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2298B1 -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2298B1
KR102392298B1 KR1020200139517A KR20200139517A KR102392298B1 KR 102392298 B1 KR102392298 B1 KR 102392298B1 KR 1020200139517 A KR1020200139517 A KR 1020200139517A KR 20200139517 A KR20200139517 A KR 20200139517A KR 102392298 B1 KR102392298 B1 KR 1023922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divided bodies
door trim
coupling hole
assem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진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200139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2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2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을 개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은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어느 한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를 다른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결합공에 끼워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를 상기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시켜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기 전에 상기 보스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기 전에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보스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assembling method of vehicle door trim}
복수의 분할체로 구성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도어는 도어패널과 도어트림을 구비한다.
도어패널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도어의 외면 쪽을 형성하고, 도어트림은 수지재질로 마련되어 도어의 내면 쪽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패널은 외측의 아우터 패널과 내측의 인너 패널을 포함하고, 도어트림은 인너 패널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인너 패널에 조립될 수 있다.
차실 쪽으로 노출되는 도어트림은 차량 내부의 장식효과와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어트림은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분할형으로 마련되고, 복수의 분할체는 개별적으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어 도어트림을 형성할 수 있다. 분할체 사이는 가조립 된 상태에서 융착되면서 상호 본조립 될 수 있다.
복수의 분할체 사이의 조립시 작업성과 조립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은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어느 한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를 다른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결합공에 끼워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를 상기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시켜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기 전에 상기 보스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기 전에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보스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에 상기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준비된 상기 걸림돌기를 핫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스 외면에 임시로 부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스에 상기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핫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스 외면에 상기 걸림돌기를 임시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보스의 외면에는 상기 핫멜트의 주입을 위한 주입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주입홈의 내면은 상기 보스의 길이방향으로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은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을 위한 것으로, 어느 한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에 걸림돌기를 임시로 형성하고; 상기 보스를 상기 걸림돌기에 의해 다른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결합공에 걸리도록 끼워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를 상기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시키고, 상기 보스의 융착 과정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보스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제거하여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가조립된 분할체 사이의 분리가 분할체의 본조립이 이루어지기 전까지 방지되고, 가조립 상태에서 분할체들 사이의 분리를 방지하는 걸림구조가 분할체 사이의 본조립 시에는 제거되므로, 복수의 분할체 사이의 조립시 작업성과 조립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에서,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에서, 분할체 사이가 조립되도록 하는 일측 분할체의 보스와 타측 불할체의 결합공을 도시한 단면도로, 보스가 결합공에 체결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도 3에서 보스가 결합공에 체결되어 분할체 사이가 가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 보스가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되어 분할체 사이가 본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에서,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의 일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에서,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에서,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에 의해 조립되는 도어트림(1)은 도어패널과 함께 차량의 도어를 구성할 수 있다.
도어패널은 금속재질로 마련되어 도어의 외면 쪽을 형성하고, 도어트림(1)은 수지재질로 마련되어 도어의 내면 쪽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패널은 외측의 아우터 패널과 내측의 인너 패널을 포함하고, 도어트림(1)은 인너 패널 안쪽으로 위치하도록 인너 패널에 조립될 수 있다.
차실 쪽으로 노출되는 도어트림(1)은 차량 내부의 장식, 차음 및 흡음 성능을 높이며,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도어트림(1)은 복수의 분할체(2)를 구비하여 분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각 분할체(2)는 개별적으로 사출성형 된 상태에서 상호 조립되어 도어트림(1)을 형성할 수 있다.
분할체(2)는 도어트림(1)의 상부를 형성하는 메인트림(3)과, 도어트림(1)의 하부를 형성하는 로어트림(4)과, 메인트림(3)과 로어트림(4) 사이를 형성하는 중앙트림(5)과, 암레스트(6), 맵포켓(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분할체(2)들의 구조나 배치는 도어트림(1)의 디자인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형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어트림(1)을 구성하는 분할체(2)의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또 분할체(2)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형성되는 구멍 안쪽으로도 배치가 가능할 수 있다.
분할체(2)들 사이는 조립시 상호 융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분할체(2)들 사이는 어느 한 쪽 분할체(2)에 마련되는 보스(10)가 다른 쪽 분할체(2)에 마련되는 결합공(20)에 끼워진 상태에서 결합공(20) 주변으로 융착됨에 따라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융착은 열융착과 초음파융착을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분할체(2) 사이의 경계는 중첩되고, 보스(10)가 결합공(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분할체(2) 사이는 겹쳐질 수 있다. 보스(10)와 결합공(20)은 분할체(2) 사이의 경계를 따라 각각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0)가 결합공(20)에 끼워진 상태에서 분할체(2) 사이는 가조립되고, 가조립된 분할체(2)들은 융착설비 쪽으로 이송되어 보스(10)가 결합공(20) 주변으로 융착됨에 따라 본조립 될 수 있다.
