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4624Y1 -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 Google Patents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4624Y1
KR0124624Y1 KR2019950039997U KR19950039997U KR0124624Y1 KR 0124624 Y1 KR0124624 Y1 KR 0124624Y1 KR 2019950039997 U KR2019950039997 U KR 2019950039997U KR 19950039997 U KR19950039997 U KR 19950039997U KR 0124624 Y1 KR0124624 Y1 KR 01246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diameter
spring
air spring
protecto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99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923U (ko
Inventor
안국진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99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4624Y1/ko
Publication of KR9700429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9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46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46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2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 B60G11/2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fluid springs only, e.g. hydropneumatic springs wherein the fluid is a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2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 F16F9/0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 F16F9/0454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gas only or vacuum in a chamber with a flexible wall characterised by the assembling method or by the mounting arrangement, e.g. mounting of the membr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에 관한 것으로, 프로텍터커버(7)와 스프링시트(8) 각각에 대향되게 관통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0)과, 상기 연결공(10)에 개재되어 너트(11) 결합되고 양단부에 연결고리(12)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봉(13)(3A)과, 상기 연결고리(12)에 연결되고 중앙에 탄력스프링(14)이 구비된 와이어(15)로 구성되는 안전고리를 제공하여 차량의 운행중 심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해 에어스프링(9)의 이탈을 방지하여 안전운행 및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제1도는 종래 에어스프링의 설치상태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 안전고리가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프로텍터커버 8 : 스프링시트
10 : 연결공 11 : 너트
12 : 연결고리 13,13A : 연결봉
14 : 탄력스프링 15 : 와이어
본 고안은 차량의 프런트 및 리어 프레임과 빔에 설치되어 차량에 발생되는 진동및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운행중 심한 충격 및 진동에 의한 에어스프링의 주구성품인 에어백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체의 탄성력이 구비된 안전고리를 설치하여 안전운행 및 쾌적한 승참감을 유지하는 차량의 에어스프링에 안전고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스프링(air spring)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있어서 압축공기의 탄력으로 차체를 떠받쳐 충격 및 진동을 흡수 및 완충해주는 것이다.
도면 제1도는 종래 에어스프링의 설치상태 개략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면에 다수의 볼트부(50)가 설치되며 저부에 연결구(51)를 갖는 상부플레이트(52)와, 상기 연결부(51) 외경에 안착되는 동시에 피스톤(53)의 외경에 안착되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에어백(54)과, 상기 상부플레이트(52) 외경에 개재되며 다수의 주름관(55)이 형성된 프로텍터(56)와,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볼트부(50)에 결합되는 동시에 프로텍터(56) 상면에 접하는 프로텍터커버(57)와, 상기 피스톤(53) 저부에 설치된 피스톤시트(58)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에어스프링(59)은, 먼저 상부 플레이트(52) 저부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51)의 외경에 일정압력의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백(54)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공(54A)을 밀착시킨 후 상기 에어백(54)의 저부에 형성된 결합공(54B)을 상기 피스톤(53)의 외경에 일치시켜 결합시키면, 상기 에어백(54)은 상부플레이트(52)의 연결구(51) 외경과 피스톤(53) 외경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외경부를 통하여 외경에 주름관(52A)을 갖는 프로텍터(56)의 내경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볼트부(50)에 상기 프로텍터커버(57)를 결합시키면, 상기 프로텍터커버(57)의 통공(57A)이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볼트부(50) 외경에 개재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텍터(56) 상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52)의 상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이다. 