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9943B1 -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9943B1
KR101729943B1 KR1020150164112A KR20150164112A KR101729943B1 KR 101729943 B1 KR101729943 B1 KR 101729943B1 KR 1020150164112 A KR1020150164112 A KR 1020150164112A KR 20150164112 A KR20150164112 A KR 20150164112A KR 101729943 B1 KR101729943 B1 KR 101729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insertion hole
fusing
reinforcing
ri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선구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99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는,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자동차 부품의 조립체로서,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가 돌출된 보스를 구비하는 제1 부품; 및 보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제1 부품을 향해 복수의 보강리브가 돌출된 제2 부품을 포함하고, 보스는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이 융착지그에 의해 가압되면서 제2 부품과 융착되고, 융착지그의 가압력은 지지리브와 보강리브를 통해 제1 부품과 제2 부품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MELTING ASSEMBLY OF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의 함몰 및 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도어트림이나 필러트림, 크래시패드 및 콘솔 등에는 플라스틱 부품들이 다수 결합되며, 플라스틱 부품들은 주로 융착에 의한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504호에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504호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부품,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고, 축방향의 홈을 형성하는 원주 형태의 융착 보스를 포함하는 융착부재 및 상기 융착부재의 홈에 삽입되는 원주 형태의 보조융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융착부재 및 상기 보조융착부재가 함께 융착되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504호의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부품과 융착부재와의 융착 접촉면의 체결력을 증대하고, 측면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며, 진동 또는 유동을 방지하고, 소음 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504호의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는 지그가 융착보스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지그의 가압력에 의해 리브가 소성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리브는 융착보스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메인트림을 지지하므로, 융착보스를 용해하는 과정에서 지그의 가압력 및 열에너지는 융착보스를 통해 리브에 전달됨과 동시에 메인트림을 통해서도 리브에 전달되며, 이와 같이 집중되는 가압력 및 열에너지는 리브의 상단부에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리브의 상단부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면 융착부재와 메인트림의 이격된 거리가 설계된 치수보다 짧아지게 되며, 이는 융착부재 및 메인트림에 추가로 결합되는 부품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거나 이음새 부분에 유격이 형성되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결과적으로 차량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차체에서 쉽게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9295호에는 자동차부품의 융착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9295호는 서로 조립되는 2개의 부품 중 어느 하나의 부품의 일측에 다수개의 보스가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그룹을 이루며 구비되는 보스부, 및 서로 조립되는 2개의 부품 중 다른 부품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보스들이 각각 관통하여 끼워지는 다수개의 보스홀을 구비한 플랜지를 포함하여, 융착 지지점을 복수화함으로써 제품의 변형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변형에 의한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9295호의 자동차부품의 융착 조립구조는 서로 결합되는 자동차부품에 다수의 보스 및 보스홀을 형성해야 하므로, 자동차부품의 원재료비를 증가시키고 생산시간을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사실상 결합부위의 양을 증가시킨 것뿐 각각의 보스와 보스홀의 결합구조는 개선된 것이 아니므로 각각의 결합부위에는 종래와 동일한 형태의 불량이 발생하는 미봉책에 불과하였다.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4-0059504호 (공개일: 2014.05.16) (000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059295호 (공개일: 2015.06.01)
본 발명의 목적은,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자동차 부품의 조립체로서,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가 돌출된 보스를 구비하는 제1 부품; 및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부품을 향해 복수의 보강리브가 돌출된 제2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이 융착지그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제2 부품과 융착되고, 상기 융착지그의 가압력은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보강리브를 통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으로 분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보스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서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보스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삽입홀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리브와 상기 제2 부품을 상기 삽입홀의 반경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보스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서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보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융착지그 쪽으로 노출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의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은 상기 융착지그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 삽입부 안쪽에서 상기 제2 부품 및 상기 보스와 융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부품에는, 상기 제2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강리브와 반대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융착지그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 삽입부 안쪽에서 상기 보스의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과 함께 융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지그의 가압력이 지지리브와 보강리브를 통해 제1 부품과 제2 부품으로 분산됨으로써,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융착 전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2 부품의 저면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1 부품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2 부품의 저면도.
