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369B1 - 로어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로어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369B1
KR102546369B1 KR1020170000475A KR20170000475A KR102546369B1 KR 102546369 B1 KR102546369 B1 KR 102546369B1 KR 1020170000475 A KR1020170000475 A KR 1020170000475A KR 20170000475 A KR20170000475 A KR 20170000475A KR 102546369 B1 KR102546369 B1 KR 10254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hole
width
lower pad
mount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829A (ko
Inventor
한민희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369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로어암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로어암 어셈블리는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와, 장착홀부를 관통하는 끼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며, 로어패드부는 회전됨에 따라 장착홀부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어암 어셈블리{LOWER ARM ASSEMBLY}
본 발명은 로어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어패드부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로어암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서스펜션(SUSPENSION)은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동차의 바퀴로부터 전달된 노면에서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서스펜션은 크게 프런트 서스펜션(FRONT SUSPENSION)과 리어 서스펜션(REAR SUSPENSION)으로 분류되며, 그 중 리어 서스펜션에는 보통 3 내지 5개의 링크를 사용하여 액슬의 위치를 결정하는 멀티링크 리어 서스펜션이 차종에 따라 적용되기도 한다.
서스펜션은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어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의 경우 스프링과 로워암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 및 스프링의 안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로된 로워 패드를 적용한다.
종래 로어패드가 로어암에 장착 후 이탈을 방지하도록 로어패드의 돌기의 크기를 키워 억지 끼움 방식으로 조립하였는데 사용자가 조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51991호(2016.05.12 공개, 발명의 명칭: 멀티링크 서스펜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로어패드부를 회전시켜 로어암부에 밀착 결합시키고 사용자가 로어패드부를 로어암부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로어암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는: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 및 상기 장착홀부를 관통하는 끼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패드부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장착홀부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패드부는 로어패드본체와; 상기 로어패드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조정부; 및 상기 폭조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폭조정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되는 투입홀부와;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홀부; 및 상기 투입홀부와 상기 걸림홀부를 연결하고 상기 로어패드부의 회전 시 상기 폭조정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연결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연결홀부에서 상기 걸림홀부로 연결되는 구간에 상기 폭조정부가 걸쳐지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폭조정부는, 외측폭이 상기 연결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폭조정부의 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장착홀부는 복수 개가 상기 로어암부 상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폭조정부는 상기 장착홀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로어패드부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는 로어패드부를 회전시켜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에 밀착 결합되어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에 밀착 결합됨으로 인하여 로어암부와 로어패드부 사이로 이물질이 투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로 인하여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에 끼워지고 난 후에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조정부가'U'자 형상을 지니고 그로 인하여 로어패드부가 회전하면서 투입홀부보다 직경이 작은 걸림홀부로 이동하고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걸림홀부에 진입한 폭조정부가 걸림턱부에 걸려 로어패드부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로어암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어패드부가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로어패드부를 로어암부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장착홀부 및 폭조정부가 복수 개로 배치됨으로 인하여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조정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부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폭조정부를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1)는 로어암부(100), 로어패드부(200)를 포함한다.
로어암부(100)에는 장착홀부(110)가 형성되고 후술할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장착홀부(110)를 통과하여 위치 고정 결합된다.
로어패드부(200)는 회전됨에 따라 로어암부(100)의 장착홀부(110) 상에서 위치 고정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본체(210), 끼움부(220)를 포함한다.
로어패드본체(210)의 상측(도 5 기준)에는 스프링(도면 미 도시)이 장착되어 철강 등 금속 재질의 스프링과 로어암부(100)와의 간섭 및 충돌을 방지하여 스프링 및 로어암부(100)의 손상을 방지한다.
로어패드본체(21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고무 재질 혹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끼움부(220)는 장착홀부(110)를 통과하도록 로어패드본체(210)의 외측(도 5 기준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폭조정부(221), 걸림부(225)를 포함한다.
끼움부(220)는 로어패드본체(210)와 같이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고무 재질 혹은 우레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폭조정부(221)는 장착홀부(110)를 관통하는 것으로, 폭조정부(221)의 외측폭은 후술할 연결홀부(115)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다.
폭조정부(221)는 제1조정부(221a), 제2조정부(221b)를 포함하고, 제1조정부(221a)와 제2조정부(221b)는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제1조정부(221a)의 일단부와 이와 대면하는 제2조정부(221b)의 일단부는 결합하여 중간부(222)를 이루며 제1조정부(221a)의 타단부와 이와 대면하는 제2조정부(221b) 타단부는 외측으로 서로 이격된다.
