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2334B1 -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2334B1
KR101882334B1 KR1020170066129A KR20170066129A KR101882334B1 KR 101882334 B1 KR101882334 B1 KR 101882334B1 KR 1020170066129 A KR1020170066129 A KR 1020170066129A KR 20170066129 A KR20170066129 A KR 20170066129A KR 101882334 B1 KR101882334 B1 KR 101882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pad
pad
protrud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장병구
최무근
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70066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26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스프링 패드의 내측에 돌출 연장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Spring pad for automotive suspension device with improved function to prevent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하도록 하여 승차감의 향상은 물로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상, 하부 스프링 시트가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시트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및 상부 스프링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패드는 스프링의 인장과 압축에 의해서 지속적인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 이물질이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사이에 유입되거나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시트사이에 유입되면, 이물질에 의한 마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모에 의해서 스프링 시트 및 스프링 패드가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패드의 내측에 돌출 연장되는 구조가 형성되고,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들뜸을 방지함으로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100)는 양 말단(100a,100b)이 분리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101)이 형성되되, 상기 안착홈(101)은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에서 타측 말단부(100b)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160)와,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30)와,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에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되, 스프링 패드(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서 상기 안착홈(101)이 시작되되,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접하는 스프링 패드(100)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190)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90)이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된 홈보강부(19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덮개부(150)가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0)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들뜸을 방지하되, 상기 덮개부(150)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 시트(10)에 부착되도록 고정 돌기(120)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103)이 형성되어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의 상부측 폭은 하단부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지지부(160)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 외측 둘레에서부터 돌출되어 일부 구간에 걸쳐 하나 이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보강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110)와 외측지지부(160,160c) 사이의 스프링 패드(100)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시트(10)에 돌출된 결합스토퍼(11)와 결합되도록 밀림방지홈(140)이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의 마찰로 인한 스프링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패드에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을 갖는 구조를 형성시킴으로써 이물질로 인한 스프링 패드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배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의 사시도, 도 6은 도 1의 "A-A"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는 쇽업소버(미도시)를 포함한다.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일측이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쇽업소버는 통상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차체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하단이 차륜측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는 상부 마운트가 구비되고, 쇽업소버의 하단에는 차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너클 브래킷이 구비된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베어링이 설치되는 상부 마운트에 설치된 상부 스프링 시트와, 쇽업소버의 실린더 외측에 고정된 하부 스프링 시트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다.
스프링은 쇽업소버와 더불어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져 쇽업소버가 압출될 때 스프링은 함께 암축되고, 압축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시트(10)는 쇽업소버의 실린더(미도시)가 끼워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개구부(h)가 중앙부분 혹은 중심에서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시트(10)의 상부표면에는 스프링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스프링 패드(100)가 장착된다.
상기 스프링 패드(1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rubber)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는 양 말단(100a,100b)이 분리된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원형 링의 일부분을 절개한 구조이며,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도록 안착홈(10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안착홈(101)은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에서 타측 말단부(100b)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 측의 안착홈(101)에는, 상기 안착홈(10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사이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돌출부(101-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 시트(10)에 부착되도록 고정 돌기(120)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홈(103)이 형성되어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외측지지부(160)가 형성되어 스프링과 시트(10)의 스틸 접촉이음을 방지하고, 시트(10)의 도장을 보호한다.
이때, 상기 외측지지부(160)는 스프링 패드(100)의 일부 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스프링 패드(100)의 전체 구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연장된 덮개부(150)가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0)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들뜸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150)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는 스토퍼(130)가 스프링 패드(100)의 상부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서 상기 안착홈(101)이 시작되되,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접하는 스프링 패드(100)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190)이 형성된다.
