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7505A - 차량용 현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7505A
KR20210047505A KR1020190131187A KR20190131187A KR20210047505A KR 20210047505 A KR20210047505 A KR 20210047505A KR 1020190131187 A KR1020190131187 A KR 1020190131187A KR 20190131187 A KR20190131187 A KR 20190131187A KR 20210047505 A KR20210047505 A KR 20210047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seat
seat body
movement
movement limiting
lower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49975B1 (ko
Inventor
강재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9975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5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9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9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현가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로어패드부; 및 로어패드부가 장착되고,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어시트부를 포함하고, 로어시트부는, 로어패드부가 장착되는 로어시트몸체부; 및 로어시트몸체부에 형성되고, 관통부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이동제한부는, 로어시트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가 로어시트몸체부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이동제한부; 및 로어시트몸체부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가 로어시트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이동제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 장치{SUSPENSION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 거동시 로어 패드와 로어 시트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현가 장치(Suspension)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부에 과대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전류 스트럿 컴플리트(Strut Complete)에서 로어 패드는 스프링과 로어 시트 사이에 장착되어, 스프링과 로어 시트의 도장 손상 및 부삭 파손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에서 스프링 거동시, 로어 시트에서 스프링의 하중을 받게 되어, 로어 패드가 이동되거나 변형이 된다. 로어 패드의 이동 또는 변형에 의해 크랙이 발생으로 틈이 생겨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프링 거동시 로어 패드와 로어 시트 사이에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로어패드부; 및 상기 로어패드부가 장착되고, 상기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어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패드부가 장착되는 로어시트몸체부; 및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패드부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이동제한부; 및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패드부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이동제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서로 연결되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돌출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일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타측의 벽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일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타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 의하면, 이동제한부에 의해 로어패드부가 로어시트부에서 이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어패드와 로어시트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패드와 로어시트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로어패드부와 로어시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서 로어시트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로어패드부(100)와 로어시트부(200)를 포함한다.
로어패드부(100)는 스프링(10)이 장착되는 스프링안착부(110)와, 관통 형성되는 관통부(120)를 구비한다. 로어패드부(10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스프링안착부(110)는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프링(10)이 로어패드부(100)의 일면(도 1 기준 상측면)에 장착되게 한다. 관통부(120)는 로어패드부(100)에 관통 형성되는 것으로, 로어시트부(200)의 이동제한부(220)가 삽입된다.
본 발명에서 로어패드부(100)는 돌출수용부(130)를 더 포함한다. 돌출수용부(130)는 로어시트부(200)의 돌출부(230)의 외측면을 감싸는 것으로, 돌출부(230)의 이동, 밀림, 변형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돌출수용부(130)는 돌출부(230)를 감쌀 수 있도록 돌출부(230)의 외측면과 접촉하고, 로어패드부(100)에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로어시트부(200)에 로어패드부(100)가 탑-다운 방식으로 결합시, 돌출수용부(130)가 돌출부(230)의 외측면을 감싸게 된다.
로어시트부(200)는 로어패드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로어시트부(200)는 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어시트부(200)는 로어시트몸체부(210), 이동제한부(220)를 포함한다.
로어시트몸체부(210)는 로어패드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100)와의 결합을 통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20)는 로어시트몸체부(210)에 형성되고, 로어패드부(100)의 관통부(120)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로어패드부(100)의 관통부(120)에 삽입된 이동제한부(220)에 걸림에 의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제한부(220)는 제1이동제한부(221)와 제2이동제한부(223)를 포함한다. 제1이동제한부(221)는 로어시트몸체부(210)의 일측(도 3 기준 하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이동제한부(223)는 로어시트몸체부(210)의 타측(도 3 기준 우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이동제한부(221)와 제2이동제한부(223)는 서로 연결되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이동제한부(221)와 제2이동제한부(223)는 각각 로어시트몸체부(210)에서 접어 올리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이동제한부(221)와 제2이동제한부(223)는 각각 로어시트몸체부(210)에서 서로 접하는 형상으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어시트부(200)는 로어시트몸체부(210)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0)를 더 포함하고, 로어패드부(100)는 돌출부(230)를 감싸는 돌출수용부(130)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230)는 로어시트몸체부(210)에 로어시트몸체부(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수용부(130)는 돌출부(230)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30)와 돌출수용부(130)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부(200)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하나가 있는 것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로어패드부(100)와 로어시트부(20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로어패드부(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100)의 구성과 작동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로어시트부(200a)는 로어패드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로어시트부(200a)는 강성을 구비하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로어시트부(200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 이동제한부(220a)를 포함한다.
로어시트몸체부(210a)는 로어패드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100)와의 결합을 통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20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에 형성되고, 로어패드부(100)의 관통부(120)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즉 로어패드부(100)의 관통부(120)에 삽입된 이동제한부(220a)에 걸림에 의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동제한부(220a)는 제1이동제한부(221a)와 제2이동제한부(223a)를 포함한다. 제1이동제한부(221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일측(도 8 기준 하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이동제한부(223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타측(도 8 기준 우측)의 벽면에서 접어 올려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이동제한부(221a)와 제2이동제한부(223a)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1이동제한부(221a)와 제2이동제한부(223a)는 서로 이격된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이동제한부(221a)와 제2이동제한부(223a)는 각각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바닥면과 벽면에서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어시트부(200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0a)를 더 포함하고, 로어패드부(100)는 돌출부(230a)를 감싸는 돌출수용부(130)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230a)는 로어시트몸체부(210a)에 로어시트몸체부(210a)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수용부(130)는 돌출부(230a)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30a)와 돌출수용부(130)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부(200a)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하나가 있는 것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는 로어패드부(100)와 로어시트부(2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로어패드부(10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100)의 구성과 작동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하기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어시트부(200b)에서 구성 및 작동은 상술한 동일 명칭의 구성 및 작동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따른 로어시트부(200b)는 로어시트몸체부(210b), 이동제한부(220b)를 포함한다.
로어시트몸체부(210b)는 로어패드부(100)가 장착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100)와의 결합을 통해 로어패드부(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제한부(220b)는 제1이동제한부(221b)와 제2이동제한부(223b)를 포함한다. 제1이동제한부(221b)는 로어시트몸체부(210b)의 일측(도 10 기준 하측)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b)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2이동제한부(223b)는 돌출부(230b)의 일측(도 10 기준 좌측)에서 로어패드부(100)의 바닥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관통부(120)에 삽입되고,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몸체부(210b)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제1이동제한부(221b)와 제2이동제한부(223b)는 각각 로어시트몸체부(210b)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리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1이동제한부(221b)와 제2이동제한부(223b)는 각각 로어시트몸체부(210a)와 돌출부(230b)에 사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어시트부(200b)는 로어시트몸체부(210b)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230b)를 더 포함하고, 로어패드부(100)는 돌출부(230b)를 감싸는 돌출수용부(130)를 더 포함한다.
돌출부(230b)는 로어시트몸체부(210b)에 로어시트몸체부(210b)의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수용부(130)는 돌출부(230b)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돌출부(230b)와 돌출수용부(130)가 복수개로 형성되어, 로어패드부(100)가 로어시트부(200b)에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하나가 있는 것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 장치에 의하면, 이동제한부에 의해 로어패드부가 로어시트부에서 이동 또는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여 로어패드와 로어시트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패드와 로어시트부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로어패드부와 로어시트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스프링 100: 로어패드부
110: 스프링안착부 120: 관통부
130: 돌출수용부 200, 200a, 200b: 로어시트부
210, 210a, 210b: 로어시트몸체부 220, 220a, 220b: 이동제한부
221, 221a, 221b: 제1이동제한부 223, 223a, 223b: 제2이동제한부
230, 230a, 230b: 돌출부

