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6283A - 차량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6283A
KR20210136283A KR1020200054305A KR20200054305A KR20210136283A KR 20210136283 A KR20210136283 A KR 20210136283A KR 1020200054305 A KR1020200054305 A KR 1020200054305A KR 20200054305 A KR20200054305 A KR 20200054305A KR 20210136283 A KR20210136283 A KR 202101362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pad
unit
fastening h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4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6283A/ko
Priority to US17/313,315 priority patent/US11548338B2/en
Publication of KR20210136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62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60G2204/1244Mounting of coil springs on a suspension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forming a U-shaped recess for fitting a bu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 및 로어암부에 장착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고, 로어패드부는, 로어암부에 접하고, 충격을 완충하는 패드몸체부; 및 패드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체결홀부와 삽입돌기부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어암(lower arm)과 로어패드(lower pad)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Suspension)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자동차의 바퀴로부터 전달된 노면에서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안정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륜을 차체에 연결하면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로어암(Lower Arm)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특히, 멀티링크 타입의 후륜 현가장치의 경우 스프링과 로어암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진동 흡수 및 스프링의 안착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무로 된 로어패드(Lower Pad)를 적용한다.
후륜 로어패드는 후륜 현가장치에서 스프링 상하의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한다. 후륜 로어암은 크로스 멤버와 연결되고 스프링을 통하여 차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후륜 로어패드에는 후륜 로어암에 장착되는 복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이 고정돌기는 로어패드의 위치를 설정하고 유동을 방지한다.
종래 기술에서 후륜 로어암과 후륜 로어패드의 조립은 로어암의 조립홀에 로어패드가 안착되고, 로어패드의 제1돌기와 제2돌기를 조립홀에서 잡아당김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조립 작업 시간 및 공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조립 후 로러암과 로어패드에서 제1돌기와 제2돌기의 두 부위에서만 조립이 이루어져 로어패드의 이탈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67356호(2018.06.20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현가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로어암과 로어패드의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 및 상기 로어암부에 장착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로어암부에 접하고, 충격을 완충하는 패드몸체부; 및 상기 패드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동일한 각형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암부는, 상기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몸체부; 및 상기 로어암몸체부에서 상기 패드몸체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로어패드부에 삽입되는 로어암버링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로어암버링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용부와 직교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각진 형상의 로어패드부의 삽입돌기부가 각진 형상의 로어암부의 체결홀부에 삽입되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공수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암부의 로어암버링부가 로어패드부의 수용부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가 로어암부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어패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1의 A-A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는 로어암부(100)와 로어패드부(200)를 포함한다.
로어암부(100)는 차량 주행 시 노면 충격과 조향 기구 작용에 따른 높낮이, 각도 변화 및 진동을 흡수한다. 로어암부(100)에는 체결홀부(111)와 관통홀부(113)가 관통 형성된다. 체결홀부(111)에 로어패드부(200)의 삽입돌기부(220)가 삽입 체결된다. 본 발명에서 체결홀부(111)는 관통된 홀(hole) 형상 뿐만 아니라 홈(groov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부(113)는 로어암부(100)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되고, 관통홀부(113)에서 로어암버링부(120)가 기립되어 로어패드부(200)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로어패드부(200)는 로어암부(100)에 장착된다. 로어패드부(200)의 상부에는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로어패드부(200)는 차량의 바퀴로부터 전달된 노면에서의 진동 또는 충격이 차체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차량의 승차감을 안정적으로 제공한다. 로어패드부(200)는 패드몸체부(210)와 삽입돌기부(220)를 포함한다.
패드몸체부(210)는 로어암부(100)에 접하고, 충격을 완충한다. 패드몸체부(2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관통홀부(113)에 대응되는 관통홀이 관통 형성된다.