도 4(c)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평면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는,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융착 전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2 부품의 저면사시도, 도 4(a)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1 부품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2 부품의 저면도, 도 4(c)는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평면투시도,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의 제1 부품과 제2 부품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1)는,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H)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며, 제1 부품(10) 및 제2 부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하를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부품(10)과 제2 부품(20)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이나 필러트림, 크래시패드, 콘솔 등에서 융착에 의한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한 쌍의 플라스틱 부품을 의미한다. 아래에서는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1 부품(10)과 제2 부품(20)을 도어트림에서 융착에 의해 서로 결합력을 형성하는 로어트림과 메인트림으로 설명하되, 제1 부품을 로어트림으로 제2 부품을 메인트림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트림(10)에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12)가 돌출된 보스(11)가 형성된다. 보스(11)는 로어트림(10)의 표면에서 원통형태로 돌출되고, 지지리브(12)는 보스(11)의 둘레를 따라 로어트림(10)의 표면과 보스(11)의 측면을 서로 연결한 형태로 보스(11)를 지지한다. 지지리브(12)는 3 이상의 복수로 구비되어 보스(11)를 중심으로 서로 등각을 이룬다. 아래에서는 지지리브(12)가 4개로 구비된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리브(12)는 제1 지지부(12A) 및 제2 지지부(12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지지부(12A)는 보스(11)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고, 제2 지지부(12B)는 제1 지지부(12A)의 단부로부터 보스(11)의 반경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 도 3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트림(20)에는 보스(11)가 삽입되는 삽입홀(H)이 형성된다.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은 보스(11)가 삽입홀(H)에 삽입된 상태에서 융착지그(Z)의 진동에 의해 용해된 보스(11)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게 된다.
종래에는 지그가 보스를 가압하는 과정에서 지그의 가압력에 의해 보스를 지지하는 리브가 소성변형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리브는 보스를 지지하면서 동시에 메인트림을 지지하므로, 보스를 용해하는 과정에서 지그의 가압력, 열에너지 및 초음파는 보스를 통해 리브에 전달됨과 동시에 메인트림을 통해서도 리브에 전달되며, 이와 같이 집중되는 가압력 및 열에너지는 리브의 상단부에 영구적인 변형을 초래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리브의 상단부에 영구적인 변형이 발생하면 로어트림과 메인트림의 이격된 거리가 설계된 치수보다 짧아지게 되며, 이는 로어트림 및 메인트림에 추가로 결합되는 부품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고 이음새 부분에 유격이 형성되는 원인으로 작용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차량의 내구성을 약화시키고 차체에서 쉽게 진동 및 이에 따른 소음을 야기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1)는, 제2 부품(20)에 삽입홀(H)의 둘레를 따라 복수의 보강리브(21)를 형성하여 융착지그(Z)의 가압력을 지지리브(12)와 보강리브(21)를 통해 제1 부품(10)과 제2 부품(20)으로 분산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21)는 삽입홀(H)의 둘레를 따라 로어트림(10)을 향해 돌출된 형태로 형성된다. 지지리브(12)는 보강리브(2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어 삽입홀(H)을 중심으로 서로 등각을 이룬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21)는 제1 보강부(21A) 및 제2 보강부(21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보강부(21A)는 삽입홀(H)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보강부(21B)는 제1 보강리브(21)와 메인트림(20)을 삽입홀(H)의 반경방향으로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강부(21A) 간 원주방향 이격 간격은 제1 지지부(12A)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2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는, 보스(11)가 삽입홀(H)에 삽입된 상태에서 보스(11)의 둘레를 따라 서로 사이에 개재되며, 이에 따라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는, 보스(11)가 삽입홀(H)에 삽입된 상태에서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 간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 사고시 외력에 의해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에 상대적인 이동력 및 회전력이 작용하는 경우,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가 서로의 이동 및 회전을 구속함에 따라, 종래 단순히 보스(11)의 용해된 부분에 의해 결합력을 형성하는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의 결합구조보다 외력에 대한 도어트림 내부의 반작용력이 분산됨으로써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제2 지지부(12B)와 제2 보강부(21B)는,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가 서로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한 상태에서,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를 지지하며, 이에 따라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에 작용하는 상대적인 이동력 및 회전력은 제1 지지부(12A)와 제1 보강부(21A), 제2 지지부(12B)와 제2 보강부(21B) 및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으로 분산되어 소산됨으로써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루게 된다.
