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0405B1 - 도어트림 융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트림 융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0405B1
KR101930405B1 KR1020170089278A KR20170089278A KR101930405B1 KR 101930405 B1 KR101930405 B1 KR 101930405B1 KR 1020170089278 A KR1020170089278 A KR 1020170089278A KR 20170089278 A KR20170089278 A KR 20170089278A KR 101930405 B1 KR101930405 B1 KR 101930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m
matching portion
matching
door
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2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형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08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0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0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0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어트림 융착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는 제1 트림과 제2 트림이 열융착 조립되어 차량의 도어트림을 형성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있어서, 제1 트림에는 제2 트림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제1 매칭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 트림의 테두리에는 제1 매칭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제2 매칭부가 절곡 형성되며, 제1 매칭부 및 제2 매칭부가 열융착을 통해 접합된다.

Description

도어트림 융착구조{FUSED STRUCTURE OF DOOR TRIM}
본 발명은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트림의 강성을 보완하고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한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트림은 차량 도어의 실내측 면에 부착되는 부품이다. 도어트림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탑승자의 편의성과 실내 미감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어트림은 다수의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들이 조립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 각 부품들의 결합은 결합부재를 이용하거나, 열융착을 이용하거나, 후크(hook) 구조를 이용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은 도어트림의 조립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어트림의 열융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어트림은 복수의 단위부품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본 예시에서는 제1 트림(10)과 제2 트림(20)의 조립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트림(10)에 제2 트림(20)이 배치되어 양 트림(10,20)이 조립될 수 있다. 이 때, 제1 트림(10)에는 복수의 융착보스(11)를 형성하고, 제2 트림(20)에는 융착보스(11)를 수용하는 홀(21)이 형성된 플랜지를 형성한다. 따라서 홀(21)에 융착보스(11)를 삽입함으로써 제2 트림(20)을 제1 트림(10)에 배치할 수 있다(도 2a).
다음으로 제1 트림(10)과 제2 트림(20)을 고정 결합시키기 위해, 융착보스(11)를 열 융착툴(30, 전열발생 및 가압기)을 사용하여 가열 및 가압한다. 이에 따라 융착보스(11)의 상부분이 용융되고 가압에 의해 융착물로 가공되어 제2 트림(20) 상부에 넓게 펴진 후에 경화됨으로써 제1 트림(10) 및 제2 트림(2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도 2b).
이와 같은 통상의 도어트림 열융착 구조에서는 대량 생산을 위해 부품 사이에 조립공차를 두게 되는 바, 부품간 매칭부분의 치수 산포가 발생한다. 이는 도어의 개폐 또는 자동차 주행 중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해 단위부품 사이에 접촉이나 마찰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진동 소음이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이 제1 트림(10)과 제2 트림(20)의 열융착은 상술한 융착보스(11)와 홀(21)이 형성된 부분에 대해서만 이루어지고 있어(포인트 융착이라고도 함),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구간은 외력에 의한 변형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584714호 (2016.01.16 등록)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강성을 보완하고 단위부품간 접촉이나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트림과 제2 트림이 열융착 조립되어 차량의 도어트림을 형성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있어서, 제1 트림에는 제2 트림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제1 매칭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 트림의 테두리에는 제1 매칭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제2 매칭부가 절곡 형성되며, 제1 매칭부 및 제2 매칭부가 열융착을 통해 접합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제2 매칭부는, 제2 트림의 테두리 하단부로부터 제1 매칭부의 측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편재와, 제1 편재로부터 제1 매칭부의 측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편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트림에는 복수의 보스가 형성되며, 제2 트림에는 보스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부재가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트림에는 보조부재의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제3 매칭부가 돌출 형성되고, 보조부재의 테두리에는 제3 매칭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제4 매칭부가 절곡 형성되며, 제3 매칭부 및 제4 매칭부가 열융착을 통해 접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는 제1 트림과 제2 트림이 접촉하는 모든 구간을 열융착을 통해 접합시킴으로써, 단위부품간 접촉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어의 개폐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단위부품 접촉 또는 마찰에 의한 진동 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제1 트림 및 제2 트림이 접촉하는 모든 구간이 열융착 접합되는 바, 기존에 강성이 취약한 구간의 강성을 보완할 수 있다.
