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7038B1 -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7038B1
KR100907038B1 KR1020080059631A KR20080059631A KR100907038B1 KR 100907038 B1 KR100907038 B1 KR 100907038B1 KR 1020080059631 A KR1020080059631 A KR 1020080059631A KR 20080059631 A KR20080059631 A KR 20080059631A KR 100907038 B1 KR100907038 B1 KR 100907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fusion
unit part
hol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권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6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7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1Passenger cars; 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단위부품과 제2단위부품이 서로 융착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에 있어서, 일측에 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1단위부품과, 융착보스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보스홀이 형성되고 보스홀의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보조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2단위부품을 포함하되, 융착보스의 용융물이 보조융착보스에 융착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되고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장부품과 그 융착방법이 제공된다.
자동차, 내장부품, 융착, 융착보스, 보스홀, 보조융착보스, 용융물

Description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INTERIOR PARTS FOR AUTOMOBILE AND FUSION JOIN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융착에 의해 2개의 단위부품이 서로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주로 트림류의 내장부품들은 소정 형상의 플라스틱 단위부품을 서로 겹쳐 열융착 가공하여 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한쪽 단위부품에 형성된 홀을 통해 돌출된 다른 한쪽 단위부품의 돌기를 열융착툴(전열발생 및 가압기)을 사용하여 가열, 가압함으로써 돌기의 상단을 리벳 머리 형태의 융착물로 가공하여 2개의 플라스틱 단위부품을 서로 결합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이처럼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경우, 단위부품의 사출성형 및 조립시 발생하는 공차를 고려하여 홀과 돌기 사이에 일정 간격의 갭(gap)을 유지시켜 주고 있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 또는 자동차 주행 중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단위부 품간 융착결합면이 분리되는 경우, 홀과 돌기 사이의 갭 만큼 단위부품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소음발생과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제1단위부품과 제2단위부품이 서로 융착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에 있어서, 일측에 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1단위부품과, 융착보스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보스홀이 형성되고 보스홀의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보조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2단위부품을 포함하되, 융착보스의 용융물이 보조융착보스에 융착됨으로써 체결력이 향상되고, 소음발생과 이로 인한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감성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는 자동차용 내장부품과 그 융착방법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제1단위부품과 제2단위부품이 서로 융착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에 있어서, 일측에 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1단위부품과, 융착보스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보스홀이 형성되고 보스홀의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보조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2단위부품을 포함하되, 융착보스의 용융물이 보조융착보스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과, 그 융착방법이 제공된다.
이때, 융착보스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조융착보스는, 보스홀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부가 서로 소 정거리 이격하여,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에 의하면, 단위부품간 체결력이 향상됨으로써, 소음발생과 이로 인한 승차감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 향상과 감성품질 향상의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융착보스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내장부품(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이 서로 융착 결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단위부품(20)의 상측에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형상의 융착보스(21)가 상측으로 돌출형성되고, 제2단위부품(30)의 상측에는 이 융착보스(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원형 또는 다각형의 보스홀(31)이 형성되며 아울러, 보스홀(31) 의 상측 테두리에는 소정의 폭을 가진 보조융착보스(32)가 소정 높이로 돌출형성된다.
이때, 보조융착보스(32)는 별도의 링형부재가 보스홀(31)의 테두리에 접착 또는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제2단위부품(30)과 일체로 형성되며, 후술하는 융착보스(21) 단부의 용융물(22)과 견고히 융착 결합된다.
융착보스(21)가 보스홀(31)에 삽입된 후 제2단위부품(30)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융착보스(21)의 단부는 열융착툴(미도시)에 의해 가열, 가압되며 이때, 융착보스(21) 단부의 용융물(22)이 보조융착보스(32)의 상측면과 외주면을 감싸면서 융착된다.
이에 따라, 용융물(22)이 굳어진 후에는 보조융착보스(32)와 용융물(22)이 서로 견고히 결합됨으로써,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 사이에 수평방향의 유동이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융착보스(21)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21a)가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스홀(31)에 융착보스(21)를 삽입하면 제1단위부품(20)의 저면에 리브(21a)의 상단이 걸리도록 하여,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의 융착 결합 후 수직방향의 유동이 방지된다.
더하여,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융착보스(32')는 보스홀(31)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부(33)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융착보스(21) 단부의 용융물(22)과 보조융착보스(32')의 결합시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 사이에 원주방향의 유동이 방지되게끔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돌출부(33)의 갯수 및 단면형상은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을 서로 융착 결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위부품(20)의 상측에 외주면에 다수의 리브(21a)를 가진 융착보스(21)를 돌출형성하고, 제2단위부품(30)의 상측에는 융착보스(2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융착보스(2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가진 보스홀(31)을 형성하며, 보스홀(31)의 테두리에는 제2단위부품(30)과 일체로 소정 폭과 높이를 가진 보조융착보스(32)를 돌출형성한다.
이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홀(31)에 융착보스(21)를 삽입하는데, 제2단위부품(30)의 보스홀(31) 테두리 저면에 리브(21a)의 상단이 걸릴때까지 삽입한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홀(31)을 통해 제2단위부품(30)의 상측으로 돌출된 융착보스(21)의 상단부를, 융착툴을 사용하여 가열, 가압함으로써 용융시키며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물(22)이 보조융착보스(21)의 상 측면과 외주면을 덮게끔 하여 용융물(22)과 보조융착보스(21)를 서로 융착 결합시킨다.
전술한 방법에 의해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이 융착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10)은, 결합상태가 견고히 유지됨으로써 내구성 향상의 효과가 있고, 자동차 주행중 제1단위부품(20)과 제2단위부품(30)의 유동에 의한 소음발생이 방지됨으로써 승차감 향상의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a와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보조융착보스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자동차용 내장부품
20 : 제1단위부품
21 : 융착보스
21a : 리브
22 : 용융물
30 : 제2단위부품
31 : 보스홀
32, 32' : 보조융착보스
33 : 돌출부