Claims (6)

  1. 스프링이 안착되는 스프링안착부와, 관통부를 구비하는 로어패드부; 및
    상기 로어패드부가 장착되고, 상기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로어시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패드부가 장착되는 로어시트몸체부; 및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어 상기 로어패드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패드부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중심부를 향해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1이동제한부; 및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타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관통부에 삽입되고, 상기 로어패드부가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의 원주방향을 이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제2이동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서로 연결되는 "L"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와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시트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에서 적어도 하나가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돌출부를 감싸는 돌출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일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타측의 벽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일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고,
    상기 제2이동제한부는 상기 로어시트몸체부 타측의 바닥면에서 접어 올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 장치.
KR1020190131187A 2019-10-22 2019-10-22 차량용 현가 장치 KR102649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87A KR102649975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현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187A KR102649975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현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505A true KR20210047505A (ko) 2021-04-30
KR102649975B1 KR102649975B1 (ko) 2024-03-22

Family

ID=757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1187A KR102649975B1 (ko) 2019-10-22 2019-10-22 차량용 현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99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957A (ko) * 2011-10-07 2013-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지지기구
KR101579924B1 (ko) * 2014-09-23 2015-12-29 대원강업주식회사 현가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20160116708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882334B1 (ko) * 2017-05-29 2018-07-26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7957A (ko) * 2011-10-07 2013-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프링 지지기구
KR101579924B1 (ko) * 2014-09-23 2015-12-29 대원강업주식회사 현가 스프링용 스프링 패드
KR20160116708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882334B1 (ko) * 2017-05-29 2018-07-26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975B1 (ko) 202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2754B1 (en) Lower spring seat mounting structure for vehicle suspension
JP4865637B2 (ja) 筒型防振装置
JP5151770B2 (ja) ロア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及びロアスプリングシート
KR101882334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US10358009B2 (en) Suspension device
US10309477B2 (en) Tubular vibration-damping device having bracket
JP2012240459A (ja) サスペンション構造、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配置方法
JP5912621B2 (ja) 懸架装置およびダストカバーの保持部材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US20180086166A1 (en) Rubber sheet and suspension device
JP5358327B2 (ja) 車両用シート
KR20210047505A (ko) 차량용 현가 장치
KR101927745B1 (ko) 차량용 머플러 행거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JP5965274B2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KR102616542B1 (ko) 차량용 현가 장치
JP3967000B2 (ja) 空気ばね
KR102067890B1 (ko) 차량의 현가 장치용 스트라이커 캡
JP2003021194A (ja) 防振装置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JP2008240987A (ja) 防振装置
KR20100051420A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