나아가 종래 형성되던 융착보스나 플랜지를 형성할 필요가 없어 부품이나 공정 프로세스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도어트림 조립구조의 일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어트림의 열융착 구조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IV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VI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기술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하기의 설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각 부재의 두께나 크기 등은 설명의 편의 등을 위해 과장, 생략,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본 발명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위치관계나 방향은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IV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트림은 제1 트림(110)과 제2 트림(120)이 열융착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 이외에도 다수의 플라스틱 소재의 부품들이 추가적으로 조립될 수 있으나, 본 명세서에서는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의 조립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제1 트림(110)의 일면에 제2 트림(120)이 결합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은 자동차 도어트림을 형성하는 내장 부품으로, 그 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외형으로 특정되지 않는다.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은 플라스틱 소재(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에서는 종래 도어트림 융착구조(도 2 참고)에서 사용되는 융착보스나 상기 융착보스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된 플랜지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에서는 특정 몇 개의 지점에 대해 열융착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 트림(110)과 제2 트림(120)이 접촉하는 모든 구간에 대해 열융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트림(11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매칭부(111)가 형성된다. 제1 매칭부(111)는 제2 트림(120)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제1 트림(110)에 형성된다. 제1 매칭부(111)는 제2 트림(120)이 제1 트림(110)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 매칭부(111)는 후술할 제2 트림(120)의 제2 매칭부(121,122)와 열융착 접합됨으로써 제1 트림(110)과 제2 트림(120)을 결합시킨다. 제1 매칭부(111)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제2 트림(120)에는 제2 매칭부(121,122)가 형성된다. 제2 매칭부(121,122)는 제2 트림(12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매칭부(121,122)는 제1 매칭부(111)의 측부와 접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매칭부(121,122)는 제2 트림(110)이 제1 트림(110)에 안착되어 배치되었을 때에 제1 매칭부(111)와 접하며, 열융착을 통해 제1 매칭부(111)와 접합됨으로써 제1 트림(110)과 제2 트림(120)을 결합시킨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제2 매칭부(121,122)는 제1 편재(121)와 제2 편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편재(121)는 제2 트림(120)의 테두리 하단부로부터 제1 매칭부(111)의 측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 편재(122)는 제1 편재(121)로부터 제1 매칭부(111)의 측부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의 우측 확대도를 참고하면, 제2 트림(120)의 테두리 하단부로부터 제1 편재(121)가 제1 매칭부(111)를 향해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편재(122)가 제1 편재(121)로부터 제1 매칭부(111)의 상부면(측부)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이 때, 제2 편재(122)의 단부는 제1 매칭부(111)의 단부와 일치하거나 소정 정도 차이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제1 매칭부(111) 및 제2 매칭부(121,122)의 형태에 따라, 제2 트림(120)을 제1 트림(110)에 배치하였을 때에 제1 매칭부(111)와 제2 매칭부(121,122)는 서로 접한다. 이 때, 제1 매칭부(111)와 제2 매칭부(121,122)는 모든 구간이 열융착을 통해 접합된다. 예를 들어 열 융착툴(전열발생 및 가압기)을 이용하여 제1 매칭부(111)와 제2 매칭부(121,122)의 단부를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제1 매칭부(111) 및 제2 매칭부(121,122)의 접합 단부를 융착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매칭부(111)와 제2 매칭부(121,122)는 열융착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매칭부(111)의 돌출된 높이와, 제2 매칭부(121,122)의 제2 편재(122)의 높이는 열융착 되기에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매칭부(121,122)는 제2 트림(120)의 테두리를 따라 형성되고 제1 매칭부(111)는 제2 트림(120)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형성되므로, 제1,2 매칭부는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이 접하는 모든 구간에서 열융착 접합된다. 