상기과 같이 결합된 에어스프링(59)은 상기 상부플레이크(52)의 볼트부(50)를 차량의 프런트 및 리어프레임(60)에 체결시켜 결합설치하고 상기 피스톤(53)의 저부에 설치된 피스톤시트(58)의 볼트부(50A)를 상기 프런트 및 리어빔(61)상에 결합시켜 완전히 고정설치하여 차량의 급제동이나 급경사 운행시 심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될때 빔(61)상에 피스톤시트(58)로 설치된 피스톤(53)이 상승하게 되면서 에어백(54) 하부의 결합공(54A)에 결합된 피스톤(53) 외경이 에어백(54)을 상방으로 밀게됨으로써 내부에 일정압력의 압축공기가 충진된 에어백(54)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일정하게 상방으로 밀리게 되면서 압축되어 충격을 감소 및 완충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에어스프링을 구성하고 있는 에어백 상하부의 결합공이 상부플레이트이 연결구 외경과 피스톤의 외경에 각각 결합되어 있어 완전하게 고정되지 못하여 차량의 심한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에어백 자체가 이탈되어 차량의 심한 충격을 완충 및 감소시키지 못하게 되므로써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없으며 또한 안전운행에도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에어스프링의 츠로텍터 커버와 스프링시트 사이에 자체의 탄성력이 구비된 안전고리를 다수개 설치하여 차량의 진동 및 충격에 의한 에어백의 이탈을 미연에 방지하며 안전운행과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에어스프링의 프로텍터커버와 스프링시트 각각에 대향되게 관통형성된 다수의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에 개재되어 너트결합되고 양단부에 연결고리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봉과, 상기 연결고리에 연결되고 중앙에 탄력스프링이 구비된 와이어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상면에 다수의 볼트부(1)가 설치된 상부플레이트(3)의 저부에 연결부(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2)의 외경과 저부에 피스톤시트(8)가 설치된 피스톤(4)의 외경에는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에어백(5)의 상하부에 형성된 결합공(5A)(5B)을 각 개재되며,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외경에는 다수의 주름관(3A)이 형성된 프로텍터(6)를 개재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볼트부(1)에 대향되게 다수의 통공(7A)이 구비된 프로텍터커버(7)를 결합하며, 상기 프로텍터커버(7)와 스프링시크(8) 각각에 대향되게 다수의 연결공(10)을 각각 관통형성하고, 상기 연결공(10)에 개재되어 너트(11) 결합되고 양단부에 연결고리(12)를 갖는 연결봉(13)(13A)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고리(12) 양단에 연결되고 중앙에 탄력스프링(14)이 일체로 구비된 와이어(15)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에서와 같이, 먼저 에어스프링(9)의 상부플레이트(3) 저부에 형성된 연결구(2)의 외경에 상기 에어백(5)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공(5A)을 밀착결합후 상기 에어백(5)의 저부에 형성된 결합공(5B)를 상기 피스톤(4)의 외경에 결합시키면, 상기 내부에 일정압력의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에어백(5)은 상부플레이트(3)의 연결구(2) 외경과 상기 피스톤(4)의 외경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외경부를 통하여 외경에 다수의 주름관(3A)이 형성된 프로텍터(6)의 외경을 밀착결합시킨 후 ,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볼트부(1)에 상기 프로텍터커버(7)를 결합시키면, 상기 프로텍터커버(7)의 통공(7A)이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볼트부(1) 외경에 개재되는 동시에 상기 프로텍터(6) 상면과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상면에 밀착결합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결합된 에어스프링(9)의 프로텍터커버(7)와 피스톤시트(8)에 상호대향되게 관통형성된 연결공(10)에 연결고리(12)가 형성된 연결봉(13)(13A)의 일단외경을 각각 개재하여 너트(11) 체결하면, 상기 연결봉(13)(13A)은 상기 프로텍터커버(7)와 피스톤시트(8)의 연결공(10)에 개재되는 동시에 너트(10) 체결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13)(13A)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된 연결고리(12)내에 탄력스프링(14)이 일체로 구비된 와이어(15)를 고정설치한 후 상기 상부플레이트(3)의 볼트부(1)를 차량의 프런트 및 리어프레임(16) 일치시켜 너트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피스톤시트(8)의 저부에 형성된 볼트부(1A)를 상기 프런트 및 리어빔(17)에 너트 체결하므로써 상기 에어스프링(9)은 완전히 결합설치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운전자가 차량의 