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390B1 -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390B1
KR101887390B1 KR1020170036952A KR20170036952A KR101887390B1 KR 101887390 B1 KR101887390 B1 KR 101887390B1 KR 1020170036952 A KR1020170036952 A KR 1020170036952A KR 20170036952 A KR20170036952 A KR 20170036952A KR 101887390 B1 KR101887390 B1 KR 101887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pad
stopper
pad
steel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장병구
최무근
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7003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3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 B60G2204/12422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damper, e.g. MacPerson strut anchoring the end coils on the spring support p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결합부와, 상기 받침결합부의 중심에 상기 스프링의 내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의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결합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되 상기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부에는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강재(insert steel)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Spring pad with steel inser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하도록 하여 승차감의 향상은 물론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로어(lower)패드와 어퍼(upper)패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로어시트와 어퍼패드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과 로어패드 사이, 코일 스프링과 어퍼패드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코일 스프링과 로이시트, 코일 스프링과 어퍼패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및 어퍼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스프링 패드를 제작함에 있어서, 종래의 스프링 패드 구조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고무로만 제작된 스프링 패드의 경우 코일 스프링의 거동으로 상하 방향의 반복된 압축력이 스프링 패드에 작용할 때, 스프링의 내경에 따라 하중을 덜 받는 부위(스프링 지지부 내측(110) 또는 외측(S))에서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스프링의 내경이 작게 되면 스프링 패드 외곽부분이 들뜰 수 있으며, 스프링 내경이 크게 되면 스프링 패드의 외곽 부분이 들뜰 수 있다.
또한, 높은 압축력이 작용할 경우, 이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내구성을 갖기 위해서는 스프링 안착홈(122)의 높이가 증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프링 패드의 높이가 상승하게 되면, 사선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하중에 의해 스프링 패드에 전단 변형이 발생하여 스프링의 위치가 변하게 되며, 스프링 패드의 전단 파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재를 금형 내에 장착하고 탄성체 사출을 진행하여 스프링 패드를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스프링 패드와 강재가 일체로 형성된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결합부와, 상기 받침결합부의 중심에 상기 스프링의 내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의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결합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되 상기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진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부에는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강재(insert steel)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강재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에 삽입된 받침보강부와, 상기 받침보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삽입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강재와 스프링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미리 제작된 상기 강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형에 장착한 후, 상기 금형 내부로 탄성체를 주입하여 상기 스프링 패드를 성형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스토퍼의 앞면 하단에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가 시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앞면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스프링 안착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의 앞면 하단과 접하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응력버퍼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받침결합부의 소정위치에서 받침결합부의 위쪽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스토퍼의 앞면은 상기 받침결합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앞면의 반대쪽인 상기 스토퍼의 뒷면은 상기 받침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의 앞면과 뒷면으로 형성되는 두께는 스토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두께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끝단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응력버퍼부는 소정 폭을 갖고, 상기 받침결합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어지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앞면 하단과 스프링 안착부가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패드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가 상기 금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단지지형상홈과 하단지지형상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가 상기 금형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와 강재에는 회전방지형상홈이 형성된 다.
이때, 상기 상단지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삽입부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의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되, 상기 하단지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의 하단부, 측면부 및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와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내입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와 삽입보강부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 안착된 스프링이 측면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의 측면부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상기 받침결합부의 바깥쪽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걸림보강부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결합부의 차체측과 접하는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차체측과 결합되되,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와 대응되도록 돌기 보강부가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스프링 패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의 측면도, 도 7은 도 4의 'A-A'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강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패드(10)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미도시)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패드(미도시) 사이에 개재된다.
