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644B1 -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644B1
KR102324644B1 KR1020200031001A KR20200031001A KR102324644B1 KR 102324644 B1 KR102324644 B1 KR 102324644B1 KR 1020200031001 A KR1020200031001 A KR 1020200031001A KR 20200031001 A KR20200031001 A KR 20200031001A KR 102324644 B1 KR102324644 B1 KR 10232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ad
insert
seating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5363A (ko
Inventor
김성술
김형준
장병구
이원욱
최무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20003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6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15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53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차체(어퍼시트 및 로어시트;20)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패드부(1000)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패드부(1000)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인서트부(2000)로 형성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0)는 코일 스프링(15)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100)와, 코일 스프링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200)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는 도넛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이 직접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면(110)과,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차체에 접촉하는 아랫면(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하부는 상기 도넛 형상의 안쪽면(210)과 결합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되, 상기 스프링 패드의 아랫면(120)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패드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에 고정용 클립과 조립 위치 설정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하도록 하여 승차감의 향상 및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로어(lower)패드와 어퍼(upper)패드가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로어시트와 어퍼패드 사이에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며, 코일 스프링과 로어패드 사이, 코일스프링과 어퍼패드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코일 스프링과 로이시트, 코일 스프링과 어퍼패드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코일 스프링과 로어시트 및 어퍼패드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는 차체(로어시트 또는 어퍼패드;20)에 체결되고, 종래 스프링 패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장치인 돌기(11)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체결장치인 돌기는 차체에 형성된 결합홀(22)에 삽입된다.
상기 스프링 패드를 체결하기 위한 결합부는 고무재질로 형성된 돌기부로서 상기 돌기부의 턱(12)과 마찰력으로 결합됨으로서 조립이 어렵고 차체와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프링 패드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재를 삽입하였으나 steel 재질의 강재는 녹이 발생하여 부식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1 ; 특허등록공보 제10-1882334호 특허문헌2 ;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73815호 특허문헌3 ; 등록특허공보 제10-188739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패드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에 고정용 클립과 조립 위치 설정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스프링 패드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녹 발생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수명을 늘리고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차체(어퍼시트 및 로어시트;20)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패드부(1000)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패드부(1000)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인서트부(2000)로 형성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0)는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100)와, 코일 스프링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20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는 도넛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15)이 직접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면(110)과,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차체에 접촉하는 아랫면(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하부는 상기 도넛 형상의 안쪽면(210)과 결합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되, 상기 스프링 패드의 아랫면(120)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패드부(1000)와 상기 인서트부(2000)가 서로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인서트부(2000)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의 안쪽에 배치되되, 내부는 중공부이면서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안쪽에 배치되는 인서트 삽입부(2200)가 구비되며,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에서 상기 인서트 삽입부(2200)의 반대쪽 면을 삽입부반대면(2101)이라 할 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부(2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의 소정부위는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가 구비됨에 따라 타부위보다 면적이 넓은 세이프존(S1)이 형성되며, 상기 세이프존(S1)에 상기 클립부(24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패드부(1000)가 덮이지 않도록 노출되어 제작됨에 따라 상기 클립부(2400)가 상기 차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직접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질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10)와, 일정깊이 끼워지면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려 빠짐을 방지하는 턱부(2420)와, 일정깊이 끼워진 후, 상기 턱부(2420)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턱부(2420)를 밖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시키는 탄성부(2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인서트부(200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GF) 또는 탈크(TALC, 돌가루)가 함유된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부(20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폴리아미디(Polyamide),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중의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패드 내부에 인서트를 