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747Y1 -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747Y1
KR200438747Y1 KR2020060028664U KR20060028664U KR200438747Y1 KR 200438747 Y1 KR200438747 Y1 KR 200438747Y1 KR 2020060028664 U KR2020060028664 U KR 2020060028664U KR 20060028664 U KR20060028664 U KR 20060028664U KR 200438747 Y1 KR200438747 Y1 KR 2004387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trim
hook
door
doo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8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재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8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7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7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7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암레스트(20)에 형성된 보스(21)가 도어 메인트림(10)에 형성된 플랜지(11)의 마운팅홀(11a)에 삽입되어 열융착되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20)에 후크(2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에 걸림편(12)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22)가 상기 걸림편(12)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열융착 보스(21)를 형성할 수 없는 곳에 후크(22)를 형성하여 체결력을 보강함으로써 도어 메인트림(10)과 암레스트(20) 간의 갭 및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별도의 스크류를 추가 체결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수와 공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an armrest mounting structure of door trim in a car}
도 1의 (a)는 종래 도어트림의 내측면 정면도,
(b)는 결합부 확대도,
도 2의 (a)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내측면 사시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트림의 메인트림 외측면 사시도,
도 3의 (a),(b)는 각각 도 2 (a),(b)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후크와 걸림편의 결합 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메인트림 11 : 플랜지
11a : 마운팅홀 12 : 걸림편
12a : 마운팅홀 20 : 암레스트
21 : 보스 22 : 후크
22a : 걸림돌기 22b : 보강부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 메인트림에 암레스트가 장착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도어트림은 도어의 실내쪽 면에 부착되어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고 실내 미감을 향상시키며 암레스트 등의 편의 부품을 장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도 1의 (a),(b)에는 도어 메인트림(10)에 암레스트(20)가 장착된 상태를 도어 메인트림(10)의 내측면(장착 상태에서 실외측)에서 도시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메인트림(10)에는 암레스트 장착홀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플랜지(11)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11)에 원형의 마운팅홀(1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암레스트(20)에는 상기 마운팅홀(11a)에 대응되는 부분에 열융착용 보스(21)가 돌출 성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보스(21)가 상기 마운팅홀(11a)에 삽입되는 상태로 도어 메인트림(10)에 암레스트(20)를 안착시킨 후, 상기 보스(21)에 열융착 가공을 실시하면 열융착 변형된 상기 보스(21)에 의하여 체결력이 발생하여 암레스트(2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열융착에 의한 장착구조는 체결력의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음과 더불어 가공 대상물의 형상과 가공 대상물에서의 열융착 위치에 따른 열융착 장비의 제작성 및 작업성과 관련하여 필요한 부위에 열융착 가 공을 실시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어 메인트림(10)에 암레스트(20)가 견고하게 장착되지 못하였고, 도어 메인트림(10)과 암레스트(20)의 사이에 갭(gap) 및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열융착용 보스(21)를 형성할 수 없어 체결력이 약한 곳을 보강하기 위하여 스크류를 추가 체결하는 경우, 부품수와 공수가 증가되어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크류를 추가 체결하지 않고 암레스트의 체결강도를 보강하여 도어 메인트림과 암레스트 사이에 갭 및 단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된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암레스트에 형성된 보스가 도어 메인트림에 형성된 플랜지의 마운팅홀에 삽입되어 열융착되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에 후크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메인트림에 걸림편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가 상기 걸림편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는 한 쌍의 걸림돌기와 이 걸림돌기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편은 상방으로 개구된 마운팅홀을 구비하도록 상기 도어 메인트림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의 (a),(b)는 본 고안에 따른 암레스트의 내측면과 도어 메인트림의 외측면(차량 실내쪽 면)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의 (a),(b)는 각각의 그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메인트림(10)에는 암레스트(20) 장착홀의 테두리를 따라서 마운팅홀(11a)이 형성된 다수의 플랜지(11)가 형성되고, 암레스트(20)의 안쪽면에는 상기 마운팅홀(11)과 대응되는 위치에 열융착용 보스(21)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20) 장착시 상기 보스(21)가 상기 마운팅홀(11a)에 삽입되어 플랜지(11)에 열융착됨으로써 체결력이 발생하도록 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종래 구조에 추가 체결구조가 적용되는 것으로,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의 암레스트(20) 장착홀 테두리에 다수의 걸림편(1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편(12)은 상방으로 개구된 마운팅홀(12a)을 구비하도록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로서, 상기 마운팅홀(12a)에는 후크(22 ; 이하에 설명)가 삽입된다.
상기 걸림편(1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상기 플랜지(11)들의 사이에 하나씩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체결력 보강을 위해 필요한 곳에 필요한 수만큼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암레스트(20)의 안쪽면에는 상기 걸림편(12)의 마운팅홀(12a)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후크(22)가 형성된다.