도 3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스프링의 저면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111)가 형성된 받침결합부(110)와, 상기 받침결합부(110)의 중심에 상기 스프링의 내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통공(170)과, 상기 통공(170)의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결합부(110)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되 상기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삽입부(120)의 상단부를 막는 덮개(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상기 통공(170)을 막아 스프링 패드(10) 내부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여 스프링 패드(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부에는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강재(insert steel)(2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rubber)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지며 상기 강재(20)는 강철(steel)로 이루어지거나 금속 또는 플라스틱 및 그의 변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강재는,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받침결합부(110)에 삽입된 받침보강부(210)와, 상기 받침보강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부(120)에 삽입된 삽입보강부(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받침결합부(110)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13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부(111)에 안착된 스프링이 측면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의 측면부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140)가 상기 받침결합부(110)의 바깥쪽 부분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강재(20)의 받침보강부(210)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걸림부(140)에 대응되도록 걸림보강부(240)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결합부(110)의 차체측과 접하는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150)가 형성되어 차체측과 결합되며, 상기 강재(20)의 받침보강부(210)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150)와 대응되도록 돌기 보강부(250)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강재(20)와 스프링 패드(1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미리 제작된 상기 강재(20)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형(미도시)에 장착한 후, 상기 금형 내부로 탄성체를 주입하여 상기 스프링 패드(10)를 성형한다.
즉, 미리 제작된 강재(20)를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무 금형(미도시)에 장착한 후, 탄성체를 주입하여 상기 스프링 패드(10)를 인서트 성형한다.
따라서 상기 강재(20)와 스프링 패드(10)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강재(20)의 받침보강부(210)와 삽입보강부(220)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1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통된 관통구(230)가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20)가 상기 금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10)에는 상단지지형상홈(260)과 하단지지형상홈(27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20)가 상기 금형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10)와 강재(20)에는 회전방지형상홈(28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상단지지형상홈(260)은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삽입부(120)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의 삽입부(120)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형상홈(270)은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받침결합부(110)의 하단부, 측면부 및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 다수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형상홈(270)은 'ㄴ'자 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 하단부에서 받침결합부 외측면까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방지형상홈(280)은 상기 스프링 패드(10)의 받침결합부(110)와 상기 강재(20)의 받침보강부(210)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내입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형상홈(260,270)과 회전방지형상홈(280)에 의해 강재(20)를 금형에 장착하여 탄성체 사출을 진행할 때 상기 강재(20)를 고정시켜 회전 및 이탈을 방지하여 탄성체와 강재가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패드(10)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111)가 시작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는 상기 받침결합부(110)의 소정위치에서 받침결합부의 위쪽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은 상기 받침결합부(110)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반대쪽인 상기 스토퍼(130)의 뒷면(132)은 상기 받침결합부(110)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과 뒷면(132)으로 형성되는 두께는 스토퍼(130)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두께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끝단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스프링 안착부(111)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접하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111)에는 응력버퍼부(1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응력버퍼부(160)는 소정 폭을 갖고, 상기 받침결합부(110)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어지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스프링 안착부(111)가 단절된다.
따라서 받침결합부(160)에서 스프링과 접촉되지 않아 스프링 안착부(11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스프링 패드 110 : 받침결합부
111 : 스프링 안착부 120 : 삽입부
130 : 스토퍼 140 : 걸림부
150 : 고정 돌기 160 : 오목홈
20 : 강재 210 : 받침보강부
220 : 삽입보강부 230 : 관통구
240 : 걸림보강부 250 : 돌기보강부
260 : 상단지지홈 270 : 하단지지홈
280 : 회전방지홈 S : 시작단부

Claims (10)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패드 사이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안착부가 형성된 받침결합부와,
    상기 받침결합부의 중심에 상기 스프링의 내륜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통공과;
    상기 통공의 테두리와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기 받침결합부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갖되 상기 스프링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프링 패드의 내부에는 스프링 패드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강재(insert steel)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강재는,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에 삽입된 받침보강부와,
    상기 받침보강부와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삽입보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강재와 스프링 패드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미리 제작된 상기 강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금형에 장착한 후, 상기 금형 내부로 탄성체를 주입하여 상기 스프링 패드를 성형하며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스토퍼의 앞면 하단에서 상기 스프링 안착부가 시작되되,