이로 인하여 폭조정부(221)는 'U'자 형상을 이루며 서로 이격되는 폭조정부(221)의 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출부(223)이 형성된다. 걸림돌출부(223)는 끼움부(220)가 연결홀부(115)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 시 형성되는 걸림턱부(114)에 걸쳐진다.
폭조정부(221)의 높이는 장착홀부(110)가 형성되는 로어암부(100)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 장착되고 걸림부(225)가 로어암부(100)에 걸려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225)는 폭조정부(221)의 하단부(도 5 기준)에 결합되며 걸림홀부(113)보다 더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끼움부(220)가 걸림홀부(113) 상에 위치되면 로어패드부(200)는 로어암부(100)에서 상측(도 4 기준)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장착홀부(110)는 로어암부(10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투입홀부(111), 걸림홀부(113), 연결홀부(115)를 포함한다.
투입홀부(111)는 폭조정부(221)가 통과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200)를 회전시킴에 따라 투입홀부(111)를 통과한 폭조정부(221)는 걸림홀부(113)로 이동된다.
장착홀부(110)는 복수 개가 로어암부(100) 상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끼움부(220)는 장착홀부(11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로어패드본체(210)의 하측(도 5 기준)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걸림홀부(113)는 투입홀부(111)보다 폭이 더 작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로어패드부(200)를 회전시켜 폭조정부(221)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고 걸림부(225)가 로어암부(100)에 걸림으로써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홀부(115)는 투입홀부(111)와 걸림홀부(113)를 연결하고 로어패드부(200)의 회전 시 폭조정부(221)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것으로, 투입홀부(111) 및 걸림홀부(113)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연결홀부(115)에서 걸림홀부(113)로 진입하는 구간에서 폭이 확장되고 걸림턱부(114)가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폭조정부(221)가 연결홀부(115)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고 걸림턱부(114)에 걸리게 된다.
이에 더하여 폭조정부(221)가 걸림홀부(113)에서 연결홀부(115) 및 투입홀부(111)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암 어셈블리(1)는 로어패드부(200)의 하측(도 3 기준)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끼움부(220)가 장착홀부(110)를 관통하고 로어패드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끼움부(220)는 투입홀부(111)에서 연결홀부(115)를 거쳐 걸림홀부(113)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로어암 어셈블리(1)에서는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 상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끼움부(220)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끼움부(220)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도록 장착홀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끼움부(220)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장착홀부(110)를 관통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고 로어패드부(200)를 회전시켜 로어패드부(200)를 로어암부(100)에 밀착 결합시키고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끼움부(220)는 투입홀부(111)를 통과하고 사용자에 의해 로어패드부(200)가 회전됨에 따라 폭조정부(221)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게 된다.
끼움부(220)는 폭조정부(221), 걸림부(225)를 포함하며, 폭조정부(221) 및 걸림부(225)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폭조정부(221)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며 연결홀부(115)에서 외측 폭이 감소하여도 폭조정부(221)의 형상이 유동적으로 변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폭조정부(221)는 연결홀부(115)보다 상대적으로 큰 폭을 가지는 걸림홀부(113)에 진입하면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본래 형상으로 복귀한다.
폭조정부(221)는, 제1조정부(221a) 및 제1조정부(221a)와 동일한 형상을 지니며 대칭으로 형성되는 제2조정부(221b)를 포함하며 제1조정부(221a) 및 제2조정부(221b)의 일단부는 중간부(222)를 이루며 연결되고 타단부는 서로 외측으로 이격된다.