융착설비는 분할체(2)들을 지지하는 지그 및 융착툴을 구비할 수 있다. 분할체(2) 사이의 본조립시 융착툴은 결합공(20)을 통과한 보스(10) 끝단의 돌출부위를 가열하면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보스(10)는 끝단이 리벳 머리 형태를 이루도록 변형되면서 결합공(20) 주변으로 융착될 수 있다. 보스(10)는 결합공(20) 주변으로 융착 변형된 상태에서 융착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분할체(2)는 보스(10)를 지지하는 지지부(30)를 구비하고, 분할체(2)들이 가조립 상태에서 일측 분할체(2)의 결합공 주변은 타측 분할체(2)의 지지부(30)를 통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보스(10)에는 결합공(20)에 끼워진 보스(10)가 결합공(20) 주변으로 융착되기 전 상태에서 결합공(20)에 걸리도록 하는 걸림돌기(40)가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40)는 보스(10)가 결합공(20)에 끼워진 가조립 상태에서 보스(10)가 결합공(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조립 상태의 분할체(2) 사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분할체(2) 사이는 가조립 상태에서 본조립 공정이 수행되도록 융착설비 쪽으로 이동되거나, 융착설비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본조립되는 과정에서 상호 간의 분리가 방지되고, 이에 따라 차량용 도어트림(1)은 조립작업성과 조립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보스(10)는 중공의 원기둥 형태로 마련되고, 걸림돌기(40)는 보스(10)의 돌출방향 끝단부의 외주면 일측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40)는 보스(10)와 함께 분할체(2)의 성형시 분할체(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다.
걸림돌기(40)는 보스(10)의 외주면에 보스(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보스(10)가 결합공(20)에 삽입되기 용이하도록 걸림돌기(40)는 보스(10)의 삽입반대 방향에서 삽입방향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줄어들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가조립 상태에서 보스(10)가 결합공(20)에 걸릴 수 있도록 보스(10)의 직경과 걸림돌기(40)의 최대 돌출길이의 합은 결합공(20)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 마련될 수 있다.
또 걸림돌기(40)는 분할체(2) 사이가 가조립 되기 전에 보스(10)에 형성되고, 분할체(2) 사이를 본조립하기 전에 보스(1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할체(2) 사이의 조립방법에 따르면, 걸림돌기(40)가 제거된 보스(10)는 분할체(2) 사이가 본조립되는 과정에서 둘레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결합공(20) 외측으로 밀착되면서 결합공(20) 주변에 안정적으로 융착될 수 있다.
즉 보스(10) 외면으로부터 제거된 걸림돌기(40)는 본조립시 보스(10)와 결합공(20) 주변 사이에서 보스(10)의 융착변형에 간섭될 우려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보스(10)의 융착변형은 보스(10)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고르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보스(10)와 일체로 성형되는 걸림돌기(40)의 경우 보스(10)와의 결합력이 커서 보스(10) 외면으로부터 쉽게 제거되기가 어려울 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0,60)는 보스(10)로부터 제거되기 용이하도록 보스(10) 외면에 임시로 부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50)는 보스(10)와 별도로 성형되어 분할체(2) 사이를 가조립 하기 전에 핫멜트(hot-melt)를 이용하여 보스(10) 외면에 임시로 부착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51은 걸림돌기(50)를 보스(10) 외면에 부착시키기 위해 핫멜트를 통해 마련되는 접착층을 가리킨다.
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돌기(60)는 핫멜트 자체를 통해 보스(10) 외면에 임시로 부착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에 있어서, 걸림돌기(50,60)의 위치에 대응하는 보스(10) 외면에는 핫멜트와 보스(10) 사이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것으로, 핫멜트의 주입을 주입홈(11)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스(10)와 걸림돌기(60) 사이의 부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주입홈(11) 내면은 요철면(12)을 포함할 수 있다. 요철면(12)은 전술한 두 가지 타입의 걸림돌기(50,60)에 모두 적용이 가능할 수있다.