따라서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의 매칭부분에서는 치수 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의 접촉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도어의 개폐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나아가 제1 트림(110) 및 제2 트림(120)은 모든 접촉 구간이 열융착 접합되므로, 종래 도어트림 열융착 구조에서와 같이 강성이 취약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또한 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에서는 융착보스나 플랜지(융착보스를 수용하는 홀이 형성됨)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부품이나 공정 프로세스를 단순화할 수 있는 이유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VI 부분의 확대 단면도로써,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도어트림은 제1 트림(210)과 제2 트림(220)이 열융착 조립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은 자동차 도어트림을 형성하는 내장 부품으로, 그 대상은 다양할 수 있다.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외형으로 특정되지 않는다.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은 플라스틱 소재(보다 구체적으로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수지)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구체예에 따른 도어트림 융착구조에서는 전술한 구체예에서와는 달리 제1 트림(210)에는 복수의 보스(211)가 형성되며, 제2 트림(220)에는 보스(211)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홀(미표기)가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부재(221)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211)는 제2 트림(220)이 제1 트림(210)에 배치되었을 때, 제2 트림(220)의 테두리와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복수개가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보조부재(221)는 제2 트림(220)의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보스(211)의 위치와 상응하도록 복수개가 간격을 두어 형성될 수 있다. 각 보조부재(221)에는 보스(211)를 수용하는 삽입홀(미표기)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트림(220)을 제1 트림(210)에 배치하였을 때, 보조부재(221)의 삽입홀로 보스(211)가 삽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보스(211) 및 보조부재(221)를 통해 제2 트림(220)을 제1 트림(210)에 보다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보스(211) 및 보조부재(221)는 트림들의 접합 구간을 특정할 수 있는 일종의 좌표로 기능할 수 있다. 예컨대 작업자가 보스(211) 및 보조부재(221)의 위치에 따라 트림들의 접합부위 중 특정 부분을 지칭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제1 트림(210)에는 제1 매칭부(212)가 형성된다. 제1 매칭부(212)는 제2 트림(220)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제1 트림(210)에 형성된다. 제1 매칭부(212)는 제2 트림(220)이 제1 트림(210)에 안착되어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한다. 나아가 제1 매칭부(212)는 제2 트림(220)의 제2 매칭부(221b)와 열융착 접합됨으로써 제1 트림(210)과 제2 트림(220)을 결합시킨다. 제1 매칭부(212)는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제1 매칭부(212) 중에서 제2 트림(220)의 보조부재(221)의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부분을 제3 매칭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제2 트림(220)에는 제2 매칭부(221b)가 형성된다. 제2 매칭부(221b)는 제2 트림(220)의 테두리를 따라 외측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매칭부(221b)는 제1 매칭부(212)의 측부와 접하도록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 매칭부(221b)는 제2 트림(220)이 제1 트림(210)에 안착되어 배치되었을 때에 제1 매칭부(212)와 접하며, 열융착을 통해 제1 매칭부(212)와 접합됨으로써 제1 트림(210)과 제2 트림(220)을 결합시킨다. 한편, 제2 매칭부(221b) 중에서 보조부재(221)의 테두리에 형성된 부분을 제4 매칭부라고 칭하기로 한다.
상술한 제1 트림(210)의 제1 매칭부(212)와, 제2 트림(220)의 제2 매칭부(221b)는 전술한 구체예에서와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으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보조부재(221)의 테두리 부분에 해당하는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의 형태에 따라, 제2 트림(220)을 제1 트림(210)에 배치하였을 때에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는 서로 접한다. 즉, 보조부재(221)의 테두리 부분에서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가 서로 접하게 된다(도 6의 우측 단면도 참고, 도 6의 우측 단면도에서는 구분을 위해 보조부재를 221a로 표기함).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는 모든 구간이 열융착을 통해 접합된다. 예를 들어 보조부재(221)의 삽입홀에 보스(211)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열 융착툴(전열발생 및 가압기)을 이용하여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의 단부를 동시에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의 접합 단부를 융착물로 가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는 열융착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제3 매칭부의 돌출된 높이와, 제4 매칭부의 높이는 열융착 되기에 적절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필요에 따라 보스(221)의 상부분을 열 융착툴로 가열 및 가압하여, 보스(221)가 보조부재(221)의 상부에 넓게 펴지게 함으로써 추가적으로 열 융착할 수도 있다.
