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4839B1 -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4839B1
KR102064839B1 KR1020180100145A KR20180100145A KR102064839B1 KR 102064839 B1 KR102064839 B1 KR 102064839B1 KR 1020180100145 A KR1020180100145 A KR 1020180100145A KR 20180100145 A KR20180100145 A KR 20180100145A KR 102064839 B1 KR102064839 B1 KR 1020648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pring
sheet
spring sea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술
장병구
최무근
박두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씨
Priority to KR1020180100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48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4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48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는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100)의 외형은 원형이고,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200)는 양 말단이 분리된 원호 형상이되, 상기 패드(200)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의 상부측 일부분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고정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된다.

Description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Spring seat assembly for a vehicle suspension system with enhanced function of preventing the entry of foreign matter}
본 발명은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완화하여 차체에 전달하도록 하여 승차감의 향상은 물로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자동차 현가장치는 쇽업소버(Shock absorber) 실린더에 상, 하부 스프링 시트가 각각 상호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상,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스프링이 설치되며,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사이,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시트 사이에 각각 스프링 패드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패드는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스프링과 상부 스프링 시트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고 스프링과 하부 스프링 시트 및 상부 스프링 시트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패드는 스프링의 인장과 압축에 의해서 지속적인 하중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외부 이물질이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사이에 유입되거나 스프링 패드와 스프링 시트사이에 유입되면, 이물질에 의한 마모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마모에 의해서 스프링 시트 및 스프링 패드가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프링 시트와 패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100)의 외형은 원형이고,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200)는 양 말단이 분리된 원호 형상이되, 상기 패드(200)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의 상부측 일부분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고정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 부분의 끝단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스토퍼(220)와, 상기 패드(200)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0.63권부 내지 0.65권부까지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230)과, 상기 패드(200)의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면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패드(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222)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222)은 패드(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어져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과 상기 안착홈(230)이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24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패드(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압착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압착홈(250)은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좁으면서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패드(200) 내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내측 덮개부(2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덮개부(260)는 상기 시트(100)와 결합력을 높여 들뜸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면서 시트(100)의 관통홀(101) 쪽으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안착홈(230)에 유입된 이물질 배출을 위해 상기 패드(200)의 외측에서 원주방향으로 오목하게 내입되어 상기 안착홈(230)과 연통되는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는 소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드(200)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 간의 들뜸을 억제시켜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플랜지부(28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0)는 차량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100)의 외경보다 크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0)는 상기 패드(200)의 0.33권부 내지 0.35권부에서 상기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0)는 상기 제2 배출부(270b)의 패드(200)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날개부(281)와,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2날개부(282)와, 상기 제1 날개부(281)와 제2 날개부(282)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턱부(28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하부측으로 돌출된 이물질 차단부(29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100)에는 상기 패드(200)에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29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가 삽입되는 결합홈(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는 상기 결합홈(10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시트(100)의 바닥면보다 하부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시트와 패드의 형상을 개선하여 패드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패드와 시트 간의 들뜸을 억제시켜 상기 시트와 패드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도 2의 "A-A"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첨부된 도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시트와 스프링 패드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도 2의 "A-A"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B"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패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현가장치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노면에서 받는 충격을 완화하는 스프링(미도시)과, 스프링의 자유 진동을 억제하는 쇽업소버를 포함한다.
쇽업소버는, 실린더와, 이 실린더에 일측이 삽입되는 피스톤 로드와, 실린더의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설치되어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피스톤 밸브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쇽업소버는 통상 피스톤 로드의 상단이 차체측에 고정되고 실린더 하단이 차륜측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피스톤 로드의 상단에는 상부 마운트가 구비되고, 쇽업소버의 하단에는 차축과 연결될 수 있도록 너클 브래킷이 구비된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베어링이 설치되는 상부 마운트에 설치된 상부 스프링 시트와, 쇽업소버의 실린더 외측에 고정된 하부 스프링 시트에 의해 양단부가 지지된다.