삽입하여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패드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녹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수명을 늘리고 내구성과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프링 패드 내부에 삽입되는 인서트에 고정용 클립과 조립 위치 설정용 돌기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프링 패드(a)와 로어시트(b)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저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저면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클립부의 확대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서트부의 사시도이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패드는,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차체(어퍼시트 및 로어시트;20)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패드부(1000)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패드부(1000)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인서트부(2000)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부(1000)는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100)와, 코일 스프링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200)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는 도넛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이 직접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면(110)과,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차체에 접촉하는 아랫면(12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하부는 상기 도넛 형상의 안쪽면(210)과 결합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되, 상기 스프링 패드의 아랫면(120)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패드부(1000)와 상기 인서트부(2000)가 서로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에는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130)가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130)는 코일 스프링의 끝단면과 대응되어 접하는 걸림단면(130a)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은 상기 걸림단면(130a)의 하단에서 시작하여 나선형의 구조로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단면(130a)과 스프링 안착면(110) 사이에는 소정 폭을 갖으면서 패드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이어지도록 오목홈(140)이 형성되어 걸림단면(130a)의 하단과 스프링 안착면(110)이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될 때, 코일 스프링 끝단면과 상기 걸림단면(130a)과 스프링 안착면(110)이 연결되는 모서리부위의 접촉을 방지하여 스프링 안착부(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 상에 구비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230)는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하나 이상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안착면(110)과 코일 스프링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토퍼(130)와 지지부(230) 상부면에는 요철 처리된 엠보부(E)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엠보부(E)에 의해 코일 스프링과 접촉면적을 넓히면서 마찰력을 감소시켜 미끄럼을 방지하고, 마찰 이음을 방지하며, 쿠션 작용을 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패드부(1000)와 코일 스프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밀려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프링의 측면부를 구속하는 하나 이상의 걸림부(150)가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의 바깥쪽 부분에서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인서트부(2000)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의 안쪽에 배치되되, 내부는 중공부이면서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안쪽에 배치되는 인서트 삽입부(2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에서 상기 인서트 삽입부(2200)의 반대쪽 면을 삽입부반대면(2101)이라 할 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부(2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사출되어 제작되되, 먼저 제작된 인서트부(2000)를 사출금형의 내부에 장착한 후, 패드 사출을 위해 마련된 공간에 자재를 삽입하여 상기 인서트부(2000)와 결합된 패드부(1000)를 제조하며, 이때,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는 상기 패드부(1000)가 사출될 때 인서트부(2000)가 고정되도록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 인서트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와, 인서트 안착부(2100)와 상기 인서트 삽입부(2200)의 연결부에는 관통공(h1,h2)이 다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h1,h2)은 동일한 간격으로 균등하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h1,h2)을 통해 상기 인서트부(2000)와 패드부(1000)가 결합되는 접촉면적을 늘림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패드부(1000)가 덮이지 않도록 노출되어 제작됨에 따라 상기 클립부(2400)가 상기 차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직접 끼워지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의 소정부위는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가 구비됨에 따라 타부위보다 면적이 넓은 세이프존(S1)이 형성되며, 상기 세이프존(S1)에 상기 클립부(240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인서트부(2000)에는 조립 위치이탈방지부(2300)와 클립부(2400)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차체와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고 탈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체결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스프링 패드의 들뜸을 방지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질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10)와, 일정깊이 끼워지면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려 빠짐을 방지하는 턱부(2420)와, 일정깊이 끼워진 후, 상기 턱부(2420)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턱부(2420)를 밖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시키는 탄성부(2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인서트부(2000)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섬유(Glass Fiber;GF) 또는 탈크(TALC, 돌가루)가 함유된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hermoplastic Elastomer)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부(2000)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폴리아미디(Polyamide), 테레프탈산(Terephthalic acid) 중의 하나 이상으로 형성하도록 제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인서트부(2000)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스프링 패드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어도 녹이 형성되지 않아 강재(steel)로 형성된 종래의 스프링 패드에 비해 사용 수명을 연장시키며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스프링 안착부 110 : 스프링 안착면
