 상단을 용융시키면서 제3부품(330)의 상단면까지 하강하면,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와 리브안착홈(332) 둘레 일부 영역까지 용융되어 보스(311) 및 가이드리브(322)의 용융물과 혼합된다.
융착팁(301)을 이용한 열융착을 마치고 융착팁(301)이 다시 상승하면, 도4의 (b)와 같이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와 리브안착홈(332) 둘레를 따라 용융접합부(340)가 형성되고, 용융접합부(340)가 굳으면 3개 부품(310,320,330)이 고정된다.
즉, 제1부품(310)의 보스(311)는 물론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까지 함께 용융되면서 제3부품(330)에 용융 접합되는 것이어서, 3개 부품 모두가 결합되어 특정 부품이 유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더불어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가 제3부품(330)의 리브안착홈(332)을 지나 상부로 노출된 부분은 융착팁(301)에 의해 일부 용융 되더라도, 리브안착홈(332) 내에 위치한 가이드리브(322)의 하부는 용융되지 아니하고 끼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용융 접합을 마친 후에도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 하부는 여전히 제3부품(330)의 리브안착홈(33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부품(320)과 제3부품(330) 간 비틀림 방지 효과는 유지된다.
한편 앞선 설명에서 융착팁(301)이 하강할 시 보스(311)와 가이드리브(322)를 함께 용융시켜 제3부품(330)의 상부면에 접합되도록 한다고 설명하였지만, 실질적으로 제3부품(330) 위쪽으로 올라온 가이드리브(322)의 전체 부분이 용융되는 것은 아니다. 즉 융착팁(301)이 하강하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보스(311)의 상단 부분부터 용융이 시작된다. 이렇게 보스(311)의 상단 부분이 용융되면 용융물이 가이드리브(322) 둘레 부분을 가득 채우게 되고, 융착팁(301)이 추가 하강하면 비로소 가이드리브(322)의 상단 부분도 일부 용융되어 섞이게 된다. 하지만 가이드리브(322)의 상단을 제외한 그 아랫 부분은 먼저 용융된 보스(311)의 상단 부분 용융물에 의해 감싸진 상태만 유지하고 완전히 용융되지는 않게 된다. 따라서 용융 접합을 마치고 나면 도4의 (b)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리브(322)의 둘레가 보스(311)의 용융물에 의해 감싸진 형태로 융착이 마쳐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부품(310)과 제2부품(320) 사이에서도 상대회전이 방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즉 보스(311)의 용융물에 의해 제1부품(310)과 제2부품(320) 사이의 비틀림이 억제되고, 제2부품(320)과 제3부품(330)은 리브안착홈(332) 사이에 끼워진 가이드리브(322)의 하단 부분에 의해 비틀림이 억제되어, 3개 부품 모두가 서로 비틀림에 강한 접합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개 부품의 융착 구조에서는 제1부품(310)에 형성된 보스(311)에 후크(311b)가 마련되어 있어서, 제1 내지 제3부품(3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 후크(311b)에 의해 가조립 부품들(310,320,330)이 빠지지 않게 된다. 또한 제2부품(320)에서 관통공a(321)의 둘레에는 상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복수의 가이드리브(322)가 형성되어 있고, 제3부품(330)에서 제1부품(310)의 보스(311)가 삽입되는 관통공b(331) 둘레를 따라 가이드리브(322)가 삽입되는 리브안착홈(332)이 형성되어 있어서, 부품들(310,320,330)이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리브(322)가 리브안착홈(332)에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부품들 사이의 비틀림 현상도 억제된다. 즉 융착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부품들이 비틀어진 상태에서 융착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융착이 마쳐지더라도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 하단 부분은 제3부품(330)의 리브안착홈(33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2부품(320)과 제3부품(330) 사이의 상대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또한 보스(311)의 용융물이 가이드리브(322)에서 용융되지 않은 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용융접합부(340)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부품(310)과 제2부품(320) 사이의 상대 회전도 억제된다. 즉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 모두가 서로 비틀림에 강한 접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제2부품(320)의 관통공a(321) 둘레를 따라 제3부품(330)의 리브안착홈(332)을 관통하는 가이드리브(322)가 형성되어 있고, 융착팁(301)에 의해 제1부품(310)의 보스(311)를 용융시킬 때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까지 함께 용융시켜 제3부품(330)에 접합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제1부품(310)의 보스(311) 상단,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 상단 및 제3부품(330)의 관통공b(331) 둘레 부분이 용융 혼합된 후 굳어지는 것인데, 이에 따라 제1부품(310) 내지 제3부품(330)이 모두 용융 접합에 관여하게 된다. 즉 종래의 3점 융착 방식에서는 제1부품(10)과 제3부품(30)만이 용융 접합에 관여하게 되어 제2부품(20)이 유동하면서 진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제1부품(310), 제2부품(320) 및 제3부품(330)이 모두 용융 접합되기 때문에, 용융 접합되지 않은 특정 부품의 유동 가능성이 없다. 따라서 외부 진동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도 막아줄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3개 부품을 용융 접합 시킴에도 불구하고 보스(11)의 상단 부분만을 용융시켰기 때문에 용융물의 양이 적어 견고한 결합력을 기대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보스(311)의 상단 부분뿐만 아니라 제2부품(320)의 가이드리브(322) 상단 부분까지 함께 용융시킴으로써, 3개 부품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충분한 양의 용융물이 생성된다. 따라서 충분한 크기의 용융접합부(340)에 의해 체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301 : 융착팁
310 : 제1부품
311 : 보스
311a : 슬릿부
311b : 후크
312 : 십자형날개
320 : 제2부품
321 : 관통공a
322 : 가이드리브
330 : 제3부품
331 : 관통공b
332 : 리브안착홈
340 : 용융접합부