요철면(12)은 핫멜트와 보스(10) 사이에 보스(10)의 삽입방향으로 걸림력이 증대될 수 있게 보스(10)의 길이방향으로 요철구조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스(10)에 임시로 부착된 걸림돌기(50,60)는 분할체(2) 사이가 가조립되거나, 가조립 상태의 분할체(2) 사이가 본조립되기 전까지는 보스(1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본조립 전에는 조립 작업자에 의해 보스(10)로부터 간단히 제거될 수 있다.
또 보스(10)에 임시로 부착되는 걸림돌기(50,60)는 보스(10)의 융착 변형력에 의해 보스(10)와 결합공(20) 둘레 사이에서 가압되면서 본조립과정 초기에 보스(10) 외면으로부터 자연적으로도 탈락이 가능할 수 있다.
1: 차량용 도어트림 2: 분할체
10: 보스 20: 결합공
30: 지지부 40,50,60: 걸림돌기

Claims (6)

  1.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어느 한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를 다른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결합공에 끼워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를 상기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시켜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기 전에 상기 보스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기 전에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보스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스에 상기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준비된 상기 걸림돌기를 핫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스 외면에 임시로 부착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보스의 외면에는 상기 핫멜트의 주입을 위한 주입홈이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2. 삭제
  3. 삭제
  4. 상호 조립되는 복수의 분할체를 구비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어느 한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보스를 다른 쪽 분할체에 마련되는 결합공에 끼워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를 상기 결합공 주변으로 융착시켜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공에 끼워진 상기 보스가 상기 결합공에 걸리도록 상기 분할체 사이를 가조립하기 전에 상기 보스에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분할체 사이를 본조립하기 전에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보스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보스에 상기 걸림돌기를 형성하는 것은,
    핫멜트를 이용하여 상기 보스 외면에 상기 걸림돌기를 임시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걸림돌기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보스의 외면에는 상기 핫멜트의 주입을 위한 주입홈이 마련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5. 제 1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홈의 내면은 상기 보스의 길이방향으로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요철면을 포함하는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6. 삭제
KR1020200139517A 2020-10-26 2020-10-26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KR1023922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17A KR102392298B1 (ko) 2020-10-26 2020-10-26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17A KR102392298B1 (ko) 2020-10-26 2020-10-26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298B1 true KR102392298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517A KR102392298B1 (ko) 2020-10-26 2020-10-26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2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709A (ja) * 1997-04-02 1998-10-2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070057257A (ko) * 2004-10-28 2007-06-0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충돌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05533U (ko) * 2007-05-17 2008-11-2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맵포켓 조립체
KR20150005125A (ko) * 2013-07-04 2015-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셀프 후크를 구비한 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78709A (ja) * 1997-04-02 1998-10-20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内装部品
KR20070057257A (ko) * 2004-10-28 2007-06-04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충돌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80005533U (ko) * 2007-05-17 2008-11-21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 맵포켓 조립체
KR20150005125A (ko) * 2013-07-04 2015-01-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셀프 후크를 구비한 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679B2 (ja) ホールプラグ
JP6206387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接合方法
JP2005315424A (ja) ファスナー
JP2011093409A (ja) 燃料タンクの付属部品の取付構造
JP6242107B2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組立て構造
JPH0749801B2 (ja) 基板と発泡部分とから成る内装パネル用のパネル固定素子支持フエル−ル
US20080258439A1 (en) Vibration Welding Method, Vibration Welded Structure, and Airbag Apparatus
JP6469561B2 (ja) 車両用内装材
KR102392298B1 (ko) 차량용 도어트림의 조립방법
EP0340094B1 (fr) Procédé d'assemblage par rivetage d'une première pièce en matière plastique et d'une seconde pièce.
KR101031758B1 (ko) 자동차 도어트림의 열융착 조립구조
JP2017210151A (ja) サービスホールカバー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1919252B2 (en) Joining method while producing an improved heat-staked rivet connection
KR100757608B1 (ko) 차량의 도어 트림 패드 장착 구조
KR20190057781A (ko) 도어의 웨더스트립 체결구조
KR102608786B1 (ko) 차량용 가니쉬 결합구조체
JPS5920630A (ja) モ−ルデイングの製造方法
JP3877200B2 (ja) 自動車ドアベルトラインモールの端末構造
JP4572637B2 (ja) ウエザストリップ
KR101930405B1 (ko) 도어트림 융착구조
KR101584714B1 (ko) 자동차용 내장부품 열 융착 연결장치
US11370350B2 (en) Component arrangement
KR102010605B1 (ko) 차량용 웨더스트립의 장착구조
JP2019217953A (ja) 車両用内装部材の製造方法
US20230313827A1 (en) Isolating Blind Hole Faste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