제1,2 매칭부와 마찬가지로 보조부재(221)의 테두리에 대해서도 제3 매칭부와 제4 매칭부가 열융착 접합되는 바,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이 접하는 모든 구간에서 열융착 접합된다. 따라서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의 매칭부분에서는 치수 산포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의 접촉이나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도어의 개폐나 외부 충격으로 인한 소음 및 진동이 저감된다. 나아가 제1 트림(210) 및 제2 트림(220)은 모든 접촉 구간이 열융착 접합되므로, 종래 도어트림 열융착 구조에서와 같이 강성이 취약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적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구현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기술의 구체적 적용에 따른 단순한 설계변경, 일부 구성요소의 생략, 단순한 용도의 변경 등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210: 제1 트림
120,220: 제2 트림
111: 제1 매칭부
121,122: 제2 매칭부
211: 보스
221: 보조부재

Claims (4)

  1. 제1 트림과 제2 트림이 열융착 조립되어 차량의 도어트림을 형성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에 있어서,
    제1 트림에는 제2 트림의 테두리에 상응하도록 제1 매칭부가 돌출 형성되고, 제2 트림의 테두리에는 제1 매칭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제2 매칭부가 절곡 형성되며, 제1 매칭부 및 제2 매칭부가 열융착을 통해 접합되되,
    제1 트림에는 복수의 보스가 형성되며, 제2 트림에는 보스가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보조부재가 테두리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트림에는 보조부재의 테두리에 상응하는 형태를 갖는 제3 매칭부가 돌출 형성되고, 보조부재의 테두리에는 제3 매칭부의 측부와 접하도록 제4 매칭부가 절곡 형성되며, 제3 매칭부 및 제4 매칭부가 열융착을 통해 접합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매칭부는, 제2 트림의 테두리 하단부로부터 제1 매칭부의 측부를 향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제1 편재와, 제1 편재로부터 제1 매칭부의 측부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제2 편재를 포함하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3. 삭제
  4. 삭제
KR1020170089278A 2017-07-13 2017-07-13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930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78A KR101930405B1 (ko) 2017-07-13 2017-07-13 도어트림 융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278A KR101930405B1 (ko) 2017-07-13 2017-07-13 도어트림 융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0405B1 true KR101930405B1 (ko) 2018-12-18

Family

ID=64952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278A KR101930405B1 (ko) 2017-07-13 2017-07-13 도어트림 융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040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120A1 (en) * 2000-09-09 2004-05-27 Michael Ziegler Multi-layered inside lining piece
KR200438747Y1 (ko) * 2006-10-30 2008-03-03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00120A1 (en) * 2000-09-09 2004-05-27 Michael Ziegler Multi-layered inside lining piece
KR200438747Y1 (ko) * 2006-10-30 2008-03-03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17331B2 (en) Vehicular interior member
US20080258439A1 (en) Vibration Welding Method, Vibration Welded Structure, and Airbag Apparatus
JP6308112B2 (ja) 筐体及び筐体の製造方法
KR100907038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930405B1 (ko) 도어트림 융착구조
JP3851182B2 (ja) 重ね結合されたボード製品およびその結合方法
KR101795577B1 (ko) 자동차 내장재의 융착 결합 구조
US20080110549A1 (en) Internal perimeter molding method and related article
JP5426143B2 (ja) 射出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143868A (ja) プロテクタ、経路維持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プロテクタの製造方法
KR20140059504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
KR101584714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열 융착 연결장치
KR20140026444A (ko)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이의 연결 장치
CN114834545B (zh) 振动焊接成形品、振动焊接装置以及振动焊接成形品的制造方法
JP2004058391A (ja) 熱かしめ構造体及び熱かしめ接合方法
US10480556B1 (en) Member joining method
JP2017087817A (ja) 車両用内装材
WO2019234804A1 (ja) 車体構造及び車体の製造方法
KR102392298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JP7099349B2 (ja) 樹脂製品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008714B1 (ko) 합성수지 부품의 결합구조
KR101729943B1 (ko)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JP6393552B2 (ja) 合成樹脂部品の結合構造
JP7049931B2 (ja) 車両外装品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