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0622Y1 -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0622Y1
KR0130622Y1 KR2019950039977U KR19950039977U KR0130622Y1 KR 0130622 Y1 KR0130622 Y1 KR 0130622Y1 KR 2019950039977 U KR2019950039977 U KR 2019950039977U KR 19950039977 U KR19950039977 U KR 19950039977U KR 0130622 Y1 KR0130622 Y1 KR 01306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shock absorber
strut
insulator ring
spring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917U (ko
Inventor
박창욱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9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0622Y1/ko
Publication of KR9700429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9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06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062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더스트커버(2)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환형요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쇽업소버축(13)이 개재된 스트러트(12)가 설치된 결합공(1)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4)의 외주연부에 코일스프링(11)의 하단이 결합되는 걸림부(5)가 일체로 형성된 절연체링(6)로 구성되어 상기 차량의 주행중에 쇽업소버축(13) 외경에 부착되는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차단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제1도는 종래의 더스트 커버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더스트커버 고정용 절연체 링의 사시도.
제3도는 제 2도의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결합공 2 : 더스트커버
3 : 환형요홈 4 : 고정부
5 : 걸림부 6 : 절연체링
본 고안은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체링의 고정부 외경 상부에 환형요홈을 형성하여 더스트 커버의 하단을 고정시켜 쇽업소버 안장압축시 쇽업소버축 외경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쇽업소버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업소버(shockabsorber)는, 자동차가 주행할때 스프링이 받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을 빠르게 감쇠시켜 승차감을 좋게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쇽업소버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면 제1도는 종래의 더스트커버 고정용 절연체링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스트러트부쉬(B)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 어퍼(C)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C)의 저부에 설치되고 더스트커버(A)가 설치된 할로우범퍼(D)와, 상기 더스트커버(A)의 걸림부(E)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C)의 양단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F)과 하부 스트러트부쉬에 설치되고, 상기 절연체링(J)의 결합공(I)에 삽입되는 스트러트(G)와 상기 스트러트(G)내에 개재되고 상부 스트러트부쉬(B) 내경에 설치되는 쇽업소버축(H)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바퀴에 전달되어 하부 스트러트부쉬에 전달되고 상기 하부서스펜션암에 설치되고 스트러트(G)내에 개재된 쇽업소버축(H)에 전달되면 상기 쇽업소버축(H)은 오일의 일정압력으로 상기 스트러트(G) 내경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되며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C) 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쇽업소버축(H)이 결합된 할로우범퍼(D)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자체의 특성으로 절첩되고, 상기 할로우 범퍼(D) 하단에 고정된 더스트커버(A)가 일정하게 상승 및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연체링(J)은 상기 스트러트(G)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승 및 하강 동작을 하지 않게 되어 상기 더스트커버(A)와 절연체링(J)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부가 발생되어 이 공간부를 통하여 차량의 주행중에 노면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각종 이물질 등이 상기 쇽업소버축(H)의 외경에 달라붙게 되므로써 쇽업소버의 기능인 충격에 대한 완충작용을 원할하게 하지 못하게 되어 승차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코일스프링 하단에 절연의 목적으로 장착되는 절연체링과 더스트 커버의 하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더스트 커버의 하단부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음으로써, 쇽업소버 인장압축시 쇽업소버축 외경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 스트러트부쉬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 어퍼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의 저부에 설치되고 더스트커버가 설치된 할로우범퍼와, 상기 더스트커버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과, 이 코일스프링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된 절연체링에 삽입되는 스트러트와, 상기 할로우범퍼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더스트커버와, 상기 스트러트의 외경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단외주면에 환형요홈이 형성된 고정부와, 이 고정부의 내경에 삽입되는 스트러트 내에 개재되고 상부 스트러트부쉬 내경에 상단이 설치되는 쇽업소버축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걸림부가 형성된 절연체링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환형요홈에는 상기 더스트커버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부 스트러트부쉬(7)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 어퍼(8)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의 저부에 설치되고 더스트커버(2)가 설치된 할로우범퍼(10)와, 상기 더스트커버(2)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1)과, 이 코일스프링(11)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걸림부(5)가 형성된 절연체링(6)에 삽입되는 스트러트(12)와, 상기 할로우범퍼(10)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더스트커버(2)와, 상기 스트러트(12)가 결합되고, 상단 외주면에 환형요홈(3)이 형성된 고정부(4)와, 이 고정부(4)의 내경에 삽입되는 스트러트(12) 내에 개재되고 상부 스트러트부쉬(7) 내경에 상단이 설치되는 쇽업소버축(13)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와 상기 걸림부(5)가 형성된 절연체링(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의 환형요홈(3)에는 상기 더스트커버(2)의 하단부가 고정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종래 고안과 동일구조는 동일부호를 사용하여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도면 제 3도에서와 같이 차량의 주행시에 노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이 바퀴에 전달되어 하부 스트러트부쉬에 전달하고 상기 하부서스펜션암(미도시)에 설치되고 스트러트(12) 내에 개재된 쇽업소버축(13)에 전달되면 상기 쇽업소버축(13)은 오일의 일정압력으로 상기 스트러트(12) 내경을 따라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 저부에 고정되고 상기 쇽업쇼버축(13)이 결합된 할로우범퍼(10)가 상승 및 하강하면서 자체의 특성으로 일정하게 절첩되고, 상기 할로우범퍼(10)하단에 상단부가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절연체링(6)과 일체로 형성된 고정부(4)에 형성된 환형요홈(3) 내에 하단부가 고정된 더스트커버(2)와 상기 스트러트(12)가 고정부(4)의 결합공(1)이 삽입되고 상기 더스트커버(2) 하단부가 고정된 상기 고정부(4)와 절연체링(6)이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게 되어 더스트커버(2)가 상기 쇽업소버축(13)을 완전히 감싸고 밀봉하여 주행중에 노면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각종 이물질을 차단함으로써 쇽업쇼버의 기능인 완충작용을 원할하게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것이며, 상기 쇽업쇼버축(13)의 상승 및 하강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의 저부와 상기 절연체링(6)의 걸림부(5)에 밀착되게 설치된 코일스프링(11)이 상승 및 하강되어 완충작용을 해주는 것이다.