삽입돌기부(220)는 패드몸체부(210)의 일면(도 3 기준 하측면)에 돌출 형성되고, 체결홀부(111)에 삽입된다. 삽입돌기부(220)는 체결홀부(111)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서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삽입돌기부(220)의 단부(도 2 참조)는 체결홀부(111)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체결홀부(111) 측 삽입방향을 향할수록 좁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로어암부(100)의 체결홀부(111)와 로어패드부(200)의 삽입돌기부(220)는 각각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는 각각 동일한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도면에서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는 각각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삼각, 오각, 육각 등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가 각각 동일한 각형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삽입돌기부(220)와 체결홀부(111)의 결합에 의해서도 로어패드부(200)의 위치 설정이 가능하고,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된다.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는 각각 한 쌍으로 이루며 각각 로어암부(100)와 로어패드부(200)에 하나씩 형성되고 체결되어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으로, 복수개의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가 형성되어 체결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체결홀부(111)와 삽입돌기부(220)는 대칭이 되게 로어암부(100)와 로어패드부(200)에 배치된다.
로어암부(100)는 로어암몸체부(110)와 로어암버링부(120)를 포함한다. 로어암몸체부(110)는 로어패드부(200)의 패드몸체부(210)가 장착되는 것으로, 일면(도 3 기준 우측)에 체결홀부(111)가 형성된다. 로어암몸체부(110)의 체결홀부(111)는 로어패드부(200)의 삽입돌기부(220)가 삽입되는 것으로, 삽입돌기부(220)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체결홀부(111)는 삽입돌기부(220)와 동일한 각형으로 형성된다.
로어암버링부(120)는 로어암몸체부(110)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된 관통홀부(113)에서 로어패드부(200) 측(도 3 기준 상측)을 향해 말려 올라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로어암버링부(120)는 로어암몸체부(110)에서 패드몸체부(210) 측으로 연장 형성된다. 로어암버링부(120)는 로어패드부(200)에 삽입되어, 로어암부(100)과 로어패드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고, 로어패드부(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어패드부(200)는 로어암버링부(120)가 삽입되는 수용부(230)를 더 포함한다. 수용부(230)는 패드몸체부(210)에서 로어암버링부(120) 측에 대향되고 오목하게 형성된다. 수용부(230)는 로어암버링부(120)의 형상에 대응되고, 패드몸체부(210)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로어패드부(200)의 수용부(230)에 로어암버링부(120)가 삽입되어, 로어암부(100)과 로어패드부(20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 로어암부(100)와 로어패드부(200)가 더욱 견고하게 체결되고, 로어패드부(2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로어패드부(200)는 보강부(240)를 더 포함한다. 보강부(240)는 패드몸체부(210)에서 수용부(2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도 7 기준 내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보강부(240)는 패드몸체부(210)에 형성되어, 수용부(230)가 형성된 로어패드부(200)에 강성을 제공하여 형상 변형 발생을 방지한다.
보강부(240)는 수용부(230)와 직교되게 형성된다. 즉 도 7 기준으로 수용부(230)는 패드몸체부(210)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보강부(240)는 패드몸체부(210)에 수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보강부(240)는 수용부(230)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수용부(230)에 로어암버링부(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 수평 방향으로 로어패드부(200)가 변형되는 것을 보완 및 보강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 과정을 살펴본다, 하측에 로어암부(100)가 배치되고, 로어암부(100)의 상측에 로어패드부(200)가 배치된다. 로어패드부(200)의 삽입돌기부(220)는 로어암부(100)의 체결홀부(111)에 대향되게 배치된다.
로어암부(100)의 로어암버링부(120)에 로어패드부(200)의 수용부(230)가 삽입되고, 삽입돌기부(220)가 체결홀부(111)에 삽입된다. 로어패드부(200)를 로어암부(100) 측 하방으로 눌러서 조립한다.