즉, 상기 오목홈(190)은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어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상기 안착홈(101)이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목홈(190)이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된 홈보강부(191)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 패드(100)에 스프링 조립 시 스토퍼(130)와 마찰로 인하여 스프링 패드(100)가 끌리거나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며, 응력으로 인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되, 스프링 패드(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의 상부측 폭은 하단부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며, 사다리꼴형의 단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10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스프링의 압축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스토퍼(130)에 의해 스프링의 끝단면이 지지되면서 스프링 패드(100)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 측으로 모멘트(회전력)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회전력) 의해서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와 이와 대응되는 스프링 시트의 결합부위는 접촉되며 전단하중이 발생하며, 스프링의 압축하중에 의해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와 이와 대응되는 스프링 시트(10)의 결합부위는 마찰로 인한 마모에 의해서 상기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는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에 전단하중이 가해져 스프링 패드(100)가 변형되거나 찢어져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를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를 사다리꼴형의 구조로 형성시킴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켜 스프링 패드(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면과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엠보부(102)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 시트(10)와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여 마모에 의한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의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스프링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외측지지부(160)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 외측 둘레에서부터 돌출되어 일부 구간에 걸쳐 하나 이상 형성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로써 상기 외측지지부(160)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101) 시작단(101a)과 대응되는 위치에서부터 제1외측지지부(160a)가 형성되며, 제2외측지지부(160b), 제3외측지지부(160c)가 스프링 패드(100)의 둘레를 따라 일측 말단(100a)에서 타측 말단(100b) 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걸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보강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110)와 함께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으며, 스프링 패드(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다.
따라서 스프링의 압축 하중에 의해서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향상시켜 스프링 패드(100)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지지보강부(110)와 외측지지부(160,160c) 사이의 스프링 패드(100)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시트(10)에 돌출된 결합스토퍼(11)와 결합되도록 밀림방지홈(140)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밀림방지홈(140)은 상기 지지보강부(110)와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에 형성된 제3외측지지부(160c) 사이에 형성된다.
즉, 스프링 패드의 타측 말단부(100b) 외측 둘레에 밀림방지홈(140)을 형성하여 스프링 패드의(100)의 타측 말단부(100b)에서 스프링과 스프링 패드(10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의 압축하중에 의해 안착홈(101)의 외측방향으로 가해지는 밀림을 지지함으로써 스프링 패드(100)의 변형을 방지하며,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 사이의 마찰로 이한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 형성된 외측지지부(160) 사이에는 내입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내입부(170)의 외벽(100c)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간에 접촉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스프링의 압축하중에 의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들뜸을 방지하여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물질로 인한 스프링 패드(100)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프링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외측지지부(160a)와 제2외측지지부(160b) 사이에 형성된 제1내입부(170a)의 외벽만 소정각도(θ) 경사지도록 형성되거나 상기 제2외측지지부(160b)와 제3외측지지부(160c) 사이에 형성된 제2내입부(170b)의 외벽만 소정각도(θ)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스프링 시트 100 스프링 패드
101 : 안착홈 102 : 엠보부
103 : 홈 110 : 지지보강부
120 : 고정 돌기 130 : 스토퍼
140 : 밀림방지홈 150 : 덮개부
160 : 외측지지부 170 : 내입부
180 : 밀림방지용 결합부 190 : 오목홈
191 : 홈보강부

Claims (8)

  1. 차체와 차축 사이에 설치되는 쇽업소버와, 상기 쇽업소버의 외부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상부 및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 및 하부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에 개재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패드(100)는 양 말단(100a,100b)이 분리된 원호 형상으로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상면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에서 타측 말단부(100b)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되어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101)과,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 가장자리에는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는 외측지지부(160)와,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일측 말단부(100a)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지지하도록 돌출된 스토퍼(130)와,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는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갖되, 스프링 패드(100)의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과 마주하는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서 상기 안착홈(101)이 시작되되,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130)의 앞면(131) 하단과 접하는 스프링 패드(100)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190)이 형성되고,
    상기 오목홈(190)이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하부측으로 돌출된 홈보강부(191)가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덮개부(150)가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0)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들뜸을 방지하되,