즉, 상기 고정부(4)와 절연체링(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의 결합공(1)에 스트러트(12)가 삽입되며, 절연체링(6)의 걸림부(5)에 코일스프링(11)의 하단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4)의 환형요홈(3)에 더스트커버(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쇽업소버축(13)의 외경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은 걸림부(5)가 형성된 절연체링(6)과 환형요홈(5)이 형성된 고정부(4)가 일체로 형성된 상기 환형요홈(3)에 더스트커버(2)의 하단부를 고정함으로써, 쇽업소버축(13)에 먼지나 각종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차단되어 쇽업소버의 인장 압축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상부 스트러트부쉬(7)에 설치되는 스프링 시트 어퍼(8)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의 저부에 설치되고 더스트커버(2)가 설치된 할로우범퍼(10)와, 상기 더스트커버(2)와 상기 스프링 시트 어퍼(8)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11)과, 이 코일스프링(11)의 하단부가 안착되도록 걸림부(5)가 형성된 절연체링(6)에 삽입되는 스트러트(12)와, 상기 할로우범퍼(10)의 하단에 상단부가 결합되는 더스트커버(2)와, 상기 스트러트(12)의 외경이 삽입되도록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에 환형요홈(3)이 형성된 고정부(4)와, 이 고정부(4)의 내경에 삽입되는 스트러트(12) 내에 개재되고 상부 스트러트부쉬(7) 내경에 상단이 설치되는 쇽업소버축(13)으로 구성되는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4)와 상기 걸림부(5)가 형성된 절연체링(6)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4)의 환형요홈에(3)에는 상기 더스트커버(2)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2019950039977U 1995-12-12 1995-12-12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01306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77U KR0130622Y1 (ko) 1995-12-12 1995-12-12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77U KR0130622Y1 (ko) 1995-12-12 1995-12-12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17U KR970042917U (ko) 1997-07-29
KR0130622Y1 true KR0130622Y1 (ko) 1999-02-18

Family

ID=1943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977U KR0130622Y1 (ko) 1995-12-12 1995-12-12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062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0B1 (ko) * 2003-10-13 2007-12-10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하단부 고정장치
KR20190107860A (ko) 2018-03-13 2019-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좌굴 방지 쇽업쇼버 더스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370B1 (ko) * 2003-10-13 2007-12-10 주식회사 만도 쇽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하단부 고정장치
KR20190107860A (ko) 2018-03-13 2019-09-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좌굴 방지 쇽업쇼버 더스트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1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5232A1 (en) Strut suspens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210343A (en) Automotive suspension system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102064839B1 (ko) 이물질 유입방지 기능이 향상된 차량 현가장치용 스프링 시트 어셈블리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100224491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장착구조
KR200143939Y1 (ko) 쇽 업소버용 범퍼고무의 지지구조
KR19990025221U (ko) 쇽업쇼바용 더스트커버의 고정구조
KR910007986Y1 (ko) 자동차의 인슈레이터구조
KR0112541Y1 (ko) 스트러트 범퍼 고정용 브라켓
RU58456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JPS595607Y2 (ja) 自動車用バンプクツシヨンとプラスチツクカバ−の取付構造
KR19980065582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팅
KR0124624Y1 (ko)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RU58454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с подшипником скольжения (варианты)
RU58453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с подшипником скольжения (варианты)
KR200161910Y1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마운트 캡
KR19990026790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스트러트체결부커버 이탈방지구조
KR0131315B1 (ko) 자동차용 쇽 업소오버의 장착구조
RU49492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ружинно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KR19990059230A (ko) 쇼크업소버
KR19980054349U (ko) 현가장치의 스트러트 어셈블리구조
KR19990024429U (ko) 자동차의 리어 현가장치
KR19980067934U (ko) 자동차용 쇽업소버의 하부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