도 5는 제2 보강부(21B)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6은 제1 지지부(12A)의 단면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5(b)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1)가 삽입홀(H)에 삽입되어 지지리브(12)의 상단면이 메인트림(20)의 저면과 접촉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보강리브(21)의 하단면은 로어트림(10)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은 보스(11)가 삽입홀(H)을 통과하여 지지리브(12)가 메인트림(20)을 지지한 상태(도 6(a) 참조)에서 보스(11)의 삽입홀(H)을 관통한 부분('보스용해부'로 지칭)이 융착지그(Z)에 의해 용해되어 보스용해부(M)에 의해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이 융착(도 6(b) 참조)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리브(12)의 상단면이 메인트림(20)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보강리브(21)의 하단면이 로어트림(10)의 상단면과 접촉하는 형태로 지지리브(12)와 보강리브(21)가 서로 반대방향에서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을 지지함에 따라, 융착지그(Z)의 가압력은 지지리브(12)와 보강리브(21)를 통해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으로 분산되며, 이와 같은 분산지지구조를 통해 지지리브(12)의 변형이 방지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홀(H)은 제1 삽입부(H1) 및 제2 삽입부(H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삽입부(H1)는 제2 삽입부(H2)보다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어 보스(11)의 반경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하고, 제2 삽입부(H2)는 제1 삽입부(H1)보다 로어트림(10)과 먼 쪽에 형성되어 융착지그(Z) 쪽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용해부(M)가 융착지그(Z)에 의해 용해되면 보스용해부(M)는 제2 삽입부(H2) 안쪽으로 진입하여 메인트림(20) 및 보스(11)와 융착되며, 이에 따라 융착된 상태에서 보스(11)와 삽입홀(H) 내주면 간 유격이 제거되어 (보스(11)가 용해된 부분이 삽입홀(H) 바깥쪽에서 제2 부품(20)에 융착되던) 종래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즉, 종래에는 제1 부품과 제2 부품이 융착된 상태에서 보스와 삽입홀의 내주면 사이에 유격이 존재함에 따라, 차량 사고시 융착된 부분의 파단강도보다 높은 충격이 도어트림에 전달되면(또는 차량 노후화에 의해 융착된 부분이 피로파괴되면) 융착된 부분이 삽입홀 바깥쪽에서 파괴되면서 삽입홀의 안쪽에서 보스가 흔들리는 상태로 쉽게 발전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1)는 도어트림에 전달된 충격을 삽입홀(H) 바깥쪽에서 융착된 부분과 함께 보스용해부(M)가 제2 삽입부(H2) 안쪽에서 압축력의 형태로 더 흡수함으로써, 종래보다 큰 외력에 견딜수 있게 된다.
도 1,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부품(20)에는 제2 삽입부(H2)의 둘레를 따라 보강리브(21)와 반대쪽으로 돌출된 돌출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메인트림(20)에 돌출부(22)가 형성되면, 돌출부(22)는 융착지그(Z)에 의해 보스용해부(M)와 동시에 용해되면서 보스용해부(M)와 혼재된 상태로 제2 삽입부(H2)의 안쪽과 바깥쪽에서 융착되며, 이에 따라 메인트림(20)과 로어트림(10)이 보스용해부(M)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외력에 대해 일체의 구성으로 거동하게 됨으로써, 종래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융착지그(Z)의 가압력이 지지리브(12)와 보강리브(21)를 통해 제1 부품(10)과 제2 부품(20)으로 분산됨으로써, 융착에 의한 리브의 변형을 방지하여 결합되는 부품 간 결합력 및 거리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융착 과정에서 리브와 삽입홀(H) 사이의 유격이 제거되도록 이루어지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융착 조립체 20 : 제2 부품
10 : 제1 부품 21 : 보강리브
11 : 보스 21A : 제1 보강부
M : 보스용해부 21B : 제2 보강부
12 : 지지리브 22 : 돌출부
12A : 제1 지지부 H : 삽입홀
12B : 제2 지지부 H1 : 제1 삽입부
Z : 융착지그 H2 : 제2 삽입부

Claims (7)

  1. 융착에 의해 결합되는 자동차 부품의 조립체로서,
    둘레를 따라 복수의 지지리브가 돌출된 보스를 구비하는 제1 부품; 및 상기 보스가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의 둘레를 따라 상기 제1 부품을 향해 복수의 보강리브가 돌출된 제2 부품을 포함하고,
    상기 보스는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이 융착지그에 의해 가압되면서 상기 제2 부품과 융착되고, 상기 융착지그의 가압력은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보강리브를 통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으로 분산되며,
    상기 지지리브와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보스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서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하고,