    상기 덮개부(150)는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스프링 시트(10)에 부착되도록 고정 돌기(120)가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폭이 좁고 방사방향으로 긴 다수의 홈(103)이 형성되어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의 결합력이 향상되도록 하고,
    상기 외측지지부(160)는 상기 스프링 패드(100) 일측 말단부(100a)의 외측 둘레에서부터 돌출되어 일부 구간에 걸쳐 하나 이상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패드(100)의 외측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보강부(110)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보강부(110)와 외측지지부(160,160c) 사이의 스프링 패드(100) 외측 둘레에는 스프링 시트(10)에 돌출된 결합스토퍼(11)와 결합되도록 밀림방지홈(140)이 형성되어 스프링 패드(100)의 변형을 방지하여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의 마찰로 인한 스프링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하며,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타측 말단부(100b) 측의 안착홈(101)에는 상기 안착홈(101)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사이로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실링돌출부(101-1)가 형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 형성된 외측지지부(160) 사이에는 내입부(170)가 형성되며,
    상기 내입부(170)의 외벽(100c)은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스프링 패드(100)의 내측으로 소정각도(θ) 경사지도록 형성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 패드(100)와 스프링 시트(10) 간에 접촉 면적이 감속됨으로써 스프링의 압축하중에 의한 상기 스프링 패드(100)의 들뜸을 방지하여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의 상부측 폭은 하단부 폭에 비하여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180)가 형성된 스프링 패드(1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102)가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 시트(10)와 스프링 패드(10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스프링 시트(1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66129A 2017-05-29 2017-05-29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101882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29A KR101882334B1 (ko) 2017-05-29 2017-05-29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129A KR101882334B1 (ko) 2017-05-29 2017-05-29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334B1 true KR101882334B1 (ko) 2018-07-26

Family

ID=63047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129A KR101882334B1 (ko) 2017-05-29 2017-05-29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33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839B1 (ko) * 2018-08-27 2020-03-02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2190733B1 (ko) 2019-07-11 2020-12-14 주식회사 디엠씨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20210031354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엠씨 발포 사출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 장치용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KR20210036561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20210047505A (ko) * 2019-10-22 2021-04-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20210115363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20220091916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143A (ja) * 2004-02-09 2005-09-22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KR2013013549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1664678B1 (ko) * 2015-03-31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55143A (ja) * 2004-02-09 2005-09-22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KR2013013549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1664678B1 (ko) * 2015-03-31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839B1 (ko) * 2018-08-27 2020-03-02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2190733B1 (ko) 2019-07-11 2020-12-14 주식회사 디엠씨 인서트와 고정용 클립을 일체로 하는 스프링 패드
KR20210031354A (ko) 2019-09-11 2021-03-19 주식회사 디엠씨 발포 사출 성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 장치용 스프링 패드 제조방법
US11571842B2 (en) 2019-09-11 2023-02-07 Dmc, Inc Manufacturing method of spring pad for automobile suspension system using foam injection molding
KR20210036561A (ko) * 2019-09-26 2021-04-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102616542B1 (ko) 2019-09-26 2023-12-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20210047505A (ko) * 2019-10-22 2021-04-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102649975B1 (ko) 2019-10-22 2024-03-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장치
KR20210115363A (ko) 2020-03-12 2021-09-27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KR20220091916A (ko) 2020-12-24 2022-07-01 주식회사 디엠씨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및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34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20180126816A1 (en) Spring seat rubber
US6908076B2 (en) Upper mount of vehicle suspension, including elastic body fixed in metal housing and having sealing lip in contact with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EP3237228B1 (en) Flanged tire and wheel assembly
US10358009B2 (en) Suspension device
US20060043659A1 (e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KR101887391B1 (ko) 플라스틱 보강부재가 내부에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WO2015173922A1 (ja) 防振支持装置
US6616160B2 (en) Strut mount
US10336147B2 (en) Spring guide and suspension device
US10532622B2 (en) Suspension device
US6457704B1 (en) Coil spring noiseguard for a vehicle suspension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635809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패드
KR1017299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용 튜브 일체형 상부 패드
EP1209005B1 (en) Elastic wheel
KR101766067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패드
KR200438361Y1 (ko) 차량 코일스프링용 완충기
KR200370482Y1 (ko) 자동차 현가장치 스프링보호용 튜브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JP3176447B2 (ja) ソリッドタイヤ
JP2003021194A (ja) 防振装置
KR20190082480A (ko) 범퍼와 부츠를 일체로 포함하는 스프링 패드
CN209757266U (zh) 副车架连接结构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