    상기 스토퍼 앞면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스프링 안착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 앞면 하단과 접하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는 응력버퍼부를 구비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받침결합부의 소정위치에서 받침결합부의 위쪽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스토퍼의 앞면은 상기 받침결합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앞면의 반대쪽인 상기 스토퍼의 뒷면은 상기 받침결합부에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스토퍼의 앞면과 뒷면으로 형성되는 두께는 스토퍼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두께 증가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끝단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응력버퍼부는 소정 폭을 갖고, 상기 받침결합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어지도록 오목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의 앞면 하단과 스프링 안착부가 단절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패드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가 상기 금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에는 상단지지형상홈과 하단지지형상홈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패드의 인서트 성형 시 상기 강재가 상기 금형에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프링 패드와 강재에는 회전방지형상홈이 형성되고
    이때 상기 상단지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삽입부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일정간격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패드의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단지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의 하단부, 측면부 및 상단부가 개방된 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회전방지형상홈은 상기 스프링 패드의 받침결합부와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의 외측면에서 내측으로 내입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부에 안착된 스프링이 측면방향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의 측면부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가 상기 받침결합부의 바깥쪽 부분에서 돌출 형성되되,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 바깥쪽 부분에는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도록 걸림보강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와 삽입보강부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관통된 관통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결합부의 차체측과 접하는 바닥면에는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는 고정 돌기가 형성되어 차체측과 결합되되,
    상기 강재의 받침보강부 바닥면에는 상기 고정 돌기와 대응되도록 돌기 보강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1020170036952A 2017-03-23 2017-03-23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52A KR101887390B1 (ko) 2017-03-23 2017-03-23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52A KR101887390B1 (ko) 2017-03-23 2017-03-23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390B1 true KR101887390B1 (ko) 2018-08-10

Family

ID=6322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52A KR101887390B1 (ko) 2017-03-23 2017-03-23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3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30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디엠씨 섬유 코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KR20200058229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디엠씨 섬유 코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102190733B1 (ko) 2019-07-11 2020-12-14 주식회사 디엠씨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20210031354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엠씨 발포 사출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 장치용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KR20210115363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11548338B2 (en) * 2020-05-07 2023-01-10 Hyundai Mobis Co., Ltd.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01732A (ko) 2022-06-24 2024-01-04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패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732A (ja) *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CN202510605U (zh) * 2012-03-29 2012-10-31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螺旋弹簧隔振垫
KR101602734B1 (ko) * 2014-06-24 2016-03-14 (주)아모레퍼시픽 회전방지용 고정돌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60126134A (ko) * 2015-04-22 2016-11-02 대원강업주식회사 스프링과의 밀착성이 개선된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732A (ja) *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CN202510605U (zh) * 2012-03-29 2012-10-31 上海通用汽车有限公司 一种螺旋弹簧隔振垫
KR101602734B1 (ko) * 2014-06-24 2016-03-14 (주)아모레퍼시픽 회전방지용 고정돌기를 갖는 사출금형
KR20160126134A (ko) * 2015-04-22 2016-11-02 대원강업주식회사 스프링과의 밀착성이 개선된 스프링 패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230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디엠씨 섬유 코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KR20200058229A (ko) 2018-11-19 2020-05-27 주식회사 디엠씨 섬유 코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KR102190733B1 (ko) 2019-07-11 2020-12-14 주식회사 디엠씨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20210031354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엠씨 발포 사출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 장치용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US11571842B2 (en) 2019-09-11 2023-02-07 Dmc, Inc Manufacturing method of spring pad for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using foam injection molding
KR20210115363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324644B1 (ko) 2020-03-12 2021-11-10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11548338B2 (en) * 2020-05-07 2023-01-10 Hyundai Mobis Co., Ltd.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KR20240001732A (ko) 2022-06-24 2024-01-04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200062062A1 (en) Top mount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10358009B2 (en) Suspension device
KR101882334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107580560B (zh) 车辆悬架的减震器组件和悬架系统
US10336147B2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US10532622B2 (en) Suspension device
KR101937696B1 (ko)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프레임의 일체형 패드
US20220332160A1 (en) Top mount assembl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CN204253701U (zh) 一种汽车悬架的螺旋弹簧隔振垫
KR10232464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JP376736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シート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JP3695153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支持装置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2190733B1 (ko)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971469B1 (ko) 일체형 서스펜션 스트럿 베어링용 3차 사출금형장치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20210119430A (ko) 나선형 스프링을 위한 지지 요소 및 상기 지지 요소를 포함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와 서스펜션 장치
KR102125265B1 (ko) 섬유 코오드를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CN214523259U (zh) 一种汽车稳定杆衬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