스프링은 쇽업소버와 더불어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키는 것으로, 외부로부터의 힘이 가해져 쇽업소버가 압출될 때 스프링은 함께 암축되고, 압축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시트(100)는 쇽업소버의 실린더(미도시)가 끼워져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는 개구부가 중압부분 혹은 중심에서 일측에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100)의 상부표면에는 스프링과의 사이에 개재될 수 있도록 스프링 패드(2000)가 장착된다.
상기 패드(200)는 탄성력을 갖는 고무(rubber) 또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thermoplastic elastomer)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트(100)의 외형은 원형이고,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홀(10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드(200)는 양 말단이 분리된 원호 형상으로 일측 말단부(200a)와 타측 말단부(20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의 상부측 일부분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고정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스프링과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시트(100)와 패드(200)의 형상을 개선하여, 스프링의 전 작동 구간에서 스프링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패드(200)의 길이방향 전 구간의 표면과 이에 안착되는 스프링의 하단부 사이가 이격됨 없이 상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 부분의 끝단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스토퍼(220)와, 상기 패드(200)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0.63권부 내지 0.65권부까지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230)과, 상기 패드(200)의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면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다.
즉, 상기 패드(200)는 스프링의 말단부(하단부의 맨 끝 부분) 끝단면을 시작점으로 하여 360˚ 만큼 1회 회전된 스프링 맨 하단의 1권(1turn) 부분 중에서 실제 패드에 안착 및 접촉된 상태로 시트(100)에 지지되는 일부구간은 0에서 0.63권부 내지 0.65권부(226.8˚ 내지 234˚)에 해당된다.
또한, 상기 안착홈(230)은 0에서 0.63권부 내지 0.65권부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패드(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222)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목홈(222)은 패드(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어져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과 상기 안착홈(230)이 단절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241)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시트(10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에 스프링의 압축하중이 가해질 때, 상기 스토퍼(220)에 의해 스프링의 끝단면이 지지되면서 상기 패드(200)에는 일측 종단부(200a) 측으로 모멘트(회전력)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 모멘트(회전력)에 의해서 밀림방지용 결합부(240)와 이와 대응되는 시트(100)의 결합부위(103)는 접촉되며 전단하중이 발생한다.
따라서 스프링의 압축 하중에 의해 밀림방지용 결합부(240)와 이와 대응되는 시트(100)의 결합부위(103)는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마모에 의해서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는 손상되어 사용 수명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240)에 전단하중이 가해져 패드(100)가 변형되거나 찢어져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패드(200)의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면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240)를 형성함으로써 스프링의 압축 하중에 의한 패드(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패드(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의 압착홈(250)이 형성되어 탄성이 부여됨으로써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압착홈(250)은 원주방향으로의 폭이 좁으면서 반경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패드(200) 내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내측 덮개부(26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내측 덮개부(260)는 상기 시트(100)와 결합력을 높여 들뜸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면서 시트(100)의 관통홀(101) 쪽으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내측 덮개부(260)는 상기 시트(100)의 관통홀(101) 측으로 하향 경사져 시트(100)의 관통홀(101) 상단부측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덮개부(260)는 시트(100)와 결합력을 높여 들뜸을 방지하도록 오목하게 형성한 유선형으로 형성되고, 개구부 측으로 유입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150)는 패드(200) 내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돌출되어 패드(200)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시트(100)와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들뜸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200) 외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안착홈(230)에 유입된 이물질 배출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내입되어 상기 안착홈(230)과 연통되는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홈(230)을 기준으로 상기 패드(200)의 외측 상면에는 스프링의 외측을 지지하도록 상부로 돌출된 스프링 지부가 다수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지지부는 상기 패드(200)의 전체구간에 걸쳐서 형성되거나 일부 구간에 걸쳐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부 사이에는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지지부의 상면과 상기 배출부(170a,170b))의 패드(200) 상면은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위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드(200)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 간의 들뜸을 억제시켜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플랜지부(28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부(280)는 상기 제2 배출부(270b)의 패드(200)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날개부(281)와,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2날개부(282)와, 상기 제1 날개부(281)와 제2 날개부(282)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턱부(28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 날개부(281,282)는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0)는 상기 패드(200)의 0.33권부 내지 0.35권부에서 상기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280)는 차량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차단하기 위해서 상기 시트(100)의 외경보다 크도록 돌출 형성된다.
즉, 차량의 운행 중에는 지면에 있는 모래나 자갈 등이 노면에서 패드(200)의 상면부로 튀어 올라와 패드(200)와 스프링 사이 및 패드(200)와 시트(100)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된다.
따라서 패드(200)의 외경을 시트(100)의 외경보다 크게 하는 플랜지부(280)를 형성하여 지면에서 튀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패드(200)의 상면으로 튀어 올라오지 못하게 차단함으로써 이물질 유입을 원천봉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하부측으로 돌출된 이물질 차단부(29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100)에는 상기 패드(200)에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29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가 삽입되는 결합홈(10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는 상기 결합홈(101)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시트(100)의 바닥면보다 하부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간의 들뜸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 시트(100)와 패드(200)의 형상을 개선하여 패드(200)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 간의 들뜸을 억제시켜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차량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튀어 올라오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스프링 시트 200 : 스프링 패드
210 : 고정 돌기 220 : 스토퍼
230 : 안착홈 240 : 밀림방지용 결합부
250 : 압착홈 260 : 내측 덮개부
270a : 제1배출부 270b:제2배출부
280 : 플랜지부 290 : 이물질 차단부

Claims (10)