운행중에 급제동이나 급경시운행시에 심한 충격이나 진동이 발생될때 빔(17)상에 피스톤시트(8)로 설치된 피스톤(4)이 상승하게 되면서 동시에 에어백(5) 하부의 결합공(5)에 결합된 피스톤(4)의 외경이 에어백(54)을 상방으로 밀게됨으로써 내부에 일정압력의 압축 공기가 충진된 에어백(5)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일정하게 상방으로 밀리면서 압축되어 충격을 감소 및 완충시켜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프로텍터커버(7)와 피스톤시트(8)의 연결공(10)에 너트(11) 체결된 연결봉(13)(13A)을 연결하여 고정시켜주는 와이어(15)의 탄력스프링(14)이 자체의 탄성력으로 상방으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연결봉(13)(13A)을 완전하게 고정시켜줌으로써 상기 충격 및 진동을 감소 및 완화시켜주게 되며 또한 에어백(5)이 이탈을 방지하여 쾌적한 승차감 및 안전운행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술한 본 고안은, 차량에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에어스프링의 프로텍터커버와 피스톤시트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연결공에 너트체결되는 연결봉 양단의 연결고리에 탄력스프링이 일체로 형성된 와이어의 양단을 고정설치하여 차량의 급커브 및 급경사운행시에 심항 진동 및 충격이 발생될 때 에어스프링의 에어백이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안전운행 및 쾌적한 승차감을 유지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

  1. 상면에 다수의 볼트부(1)가 설치되며 저부에 연결구(2)를 갖는 상부플레이트(3)와, 상기 연결구(2)의 외경에 안착되는 동시에 피스톤(4)의 외경에 안착되며 내부에 압축공기가 충진되는 에어백(5)과, 상기 상부플레이트(3) 외경에 개재되며 다수의 주름관(3A)이 형성된 프로텍터(6)에 상접하는 프로텍터커버(7)와, 상기 피스톤(4)의 저부에 설치된 스프링시트(8)로 이루어진 에어스프링(9)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커버(7)와 스프링시트(8) 각각에 대향되게 관통 형성된 다수의 연결공(10)과, 상기 연결동(10)에 개재되어 너트(11) 결합되고 양단부에 연결고리(12)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봉(13)(13A)과, 상기 연결고리(12)에 연결되고 중앙에 탄력스프링(14)이 구비된 와이어(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이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KR2019950039997U 1995-12-12 1995-12-12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KR01246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97U KR0124624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9997U KR0124624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23U KR970042923U (ko) 1997-07-29
KR0124624Y1 true KR0124624Y1 (ko) 1998-09-15

Family

ID=19433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9997U KR0124624Y1 (ko) 1995-12-12 1995-12-12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462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923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34977A (en) Strut type suspension for a vehicle
EP1671872A1 (en) Body reinforcement device for a vehicle
GB2122555A (en) An assembly for the vibration isolation attachment of a subframe or component holder to the main frame of a vehicle
WO1989011416A1 (en) Fluid mounting system for a marine engine
US4046415A (en) Body moun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3560019A (en) Shock cushioning mounting means for canopies on heavy equipment
EP0063016B1 (en) Suspension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KR0124624Y1 (ko) 차량의 에어스프링용 안전고리
EP0787090B1 (en) Arrangement for resilient suspension of a cab with respect to a vehicle frame
JP3695153B2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支持装置
KR100316887B1 (ko) 차량용 현가장치
JPH03244844A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KR970004663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상부스프링시트
KR100193522B1 (ko) 자동차용 프레임의 바디 결합구조
KR100316267B1 (ko) 리어 코일 스프링 시트
KR200167540Y1 (ko) 자동차의 리어 코일 스프링과 프레임의 결합구조
KR0121031Y1 (ko) 자동차 엔진 장착구
KR100803151B1 (ko) 쇽 업소버
KR970004344Y1 (ko) 차량의 캡마운팅용 링크레버 조립체
KR200185460Y1 (ko) 베어링 댐핑식 현가장치
KR200141424Y1 (ko) 쇽업쇼버의 진동흡수장치
KR19980064056U (ko) 자동차 액슬의 리어코일스프링 이탈방지장치
KR890005194Y1 (ko) 오우토바이용 범퍼
JPS595607Y2 (ja) 自動車用バンプクツシヨンとプラスチツクカバ−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