걸림돌출부(223)는 폭조정부(221)의 단부에 외측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다시 말해 제1조정부(221a) 및 제2조정부(221b)의 중간부가 형성되는 일단부를 마주보는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며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U'자 형상의 폭조정부(221)의 걸림돌출부(223)이 걸림턱부(114)에 걸리게 되며 폭조정부(221)가 걸림홀부(113)에서 투입홀부(111)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부(225)는 폭조정부(221)의 하단부(도 5 기준)와 연결되며 걸림홀부(1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로어패드부(200)를 로어암부(100) 상에서 회전시켜 폭조정부(221)가 투입홀부(111)에서 걸림홀부(113)로 이동하면 걸림부(225)가 로어암부(100)의 하측(도 3 기준)에 걸쳐짐으로 인해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의 상측(도 3 기준)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더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 밀착 결합되어 로어패드부(200) 및 로어암부(100) 사이로 이물질이 투입되며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으로 인해 로어패드부(20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장착홀부(110)가 복수 개로 로어암부(100) 상에 동심원을 이루며 배치되고, 끼움부(220)가 장착홀부(110)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로어패드부(200)에서 돌출됨으로 인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 상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 밀착 결합되기 위해 필요한 힘이 균등하게 분산되고 사용자는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로어패드부(200)를 로어암부(100)에 조립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로어암 어셈블리 100: 로어암부
110: 장착홀부 111: 투입홀부
113: 걸림홀부 114: 걸림턱부
115: 연결홀부 200: 로어패드부
210: 로어패드본체 220: 끼움부
221: 폭조정부 221a: 제1조정부
221b: 제2조정부 222: 중간부
223: 걸림돌출부 225: 걸림부

Claims (6)

  1. 장착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 및
    상기 장착홀부를 관통하는 끼움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어패드부는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장착홀부 상에서 위치 고정되고,
    상기 로어패드부는 로어패드본체와; 상기 로어패드본체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폭조정부; 및 상기 폭조정부에 결합되고 상기 폭조정부보다 큰 폭을 가지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끼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걸림부가 통과되는 투입홀부와; 상기 걸림부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걸림홀부; 및 상기 투입홀부와 상기 걸림홀부를 연결하고 상기 로어패드부의 회전 시 상기 폭조정부의 이동경로를 이루는 연결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부는 상기 연결홀부에서 상기 걸림홀부로 연결되는 구간에 상기 폭조정부가 걸쳐지도록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폭조정부는, 외측폭이 상기 연결홀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폭조정부의 단부에는 각각 외측으로 확장되는 걸림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출부는 상기 걸림턱부에 걸쳐지고,
    상기 걸림돌출부가 상기 걸림턱부에 걸쳐짐에 따라, 상기 로어암부에 대한 상기 로어패드부의 회전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어암 어셈블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조정부는,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어암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부는 복수 개가 상기 로어암부 상에 동심원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상기 폭조정부는 상기 장착홀부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동심원을 이루며 상기 로어패드부에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어암 어셈블리.
KR1020170000475A 2017-01-02 2017-01-02 로어암 어셈블리 KR10254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5A KR102546369B1 (ko) 2017-01-02 2017-01-02 로어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475A KR102546369B1 (ko) 2017-01-02 2017-01-02 로어암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29A KR20180079829A (ko) 2018-07-11
KR102546369B1 true KR102546369B1 (ko) 2023-06-22

Family

ID=62917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475A KR102546369B1 (ko) 2017-01-02 2017-01-02 로어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3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6283A (ko) * 2020-05-07 2021-11-1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732A (ja)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88B1 (ko) * 2011-08-09 2013-07-17 덕양산업 주식회사 패스너 이탈방지 구조를 갖는 도어 트림 어셈블리
KR20140014720A (ko) * 2012-07-25 2014-02-0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2300647B1 (ko) * 2014-10-30 2021-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링크 서스펜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28732A (ja) 2009-03-30 2010-10-14 Suzuki Motor Corp スプリングシート及びスプリングシートの取り付け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829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647B1 (ko) 멀티링크 서스펜션
KR102546369B1 (ko) 로어암 어셈블리
KR102464486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0614207B1 (ko) 자동차용 스테이빌라이저 링크
KR102523756B1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2394736B1 (ko) 차량용 부시장치
KR100953318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102544065B1 (ko) 차량용 부시 장치
KR102514342B1 (ko) 쇽업소버 지지 포크 장치
KR102418628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20140014720A (ko) 서브프레임용 부시
KR102235838B1 (ko) 자동차용 토션빔 스프링 설치구조
KR20090049479A (ko) 스태빌라이저 바의 부시
KR100501375B1 (ko) 더블 위시본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팅구조
KR101923030B1 (ko) 내경에 금속부쉬가 적용된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용 강화 부쉬
KR102249619B1 (ko) 서스펜션 암 프로텍터 고정용 캡 및 이를 구비한 서스펜션
KR20070111045A (ko) 새클 조립체를 이용한 차량의 리프 스프링 서스펜션 튜닝구조
KR100506651B1 (ko) 듀얼링크 타입 현가장치
KR100316930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장착구조
KR20230000194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1624506B1 (ko) 캠버각 조절식 리어 액슬
KR20230105837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프링 이탈 방지 장치
KR100192285B1 (ko) 서스펜션 암의 마운팅 부쉬
KR20090052041A (ko) 차량용 토션빔 액슬의 트레일링암 부시
KR20060068958A (ko) 리어 현가장치의 라디우스 로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