  1. 스프링 시트와, 상기 스프링 시트의 상면에 설치되어 코일 스프링의 하단부와 스프링 시트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 패드를 포함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시트(100)의 외형은 원형이고, 중심부에 관통된 관통홀(10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200)는 양 말단이 분리된 원호 형상이되,
    상기 패드(200)는 상기 스프링이 안착되는 부분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의 상부측 일부분을 덮도록 결합되고,
    상기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고정 돌기(210)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를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며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스프링의 끝단 부분의 끝단면과 맞닿도록 돌출된 스토퍼(220)와,
    상기 패드(200)의 상면에는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230)이 구비되고,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패드(200)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 간의 들뜸을 억제시켜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플랜지부(280)가 형성되되
    상기 플랜지부(280)는,
    상기 제2 배출부(270b)의 패드(200)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1날개부(281)와,
    상기 패드(200)의 외측 둘레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 연장된 제2날개부(282)와,
    상기 제1 날개부(281)와 제2 날개부(282) 사이를 일체로 연결하는 단턱부(28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패드(200)의 0.63권부 내지 0.65권부에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하향 경사지면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 집중되는 응력으로 인한 상기 패드(2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에는 소정 폭을 갖는 오목홈(222)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오목홈(222)은 패드(20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어져 상기 스토퍼(220)의 앞면(221) 하단과 상기 안착홈(230)이 단절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림방지용 결합부(240)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다수의 돌기가 돌출된 엠보부(241)가 형성되어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시트(100)의 도장 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0)에는,
    상기 패드(200)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패드(200) 내측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 연장된 내측 덮개부(260)가 형성되되, 상기 내측 덮개부(260)는,
    상기 시트(100)와 결합력을 높여 들뜸을 방지하도록 상기 시트(10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면서 시트(100)의 관통홀(101) 쪽으로 이물질이 흘러내리도록 하향경사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200) 외측에는,
    소정거리 이격되고, 상기 안착홈(230)에 유입된 이물질 배출을 위해 원주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내입되어 상기 안착홈(230)과 연통되는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7. 삭제
  8. 삭제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가 형성된 패드(200)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 및 제2 배출부(270a,270b)의 원주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하부측으로 돌출된 이물질 차단부(290)가 형성되되,
    상기 시트(100)에는 상기 패드(200)에 형성된 이물질 차단부(29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가 삽입되는 결합홈(10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차단부(290)는 상기 결합홈(102)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시트(100)의 바닥면보다 하부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패드(200)와 시트(100)간의 들뜸을 차단하여 상기 시트(100)와 패드(200) 사이의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현가장용 스프링 패드.
KR1020180100145A 2018-08-27 2018-08-27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2064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45A KR102064839B1 (ko) 2018-08-27 2018-08-27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145A KR102064839B1 (ko) 2018-08-27 2018-08-27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4839B1 true KR102064839B1 (ko) 2020-03-02

Family

ID=6980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145A KR102064839B1 (ko) 2018-08-27 2018-08-27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48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64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대세에스피알 스프링 시트 조립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49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1490736B1 (ko) * 2013-10-29 2015-02-06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용 이물질 방지 스프링 패드
KR20160116708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882334B1 (ko) * 2017-05-29 2018-07-26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5492A (ko) * 2012-06-01 2013-12-1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1490736B1 (ko) * 2013-10-29 2015-02-06 대원강업주식회사 자동차 현가장치용 이물질 방지 스프링 패드
KR20160116708A (ko) * 2015-03-31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882334B1 (ko) * 2017-05-29 2018-07-26 주식회사 디엠씨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264A (ko) 2021-04-14 2022-10-21 주식회사 대세에스피알 스프링 시트 조립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334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자동차 현가장치용 스프링 패드
CN108016228B (zh) 弹簧座橡胶
US5009401A (en) Air spring suspension system with dual path isolation
US20060043659A1 (e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KR101887390B1 (ko) 강재가 삽입된 스프링 패드
KR20130135492A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1635809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코일스프링 패드
EP0787090B1 (en) Arrangement for resilient suspension of a cab with respect to a vehicle frame
KR10186000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코일스프링 보호용 튜브 일체형 상부 패드
US11110768B2 (en) Damper mount
JP5060994B2 (ja) アッパーサポート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101357655B1 (ko) 차량용 현가장치 및 상기 차량용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하부 스프링 시트
JP3852292B2 (ja) 自動車用の防振ブッシュ構造
JP2014074481A (ja) 車体側パネルへのストラットロッドの取付構造
KR20090062245A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범프스토퍼
KR20060018067A (ko) 에어 서스펜션
JP2003021194A (ja) 防振装置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00522512B1 (ko)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장치
KR19980045482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KR20030083111A (ko) 차량의 현가장치
RU2331527C2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RU2331528C2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с подшипником скольжения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