120 : 아랫면 200 : 스프링 삽입부
1000 : 패드부 2000 : 인서트부
2100 : 인서트 안착부 2101 : 삽입부반대면
2200 : 인서트 삽입부 2300 : 이탈방지부
2400 : 클립부 2410 : 가이드부
2420 : 턱부 2430 : 탄성부

Claims (6)

  1. 자동차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코일 스프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코일스프링의 양측에 위치하는 차체(어퍼시트 및 로어시트;20)와, 상기 코일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는 패드부(1000)와, 상기 패드부의 내부에는 패드부(1000)의 들뜸 방지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삽입된 인서트부(2000)로 형성되는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0)는 코일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부(100)와, 코일 스프링의 안쪽으로 삽입되는 스프링 삽입부(200)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는 도넛 형상으로 코일 스프링이 직접 안착되는 스프링 안착면(110)과,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차체에 접촉하는 아랫면(12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하부는 상기 도넛 형상의 안쪽면(210)과 결합되고 상부는 개방된 구조이되, 상기 스프링 패드의 아랫면(120)에는 상기 차체에 결합되는 결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상단부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 안착면(110) 상에 구비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하나 이상 형성되어
    스프링 안착면(110)과 코일 스프링 사이의 들뜸을 방지하고,
    상기 인서트부(2000)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100)의 안쪽에 배치되되, 내부는 중공부이면서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와,
    상기 중공부의 내주면에서 연결되어 상방으로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상기 스프링 삽입부(200)의 안쪽에 배치되는 인서트 삽입부(2200)가 구비되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를 포함하고,
    상기 원판형상의 인서트 안착부(2100)에서 상기 인서트 삽입부(2200)의 반대쪽 면을 삽입부반대면(2101)이라 할 때,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에서 돌출되어 상기 차체에 끼워져 결합되는 클립부(2400)이고,
    또한,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패드부(1000)가 덮이지 않도록 노출되어 제작됨에 따라 상기 클립부(2400)가 상기 차체에 형성된 관통공에 직접 끼워지도록 구비되며,
    상기 클립부(2400)는 상기 관통공에 끼워질 때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410)와, 일정깊이 끼워지면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려 빠짐을 방지하는 턱부(2420)와, 일정깊이 끼워진 후, 상기 턱부(2420)가 상기 관통공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턱부(2420)를 밖으로 벌어지도록 변형시키는 탄성부(2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부(1000)와 상기 인서트부(2000)가 서로 결합되어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이탈방지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반대면(2101)의 소정부위는 상기 인서트 안착부(2100)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부(2300)가 구비됨에 따라 타부위보다 면적이 넓은 세이프존(S1)이 형성되며, 상기 세이프존(S1)에 상기 클립부(24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사출되어 제작되되, 먼저 제작된 인서트부를 사출금형의 내부에 장착한 후, 패드 사출을 위해 마련된 공간에 자재를 삽입하여 상기 인서트부와 결합된 패드부를 제조하며, 이때,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는 상기 패드부가 사출될 때 인서트부가 고정되도록 상기 사출금형의 내부에 인서트 고정부(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1020200031001A 2020-03-12 2020-03-12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324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01A KR102324644B1 (ko) 2020-03-12 2020-03-12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1001A KR102324644B1 (ko) 2020-03-12 2020-03-12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63A KR20210115363A (ko) 2021-09-27
KR102324644B1 true KR102324644B1 (ko) 2021-11-10

Family

ID=7792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1001A KR102324644B1 (ko) 2020-03-12 2020-03-12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46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1732A (ko) 2022-06-24 2024-01-04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패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90B1 (ko) 2017-03-23 2018-08-10 주식회사 디엠씨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1B1 (ko) * 2017-03-23 2018-09-06 주식회사 디엠씨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937696B1 (ko) 2017-07-18 2019-04-11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프레임의 일체형 패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893B1 (ko) 2015-12-18 2017-07-18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882334B1 (ko) 2017-05-29 2018-07-26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390B1 (ko) 2017-03-23 2018-08-10 주식회사 디엠씨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1B1 (ko) * 2017-03-23 2018-09-06 주식회사 디엠씨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937696B1 (ko) 2017-07-18 2019-04-11 주식회사 디엠씨 소재의 용융점 차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프레임의 일체형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5363A (ko) 202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982687B1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US7416175B2 (en) Spring seat assembly
KR102300647B1 (ko) 멀티링크 서스펜션
EP1031755A2 (en) Body mount having independent vertical and lateral rates
KR20180121232A (ko) 탑 마운트 조립체 및 그 제조 방법
CN107580560B (zh) 车辆悬架的减震器组件和悬架系统
KR102324644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JP4587249B2 (ja) ばね脚支承部
US6030016A (en) Rebound cushion for body mount
KR20180093039A (ko) 코일 스프링을 위한 스프링 지지체
CN109823132B (zh) 橡胶座
JP2010083194A (ja) サスペンションのコイルスプリングのアッパマウント
JP3767364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のスプリングシート
KR10175889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102190733B1 (ko)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10252375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GB2461284A (en) Vehicle exhaust muffler hanger with high horizontal spring rigidity
JP4080709B2 (ja) 防振装置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102558771B1 (ko) 일체형 스프링 가이드가 구비된 차량 현가장치의 판스프링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