Claims (1)

  1. 상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된 보스를 갖는 제1부품;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a의 둘레를 따라 상방향으로 복수의 가이드리브가 연장 형성되어 있는 제2부품; 및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삽입되는 관통공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b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삽입되는 리브안착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3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에 삽입되고,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을 관통하여 상기 리브안착홈의 상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융착팁을 통해 상기 보스 및 가이드리브의 상단부를 용융시켜 상기 제3부품과 용융 접합되도록 하는 것이며,
    융착팁이 상기 보스 및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단을 용융시키면서 상기 제3부품의 상단면까지 하강하면 상기 융착팁이 상기 제3부품의 상기 관통공b와 상기 리브안착홈의 둘레 영역을 용융시켜 상기 제1부품과 상기 제2부품과 상기 제3부품이 모두 함께 용융되어 접합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의 상부는 용융되지만 상기 가이드리브의 하부는 용융되지 않고 상기 리브안착홈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제1부품의 보스 일측에는 후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스의 상단에는 소정 깊이로 절개된 형태의 슬릿부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제1부품의 보스가 상기 제2부품의 관통공a 및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를 관통할 시 상기 후크가 상기 제2부품 및 제3부품에 걸리면 상기 슬릿부가 형성된 부분으로 상기 보스 상단부분이 내측으로 휘어지게 되고, 상기 후크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를 완전히 지나가면, 상기 보스에서 상기 후크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 복원됨으로써 상기 후크가 상기 제3부품의 관통공b 둘레면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제1부품, 제2부품 및 제3부품이 가조립되고, 상기 제2부품의 가이드리브가 상기 제3부품의 리브안착홈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제2부품과 제3부품 사이의 상대회전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0210064483A 2019-11-04 2021-05-20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352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483A KR102352222B1 (ko) 2019-11-04 2021-05-20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452A KR102257594B1 (ko) 2019-11-04 2019-11-04 비틀림 방지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0210064483A KR102352222B1 (ko) 2019-11-04 2021-05-20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52A Division KR102257594B1 (ko) 2019-11-04 2019-11-04 비틀림 방지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415A KR20210060415A (ko) 2021-05-26
KR102352222B1 true KR102352222B1 (ko) 2022-01-18

Family

ID=7591879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52A KR102257594B1 (ko) 2019-11-04 2019-11-04 비틀림 방지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0210064483A KR102352222B1 (ko) 2019-11-04 2021-05-20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452A KR102257594B1 (ko) 2019-11-04 2019-11-04 비틀림 방지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575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87B1 (ko)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918U (ko) * 1998-11-28 2000-06-26 윤종용 음극선관의 장착구조
KR101680812B1 (ko) * 2015-04-10 2016-11-30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융착의 강도 향상을 위한 융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387B1 (ko)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594B1 (ko) 2021-05-28
KR20210053620A (ko) 2021-05-12
KR20210060415A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135632A (ja) 部材の取付具
JP4568720B2 (ja) バイザー付ヘルメット
JP6469561B2 (ja) 車両用内装材
KR10129626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융착 구조
KR102352223B1 (ko)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JP3403050B2 (ja) 樹脂製リザーバータン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52222B1 (ko)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680812B1 (ko) 융착의 강도 향상을 위한 융착구조
KR100907038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KR100589270B1 (ko)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KR101418914B1 (ko)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JP2013252834A (ja) 車両用構造体の固定方法及び当該固定方法により固定された車両用構造体
JPH10156555A (ja) 超音波溶接機用の超音波ホ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ラケット部品の取付方法
JP2017189002A (ja) ワイヤハーネス外装体およびこれ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KR101390227B1 (ko)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방사상리브를 갖는 융착구조
KR20110023203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KR101304966B1 (ko) 임팩트 패드 열융착 조립구조
KR20240084246A (ko) 체결력이 강화된 차량용 부품의 융착구조
KR102183399B1 (ko)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227631B1 (ko)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1729943B1 (ko)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JP2017087817A (ja) 車両用内装材
KR100187490B1 (ko) 볼 조인트의 하우징에 더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방법
KR100187487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이나 서스펜션계통 관절부에 사용되는 볼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