    상기 보스 및 상기 삽입홀은 각각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지지부의 단부로부터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과 경사지게 연장된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삽입홀의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제1 보강부; 및 상기 제1 보강부와 상기 제2 부품을 상기 삽입홀의 반경방향으로 연결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보스가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보스의 둘레를 따라 서로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부품과 상기 제2 부품 간 상대회전 및 상대이동을 구속하며,
    상기 삽입홀은, 상기 보스의 반경방향 이동경계를 형성하는 제1 삽입부; 및 상기 제1 삽입부보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되어 상기 융착지그 쪽으로 노출된 제2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스의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은 상기 융착지그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 삽입부 안쪽에서 상기 제2 부품 및 상기 보스와 융착되며,
    상기 제2 부품에는, 상기 제2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상기 보강리브와 반대쪽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융착지그에 의해 용해되면서 상기 제2 삽입부 안쪽에서 상기 보스의 상기 삽입홀을 관통한 부분과 함께 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64112A 2015-11-23 2015-11-23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KR101729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12A KR101729943B1 (ko) 2015-11-23 2015-11-23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112A KR101729943B1 (ko) 2015-11-23 2015-11-23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9943B1 true KR101729943B1 (ko) 2017-04-27

Family

ID=5870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112A KR101729943B1 (ko) 2015-11-23 2015-11-23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99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619A (ko) * 2019-11-04 2021-05-12 카이스 주식회사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62B1 (ko) * 2012-04-23 2013-08-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의 융착 구조
KR101507387B1 (ko) *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262B1 (ko) * 2012-04-23 2013-08-13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의 융착 구조
KR101507387B1 (ko) * 2014-03-31 2015-04-01 존슨콘트롤즈 오토모티브 인테리어 코리아 주식회사 3개 부품의 체결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3619A (ko) * 2019-11-04 2021-05-12 카이스 주식회사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20210068363A (ko) * 2019-11-04 2021-06-09 카이스 주식회사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263928B1 (ko) * 2019-11-04 2021-06-11 카이스 주식회사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352223B1 (ko) 2019-11-04 2022-01-21 카이스 주식회사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0592B2 (ja) 異種材接合構造及び異種材接合体の製造方法
JP4769169B2 (ja) 車両用エネルギー吸収部材
JP6469561B2 (ja) 車両用内装材
KR101729943B1 (ko)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JP7027409B2 (ja) 中空プロフィル部材と更なる部材との間に結合を生成するための結合要素
KR101566878B1 (ko) 이중 지지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융착구조
US20180266509A1 (en) Damper bearing comprising a housing and cover
JP6260611B2 (ja) 車両用ドア構造および車両用ドアの製造方法
US11472126B2 (en) Attachment part for connecting to a structural part
JP5840519B2 (ja) バンパー取付構造
JPH10156555A (ja) 超音波溶接機用の超音波ホ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ブラケット部品の取付方法
JP3888551B2 (ja) 車両用ドアヒンジ装着構造
KR20110023203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WO2017141385A1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の溶着接合構造
JP4804493B2 (ja)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JP2013194744A (ja) 部材の結合構造
KR101584714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열 융착 연결장치
CN110816665A (zh) 车辆的连接结构
JP2017087817A (ja) 車両用内装材
KR102357435B1 (ko) 자동차 부품의 융착 조립체
KR20140059504A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이중 융착 구조
JP2003172318A (ja) 金属板の接合構造
JP6743616B2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パネル構造
JP6521662B2 (ja) 車両用シート
JP7354902B2 (ja) 車両用構成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