Claims (6)

  1. 제1단위부품과 제2단위부품이 서로 융착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에 있어서,
    일측에 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1단위부품과, 상기 융착보스가 삽입되도록 일측에 보스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스홀의 테두리에는 소정 폭의 보조융착보스가 돌출형성되는 제2단위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융착보스의 용융물이 상기 보조융착보스에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융착보스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융착보스는,
    상기 보스홀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
  4. 제1단위부품의 일측에 융착보스를 돌출형성하고, 상기 융착보스가 삽입 가능하도록 제2단위부품의 일측에 보스홀을 형성하며, 상기 보스홀의 테두리를 따라 소정 폭의 보조융착보스를 돌출 형성하되, 상기 보스홀에 상기 융착보스를 삽입한 후 융착하여, 상기 융착보스의 용융물이 상기 보조융착보스에 융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1단위부품과 상기 제2단위부품을 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융착보스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브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보조융착보스는,
    상기 보스홀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의 돌출부가 서로 소정거리 이격하여, 원주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방법.
KR1020080059631A 2008-06-24 2008-06-24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KR100907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631A KR100907038B1 (ko) 2008-06-24 2008-06-24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631A KR100907038B1 (ko) 2008-06-24 2008-06-24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7038B1 true KR100907038B1 (ko) 2009-07-09

Family

ID=41337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631A KR100907038B1 (ko) 2008-06-24 2008-06-24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70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58B1 (ko) 2009-08-31 2011-04-2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KR101390227B1 (ko) 2013-04-29 2014-04-30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방사상리브를 갖는 융착구조
KR101418914B1 (ko) * 2012-10-12 2014-07-1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KR101680812B1 (ko) 2015-04-10 2016-11-30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융착의 강도 향상을 위한 융착구조
KR20200093954A (ko) * 2019-01-29 2020-08-06 카이스 주식회사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20200135244A (ko) * 2020-11-18 2020-12-02 카이스 주식회사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35B1 (ko) 2004-04-22 2006-02-2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트림 결합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4035B1 (ko) 2004-04-22 2006-02-2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트림 결합구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758B1 (ko) 2009-08-31 2011-04-29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KR101418914B1 (ko) * 2012-10-12 2014-07-1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KR101390227B1 (ko) 2013-04-29 2014-04-30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방사상리브를 갖는 융착구조
KR101680812B1 (ko) 2015-04-10 2016-11-30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융착의 강도 향상을 위한 융착구조
KR20200093954A (ko) * 2019-01-29 2020-08-06 카이스 주식회사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183399B1 (ko) 2019-01-29 2020-11-26 카이스 주식회사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20200135244A (ko) * 2020-11-18 2020-12-02 카이스 주식회사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227631B1 (ko) 2020-11-18 2021-03-15 카이스 주식회사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038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US6412855B1 (en) Overmoulded reinforced metal/plastic composite front panel for motor vehicle
JP5216059B2 (ja) ホイールアーチ構造の組立方法
JP2013001149A (ja) 車両用シートのサイドシールド構造
US20160053788A1 (en) Component joining structure and component joining method
KR101296262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융착 구조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031758B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KR20060016346A (ko) 글로브 박스용 니 볼스터 장착구조
US8435369B2 (en) Plastics welding tool and method using relief areas for reduced read-through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KR102352223B1 (ko)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20140059504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
KR101304966B1 (ko) 임팩트 패드 열융착 조립구조
KR101584714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열 융착 연결장치
KR101930405B1 (ko) 도어트림 융착구조
WO2019234804A1 (ja) 車体構造及び車体の製造方法
JP6674852B2 (ja) 樹脂成形品の取付構造
WO2023119766A1 (ja) ベルトモールの製造方法
JP7049931B2 (ja) 車両外装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318914B1 (ko) 저항엘리먼트용접용 리벳
JP3942597B2 (ja) 成形品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393552B2 (ja) 合成樹脂部品の結合構造
KR102352222B1 (ko) 가조립 구조를 갖는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20200062819A (ko) 융착유닛 및 융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