삽입돌기부(220)와 체결홀부(111)는 동일한 각형으로 형성되어,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 회전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각진 형상으로 이루어진 삽입돌기부(220)와 체결홀부(111)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져, 제품의 조립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현가장치에 의하면, 각진 형상의 로어패드부(200)의 삽입돌기부(220)가 각진 형상의 로어암부(100)의 체결홀부(111)에 삽입되어,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므로, 작업 공수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로어암부(100)의 로어암버링부(120)가 로어패드부(200)의 수용부(230)에 삽입되어, 로어패드부(200)가 로어암부(100)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로어암부 110: 로어암몸체부
111: 체결홀부 113: 관통홀부
120: 로어암버링부 200: 로어패드부
210: 패드몸체부 220: 삽입돌기부
230: 수용부 240: 보강부

Claims (7)

  1.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부; 및
    상기 로어암부에 장착되는 로어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로어암부에 접하고, 충격을 완충하는 패드몸체부; 및
    상기 패드몸체부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체결홀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동일한 각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부와 상기 삽입돌기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암부는,
    상기 체결홀부가 형성되는 로어암몸체부; 및
    상기 로어암몸체부에서 상기 패드몸체부 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로어패드부에 삽입되는 로어암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로어암버링부가 삽입되는 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패드부는,
    상기 패드몸체부에서 상기 수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수용부와 직교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현가장치.
KR1020200054305A 2020-05-07 2020-05-07 차량용 현가장치 KR2021013628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05A KR20210136283A (ko) 2020-05-07 2020-05-07 차량용 현가장치
US17/313,315 US11548338B2 (en) 2020-05-07 2021-05-06 Suspension apparat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4305A KR20210136283A (ko) 2020-05-07 2020-05-07 차량용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6283A true KR20210136283A (ko) 2021-11-17

Family

ID=7841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4305A KR20210136283A (ko) 2020-05-07 2020-05-07 차량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548338B2 (ko)
KR (1) KR20210136283A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7711B1 (ko) * 2003-06-03 2005-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로워암 구조
DE102005011408B4 (de) * 2005-03-11 2011-05-05 Trelleborg Automotive Germany Gmbh Federauflage für eine Spiralfeder
JP2008024158A (ja) * 2006-07-21 2008-02-07 Mitsubishi Motors Corp コイルスプリングの位置決め構造
US7976039B2 (en) * 2009-08-21 2011-07-1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Upper support apparatus for a vehicle suspension
KR20110071564A (ko) * 2009-12-21 2011-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서스펜션의 스프링패드
KR102300647B1 (ko) * 2014-10-30 2021-09-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멀티링크 서스펜션
DE102015221126A1 (de) * 2015-10-29 2017-05-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ederanordnung für ein Kraftfahrzeug
KR102464486B1 (ko) * 2015-12-29 2022-11-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02523756B1 (ko) 2016-12-12 2023-04-2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
KR102546369B1 (ko) * 2017-01-02 2023-06-2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로어암 어셈블리
KR101887390B1 (ko) * 2017-03-23 2018-08-10 주식회사 디엠씨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CN113525002A (zh) * 2021-07-30 2021-10-22 岚图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兼容性的弹簧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48338B2 (en) 2023-01-10
US20210347220A1 (en) 2021-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1397A (en) Stabilizing device for a suspension of an automotive vehicle
US20050099060A1 (en) Torsion beam axle suspension
EP1120299A1 (en) Mounting structure for suspension V-Rod
KR20210136283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00853921B1 (ko) 차량용 커플드 토션빔 액슬 장치
JP2000177346A (ja) リーフサスペンション
KR200493790Y1 (ko) 업소버 고정용 마운트를 그대로 활용하는 suv차량용 쇼크 업소버 결합 장치
JPH0885318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マウンティング構造
KR100259517B1 (ko) 자동차의 전방현가장치의 취부부조
KR20010065889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KR0139695Y1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200269001Y1 (ko) 차량용 리어 트레일링 암의 부싱부 장착구조
KR100388201B1 (ko) 전방 현가장치의 고정구조
KR20100056886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19990033837A (ko) 하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KR19980054341U (ko) 리어서스펜션의 래터럴 로드 장착구조
JPS6121803A (ja) 車両用懸架装置
KR20020042937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19980021950U (ko) 자동차의 쿼터패널 보강구조
KR20060067326A (ko) 스태빌라이저부쉬의 횡방향밀림방지용클램프
KR19980044971U (ko)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KR20020044519A (ko) 현가 장치의 로어 아암
KR20040009294A (ko) 차체프레임을 이용한 전륜 현가장치
KR20020044935A (ko) 차량용 로어암 체결구조
KR19980028529U (ko)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