상기 후크(22)는 한 쌍의 걸림돌기(22a)와, 이들 양쪽 걸림돌기(22a)를 상호 연결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보강부(22b ; 도4 동시 참조)로 이루어지는데, 이 보강부(22b)는 상기 양쪽 걸림돌기(22a)의 내측면 중간부분을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양쪽 걸림돌기(22a)가 좌우 방향으로 지나치게 벌어지거나 오므려지지 않도록 횡방향 강성을 보강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의 장착홀에 암레스트(20)를 장착할 때 상기 후크(22)가 상기 걸림편(12)에 삽입/체결되어 체결력을 보강하게 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크(22)의 양측 걸림돌기(22a)가 걸림편(12)의 마운팅홀(12a)로 삽입되어 각각 양쪽의 대응되는 플레이트에 걸려짐으로써 체결력이 발생하여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암레스트(20)는 기존의 열융착용 보스(21)와 플랜지(11)의 결합에 더하여 상기 후크(22)와 걸림편(12)의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체결력이 보강되어 한층 견고한 결합상태를 가지게 된다.
또한, 종래에는 열융착 장비의 제작성 및 작업성 문제 때문에 상기 열융착용 보스(21)를 적용할 수 있는 위치가 한정되어 부분적으로 체결력이 약화되는 곳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이에 따라서 체결력이 약한 곳의 도어 메인트림(10)과 암레스 트(20) 사이에 갭 및 단차가 발생하였으나, 상기 후크(22)와 걸림편(12)은 암레스트(20)와 도어 메인트림(10)의 성형시 동시에 성형되는 것이고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여 결합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용 위치에 제한을 받지 않으므로 체결력 보강이 필요한 곳에 자유로이 형성하여 체결강도가 취약한 곳을 보완할 수 있게 되는 바, 도어 메인트림(10)과 암레스트(20) 사이의 갭 및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후크(22)와 걸림편(12)의 체결에 의하여 종래와 같이 스크류를 추가 체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부품 및 공수가 감소되어 원가가 절감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열융착 보스를 형성할 수 없는 곳에 후크를 형성하여 체결력을 보강함으로써 도어 메인트림과 암레스트 간의 갭 및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이유에 의하여 별도의 스크류를 추가 체결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부품수와 공수가 줄어들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암레스트(20)에 형성된 보스(21)가 도어 메인트림(10)에 형성된 플랜지(11)의 마운팅홀(11a)에 삽입되어 열융착되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20)에는 후크(22)가 형성되고,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에는 걸림편(12)이 형성되어 상기 후크(22)가 상기 걸림편(12)에 걸려져 결합되는데;
    상기 후크(22)는 한 쌍의 걸림돌기(22a)와, 이 걸림돌기(22a)를 일체로 연결하는 보강부(22b)로 구성되고;
    상기 걸림편(12)은 상방으로 개구된 마운팅홀(12a)을 구비하도록 상기 도어 메인트림(10)에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한 쌍의 플레이트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2. 삭제
  3. 삭제
KR2020060028664U 2006-10-30 2006-10-30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KR2004387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64U KR200438747Y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8664U KR200438747Y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747Y1 true KR200438747Y1 (ko) 2008-03-03

Family

ID=4162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8664U KR200438747Y1 (ko) 2006-10-30 2006-10-30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74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05B1 (ko) * 2017-07-13 2018-12-18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 융착구조
JP2021104766A (ja) * 2019-12-26 2021-07-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405B1 (ko) * 2017-07-13 2018-12-18 주식회사 서연이화 도어트림 융착구조
JP2021104766A (ja) * 2019-12-26 2021-07-26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JP7402677B2 (ja) 2019-12-26 2023-12-2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車両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4600B2 (en) Vehicle front portion structure
JP5729225B2 (ja) クランプ
US8113561B2 (en) Mounting structure of door grip
KR200438747Y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암레스트 장착구조
JP5303569B2 (ja) ピラーガーニッシュの取付構造
JP6191373B2 (ja) シートバック連結構造
JP5278135B2 (ja) 車両搭載物締結構造
JP5522552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JP2002053065A (ja) 牽引用フックの取付構造
US8469451B2 (en) Vehicle seat having a rotatable back part
JP2011088476A (ja) 自動車の外装樹脂パネル
JP6807023B2 (ja) 衝撃吸収部材
JPWO2019107268A1 (ja) ドアミラーの取付構造
JP5071804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前端部組付け構造
JP2015074390A (ja) 車両用リヤシートのフレーム構造
JP4021821B2 (ja) ドアストライカの取り付け構造
JP2009298357A (ja) エアバッグドア付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WO2020203216A1 (ja) 車両のボディ構造
JP7347333B2 (ja) 乗物用シート
KR0173666B1 (ko) 자동차의 전방도어 강성구조
JP7347174B2 (ja) 乗物シート用フレーム
JP4055447B2 (ja) バンパーの取付構造
WO2020166577A1 (ja) 車両のボディ構造
JP201400084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KR200421687Y1 (ko) 자동차용 퓨즈 릴레이 박스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